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9885A -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rfid 탐지장치 - Google Patents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rfid 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9885A
KR20060079885A KR1020050000229A KR20050000229A KR20060079885A KR 20060079885 A KR20060079885 A KR 20060079885A KR 1020050000229 A KR1020050000229 A KR 1020050000229A KR 20050000229 A KR20050000229 A KR 20050000229A KR 20060079885 A KR20060079885 A KR 20060079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rfid
communication system
asynchronous
synchro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8982B1 (ko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982B1/ko
Publication of KR20060079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망 영역에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을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하도록 하는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RFID 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RFID 태그가 기설정된 주기가 도래하면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제 1 단계; RFID 탐지장치가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파일럿 신호를 감지한 후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RFID 태그가 RFID 탐지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제 2 단계에서 수신하는 핸드오버 명령 신호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는 건물과 같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수행이 원활하지 못한 장소에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단절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핸드오버, RFID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RFID 탐지장치{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FID Detector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RFID 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오버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 20 :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30 :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40 : 인터넷
50 : RFID 탐지장치 110, 510 : 안테나
120, 520 : 다이플렉서 130 : 비동기 모듈
131 : 비동기 무선 송수신부 133 : 비동기 모뎀부
135, 145, 152 : 메모리 137, 147 : DPRAM
140 : 동기 모듈 141 : 동기 무선 송수신부
143 : 동기 모뎀부 150 :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160 : RFID 프로세서 170 : RFID TAG
210 : 노드B/RNC 220 : 비동기 MSC
230, 330 : No.7 공통 신호망 240, 340 : SMSC
250, 350 : SCP 260, 360 : HLR
270 : SGSN 280 : GPRSA
290 : GGSN 310 : BTS/BSC
320 : MSC 370 : PDSN
380 : DCN 530 : RF 송신부
540 : RF 수신부 550 : Main Processor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동기망 영역에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을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하도록 하는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RFID 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통신망의 진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간 글로벌 로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MT-2000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IMT-2000 시스템은 CDMA 2000 기반의 동기방식 시스템과 WCDMA 기반의 비동기 방식 시스템으로 나누어져 있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간 글로벌 로밍을 지원하기 위해 동기방식의 시스템과 비동기 방식의 시스템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Dual-Band Dual-Mode 이동통신 단말)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함에 의해 비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및 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각각에서 각기 다른 방식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요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중에 있고, 이에 따라 동기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그 서비스 영역이 비동기 방식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는 형태로 진화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간을 상호 이동하는 경우 연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스템간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도심 지역에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이 건물과 같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파 세기가 약한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비해 전파 세기가 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하지만,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는 셀 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건물 내로 이동하는 이동통신 단말은 전파 세기가 약한 비동기 이 동통신 시스템과 계속 통신을 수행하며, 건물 내의 전파밀도가 낮아질 경우 호 단절이 발생하는 등 이동통신 단말 상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가 원활하게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이 건물과 같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파 세기가 약한 지역으로 이동하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RFID 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중첩되어 있는 통신망 상에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이 RFID 탐지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은 비동기 모뎀부, 동기 모뎀부, 기설정된 주기마다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RFID 태그 및 RFID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RFID 태그가 기설정된 주기가 도래하면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RFID 탐지장치가 상기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파일럿 신호를 감지한 후 핸드오버 명령 신 호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RFID 태그가 상기 RFID 탐지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수신하는 핸드오버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비동기 모뎀부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동기 모뎀부를 포함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선택적으로 접속되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중첩되어 있는 통신망 상에서 RFID 탐지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로서,
기설정된 주기마다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RFID 탐지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RFID 태그; 상기 RFID 탐지장치가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송출되는 파일럿 신호를 감지한 후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비동기 모뎀부로 전송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RFID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이동통신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RFID 탐지장치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은 기설정된 주기마다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RFID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해야 할 이동통신 단말이 영역 내로 진입하였음을 감지하여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 하도록 하는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듀얼밴드 듀얼모드(Dual-Band Dual-Mode) 이동통신 단말(10)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과 각각 무선 접속하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를 포함하여, 기 설정된 주기마다 파일럿 신호를 송출한다.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은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과의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으로서의 노드 B 및 노드 B의 제어를 위한 무선망 제어기(노드B/RNC, 210), 무선망 제어기(210)와 연결되어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교환을 수행하는 비동기 교환기(MSC, 220), 비동기 교환기(220)와 No.7 공통 신호망(230)을 통해 연결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240), 지능망 제어기(SCP, 250) 및 홈위치 등록기(HLR, 260), 무선망 제어기(210)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80) 사이에 연결되어 듀얼 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 트랙을 유지하고 액세스 제어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SGSN(Serving Support Node, 270), SGSN(270)과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80)을 통해 연결되고, 인터넷(40)에 접속되어 외부 패킷과의 연동을 지원하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290)을 포함한다.
또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은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과 무선 구간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 및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TS/BSC, 310), 하나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기(MSC, 320), 교환기(320)와 No.7 공통신호망(330)을 통해 연결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340), 지능망 제어기(SCP, 350) 및 홈 위치 등록기(HLR, 360), 기지국 제어기와 접속되어 가입자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370),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370)와 인터넷(40) 간의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코어망(DCN, 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교환기(220, 320)는 No.7 공통신호망(230, 330)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의 핸드오버 등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260, 360)는 듀얼스택 홈 위치 등록기로 구현할 수 있으며, 가입자 정보, 부가 서비스 이용 상황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고, 교환기(220, 320)의 요청에 따라 가입자 정보를 제공한다.
RFID 탐지장치(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tector)(50)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감지하 면, 핸드오버 트리거를 위한 명령을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하여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은 안테나(110), 다이플렉서(120),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130),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14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50), RFID 프로세서(160) 및 RFID 태그(RFID Tag)(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테나(110)는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과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처리 가능하다.
다이플렉서(Diplexer)(120)는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밴드 패스 필터로 동작하는 구성으로,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송수신되는 주파수를 비동기 모듈(130) 또는 동기 모듈(140)로 각각 구분하여 전달한다.
비동기 모듈(130)은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비동기 무선 송수신부(131),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비동기 모뎀부(133), 상기 비동기 모뎀부(133)와 연결되어 비동기 모뎀부(133)와 관련되는 정보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135) 및 비동기 모뎀부(133)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50)에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로, 모뎀부의 상태(예를 들어, ON, OFF, LPM) 정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 정보, 상호간에 송수신 해야하는 정보 등을 저장하는 DPRAM(Dual Port RAM)(137)을 포함한다.
동기 모듈(140)은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동기 무선 송수신부(141),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동기 모뎀부(143), 상기 동기 모뎀부(143)와 연결되어 동기 모뎀부(143)와 관련되는 정보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145) 및 동기 모뎀부(143)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50)에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로, 모뎀부의 상태(예를 들어, ON, OFF, LPM) 정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 정보, 상호간에 송수신 해야하는 정보 등을 저장하는 DPRAM(Dual Port RAM)(147)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50)는 비동기 모뎀부(133) 및 동기 모뎀부(143)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로 동작하고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50)가 동작하는데 요구되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152)를 포함한다.
RFID 태그(17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송출하며, RFID 탐지장치(50)가 파일럿 신호를 감지하여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RFID 프로세서(160)로 전송한다.
RFID 프로세서(160)는 RFID 태그(170)로부터 전송되는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비동기 모뎀부(133)로 전송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가 서비스, 이동성 관리, 접속/세션 제어, 리소스 제어,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소프트 웨어가 탑재되어, 사용자가 각종 응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에 맞게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이용 중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이용 중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이용 중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이용 중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 신호 수신만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에 비해 다이플렉서(120) 등 소자 구성이 다소 복잡해지고, 신호 간섭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RFID 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RFID 탐지장치(50)는 안테나(510), 다이플렉서(520), RF 송신부(530), RF 수신부(540) 및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55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안테나(510)는 이동통신 단말(10)의 RFID 태그(170)로부터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등 이동통신 단말(10)과 신호를 송수신하며, 다이플렉서(520)는 안테나(510)로부터 송수신되는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한다.
RF 수신부(540)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의 RFID 태그(170)로부터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메인 프로세서(550)로 전송하며, RF 송신부(530)는 메인 프로세서(550)로부터 전송되는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전달받으면, 이를 안테나(510)로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10)의 RFID 태그(170)로 전송하도록 한다.
메인 프로세서(550)는 RF 수신부(540)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전달 받으면,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이 RFID 탐지장치(50)가 설치되어 있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영역(예를 들어, 건물과 같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부터의 전파 세기가 약한 지역)으로 진입하였음을 감지하고,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RF 수신부(54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오버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이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 내에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과 통신을 수행하던 중에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부터의 신호 세기가 약한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의 RFID 태그(170)는 기설정된 주기가 도래하면(S101), 파일럿 신호를 송출한다(S103).
단계 S101에서 기설정된 주기가 도래하지 않으면,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의 RFID 태그(170)는 단계 S101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후,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이 중첩되어 있는 지역 내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의 신호세기가 약한 지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의 신호세기가 약한 지역(예를 들어, 건물, 지하실 등)에 구비되어 있는 RFID 탐지장 치(50)가 RFID 태그(170)로부터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를 감지한다(S105).
이어서, RFID 탐지장치(50)는 단계 S105에서 수신한 파일럿 신호를 통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이 영역 내로 진입하였음을 감지하고,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한다(S107).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10)의 RFID 태그(170)는 RFID 탐지장치(50)로부터 전송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면(S109), 이를 RFID 프로세서(160)로 전송한다.
RFID 프로세서(160)는 RFID 태그(170)로부터 전달받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비동기 모뎀부(133)로 전송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한다.
비동기 모뎀부(133)는 RFID 프로세서(160)로부터 전달받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동기 모뎀부(143)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다(S111).
여기에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간의 핸드오버 절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핸드오버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 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RFID 탐지장치는 이동통신 단말이 건물과 같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신호 세기가 약한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신호를 송출하기 때문에, 셀단위별 핸드오버 수행에 대한 제약 없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는 건물과 같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수행이 원활하지 못한 장소에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단절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중첩되어 있는 통신망 상에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이 RFID 탐지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은 비동기 모뎀부, 동기 모뎀부, 기설정된 주기마다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RFID 태그 및 RFID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RFID 태그가 기설정된 주기가 도래하면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RFID 탐지장치가 상기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파일럿 신호를 감지한 후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RFID 태그가 상기 RFID 탐지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수신하는 핸드오버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RFID 프로세서가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비동기 모뎀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비동기 모뎀부는 상기 핸드오버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동기 모뎀부와 통신을 수행하며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방법.
  3.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비동기 모뎀부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동기 모뎀부를 포함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선택적으로 접속되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중첩되어 있는 통신망 상에서 RFID 탐지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로서,
    기설정된 주기마다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RFID 탐지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RFID 태그; 및
    상기 RFID 탐지장치가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송출되는 파일럿 신호를 감지한 후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비동기 모뎀부로 전송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RFID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
  4.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이동통신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RFID 탐지장치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기설정된 주기마다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RFID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해야 할 이동통신 단말이 영역 내로 진입하였음을 감지하여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 하도록 하는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탐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탐지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송수신되는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다이플렉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상기 RF 수신부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전달 받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영역으로 진입하였음을 감지하고,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송출하는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메인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핸드오버 명령 신호를 전달받으면, 이를 상기 안테나로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의 RFID 태그로 전송하도록 하는 RF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탐지장치.
KR1020050000229A 2005-01-03 2005-01-03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rfid 탐지장치 KR101038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229A KR101038982B1 (ko) 2005-01-03 2005-01-03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rfid 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229A KR101038982B1 (ko) 2005-01-03 2005-01-03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rfid 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885A true KR20060079885A (ko) 2006-07-07
KR101038982B1 KR101038982B1 (ko) 2011-06-03

Family

ID=3717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229A KR101038982B1 (ko) 2005-01-03 2005-01-03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rfid 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9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875B1 (ko) * 2006-01-13 2007-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WO2008021984A1 (en) * 2006-08-10 2008-02-21 Intel Corporation Antenna based listen-before-talk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4753B2 (en) * 2001-11-01 2004-06-01 Nokia Corporation Local service handover
JP2005516538A (ja) * 2002-01-29 2005-06-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ベースのワイヤレス通信アレンジメント
US7096030B2 (en) 2002-06-28 2006-08-22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location-dependent applications on mobile devices
JP2006503500A (ja) 2002-10-18 2006-01-26 キニータ ワイヤレ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非ライセンス無線通信システムを用いてライセンス無線通信システムの受信可能範囲を拡張する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875B1 (ko) * 2006-01-13 2007-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CN101001426B (zh) * 2006-01-13 2010-12-2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改变双模终端的操作模式的装置及方法
US9237603B2 (en) 2006-01-13 2016-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operation mode of dual mode terminal
WO2008021984A1 (en) * 2006-08-10 2008-02-21 Intel Corporation Antenna based listen-before-talk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8982B1 (ko) 201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5025B2 (ja) 非同期網と同期網間のハンドオーバーのためのマルチモードマルチバンド移動通信端末の制御方法及びその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
EP1929828B1 (en) Hard handoff from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o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US5978679A (en) Coexisting GSM and CDM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8219093B2 (en) Handover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multi-mode mobile station
MXPA06003592A (es) Transferencia de inter-sistema entre redes de comunicaciones inalambricas de diferentes tecnologias de acceso de radio.
WO2003096594A3 (en) Handover in a hybrid communications network
KR2008002685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JP4433152B2 (ja) マルチモードの遠隔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の方法
KR100718007B1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간의핸드오버 방법
KR101038982B1 (ko)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rfid 탐지장치
KR100718008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멀티밴드멀티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 방법
JP2007534265A (ja) 非同期網と同期網との間のパケットハンドオーバーを可能にする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パケットハンドオーバー方法と、こ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
US7869406B2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746047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101005176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KR100749531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20050106639A (ko)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서비스 전환을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KR100612683B1 (ko)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 핸드오버 한 이동통신단말의 초기 송신 전력 설정 방법
KR100779403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101080558B1 (ko)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아이들 핸드오버 방법
KR101180256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1091037B1 (ko) 인접 기지국 정보를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KR100728626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방법
KR20050037892A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KR100749532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