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952B1 -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952B1
KR101562952B1 KR1020140007665A KR20140007665A KR101562952B1 KR 101562952 B1 KR101562952 B1 KR 101562952B1 KR 1020140007665 A KR1020140007665 A KR 1020140007665A KR 20140007665 A KR20140007665 A KR 20140007665A KR 101562952 B1 KR101562952 B1 KR 101562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upper member
diameter
vibration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871A (ko
Inventor
한희갑
이상준
문기영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9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판(1)이 부착되는 천장부재(2) 및 상기 천장부재(2)를 고정하는 캐링찬넬(3)을 포함하는 천청구조물에 사용되는 방진행거에 있어서, 일단은 천장면(4)에 형성된 결합부재(5)와 결합되며, 타단은 캐링찬넬(3) 내부에 수납된 방진부재(20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부재(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천장천장 방진행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A DAMPING HANGER FOR THE CEIL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CELLING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구조물에 사용되는 방진기능을 갖춘 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장판이나 그 부속설비를 천장에 고정시키는 행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진설계로 건물의 요동이나 지진시 완충성을 발휘하여 슬라브를 통해 전달되는 고체음을 차단하여 층간 소음 및 진동을 격감시키며, 천장에 고정된 설비들이 충격을 받거나, 이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그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는 공동주택과 같은 다층 건물의 층간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공동주택의 주거환경이 증대되면서 윗층과 아랫층 간의 소음문제가 사회적 해결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층간에 일정한 공간을 두어 소음과 진동을 방지하거나, 층간 공간에 방진재를 충전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려 왔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여 과제 해결에 기여하기 어려웠다.
또한, 층간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생활 환경의 불편의 문제 이외에도 종래의 천장구조물에 사용되는 행거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설비가 미비하여 소음이나 진동이 행거를 타고 그대로 전하여져 행거가 파지하고 있는 천장설비들이 요동하여 파손되거나 큰 소음이 발생하는 등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천장구조물은 약한 진동에도 행거를 타고 건물의 진동이 그대로 천장설비물에 전달되어 천장구조물에 대한 파손이 누적되는 경우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천장구조물의 시공방법의 측면에 있어서도, 종래의 톱니 형상의 걸림턱을 가지는 천장구조물용 행거는 톱니를 캐링찬넬의 외부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캐링찬넬 내부로 삽입한 후 90도를 비틀어서 고정하게 하는 방식으로 시공되어 왔다(도 1).
이러한 종래의 천장구조물의 시공방식은 캐링찬넬의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 정밀한 시공이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부재의 비틀림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작업 속도가 늦어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시공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천장구조물용 행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층에서 전달되어오는 고체 진동을 차단할 수 있는 방진기능을 포함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링찬넬에 수납되어 있는 방진부재에 행거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행거와 캐링찬넬의 결합이 가능한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캐링찬넬이 수평유지 등의 정밀한 천장 시공이 가능한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기간이 짧으며, 공사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천장판(1)이 부착되는 천장부재(2) 및 상기 천장부재(2)를 고정하는 캐링찬넬(3)을 포함하는 천청구조물에 사용되는 방진행거에 있어서, 일단은 천장면(4)에 형성된 결합부재(5)와 결합되며, 타단은 캐링찬넬(3) 내부에 수납된 방진부재(20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부재(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방진부재(200)에 삽입된 상기 상부부재(100)의 타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100)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부재(300)에 의해 고정되는 걸림돌기(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방진부재(200)의 하면에 덧대어진 금속 플레이트(310);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상부부재(100)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고정캡(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캡(320)은 상기 걸림돌기(110)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110)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직경(D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통과슬롯(321); 및 상기 통과슬롯(321)과 연결부(322)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걸림돌기(110)가 통과할 수 없도록, 상기 걸림돌기(110)를 제외하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직경(D2)보다 크고, 상기 걸림돌기(110)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직경(D1)보다는 작은 걸림슬롯(323);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322)의 직경은 상기 걸림돌기(110)를 제외하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직경(D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30)는, 상기 고정캡(320)의 일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고정캡 손잡이(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부재(200)가 상기 캐링찬넬(3)의 내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방진부재(200)의 형상은 상기 캐링찬넬(3)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10)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톱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플레이트(310)는 상기 방진부재(200)의 하면보다 작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부재(200)에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구멍(210)이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플레이트(310)에는 상기 삽입구멍(210)을 관통한 상기 상부부재(100)의 타단이 통과되는 중앙슬롯(311)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슬롯(311) 내측에 상기 삽입구멍(210)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캡(320)이 접촉되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310)의 양단은 중심부를 향하여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천장면(4)에 형성된 결합부재(5)에 상부부재(100)의 일단을 결합하는 제1 단계(S100); 캐링찬넬(3)의 내부에 방진부재(200)를 삽입하는 제2 단계(S200); 상기 상부부재(100)의 타단을 상기 캐링찬넬(3), 상기 방진부재(200) 및 상기 방진부재(200) 하면에 덧대어진 금속 플레이트(310)에 관통시키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상부부재(100)의 타단에 고정캡(320)을 결합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4 단계(S400)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10)를 상기 고정캡(320)에 형성된 통과슬롯(321)에 통과시키는 걸림돌기 통과 단계; 및 상기 걸림돌기 통과 단계 이후에, 상기 걸림돌기(110)를 상기 통과슬롯(321)과 연결부(322)를 통해 연결된 걸림슬롯(323)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걸림돌기 이동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통과슬롯(321)의 직경은 상기 걸림돌기(110)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직경(D1)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걸림슬롯(323)의 직경은 상기 걸림돌기(110)를 제외하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직경(D2)보다 크고, 상기 걸림돌기(110)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직경(D1)보다는 작으며, 상기 연결부(322)의 직경은 상기 걸림돌기(110)를 제외하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직경(D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 통과 단계 이전에, 상기 고정캡(320)의 일단을 하향 절곡하여 고정캡 손잡이(330)를 형성하는 고정캡 손잡이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단계(S400) 이후에, 상기 캐링찬넬(3)에 천장판(1)이 부착되는 천장부재(2)를 결합시키는 제5 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층에서 전달되어오는 고체 진동을 최소화하여 층간 소음 발생을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3dB 이상 저감시킨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링찬넬에 수납되어 있는 방진부재에 행거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행거와 캐링찬넬의 결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구조물의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정밀하게 천장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공사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천장구조물용 행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부재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캡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캡 손잡이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는 기본적으로 천장판(1)이 부착되는 천장부재(2) 및 천장부재(2)를 고정하는 캐링찬넬(3)을 포함하는 천청구조물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천장면(4)에 형성된 결합부재(5)와 결합되며, 타단은 캐링찬넬(3) 내부에 수납된 방진부재(20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부재(100)를 포함한다(도 2, 도 3).
종래의 천장구조물용 행거는 캐링찬넬과의 결합을 위해서, 캐링찬넬에 행거를 삽입하고, 행거를 90도 방향으로 회전시켜 행거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의해 캐링찬넬이 지지되는 방식을 취하였으나(도 1), 이러한 종래의 시공방식은 시공의 정밀도가 저하되며, 시공 속도가 늦고, 시공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행거를 구성하는 상부부재(100)를 방진부재(200)에 삽입시켜 고정시키고, 방진부재(200)가 캐링찬넬(3)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간편성을 확보하고, 상부부재(10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방진부재(200)에 의해 저감하도록 함으로써 캐링찬넬(3)까지의 진동의 전달을 차단하여, 천장구조물의 방진 성능을 극대화한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구조물을 정밀하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방진기능이 구비된 천장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는 방진부재(200)에 삽입된 상부부재(100)의 타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도 3).
고정부재(300)에 의해 상부부재(100)의 타단이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자면 이하와 같다.
방진부재(200)에 삽입된 상부부재(100)의 타단은 방진부재(200)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다(도 3).
외부로 돌출된 방진부재(200)의 타단이 방진부재(200) 내부로 인입되지 않도록, 방진부재(200)의 타단에 고정부재(300)를 설치한다.
이 경우, 상부부재(100)의 타단에는 고정부재(300)에 의해 고정되는 걸림돌기(1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돌기(110)는 상부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톱니일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방진부재(200)의 하면에 덧대어진 금속 플레이트(310) 및 금속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한 상부부재(100)의 타단에 결합되며, 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고정캡(320)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방진부재(200)와 고정캡(320) 사이에 금속 플레이트(310)를 형성시킴으로서, 고정캡(320)이 제공하는 하중을 방진부재(200)에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방진행거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금속 플레이트(310)가 상부부재(100)와 접촉되는 경우, 진동의 전달 및 소음발생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금속 플레이트(310)는 방진부재(200)의 하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금속 플레이트(310)와 상부부재(100)가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캡(320)은 걸림돌기(110)가 통과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110)를 포함하는 상부부재(100)의 직경(D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통과슬롯(321) 및 통과슬롯(321)과 연결부(322)를 통해 연결되며 걸림돌기(110)가 통과할 수 없도록, 걸림돌기(110)를 제외하는 상부부재(100)의 직경(D2)보다 크고, 걸림돌기(110)를 포함하는 상부부재(100)의 직경(D1)보다는 작은 걸림슬롯(323)을 포함하되, 연결부(322)의 직경은 걸림돌기(110)를 제외하는 상부부재(100)의 직경(D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부재(100)를 통과슬롯(321)에 머무르도록 하여 고정캡(320)이 설치될 위치를 조정한 다음, 고정캡(320)이 설치될 위치가 정하여지면, 상부부재(100) 연결부(322)를 통해 걸림슬롯(323)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상부부재(100)의 타단이 고정캡(320)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취한다(도 6).
상부부재(100)에 형성된 걸림돌기(110)가 걸림슬롯(323)을 통과할 수 없도록 하여, 상부부재(100)가 걸림슬롯(323)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부부재(100)의 타단이 방진부재(200) 내부로 인입될 수 없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330)는, 고정캡(320)의 일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고정캡 손잡이(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캡(320)의 일단을 하향 절곡함으로써 고정캡 손잡이(330)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도 7).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고정캡(320)의 보관 및 이동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고정캡(320)의 설치시에는 고정캡(320)의 일단을 하향 절곡하여 고정캡 손잡이(330)를 형성시킴으로서, 상부부재(100)의 통과슬롯(321) 또는 걸림슬롯(323)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방진부재(200)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탄성을 가진 고무, 우레탄폼 등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진부재(200)에 상부부재(10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방진부재(200)에는 상부부재(100)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구멍(210)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도 5).
이 경우, 금속 플레이트(310)에는 삽입구멍(210)을 관통한 상부부재(100)의 타단이 통과될 수 있도록, 금속 플레이트(310)의 심부에 중앙슬롯(3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슬롯(311) 내측에 삽입구멍(210)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진부재(200)는 캐링찬넬(3)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데, 캐링찬넬(3)에 수납된 방진부재(200)가 캐링찬넬(3)의 내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방진부재(200)의 형상은 캐링찬넬(3)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의 고정캡(320)이 접촉되는 금속 플레이트(310)의 양단은 중심부를 향하여 함몰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도 5).
상부부재(100)의 타단에 고정캡(320)을 설치하는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작업 과정에서의 작업자의 금속 플레이트(310)에 대한 접촉으로 인한 방진부재(200)의 하면에 부착된 금속 플레이트(3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캡(320)이 접촉되는 금속 플레이트(310)의 양단이 중심부를 향하여 함몰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서, 작업 중의 작업자에 의한 금속 플레이트(310)의 접촉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자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은, 천장면(4)에 형성된 결합부재(5)에 상부부재(100)의 일단을 결합하는 제1 단계(S100), 캐링찬넬(3)의 내부에 방진부재(200)를 삽입하는 제2 단계(S200), 상부부재(100)의 타단을 캐링찬넬(3), 방진부재(200) 및 방진부재(200) 하면에 덧대어진 금속 플레이트(310)에 관통시키는 제3 단계(S300) 및 상부부재(100)의 타단에 고정캡(320)을 결합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단계(S400)는, 상부부재(100)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10)를 고정캡(320)에 형성된 통과슬롯(321)에 통과시키는 걸림돌기 통과 단계;및 걸림돌기 통과 단계 이후에, 걸림돌기(110)를 상기 통과슬롯(321)과 연결부(322)를 통해 연결된 걸림슬롯(323)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걸림돌기 이동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은, 걸림돌기 통과 단계 이전에, 고정캡(320)의 일단을 하향 절곡하여 고정캡 손잡이(330)를 형성하는 고정캡 손잡이 형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은, 캐링찬넬(3)에 천장판(1)이 부착되는 천장부재(2)를 결합시키는 제5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천장판
2 : 천장부재
3 : 캐링찬넬
4 : 천장면
5 : 결합부재
100 : 상부부재
200 : 방진부재
300 : 고정부재

Claims (16)

  1. 천장판(1)이 부착되는 천장부재(2) 및 상기 천장부재(2)를 고정하는 캐링찬넬(3)을 포함하는 천청구조물에 사용되는 방진행거에 있어서,
    일단은 천장면(4)에 형성된 결합부재(5)와 결합되며, 타단은 캐링찬넬(3) 내부에 수납된 방진부재(20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부재(100); 및
    상기 방진부재(200)에 삽입된 상기 상부부재(100)의 타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부재(100)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부재(300)에 의해 고정되는 걸림돌기(11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방진부재(200)의 하면에 덧대어진 금속 플레이트(310);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상부부재(100)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고정캡(32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320)은
    상기 걸림돌기(110)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110)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직경(D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통과슬롯(321); 및
    상기 통과슬롯(321)과 연결부(322)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걸림돌기(110)가 통과할 수 없도록, 상기 걸림돌기(110)를 제외하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직경(D2)보다 크고, 상기 걸림돌기(110)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직경(D1)보다는 작은 걸림슬롯(323);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322)의 직경은 상기 걸림돌기(110)를 제외하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직경(D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고정캡(320)의 일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고정캡 손잡이(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200)가 상기 캐링찬넬(3)의 내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방진부재(200)의 형상은 상기 캐링찬넬(3)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110)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톱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310)는 상기 방진부재(200)의 하면보다 작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10.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200)에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구멍(210)이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310)에는 상기 삽입구멍(210)을 관통한 상기 상부부재(100)의 타단이 통과되는 중앙슬롯(311)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슬롯(311) 내측에 상기 삽입구멍(210)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12.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320)이 접촉되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310)의 양단은 중심부를 향하여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13. 제1항의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장면(4)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재(5)에 상기 상부부재(100)의 일단을 결합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캐링찬넬(3)의 내부에 상기 방진부재(200)를 삽입하는 제2 단계(S200);
    상기 상부부재(100)의 타단을 상기 캐링찬넬(3), 상기 방진부재(200) 및 상기 방진부재(200) 하면에 덧대어진 상기 금속 플레이트(310)에 관통시키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상부부재(100)의 타단에 상기 고정캡(320)을 결합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S400)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110)를 상기 고정캡(320)에 형성된 상기 통과슬롯(321)에 통과시키는 걸림돌기 통과 단계; 및
    상기 걸림돌기 통과 단계 이후에, 상기 걸림돌기(110)를 상기 통과슬롯(321)과 상기 연결부(322)를 통해 연결된 상기 걸림슬롯(323)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걸림돌기 이동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통과슬롯(321)의 직경은 상기 걸림돌기(110)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직경(D1)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걸림슬롯(323)의 직경은 상기 걸림돌기(110)를 제외하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직경(D2)보다 크고, 상기 걸림돌기(110)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직경(D1)보다는 작으며,
    상기 연결부(322)의 직경은 상기 걸림돌기(110)를 제외하는 상기 상부부재(100)의 직경(D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 통과 단계 이전에,
    상기 고정캡(320)의 일단을 하향 절곡하여 고정캡 손잡이(330)를 형성하는 고정캡 손잡이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S400) 이후에,
    상기 캐링찬넬(3)에 천장판(1)이 부착되는 상기 천장부재(2)를 결합시키는 제5 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KR1020140007665A 2014-01-22 2014-01-22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KR101562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665A KR101562952B1 (ko) 2014-01-22 2014-01-22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665A KR101562952B1 (ko) 2014-01-22 2014-01-22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871A KR20150087871A (ko) 2015-07-31
KR101562952B1 true KR101562952B1 (ko) 2015-10-26

Family

ID=5387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665A KR101562952B1 (ko) 2014-01-22 2014-01-22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9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612B1 (ko) 2019-04-08 2020-08-11 주식회사 뉴비엠 천장구조물용 행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560Y1 (ko) * 2000-12-20 2001-06-15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 종현 방진용 천장구조물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560Y1 (ko) * 2000-12-20 2001-06-15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 종현 방진용 천장구조물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871A (ko) 201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880B1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시공방법
KR101973031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2412980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방진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1006837B1 (ko) 레벨링이 용이한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KR101527209B1 (ko) 건축용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KR101449672B1 (ko) 공동주택에서 바닥슬래브의 방음 및 방진구조
KR101562952B1 (ko)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KR101884013B1 (ko)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시설물
KR101964219B1 (ko) 수변전 설비용 내진장치
KR101562951B1 (ko)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KR20210061047A (ko) 충격 및 소음 방지 건식 바닥구조
KR20200076322A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방진패널 및 이를 이용하여 방진구조를 시공하는 방법
JP6610215B2 (ja) 家具システム、及び、配線ダクト
KR2015011117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CN211774716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噪音减少装置
KR101371374B1 (ko) 방진 기능을 갖는 팬 모터 고정장치
KR100985855B1 (ko) 집합건물용 케이블 배전박스의 설치 방법
KR101380710B1 (ko) 층간 소음방지용 구조물
KR100569838B1 (ko) 공동주택의 바닥 난방시스템
JP4908033B2 (ja) クリーンルームを備えた建物の構造
JP6395015B1 (ja) 断熱キャップ及び床構造
KR200404873Y1 (ko) 층간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CN211475452U (zh) 一种用于建筑电气设备的安装装置
KR20210014026A (ko) 시공이 용이한 내진구조를 갖는 마루틀 시스템
KR101417380B1 (ko) 이중 바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