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548A -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548A
KR20210083548A KR1020190175925A KR20190175925A KR20210083548A KR 20210083548 A KR20210083548 A KR 20210083548A KR 1020190175925 A KR1020190175925 A KR 1020190175925A KR 20190175925 A KR20190175925 A KR 20190175925A KR 20210083548 A KR20210083548 A KR 20210083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team
information
inputting
altern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0662B1 (ko
Inventor
홍윤표
전채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17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6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한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젝트 진행 중 분석단계에서 워크숍(WorkShop) 단계의 진행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된 팀원들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대안을 도출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품질모델부터 대안도출까지 일관적으로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프로젝트의 수행 효율을 향상시킨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management methods of project using Value Engineering and the recording media storing the program performing the said method}
본 발명은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한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프로젝트 진행 중 분석단계에서 워크숍(WorkShop) 단계의 진행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된 팀원들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대안을 도출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품질모델부터 대안도출까지 일관적으로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프로젝트의 수행 효율을 향상시킨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VE(Value Engineering)은 가치공학이라는 말로 통용되는 것으로, 구하려는 기능(機能)을 최소의 자원 비용으로 얻기 위하여 제품의 가치와 관련되는 여러 요인과 제품 비용에 관련되는 여러 요인의 관계를 검토ㅇ분석하여 제품의 가치를 높이는 일련의 방법이다.
VE에서 가치는 기능에 대한 비용의 비(比)가 아니라 제품의 기능을 일정하게 하여 품질을 유지하면서 비용만을 변동시켜 극소화하는 것으로, 원자재의 기능ㅇ가공기술ㅇ설계방법 등을 여러 모로 분석ㅇ검토를 반복한다.
이처럼 분석에 중점을 두는 경우를 가치분석이라 한다. VE는 1946년 미국 제너럴일렉트릭사(社)의 D.밀스를 중심으로 원가절감의 한 수법으로 개발되었고, '불필요한 원가를 밝혀내어 낭비적인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가치를 보다 증대시키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그 예로 특허문헌 1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건설 VE 지원 시스템이 적어도 1회 이상에 걸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한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 받는 단계; 적어도 1회 이상에 걸쳐 공종,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요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2 입력 정보로 입수 받는 단계; 제 1 입력 정보에 포함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공종별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제1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1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 2 입력 정보에 포함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제2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단계에서 생성되는 제1 원가 내역 정보 및 단계에서 생성되는 제2 원가 내역정보를 참조하여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공종별 단가 정보는 공종별 직접 공사비 정보를 구성하는 공종별 자재비 정보, 공종별 노무비 정보, 및 공종별 경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며, 원가 요율 정보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 및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값을 계산하기 위한 규칙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는 공종별 직접 공사비 정보와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합계한 것이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은 공정별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직접 공사비 정보와 공종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며, 단계에서 분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점을 기준으로 한 제1 원가 내역 정보와 제2 원가 내역 정보와 관련된 비교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며,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관점별로 제1 원가 내역 정보 및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며, 관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이고,
특허문헌 2는 코드화된 건설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 데이터들과 관리자 데이터들이 저장된 VE프로젝트 DB와, 과거VE제안사례 및 과거 사례데이터가 저장된 VE사례 DB를 활용하는 VE통합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건설 VE프로젝트를 생성하는 프로젝트 생성부; 건설 VE프로젝트가 생성되면,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VE프로젝트 DB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을 준비하되, 관리자가 건설 VE프로젝트 팀의 리더에게만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 준비를 허가하는 프로젝트 준비부;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일정계획이 준비되면,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프로젝트 정보 입력과정, 프로젝트 기능 분석과정, 프로젝트의 아이디어 창조과정, 프로젝트 평가과정 및 프로젝트 제안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그 결과값을 VE프로젝트 DB에 저장하므로써, VE프로젝트 DB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건설 VE프로젝트를 분석하는 프로젝트 분석부; 및 관리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VE프로젝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건설 VE프로젝트를 실행하는 프로젝트 실행부를 포함하고, 프로젝트 분석부는 프로젝트 정보 입력과정을 수행하는 정보유닛을 포함하고, 정보유닛은 발주자, 사용자 및 건설전문가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요구측정이 선택되면, 해당하는 요구측정 사항 항목 표시 페이지를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요구측정 사항 항목 표시 페이지에서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요구사항 항목이 선정되면, 해당 항목을 선정하고, 요구사항 설문 양식 다운로드가 요청되면, 선정된 항목이 반영된 설문양식을 다운로드하고, 설문양식에 기입된 요구측정 점수가 입력되면 입력된 설문참여자수 및 요구측정 점수를 반영하고, 요구측정 검토결과가 요청되면, 요구측정 설문 결과 및 요구측정 검토 결과를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한 후,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챠트보기가 선택되면, 요구측정 결과 챠트를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요구사항 측정모듈; 고비용 분야에 대응하는 VE대상선정이 선택되면, 고비용 항목과 공사비별 고비용 분야 항목 비교 챠트를 포함하는 검색된 결과를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고비용 VE대상선정모듈; 및 과거사례에 대응하는 VE대상선정이 선택되면, 시설물, 장소, 부위 및 아이템명을 포함하는 검색된 결과를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거사례 VE대상선정모듈을 포함하는 건설 VE통합관리 시스템이며,
특허문헌 3은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 업무 프로세스 중에서 분석 과정의 정보수집을 위해서 다자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가치공학 다단계 성능평가(Multi-Level Performance Measurement: MLPM) 처리 방법에 있어서, a) 팀원 단말 및 팀리더 단말이 각각 원안에 대한 성능평가 기준을 정의하고 평가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b) 팀리더 단말이 입력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처리 및 분석하는 단계; c) 팀리더 단말이 분석된 데이터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단계; d) 팀리더 단말이 분석된 데이터를 정보수집 데이터로 확정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팀리더 단말이 데이터를 확정하지 않은 경우, 팀리더 단말과 팀원 단말들 간에 분석 결과를 협의하는 단계; f) 협의 결과에 따라 분석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삭제하고, 팀리더 단말이 정보수집 데이터로 확정하는 단계; 및 g) 팀리더 단말이 정보수집 데이터를 확정한 경우, 정보수집 결과를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a) 단계에서 입력된 데이터의 성능평가 과정에 있어서 다수의 VE 참여자들이 직접 자신의 의견을 입력하게 하여 자동 수집 및 처리하며, b) 단계에서 처리 및 분석되는 데이터는 가중평균, 산술평균, 중앙값, 최빈값, 최소값 및 최대값을 포함하며, 성능평가 과정에 있어 다수의 VE 참여자들이 입력하여 수집 및 처리된 데이터를 자동 분석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시각의 분석자료 제시를 통해 정량적인 결과값을 도출하는 다자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가치공학 다단계 성능평가 처리 방법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VE기술을 이용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기술에서는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통상의 프로젝트의 진행에서는 절차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프로젝트의 진향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41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703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235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프로젝트의 진행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는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진행 중 분석단계에서 워크숍(WorkShop) 단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관련된 팀원들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대안을 도출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품질모델부터 대안도출까지 일관적으로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프로젝트의 수행 효율을 향상시킨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은 준비 단계에서 계획되고 관리서버에 저장된 다수의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관리프로그램에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접속하여 분석하는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팀원단말기를 통해 접속한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한 설계 현황을 분석하고 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수집단계; B)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한 품질모델 항목을 선정하고, 항목별 가중치를 선정하여 입력하는 품질모델작성단계; C)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프로젝트에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분석하여 입력하는 기능분석단계; D)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프로젝트에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평가하여 입력하는 기능평가단계; E) 기능평가단계에서 기준치 이상으로 평가된 프로젝트의 팀장단말기를 통해 제안서를 입력하는 제안서작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안서작성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D1)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입력하는 아이디어창출단계; D2)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채택하고, 채택된 아이디어를 조합하여 대안을 입력하는 대안구체화단계; D3)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조합된 대안에 대한 성능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대안성능평가단계; D4) 팀장단말기를 통해 성능 평가된 대안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여 입력하는 대안가치평가단계; 를 더 수행하고, 상기 제안서작성단계에서는 대안가치평가단계에서 기준치 이상의 평가를 받은 프로젝트의 팀장단말기를 통해 제안서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품질모델은 대분류와 중분류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은 메인화면에 접속자의 이름과 프로젝트들을 전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탭을 구비하고 있어 프로젝트 진행자를 일견에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어 프로젝트 진행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젝트 목록이 표시되면 프로젝트 목록을 클릭 시에 해당 프로젝트 정보와 개요에 관련 내용이 표시되면서 VE프로젝트의 전체적인 절차와 내용을 파악할 수 있고, 프로젝트 목록에서 특정 프로젝트를 선택하면 해당 프로젝트 정보에 해당 프로젝트의 이름, 진행상태, 팀원 등 내용이 표시되면서 해당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정보는 물론, 품질모델, 기능분석, 아이디어, 대안 순으로 VE절차에 따른 순서대로 프로젝트에 등록된 전반적인 내용을 요약하여 보여줌에 따라 프로젝트의 진행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을 구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의 메인화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의 특정 프로젝트의 품질 관리 화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의 특정 프로젝트의 풀질모델의 대분류 가중치 설정화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의 특정 프로젝트의 풀질모델의 중분류 가중치 설정화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의 특정 프로젝트의 기능 분석 화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의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아이디어 모집 화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의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아이디어 입력 화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의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아이디어에 대한 평가 화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의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아이디어에 대한 평가 항목 화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의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아이디어에 대한 평가 결과 화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의 부가 기능 표시 화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의 부가 기능 중 정보를 액셀로 표시한 화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의 부가 기능 중 정보 인쇄 미리보기 화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의 아이디어 모집 및 평가를 위한 모바일 앱화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진행 중 분석단계에서 워크숍(WorkShop) 단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관련된 팀원들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대안을 도출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품질모델부터 대안도출까지 일관적으로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프로젝트의 수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서버(10)와, 팀장단말기(20) 및 팀원단말기(30)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고, 준비 단계에서 계획되고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된 다수의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관리프로그램에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접속하여 분석하는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이이고, 프로그램은 이러한 제반 절차를 수행하는 컴퓨터에 설치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이하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은 A) 팀원단말기를 통해 접속한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한 설계 현황을 분석하고 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수집단계; B)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한 품질모델 항목을 선정하고, 항목별 가중치를 선정하여 입력하는 품질모델작성단계; C)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프로젝트에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분석하여 입력하는 기능분석단계; D)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프로젝트에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평가하여 입력하는 기능평가단계; E) 기능평가단계에서 기준치 이상으로 평가된 프로젝트의 팀장단말기를 통해 제안서를 입력하는 제안서작성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수집단계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관리프로그램의 메인화면에서 프로젝트 추가 버튼을 눌러 프로젝트를 생성한 후, 해당 프로젝트와 관련된 기초 정보는 물론, 설계 현황을 분석하고 관련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만들어진 프로젝트는 팀원은 물론 팀장이 단말기(20, 30)를 통해 추가하여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는 팀원 및 팀장단말기(20, 30)를 통해 수신하여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즉, 프로그램의 메인화면의 상부에 표시된 프로젝트 목록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아래쪽에 중앙에 해당 프로젝트의 정보와 개요에 관련 내용이 표시되어 해당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절차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즉, 해당 프로젝트의 이름, 진행상태, 팀원 등 내용이 표시되면서 해당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정보와, 프로젝트 개요도 마찬가지로 품질모델, 기능분석, 아이디어, 대안 순으로 VE절차에 따른 순서대로 프로젝트에 등록된 전반적인 내용을 요약하여 표시한다.
물론, 각각 항목의 바로가기 버튼을 통하여 항목별 내용을 등록 및 수정할 수 있다.
상기 품질모델작성단계는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한 품질모델 항목을 선정하고, 항목별 가중치를 선정하여 입력하는 단계로, 정보의 품질은 많은 VE 결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요구되는 정보를 교환하고 필요한 정보를 목록화하여 더욱 효율적인 VE를 수행할 수 있게하기 위한 것으로, 수집된 정보의 데이터 구축을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품질모델 항목을 대분류와 중분류로 각각 세분화하여 대분류의 내용과 연계시켜서 중분류을 설정한다. 프로젝트에 중요하게 고려될 사항에 대해서는 해당 품질모델에 별도로 표기하여 가중치 선정에 참고할 사항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평가항목 교차란에서 상호 비교하여 비교우위에 있는 품질모델의 평가결과를 평가범례에 따라 기입하는 방식으로 가중치를 선정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A:통행 안전성, B:이용자 편의성 중에 상호 비교하여 중요도가 동등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A/B로 평가할 수 있고, A:통행 안전성, C:관계자 요구의 부합성 중에 상호 비교하여 A:통행 안정성이 중요하다고 판단했을 때 A2나 월등히 중요하다고 있다고 판단될 때는 A3까지도 평가할 수 있으며, 비교우위에 따른 대분류 평가를 모두 완료하게 되면 아래에 있는 대분류 가중치 선정 탭에 자동으로 계산해서 가중치가 선정된 결과가 나타난다.
가중치가 선정된 후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 품질모델을 바탕으로 대분류의 가중치를 선정하고, 이어서 형성된 품질모델의 중분류의 가중치를 설정하여 품질모델 가중치 결정을 한다.
가중치의 결정은 품질모델 대분류 가중치 선정에서 생성한 대분류의 가중치를 바탕으로 세분화된 중분류의 가중치를 선정함으로써 품질모델의 종합가중치와 중요도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결정된 종합가중치를 바탕으로 마지막 단계에 있을 VE대안평가에서 매겨지는 품질모델별 점수에 종합가중치라 적용되어 평가가 된다.
종합가중치는 대분류 가중치와 중분류가중치를 계산되어 백분율로 적산하여 계산되는 형식으로 적산된 종합가중치의 순위대로 최종적인 품질모델의 중요도 우선순위가 결정된다.
VE프로젝트에서는 중분류 가중치는 백분율로 환산하여 대분류에 해당하는 중분류의 백분율 합계가 100이 되도록 중분류 가중치를 선정하게 되면 종합가중치와 중요도 우선순위가 자동으로 설정되며 중분류 가중치 계가 별도로 표시되므로 가중치 계를 확인하여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가중치 산정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기능분석단계는 각각의 프로젝트에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분석하여 입력하는 단계로, 각 프로젝트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상세한 기능을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팀원과 팀장이 분석하여 입력한다.
프로젝트의 각 기능을 명사+동사 형태의 간결한 문장으로 구성하여 목적이나 의도된 용도의 기능을 표현하여 각각 도출된 기능별로 비용을 분석하며, 분석이 완료된 후, 기능을 조합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패스트다이어그램(FAST Diagram)을 작성하여 입력한다.
패스트다이어그램을 통해 정의된 기능을 바탕으로 'How-Why Logic'을 이용하여 기능 간의 위계 관리를 정리하고, 기능의 위계 관리 정리를 통하여 효과적인 비용모델을 확립할 수 있다.
분석 대상의 필요, 불필요 기능을 규명하여 구성원의 아이디어 창출 시에 기능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다.
상기 기능분석단계에서 작성된 패스트 다이어그램을 통하여 아이디어를 개략적으로 평가할 때 필요한 기능을 만족시키는지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하여 효율적인 아이디어 개략평가를 실시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상기 기능평가단계에서 상기 패스트 다이어그램으로 만들어진 기능들을 평가한다.
패스트 다이어그램은 화면 일측에 구비된 버튼들을 클릭하여 메인항목과 하위항목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게 함에 의해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 먼저 메인추가를 눌러서 "교통흐름을 유지한다."를 작성 후에 하위항목을 추가를 클릭해서 "주행안정성을 확보한다"를 작성하면 자동으로 하위항목 형태의 항목이 추가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프로젝트에 대한 기능 평가 까지가 종료되는 해당 프로젝트의 팀장단말기를 통해 제안서를 작성하여 입력함에 의해 해당 프로젝트가 종료될 수 있으나, 보다 나은 프로젝트의 구형을 위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안서작성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다수의 추가적인 괴정을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안서작성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입력하는 아이디어창출단계;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채택하고, 채택된 아이디어를 조합하여 대안을 입력하는 대안구체화단계;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조합된 대안에 대한 성능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대안성능평가단계; 팀장단말기를 통해 성능 평가된 대안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여 입력하는 대안가치평가단계; 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렇게 추가된 과정을 더 수행한 후, 제안서작성단계에서는 대안가치평가단계에서 기준치 이상의 평가를 받은 프로젝트의 팀장단말기를 통해 제안서를 입력한다.
상기 아이디어창출단계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디어를 창출하여 추가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사용되는 기법은 브레인스토밍 기법으로, 이는 아이디어 창출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거의 다방면으로 모든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VE절차상 대부분 적용하고 있는 기법이다.
먼저 발상된 아이디어를 문장으로 구성하여 정리하여 아이디어 내용을 기술입력하고, 개략적으로 아이디어를 평가하기 위해서 전문가들의 과거 경험과 직관에 의한 정상적인 방법으로 아이디어의 가치를 판단한다.
판정된 아이디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O(채택), △(실시 설계시 검토) X(기각)과 같이 세가지로 평가되어 판정란에 표시된다.
각 프로젝트는 아이디어별 내용에 따라 판정결과와 제안자를 표시하고 있고, 해당 화면에서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하며, 판정에 있는 필터를 통해서 채택, 실시설계시 검토, 기각 등을 빠르게 나열할 수 있어 채택되거나 실시 설계시 검토된 아이디어들을 별도로 분류하여 효율적인 아이디어 분류와 대안개발에 참조할 수 있다.
모든 아이디어가 개략평가 및 내용수정이 완료되어 아이디어를 대안으로 개발하기 위해서 도 7의 화면 상단 우측에 '전체 대안 등록' 버튼을 통하여 아이디어를 다음 단계인 대안구체화단계로 이동시켜 각 대안당 1개의 아이디어를 자동으로 등록하여 대안 정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대안구체화단계와 대안성능평가단계 및 대안가치평가단계는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대안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대안의 성능평가와 가치 평가가 이루어진 후에 선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이 3개의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디어 내용을 추가하고 제안자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아이디어 창출단계에서 제안되고 선정한 아이디어들에 대한 구체적 조사 및 분석한 후 해 제안서를 작성한다.
개발되는 대안은 팀 구성원의 기술적 전문지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대안은 상호 독립적이어야 하나 미적 기능이 강조되는 경우 의사결정자의 승인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둘 이상의 대안들을 제안하게 되며, 먼저 채택된 아이디어를 필수 반영 아이디어와 VE평가를 통해 채택 가능한 아이디어로 구분하고, 구체적인 대안으로 전개시키기 위해 유사한 아이디어나 연관이 있는 아이디어를 분류ㅇ결합하면서 대안을 정리하고 발전시킨다.
대안별로 합쳐진 아이디어는 대표로 되는 대안내용의 하위항목에 아이디어 번호와 내용을 자동으로 표기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별도의 대안도 마찬가지로 우측상단에 대안+ 버튼을 통해서 추가하고 각 대안별로 평가표를 통해서 대안평가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도 9참조)
상기 대안성능평가단계는 선정된 아디이어를 평가하는 단계로, 먼저 실현 가능성을 판단하여 O:가능, △:검토필요, X:불가 3가지 형태로 평가를 한다.
성능 향상과 경제성 향상을 0(동일), 1(향상), 2(중요향상), -1(저하), -2(상당히 저하)로 판단하여 평가하고, 실현 가능성과 성능 향상 및 경제성 향상 점수를 합산하여 비고란에 채택, 실시 설계시 검토, 기각 형태로 평가 결과가 자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프로젝트의 수요자(발주처)의 의견을 들을 수 있고, 발주처 및 사용자 요구사항을 측정하여 평가항목들을 설정한다.(도 9 참조)
평가항목을 기준으로 원안 및 대안의 장단점을 평가한 후 등급분석 결과에 따라 이전에 생성한 품질모델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대안 성능을 평가하게 되며, 원안의 점수를 기준점수로 활용하기 위해 5점이라고 설정을 하고 기준점수를 토대로 대안점수를 증감하여 품질모델별 성능점수를 책정한다.
성능 점수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품질모델 중분류별 종합가중치와 대안점수의 적산으로 계산하고 성능점수의 합계는 기준점수 50점을 기준으로 해서 성능의 향상과 저하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대안가치평가단계는 대안평가의 결과를 나타내는 과정으로써 중분류별 원안 및 성능 점수와 성능 총계까지 해서 대안별로 성능 향상 및 저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단계이다.
프로젝트의 각각 중분류 및 대안을 클릭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설계되어 대안별로 성능평가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젝트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가적인 기능을 갖출수 있고, 일예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운 및 인쇄 기능을 통해서 프로그램상에서 이루어진 작업 절차별 내용을 엑셀 파일(도 13 참조)로 추출하거나 바로 인쇄물(도 14 참조)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프로젝트를 클릭하거나 진행 중인 상태일 때 다운 및 인쇄 탭에서 다운로드와 인쇄를 구분하여 해당하는 탭을 클릭하여 진행 시에 바로 해당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된다.
도 13 및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젝트에 작성되어 있는 내용을 엑셀 파일 형태로 추출되거나 출력물로 바로 인쇄할 수 있어서 VE 오리엔테이션 및 워크숍 등 VE대안을 도출하는 현장에서 빠르게 결과물을 도출해낼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VE절차 수행과 시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후 일정인 이행 회의 진행과 보고서 작성시에도 도출된 대안의 세부적인 사항도 엑셀로 파일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VE 전체적인 공정에서도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안평가의 효율을 증대하기 위해서 별도의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여 프로그램과 연계된 대안 자동 평가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림 VE-Mobile에 접속하게 되면 현재 진행 중인 VE의 프로젝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원하는 프로젝트를 클릭하면 프로젝트와 관련된 공지사항 및 일정 받은 알림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대안평가를 눌렀을 때 접속할 수 있는 3번째 화면에는 가장 상단에 대안과 아이디어가 표시된다.
대안점수를 품질모델별로 증감시켜서 점수를 매긴 후에 평가완료를 누르면 VE프로젝트 대안 구체화 및 평가 화면에 있는 투표 참여자란에 성명과 아이디가 기록되고, 모든 인원의 개별적인 평가를 합산하여 평균을 적용하여 계산한 값을 성능점수로 자동으로 계산하게 되어 대안 성능을 빠르게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성능평가를 할 때 구성원들 각각의 전문적인 지식과 견해가 적용되어 대안평가를 적용함으로써 공정한 평가방식으로 적용할 뿐만 아니라 평가점수가 자동으로 계산이 되어 결과를 도출해내기 때문에 빠른 시간내에 대안평가를 완료할 수 있다.
10: 관리서버
11: 관리프로그램
20: 팀장단말기
30: 팀원단말기

Claims (4)

  1. 준비 단계에서 계획되고 관리서버에 저장된 다수의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관리프로그램에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접속하여 분석하는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팀원단말기를 통해 접속한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한 설계 현황을 분석하고 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수집단계;
    B)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한 품질모델 항목을 선정하고, 항목별 가중치를 선정하여 입력하는 품질모델작성단계;
    C)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프로젝트에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분석하여 입력하는 기능분석단계;
    D)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프로젝트에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평가하여 입력하는 기능평가단계;
    E) 기능평가단계에서 기준치 이상으로 평가된 프로젝트의 팀장단말기를 통해 제안서를 입력하는 제안서작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안서작성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D1)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입력하는 아이디어창출단계;
    D2)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채택하고, 채택된 아이디어를 조합하여 대안을 입력하는 대안구체화단계;
    D3) 팀원 및 팀장단말기를 통해 조합된 대안에 대한 성능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대안성능평가단계;
    D4) 팀장단말기를 통해 성능 평가된 대안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여 입력하는 대안가치평가단계; 를 더 수행하고
    상기 제안서작성단계에서는 대안가치평가단계에서 기준치 이상의 평가를 받은 프로젝트의 팀장단말기를 통해 제안서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모델은 대분류와 중분류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의 프로젝트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190175925A 2019-12-27 2019-12-27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32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925A KR102320662B1 (ko) 2019-12-27 2019-12-27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925A KR102320662B1 (ko) 2019-12-27 2019-12-27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548A true KR20210083548A (ko) 2021-07-07
KR102320662B1 KR102320662B1 (ko) 2021-11-02

Family

ID=7686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925A KR102320662B1 (ko) 2019-12-27 2019-12-27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6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760B1 (ko) * 2009-07-20 2010-03-03 (주)아이엠기술단 온라인 가치공학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KR101077038B1 (ko) 2010-07-30 2011-10-26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시스템
KR101134106B1 (ko) 2010-07-21 2012-04-20 이기상 건설 ve 지원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32354B1 (ko) 2013-06-12 2013-11-22 (주)아이엠기술단 다자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가치공학 다단계 성능평가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760B1 (ko) * 2009-07-20 2010-03-03 (주)아이엠기술단 온라인 가치공학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KR101134106B1 (ko) 2010-07-21 2012-04-20 이기상 건설 ve 지원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77038B1 (ko) 2010-07-30 2011-10-26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시스템
KR101332354B1 (ko) 2013-06-12 2013-11-22 (주)아이엠기술단 다자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가치공학 다단계 성능평가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662B1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7281B2 (en) Requirements characterisation
Nikpay et al. An effective enterprise architecture implementation methodology
CN113807747A (zh) 一种企业预算管理成熟度测评系统
Shollo et al. The interplay between evidence and judgment in the IT project prioritization process
Marzouk et al. Assessing design process in engineering consultancy firms using lean principles
Dror Linking operation plans to business objectives using QFD
Alrabghi QFD in software engineering
Ritchi et al. Toward defining key success factors of E-government and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Case of Indonesia
KR102320662B1 (ko)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US20230316197A1 (en) Collaborative, multi-user platform for data integration and digital content sharing
Dias et al. Elaboration of use case specifications: an approach based on use case fragments
Pheng et al. Construction productivity in the multilayer subcontracting system: the case of Singapore
Besiktepe et al. A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Approach for Building Maintenance Strategy Selection using Choosing by Advantages
Jongeling Identifying And Prioritizing Suitable RPA Candidates in ITSM Using Process Mining Techniques: Developing the PLOST Framework
Ahmed et al. Claim management framework under FIDIC 2017: Contractor claim submission
Rickenberg et al. Towards a process-oriented approach to assessing, classifying and visualizing enterprise content with document maps
US11113322B2 (en) Dynamically generating strategic planning datasets based on collecting, aggregating, and filtering distributed data collections
JP2018180602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Sari et al. Prioritization Model for IT Project Portfolio Management in Private University: A Literature Review
Hikichi et al. A software process tailoring system focusing to quantitative management plans
Viehhauser Software robo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s an automation lever for management accounting and back-office automation
Abdelhady A new business process model for enhancing BIM implementation in architectural design
Heikkinen Continual Improvement in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Management: Studies of Managing Improvements in the Context of Continual Service Improvement (CSI)
Field An exploration of the application of software architecture evaluation techniques to the domain of service design
Datunsolang et al.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Approval Services For Spatial Use Activ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