KR101077038B1 -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038B1
KR101077038B1 KR1020110064231A KR20110064231A KR101077038B1 KR 101077038 B1 KR101077038 B1 KR 101077038B1 KR 1020110064231 A KR1020110064231 A KR 1020110064231A KR 20110064231 A KR20110064231 A KR 20110064231A KR 101077038 B1 KR101077038 B1 KR 101077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construction
idea
display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서용칠
우유미
곽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VE통합관리 시스템은,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건설 VE프로젝트를 생성하되, 관리자에 의한 건설 VE프로젝트 생성시 참조하도록 VE프로젝트 DB 또는 VE사례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 건설 VE프로젝트의 기본 데이터로서 표시하는 프로젝트 생성부와, 건설 VE프로젝트가 생성되면,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VE프로젝트 DB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을 준비하되, 관리자가 건설 VE프로젝트 팀의 리더에게만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 준비를 허가하는 프로젝트 준비부와,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이 준비되면,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프로젝트 정보 입력과정, 프로젝트 기능 분석과정, 프로젝트의 아이디어 창조과정, 프로젝트 평가과정 및 프로젝트 제안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그 결과값을 VE사례 DB에 저장하므로써, VE사례 DB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건설 VE프로젝트를 분석하는 프로젝트 분석부와, 관리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VE프로젝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건설 VE프로젝트를 실행하는 프로젝트 실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시스템{SYSTEM FOR INTEGRATING CONSTRUCTION VALUE ENGINEERING}
본 발명은 건설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이하, VE)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사업에서 건설 VE분석 과정을 감리회사나 발주처, 설계사, 시공사 등에게 용이하게 지원하기 위한 건설 VE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건설 시장의 낙후된 건설 기술을 선진화 및 합리화하고, 건설 사업 진행 과정의 예산낭비 요인과 비효율을 제거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건설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생애주기 전반의 원가절감 측면을 고려한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이하, VE)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가치공학(VE)은 건설 구조물을 위한 소정의 성능, 신뢰성 및 안전성을 만족하거나 품질을 보다 향상시켜 가면서 최소의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 이하, LCC)으로 필요한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발주처 또는 건설업체의 직원에 의해 행해지는 조직적인 개선 활동을 말한다. 즉, 가치공학(VE)은 비용의 절감, 생산성의 향상 및 품질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유효한 수단으로서, 보다 적은 비용으로 동일한 기능을 얻거나, 동일한 비용으로 기능을 개선 및 증가시키거나, 또는 불필요한 기능과 비용을 없애고 운영비용이나 수익을 최적화하기 위한 대체안을 개발하게 된다.
수 십년간 다양하고 수많은 시설에 대한 VE분석이 수행되어 많은 양의 유용한 VE제안(VEP and VECP)이 제안되고 또 적용되었다. VE제안들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상황분석을 바탕으로 생산한, 창조적이고 때로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포함하는 고도로 정제된 전문가들의 지식이다. 그러나 건설분야에서는 이러한 전문가들의 지식을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활용하려는 노력이 미미했다. 수년전의 기술이라 할지라도 문제인식 방법과 문제해결을 위한 접근방법은 현재에도 충분히 활용가능하며, 때로는 거의 가공하지 않고서 현재 문제의 해결에 이를 적용할 수 있기도 하다.
VE분석이 건설산업에 도입된 이후 VE분석은 건설사업의 비용을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며, 시공성을 높이고 공사품질을 향상시키는 등 사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일반국민이나 건설산업에 익숙하지 않은 발주자들이 건설관련 정보를 접하기 용이해짐에 따라, 시설물에 대한 관리자의 요구가 더욱 다양해지고 요구수준도 높아지게 되었다. 높아지는 요구수준과는 달리, 갈수록 상승하는 자재비, 에너지비, 인건비 등 점점 부족해지는 가용자원은 건설사업의 수행을 더욱 어렵게 만들어오고 있다.
VE분석은 이러한 다양하고 수준 높은 관리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자원제약적인 환경에서 우수한 품질의 시설물을 완성하기 위한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 창출의 선두 역할을 해왔다.
건설환경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세계화를 통해 경쟁이 더욱 가열되면서 VE분석의 적용이 요구되는 건설사업의 수는 점점 증가되는 추세이다. 한국의 경우 2006년부터 기존의 500억원 이상 건설공사에서 100억원 이상의 건설공사로 의무적인 설계VE분석 대상이 증가하고 있다.
VE분석이 가능한 전문가나 전문업체는 한정되어 있는 반면, VE분석이 요구되는 프로젝트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VE분석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여야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즉, 분야별 전문가들이 특정시간에 한자리에 모여 대상을 분석하고 집단 브레인스토밍 등을 통하여 아이디어를 생산하는 전통적 접근법에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분야별 전문가들의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혹은 이상적인 경우로서 전문가를 대신할 수 있는 일종의 도구의 개발이 유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사업에서 건설 VE분석 과정을 감리회사나 발주처, 설계사, 시공사 등에게 분야별 전문가들이 VE분석을 위해 특정시간에 한자리에 모이지 않더라도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VE분석 대상이나 일정들을 선정 및 관리하고, 각 전문가들로부터 아이디어를 취합하여 VE분석 과정을 용이하게 지원하기 위한 건설 VE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드화된 건설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 데이터들과 관리자 데이터들이 저장된 VE프로젝트 DB와, 과거 VE제안사례 및 과거 사례데이터가 저장된 VE사례 DB를 활용하는 VE통합관리 시스템은,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건설 VE프로젝트를 생성하되, 상기 관리자에 의한 건설 VE프로젝트 생성시 참조하도록 상기 VE프로젝트 DB 또는 상기 VE사례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 건설 VE프로젝트의 기본 데이터로서 표시하는 프로젝트 생성부와, 상기 건설 VE프로젝트가 생성되면,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VE프로젝트 DB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을 준비하되, 관리자가 건설 VE프로젝트 팀의 리더에게만 상기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 준비를 허가하는 프로젝트 준비부와, 상기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이 준비되면,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프로젝트 정보 입력과정, 프로젝트 기능 분석과정, 프로젝트의 아이디어 창조과정, 프로젝트 평가과정 및 프로젝트 제안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그 결과값을 상기 VE사례 DB에 저장하므로써, 상기 VE사례 DB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건설 VE프로젝트를 분석하는 프로젝트 분석부와, 관리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VE프로젝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건설 VE프로젝트를 실행하는 프로젝트 실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젝트 분석부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 입력과정을 수행하는 정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유닛은, 발주자, 사용자 및 건설전문가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요구측정이 선택되면, 해당하는 요구측정 사항 항목 표시 페이지를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요구측정 사항 항목 표시 페이지에서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요구사항 항목이 선정되면, 해당 항목을 선정하고, 요구사항 설문 양식 다운로드가 요청되면, 선정된 항목이 반영된 설문양식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설문양식에 기입된 요구측정 점수가 입력되면 입력된 설문참여자수 및 요구측정 점수를 반영하고, 요구측정 검토결과가 요청되면, 요구측정 설문 결과 및 요구측정 검토 결과를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한 후,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챠트보기가 선택되면, 요구측정 결과 챠트를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요구사항 측정모듈과, 고비용 분야에 대응하는 VE대상선정이 선택되면, 고비용 항목과 공사비별 고비용 분야 항목 비교 챠트를 포함하는 검색된 결과를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고비용 VE대상선정모듈과, 과거사례에 대응하는 VE대상선정이 선택되면, 시설물, 장소, 부위 및 아이템명을 포함하는 검색된 결과를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거사례 VE대상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건설 VE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건설사업에서 건설 VE분석 과정을 감리회사나 발주처, 설계사, 시공사 등에게 분야별 전문가들이 VE분석을 위해 특정시간에 한자리에 모이지 않더라도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VE분석 대상이나 일정들을 선정 및 관리하고, 각 전문가들로부터 아이디어를 취합하여 VE분석 과정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E통합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젝트 분석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정보유닛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기능분석유닛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창조유닛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3d는 도 2에 도시된 평가유닛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3e는 도 2에 도시된 제안유닛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젝트 실행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E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VE통합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프로젝트 생성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a는 메인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7b는 프로젝트 리스트 화면을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7c는 프로젝트 상세 조회 화면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프로젝트 준비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a는 프로젝트 준비 단계의 실행을 위한 메뉴창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고, 도 9b는 VE팀 구성 화면을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9c는 VE일정 계획 화면(VE추진단계 추가)을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9d는 VE일정 계획 화면(추진날짜의 기입)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프로젝트 분석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프로젝트 정보 입력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a는 프로젝트 분석 단계중 정보 입력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창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고, 도 12b는 사용자/발주자/건설전문가 요구사항 측정 화면을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12c는 사용자 요구분석 측정을 위한 설문지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12d는 사용자/발주자/건설전문가 요구사항 측정 결과 챠트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12e는 고비용 분야 검토를 위한 VE대상 선정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12f는 과거사례 검토를 위한 VE대상 선정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12g는 VE프로세스 맵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3은 도 10의 프로젝트 기능분석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a는 프로젝트 기능분석을 위한 메뉴창을 설명하는 이미지이고, 도 14b는 기능정의/정리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14b에서, 미작업버튼을 클릭하면 하기하는 FAST 다이어그램 작성 화면이 표시되고, 도 14c는 FAST 다이어그램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14d는 기능 평가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5는 도 10의 프로젝트 창조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a는 프로젝트 창조 단계의 실행을 위한 메뉴창을 설명하는 이미지이고, 도 16b는 아이디어 발상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16c는 아이디어 개략 평가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16d는 VE프로세스 맵에서 아이디어 상세평가 및 VE제안 개발을 위한 팝업창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16e는 아이디어 구체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7은 도 10의 프로젝트 평가 단계(경제성 평가를 위한 LCC 분석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a는 프로젝트 평가 단계의 실행을 위한 메뉴창을 설명하는 이미지이고, 도 18b는 LCC 분석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18c는 LCC 분석결과 챠트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9는 도 10의 프로젝트 평가 단계(경제성 평가를 위한 MCS 분석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0a는 MCS 분석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20b는 AHP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20c는 MATRIX 분석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1은 도 10의 프로젝트 제안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2a는 프로젝트 제안 단계의 실행을 위한 메뉴창을 설명하는 이미지이고, 도 22b는 VE제안사례 리스트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22c는 VE제안사례 작성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22d는 VE프로세스 맵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22e는 RETRIEVE를 설명하기 위한 팝업창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22f는 VE제안 추출항목 입력을 위한 팝업창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22g는 가중치 입력을 위한 팝업창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22h는 입력된 조건 확인 및 수정을 위한 팝업창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22i는 VE제안사례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3은 도 5에 도시된 프로젝트 실행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4a는 프로젝트 실행 단계의 실행을 위한 메뉴창을 설명하는 이미지이고, 도 24b는 VE분석결과 종합표 작성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24c는 VE분석결과보고서 작성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E통합관리 시스템(200)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E통합관리 시스템(200)은 프로젝트 생성부(210), 프로젝트 준비부(220), 프로젝트 분석부(230) 및 프로젝트 실행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VE통합관리 시스템은 코드화된 건설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 데이터들과 관리자 데이터들이 저장된 VE프로젝트 DB(110)와, 과거 VE제안사례 및 과거 사례데이터가 저장된 VE사례 DB(120)를 활용한다.
상기 프로젝트 생성부(210)는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건설 VE프로젝트를 생성하되, 상기 관리자에 의한 건설 VE프로젝트 생성시 참조하도록 상기 VE프로젝트 DB(110) 또는 상기 VE사례 DB(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 건설 VE프로젝트의 기본 데이터로서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젝트 생성부(210)는 관리자에 의한 프로젝트 관리 요청에 따라 상기 VE사례 DB(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 프로젝트 리스트를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하고, 특정 프로젝트가 관리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프로젝트 상세 정보를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하고, 시설물 분류 추가 버튼의 클릭에 따라 선택가능한 시설물 분류 선택창을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하고, 특정 시설물의 추가에 따라 추가된 시설물 분류를 적용하여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VE통합관리 시스템(200)이 컴퓨터와는 별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하였을 뿐, 실질적으로, 상기 VE통합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컴퓨터에서 읽혀질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탑재된 건설 VE통합관리 프로그램은 코드화된 건설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 데이터들과 관리자 데이터들이 저장된 VE프로젝트 DB와, 과거 VE제안사례 및 과거 사례데이터가 저장된 VE사례 DB를 활용한다. 즉, 상기한 건설 VE통합관리 프로그램은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건설 VE프로젝트를 생성하되, 상기 관리자에 의한 건설 VE프로젝트 생성시 참조하도록 상기 VE프로젝트 DB 또는 상기 VE프로젝트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 건설 VE프로젝트의 기본 데이터로서 표시하는 제1 과정과, 상기 건설 VE프로젝트가 생성되면, 상기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VE프로젝트 DB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을 준비하되, 상기 관리자가 건설 VE프로젝트 팀의 리더에게만 상기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 준비를 허가하는 제2 과정과, 상기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이 준비되면, 상기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프로젝트 정보 입력 단계, 프로젝트 기능 분석 단계, 프로젝트의 아이디어 창조 단계, 프로젝트 평가 단계 및 프로젝트 제안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그 결과값을 상기 VE프로젝트 DB에 저장하므로써, 상기 VE프로젝트 DB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건설 VE프로젝트를 분석하는 제3 과정과, 상기 관리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VE프로젝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건설 VE프로젝트를 실행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에서는 하나의 컴퓨터가 도시되었으나, 여러 개의 컴퓨터가 사내 망이나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VE프로젝트의 팀원 또는 팀리더는 자신의 컴퓨터를 통해 상기 VE통합관리 시스템(200)에 억세스하여 일련의 VE통합관리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프로젝트 준비부(220)는 상기 건설 VE프로젝트가 생성되면,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VE프로젝트 DB(110)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을 준비하되, 관리자가 건설 VE프로젝트 팀의 리더에게만 상기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 준비를 허가한다.
상기 프로젝트 분석부(230)는 상기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이 준비되면,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프로젝트 정보 입력, 프로젝트 기능 분석, 프로젝트의 아이디어 창조, 프로젝트 평가 및 프로젝트 제안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그 결과값을 상기 VE사례 DB(120)에 저장하므로써, 상기 VE사례 DB(120)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건설 VE프로젝트를 분석한다.
상기 프로젝트 실행부(240)는 관리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VE프로젝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건설 VE프로젝트를 실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VE통합관리 시스템(200)에 의하면, 단순 반복적인 업무를 전산화하여 제공하므로써, 건설사업에서 건설 VE분석 과정을 감리회사나 발주처, 설게사, 시공사 등에게 분야별 전문가들이 VE분석을 위해 특정시간에 한자리에 모이지 않더라도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VE분석 대상이나 일정들을 선정 및 관리하도록 온라인으로 VE를 수행하는 전체 과정을 각 전문가들로부터 아이디어를 취합하여 VE분석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도구 및 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VE통합관리시 지식DB를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반적인 VE업무의 생산성 및 VE 수행결과의 질적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설계단계 VE에 비해 활발히 적용되지 않고 있는 시공단계의 VE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젝트 분석부(230)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젝트 분석부(230)는 정보유닛(231), 기능분석유닛(232), 창조유닛(233), 평가유닛(234) 및 제안유닛(235)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유닛(231)은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젝트 정보 입력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프로젝트 정보 입력과정은 후술되는 도 11 내지 도 12g에서 설명되는 일련의 프로세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능분석유닛(232)은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젝트 기능 분석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프로젝트 기능 분석과정은 후술되는 도 13 내지 도 14d에서 설명되는 일련의 프로세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창조유닛(233)은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젝트의 아이디어 창조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프로젝트의 아이디어 창조과정은 후술되는 도 15 내지 도 16eg에서 설명되는 일련의 프로세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가유닛(234)은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젝트 평가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프로젝트 평가과정은 후술되는 도 17 내지 도 20c에서 설명되는 일련의 프로세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안유닛(235)은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젝트 제안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프로젝트 제안과정은 후술되는 도 21 내지 도 22i에서 설명되는 일련의 프로세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정보유닛(231)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정보유닛(231)은 요구사항 측정모듈(312), 제1 VE대상선정모듈(314) 및 제2 VE대상선정모듈(316)을 포함한다.
상기 요구사항 측정모듈(312)은 발주자, 사용자 및 건설전문가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요구측정이 선택되면, 해당하는 요구측정 사항 항목 표시 페이지를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요구측정 사항 항목 표시 페이지에서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요구사항 항목이 선정되면, 해당 항목을 선정한다.
또한, 상기 요구사항 측정모듈(312)은 요구사항 설문 양식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선정된 항목이 반영된 설문양식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설문양식에 기입된 요구측정 점수의 입력에 따라 입력된 설문참여자수 및 요구측정 점수를 반영하고, 요구측정 검토결과 요청에 따라, 요구측정 설문 결과 및 요구측정 검토 결과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요구사항 측정모듈(312)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챠트보기가 선택되면, 요구측정 결과 챠트를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기 제1 VE대상선정모듈(314)은 고비용 분야에 대응하는 VE대상선정이 선택되면, 고비용 항목과 공사비별 고비용 분야 항목 비교 챠트를 포함하는 검색된 결과를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기 제2 VE대상선정모듈(316)은 과거사례에 대응하는 VE대상선정이 선택되면, 시설물, 장소, 부위 및 아이템명을 포함하는 검색된 결과를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한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기능분석유닛(232)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기능분석유닛(232)은 기능정의/정리모듈(322), FAST 다이어그램 작성부(324), 기능평가모듈(326) 및 아이템 기능정리 저장부(328)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정의/정리모듈(322)은 기능 정의/정리 버튼이 선택되면, 아이템 정의를 위한 표시창을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하고, 특정 아이템의 기능 정리 요청에 따라 해당 아이템의 기능정리를 위한 FAST 다이어그램 작성 화면을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FAST 다이어그램 작성 화면에서 특정 아이템의 기능 정리가 완료되면, 기능정리된 아이템을 저장한다.
상기 기능평가모듈(326)은 특정 아이템의 기능 정리가 요청되지 않거나, 특정 아이템에 대한 기능 평가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아이템에 대한 기능 평가 표시창을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한다.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창조유닛(233)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창조유닛(233)은 아이디어 발상모듈(331), 아이디어 개략평가모듈(332), 아이디어 구체화모듈(333), 아이디어 주어, 서술어 정보 저장부(334), 아이디어 출처 저장부(335) 및 아이디어 구체화 정보 저장부(336)를 포함한다.
상기 아이디어 발상모듈(331)은 아이디어 발상 버튼의 클릭에 따라,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표시창을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표시창을 통해 아이디어가 입력되면, 해당 아이디어에 대응하는 주어 및 서술어 정보를 저장하고, 아이디어 출처의 입력 요청에 따라, 해당 아이디어를 제공한 아이디어 제공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이러한 아이디어 제공자 정보를 저장하므로써, 어느 아이디어를 누가 제안했는지를 VE통합 관리시스템에 억세스하는 관리자는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아이디어 개략평가모듈(332)은 아이디어 개략 평가 버튼의 클릭에 따라, 아이디어 평가항목으로서 요구측정 사항 항목에서 설정된 항목들이 표시되는 아이디어 개략평가 표시창을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기 아이디어 구체화모듈(333)은 아이디어 구체화 버튼의 클릭에 따라, 아이디어 구체화 표시창을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하고, 표시되는 정보의 수정 요구에 따라, 수정된 아이디어 구체화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들어, 현재 선택한 아이디어의 히스토리가 표시되고, 팀원 각자가 담당한 아이디어에 대한 구체적 내용과 예상절감금액을 입력하게된다. 팀리더는 이를 바탕으로 협의를 거쳐 클래스(Class)를 결정하게 된다.
도 3d는 도 2에 도시된 평가유닛(234)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평가유닛(234)은 LCC 분석모듈(341), AHP 분석모듈(342), 매트릭스 분석모듈(343), MCS 분석모듈(344), 챠트 표시제어부(345) 및 확률분포 저장부(346)를 포함한다.
상기 LCC 분석모듈(341)은 프로젝트의 기존안과 개선안간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프로젝트의 경제성 평가를 위한 수명 주기비용(Life Cycle Costing; LCC) 분석 과정을 수행한다. 즉, 관리자, 즉, 팀원이나 팀리더가 가정사항과 항목별 비용을 입력함에 따라, 상기 LCC 분석모듈(341)은 이를 분석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LCC분석은 특정 아이템 또는 건물 전체의 총 생애주기동안 발생하는 모든 비용(초기투자비, 수선비, 교체비, 에너지비, 해체비, 폐기비 등)을 특정 시점의 가치로 환산하는 기법이다.
상기 AHP 분석모듈(342)은 프로젝트의 기존안과 개선안간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평가항목을 상호 쌍별비교, 일관성 검사, 각 평가항목에 대한 기존안과 개선안을 쌍별비교, 평가항목별 가중치의 민감도를 검토하는 계층화분석과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AHP분석은 다기준의사결정법으로 여러 평가항목의 쌍별비교를 통해 각각의 가중치를 산정하고, 대안간 쌍별비교 결과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최종 의사결정하는 기법이다.
상기 매트릭스 분석모듈(343)은 상기한 AHP 분석모듈(342)에 의한 AHP분석을 간략화시킨 동작을 수행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매트릭스분석은 수작업으로 다기준의사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MCS 분석모듈(344)은 프로젝트의 기존안과 개선안간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프로젝트의 경제성 평가 과정을 수행한다. 즉, 관리자, 즉, 팀원이나 팀리더가 시뮬레이션 반복 횟수를 선택하고, 가정한 항목별 분포형태와 변수 등을 입력하면, 상기 MCS 분석모듈(344)은 프로젝트의 경제성 평가 과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MCS분석은 LCC 분석의 불확실성(미래비용 산정을 위해 가정사항을 설정)을 고려하기 위해 LCDD 분석결과의 발생가능한 확률분포를 추정하는 시뮬레이션 기법이다.
도 3e는 도 2에 도시된 제안유닛(235)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e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젝트 제안과정을 수행하는 제안유닛(235)은 VE제안사례 작성모듈(342)을 포함하여, 관리자, 즉, 팀원이나 팀리더가 VE제안사례 내용을 입력함에 따라, 사례 DB 입력을 위해 VE제안을 인덱싱하는 절차를 통해 VE제안사례를 작성한다.
상기 VE제안사례 작성모듈(342)은 VE제안사례 버튼의 클릭에 따라, 아이디어, 제안명, 완료여부 및 작성일이 표시되는 VE제안사례 리스트 표시창을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VE제안사례 리스트 표시창에서 특정 제안서의 선택에 따라, VE제안사례 작성용 표시창을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VE제안사례 작성모듈(342)은 상기 VE제안사례 작성용 표시창에서 표시되는 컨텐츠 수정 요청에 따라, 수정된 컨텐츠를 VE제안사례에 반영하고, VE사례 DB 정보의 수정 요청에 따라, 아이템에 대응하여 수정된 VE사례 정보를 VE사례 DB(120)에 반영한다.
또한, 상기 VE제안사례 작성모듈(342)은 보고서 출력 버튼의 클릭에 따라, 작성된 VE제안사례를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하고, 다음 버튼의 클릭에 따라, 아이템별 VE제안 개발 현황정보가 표시되는 VE프로세스 맵을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젝트 실행부(240)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젝트 실행부(240)는 분석결과 종합표 작성유닛(241) 및 분석결과 보고서 작성유닛(242)을 포함하여, VE분석결과 종합표 작성 버튼의 클릭에 따라, 분야별 VE분석결과 종합정보 및 VE제안 분석결과 종합 정보를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프로젝트 실행부(240)는 상기 분야별 VE분석결과 종합정보 및 VE제안 분석결과 종합 정보가 표시되는 창에서 보고서 출력 버튼의 클릭에 따라, VE분석결과 종합보고서를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프로젝트 실행부(240)는 상기 VE분석결과 종합보고서가 표시되는 창에서 VE분석결과 보고서 작성 버튼의 클릭에 따라, 각 단계별 보고서 인덱스 정보를 컴퓨터(130)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프로젝트 실행부(240)는 보고서 인덱스 전체 선택 또는 특정 인덱스 선택에 따라, 전체 인덱스 또는 선택된 인덱스를 VE분석결과 보고서에 반영한다.
또한, 상기 프로젝트 실행부(240)는 인쇄버턴의 클릭에 따라, 상기 인덱스가 반영된 보고서를 컴퓨터(130)에 연결된 프린터(미도시)프린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E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VE통합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젝트 생성부(도 1의 210)는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VE프로젝트 생성 단계를 수행한다(단계 S100). 이때, 관리자 의한 건설 VE프로젝트 생성시 관리자가 참조하도록 VE프로젝트 DB 또는 VE사례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 건설 VE프로젝트의 기본 데이터로서 컴퓨터(130)에 표시한다.
이어, 프로젝트 준비부(도 1의 220)는 상기 건설 VE프로젝트가 생성되면, VE프로젝트 준비 단계를 수행한다(단계 S200). 즉,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VE프로젝트 DB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을 준비하되, 관리자가 건설 VE프로젝트 팀의 리더에게만 상기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 준비를 허가한다.
이어, 프로젝트 분석부(도 1의 230)는 상기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이 준비되면, VE프로젝트 분석 단계를 수행한다(단계 S300). 즉,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프로젝트 정보 입력과정, 프로젝트 기능 분석과정, 프로젝트의 아이디어 창조과정, 프로젝트 평가과정 및 프로젝트 제안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그 결과값을 상기 VE프로젝트 DB에 저장하므로써, 상기 VE프로젝트 DB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건설 VE프로젝트를 분석한다.
이어, 프로젝트 실행부(도 1의 240)는 VE프로젝트 실행 단계를 수행한다(단계 S400). 즉, 관리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VE프로젝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건설 VE프로젝트를 실행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프로젝트 생성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a는 메인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7b는 프로젝트 리스트 화면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7c는 프로젝트 상세 조회 화면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젝트 관리 요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0). 예를들어, 관리자가 아이디/패스워드 입력을 통해 인증을 득하면 도 7a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도 7a에서 팝업창 형태로 표시되는 프로젝트 선택창은 프로젝트 검색후 검색결과 화면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 프로젝트 관리 요청으로 체크되면, 도 7b와 같은 프로젝트 리스트를 표시한다(단계 S120).
단계 S120에서, 표시되는 프로젝트 리스트에서 특정 프로젝트가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30). 예를들어, 도 7b에 도시된 프로젝트 리스트 화면의 최상단 버튼에서 <프로젝트관리> 버튼을 클릭하고, 이에 따라 표시되는 <프로젝트리스트>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까지 시스템에 입력된 프로젝트 리스트를 보여주는 도 7b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도 7b에 도시된 화면에는 프로젝트명별 시설물 구분, VE팀 리더명, 착수일, 종료일, 상태 정보가 표시된다.
선택된 프로젝트 상세 정보를 도 7c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140). 도 7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프로젝트 상세 정보에는 과업 개요 정보와 프로젝트 개요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과업 개요 정보에는 과업명, 발주처, 조달방식, 과업범위, VE시행단계, VE분석 시점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프로젝트 개요 정보에는 프로젝트명, 진행상태, VE팀 리더, 사업일정, 위치, 지역/지구,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건폐율, 용적율, 시설물 분류, 건설규모, 구조, 최고 높이, 주차계획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단계 S140에서 표시되는 프로젝트 상세 정보에서 시설물 분류 추가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50). 특히 도 7c의 프로젝트 개요정보에 포함되는 시설물 분류에 대응하는 창의 우측에 배치된 추가 버튼을 클릭하므로써, 관리자는 시설물 분류를 추가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단계 S150에서 시설물 분류 추가 버튼이 클릭된 것으로 체크되면, 선택 가능한 시설물 분류 선택창을 표시한다(단계 S160). 상기 시설물 분류 선택창은 별도의 팝업창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시설물 분류 선택창에는 아파트, 주상복합, 공연전시시설, 문화집회시설, 업무시설, 체육시설, 교육시설, 방송시설, 전시시설, 판매시설, 의료시설, 군부대 등과 같은 관리자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표시된다.
단계 S160에서 표시되는 선택 가능한 시설물 분류 선택창에서 특정 시설물의 추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70).
추가된 시설물 분류를 프로젝트에 적용한다(단계 S180).
단계 S150에서 시설물 분류 추가 버튼이 클릭되지 않거나, 단계 S170에서 특정 시설물이 추가되지 않거나, 단계 S180을 수행한 후, 프로젝트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190).
이러한 일련의 단계들을 통해 프로젝트 생성 단계를 마무리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프로젝트 준비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a는 프로젝트 준비 단계의 실행을 위한 메뉴창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9b는 VE팀 구성 화면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9c는 VE일정 계획 화면(VE추진단계 추가)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9d는 VE일정 계획 화면(추진날짜의 기입)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8을 참조하면, VE팀 구성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11). 상기 VE팀 구성 버튼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211에서, VE팀 구성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검색된 VE팀 구성 정보를 도 11b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212). 도 9b와 같이 표시되는 VE팀 구성 정보에는 레벨, 담당분야, 성명, 소속, 자격증, 개인 메일 주소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도 11b의 VE팀 구성을 알려주는 화면의 일측에는 보고서 출력 버튼, 신규 버튼, 저장 버튼, 삭제 버튼, 새로 고침 버튼이 배치된다. 관리자는 특정 버튼을 클릭하므로써, 원하는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신규 구성원의 입력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13). 예를들어, 관리자는 신규 구성원의 추가를 위해 도 9b에 도시된 신규 버튼을 클릭하므로써 신규 구성원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213에서 신규 구성원의 입력으로 체크되면, 입력된 신규 인원 정보를 추가한다(단계 S214).
구성원 삭제 요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15). 예를들어, 관리자는 구성원의 삭제를 위해 도 9b에 도시된 삭제 버튼을 클릭하므로써 해당 구성원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215에서 특정 구성원의 삭제 요청으로 체크되면, 요청된 인원 정보를 삭제한다(단계 S216).
VE팀 구성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217). 본 실시예에서, 단계 S221 내지 단계 S217은 준비단계의 VE팀 구성 과정을 정의한다.
일정계획 관리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21). 상기 일정계획 관리 버튼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221에서 일정계획 관리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VE추진단계 정보를 표시한다(단계 S222).
특정 추진단계의 서브단계 추가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23).
단계 S223에서, 특정 추진단계의 서브단계 추가 요청이 있는 것으로 체크되면, 선택 가능한 서브 단계를 도 9c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224).
특정 서브단계가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25).
단계 S225에서 특정 서브단계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브단계를 일정계획에 적용한다(단계 S226). 부가적으로 관리자는 VE일정 계획에 상응하는 개시일이나 종료일을 도 9d에 같은 화면을 통해 기입할 수 있다.
단계 S225에서 특정 서브단계가 선택되지 않거나 단계 S226을 수행한 후, 일정 계획을 저장한다(단계 S227). 본 실시예에서, 단계 S221 내지 단계 S227은 준비단계의 일정계획 관리 과정을 정의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프로젝트 분석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젝트 정보 입력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10).
단계 S310에서 프로젝트 정보 입력 요청이 있는 것으로 체크되면,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12).
단계 S310에서 프로젝트 정보 입력 요청이 없는 것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312를 수행한 후, 프로젝트 기능 분석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20).
단계 S320에서 프로젝트 기능 분석 요청이 있는 것으로 체크되면, 프로젝트의 기능을 분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22).
단계 S320에서 프로젝트 기능 분석 요청이 없는 것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322를 수행한 후, 프로젝트 창조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30).
단계 S330에서 프로젝트 창조 요청이 있는 것으로 체크되면, 프로젝트를 창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32).
단계 S330에서 프로젝트 창조 요청이 없는 것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332를 수행한 후, 프로젝트 평가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40).
단계 S340에서 프로젝트 평가 요청이 있는 것으로 체크되면, 프로젝트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42).
단계 S340에서 프로젝트 평가 요청이 없는 것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342를 수행한 후, 프로젝트 제안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50).
단계 S350에서 프로젝트 제안 요청이 있는 것으로 체크되면, 프로젝트를 제안하는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52).
도 11은 도 10의 프로젝트 정보 입력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a는 프로젝트 분석 단계중 정보 입력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창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2b는 사용자/발주자/건설전문가 요구사항 측정 화면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2c는 사용자 요구분석 측정을 위한 설문지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2d는 사용자/발주자/건설전문가 요구사항 측정 결과 챠트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2e는 고비용 분야 검토를 위한 VE대상 선정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2f는 과거사례 검토를 위한 VE대상 선정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2g는 VE프로세스 맵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발주자/건설전문가 요구측정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500). 예를들어, 사용자는 도 12a와 같이 표시되는 메뉴창에서 정보 버튼을 클릭한 후, 사용자/발주자/건설전문가 요구측정 버튼을 클릭하므로써 단계 S500을 수행한다.
사용자/발주자/건설전문가 요구측정 사항 항목 표시 페이지를 도 12b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502). 도 12b에 도시되는 사용자/발주자/건설전문가 요구측정 사항 항목 표시 페이지에는 사용자/발주자/건설전문가 요구측정 사항 항목뿐 아니라, 요구측정 설문결과 정보와 요구측정 검토 결과정보까지 포함되어 표시된다.
사용자에 의해 요구사항 항목이 선정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504). 도 12b의 사용자/발주자/건설전문가 요구측정 사항에는 분양성, 공사기간, 실현 가능성, 공익성, 상징성, 안전성, 유지관리성, 경제성, 시공성, 기능성, 편의성, 안정성, 미적가치, 가변성, 임대성, 유지관리효율성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504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요구사항 항목이 선정되면, 해당 항목을 선정한다(단계 S506).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 항목을 선정할 수 있다.
요구사항 설문 양식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508).
단계 S508에서 요구사항 설문 양식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것으로 체크되면, 선정된 항목이 반영된 설문양식을 다운로드한다(단계 S510). 예를들어, 사용자 요구 분석에 대응하는 설문양식은 도 12c에 같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문양식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요구사항 항목으로서, 경제성, 시공성, 기능성, 편의성, 안전성, 미적가치, 가변성, 임대성, 유지관리효율성 항목이 포함되어 표시된다.
요구측정 설문결과에 상응하는 요구측정 점수의 입력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512).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요구 측정 항목이나, 발주자에 의한 요구 측정 항목, 건설전문가에 의한 요구 측정 항목 각각에 대응하여 요구측정 점수가 입력될 수 있다.
단계 S512에서 요구측정 점수의 입력으로 체크되면, 입력되는 설문참여자수 및 요구측정 점수를 반영한다(단계 S514).
요구측정 검토결과의 요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516).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발주자, 건설전문가별 각 요구 측정 항목이 반영된 요구측정 설문 결과나 요구측정 검토 결과를 사용자나 발주자, 건설전문가는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516에서 요구측정 검토결과의 요청으로 체크되면, 요구측정 설문 결과 및 요구측정 검토 결과를 표시한다(단계 S518).
챠트보기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520).
단계 S520에서 챠트보기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요구측정 결과 챠트를 표시한다(단계 S522). 상기 요구측정 결과 챠트는,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방사형, 꺽은선, 세로막대형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단계 S500 내지 단계 S522는 프로젝트 분석 단계중 정보 입력 단계에서 사용자/발주자/건설전문가 요구측정 과정에 대한 일련의 동작을 정의한다.
단계 S520에서 챠트보기 버튼이 클릭되지 않거나 단계 S522를 수행한 후, 고비용 분야에 대응하는 VE대상 선정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524). 예를들어, 사용자는 도 12a와 같이 표시되는 메뉴창에서 정보 버튼을 클릭한 후, VE대상선정(고비용) 버튼을 클릭하므로써 단계 S524를 수행한다.
고비용 항목과 공사비 별 고비용 분야 항목 비교챠트를 포함하는 검색된 결과를 도 12d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526).
단계 S524에서 고비용 분야에 대응하는 VE대상 선정 버튼이 클릭되지 않거나, 단계 S526을 수행한 후, 과거 사례에 대응하는 VE대상 선정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530). 예를들어, 사용자는 도 12a와 같이 표시되는 메뉴창에서 정보 버튼을 클릭한 후, VE대상선정(과거사례) 버튼을 클릭하므로써 단계 S530을 수행한다.
시설물/장소/부위/아이템별로 검색된 결과를 도 12f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532). 예를들어, 도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거사례의 시설유형으로서 업무시설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선택되면, 과거사례의 장소로서, 공용공간인지, 근린시설인지, 업무공간인지, 외부공간인지, 일반인지, 자원공간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윈도우가 표시된다, 관리자가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과거사례의 부위로서, 고객실인지, 공통인지, 금융창구인지, 대회의실인지, 사무실인지, 현업실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윈도우가 표시된다. 관리자가 적어도 어느 하나(도 12f에서는 금융창구, 대회의실, 사무실, 협업실이 선택됨)가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선택되면, 해당 부위에 대응하는 아이템명과 이의 선택을 위한 창이 표시된다. 도 12f에서는 대회의실의 스피커, 앰프가 선택되고, 금융창구의 대기공간이나, 대회의실의 DVR, HDD, 사무실의 칸막이나 현업실의 천정마감재를 선택되지 않는 것이 도시된다.
사용자는 프로젝트 정보 입력 단계를 수행하는 과정 중간중간에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Precess MAP>을 클릭하므로써, 도 12g와 같은 VE프로세스 맵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1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정된 VE대상 전체에 대하여 앞으로 수행해야 할 각 단계의 진행 상황이 모두 표시되므로, 각 단계별의 업무 진행 상황이나 각 단계의 서브 단계별 업무 진행 상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버튼을 클릭하므로써, 해당 단계의 분석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도 12g를 참조하면, 예를들어, 분석대상인 공용공간의 광장 부위의 분수대, 엘리베이터 홀 부위의 창이나, 테스트자료, 환기시설은 기능분석(기능정의, 기능정리, 기능평가)이 실시되지 않았고, 아이디어 발상이나 아이디어 개략평가 역시 실시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분석대상인 공용공간의 화장실 부위의 세면기는 기능분석이 진행중이고, 아이디어 발상이나 아이디어 개략평가는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분석대상인 공통 부위의 거푸집은 기능정의 및 기능정리는 완료되었고, 기능평가는 미실시되었으며, 아이디어 발상 및 아이디어 개략평가는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분석의 진척도, 아이디어 발상이나 아이디어 개략평가의 진척도를 한눈에 개략적으로 확인하도록 별도의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즉, 일의 진척도를 개략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마련된 4등분된 사각형의 마킹 정도에 따라 관리자가 분석대상들 각각에 대응하여 한눈에 아이디어 상세평가 및 VE제안개발에 대한 개략적인 진척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0의 프로젝트 기능분석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a는 프로젝트 기능분석을 위한 메뉴창을 설명하는 이미지이다. 도 14b는 기능정의/정리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4b에서, 미작업버튼을 클릭하면 하기하는 FAST 다이어그램 작성 화면이 표시된다. 도 14c는 FAST 다이어그램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4d는 기능 평가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창에서 기능 정의/정리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600).
단계 S600에서 기능 정의/정리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아이템 정의를 위한 표시창을 도 14b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602).
단계 S600에서 기능 정의/정리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지 않거나 또는 단계 S602를 수행한 후, 특정 아이템의 기능정리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604).
단계 S604에서 특정 아이템의 기능정리 요청이 있는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아이템의 기능 정리를 위한 FAST 다이어그램 작성화면을 도 14c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606).
특정 아이템의 기능 정리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608).
단계 S608에서 특정 아이템의 기능 정리가 완료된 것으로 체크되면, 기능정리된 아이템을 저장한다(단계 S610).
단계 S604에서 특정 아이템의 기능정리 요청이 있는 것으로 체크되지 않거나 또는 단계 S610을 수행한 후,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창에서 특정 아이템에 대한 기능 평가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612).
단계 S612에서 특정 아이템에 대한 기능 평가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해당 아이템에 대한 기능평가 표시창을 도 14d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614).
도 15는 도 10의 프로젝트 창조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a는 프로젝트 창조 단계의 실행을 위한 메뉴창을 설명하는 이미지이다. 도 16b는 아이디어 발상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특히, 아이디어 출처 정보가 기입되는 일례가 도시된다. 도 16c는 아이디어 개략 평가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6d는 VE프로세스 맵에서 아이디어 상세평가 및 VE제안 개발을 위한 팝업창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6e는 아이디어 구체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젝트 창조 버튼에 종속하는 아이디어 발상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700).
단계 S700에서 아이디어 발상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표시창을 도 16b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702).
아이디어의 입력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704).
입력된 아이디어에 대응하는 주어, 서술어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706).
아이디어 출처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708).
단계 S708에서 아이디어 출처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또는 아이디어 출처가 과거사례로 선택되는 경우, 아이디어 출처를 과거사례로서 저장한다(단계 S710).
단계 S708에서 아이디어 출처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아이디어 제공자를 저장한다(단계 S712).
단계 S700에서 아이디어 발상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지 않거나 또는 단계 S712를 수행한 후, 아이디어 개략평가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714).
단계 S714에서 아이디어 개략평가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창출된 아이디어를 개략평가하기 위한 아이디어 개략평가 표시창을 도 16c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716).
아이디어 구체화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718).
단계 S718에서 아이디어 구체화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아이디어 구체화 표시창을 도 16e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720).
표시되는 정보의 수정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722).
단계 S722에서 표시되는 정보가 관리자에 의해 수정되면, 수정된 아이디어 구체화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724).
도 17은 도 10의 프로젝트 평가 단계(경제성 평가를 위한 LCC 분석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a는 프로젝트 평가 단계의 실행을 위한 메뉴창을 설명하는 이미지이다. 도 18b는 수명 주기비용(life cycle costing; LCC) 분석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8c는 LCC 분석결과 챠트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젝트 평가 단계의 실행을 위한 메뉴창에서 LCC 분석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800).
단계 S800에서 LCC 분석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LCC 분석 표시창을 도 18b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802).
도 18b와 같이 표시되는 LCC 분석 표시창에서 가정사항의 입력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804). 관리자는 가정사항으로서, 분석명, 분석기간, 명목이자율, 물가상승률, 전기료상승율, 유류비상승률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단계 S804에서 가정사항의 입력으로 체크되면,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가정사항을 반영한다(단계 S806).
도 18b와 같이 표시되는 LCC 분석 표시창에서 분석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808).
단계 S808에서 분석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LCC 분석 및 개선전후 발생비용을 도 20b의 하단부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810).
단계 S810에서 도 18b와 같이 표시되는 화면에서 챠트결과 보기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812).
단계 S812에서 챠트결과 보기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LCC 분석에 따른 분석결과 챠트를 도 18c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814).
도 19는 도 10의 프로젝트 평가 단계(경제성 평가를 위한 MCS 분석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0a는 몬테 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MCS) 분석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0b는 계층화분석과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0c는 MATRIX 분석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MCS 분석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816).
MCS 분석 표시창을 표시한다(단계 S818).
비용항목이나 가정사항의 확률분포형태의 설정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820). 관리자는 시뮬레이션 반복 횟수를 선택하거나, 가정한 항목별 분포형태나 변수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관리자에 의한 비용항목이나 가정사항의 확률분포형태가 설정되면, 설정된 비용항목이나 확률분포를 저장한다(단계 S822).
분석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824).
시뮬레이션 결과 대안 중첩 그래프를 표시한다(단계 S826).
도 21은 도 10의 프로젝트 제안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2a는 프로젝트 제안 단계의 실행을 위한 메뉴창을 설명하는 이미지이다. 도 22b는 VE제안사례 리스트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2c는 VE제안사례 작성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2d는 VE프로세스 맵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2e는 리트리브(RETRIEVE: REmembering Tool for Reusing Ideas Evolved in Value Engineering)를 설명하기 위한 팝업창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2f는 VE제안 추출항목 입력을 위한 팝업창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2g는 가중치 입력을 위한 팝업창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2h는 입력된 조건 확인 및 수정을 위한 팝업창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2i는 VE제안사례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VE제안사례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900).
단계 S900에서 VE제안사례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VE제안사례 리스트 표시창을 도 22b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902).
특정 제안서의 선택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904).
단계 S904에서 특정 제안서의 선택으로 체크되면, VE제안사례 작성용 표시창을 표시한다(단계 S906).
표시되는 컨텐츠의 수정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908).
단계 S908에서 컨텐츠의 수정으로 체크되면, 수정된 컨텐츠를 VE제안사례에 반영한다(단계 S910).
VE사례 DB 정보의 수정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912).
단계 S912에서 VE사례 DB 정보의 수정으로 체크되면, 아이템에 대응하는 수정된 VE사례 DB 정보를 반영한다(단계 S914).
보고서 출력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916).
작성된 VE제안사례를 표시한다(단계 S918).
다음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920).
아이템별 VE제안 개발 현황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VE프로세스 맵을 표시한다(단계 S922).
도 23은 도 5에 도시된 프로젝트 실행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4a는 프로젝트 실행 단계의 실행을 위한 메뉴창을 설명하는 이미지이다. 도 24b는 VE분석결과 종합표 작성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4c는 VE분석결과보고서 작성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VE분석결과 종합표 작성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02).
단계 S402에서 VE분석결과 종합표 작성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분야별 VE분석결과 종합정보 및 VE제안 분석결과 종합 정보를 도 24b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404).
이어, 도 24a의 우측 상단에 배치된 보고서 출력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06).
단계 S406에서 보고서 출력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VE분석결과 종합보고서를 표시한다(단계 S408). 표시되는 VE분석결과종합보고서는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프린트가 가능하다.
이어, VE분석결과 보고서 작성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10).
단계 S410에서, VE분석결과 보고서 작성 버튼의 클릭되면, 각 단계별 보고서 인덱스 정보를 표시한다(단계 S412).
이어, 보고서 인덱스 전체의 선택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14).
단계 S414에서 보고서 인덱스 전체의 선택으로 체크되면, 전체 인덱스를 VE분석결과 보고서에 반영한다(단계 S416).
이어, 특정 인덱스의 선택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18).
단계 S418에서 특정 인덱스의 선택으로 체크되면, 선택된 인덱스를 VE분석결과 보고서에 반영한다(단계 S420).
이어, 인쇄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22).
단계 S422에서 인쇄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인덱스가 반영된 보고서를 프린트 출력한다(단계 S424).
이어, 이전 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26).
단계 S426에서 이전 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VE프로세스 맵을 표시한다(단계 S428). 표시되는 VE프로세스 맵에는 아이템별 VE제안 개발 현황 정보가 표시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편적으로 수행됐던 VE사례를 수집 및 분석하여 VE제안내용을 각 항목들로 가공해 DB로 축적하고 이를 VE분석의 핵심과정인 대상선정, 기능분석, 아이디어발상, 대안창출과 같은 작업 진행시, 과거사례를 추출해 신규 VE프로젝트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주자/관리자/건설전문가의 요구를 측정하여 저장하고, 아이디어 개략평가 과정이나, 구체화 과정, 상세평가 과정 등과 같은 VE수행업무를 지원하며, 보고서 출력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VE통합관리 시스템이나 건설 VE통합관리 방법을 통해 건설VE 업무수행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설VE 통합시스템은 단순 반복적인 업무를 전산화하고, 온라인으로 VE를 수행하는 전체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도구 및 기법을 제공하며, 지식DB를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반적인 VE업무의 생산성 및 VE 수행결과의 질적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설계단계 VE에 비해 활발히 적용되지 않고 있는 시공단계의 VE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기술 향상 및 비용과 성능을 동시에 고려한 최적 건축물의 구현이 가능하다. 즉, VE제안으로 창출된 지식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아, 동일하거나 유사한 시설을 반복적으로 발주하는 경우에도 비효율적인 설계가 반복되고 있으며, 동일한 VE제안이 반복적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건설VE 통합시스템을 활용하여 VE제안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면 우수 지식이 재활용될 뿐만 아니라, VE수행자가 더욱 우수한 대안을 창출하는 계기가 됨으로써 국내 설계 및 시공기술의 향상 및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건설기술의 발전은 비용과 성능을 동시에 고려한 최적 건축물의 구현으로 연계되어 결과적으로 정부 예산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업과 IT기술의 융합에 기여할 수 있다. 즉, 건설산업과 IT기술/자동화기술의 접목은 그 역사가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정착되지 못한 상태인데, 이는 개발된 기술들의 적용범위가 매우 좁거나 기술적용 효과가 가시적이지 못함으로 인해 경영진의 지속적인 지원을 받지 못하고 또한 현장 기술자들의 호응도 얻지 못함에 기인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건설VE 통합시스템은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 하수급자, 건설사업관리자 등 건설관련 참여자의 대부분이 일상적으로 접하게 되는 VE분석 상황에서 그 업무량을 줄여주고 고품질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실무자들의 호응을 이끌어낼 수 있어 건설업에서의 IT기술 활용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속적인 건설기술 혁신에 기여할 수 있다. 즉, 지식 DB에서 추출한 고급 지식을 프로젝트에 적용함으로써 비용절감과 공기단축, 품질향상과 같은 기본적인 프로젝트의 성과목표뿐 아니라, 우수 기술을 지속적으로 DB화함으로써 최근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친환경성 향상 및 에너지 절감에 관련된 기술이나 다양한 혁신적인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게 되는 계기가 됨으로써 지속적인 설계 및 시공기술의 혁신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VE는 성능과 비용을 동시에 고려한 최적 대안을 추구하는 것으로 정부차원의 예산절감효과와 더불어 건설산업 전반의 건설기술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설VE 통합시스템을 활용한다면 VE업무 수행의 생산성 향상은 물론, 지식DB의 활용으로 진보된 설계 및 시공기술을 적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일반적인 VE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켜, 예산절감 및 건설기술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110 : VE프로젝트 DB 120 : VE사례 DB
130 : 컴퓨터 200 : VE통합관리 시스템
210 : 프로젝트 생성부 220 : 프로젝트 준비부
230 : 프로젝트 분석부 231 : 정보유닛
232 : 기능분석유닛 233 : 창조유닛
234 : 평가유닛 235 : 제안유닛
240 : 프로젝트 실행부 241 : 분석결과 종합표 작성유닛
242 : 분석결과 보고서 작성유닛 312 : 요구사항 측정모듈
314 : 제1 VE대상선정모듈 316 : 제2 VE대상선정모듈
322 : 기능정의/정리모듈 324 : FAST 다이어그램 작성부
326 : 기능평가모듈 328 : 아이템 기능정리 저장부
331 : 아이디어 발상모듈 332 : 아이디어 개략평가모듈
333 : 아이디어 구체화모듈 334 : 아이디어 정보 저장부
335 : 아이디어 출처 저장부 336 : 아이디어 구체화 정보 저장부
341 : LCC 분석모듈 342 : AHP 분석모듈
343 : 매트릭스 분석모듈 344 : MCS 분석모듈
345 : 챠트 표시제어부 346 : 확률분포 저장부

Claims (9)

  1. 코드화된 건설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 데이터들과 관리자 데이터들이 저장된 VE프로젝트 DB와, 과거 VE제안사례 및 과거 사례데이터가 저장된 VE사례 DB를 활용하는 VE통합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건설 VE프로젝트를 생성하는 프로젝트 생성부;
    상기 건설 VE프로젝트가 생성되면,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VE프로젝트 DB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을 준비하되, 관리자가 건설 VE프로젝트 팀의 리더에게만 상기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 준비를 허가하는 프로젝트 준비부;
    상기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이 준비되면,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프로젝트 정보 입력과정, 프로젝트 기능 분석과정, 프로젝트의 아이디어 창조과정, 프로젝트 평가과정 및 프로젝트 제안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그 결과값을 상기 VE프로젝트 DB에 저장하므로써, 상기 VE프로젝트 DB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건설 VE프로젝트를 분석하는 프로젝트 분석부; 및
    관리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VE프로젝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건설 VE프로젝트를 실행하는 프로젝트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트 분석부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 입력과정을 수행하는 정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유닛은
    발주자, 사용자 및 건설전문가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요구측정이 선택되면, 해당하는 요구측정 사항 항목 표시 페이지를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요구측정 사항 항목 표시 페이지에서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요구사항 항목이 선정되면, 해당 항목을 선정하고, 요구사항 설문 양식 다운로드가 요청되면, 선정된 항목이 반영된 설문양식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설문양식에 기입된 요구측정 점수가 입력되면 입력된 설문참여자수 및 요구측정 점수를 반영하고, 요구측정 검토결과가 요청되면, 요구측정 설문 결과 및 요구측정 검토 결과를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한 후,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챠트보기가 선택되면, 요구측정 결과 챠트를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요구사항 측정모듈;
    고비용 분야에 대응하는 VE대상선정이 선택되면, 고비용 항목과 공사비별 고비용 분야 항목 비교 챠트를 포함하는 검색된 결과를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고비용 VE대상선정모듈; 및
    과거사례에 대응하는 VE대상선정이 선택되면, 시설물, 장소, 부위 및 아이템명을 포함하는 검색된 결과를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거사례 VE대상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통합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생성부는, 상기 관리자에 의한 건설 VE프로젝트 생성시 상기 관리자가 참조하도록 상기 VE프로젝트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 건설 VE프로젝트의 기본 데이터로서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통합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생성부는 관리자에 의한 프로젝트 관리가 요청되면 상기 VE프로젝트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 프로젝트 리스트를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특정 프로젝트가 관리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프로젝트 상세 정보를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시설물 분류 추가 버튼이 클릭되면 선택가능한 시설물 분류 선택창을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특정 시설물의 추가에 따라 추가된 시설물 분류를 적용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통합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분석부는 상기 프로젝트 기능 분석과정을 수행하는 기능분석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분석유닛은
    기능 정의/정리 버튼이 선택되면, 아이템 정의를 위한 표시창을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특정 아이템의 기능 정리가 요청되면 해당 아이템의 기능정리를 위한 FAST 다이어그램 작성 화면을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FAST 다이어그램 작성 화면에서 특정 아이템의 기능 정리가 완료되면, 기능정리된 아이템을 저장하는 기능정의/정리모듈; 및
    특정 아이템의 기능 정리가 요청되지 않거나, 특정 아이템에 대한 기능 평가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아이템에 대한 기능 평가 표시창을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기능평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통합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분석부는 상기 프로젝트의 아이디어 창조과정을 수행하는 창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창조유닛은
    아이디어 발상 버튼이 클릭되면,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표시창을 표시하고, 상기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표시창을 통해 아이디어가 입력되면, 해당 아이디어에 대응하는 주어 및 서술어 정보를 저장하고, 아이디어 출처의 입력이 요청되면, 해당 아이디어를 제공한 아이디어 제공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아이디어 발상모듈;
    아이디어 개략 평가 버튼이 클릭되면, 아이디어 평가항목으로서 요구측정 사항 항목에서 설정된 항목들이 표시되는 아이디어 개략평가 표시창을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아이디어 개략평가모듈; 및
    아이디어 구체화 버튼이 클릭되면, 아이디어 구체화 표시창을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표시되는 정보의 수정이 요구되면, 수정된 아이디어 구체화 정보를 저장하는 아이디어 구체화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통합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분석부는 상기 프로젝트 평가과정을 수행하는 평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평가 유닛은
    프로젝트의 기존안과 개선안간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프로젝트의 경제성 평가를 위한 수명 주기비용(Life Cycle Costing; LCC) 분석 과정을 수행하는 LCC 분석모듈; 및
    프로젝트의 기존안과 개선안간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평가항목을 상호 쌍별비교, 일관성 검사, 각 평가항목에 대한 기존안과 개선안을 쌍별비교, 평가항목별 가중치의 민감도를 검토하는 계층화분석과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수행하는 AHP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통합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유닛은 프로젝트의 기존안과 개선안간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프로젝트의 경제성 평가를 위한 MCS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통합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분석부는 상기 프로젝트 제안과정을 수행하는 제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안유닛은
    VE제안사례 버튼이 클릭되면, 아이디어, 제안명, 완료여부 및 작성일이 표시되는 VE제안사례 리스트 표시창을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VE제안사례 리스트 표시창에서 특정 제안서가 선택되면,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VE제안사례 작성용 표시창을 표시하고,
    상기 VE제안사례 작성용 표시창에서 표시되는 컨텐츠 수정이 요청되면, 수정된 컨텐츠를 VE제안사례에 반영하고,
    VE사례 DB 정보의 수정이 요청되면, 아이템에 대응하는 수정된 VE사례 DB 정보를 반영하고,
    보고서 출력 버튼이 클릭되면, 작성된 VE제안사례를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다음 버튼이 클릭되면, 아이템별 VE제안 개발 현황정보가 표시되는 VE프로세스 맵을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통합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실행부는,
    VE분석결과 종합표 작성 버튼이 클릭되면, 분야별 VE분석결과 종합정보 및 VE제안 분석결과 종합 정보를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분야별 VE분석결과 종합정보 및 VE제안 분석결과 종합 정보가 표시되는 창에서 보고서 출력 버튼이 클릭되면, VE분석결과 종합보고서를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VE분석결과 종합보고서가 표시되는 창에서 VE분석결과 보고서 작성 버튼이 클릭되면, 각 단계별 보고서 인덱스 정보를 상기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보고서 인덱스 전체 또는 특정 인덱스가 선택되면, 전체 인덱스 또는 선택된 인덱스를 VE분석결과 보고서에 반영하고,
    인쇄버턴이 클릭되면, 상기 인덱스가 반영된 보고서를 프린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통합관리 시스템.
KR1020110064231A 2010-07-30 2011-06-30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시스템 KR101077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3928 2010-07-30
KR1020100073928 2010-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038B1 true KR101077038B1 (ko) 2011-10-26

Family

ID=450334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235A KR101077039B1 (ko) 2010-07-30 2011-06-30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0064231A KR101077038B1 (ko) 2010-07-30 2011-06-30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235A KR101077039B1 (ko) 2010-07-30 2011-06-30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0770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354B1 (ko) * 2013-06-12 2013-11-22 (주)아이엠기술단 다자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가치공학 다단계 성능평가 처리 방법
KR101552330B1 (ko) * 2014-10-28 2015-09-1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건축을 위한 건설 가치공학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60080388A (ko) 2014-12-29 2016-07-08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KR102042048B1 (ko) * 2018-06-05 2019-11-08 (주)에스텍씨엔씨 설계 가치공학의 아이디어 평가방법 및 평가시스템
KR20210083548A (ko)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408B1 (ko) * 2014-11-25 2016-08-01 현대건설 주식회사 Lcc 분석을 이용한 건축물의 최적 에너지 설계 방법
KR102220197B1 (ko) * 2018-10-05 2021-02-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콘텐츠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2617A (ja) 2001-05-21 2002-11-29 Cip:Kk 建設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5233A (ja) 2001-02-19 2002-08-30 Akua:Kk Ve案作成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2617A (ja) 2001-05-21 2002-11-29 Cip:Kk 建設支援システ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354B1 (ko) * 2013-06-12 2013-11-22 (주)아이엠기술단 다자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가치공학 다단계 성능평가 처리 방법
KR101552330B1 (ko) * 2014-10-28 2015-09-1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건축을 위한 건설 가치공학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60080388A (ko) 2014-12-29 2016-07-08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KR101690211B1 (ko) * 2014-12-29 2016-12-28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KR102042048B1 (ko) * 2018-06-05 2019-11-08 (주)에스텍씨엔씨 설계 가치공학의 아이디어 평가방법 및 평가시스템
KR20210083548A (ko)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039B1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8019B2 (en) Collaboration tool
Sacks et al. BIM handbook: A guide 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owners, designers, engineers, contractors, and facility managers
KR101077038B1 (ko)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시스템
Jalaei et al. Integra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LEED system at the conceptual design stage of sustainable buildings
Messner BIM Project Execution Planning Guide, Version 3.0
Abdirad Metric-based BIM implementation assessment: a review of research and practice
Wang et al. 4D dynamic management for construction planning and resource utilization
Reddy BIM for building owners and developers: making a business case for using BIM on projects
Fazeli et al. BIM-integrated TOPSIS-Fuzzy framework to optimize selection of sustainable building components
Porwal et al. The integr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system dynamic modeling to minimize construction waste generation from change orders
Amjad et al. Calculating completeness of agile scope in scaled agile development
Bayhan et al. A lean construction and BIM interaction model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Abdelmegid et al. Exploring the links between simulation modelling and construction production planning and control: a case study on the last planner system
Van Besouw et al. Smart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SPMIS) for engineering projects-project performance monitoring & reporting
KR102042048B1 (ko) 설계 가치공학의 아이디어 평가방법 및 평가시스템
Liu et al. Data-driven quantitative analysis of an integrated open digital ecosystems platform for user-centric energy retrofits: A case study in northern Sweden
El-Diraby Web-services environment for collaborative management of product life-cycle costs
Saud et al. Exterior walls selection framework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Farghaly et al. BIM for Asset Management: A taxonomy of non-geometric BIM data for asset management
Ziegler et al. TRUMPF uses a mixed integer model as decision support for strategic production network design
Couto Cerqueiro BIM Quantity Takeoff: Assessment of the quantity takeoff accuracy as an automatic process. The special case of Revit and Vico office
Gerçek BIM execution process of construction companies for building projects
Rouse et al. Work, workflow and information systems
Hunt et al. Innovative Uses of BIM for Facility Management
Neto et al. GUIDELINES RELATED TO PERFORMANCE RESTRICTIONS IN THE PRODUCT-SERVICE SYSTEM: A SYSTEM DYNAMICS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