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622B1 -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622B1
KR102369622B1 KR1020210067469A KR20210067469A KR102369622B1 KR 102369622 B1 KR102369622 B1 KR 102369622B1 KR 1020210067469 A KR1020210067469 A KR 1020210067469A KR 20210067469 A KR20210067469 A KR 20210067469A KR 102369622 B1 KR102369622 B1 KR 102369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wich panel
blocking
groove
combus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산패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산패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산패널
Priority to KR1020210067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는, 충진 심재의 양측면에 내,외측 측판이 합체된 패널 형태를 가지며 연결 돌기와 연결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서로 평면을 이루는 연결 상태로 배열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샌드위치 패널체,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샌드위치 패널체들의 끼움 연결 지점에 배치되며 서로 인접한 충진 심재들 간의 연소 확산 억제가 가능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차단구를 구비한 연소 억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SANDWICH PANEL ASSEMBLY COMPRISING STRUCTURE OF PREVENTING FROM FIRE SPREADING}
본 발명은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금속 패널은 기본적으로 단열 및 방음 성능이 우수하면서 내부식성 및 내구성을 갖는 패널 구조가 요구된다.
특히, 건축용 금속 패널은 사용 환경이나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특성을 갖는 여러 가지 패널들이 있으며, 그 중에서 비교적 제작이 용이하고, 간단한 구조로 단열 및 방음 기능을 구현하면서 가격 경쟁력도 갖춘 패널로는 샌드위치 패널(SANDWICH PANEL)이 널리 알려져 있다.
샌드위치 패널은 단열 및 방음을 위한 충진재 보드를 사이에 두고 보드 양측면에 각각 금속판이 합체된 형태의 패널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충진재로는 대부분 발포 스티로폼 보드가 사용된다.
그러나, 샌드위치 패널의 충진재로 사용하는 발포 스티로폼은 가연성(可燃性)의 재질 특성을 가지므로, 화재 발생시 쉽게 연소 및 확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 중에 유독 물질을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충진재는 내,외부면 측이 금속판에 의해 각각 가려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패널 구조상 내부 충진재의 연소시, 패널 외측에서 충진재의 연소 및 연소 확산 현상을 실질적으로 억제하기 어렵고, 이로 인하여 자칫 대형 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안정 상의 심각한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샌드위치 패널 고유의 심각한 문제점을 개선하지 않고서는 만족할 만한 패널 상품성 및 사용 안전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근래들어서 건축물의 마감 재료에 대한 난연 및 연소 확산 방지와 부합하는 강화된 성능 기준을 법제화하는 움직임이 있으므로, 비교적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샌드위치 패널의 지속적인 제작 보급을 위해서는 화재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패널 구조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특허등록 제10-165026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시 패널들 간의 연소 확산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충진 심재의 양측면에 내,외측 측판이 합체된 패널 형태를 가지며 연결 돌기와 연결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서로 평면을 이루는 연결 상태로 배열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샌드위치 패널체;
상기 복수 개의 샌드위치 패널체들의 끼움 연결 지점에 배치되며 서로 인접한 충진 심재들 간의 연소 확산 억제가 가능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차단구를 구비한 연소 억제부;
를 포함하는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 마감이나 루프 시공과 부합하도록 서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샌드위치 패널체들의 끼움 연결 설치가 가능하며, 특히 설치 시공된 각 패널체들 내부의 충진 심재들 간의 연소 확산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패널체들 간의 연소 확산 억제와 부합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건축물의 화재시 한층 더 향상된 화재 확산 방지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9는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는, 복수 개의 샌드위치 패널체(10) 및 연소 억제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샌드위치 패널체(10)는 도 1에서와 같이 충진 심재(12)와, 이 충진 심재(12) 양측면에 내,외부면을 이루는 상태로 배치되는 측판(14,16)을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충진 심재(12)는 기본적으로 단열 및 방음 특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와 부합하는 심재로는 단열 및 방음은 물론이거니와, 경량이면서 비교적 저렴하고 성형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발포 스티로폼 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충진 심재(12)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정 두께를 가지며, 양쪽면이 평면을 이루면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보드 타입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판(14, 16)들은 충진 심재(12)의 양측면에서 내,외부면을 이루는 상태로 합체 형성되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해 합체 상태로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측판(14, 16)들은 금속판이 사용되며, 특히 내부식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판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샌드위치 패널체(10)는 도 1에서와 같이 충진 심재(12)의 양쪽면에 덧대어지는 상태로 측판(14, 16)들이 부착 고정되면서 샌드위치 타입으로 서로 합체된 형태의 패널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샌드위치 패널체(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패널 둘레부 상부 및 하부 측에 서로 대응하는 형태의 연결 돌기(A) 및 연결 홈(B)을 갖도록 형성된다.
연결 돌기(A) 및 연결 홈(B)은 도 2에서와 같이 샌드위치 패널체(10)들이 서로 평면의 배열을 이루면서 세워진 상태로 적층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각 연결 지점에서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돌기부 및 홈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연결 돌기(A)는 예를 들어, 샌드위치 패널체(10)를 구성하는 내,외측 측판(14, 16)들이 패널 두께보다 좁은 돌기부 형태를 이루도록 밴딩 처리된 상태로 패널체(10)의 둘레부 상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홈(B)은 예를 들어, 연결 돌기(A) 측이 분리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홈부 형태를 이루는 상태로 샌드위치 패널체(10)의 둘레부 하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돌기(A) 측의 돌기부 끝단과 연결 홈(B) 측의 홈부 끝단 측은 측판(14, 16)들 사이로 충진 심재(12)가 각각 노출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체(10)는 도 2에서와 같이 복수 개가 적층 상태로 연결 배열 될 때, 각 연결 지점에 서로 인접한 패널체(10)들의 연결 돌기(A)와 연결 홈(B)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세워진 형태의 금속 패널 마감면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연소 억제부(20)는 샌드위치 패널체(10) 측에 연소 억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연소 억제부(20)는 샌드위치 패널체(10)들이 끼움 결합에 의해 적층 배열 상태로 연결 시공될 때, 패널체(10)들의 끼움 연결 지점에 서로 인접한 충진 심재(12)들 사이를 연소 확산 억제가 가능하게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연소 억제부(20)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차단구(22)를 구비하고, 이 차단구(22)는 샌드위치 패널체(10)들 간의 끼움 연결 지점에서 서로 인접한 충진 심재(12) 사이를 가로 막는 상태로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차단구(22)는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샌드위치 패널체(10)의 연결 돌기(A)의 돌기부 측과 대응하는 차단면(C)을 구비하고, 연결 돌기(A)의 돌기부 측을 덮는 상태로 설치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차단구(22)는 도 3에서와 같이 연결 돌기(A)의 돌기부 측을 덮을 수 있는 차단홈(D)을 구비하고, 이 차단홈(D)의 내부면을 이루는 상태로 차단면(C)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구(22)는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차단홈(D)의 하부 측이 개방된 프로파일 형태를 가지며 샌드위치 패널체(10)의 연결 돌기(A)의 연장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다.
차단구(22)는 예를 들어, 금속이나 비철금속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불연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하고, 열전도가 낮은 재질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차단구(22)는 상기와 같은 프로파일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대략 "ㄱ"자 모양의 프로파일 형태를 가지며, 안쪽에 차단면(C)과 차단홈(D)이 형성된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차단구(22)는 샌드위치 패널체(10)들 간의 끼움 연결시 이들 사이에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예를 들어, 특정 형태의 패널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기존 끼움 연결 방식의 샌드위치 패널들에도 용이하게 설치 적용이 가능한 연소 차단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구(22)는 샌드위치 패널체(10)들 간의 연소 확산 억제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차단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차단구(22)는 제1 억제부(24)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억제부(24)는 특히, 차단구(22)의 차단면(C) 측과 연계하여 연소 확산 억제와 부합하는 열전도 억제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 억제부(24)는 예를 들어, 불연성이면서 열전도성이 낮은 재질(예: 세라크울)이나 단면 구조(예: 발포 타입)의 납작한 패드 형태를 가지며, 도 5에서와 같이 차단구(22)의 차단홈(D) 내측에서 차단면(C) 측에 덧대어지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억제부(24)는 도 6에서와 같이 차단구(22) 측이 샌드위치 패널체(10)의 연결 돌기(A) 측에 설치된 상태일 때, 차단면(C) 측과 연계하여 추가적인 연소 확산 억제력 확보와 부합하는 열전도 억제층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억제부(24)는 예를 들어, 샌드위치 패널체(10)들이 적층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 등에 의해 하부 패널체(10) 측의 충진 심재(12)가 연소되더라도 상부 패널체(10)의 충진 심재(12) 측으로의 열전도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억제부(24)는 차단구(22)의 차단면(C) 측과 함께 샌드위치 패널체(10)들 간의 연소 확산이 더욱 안정적으로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차단구(22)는 제2 억제부(26)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억제부(26)는 샌드위치 패널체(10)들 간의 끼움 연결 지점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패널체(10) 내측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2 억제부(26)는 도 5에서와 같이 차단구(22)의 차단홈(D) 내측에 형성되되, 샌드위치 패널체(10)의 연결 돌기(A)의 양측면과 차단구(22)의 차단홈(D) 내부면 간의 접촉 틈새를 탄력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억제부(26)는 도 5에서와 같이 차단구(22)의 차단홈(D) 내부면 양측에 돌출되도록 끼워진 상태로 차단구(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억제부(26)의 재질은 난연성이면서 신축성 및 탄성을 갖는 재질(예: 실리콘)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억제부(26)는 도 6에서와 같이 적층 연결 상태로 설치된 샌드위치 패널체(10)들의 각 연결 지점에 차단구(22)가 설치된 상태일 때, 패널체(10) 내측으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억제부(26)는 예를 들어, 화재 등에 의해 샌드위치 패널체(10)의 충진 심재(12)가 연소될 때, 패널체(10)들 간의 끼움 결합 틈새를 통해서 패널체(10) 내측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해 충진 심재(12)의 연소가 더욱 확산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차단구(22)는 버퍼부(28)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부(28)는 제1 억제부(24) 측과 연계하여 차단구(22) 내측에 연소 확산 억제와 부합하는 공간 형성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버퍼부(28)는 샌드위치 패널체(10)들이 서로 끼움 연결될 때, 이와 연계하여 제1 억제부(24) 측의 형태 변형, 또는 이동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공간 확보가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7에서와 같이 고정단(P1) 및 자유단(P2)을 갖는 상태로 차단구(22) 측에 버퍼부(28)를 형성하되, 고정단(P1)은 차단구(22)의 외부면 중에서 위쪽에 연결되고, 자유단(P2)은 고정단(P1) 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버퍼부(28)의 자유단(P2) 선단 측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아래쪽을 향하여 가이드 돌기(P3)를 형성하고, 이 가이드 돌기(P3)는 자유단(P2) 측이 아래쪽으로 눌려질 때, 이와 연계하여 제1 억제부(24) 일측을 누를 수 있도록 돌출 형성한다.
버퍼부(28)는 상기와 같이 고정단(P1) 및 자유단(P2)을 갖는 상태로 차단구(22) 측에 적어도 한 군데 이상의 지점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버퍼부(28)는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샌드위치 패널체(10)들이 서로 끼움 상태로 적층 연결될 때, 이와 연계하여 자유단(P2) 측이 상부 패널체(10)의 하부 측에 눌려지면서 가이드 돌기(P3)가 차단구(22)의 제1 억제부(24) 측을 누르는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면, 자유단(P2) 측의 가이드 돌기(P3)의 누름 압력에 의해 제1 억제부(24)의 형태 변형이 유도되고, 이로 인하여 차단구(22)의 차단홈(D) 측에는 제1 억제부(24)와 차단면(C) 사이에 버퍼 공간(S)이 확보될 수 있다.
이때, 제1 억제부(24)는 예를 들어, 재질이 연질일 때에는 가이드 돌기(P3) 측에 눌려지는 부위만 일부 형태 변형이 유도되고, 경질일 때에는 패드 전체가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상태로 눌려질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퍼부(28)는 샌드위치 패널체(10)들을 서로 끼움 상태로 연결 배열하는 작업과 연계하여 차단구(22) 내측에 연소 확산 억제와 더욱 부합하는 버퍼 공간(S)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버퍼부(28)는 샌드위치 패널체(10)들이 서로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만 도 9에서와 같이 차단구(22)의 차단홈(D) 내측에 버퍼 공간(S)의 확보가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누름 작동되도록 형성되므로,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예를 들어 차단구(22)의 보관이나 운반시 버퍼 공간(S) 측으로 낙엽이나 곤충과 같이 연소 가능한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패널체(10)들이 서로 끼움 결합으로 연결 배열되는 상태로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패널체(10)들 간의 연소 확산이 억제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건축물의 벽체 측에 시공된 후, 화재 등에 의해 어느 한 지점의 패널체(10) 내부의 충진 심재(12)가 연소되더라도, 이로 인한 화재 확산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패널 시공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10: 샌드위치 패널체 12: 충진 심재
20: 연소 억제부 22: 차단구

Claims (6)

  1. 충진 심재의 양측면에 내,외측 측판이 합체된 패널 형태를 가지며 연결 돌기와 연결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서로 평면을 이루는 연결 상태로 배열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샌드위치 패널체; 및
    상기 복수 개의 샌드위치 패널체들의 끼움 연결 지점에 배치되며 서로 인접한 충진 심재들 간의 연소 확산 억제가 가능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소 억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 억제부는,
    차단홈 및 이 차단홈의 내부면 측에 형성되는 차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샌드위치 패널체의 연결 돌기 측을 상기 차단홈 및 차단면 측으로 덮는 상태로 설치 가능하게 형성되는 차단구;
    상기 차단구의 차단홈 내측에서 상기 차단면 측에 덧대어지는 상태로 배치되며 불연성이면서 열전도성이 낮은 패드 형태를 갖는 제1 억제부; 및
    상기 차단구 측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단과, 이 고정단 측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차단홈 내측에 화재 확산 억제를 위한 버퍼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게 상기 제1 억제부 측을 향하여 탄력적인 누름 동작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자유단을 구비한 버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부는,
    상기 샌드위치 패널체들의 적층 연결시 이와 연계하여 상기 자유단 측이 상부 측의 샌드위치 패널체의 하부 측에 눌려지면서 상기 차단홈의 차단면과 상기 제1 억제부 사이에 상기 버퍼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억제부의 형태 변형이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는 상태로 누름 동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샌드위치 패널체는,
    상기 연결 돌기의 돌기부 끝단 및 상기 연결 홈의 홈부 끝단 측에 상기 충진 심재의 둘레부 측이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는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 억제부는, 제2 억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억제부는,
    상기 차단구의 차단홈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샌드위치 패널체의 연결 돌기의 돌기부 양측면과 상기 차단홈 내부면 간의 접촉 틈새 사이를 탄력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
  6. 삭제
KR1020210067469A 2021-05-26 2021-05-26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 KR102369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469A KR102369622B1 (ko) 2021-05-26 2021-05-26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469A KR102369622B1 (ko) 2021-05-26 2021-05-26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622B1 true KR102369622B1 (ko) 2022-03-03

Family

ID=8081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469A KR102369622B1 (ko) 2021-05-26 2021-05-26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6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6044A (ja) * 2005-02-18 2006-08-31 Mirai Ind Co Ltd 板材支持具
KR101584036B1 (ko) * 2015-07-13 2016-01-12 김범진 화재 확산 차단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KR101650267B1 (ko) 2015-01-28 2016-08-22 김태우 자체 소화구조를 가지는 샌드위치패널 및 이를 이용하는 자체 소화기능을 가지는 샌드위치패널 구조물
KR101704608B1 (ko) * 2016-05-11 2017-02-08 (주)지젠티앤에스 열팽창성 내화조성물과 이것을 이용한 내화조성물의 제조방법 그리고 내화조성물을 이용한 내화구조패널과 이것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6044A (ja) * 2005-02-18 2006-08-31 Mirai Ind Co Ltd 板材支持具
KR101650267B1 (ko) 2015-01-28 2016-08-22 김태우 자체 소화구조를 가지는 샌드위치패널 및 이를 이용하는 자체 소화기능을 가지는 샌드위치패널 구조물
KR101584036B1 (ko) * 2015-07-13 2016-01-12 김범진 화재 확산 차단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KR101704608B1 (ko) * 2016-05-11 2017-02-08 (주)지젠티앤에스 열팽창성 내화조성물과 이것을 이용한 내화조성물의 제조방법 그리고 내화조성물을 이용한 내화구조패널과 이것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316B2 (en) Fireproof door
KR200474131Y1 (ko) 화재확산 방지용 조립식 패널
KR2017008714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102369622B1 (ko)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
KR100922200B1 (ko) 방화문
KR102058987B1 (ko) 내진 및 화재확산 방지용 금속재 패널부재
KR20150041273A (ko) 단열 특성이 우수한 샌드위치 타입의 단열재 구조물
KR102116913B1 (ko) 진공단열재를 갖는 방화도어
KR101888313B1 (ko) 건축 구조물용 내화 벽체
KR101105393B1 (ko) 건축물용 고효율 단열재
JP7304751B2 (ja) 断熱パネルで構成された壁の耐火被覆構造
KR2015011117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101518026B1 (ko) 복층 건물의 방진 및 단열기능을 갖는 바닥 시공구조
KR101562951B1 (ko)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KR101802373B1 (ko) 방화 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55183B1 (ko)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및 이의 설치 구조
KR20120045251A (ko) 착좌 성능이 개선된 온돌 기능을 가지는 방진 방음 패널
KR200466813Y1 (ko) 방화 방음 판넬 구조
KR200387941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0683570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20230081381A (ko) 벽체 시스템
CN216239057U (zh) 一种伸缩缝防火结构
KR102569527B1 (ko) 화재확산 차단 및 내진기능을 갖는 건물 내외벽 마감용 일체형 스페이싱 바
KR20180129385A (ko) 하이브리드 단열재
CN219158249U (zh) 一种隔音且耐腐蚀建筑保温装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