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875B1 -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875B1
KR100746875B1 KR1020060004094A KR20060004094A KR100746875B1 KR 100746875 B1 KR100746875 B1 KR 100746875B1 KR 1020060004094 A KR1020060004094 A KR 1020060004094A KR 20060004094 A KR20060004094 A KR 20060004094A KR 100746875 B1 KR100746875 B1 KR 100746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terminal
service area
mobile communication
wif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5619A (ko
Inventor
심정섭
조병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4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875B1/ko
Priority to EP06025650.0A priority patent/EP1809056B1/en
Priority to CN2006101717981A priority patent/CN101001426B/zh
Priority to US11/648,994 priority patent/US9237603B2/en
Publication of KR20070075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와이파이(WiFi) 서비스가 제공되는 특정 지역, 건물의 소정 영역 또는 입/출구측에 무선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라 칭함) 태그(tag) 및/또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하는 RFID 시스템을 설치하고, 와이파이(WiFi)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 상기 RFID 시스템과 연동하는 단말측 RFID 리더기 및/또는 단말측 RFID 태그를 탑재한 후 상기 RFID 시스템과 단말측 RFID 리더기 및/또는 단말측 RFID 태그의 연동작용에 의해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RFID 시스템과 단말측 RFID 리더기 및/또는 단말측 RFID 태그의 연동작용에 의해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인식하고, 그 인식결과에 의해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탑재된 와이파이(WiFi) 모듈을 깨우거나(Wake up)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듀얼모드 단말기의 전원 낭비를 줄이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
RFID, 듀얼모드, 단말기, 동작모드, 전환

Description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OPERATION MODE IN DUAL MOD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 동작모드 전환 장치에 대한 시스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 동작모드 전환 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 동작모드 전환 장치에 대한 시스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 동작모드 전환 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 동작모드 전환 장치에 대한 시스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 동작모드 전환 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 동작모드 전환 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 동작모드 전환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
본 발명은 듀얼모드 단말기 동작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특정 지역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컨대, 와이파이(WiFi) 서비스 등)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파이(WiFi)'는 '무선-랜'의 별칭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하이파이오디오와 같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로 지어진 이름이다. '무선-랜'은 무선접속장치(Access Point, AP)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무선 단말기(예컨대,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노트북 컴퓨터 등)들에게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무선-랜'은 초기에는 전파 도달거리가 10m에 불과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50m ~ 수백m까지 전파 도달거리가 대폭 확장되고 있다. 또한 '무선-랜'의 전송속도는 4 ~ 11Mbps로서 무선-랜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멀티미디어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상기 '무선-랜'은 학교, 공항, 호텔 등 특정 건물 내에 위치한 가입자들에게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이용된다.
이와 같이 무선-랜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파이(WiFi) 단말기와 이동통신단말기가 복합된 형태의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즉, 와이파이(WiFi)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이하, '듀얼모드 단말기'라 칭함)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를 위한 와이파이(WiFi) 모듈과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모듈(예컨대, CDMA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와이파이(WiFi) 서비스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이동통신 서비스 모드로 동작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거나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을 벗어날 경우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수동으로 전환해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이 복수의 동작모드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경우 특정 서비스 영역에서 다른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동작모드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각 동작모드에 관련된 모든 장치에 전원을 인가해야 하므로 전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와 같이 와이파이(WiFi) 서비스와 이동통신서비스를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모듈과 와이파이(WiFi) 모듈을 모두 온(on) 상태로 유지할 경우 전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별로 필요한 장치에만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듀얼모드 단말기의 전원 낭비를 줄이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치 및 방법이 적용된 듀얼모드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및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 시,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 설치된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수신하는 알림신호 수신과정과; 상기 알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활성화하고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동작모드 전환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알림신호 수신과정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림신호 수신과정은 상기 외부장치로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전송하는 무선인식태그 전송과정과;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장치에서 출력된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동작모드 변경신호 수신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인식태그는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의 온/오프 정보, 상기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인지하는 리더기(RFID reader)의 존재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는 무선인식태그(RFID Tag) 또는 단문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문 메시지 포맷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는 적어도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및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 설치된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수신하는 무선인식태그 수신과정과;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동작모드 전환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무선인식태그는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또는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모드 전환과정은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활성화하고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상기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이동통신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및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 설치된 외부장치로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전송하는 무선인식태그 전송과정과; 상기 무선인식태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자치에서 출력된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동작모드 변경신호 수신과정과;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동작모드 전환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는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의 온/오프 정보 및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는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의 온/오프 정보와,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인지하는 리더기(RFID reader)의 존재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 수신과정은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내 시스템으로부터 무선인식태그(RFID Tag) 포맷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또는 이동통신용 기지국을 통해 단문 메시지 포맷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작모드 전환과정은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가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을 알리는 값인 경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활성화하고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가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알리는 값인 경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비활성화하고 이동통신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단말기의 와이파이(WiFi)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및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모듈을 동작시키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인식태그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무선인식태그 리더기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가 무선인식태그 리더기(RFID reader)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로 무선인식태그 포맷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가 무선인식태그 리더기(RFID reader)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해 단문메시지 포맷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무선인식태그는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의 온/오프 정보, 상기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상기 무선인식태그 리더기의 존재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및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서비스 영역에 따라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출력하는 무선인식태그부와; 상기 단말기에 탑재되어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에 따라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동작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동작모드 제어부는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인식하는 리더기와;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에 따라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온/오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인식태그는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또는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가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활성화하여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비활성화하여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이동통신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및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서비스 영역에 따라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수신하는 리더기와;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에 따라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출력하는 동작모드 변경신호 출력부와;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탑재되어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에 따라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동작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는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의 온/오프 정보, 상기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인지하는 리더기(RFID reader)의 존재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 출력부는 상기 무선인식태그로부터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상기 리더기의 포함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상기 리더기가 포함된 경우 무선인식태그 포맷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상기 리더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단문 메시지 포맷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작모드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인식하는 리더기와;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이동통신부와;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에 따라 와이파이(WiFi) 모듈을 온/오프하여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는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또는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작모드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가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활성화하여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상기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가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비활성하여 이동통신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듀얼모드 단말기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동작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및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동작하는 이동통신 모듈;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 설치된 외부장치로부터 무선인식태그를 수신하는 리더기;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동작시키면서 상기 무선인식태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듀얼모드 단말기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동작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및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동작하고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태그를 출력하는 무선인식태그부;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리더기; 및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동작시키면서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더기는 무선인식태그 형태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함이 바 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단문메시지 형태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는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의 온/오프 정보, 상기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리더기(RFID reader)의 존재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은 와이파이(WiFi) 서비스가 제공되는 특정 지역, 건물의 소정 영역 또는 입/출구측에 무선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라 칭함) 태그(tag) 및/또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하는 RFID 시스템을 설치하고, 와이파이(WiFi)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 상기 RFID 시스템과 연동하는 단말측 RFID 리더기 및/또는 단말측 RFID 태그를 탑재한 후 상기 RFID 시스템과 단말측 RFID 리더기 및/또는 단말측 RFID 태그의 연동작용에 의해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RFID 시스템과 단말측 RFID 리더기 및/또는 단말측 RFID 태그의 연동작용에 의해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인식하고, 그 인식결과에 의해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탑재된 와이파이(WiFi) 모듈을 깨우거나(Wake up)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듀얼모 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와이파이(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는 와이파이(WiFi) 모듈과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과 이동통신 모듈은 각각 와이파이(WiFi) 모뎀과 이동통신모뎀(예컨대, CDMA 모뎀, 이하 'CDMA 모뎀'이라 칭함)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 때 첨부한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 동작모드 전환 장치에 대한 시스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와이파이(WiFi)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의 동작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작모드 전환 장치는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의 동작모드 제어를 위한 RFID 태그(Tag)를 발생시켜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로 전달하는 RFID 시스템(100)을 포함한다.
RFID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및 RFID 태그부(120)를 포함한다.
RFID 태그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의 동작모드 제어를 위한 RFID 태그(Tag)를 생성하고 그 RFID 태그(Tag)를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로 전달한다. 특히 RFID 태그부(120)는 상 기 RFID 태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가 인접하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에게 그 RFID 태그를 자동으로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RFID 태그부(120)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의 입/출구측 게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입/출구측 게이트를 통과하는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해 구동되어 기 저장된 RFID 태그를 읽어 와서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에게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는 WiFi 서비스를 위한 WiFi 모듈(210),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CDMA 모듈(220), RFID 시스템(100)으로부터 RFID 태그를 읽어오는 리더기(230) 및 리더기(230)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WiFi 모듈(210) 및 CDMA 모듈(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리더기(230)는 인접한 RFID 태그부(120)로부터 RFID 태그를 읽어온다. 이를 위해 리더기(230)는 자체적으로 고주파(Radio Frequency, RF)를 발생시키고 RFID 태그부(120)가 소정거리(예컨대, 1.8m) 이내에 인접할 경우 RFID 태그부(120)와 교신을 수행함으로써 RFID 태그부(120)로부터 RFID 태그를 읽어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리더기(230)는 상기 RFID 태그를 제어부(240)로 전달한다. 이 때 리더기(230)는 상기 RFID 태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40)는 리더기(230)로부터 RFID 태그가 전달되는 지의 여부에 의거하여 WiFi 모듈(21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과에 의거하여 WiFi 모듈(2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리더기(230)로부터 RFID 태그가 전달되면 WiFi 모듈(21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여, WiFi 모듈(210)이 동작 중이라면 WiFi 모듈(210)을 오프시키고, WiFi 모듈(210)이 오프 상태라면 WiFi 모듈(210)을 기동시킨다. 통상적으로 RFID 태그는 해당 지역에서 서비스 가능한 통신서비스에 대한 플래그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240)로 전달된 RFID 태그에는 상기 플래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RFID 태그에는 해당 지역이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상기 RFID의 태그의 내용은 중요하지 않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RFID 태그는 특정 지역으로의 출입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서의 의미만 가진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RFID 태그의 내용을 판독하지 않고 리더기(230)를 통해 RFID 태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만을 감시한 후 그 결과에 의거하여 WiFi 모듈(210)의 동작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어부(240)는 RFID 태그의 수신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플래그를 설정하고, RFID 태그의 수신에 따라 그 플래그의 값을 토글시키면서 WiFi 모듈(21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도이다. 즉,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동작모드 전환 장치를 이용하여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의 동작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를 예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는 WiFi 모듈(210)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값(예컨대, WiFi Flag)을 초기화한다(S105). 예를 들어 'WiFi Flag'를 '0'으로 설정한다. 이 때 WiFi Flag의 초기값은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의 WiFi 모듈(210)이 동작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WiFi Flag의 초기값은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가 WiFi 서비스 영역이 아닌 곳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가 WiFi 서비스 영역의 입/출구측 게이트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입/출구측 게이트에 설치된 RFID 시스템(100)으로부터 RFID 태그가 전달되면(S110)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는 내장된 리더기를 이용하여 RFID 태그를 수신한다(S115). 이 때 상기 RFID 태그에는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에서 참고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상기 RFID의 태그의 내용은 중요하지 않다. 이는 도 1을 참조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따라서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는 RFID 태그의 내용을 판독하지 않고 현재 WiFi 플래그(Flag)의 값을 확인한 후(S120) 그 결과에 따라 WiFi 모듈(210)을 기동 또는 오프 시킨다.
즉, 상기 과정(S115)에서 RFID 태그를 수신한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는 현재 WiFi 플래그(Flag) 값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20) WiFi 플래그(Flag)가 '0'이면 WiFi 플래그(Flag)를 '1'로 변경한 후(S125) WiFi 모듈(210)을 기동시킨다(S130). 이는 현재 WiFi 플래그(Flag)값이 '0'인 상태에서 RFID 태그를 수신하였다는 것은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가 WiFi 서비스 영역이 아닌 곳에서 WiFi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함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판단(S120) 결과 현재 WiFi 플래그(Flag)가 '0'이 아니면 WiFi 플래그(Flag)를 '0'으로 변경한 후(S135) WiFi 모듈(210)을 오프시킨다(S140). 이는 현재 WiFi 플래그(Flag)값이 '1'인 상태에서 RFID 태그를 수신하였다는 것은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가 WiFi 서비스 영역을 벗어남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는 리더기(230)를 통해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 설치된 RFID 태그부(120)로부터 RFID 태그를 읽어온다. 그리고 그에 응답하여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또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인지하고 그 동작모드를 WiFi 동작모드 또는 이동통신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이 때,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가 이동통신 동작모드에서 WiFi 동작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CDMA 모듈(220)은 전원 오프될 수도 있고,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즉,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00)의 WiFi 모듈(210)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만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지만, CDMA 모듈(220)이동통신 모듈은 모든 서비스 영역에서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CDMA 모듈(220)의 경우 모든 서비스 영역에서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디폴트로 설정하고, 사용자 설정에 따라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CDMA 모듈(220)의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장치에 대한 시스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와이파이(WiFi)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의 동작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동작모드 전환 장치는 WiFi/이 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로부터 전달된 RFID 태그(Tag)에 응답하여 WiFi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RFID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RFID 시스템(300)은 제어부(310) 및 리더기(330)를 포함한다.
리더기(330)는 인접한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로부터 RFID 태그를 읽어온다. 이를 위해 리더기(330)는 자체적으로 고주파(Radio Frequency, RF)를 발생시키고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가 소정거리(예컨대, 1.8m) 이내에 인접할 경우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특히, RFID 태그부(450))와 교신을 수행함으로써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의 RFID 태그부(450)로부터 RFID 태그를 읽어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더기(330)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의 입/출구측 게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입/출구측 게이트를 통과하는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의 RFID 태그부(450)로부터 RFID 태그를 읽어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RFID 태그를 읽어온 리더기(330)는 그 RFID 태그를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이 때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로부터 읽어온 RFID 태그는 WiFi 모듈(410)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예컨대, WiFi Flag)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제어부(310)는 리더기(330)로부터 전달된 RFID 태그(Tag)에 응답하여 WiFi 제어신호를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에게 전달한다. 이 때 제어부(310)는 상기 WiFi 제어신호를 RFID 태그 형태로 생성하여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어부(310)는 리더기(330)로부터 WiFi 모듈(410)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예컨대, WiFi Flag)를 포함하는 RFID 태그를 전달받고 그 정보를 참고하여 WiFi 모듈(4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리더기(330)로부터 전달된 RFID를 분석한 후 WiFi Flag가 '0'이면 WiFi 모듈(410)의 현재상태가 오프라고 판단하여 WiFi 모듈(410)을 기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WiFi Flag가 '1'이면 WiFi 모듈(410)의 현재상태가 동작 중이라고 판단하여 WiFi 모듈(410)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이 때 제어부(310)는 WiFi 모듈(410)을 기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WiFi Flag를 '1'로 설정한 후 그 WiFi Flag를 포함하는 RFID 태그를 생성하고, WiFi 모듈(410)을 오프시키고자 하는 경우 WiFi Flag를 '0'으로 설정한 후 그 WiFi Flag를 포함하는 RFID 태그를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는 WiFi 서비스를 위한 WiFi 모듈(410),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CDMA 모듈(420), RFID 시스템(300)으로부터 RFID 태그를 읽어오는 리더기(430), 리더기(430)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WiFi 모듈(410) 및 CDMA 모듈(4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40) 및 제어부(440)의 제어에 의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의 동작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를 RFID 시스템(300)으로 전달하는 RFID 태그부(450)를 포함한다.
RFID 태그부(450)는 WiFi 모듈(410)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RFID 태그(Tag)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RFID 시스템(300)(특히, 리더기(330))에 인접하면 RFID 시스템(300)(특히, 리더기(330))에게 그 RFID 태그를 자동으로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RFID 태그는 WiFi 모듈(410)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예컨대, WiFi Flag)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WiFi 모듈(410)이 오프 상 태인 경우 WiFi Flag는 '0'이고, WiFi 모듈(410)이 동작 중이라면 WiFi Flag는 '1'이므로 RFID 태그는 상기 값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리더기(430)는 인접한 RFID 시스템(300)(특히, 제어부(310))으로부터 RFID 태그 형태의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리더기(430)는 자체적으로 고주파(Radio Frequency, RF)를 발생시키고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가 RFID 시스템(300)에 인접할 경우 RFID 시스템(300)(특히, 제어부(310))과 교신을 수행함으로써 RFID 시스템(300)(특히, 제어부(310))으로부터 RFID 태그를 읽어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RFID 태그는 WiFi 모듈(4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예컨대, WiFi Flag)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는 리더기(430)는 RFID 시스템(300)이 자체적으로 전송하는 RFID 태그 형태의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리더기(430)는 상기 RFID 태그를 제어부(440)로 전달한다. 이 때 리더기(430)는 상기 RFID 태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440)는 리더기(430)로부터 WiFi 모듈(4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하는 RFID 태그를 전달받고 그 정보를 참조하여 WiFi 모듈(4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440)는 리더기(430)로부터 전달된 RFID 태그를 분석하여 RFID 태그에 포함된 WiFi Flag 값을 확인하고 그 값에 의거하여 WiFi 모듈(410)을 기동 또는 오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WiFi Flag가 '1'이라면 제어부(440)는 WiFi 모듈(410)을 기동시키고, WiFi Flag가 '0'이라면 제어부(440)는 WiFi 모듈(410)을 오프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 법에 대한 처리 절차도이다. 즉,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동작모드 전환 장치를 이용하여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의 동작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를 예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는 WiFi 모듈(410)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RFID 태그(Tag)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가 WiFi 서비스 영역의 입/출구측 게이트를 통과함으로써 입/출구측 게이트에 구비된 RFID 시스템(300)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RFID 태그를 RFID 시스템(300)에게 전달한다(S305). 이 때 RFID 태그는 WiFi 모듈(410)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예컨대, WiFi Flag)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WiFi 모듈(410)이 오프 상태인 경우 WiFi Flag는 '0'이고, WiFi 모듈(410)이 동작 중이라면 WiFi Flag는 '1'이므로 RFID 태그는 상기 값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RFID 시스템(300)은 그 RFID 태그를 분석하여(S310) WiFi 모듈(410)의 동작 상태를 파악한다. 즉 상기 RFID 태그에 포함된 WiFi Flag 값이 '0'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15). 그리고 상기 확인(S315) 결과 WiFi Flag가 '0'이면 WiFi 모듈(410)의 현재상태가 오프라고 판단하여 WiFi 모듈(410)을 기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WiFi Flag가 '1'이면 WiFi 모듈(410)의 현재상태가 동작 중이라고 판단하여 WiFi 모듈(410)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RFID 시스템(300)은 WiFi Flag가 '0'인 경우 WiFi 모듈(410)을 기동시키기 위해 WiFi Flag를 '1'로 설정하고(S320), WiFi Flag가 '0'이 아닌 경우 WiFi 모듈(410)을 오프시키기 위해 WiFi Flag를 '0'으로 설정한다(S325). 그리고 그 WiFi Flag를 포함하는 RFID 태그 형태의 제어신호(피드백 신호)를 생성한다(S330).
그리고 그 RFID 태그 형태의 제어신호를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로 전달한다(S335).
그러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는 리더기(430)를 통해 상기 RFID 태그를 수신한 후(S340) 그 RFID 태그를 분석하여(S345) RFID 태그에 포함된 WiFi Flag 값을 확인한다(S350). 이는 상기 RFID 태그 값에 포함된 WiFi Flag 값에 의거하여 WiFi 모듈(410)을 기동 또는 오프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확인(S350) 결과 WiFi Flag가 '1'이라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는 WiFi 모듈(410)을 기동시키고(S355), WiFi Flag가 '0'이라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는 WiFi 모듈(410)을 오프시킨다(S36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RFID 시스템(300)은 리더기(330)를 통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의 RFID 태그를 읽어와서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의 동작모드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동작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RFID 태그 형태의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그러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는 리더기(430)를 통해 상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또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인지한다. 그리고 그 동작모드를 WiFi 동작모드 또는 이동통신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이 때,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가 이동통신 동작모드에서 WiFi 동작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CDMA 모듈(420)은 전원 오프될 수도 있고,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즉,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400)의 WiFi 모듈(410)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만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지만, CDMA 모듈(420)이동통신 모듈은 모든 서비스 영역에서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CDMA 모듈(420)의 경우 모든 서비스 영역에서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디폴트로 설정하고, 사용자 설정에 따라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CDMA 모듈(420)의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장치에 대한 시스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와이파이(WiFi)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의 동작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동작모드 전환 장치는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로부터 전달된 RFID 태그(Tag)에 응답하여 WiFi 모듈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RFID 시스템(500)을 포함한다. 이 때 RFID 시스템(500)은 상기 WiFi 모듈 제어신호를 기지국(700)을 통해 전달한다.
이를 위해 RFID 시스템(500)은 제어부(510) 및 리더기(530)를 포함하며, 상기 WiFi 모듈 제어신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리더기(530)는 인접한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로부터 RFID 태그를 읽어온다. 이를 위해 리더기(530)는 자체적으로 고주파(Radio Frequency, RF)를 발생시키고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가 소정거리(예컨대, 1.8m) 이내에 인접할 경우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특히, RFID 태그부(650))와 교신을 수행함으로써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의 RFID 태그부(650)로부터 RFID 태그를 읽어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더기(530)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의 입/출구측 게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입/출구측 게이트를 통과하는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의 RFID 태그부(650)로부터 RFID 태그를 읽어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RFID 태그를 읽어온 리더기(530)는 그 RFID 태그를 제어부(510)로 전달한다. 이 때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로부터 읽어온 RFID 태그는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에 내장된 WiFi 모듈(610)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예컨대, WiFi Flag)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제어부(510)는 리더기(530)로부터 전달된 RFID 태그(Tag)에 응답하여 WiFi 모듈 제어신호를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에게 전달한다. 이 때 제어부(510)는 상기 WiFi 모듈 제어신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생성한 후 기지국(700)을 통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에게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어부(510)는 리더기(530)로부터 WiFi 모듈(610)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예컨대, WiFi Flag)를 포함하는 RFID 태그를 전달받고 그 정보를 참고하여 WiFi 모듈(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510)는 리더기(530)로부터 전달된 RFID를 분석한 후 WiFi Flag가 '0'이면 WiFi 모듈(610)의 현재상태가 오프라고 판단하여 WiFi 모듈(610)을 기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WiFi Flag가 '1'이면 WiFi 모듈(610)의 현재상태가 동작 중이라고 판단하여 WiFi 모듈(610)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한 다. 이 때 제어부(510)는 WiFi 모듈(610)을 기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WiFi Flag를 '1'로 설정한 후 그 WiFi Flag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WiFi 모듈(610)을 오프시키고자 하는 경우 WiFi Flag를 '0'으로 설정한 후 그 WiFi Flag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단문 메시지를 기지국(700)으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리더기(530)는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로부터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RFID 태그를 수신하고, 제어부(510)는 그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기지국(700)에게 WiFi Flag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단문 메시지는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텍스트(text) 형태가 아니라 기지국(700)과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간에 상호 규정된 소정 시스템 코드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단문 메시지는 그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가 그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코드를 적용하여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의 동작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는 WiFi 서비스를 위한 WiFi 모듈(610), 기지국(700)으로부터 WiFi Flag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WiFi Flag에 의해 WiFi 모듈(6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CDMA 모듈(620), CDMA 모듈(620)으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WiFi 모듈(6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40) 및 제어부(640)의 제어에 의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의 동작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를 RFID 시스템(500)으로 전달하는 RFID 태그부(650)를 포함한다.
RFID 태그부(650)는 WiFi 모듈(610)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RFID 태그(Tag)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RFID 시스템(500)(특히, 리더기(530))에 인접하면 RFID 시스템(500)(특히, 리더기(530))에게 그 RFID 태그를 자동으로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RFID 태그는 WiFi 모듈(610)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예컨대, WiFi Flag) 및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WiFi 모듈(610)이 오프 상태인 경우 WiFi Flag는 '0'이고, WiFi 모듈(610)이 동작 중이라면 WiFi Flag는 '1'이므로 RFID 태그는 상기 값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CDMA 모듈(620)은 기지국(700)으로부터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단문 메시지를 제어부(640)로 전달한다.
제어부(640)는 CDMA 모듈(620)으로부터 문자메시지를 전달받고 그 문자메시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결과 상기 문자메시지가 WiFi 모듈(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그 정보를 참조하여 WiFi 모듈(6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640)는 상기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WiFi Flag 값을 확인하고 그 값에 의거하여 WiFi 모듈(610)을 기동 또는 오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WiFi Flag가 '1'이라면 제어부(640)는 WiFi 모듈(610)을 기동시키고, WiFi Flag가 '0'이라면 제어부(640)는 WiFi 모듈(610)을 오프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는 WiFi 모듈(610)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RFID 태그(Tag)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가 WiFi 서비스 영역의 입/출구측 게이트를 통과함으로써 입/출구측 게이트에 구비된 RFID 시스템(500)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RFID 태그를 RFID 시스템(500)에게 전달한다(S505). 이 때 RFID 태그는 WiFi 모듈(610)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예컨대, WiFi Flag) 및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WiFi 모듈(610)이 오프 상태인 경우 WiFi Flag는 '0'이고, WiFi 모듈(610)이 동작 중이라면 WiFi Flag는 '1'이므로 RFID 태그는 상기 값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RFID 시스템(500)은 그 RFID 태그를 분석하여(S510) WiFi 모듈(610)의 동작 상태를 파악한다. 즉 상기 RFID 태그에 포함된 WiFi Flag 값이 '0'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15). 그리고 상기 확인(S515) 결과 WiFi Flag가 '0'이면 WiFi 모듈(610)의 현재상태가 오프라고 판단하여 WiFi 모듈(610)을 기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WiFi Flag가 '1'이면 WiFi 모듈(610)의 현재상태가 동작 중이라고 판단하여 WiFi 모듈(610)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RFID 시스템(500)은 WiFi Flag가 '0'인 경우 WiFi 모듈(610)을 기동시키기 위해 WiFi Flag를 '1'로 설정하고(S520), WiFi Flag가 '0'이 아닌 경우 WiFi 모듈(610)을 오프시키기 위해 WiFi Flag를 '0'으로 설정한다(S525). 그리고 그 WiFi Flag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S530).
그리고 기지국(700)을 통해 그 단문 메시지를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로 전달한다(S535, S540).
그러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는 CDMA 모듈(620)을 통해 상기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후(S545) 그 단문 메시지를 분석하여(S550) 그 단문 메시지가 제어 명령인지를 확인한 후(S555)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WiFi Flag 값을 확인한다(S560). 이는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WiFi Flag값에 의거하여 WiFi 모듈(610)을 기동 또는 오프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확인(S560) 결과 WiFi Flag가 '1'이라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는 WiFi 모듈(610)을 기동시키고(S565), WiFi Flag가 '0'이라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는 WiFi 모듈(610)을 오프시킨다(S570).
한편 상기 확인(S555) 결과 CDMA 모듈(620)에서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제어 명령이 아닌 경우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는 문자메시지의 수신을 알린다(S575). 예를 들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의 디스플레이부에 문자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문자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RFID 시스템(500)은 리더기(530)를 통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의 RFID 태그를 읽어와서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의 동작모드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동작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형태의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기지국(700)을 통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로 전송한다. 그러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는 CDMA 모듈(620)을 통해 상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또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인지한다. 그리고 그 동작모드를 WiFi 동작모드 또는 이동통신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이 때,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가 이동통신 동작모드에서 WiFi 동작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CDMA 모듈(620)은 전원 오프될 수도 있고,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즉,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의 WiFi 모듈(610)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만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지만, CDMA 모듈(620)이동통신 모듈은 모든 서비스 영역에서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CDMA 모듈(620)의 경우 모든 서비스 영역에서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디폴트로 설정하고, 사용자 설정에 따라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CDMA 모듈(620)의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를 혼합한 형태로서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RFID 태그 정보에 의거하여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의 WiFi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형태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가 리더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RFID 태그 형태로 전송하고,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가 리더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신 호를 단문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는 WiFi 모듈(610)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RFID 태그(Tag)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가 WiFi 서비스 영역의 입/출구측 게이트를 통과함으로써 입/출구측 게이트에 구비된 RFID 시스템(500)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RFID 태그를 RFID 시스템(500)에게 전달한다(S705). 이 때 RFID 태그는 WiFi 모듈(610)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예컨대, WiFi Flag),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의 전화번호 및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에 리더기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WiFi 모듈(610)이 오프 상태인 경우 WiFi Flag는 '0'이고, WiFi 모듈(610)이 동작 중이라면 WiFi Flag는 '1'이므로 RFID 태그는 상기 값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더기의 존재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RFID 태그에 reader Flag를 더 포함하고, 리더기가 존재하는 경우 reader Flag를 '1'로 설정하고, 리더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reader Flag를 '0'으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RFID 시스템(500)은 그 RFID 태그를 분석하여(S710) WiFi 모듈(610)의 동작 상태를 파악한다. 즉 상기 RFID 태그에 포함된 WiFi Flag 값이 '0'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715). 그리고 상기 확인(S715) 결과 WiFi Flag가 '0'이면 WiFi 모듈(610)의 현재상태가 오프라고 판단하여 WiFi 모듈(610)을 기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WiFi Flag가 '1'이면 WiFi 모듈(610)의 현재상태가 동작 중이라고 판단하여 WiFi 모듈(610)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RFID 시스템(500)은 WiFi Flag가 '0'인 경우 WiFi 모듈(610)을 기동시키기 위해 WiFi Flag를 '1'로 설정하고(S720), WiFi Flag가 '0'이 아닌 경우 WiFi 모듈(610)을 오프시키기 위해 WiFi Flag를 '0'으로 설정한다(S725).
또한 RFID 시스템(500)은 상기 RFID 태그의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에 리더기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30). 예를 들어 RFID 시스템(500)은 reader Flag의 값을 확인하여 reader Flag가 '1'이면 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reader Flag가 '0'이면 리더기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판단(S730) 결과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에 리더기를 포함하는 경우 RFID 시스템(500)은 상기 WiFi Flag를 포함하는 RFID 태그를 생성한 후(S735)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에게 상기 RFID 태그를 전달한다(S740).
한편 상기 판단(S730) 결과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에 리더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RFID 시스템(500)은 상기 WiFi Flag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 후(S745) 기지국(700)을 통해 상기 단문 메시지를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에게 전달한다(S750, S755).
그러면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는 RFID 시스템(500)으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RFID 태그 또는 단문 메시지)에 의거하여 WiFi 모듈(61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도 7의 예에서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의 처리 과정은 생략하였다. 이는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600) 가 RFID 시스템으로부터 RFID 태그를 수신한 경우 도 4의 S340 내지 S360의 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가 RFID 시스템으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도 6의 S545 내지 S575의 처리 과정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서 RFID 시스템과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 사이에 송/수신되는 RFID 태그 정보의 구성 예를 도시하고, 도 8b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 예에서 RFID 시스템과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 사이에 송/수신되는 단문 메시지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RFID 태그(10)는 RFID 태그 정보(11)와 WiFi Flag(13)를 포함한다. 이 때 RFID 태그 정보(11)는 RFID 태그 표준에서 정의한 기본 영역으로서 RFID 태그 표준에서 정의한 소정길이(예컨대, 64, 96, 128 비트 등)의 RFID 정보를 저장하고, WiFi Flag(13)는 RFID 태그 표준에서 정의한 사용자 영역으로서 사용자 영역은 그 길이가 별도로 정해지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WiFi 모듈의 동작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1bit의 영역에 '0' 또는 '1'값을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단문 메시지(20)는 RFID 시스템 ID(21),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3), 제어명령 표시 플래그(25) 및 메시지내용(27)을 포함한다. 이 때 RFID 시스템 ID(21)는 단문 메시지(20)의 발신측 식별정보인 RFID 시스템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23)는 단문 메시지(20)의 수신측 식별정보인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명령 표시 플래그(25)는 단문 메시지(20)가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기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메시지 내용(27)은 WiFi 모듈의 동작 상태, 즉, WiFi Flag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가 리더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자동 변환하기 위해 WiFi Flag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RFID 시스템에서 WiFi 모듈을 제어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상기 WiFi 모듈 제어 방법은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다른 메시지 또는 채널 정보(예컨대, 파일럿 채널, 페이징 정보 전달 메시지 등)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RFID 시스템은 WiFi 서비스 영역의 입/출구측 게이트에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RFID 시스템을 상기 입/출구측 게이트에 설치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RFID 시스템은 WiFi 서비스 영역의 특정 위치에 설치하고 WiFi 모드로의 자동 전환을 위해 사용자가 그 위치를 지나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 말기의 경우에 WiFi 모드와 이동통신 모드를 자동 전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WiFi 모드와 이동통신 모드 간의 자동 전환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서 서비스되는 다른 동작모드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RFID 시스템 및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가 RFID 태그부 또는 리더기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경우에 대한 예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RFID 시스템 및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가 RFID 태그부 또는 리더기 중 어느 하나만을 가지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RFID 시스템 및 WiFi/이동통신 듀얼모드 단말기가 RFID 태그부 및 리더기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함으로써 듀얼모드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별로 필요한 장치에만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듀얼모드 단말기의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모듈의 경우 WiFi 서비스 영역에서만 동작하므로 WiFi 서비스 영역에서만 기동되도록 자동 제어함으로써 WiFi 서비스 모드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Claims (42)

  1.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및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 시,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 설치된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수신하는 알림신호 수신과정과;
    상기 알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활성화하고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동작모드 전환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신호 수신과정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신호 수신과정은
    상기 외부장치로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전송하는 무선인식태그 전송과정과;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장치에서 출력된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동작모드 변경신호 수신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태그는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의 온/오프 정보, 상기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인지하는 리더기(RFID reader)의 존재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는
    무선인식태그(RFID Tag) 또는 단문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포맷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는
    적어도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7. 삭제
  8.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및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 설치된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수신하는 무선인식태그 수신과정과;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동작모드 전환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태그는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또는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전환과정은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활성화하고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상기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이동통신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11. 삭제
  12.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및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 설치된 외부장치로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전송하는 무선인식태그 전송과정과;
    상기 무선인식태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장치에서 출력된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동작모드 변경신호 수신과정과;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동작모드 전환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는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의 온/오프 정보 및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는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의 온/오프 정보와,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인지하는 리더기(RFID reader)의 존재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 수신과정은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내 시스템으로부터 무선인식태그(RFID Tag) 포맷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또는 이동통신용 기지국을 통해 단문 메시지 포맷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전환과정은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가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을 알리는 값인 경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활성화하고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가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알리는 값인 경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비활성화하고 이동통신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17. 삭제
  18.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단말기의 와이파이(WiFi)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및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모듈을 동작시키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인식태그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무선인식태그 리더기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가 무선인식태그 리더기(RFID reader)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로 무선인식태그 포맷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가 무선인식태그 리더기(RFID reader)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해 단문메시지 포맷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태그는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의 온/오프 정보, 상기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상기 무선인식태그 리더기의 존재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20. 삭제
  21.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및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서비스 영역에 따라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출력하는 무선인식태그부와;
    상기 단말기에 탑재되어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에 따라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동작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제어부는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인식하는 리더기와;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에 따라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온/오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태그는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또는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가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활성화하여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가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비활성화하여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이동통신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
  25. 삭제
  26.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및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동작모드를 동작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서비스 영역에 따라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수신하는 리더기와;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에 따라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출력하는 동작모드 변경신호 출력부와;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탑재되어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에 따라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동작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는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의 온/오프 정보,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인지하는 리더기(RFID reader)의 존재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 출력부는
    상기 무선인식태그로부터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상기 리더기의 포함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상기 리더기가 포함된 경우 무선인식태그 포맷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상기 리더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단문 메시지 포맷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인식하는 리더기와;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에 따라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온/오프하여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이동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이동통신부와;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에 따라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온/오프하여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는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또는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가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활성화하여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상기 와이파이(WiFi)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가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을 비활성화하여 이동통신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장치.
  34. 삭제
  35. 동작모드가 변경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 있어서,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동작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및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동작하는 이동통신 모듈;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 설치된 외부장치로부터 무선인식태그를 수신하는 리더기;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동작시키면서 상기 무선인식태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
  37. 삭제
  38. 동작모드가 변경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 있어서,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동작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
    상기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 및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동작하고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태그를 출력하는 무선인식태그부;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하는 리더기; 및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동작시키면서 상기 동작모드 변경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무선인식태그 형태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단문메시지 형태의 동작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태그(RFID Tag)는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의 온/오프 정보,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리더기(RFID reader)의 존재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
  42. 삭제
KR1020060004094A 2006-01-13 2006-01-13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KR100746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094A KR100746875B1 (ko) 2006-01-13 2006-01-13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EP06025650.0A EP1809056B1 (en) 2006-01-13 2006-12-12 Dual mod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CN2006101717981A CN101001426B (zh) 2006-01-13 2006-12-29 用于改变双模终端的操作模式的装置及方法
US11/648,994 US9237603B2 (en) 2006-01-13 2007-01-03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operation mode of dual mod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094A KR100746875B1 (ko) 2006-01-13 2006-01-13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619A KR20070075619A (ko) 2007-07-24
KR100746875B1 true KR100746875B1 (ko) 2007-08-07

Family

ID=37909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094A KR100746875B1 (ko) 2006-01-13 2006-01-13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37603B2 (ko)
EP (1) EP1809056B1 (ko)
KR (1) KR100746875B1 (ko)
CN (1) CN10100142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2177A (ko) * 2010-09-28 2012-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컨텐트 송?수신 방법
US9323965B2 (en) 2012-09-19 2016-04-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hoosing RFID communication mode and RFID device which supports near-field and far-field commun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7984B2 (en) * 2003-06-13 2012-03-06 Varia Holdings Llc Emulate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S8670493B2 (en) 2005-06-22 2014-03-11 Eices Research, Inc. Systems and/or methods of increased privacy wireless communications
USRE47633E1 (en) 2005-06-22 2019-10-01 Odyssey Wireless Inc. Systems/methods of conducting a financial transaction using a smartphone
US20080090520A1 (en) * 2006-10-17 2008-04-17 Camp William O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mobility management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s
JP5033447B2 (ja) * 2007-03-08 2012-09-26 富士通株式会社 Rfidシステム及びrfidタグ
US7746827B2 (en) * 2007-03-30 2010-06-29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election of a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based upon signal to noise ratios
JP2008294610A (ja) 2007-05-23 2008-12-04 Sony Corp 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装置
WO2009027251A1 (de) * 2007-08-29 2009-03-0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informationen
KR101457480B1 (ko) * 2007-10-11 2014-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
JP4694586B2 (ja) * 2008-02-28 2011-06-0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8548001B2 (en) 2008-07-18 2013-10-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messages between host and controller
WO2010008248A2 (en) 2008-07-18 2010-01-21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messages between host and controller.
WO2010008251A2 (en) * 2008-07-18 2010-01-2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wer and method thereof
US9462411B2 (en) 2008-11-04 2016-10-04 Telcom Ventures, Llc Mobile device mode enablement responsive to a proximity criterion
US9204349B2 (en) 2009-02-10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 hand-in of user equipment to femto cells
US9642105B2 (en) 2009-11-17 2017-05-02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terminal-assisted time and/or frequency tracking
US9392562B2 (en) 2009-11-17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Idle access terminal-assisted time and/or frequency tracking
US8571600B2 (en) * 2010-02-26 2013-10-29 Cisco Technology, Inc.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wireless devices
US9271248B2 (en) 2010-03-02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iming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by a Femto access point
KR101721135B1 (ko) * 2010-07-07 2017-04-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능동적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 및 그의 동작방법,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방법, 엑세스 포인트 서버 및 그의 동작방법
US8068011B1 (en) 2010-08-27 2011-11-29 Q Street, LL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user-directed interfacing between handheld devices and RFID media
US9756553B2 (en) 2010-09-16 2017-09-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ssisted network acquisition and search updates
US8738094B2 (en) * 2010-12-09 2014-05-27 T-Mobile Usa, Inc. Automatically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1228785B1 (ko) * 2011-03-15 2013-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웨이크 업 기능을 갖는 무선 장치
WO2012177011A2 (en) * 2011-06-24 2012-12-27 Lg Innotek Co., Ltd. Wireless network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9449265B1 (en) 2011-08-02 2016-09-20 Impinj International Ltd. RFID tags with port-dependent functionality
CN102291493B (zh) 2011-08-25 2012-10-03 华为终端有限公司 移动终端的应用参数配置方法、相关装置以及系统
US8966004B2 (en) * 2011-09-29 2015-02-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ple virtual machines in a mobile virtualization platform
KR101503966B1 (ko) * 2011-10-28 2015-03-25 삼성전기주식회사 Rf 다이렉트 웨이크업 기능을 갖는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웨이크업 방법
CN103136891B (zh) * 2011-11-28 2015-07-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防盗侦测电路及应用该防盗侦测电路的包装箱
US9341700B2 (en) * 2012-02-07 2016-05-17 Centrak,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mode Wi-Fi based RTLS
WO2013162538A1 (en) * 2012-04-25 2013-10-31 Nokia Corporation Context aware networking for multimode devices
US9155057B2 (en) 2012-05-01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Femtocell synchronization enhancements using access probes from cooperating mobiles
CN103765978A (zh) * 2012-08-25 2014-04-30 华为终端有限公司 移动终端的应用参数配置方法、相关装置以及系统
US9237530B2 (en) 2012-11-09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listen with self interference cancellation
JP5335155B1 (ja) * 2013-02-04 2013-11-06 善郎 水野 温度計の管理システム
JP6222962B2 (ja) * 2013-03-29 2017-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像装置、放射線撮像方法、プログラム
WO2015186405A1 (ja) * 2014-06-02 2015-12-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83187B2 (ja) 2014-06-12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43406B2 (en) * 2014-12-18 2016-09-13 Checkpoint Systems, Inc. Dual mode security tags
CN115001539A (zh) * 2019-04-11 2022-09-02 奈克赛特公司 配置为利用采集的能量进行传输供能的无线装置
US11132595B1 (en) * 2020-06-03 2021-09-28 William P. Alberth, J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adio-frequency shielding inform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3464A1 (en) 1999-07-07 2001-01-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dge of coverage det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24091A (ko) * 2003-09-04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시스템과 동기시스템간의 핸드오버를 위한이동단말의 셀 탐색 방법 및 장치
KR20050049065A (ko) * 2003-11-21 2005-05-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더블유씨디엠에이에서씨디엠에이로의 핸드오버 방법
KR20060079885A (ko) * 2005-01-03 2006-07-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rfid 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904683L (sv) * 1999-12-17 2001-06-18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 och system för att etablera en radioförbindelse med kort räckvidd
US7565108B2 (en) 2002-03-26 2009-07-21 Nokia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discovery for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with reader device having transponder functionality
US6978118B2 (en) * 2003-02-20 2005-12-2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lementing an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with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to improve functionality
US7769392B2 (en) * 2003-09-23 2010-08-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forwarding wireless communications
US7706331B2 (en) * 2003-11-11 2010-04-27 Sky Teletech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a handover from a WCDMA system to a CDMA system in a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969579A (zh) * 2004-06-10 2007-05-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从rfid标签接收数据的移动终端及移动终端的控制策略确定方法
CA2574052A1 (en) * 2004-07-16 2006-02-23 Bridgeport Networks, Inc. Presence detection and handoff for cellular and internet protocol telephony
US7248167B2 (en) * 2005-03-02 2007-07-2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computer program products, mobile terminals, and web pages for providing direc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RFID enabled moveable objects
NO324406B1 (no) * 2005-06-20 2007-10-08 Telenor Asa SIM RFID-leser med WLAN-tilga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3464A1 (en) 1999-07-07 2001-01-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dge of coverage det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24091A (ko) * 2003-09-04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시스템과 동기시스템간의 핸드오버를 위한이동단말의 셀 탐색 방법 및 장치
KR20050049065A (ko) * 2003-11-21 2005-05-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더블유씨디엠에이에서씨디엠에이로의 핸드오버 방법
KR20060079885A (ko) * 2005-01-03 2006-07-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rfid 탐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2177A (ko) * 2010-09-28 2012-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컨텐트 송?수신 방법
US9323965B2 (en) 2012-09-19 2016-04-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hoosing RFID communication mode and RFID device which supports near-field and far-field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9056B1 (en) 2015-10-21
EP1809056A2 (en) 2007-07-18
US20070178935A1 (en) 2007-08-02
US9237603B2 (en) 2016-01-12
CN101001426B (zh) 2010-12-29
EP1809056A3 (en) 2011-07-27
CN101001426A (zh) 2007-07-18
KR20070075619A (ko) 200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875B1 (ko)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EP2080350B1 (en) Connectionless information transfer from advertising device
EP2996367B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starting mobile hotspot
EP27851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king up device
US20150169269A1 (en) Printer and printing system
US2010026006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nection setup method of wireless network
EP2292062B1 (en) Channel management via link parameter adjustment
US20160127883A1 (en) Power-efficient availability advertising and discovery
US11064437B2 (en) Power saving for wireless device
CN101305547A (zh) 用于关闭通信链接的方法
CN101601229B (zh) 在省电的同时在无线设备之间的同步
US20090234728A1 (en) Advertising introductory information including multiple profiles
JP2015180043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106184B1 (en) Power managing method applied to a wireles network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thereof
JP2012175516A (ja) 無線基地局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7087308A (ja)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制御方法
US20150156676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determining re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5304526B2 (ja) ウェイクアップ電波送信機能を有する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無線lan端末
KR10150685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기기 및 그 제어 방법
EP2262329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KR101457480B1 (ko)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
JP4991338B2 (ja) 無線lanシステム、無線lan端末、無線lanシステムの駆動方法及び無線lan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
KR20050051050A (ko) 무선 랜 사용 가능 지역을 알리는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WO2009063272A1 (en) Hid adaptation to attribute protocol
JP2005223793A (ja) 携帯無線端末の省電力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