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183B1 -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및 이의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및 이의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183B1
KR101255183B1 KR1020110007264A KR20110007264A KR101255183B1 KR 101255183 B1 KR101255183 B1 KR 101255183B1 KR 1020110007264 A KR1020110007264 A KR 1020110007264A KR 20110007264 A KR20110007264 A KR 20110007264A KR 101255183 B1 KR101255183 B1 KR 101255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ick
fire protection
absorbent wick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052A (ko
Inventor
박재민
이영욱
Original Assignee
이영욱
㈜스트롱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욱, ㈜스트롱플러스 filed Critical 이영욱
Priority to KR1020110007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1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6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패널 및 방화패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벽, 기둥, 바닥 또는 천정 등에 설치되는 방화패널에 있어서, 판형태로 이루어지고 내화성을 갖는 패널몸체; 및 패널몸체의 일측면에 노출된 형태로 결합되고,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흡수심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다수의 상기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이 연속하여 배열되되,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어 이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설치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및 이의 설치 구조{A FIREPROOF PANEL HAVING WICK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IREPROOF PANEL}
본 발명은 방화패널 및 이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또는 구조물 상에 설치됨에 있어서 다수로 방화패널이 연속하여 조립되도록 형성되고, 손상되거나 보수가 필요한 방화패널만을 분리할 수 있는 방화패널 및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방화패널은 내화성을 갖는 패널로서, 건축물의 벽, 기둥, 보, 바닥 또는 지붕 등에 설치되어, 쉽게 연소되지 않고 화재시 화염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며 일정한 시간 이상을 견딜 수 있는 내화성능을 갖는 패널을 말한다.
건축물의 벽, 바닥, 천정 등에는, 층간 소음을 방지하고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흡음성, 단열성 등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패널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화염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패널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흡음 및 단열을 위하여 사용되는 통상의 건축용 패널의 경우 가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상당수 있으므로, 이러한 가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건축용 패널의 사용과 함께 방화패널의 설치는 더욱 요구된다.
최근에는, 우수한 방화 성능과 함께, 중량이 가볍고 고강도이며 가공성이 좋은 방화패널이 등장하고 있으며, 또한 유연하며 냉열건습에 의한 수축, 신장율이 적으며 잘 변형되지 않고 습기에 잘 견딜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방화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444274호는 방화를 위한 조립식 판넬을 개시하고 있으며, 금속재로 구성되는 판넬 커버; 버미큘라이트와 펄라이트로 구성되는 팽창성 광물이 일정한 크기로 분쇄 되어 가열 팽창되고, 상기 가열, 팽창된 광물에 무기질 결합재가 혼합 및 가열 압착되어 상기 판넬커버 내부에 내설되는 방화판넬; 상기 방화판넬이 내설된 판넬 커버의 일측으로 조립용 요홈부가 길이방향으로 요설되며, 타측단부에는 타측 판넬커버의 요홈부에 결합토록 돌출부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판넬 커버가 연속 결합토록 설치되는 판넬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할 때,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여 내열성이 우수하고 유독가스를 방출하지 않으며, 경량이고 성형이 쉬우며, 화재시 팽창하여 방화판넬 사이의 틈을 메꿔 화기를 막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 등록특허 제10-0444274호에서 개시되는 판넬을 포함하여 최근에 개시되고 있는 방화패널은 방화성능이 향상되거나 소재특성을 개량하여 단열 및 경량성을 부가되는 등 복합기능을 갖는 형태의 방화패널은 개발되고 있으나, 유지보수가 용이한 형태의 방화패널은 개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벽, 천정 등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형태의 방화패널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축물 등의 벽체 일측에 시공되는 방화패널을 설치함에 있어서, 방화패널과 천정 혹은 벽체의 표면경계 상에서 누수 등이 발생되는 경우, 누수되는 수분이 다른 부분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인접하는 방화패널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누수부분이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화패널 및 이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벽, 기둥, 바닥 또는 천정 등에 설치되는 방화패널에 있어서, 판형태로 이루어지고 내화성을 갖는 패널몸체; 및 상기 패널몸체의 일측면에 노출된 형태로 결합되고,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흡수심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패널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흡수심지가 삽입되는 삽입골이 형성되고, 상기 흡수심지는 상기 삽입골에 삽입되어, 상기 패널몸체에서 더 돌출되지 않고 동일평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수심지는 행과 열을 반복하며 격자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에서, 상기 흡수심지는 섬유형태로 형성되고, 특히 불연성(不燃性)의 섬유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패널몸체 테두리에는 상기 흡수심지를 통한 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마감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설치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다수의 상기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이 연속하여 배열되되,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어 이격홈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격홈에는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코킹재가 삽입 형성되고, 상기 제1코킹재에는 배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이격홈에는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코킹재가 삽입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방화패널의 패널몸체 일측면에 흡수심지가 노출된 형태로 결합하여 수분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지므로 벽체와의 경계면 사이에서 수분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인접하는 다른 패널로 수분이 번지는 것을 차단하여 다른 방화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누수가 발생하는 영역에서의 흡수된 물에 의하여 방화패널의 상태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누수지역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둘째, 흡수심지가 패널몸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패널몸체는 벽체 또는 천정 등과 밀착하고 경계면 사이에서 누수되는 수분은 흡수심지만을 통해 이동하며, 벽면 전체를 통해 수분이 쉽게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패널몸체 테두리에 흡수심지를 통한 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마감재가 형성되도록 하여, 인접하는 방화패널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넷째, 방화패널을 천정, 벽 등에 설치함에 있어서, 방화패널이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이격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이격홈에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제1코킹재 또는 제2코킹재가 개재되도록 하여 외관상 미감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방화패널의 형태 변형을 보상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배출구멍을 통하여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여 인접한 다른 방화패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해패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a 와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 와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심지(20)가 구비된 방화패널(1)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수심지(20)가 구비된 방화패널(1)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흡수심지(20)가 구비된 방해패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심지(20)가 구비된 방화패널(1)은 통상의 방화패널과 같이,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벽, 기둥, 보, 바닥 또는 지붕 등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며, 그 자체로 화염에 의하여 쉽게 연소되지 않고, 화염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며 일정한 시간 이상을 견딜 수 있는 내화성능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방화패널(1)은 터널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몸체(10)는 난연성(難燃性) 또는 불연성(不燃性) 소재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성질을 갖는 소재로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널몸체(10)는 석고보드 또는 항균 석고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패널몸체(10)는 내수성을 위하여 밤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발암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다른 소재로 대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10)는, 불연성을 가지며 세라믹질의 보드로서 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는 마그네슘 보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마그네시아 시멘트 및 마그네슘 보드는 활성 산화마그네슘과 염화마그네슘 사이에서 마그네슘 금속의 하이드로옥시 염화물의 수화물이 생성되도록 이루어지거나, 염화마그네슘 대신에 황산마그네슘을 사용하거나 염화마그네슘과 황산마그네슘을 혼용하여 수화반응을 진행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10)는 난연 또는 방염처리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탄 펠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1)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10)는 충진제와 내화섬유, 경화촉진제, 경화지연제 및 발포제 등을 함유하는 내화성물질로 구성되는 방화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방화패널(1)은 에트린자이트(ettringite) 5중량%가 포함되고, 상기 내화성물질은 10 내지 200 중량부의 알루미나 시멘트와 10 내지 250 중량부의 제노트라이트(xonotlite)가 포함되는 방화패널용 원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패널몸체(10)는 콘크리트 벽체 등(1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상기 패널몸체(10)가 상기 벽체(100)에 연속하여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패널몸체(10)는 일정한 규격을 갖는 장방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몸체(10)의 일측면, 즉 콘크리트 벽체, 바닥 또는 천정(100)에 결합되는 면 상에는 흡수심지(20)가 결합되며, 상기 패널몸체(10)의 일측면에는 상기 흡수심지(20)가 결합되기 위한 삽입골(1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골(11)은 상기 패널몸체(10)의 면상에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격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흡수심지(20)가 상기 삽입골(11)에 삽입된 후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흡수심지(20)는 상기 패널몸체(10)의 면상에서 더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패널몸체(10)가 벽체 등(100)에 밀착되는 것을 보장하고, 상기 흡수심지(20) 이외의 경로로 수분이 쉽게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입골(11)에 삽입되는 상기 흡수심지(20)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흡수된 수분이 쉽게 이탈되지 않고 상기 흡수심지(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섬유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심지(20)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응집된 수분이 부착성,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용이하게 흡수되고 이동할 수 있도록, 미세한 다수의 섬유 가닥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흡수심지(20)는 합성섬유 중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 상기 흡수심지(20)에 의할 때, 천연섬유에 비해서 가볍고 질기며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생산의 증감이 비교적 자유로운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골(11)에 삽입되는 상기 흡수심지(20)는 상기 패널몸체(10) 상에서 격자형태로 배열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하여 배열된 상기 흡수심지(20)에 의하여, 상기 흡수심지(20)의 어느 일측에서 흡수되는 수분은 흡수되는 영역을 중심으로 주변 일정 영역에서 흡수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패널몸체(10)와 벽체, 바닥 또는 천정(100)의 경계면 상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누수된 수분이 단순히 아래쪽으로 흐르거나 어느 한쪽 방향으로 무분별하게 흐르는 것이 아니라, 누수가 발생된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영역에서 누수된 수분이 모이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흡수심지(20)가 구비된 방화패널(1)이 벽체 또는 천정 등(100)에 설치되는 경우, 특정 지점에서 누수가 발생되면, 누수가 발생된 지점에 설치된 방화패널(1)에서 집중적으로 수분이 흡수되고, 인접한 다른 방화패널(1)로 수분이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게 되어, 다른 방화패널(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누수가 발생되는 지점에서는 상기 방화패널(1)에 형성된 상기 흡수심지(20)를 통해 흡수된 수분이 상기 패널몸체(10) 내부로 흡수되면서 외부에서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누수가 발생된 지점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누수가 발생된 지점의 방화패널(1)만을 분리하여 보수를 행하는 방법으로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심지(20)가 구비된 방화패널(1)에 의하면, 상기 패널몸체(10) 일측면에 상기 흡수심지(20)가 노출된 형태로 결합하여 수분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지므로 벽체 또는 천정 등(100)과의 경계면 사이에서 수분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인접하는 다른 방화패널(1)로 수분이 번지는 것을 차단하여 다른 방화패널(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누수가 발생하는 영역에서의 흡수된 물에 의하여 방화패널(1)의 상태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누수지역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심지(20)가 상기 패널몸체(10)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패널몸체(10)는 벽체 등(100)과 밀착하고 경계면 사이에서 누수되는 수분은 상기 흡수심지(20)만을 통해 이동하며, 수분이 쉽게 퍼지지 않고 다른 방화패널(1)이 형성된 영역으로 번지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심지(20)가 구비된 방화패널(1)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심지(20)가 구비된 방화패널(1)은, 상기 패널몸체(10) 모서리에, 상기 흡수심지(20)를 통한 물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마감재(30)가 형성된다.
상기 마감재(30)는 방수성(防水性)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물이 스며들거나 배어들지 못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재(30)는 상기 패널몸체(10)의 테두리 면상에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몸체(10)에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감재(30)는 방수성이 우수한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다른 소재에 고무, 왁스 등이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감재(30)는 상기 패널몸체(10)의 단부,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흡수심지(20)를 통하여 흡수된 수분이 다른 방화패널(1)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상기 마감재(30)는 상기 흡수심지(20) 상에서 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마감재(30)는 상기 패널몸체(10) 사방 전체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패널몸체(10)의 두께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패널몸체(10)가 벽체 등(100)에 밀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흡수심지(20)가 구비된 방화패널(1)은, 상기 패널몸체(10) 테두리에 상기 흡수심지(20)를 통한 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상기 마감재(30)가 형성되도록 하여, 인접하는 다른 방화패널(1)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인접한 방화패널(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누수되는 지점이 어디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a 와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1)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1) 설치 구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1)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다수의 상기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1)이 연속하여 배열되되,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어 이격홈(60)이 구비된다.
다만 여기서, 상기 마감재(30)는 별도로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마감재(30)를 대신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코킹재(40) 또는 제2코킹재(50)가 사용된다.
상기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1)은 천정 또는 벽 등에서 부착되는 경우, 이격하여 배열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격홈(6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이격홈(60)은 상기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1)의 신장 또는 수축을 고려하여 1~2mm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홈(60)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코킹재(40)가 삽입되며, 상기 제1코킹재(40)가 삽입된 후 상기 제1코킹재(40) 상에서 배출구멍(41)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멍(41)은 드릴 등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코킹재(40)는 실리콘 등과 같이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1)의 신장 또는 수축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구멍(41)은 내부의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1)을 통하여 흡수되는 수분이 과한 경우, 방화패널(1) 주변으로 이동하는 수분은 상기 배출구멍(41)을 통하여 배출되며,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인접한 다른 방화패널(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누수 영역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a 와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1)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코킹재(40)와 같이 상기 이격홈(60)에 상기 제1코킹재(40)가 삽입된 후 상기 배출구멍(41)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격홈(60)에는, 배출구멍(51)이 미리 형성되고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코킹재(50)가 삽입 형성되는 형태로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1) 설치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격홈(60) 상에 상기 제1코킹재(40)를 개재한 후 상기 배출구멍(41)을 형성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방화패널(1)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1)을 천정, 벽 등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방화패널(1)이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이격홈(60)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기 이격홈(60)에 상기 배출구멍(41, 51)이 형성되는 상기 제1코킹재(40) 또는 제2코킹재(50)가 개재되도록 하여 외관상 미감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방화패널(1)의 형태 변형(주변환경의 온도, 습도 조건, 흡수되는 수분 량 등에 따른 방화패널(1)이 신장 또는 수축)을 보상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배출구멍(41, 51)을 통하여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여 인접한 다른 방화패널(1)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1 :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10 : 패널몸체
11 : 삽입골
20 : 흡수심지 30 : 마감재
40 : 제1코킹재 50 : 제2코킹재
41, 51 : 배출구멍 60 : 이격홈
100 : 콘크리트 벽체 등

Claims (7)

  1.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벽, 기둥, 바닥 또는 천정 등에 설치되는 방화패널에 있어서,
    판형태로 이루어지고 내화성을 갖는 패널몸체; 및
    상기 패널몸체의 일측면에 노출된 형태로 결합되고,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흡수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흡수심지가 삽입되는 삽입골이 형성되고,
    상기 흡수심지는 상기 삽입골에 삽입되어, 상기 패널몸체에서 더 돌출되지 않고 동일평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수심지는 행과 열을 반복하며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4. 제 1 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심지는 섬유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5. 제 1 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다수의 상기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이 연속하여 배열되되,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어 이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설치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홈에는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코킹재가 삽입 형성되고,
    상기 제1코킹재에는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설치 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홈에는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코킹재가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설치 구조.
KR1020110007264A 2011-01-25 2011-01-25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및 이의 설치 구조 KR101255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264A KR101255183B1 (ko) 2011-01-25 2011-01-25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및 이의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264A KR101255183B1 (ko) 2011-01-25 2011-01-25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및 이의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052A KR20120086052A (ko) 2012-08-02
KR101255183B1 true KR101255183B1 (ko) 2013-04-22

Family

ID=4687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264A KR101255183B1 (ko) 2011-01-25 2011-01-25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및 이의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806A (ko) 2022-06-16 2023-12-26 천상현 복합 패널 구조체
KR102620560B1 (ko) 2023-05-17 2024-01-03 주식회사 백산이엔씨 내화패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화패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6366A (ja) * 1997-03-25 1998-10-06 Sekisui Chem Co Ltd 吸放湿材およびこの吸放湿材を用いた室内の湿度調節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6366A (ja) * 1997-03-25 1998-10-06 Sekisui Chem Co Ltd 吸放湿材およびこの吸放湿材を用いた室内の湿度調節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806A (ko) 2022-06-16 2023-12-26 천상현 복합 패널 구조체
KR102620560B1 (ko) 2023-05-17 2024-01-03 주식회사 백산이엔씨 내화패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화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052A (ko)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8582A (ko) 건물외벽의 화재차단용 마감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35576B1 (ko) 보강재가 포함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패널 시공 방법
PL1731685T3 (pl) Izolowana termicznie elewacja budynku z wentylacją pustki powietrznej
KR101995447B1 (ko) 알루미늄 박판층과 유리섬유 망층을 이용하여 무기질 평탄층이 고도의 일체성을 가지는 건축용 조립식 복합 외장구조체
US20120210665A1 (en) Fireproof Panel Equipped with Coupling Ho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ld for the Fireproof Panel
KR102556285B1 (ko) 열확산 및 화염침투 차단형 난연샌드위치 패널 및 그 설치방법
KR100696092B1 (ko) 건축용 조립식 방화 판넬
KR101255183B1 (ko)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및 이의 설치 구조
CA3093071C (en) Rear-ventilated building facade as well as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KR100604411B1 (ko) 복합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이중벽 칸막이의 시공 방법
KR200431420Y1 (ko) 다기능성 패널을 이용한 지하 이중벽의 조립식 설치구조
KR200420037Y1 (ko) 불의 차단막이 보드가 내장된 샌드위치패널
KR101765708B1 (ko) 유기물 개방형 셀 폼의 불연재와 그 제조방법 및 그 불연재를 이용한 건축용 내화벽체
JP5317785B2 (ja) 外断熱構造における延焼防止構造
KR200420072Y1 (ko) 건축용 조립식 방화 판넬
RU2720431C1 (ru) Фасад для здания,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асада и строи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т для фасада здания
KR20180096002A (ko) 건식 벽체
KR100495041B1 (ko) 바닥구조 내장용 건축재 및 그를 이용한 바닥구조
JP2006138145A (ja) 耐火外壁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建物
KR20090124596A (ko) 내화성 조립식 패널
KR101177348B1 (ko)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KR20080051242A (ko) 내화성을 갖는 방화문
KR100954388B1 (ko) 흡음블록
KR20100093715A (ko) 방음 및 단열성을 갖는 내장재
KR100899834B1 (ko) 내화성 패널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