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853B1 -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853B1
KR101506853B1 KR1020130056926A KR20130056926A KR101506853B1 KR 101506853 B1 KR101506853 B1 KR 101506853B1 KR 1020130056926 A KR1020130056926 A KR 1020130056926A KR 20130056926 A KR20130056926 A KR 20130056926A KR 101506853 B1 KR101506853 B1 KR 101506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ode
terminal
sta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9808A (ko
Inventor
이인성
서보섭
Original Assignee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9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활성(Active) 상태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서 동작하고, 휴지(Sleep) 상태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의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휴지 상태에서 수신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검색하는 과정 및 수신 가능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인식하여 휴지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기기 및 그 제어 방법{Wireless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us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실시예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서 기능하는 무선기기의 전원 및 각종 기능을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Wi-Fi Access Point; 이하 'AP'라고 약칭함)는 노트북, 휴대용 게임기, 스마트폰, 테블릿, 오디오 기기 등 와이파이 스테이션(Wi-Fi Station) 기능을 가진 무선 단말기(이하 'STA'라고 약칭함)가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중계 기능을 제공하며, 최근 모바일 이동성 지원 측면에서 유선 네트워크 외에도 3G, LTE, WiMAX, WiBro 등과 같은 광대역 통신 네트워크 기능을 가진 AP가 개발되고 있다.
AP는 STA에 상호 통신을 위해 AP의 존재 와 무선네트워크 식별자(SSID), 신호 세기(Signal Strength), 사용가능한 비트율(Bit-rate) 등의 지원능력 정보를 비콘(Beacon) 신호로써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 한다. STA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호환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를 찾는 과정, 즉 탐색을 통하여 SSID를 식별하고, 인증(Authentication)이 성공하면 AP와 결합(Association)하게 된다.
IEEE 802.11 표준에서는 STA가 비콘 신호를 통하여 AP와 시간을 동기화하며, 비콘 주기(Beacon Interval) 내에서 비콘 신호가 없는 기간 동안 휴지 상태로 동작하여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802.11 전원 절감 모드(Power Save Mode)"를 제공한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DTIM=1, 비콘 주기=100 ms인 경우에, 매 100 ms 주기마다 휴지(Sleep) 상태와 활성(Awake) 상태를 반복한다.
이에 반해, AP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고 STA의 비주기적인 접속을 인증하기 위하여 항상 전원을 ON 하여 무선 신호 수신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서 동작하는 무선기기를 AP 모드와 STA 모드 간의 전환을 이용하여 무선기기의 전원 및 각종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원격 제어 대상 객체인 제1단말기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부,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제어용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운용되는 메모리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관리부를 포함한다. 제1단말기는 네트워크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AP 모드로 동작하고, 네트워크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에는 STA 모드로 전환하여 802.11 STA 전원 절감 모드(Power Save mode)에 따라 전원을 절감하는 휴지 상태로 들어간다. STA 모드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찾아 (특정한) 무선 단말기가 인식되면, STA 모드에서 AP 모드로 전환하여 다시 네트워크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휴지 상태의 제1단말기로 하여금 특정한 제2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의 네트워크 식별자만을 선택적으로 인식하여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1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STA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제2단말기의 통신 모듈을 AP(HotSpot)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제1단말기의 STA 모드의 근거리 통신 모듈이 제2단말기의 HotSpot의 SSID를 인식하는 과정과 인식된 HotSpot SSID를 선택하여 통신모듈에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제2단말기의 네트워크 프로파일 등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단말기의 STA 모드는 Concurrent(AP + STA)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2단말기에 탑재되어, 제1단말기를 AP 모드에서 STA 전원 절감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제2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의 핫스팟(Hotspot) 기능을 활성화하여 STA 모드의 제1단말기를 깨울 수 있도록, 제2단말기의 통신 모듈을 STA에서 AP(HotSpot)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한 번의 조작으로 상기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STA 모드의 제1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GUI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무선기기를 직접 조작할 필요없이 원격으로 전원을 제어하여 대기 상태의 무선기기의 전원을 ON 시킴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IEEE 802.11 표준에 따른 Wi-Fi STA의 전원 절감 모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대상인 제1단말기(110)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AP 모드의 제1단말기(110)가 STA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AP 모드의 제1단말기(110)가 STA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TA 모드의 제1단말기(110)가 AP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개요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1단말기(110)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제1단말기(110)에 접속할 수 있는 제2단말기(120)를 포함한다.
제1단말기(110)는 원격 제어 대상 객체로서, 각종 모바일 기기(즉, Wi-Fi STA)가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AP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제1단말기(110)는 고정형 AP 장치 또는 이동형 AP 장치(즉, 모바일 라우터)일 수 있으며, 또한 AP 기능을 지원하는 각종 전자기기, 예컨대, 홈네트워크에서 AP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IPTV나 셋탑박스, 차량 내에서 AP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 시스템 등일 수 있다.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제2단말기(120)는 제1단말기(110)의 전원 및/또는 각종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객체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1단말기(110)와 접속할 수 있다. 제2단말기(120)가 제1단말기(110)에 접속하는 데에는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UWB(Ultra Wid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무선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제2단말기(120)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제2단말기(12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제1단말기(110)의 전원 또는 각종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2단말기(120)의 통신 모듈을 AP(Hotspot) 모드로 전환하여 핫스팟(Hotspot)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STA 모드의 제1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접속하여 제1단말기(110)의 각종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GUI를 제공한다.
제1단말기(110)는 AP로서 기능하다가, AP 기능이 일정 시간 이상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AP 모드에서 STA 모드로 그 설정이 전환된다. 즉, 제2단말기(120)에 의해 형성된 근거리 무선통신의 클라이언트 역할을 수행하도록 동작 모드가 전환된다. 예컨대, 제1단말기(110)가 모바일 무선 라우터이고 제2단말기(120)가 Soft-AP(Software enabled Access Point) 기능, 즉 핫스팟 기능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인 경우에는, 제1단말기(110)는 활성 모드에서 본래의 기능인 AP로서 동작하다가, 전원 절감 모드에서는 제2단말기(120)의 핫스팟에 대해 STA으로서 동작한다.
이하에서는 제2단말기(120)가 제1단말기(110)의 전원을 원격 제어하기 위해 Wi-Fi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제1단말기(110)의 구성 및 제1단말기(110)의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단말기(120)가 제1단말기(110)의 전원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방법으로써 Wi-Fi 외에도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이나 센서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대상인 제1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단말기(11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3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 제어부(350), 메모리부(340) 및 전원관리부(330)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310)는 제1단말기(110)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제2단말기(120)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AP 모드 또는 STA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Soft-AP(Software enabled Access Point) 기능을 지원한다. STA 모드의 무선 인터페이스부(310)는 주변의 수신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에 따른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비콘 신호를 제어부(350)에 전달하도록 기능한다. AP 모드의 무선 인터페이스부(310)는 각종 모바일 기기(STA)가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는 AP 모드의 제1단말기가 제2단말기에 네트워크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1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수단으로 기능한다.
전원관리부(330)는 제어부(350)의 명령에 따라, 제1단말기(110)를 활성 모드로 전환하거나, 전원 절감 모드로 전환한다.
제어부(350)는 제1단말기(110)를 활성 모드 또는 전원 절약 모드로 전환하도록 전원관리부(33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단말기(110)가 일정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는 경우 또는 네트워크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별도의 AP가 발견되는 경우, 전원 절감 모드로 진입시키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원관리부(330)에 전송하며, 제2단말기(12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단말기(110)를 활성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원관리부(330)에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350)는 Soft-AP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310)를 AP 모드 또는 STA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1단말기(110)의 AP 기능이 일정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인터페이스부(310)를 STA 모드로 전환시키며, STA 모드에서 제2단말기(12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제1단말기(110)를 AP 모드로 전환시킨다. STA 모드로 전환된 제1단말기(110)는 IEEE 802.11 규격에 규정된 STA 전원 절감 모드(STA Power Save Mode)로 동작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350)는 STA 모드의 무선 인터페이스부(310)로부터 전달받은 비콘신호에 포함된 SSID를 추출하여, 추출한 SSID가 메모리부(340)에 기 등록/저장된 SSID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무선 인터페이스부(320)를 AP 모드로 전환시킨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단말기(110)는 WiFi P2P 기술 규격에서 규정된 동시동작(Concurrent Operation)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활성 상태의 제1단말기(110)는 AP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STA로서도 동작할 수 있다.
메모리부(340)는 제2단말기(120)의 근거리 무선통신 예컨대 Wi-Fi SSID를 저장한다.
도 4는 AP 모드의 제1단말기(110)가 STA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단말기(110)는 AP 모드로 동작하다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AP 기능이 이용되지 않는 경우 STA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말기(110)는 STA와의 관계에서 마지막으로 AP 활동이 발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 STA과의 관계에서 AP 활동이 없는 경우란, 예컨대 제1단말기(110)에 결합된 STA이 없는 경우나 결합 시도가 없는 경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단말기(110)에 결합된 STA이 존재하더라도 STA로부터의 메시지 수신이나 STA로의 메시지 송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과정 S410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새로운 AP 활동이 발생한 경우(S420에서 '아니오'), 제1단말기(110)는 AP 모드를 유지한 채 새로운 AP 활동의 종료시점을 기점으로 다시 S410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에, 과정 S410에서 마지막 AP 활동이 있은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S420에서 '예'), 제1단말기(110)는 STA 모드로 전환한다.
도 5는 AP 모드의 제1단말기(110)가 STA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예를 들어, AP 모드의 제1단말기가 별도의 AP가 설치된 특정 장소(예컨대, 집, 회사 등)에 진입하여 제1단말기의 AP 기능(네트워크 중계 서비스)이 사용될 필요가 없어진 경우에 적합한 방법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단말기는 동시 동작(Concurrent Operation) 모드를 지원한다. 즉, 활성 상태의 제1단말기(110)는 AP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STA로서도 동작한다.
사전 과정으로서, 제1단말기(110)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별도의 AP의 Wi-Fi Hotspot Profile(이하 '제1 네트워크 프로파일'이라고 칭함)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S510).
활성 상태에서 동시 동작(Concurrent Operation) 모드로 동작하는 제1단말기(110)는 제2단말기(120)에 네트워트 중계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주기적으로 Wi-Fi SSID를 스캔한다(S520).
Wi-Fi SSID를 스캔한 결과, Wi-Fi SSID가 검색되지 않거나, 검색된 Wi-Fi SSID가 기 등록된 제1 네트워크 프로파일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S530의 '아니오'), 제1단말기(110)는 동시 동작 모드를 유지한 채 Wi-Fi SSID 검색을 계속한다.
만일 사전 과정에서 등록된 제1 네트워크 프로파일과 일치하는 Wi-Fi SSID가 검색되는 경우(S530의 '예'), 제1단말기(110)는 동시 동작 모드에서 STA 모드로 전환한다(S540). 다시 말해, 휴지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도 6은 STA 모드의 제1단말기(110)가 AP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전 과정으로서, 제1단말기(110)는 특정 단말기의 Wi-Fi Hotspot Profile(이하 '제2 네트워크 프로파일'이라고 칭함)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S610). 즉, 사전에 STA 모드의 제1단말기(110)에 특정 단말기의 Wi-Fi SSID를 등록 및 저장한다. 사전에 등록되는 Wi-Fi SSID는 복수 개일 수 있다.
STA 모드로 동작하는 제1단말기(110)는 주기적으로 Wi-Fi SSID를 스캔한다(S620).
Wi-Fi SSID를 스캔한 결과, Wi-Fi SSID가 검색되지 않거나, 검색된 Wi-Fi SSID가 사전 과정(S610)에서 기 등록된 제2 네트워크 프로파일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S630의 '아니오'), 제1단말기(110)는 STA 모드를 유지한 채 Wi-Fi SSID 검색을 계속한다.
만일 사전 과정(S610)에서 기등록된 제2 네트워크 프로파일과과 일치하는 Wi-Fi SSID가 검색되는 경우(S630의 '예'), 제1단말기(110)는 STA 모드에서 AP 모드로 전환한다(S640). 다시 말해, 본래의 기능인 Wi-Fi AP로서 동작하게 된다.
도 6에 예시된 방법은 STA 모드의 제1단말기(110)가 특정한 단말(예컨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의해서만 AP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실시예이다. 즉, 검색된 Wi-Fi SSID가 기 등록된 Wi-Fi SSID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제1단말기(110)가 AP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다른 Wi-Fi 신호에 의해 잘못 전환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제1단말기(110)가 개인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도 6에 예시된 방법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1단말기(110)가 모바일 무선 라우터(즉, Wi-Fi 에그)이고 제2단말기(120)가 스마트폰인 경우를 가정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무선 라우터에 대한 직접적인 조작 없이도, 무선 라우터 근방에서 스마트폰의 핫스팟 기능을 활성화하는 간이한 방법을 통해 모바일 무선 라우터를 AP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과 달리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전에 제2단말기(120)의 Hotspot Profile을 등록하는 과정(S610) 및 검색된 Wi-Fi SSID가 등록된 Hotspot Profile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630)이 생략될 수 있다. 즉, 휴지 상태에서 제1단말기(110)는 Wi-Fi STA으로서 기능하여 주기적으로 Wi-Fi SSID를 스캔한다. Wi-Fi SSID가 검색되는 경우에는 제1단말기(110)는 곧바로 활성 상태로 진입하며, 본래의 기능인 Wi-Fi AP로서 동작하게 된다. Wi-Fi SSID를 스캔한 결과 Wi-Fi SSID가 검색되지 않으면 휴지 상태를 유지한 채 Wi-Fi SSID 검색을 계속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사업자용 무선 라우터와 같이 일정 장소에서 불특정 다수에 의해 사용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이상의 Wi-Fi AP 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실시 형태로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일반 매장의 고정형 Wi-Fi AP의 경우, 어댑터 전원으로 작동하는 Wi-Fi AP라도 서비스 영역 내에 접속된 단말이 없는 경우에는 전원 절감 모드로 전환하여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단말이 검색되면 자동으로 즉시 깨어나서 AP 기능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로써, 서비스 지역 내에 단말이 없더라도 100 mW 이상의 대기 전력을 소모하는 기존의 Wi-Fi AP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모바일 Wi-Fi AP 중 예컨대, 전철이나 버스 등에 장착되어 차량 전원으로 작동하는 사업자용 Wi-Fi AP의 경우에는 운행시간 동안 AP로서 동작하며, 접속 단말이 없는 차고지 등에서는 자동으로 전원 절감 모드로 전환하여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더불어, 개인용으로 사용되는 모바일 Wi-Fi AP 라우터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핫스팟 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전원 절감 모드에 있는 라우터 자체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예컨대 가방 속에 넣어 둔 채로, 라우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의 각 과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1단말기 120: 제2단말기
310: 무선 인터페이스부 3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330: 전원관리부 340: 메모리
350: 제어부

Claims (15)

  1. 활성(Active) 상태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서 동작하고, 휴지(Sleep) 상태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의 클라이언트(STA)로서 동작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휴지 상태에서 수신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검색하는 과정; 및
    수신 가능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인식하여 휴지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는,
    IEEE 802.11 STA 전원 전약 모드(Power Save mode)로 동작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운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상태는,
    동시 동작(Concurrent Operation) 모드로 동작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활성 상태에서 수신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검색하는 과정; 및
    인식된 네트워크 식별자가 기 등록된 제1 네트워크 프로파일과 일치하는 경우에 활성 상태에서 휴지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운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프로파일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별도의 AP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운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활성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가 이용되지 않는 경우 휴지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운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은,
    인식된 네트워크 식별자가 기 등록된 제2 네트워크 프로파일과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운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프로파일는 모바일 단말기의 핫스팟(Hotspot) 프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운용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운용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모바일 무선 라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운용 방법.
  11. 활성(Active) 상태에서는 네트워크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서 동작하고, 휴지(Sleep) 상태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의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트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부; 및
    Soft-AP(Software enabled Access Point)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AP 모드 또는 STA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중계 서비스가 일정 시간 이상 사용되지 않는 경우 또는 네트워크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별도의 AP가 발견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STA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STA 모드의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가 수신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AP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STA 모드의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가 기 등록된 네트워크 프로파일과 일치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인식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AP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를 활성 상태 및 휴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원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130056926A 2013-02-04 2013-05-21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06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2601 2013-02-04
KR1020130012601 2013-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808A KR20140099808A (ko) 2014-08-13
KR101506853B1 true KR101506853B1 (ko) 2015-03-30

Family

ID=51745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926A KR101506853B1 (ko) 2013-02-04 2013-05-21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1634B (zh) * 2016-08-29 2019-03-22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遥控器连接处理方法及系统
KR101888092B1 (ko) * 2016-12-28 2018-08-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LoRa 통신을 이용한 비가시거리 통신지역에서의 사물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13709713A (zh) * 2021-08-30 2021-11-26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WiFi芯片的模式切换方法、装置及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2844A (ja) * 2005-05-24 2006-12-07 Fujitsu Ltd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
JP2010056955A (ja) 2008-08-28 2010-03-11 Sanyo Electric Co Ltd 無線装置
KR20100068680A (ko) * 2008-12-15 2010-06-24 주식회사 씨모텍 무선 모뎀과 무선 공유기를 일체로 구비하는 유에스비 장치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76030A (ko) * 2009-12-29 201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2844A (ja) * 2005-05-24 2006-12-07 Fujitsu Ltd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
JP2010056955A (ja) 2008-08-28 2010-03-11 Sanyo Electric Co Ltd 無線装置
KR20100068680A (ko) * 2008-12-15 2010-06-24 주식회사 씨모텍 무선 모뎀과 무선 공유기를 일체로 구비하는 유에스비 장치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76030A (ko) * 2009-12-29 201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808A (ko)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6367B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starting mobile hotspot
AU20153846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07466090B (zh) 利用指针信号在可用信道中进行通信的接入点、无线终端、存储介质和方法
EP3022960B1 (en) Mobile device tracking prevention method and system
JP5190568B2 (ja) 無線基地局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US9173165B2 (en) Power saving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9232466B2 (en)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communications apparatus in an AP mode
JP6168624B2 (ja) 基地局、無線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プログラム
CN103428708B (zh) 一种认知无线网络中的无线接入方法和系统
JP6030402B2 (ja) 通信システム
KR101907487B1 (ko) 휴대단말기의 ap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2162958B1 (ko)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2011041319A5 (ko)
US2011022251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therefor
US20110158212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KR20100031467A (ko) 전력관리장치 및 방법
KR10172402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526065B2 (en) Device and method for WiFi scan optimization
KR102056119B1 (ko) 이동 단말들을 위한 무선 신호 검색 지원 방법 및 시스템
US20150138991A1 (en) Relay capable wireless apparatuses
KR10150685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9044659A (ja) 通信端末および無線接続方法
US2012015530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point and apparatus for the same in communication system
JP5390300B2 (ja) 無線装置、無線装置の動作モード切換え方法
KR101581327B1 (ko) 이동 단말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이동 단말 간 통신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