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381A - 벽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벽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381A
KR20230081381A KR1020210169375A KR20210169375A KR20230081381A KR 20230081381 A KR20230081381 A KR 20230081381A KR 1020210169375 A KR1020210169375 A KR 1020210169375A KR 20210169375 A KR20210169375 A KR 20210169375A KR 20230081381 A KR20230081381 A KR 20230081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ll system
flame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창
유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1016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1381A/ko
Publication of KR20230081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3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벽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은 구조물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구조물과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패널, 내부공간에 마련되며 패널을 구조물에 지지시키는 하지프레임 및 하지프레임과 구조물에 연결되어 내부공간에서의 열 확산을 차단하는 제1 화염차단막을 포함하고, 제1 화염차단막은 일측은 하지프레임에 지지되고, 타측은 구조물에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벽체 시스템{WALL SYSTEM}
본 발명은 벽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및 외부에 마련되는 화염차단막으로 벽체 내부 및 외부의 화염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벽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커튼월은 외부로부터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 장식용으로도 큰 기능을 갖는다. 이때, 커튼월 구조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화염이 외벽인 커튼월을 타고 순식간에 위층으로 옮겨 붙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외벽 사이 내부 구조에 있어 빈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때 화염이 내부공간을 타고 순식간에 위층으로 옮겨 붙는, 연돌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국내건축 법규에 의하면,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 대해서 내부와 외부의 벽구조를 내화구조로 설치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내부 공간도 화재 시 화염 및 온도의 급격한 확대를 막기 위해 일정한 바닥면적 이하로 방화구획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방화구획에서는 일반적으로 내화성능이 뛰어난 소재 등을 사용하며, 도시 경관이나 디자인 미관을 고려한 소재들도 사용되고 있다.
내화벽체의 성능에는 차염성능과 차열성능의 두 종류의 성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차염(비차열)이란, 화염의 관통을 차단하여 일정시간 동안 화염의 확산을 막는 성능으로 화재에 의해 벽체가 변형이나 붕괴없이 어느 정도 시간동안 견딜 수 있는 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차열이란 화재 시 화염의 확산뿐만 아니라 복사와 전도에 의한 열전달도 차단하는 성능으로 복사열과 비가열면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제한온도에 대해 어느 정도 시간 동안 온도상승을 차단하는 지를 판단한다.
방화구획은 건물의 일정 면적별, 층별, 용도별로 구획함으로써 화재 시 일정범위 이외로의 연소를 방지하여 피해를 국부적으로 안정시킴을 위함이다. 이러한 방화구획 내의 벽체에 대해서는 화염을 차단하는 차염(비차열)성능과 열을 차단하는 차열성능, 하중을 지지하는 성능을 보유하여야 한다.
따라서, 화재시의 화염의 관통을 차단하는 차염기능과 열전도를 방지하는 차열성능을 확보하면서 외벽의 하중지지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7956호(2019. 04. 11. 공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1 화염차단막 및 제2 화염차단막으로 벽체 내 외부의 화염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벽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1 화염차단막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단열재의 발수 통기 역할을 수행하며, 화재 발생 시 지지플레이트가 팽창하여 개구부의 너비가 줄어들어 연돌현상에 의한 화염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벽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패널을 지지하는 스티프너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해 경량화와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벽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각 구성의 틈새를 감싸는 실링부재를 통해 화염 및 외부 물질의 침투를 막고 밀폐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벽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구조물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구조물과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패널; 상기 내부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패널을 상기 구조물에 지지시키는 하지프레임; 및 상기 하지프레임과 상기 구조물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의 열 확산을 차단하는 제1 화염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염차단막은 일측은 상기 하지프레임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구조물에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지프레임은 상기 패널을 횡방향으로 지지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및 지지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패널을 종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널의 횡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패널의 종방향으로의 열 확산을 차단하는 제2 화염차단막을 더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화염차단막은 내부에 상기 하지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감싸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화염차단막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상기 구조물에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패널부와, 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구조물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패널부와의 사이에 충진공간을 형성하는 제2 패널부와, 상기 충진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제2 패널부를 지지하는 스티프너를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티프너는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을 포함하는 제1 판과, 상기 제1 판의 양 측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를 지지하는 제2 판을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판은 상기 관통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지프레임과 상기 패널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줄눈을 덮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널과 상기 제2 화염차단막의 연결부위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커버부재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줄눈을 덮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은 제1 화염차단막 및 제2 화염차단막으로 벽체 내 외부의 화염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은 제1 화염차단막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단열재의 발수 통기 역할과 화재 발생 시 팽창하여 연돌현상에 의한 화염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은 패널을 지지하는 스티프너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해 경량화와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은 각 구성의 틈새를 감싸는 실링부재를 통해 화염 및 외부 물질의 침투를 막고 밀폐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의 제1 화염차단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의 패널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의 스티프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의 스티프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에 대해 실대형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의 제1 화염차단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1)은 구조물(10)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구조물(10)과의 사이에 내부공간(11)을 형성하는 패널(100), 내부공간(11)에 마련되며 패널(100)을 구조물(10)에 지지시키는 하지프레임(200)과 구조물(10)에 연결되어 내부공간(11)에서의 열 확산을 차단하는 제1 화염차단막(300)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100)은 구조물(10)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구조물(10)과의 사이에 내부공간(11)을 형성할 수 있다. 패널(100)은 구조물(10)에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패널부(101)와, 제1 패널부(101)와 구조물(10) 사이에 마련되며, 제1 패널부(101)와의 사이에 충진공간(103)을 형성하는 제2 패널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널부(102)는 하지프레임(200)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패널부(101)와 제2 패널부(102)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패널(100)은 AL패널, AL과 PE재 복합패널, 플라스틱 계열의 유기소재 패널, 스틸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틸 재질의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 용융점이 높아서 화재 시 열에 저항하는 성능이 월등하고, 강성과 강도가 높아 향상된 내풍압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충진공간(103)에는 단열재(104)가 충진될 수 있으며, 패널(100)에 부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단열재(104)로 유기단열재 또는 무기단열재를 쓸 수 있다. 일 예로 바인더를 저감시킨 불연 글라스울 무기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다. 유기단열재를 쓰는 경우 열전도도가 낮고 경도가 높아 높은 단열성능과 평활도를 확보할 수 있다. 무기단열재를 쓰는 경우 불연소재로 화재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유독가스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진공간(103)에는 스티프너(110, 120)가 수용되어, 제1 패널부(101)와 제2 패널부(102) 또는 단열재(104)를 지지할 수 있다.
하지프레임(200)은 내부공간(11)에 마련되며 패널(100)을 구조물(10)에 지지시킬 수 있다. 하지프레임(200)은 패널(100)을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프레임(210)과 패널(100)을 종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프레임(200)을 통해 패널(100)을 구조물(10)에 지지시킬 수 있다. 하지프레임(200)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용융점이 높으며, 강성과 강도가 높은 스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화염차단막(300)은 하지프레임(200)과 구조물(10)에 연결되어 내부공간(11)에서의 열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패널(100)과 구조물(10) 사이 내부 공간으로 연돌현상에 의해 화염이 확산될 수 있다. 이때 패널(100)과 구조물(10) 사이 내부 공간에 제1 화염차단막(300)을 마련하여, 화염의 이동경로를 차단하여, 연돌현상에 의한 화염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화염차단막(300)은 내부공간(11)으로 확산되는 화염을 차단하기 위해 스틸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틸 재질에 팽창흑연을 접합한 강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화염차단막(300)은 일측은 하지프레임(200)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구조물(10)에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310)와, 지지플레이트(310)에 형성되는 개구부(311)와, 지지플레이트(310)에 결합되는 단열플레이트(30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310)의 적어도 일부, 지지플레이트(310)의 절곡부(320)는 하지프레임(200)의 제1 프레임(210)의 삽입홀(211)에 삽입 및 지지될 수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절곡부(320)는 제2 프레임(220)에 형성되는 삽입홀(211)에 삽입 및 지지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310)에 형성되는 개구부(311)를 통해 평소에는 단열플레이트(301)의 발수 통기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화재 발생 시 지지플레이트(310)가 팽창하여 개구부(311)의 너비가 줄어들어 연돌현상에 의한 화염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절곡부(320)가 제1 프레임(210)의 삽입홀(211)에 삽입 및 지지되게 마련하여, 시공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제1 화염차단막(300)과 하지프레임(200)의 결합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결속부재를 통해 지지플레이트(310), 단열플레이트(301)와 제1 프레임(2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화염차단막(400)은 패널(100)의 횡방향으로 마련되어 패널(100)의 종방향으로의 열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화염차단막(400)은 내부에 하지프레임(200)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410)과, 지지프레임(410)을 감싸는 커버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410)과 커버부재(420) 사이에는 석고보드(430)가 마련될 수 있다. 벽체 시스템(1)에서 외부에서 화염이 발생하여 외벽공간을 타고 화염이 상승할 수 있다. 또는, 창문과 같은 열림 구조를 통해 내부의 화염이 벽체 시스템(1)의 외벽공간으로 나와서 상승할 수 있다. 이때, 패널(100)의 횡방향으로 제2 화염차단막(400)을 마련하여 화염의 상승 경로를 차단하여 상부로 화염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화염차단막(400)은 화염에 직접 맞닿으므로 화염과 직접 맞닿는 커버부재(420)는 높은 용융점을 갖는 세라믹 코팅처리가 된 고내식 강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410)은 스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420)와 지지프레임(410) 사이에 석고보드(430) 또는 불연성 글라스울 같은 무기재 단열재(104)를 마련할 수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커버부재(420), 지지프레임(410)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420)와 지지프레임(410) 사이에 다양한 단열소재 등을 마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410)은 제1 지지프레임(411)과 제2 지지프레임(412)으로 마련되어, 제2 화염차단막(400)이 외부로 돌출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패널(100)의 연결부위, 또는 하지프레임(200)과 패널(100)의 연결부위에는 줄눈(20)이 형성될 수 있다. 벽체 시스템(1)은 줄눈(20)을 덮는 실링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널(100)과 제2 화염차단막(400)의 연결부위, 제2 화염차단막(400)의 지지프레임(410)과 커버부재(420)의 연결부위에도 줄눈(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30)를 통해 줄눈(20)을 덮을 수 있다. 실링부재(30)는 팽창흑연 또는 점착필름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패널(100)의 생산 한계 상 줄눈(20)이 생길 수 있다. 패널(100)에 생긴 줄눈(20)은 패널(100)의 온도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줄눈(20)의 틈새로 공기나 물 등이 침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하지프레임(200) 등 벽체 시스템(1)의 구성에 부식 또는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이러한 줄눈(20)으로 불꽃이 침투하여 화염, 열 확산이 되어 차염과 차열성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링부재(30)를 통해 줄눈(20)을 덮어 외부 환경의 공기, 물 등의 침투와, 화재 발생시 불꽃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의 패널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의 스티프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의 스티프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7을 참조하면, 패널(100)은 하지프레임(200)에 지지되는 제1 패널부(101)와, 제1 패널부(101)와 이격되게 마련되어 제1 패널부(101)와의 사이에 충진공간(103)을 형성하는 제2 패널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패널부(101) 및 제2 패널부(102)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제1 패널부(106) 및 제2 패널부(107)는 반복적으로돌출 및 함몰 형성되는 돌출부와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와 함몰부를 마련함으로써, 패널(100) 내부 충진공간(103)에 스티프너(110, 120)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으며, 하지프레임(200)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스티프너(110, 120)는 제1 패널부(101, 106)와 제2 패널부(102, 107) 사이의 충진공간(103)에 수용되어 제1 패널부(101, 106)와 제2 패널부(102, 107)를 지지할 수 있다. 패널(100)과 단열재(104) 내부에 스티프너(110, 120)를 마련하여 패널(100)의 평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스티프너(110, 120)는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111a, 121a)를 포함하는 제1 판(111, 121)과, 제1 판(111, 121)의 양 측단에서 절곡 형성되어 제1 패널부(101, 106) 및 제2 패널부(102, 107)를 지지하는 제2 판(112, 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111, 121)에 관통부(111a, 121a)를 형성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열을 내부로 전달하거나, 내부 열을 외부로 전달시키는 매질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스티프너(110, 120)의 제1 판(111, 121)의 관통부(111a, 121a)에는 지지대(111b) 또는 와이어(121b)가 마련될 수 있다. 관통부(111a, 121a) 사이에 마련되는 지지대(111b) 또는 와이어(121b)를 통해 스티프너(110, 120)를 통한 열전달을 최소로 할 수 있고, 제1 판(111, 121)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의 실대형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벽체 시스템(1)은 KSF 8414 규격으로 실대형 시험을 수행하여 그래프와 같은 결과를 나타낸다. 시험규격에서 정한 바에 따라, 패널(100)의 일정 레벨위치에서 주벽, 측벽, 강판표면, 단열재(104) 내부, 내부공간(11)에서의 열전대에서 15분 내에 600℃이상의 온도가 30초간 측정되는지 관찰하여, 시작시간부터 약 1시간 경과까지 최대온도가 341℃로 600℃이하의 온도를 유지함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염성능 및 차열성능이 뛰어남을 알 수 있고, 향상된 화재 안정성을 갖는 벽체 시스템(1)을 마련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벽체 시스템(1)은 패널(100)과 구조물(10) 사이의 내부공간(11)에 마련되는 제1 화염차단막(300)을 통해 벽체 내부에서의 연돌현상에 의한 화염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염차단막(300), 지지플레이트(310)에 형성되는 개구부(311)를 통해 평소에는 단열플레이트(301)의 발수 통기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화재 발생 시 지지플레이트(310)가 팽창하여 개구부(311)의 너비가 줄어들어 연돌형상에 의한 화염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제1 화염차단막(300)을 내부공간(11)에서 지지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제2 화염차단막(400)을 통해 벽체 외부에서의 화염 확산 또한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벽체 시스템 10: 구조물
20: 줄눈 30: 실링부재
100: 패널 110, 120: 스티프너
200: 하지프레임 300: 제1 화염차단막
310: 지지플레이트 320: 절곡부
400: 제2 화염차단막 410: 지지프레임
420: 커버부재

Claims (10)

  1. 구조물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구조물과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패널;
    상기 내부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패널을 상기 구조물에 지지시키는 하지프레임; 및
    상기 하지프레임과 상기 구조물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의 열 확산을 차단하는 제1 화염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염차단막은
    일측은 상기 하지프레임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구조물에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프레임은
    상기 패널을 횡방향으로 지지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및 지지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패널을 종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횡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패널의 종방향으로의 열 확산을 차단하는 제2 화염차단막을 더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염차단막은
    내부에 상기 하지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감싸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염차단막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구조물에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패널부와,
    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구조물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패널부와의 사이에 충진공간을 형성하는 제2 패널부와,
    상기 충진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제2 패널부를 지지하는 스티프너를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는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을 포함하는 제1 판과,
    상기 제1 판의 양 측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를 지지하는 제2 판을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은
    상기 관통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프레임과 상기 패널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줄눈을 덮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상기 제2 화염차단막의 연결부위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커버부재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줄눈을 덮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
KR1020210169375A 2021-11-30 2021-11-30 벽체 시스템 KR20230081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375A KR20230081381A (ko) 2021-11-30 2021-11-30 벽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375A KR20230081381A (ko) 2021-11-30 2021-11-30 벽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381A true KR20230081381A (ko) 2023-06-07

Family

ID=86761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375A KR20230081381A (ko) 2021-11-30 2021-11-30 벽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138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956B1 (ko) 2016-11-29 2019-04-11 주식회사 포스코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956B1 (ko) 2016-11-29 2019-04-11 주식회사 포스코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1008B2 (ja) 複層ガラス窓の防火構造
KR101217257B1 (ko)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구조 및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를 위한 외장재 시공방법
US8042316B2 (en) Fireproof door
JP5296448B2 (ja) 鉄骨柱の耐火被覆構造
KR20200018164A (ko) 방화문
KR100672955B1 (ko) 내화 성능이 우수한 샌드위치 패널용 연결부재
KR20230081381A (ko) 벽체 시스템
KR101967956B1 (ko)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
KR102089940B1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 구조
KR101910505B1 (ko) 건축물 외벽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재와 이를 이용한 화재 확산 방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16913B1 (ko) 진공단열재를 갖는 방화도어
KR102083790B1 (ko) 단열 및 방열 기능을 갖는 방화문
JP4547611B2 (ja) 耐火目地構造
KR102175742B1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내벽용 단열패널
JP7304751B2 (ja) 断熱パネルで構成された壁の耐火被覆構造
JP4846328B2 (ja) 遮炎機能を備えた建築用壁体および遮炎機能を備えた建築物、ならびに建築物の防火方法
KR20060136167A (ko) 방화문의 방화구조
JP5334560B2 (ja) 目地材
KR200387941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0601339B1 (ko) 내화성 샌드위치패널
KR100437375B1 (ko) 통기구조를 가지는 고층건축물 커튼월의 차단벽용 단열·내화 유니트패널
KR102369622B1 (ko)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
KR101494657B1 (ko) 불연(不燃)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9385A (ko) 하이브리드 단열재
KR102569527B1 (ko) 화재확산 차단 및 내진기능을 갖는 건물 내외벽 마감용 일체형 스페이싱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