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310B1 -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310B1
KR101561310B1 KR1020107006062A KR20107006062A KR101561310B1 KR 101561310 B1 KR101561310 B1 KR 101561310B1 KR 1020107006062 A KR1020107006062 A KR 1020107006062A KR 20107006062 A KR20107006062 A KR 20107006062A KR 101561310 B1 KR101561310 B1 KR 101561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eee
standard
vehicle
wla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4148A (ko
Inventor
울리히 슈텔린
슈테판 뤼케
마르크 멘첼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filed Critical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ublication of KR20100074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안전 정보 및 다른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비-안전-관련 정보 양자를 포함하는, IEEE802.11 표준 WLAN 에 기초한 차량-대-차량 통신에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1)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 장치 (1) 에는 WLAN 칩세트 (3) 를 갖는 송신 및/또는 수신 디바이스 (2) 가 구비된다. 단일의 하드웨어를 갖는 차량-대-차량 통신을 달성하기 위해서,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제 1 모드와 다른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제 2 모드 간에 제어 명령에 의해 WLAN 칩세트 (3) 가 전환될 수 있고, 장치 (1) 는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WLAN 칩세트 (3) 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디바이스 (5) 을 갖는다.

Description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보를 특히 IEEE802.11 표준 WLAN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에 기초한 차량-대-차량 (vehicle-to-vehicle) 통신에서 안전 정보 (safety information) 를 송신하기 위한, 즉 수신 및/또는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대-차량 통신은, 예를 들어, 위험 상황의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차량 내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일 차량으로부터 다른 차량으로 안전 정보를 송신하는데 점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실험은, 각각의 수신 범위 내의 차량이 포함되는 이러한 애드-혹 (ad-hoc)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데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무선 네트워크 엔지니어링이 기본적으로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적합한 차량-대-차량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IEEE802.11p 표준은 미래의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 에 부합되어 왔고, 이 표준은, 물리 계층 및 데이터 링크 계층 - 즉, 데이터 송신의 기술적 구현을 위한 OSI 기준 모델로서 알려진 것의 최하위 2 개의 계층에 관련된 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시스템으로 알려진 것에 대한 기초를 형성한다. 이 표준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채널들이 이용되고 이로부터 하나의 채널이 제어 채널로서 이용된다. 이 제어 채널은 차량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는, 차량 내에 존재하는 모든 네트워크 노드들이 이 제어 채널을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채널에 대한 송신 요청이 제어 채널 상의 각각의 목적지 노드와 최초에 통신된다.
무선 네트워크 (WLAN) 의 송신 방법은 보통 동기화되지 않기 때문에, 즉 시스템 내에 포함된 송신 및 수신 디바이스가 공통의 시간 베이스를 갖지 않기 때문에, 분리된 주파수 범위가 통상의 정보 (이어서 인포테인먼트 (infotainment) 로도 지칭됨) 및 안전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인포테인먼트에 대해 IEEE802.11a/b/g/n 표준에 기초한 WLAN 및 안전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WLAN 을 위한 안전 정보를 위해 제공된다.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WLAN 를 위한 다른 옵션은 복수의 인접한 채널들이 각종 태스크들 (파일롯 채널, 서비스 채널) 에 이용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이한 주파수의 이용은 상이한 하드웨어의 이용을 필요로 한다. 통상적으로, 채널 당 하나의 수신기가 필요하다. 이는, 활동의 양 영역 (안전 애플리케이션 및 인포테인먼트) 을 모두 커버할 수 있기 위해서 차량이 2 개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 정보 및 인포테인먼트의 송신을 위해 단일의 (single piece) 하드웨어를 이용하는 방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 1, 4 및 5 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송신되는,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안전 정보 및 다른 IEEE802.11 표준, 특히 IEEE802.11a, b, g 및/또는 n 표준에 기초한 비-안전-관련 정보 양자를 포함하는, IEEE802.11 표준 WLAN 에 기초한 차량-대-차량 통신에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장치는, 정보를 송신, 즉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기 위해서 WLAN 칩세트를 갖는 송신 및/또는 수신 디바이스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 디바이스에 제공된 WLAN 칩세트는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제 1 송신 및/또는 수신 모드와 다른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제 2 송신 및/또는 수신 모드 간에 제어 명령에 의해 전환 (change over)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는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WLAN 칩세트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디바이스를 갖는다.
상이한 송신 모드로 설정될 수 있는 이러한 칩세트는 기본적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 예시의 방식으로, 아테로스 (Atheros) 사는 이미 이러한 칩을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이들 설정 가능한 칩은 상이한 주파수 범위, 예를 들어 2.4 GHz 및 5.8 GHz 에서, 그리고 이를 위해 적합한 모드, 예를 들어 2.4 GHz 에 대해서는 IEEE802.11b/g 에서, 그리고, 5.8 GHz 에 대해서는 IEEE802.11a 에서 이용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변형은 이들 칩세트가 5.9 GHz 에서 IEEE802.11p 표준에 대해 이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가까운 장래에, 명목상 5.8 GHz 에서 IEEE802.11p 표준 용으로 또한 설계되고, 다른 주파수 범위들로 전환될 수 있는 추가적인 WLAN 칩 세트가 기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디바이스는 특정 차량 상태에 기초하여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명령을 주도록 설정된다. 예시의 방식으로, 차량이 이동중일 때, 안전 정보의 송신을 허용하는 제 1 모드가 선택된다. 그 후 차량이 정지상태일 때, 비-안전-관련 정보, 특히 인포테인먼트 정보로 알려진 비-안전-관련 정보를 송신할 수 있기 위해서 WLAN 칩세트의 제 2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량이 정지상태일 때, 즉 도로 교통 (road traffic) 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때, 운전자를 혼란시키지 않고 비-안전-관련 정보를 송신되도록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한편, 여정 동안, 이러한 정보는 운전자의 주의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도록 송신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관련 정보 및 인포테인먼트 정보를 상이한 시간에 송신할 수 있기 위해서 상이한 송신 및 수신 모드들 간에 전환될 수 있는 단일의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것이 특히 알맞다. 그러면, 상이한 송신 모드들 간의 전환이 차량의 상태 (이동 모드, 휴식 시간 등) 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차량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제어 디바이스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도 있다. 특히, 적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모든 수동 및 능동 안전 시스템의 통신 및 사고 가능성의 평가를 통해 사고를 방지하고 또는 사고의 영향을 줄이는데 이용되는, ESP 와 같은 보조 시스템, 운전자 보조 시스템 또는 APIA (Active Passive Integration Approach) 이다. 이 시스템은 WO 2004/08522 A1 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IEEE802.11 표준 WLAN 에 기초한 차량-대-차량 통신에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WLAN 칩세트의 이용으로 확장되고, 이 WLAN 칩세트는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제 1 송신 및/또는 수신 모드와 다른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송신 및/또는 수신 모드 간에 제어 명령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이 통신은, 송신되는,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안전 정보 및 다른 IEEE802.11 표준, 특히 IEEE802.11a, b, g 및/또는 n 표준에 기초한 비-안전-관련 정보 (인포테인먼트) 양자를 포함한다. 이 이용은, 상이한 주파수 상에서 발생하는 차량-대-차량 통신을 위해 2 개의 상이한 WLAN 칩 세트의 제공을 회피한다.
유사하게, 본 발명은 또한, 송신되는,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안전 정보 및 다른 IEEE802.11 표준, 특히 전술된 표준들에 기초한 비-안전-관련 정보 양자를 포함하는 IEEE802.11 표준 WLAN 에 기초한 차량-대-차량 통신에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송신이 단일의 송신 및 수신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발명은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제 1 송신 및/또는 수신 모드와 다른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제 2 송신 및/또는 수신 모드 간에 WLAN 칩세트를 전환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상태에 기초하여 WLAN 칩세트의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 경우, WLAN 칩세트는 미리규정된 규칙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특히, 이를 위해 차량이 이동중일 때 이루어질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제 1 모드로의 전환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환을 위한 제어 명령을 부여하는 제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차량이 이동중인지, 차량 엔진이 구동중인지 등의 여부를 확립하기 위해 차량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정규의 이동 모드에서의 이 차량의 이용 동안, 인포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이 전송될 수 없다. 차량이 도로 교통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추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상태에서만, 다른 IEEE802.11 표준이 선택되고 인포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의 수신이 허용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제 1 모드와 다른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제 2 모드 간의 전환은 또한 미리규정된 시간 간격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안전 정보의 IEEE802.11p 송신이 가능한 특정한 시간 슬롯들 (슬롯들) 을 정의한다. 그러면, 나머지 시간 동안, 차량이 이동중인지 또는 아닌지 여부에 관계없이 인포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이 송신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송신의 조합은 또한, 예를 들어 차량이 정지상태이고 이동 모드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때에도 안전 정보를 규칙적으로 획득하기 위해서 차량 상태에 기초한 이전에 설명된 전환과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이점, 특징 및 애플리케이션 옵션이 또한 이하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이 문맥에서, 도면에서 설명 및/또는 도시된 모든 특징들은 청구범위 또는 그 안의 배후-참조들에서 그 개요를 독립적으로 포함하는, 그들 자신 또는 임의의 조합상에 본 발명의 주제를 형성한다.
도 1 은 상이한 WLAN IEEE802.11 표준에 기초하여 정보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 는 상이한 송신 및 수신 모드 간에 전환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 은 상이한 송신 및 수신 모드의 시간-기반 전환을 나타낸다.
도 1 에 도시된,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WLAN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대-차량 통신에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1) 는 무선 통신 메시지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허용하는 WLAN 칩세트 (3) 를 포함하는 송신 및/또는 수신 디바이스 (2) 를 갖는다. 이를 위해, WLAN 칩세트 (3) 는 적합한 안테나 (4) 에 접속된다.
WLAN 칩세트 (3) 및 안테나 (4) 는 차량-대-차량 통신에서 무선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설정된다.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안전 정보 및 다른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인포테인먼트 정보로서 알려진) 비-안전-관련 정보 양자를 송신, 즉 수신 및/또는 전송할 수 있기 위해서, WLAN 칩세트 (3) 는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제 1 송신 및 수신 모드와 다른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제 2 송신 및 수신 모드 간에 전환될 수 있다. 다른 모드는 특히 IEEE802.11a, b, g 및/또는 n 표준에 기초한 송신을 위해 제공한다.
WLAN 칩세트 (3) 는 제어 명령에 의해 전환되고, 이 제어 명령은 제어 디바이스 (5) 에 의해 생성되고, 미리 규정된 룰에 기초하여, 또는 가능하게는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촉구될 때에도 생성될 수 있다.
차량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줄 수 있기 위해서, 제어 디바이스 (5) 에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형태이고, 예를 들어 차량이 이동중인지 또는 도로 교통에 포함되는지 또는 현재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갖는 차량 제어 시스템 (7) 에 대한 인터페이스 (6) 가 구비된다. 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디바이스 (5) 는 그 후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제 1 모드와 다른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제 2 모드 간에 WLAN 칩세트 (3) 를 전환하고, 제 1 모드는 차량이 이동중이거나 능동적으로 도로 교통에 포함되어 있을 때 선택되고, 제 2 모드는 차량이 주차되어 있거나 도로 교통에 능동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을 때 선택된다. 제 1 모드에서 안전 정보가 송신되고, 제 2 모드에서 비-안전 관련 인포테인먼트 정보가 송신된다.
도 2 는 간단한 흐름도에서 제안된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제 1 단계에서, 제어 디바이스 (5) 는 차량 상태를 확인한다. 차량이 이동중이고 도로 교통에 포함되는 경우, WLAN 칩세트를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제 1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또는 이 제 1 모드가 이미 착수되어 있는 경우 WLAN 칩세트를 이 모드로 유지한다.
반면, 차량이 정지상태이고 도로 교통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WLAN 칩세트 (3) 를 다른 IEEE802.11 표준, 특히 a, b, g 또는 n 표준으로 스위칭하는 제어 명령이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상태의 변화가 빠르게 확립될 수 있고 WLAN 칩세트 (3) 가 적절하게 스위칭될 수 있도록, 차량 상태는 미리규정 가능한 시간 간격으로 체크된다.
도 3 은 WLAN 칩세트 (3) 의 상이한 WLAN 모드들 간의 전환을 위한 대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 WLAN 칩세트 (3) 가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제 1 모드에서 안전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되고, IEEE802.11a, b, g 또는 n 표준에 기초한 제 2 모드에서 인포테인먼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도록, WLAN 칩세트 (3) 의 모드는 미리규정된 시간 간격 후에 전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의 칩세트가 상이한 주파수 상에서 WLAN 무선 송신을 구현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허용하고, 이는, 안전 정보 및 인포테인먼트 정보 양자가 송신될 필요가 있을 때에도 단지 단일의 하드웨어가 차량-대-차량 통신에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2 송신 및 수신 디바이스
3 WLAN 칩세트
4 안테나
5 제어 디바이스
6 인터페이스
7 차량 제어 시스템

Claims (8)

  1. WLAN 칩세트 (3) 를 갖는 송신 및/또는 수신 디바이스 (2) 를 가지며, 송신되는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안전 정보 (safety information) 및 다른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비-안전-관련 정보 양자를 포함하는, IEEE802.11 표준 WLAN 에 기초한 차량-대-차량 통신에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WLAN 칩세트 (3) 는 상기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제 1 모드와 다른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제 2 모드 간에 제어 명령에 의해 전환될 수 있고,
    상기 장치 (1) 는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WLAN 칩세트 (3) 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디바이스 (5)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대-차량 통신에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 (5) 는 차량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상기 제어 명령을 부여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대-차량 통신에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 (5) 는 차량 제어 시스템 (7) 에 대한 인터페이스 (6)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대-차량 통신에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4.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안전 정보 (safety information) 및 다른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비-안전-관련 정보 양자가 송신되는, IEEE802.11 표준 WLAN 에 기초한 차량-대-차량 통신에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제 1 모드와 다른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제 2 모드 간에 제어 명령에 의해 전환될 수 있는, WLAN 칩세트 (3) 를 사용하는 방법.
  5. 송신되는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안전 정보 (safety information) 및 다른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비-안전-관련 정보 양자를 포함하는, IEEE802.11 표준 WLAN 에 기초한 차량-대-차량 통신에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WLAN 칩세트 (3) 가 상기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제 1 모드와 다른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제 2 모드 간에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대-차량 통신에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WLAN 칩세트 (3) 의 모드는 차량 상태에 기초하여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대-차량 통신에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상기 제 1 모드로의 전환은 차량이 이동중일 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대-차량 통신에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EEE802.11p 표준에 기초한 상기 제 1 모드와 다른 IEEE802.11 표준에 기초한 상기 제 2 모드 간의 전환은 미리규정된 시간 간격 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대-차량 통신에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KR1020107006062A 2007-08-29 2008-08-15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561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40991.7 2007-08-29
DE102007040991 2007-08-29
DE102007040974 2007-08-29
DE102007040974.7 2007-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148A KR20100074148A (ko) 2010-07-01
KR101561310B1 true KR101561310B1 (ko) 2015-10-16

Family

ID=40256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062A KR101561310B1 (ko) 2007-08-29 2008-08-15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51786B2 (ko)
EP (1) EP2186379B1 (ko)
JP (1) JP5389807B2 (ko)
KR (1) KR101561310B1 (ko)
CN (1) CN101822119B (ko)
AT (1) ATE511739T1 (ko)
DE (1) DE102008037880A1 (ko)
WO (1) WO20090272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4643B2 (en) * 2009-09-02 2014-08-12 Nec Europe Ltd. Method for enabling multi-channel signal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995327B2 (en) * 2009-12-02 2015-03-31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Broadcasting messages in multi-channel vehicular networks
DK2574092T3 (da) * 2011-09-21 2014-02-10 Kapsch Trafficcom Ag Trådløst radiofyr og fremgangsmåde til selektiv kommunikation i henhold til 5,8 ghz og 5,9 ghz dsrc-standarder
JP5674992B2 (ja) * 2012-02-24 2015-02-25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通信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2647194B (zh) * 2012-04-01 2014-07-09 东南大学 基于虚拟仪器的802.11p发射机及发射方法
KR101466763B1 (ko) * 2012-12-27 2014-12-0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내 컴퓨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통신 수행방법
EP2995016B1 (en) * 2013-05-09 2018-06-13 Intel Corporation Detection of 802.11p signals in 802.11n/ac enabled devices
DE102013220525A1 (de) * 2013-10-11 2015-04-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ooperative Datenhaltung in Kommunikationsnetzwerken der C2C-Kommunikation
DE102014200226A1 (de) * 2014-01-09 2015-07-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Zentrale Kommunikationseinheit eines Kraftfahrzeuges
TWI647920B (zh) * 2014-01-23 2019-01-11 美國麻省理工學院 適用於行動通訊之積體電路及相關行動運算裝置
JP2015220668A (ja) * 2014-05-20 2015-12-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載通信装置
DE102014224718A1 (de) * 2014-12-03 2016-06-0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Abrufen einer Information von einem Server durch ein Fahrzeug-zu-X-Kommunikationsmodul, Fahrzeug-zu-X-Kommunikationsmodul und Speichermedium
WO2016143422A1 (ja) * 2015-03-10 2016-09-15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出力装置、情報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292705B1 (de) * 2015-05-05 2020-07-0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bindung von steuergeräten und der v2x einheit über wlan oder bluetooth, v2x einheit mit update speicher
CN105897820A (zh) * 2015-10-23 2016-08-24 乐卡汽车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装置、无线路由器和车联网系统
DE102016007004B3 (de) 2016-06-09 2017-10-12 Daim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atenübertragung
FR3060923B1 (fr) * 2016-12-16 2019-08-0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ommunication sans fil pour vehicule automobile.
FR3074625A1 (fr) * 2017-12-06 2019-06-07 Safran Electronics & Defense Procede de diffusion de paquets de donnees dans un reseau de noeuds mobiles
DE102018126916A1 (de) 2018-10-29 2020-04-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torrads in einer Kolonne sowie ein Motorrad hierzu
US10869276B1 (en) * 2019-08-05 2020-12-15 T-Mobile Usa, Inc. Idle vehicle communication based on available energy re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0703B2 (en) 2002-01-23 2005-11-29 Motorola, Inc. Integrated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DE10232190A1 (de) 2002-07-16 2004-02-05 Austriamicrosystem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elements mit tiefliegenden Anschlußflächen
JP2004080420A (ja) * 2002-08-19 2004-03-11 Denso Corp 車載無線端末
JP4300071B2 (ja) * 2002-10-23 2009-07-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モード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高周波集積回路
CN100373820C (zh) * 2003-10-08 2008-03-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道路-车辆通信系统以及用于其中的路边设备和移动设备
US7712670B2 (en) 2005-09-28 2010-05-11 Sauerwein Jr James T Data collection device and network having radio signal responsive mode switching
EP1788749B1 (en) * 2005-11-18 2011-03-23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to-vehicle multi-hop broadcast communication
US8094631B2 (en) * 2005-12-09 2012-01-10 Marvell World Trade Ltd. Coexistenc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devices
KR100746875B1 (ko) * 2006-01-13 2007-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US20080046175A1 (en) * 2006-07-31 2008-02-21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Vehicle navigation system
EP2133849A4 (en) 2007-02-14 2013-02-20 Mitsubishi Electric Corp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US9042338B2 (en) * 2007-07-09 2015-05-26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8457123B2 (en) 2007-12-06 2013-06-0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Use of the WLAN standard for C2C communication by adding new packet types
DE102008009330B4 (de) 2007-12-11 2023-08-10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Übertragung von Fahrzeug-relevanten Daten eines Fahrzeugs über mobile Kommunik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37603A (ja) 2010-12-02
US20110164594A1 (en) 2011-07-07
JP5389807B2 (ja) 2014-01-15
EP2186379B1 (de) 2011-06-01
US8451786B2 (en) 2013-05-28
DE102008037880A1 (de) 2009-03-05
CN101822119A (zh) 2010-09-01
ATE511739T1 (de) 2011-06-15
KR20100074148A (ko) 2010-07-01
WO2009027251A1 (de) 2009-03-05
EP2186379A1 (de) 2010-05-19
CN101822119B (zh)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310B1 (ko)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Festag Standards für Fahrzeugkommunikation–von IEEE 802.11 p zu 5G
US10440668B1 (en) Vehicle platooning management and power control with LTE/5G V2X communications
EP33166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ehicles in a vehicle network
Wu et al. Vehicular communications using DSRC: Challenges, enhancements, and evolution
JP5245522B2 (ja) 無線リソース割当装置、無線リソース割当システムおよび無線リソース割当方法
CN111670584A (zh) 车辆对车辆通信系统
EP2906001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ulti bearer network communication
US20060194540A1 (en) Self organizing multi-channel management
WO2011111282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機、通信方法
CN105491667A (zh) 一种vdc资源请求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03220814A (zh) 一种避免资源碰撞的方法及设备
JP200726716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移動体無線通信装置
JP6629397B2 (ja) 移動無線局の動作方法、移動無線局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468321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中継サーバ
KR101964175B1 (ko) 차량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차량통신 서비스 제공 단말
EP2083605B1 (en) Mode-switching apparatus in an i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20210051454A1 (en) V2x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20140185574A1 (en) Method for enabling radioelectric coexistence between two pmr devices of which one is a narrowband type and the other is a broadband type
JP2023503346A (ja) セル再配置方法、ネットワーク制御ノードとモバイルiabノード
EP3619927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 traffic offload
EP3079403B1 (en) Handling a handover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ocated on-board a moving vehicle
KR100989493B1 (ko) 다층적 wlan에서의 무선 백홀 방법
CN108476469B (zh) 数据传输方法和装置
CN116250286A (zh) 车辆用无线通信装置、通信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