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789B1 -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알엠 제어기 - Google Patents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알엠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789B1
KR101558789B1 KR1020140084291A KR20140084291A KR101558789B1 KR 101558789 B1 KR101558789 B1 KR 101558789B1 KR 1020140084291 A KR1020140084291 A KR 1020140084291A KR 20140084291 A KR20140084291 A KR 20140084291A KR 101558789 B1 KR101558789 B1 KR 101558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pm
data
engine
memory
st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4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789B1/ko
Priority to US14/555,789 priority patent/US9664595B2/en
Priority to CN201410747977.XA priority patent/CN10524012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G01M15/042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a single specific parameter not covered by groups G01M15/06 - G01M15/12
    • G01M15/046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a single specific parameter not covered by groups G01M15/06 - G01M15/12 by monitoring rev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4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the contro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5Detection of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에서는 키온(Key On) 시 엔진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면, 엔진의 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 엔진 스톨(Stall)과 RPM 급상승이 판단되고, 엔진 스톨(Stall)에 관련된 제1 D_RPM Data와 RPM 급상승에 관련된 제2 D_RPM Data의 저장우선순위결정이 이루어지며, 제1 D_RPM Data와 제2 D_RPM Data중 우선순위결정이 이루어진 하나가 ERM 데이터 메모리(Egine RPM Monitoring Data Memory)(30)의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 시 기존 저장 데이터가 지워짐으로써 ERM 데이터 메모리(Egine RPM Monitoring Data Memory)(30)활용성을 크게 높이고, 특히 RPM 급상승 전후 및 엔진 스톨(Engine Stall) 전후로 세분된 제2 D_RPM Data(B1-B10)와 제1 D_RPM Data(A1-A10)를 이용해 시동 꺼짐에 때한 정확한 원인 규명에 이용됨으로써 DTC(Diagnostic Trouble Code)가 갖는 한계성도 극복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알엠 제어기{Engine RPM Monitoring Method using Mode of Priority and Engine RPM Monitoring Controller thereof}
본 발명은 이알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 스톨(ENG Stall)과 RPM 급상승이 발생 순서에 대해 우선순위를 두고 저장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알엠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TC(Diagnostic Trouble Code)는 차량 운행 시 발생될 수 있는 이상 상태(Error(Failure)Status)를 기록한 데이터로서, 차량 이상에 의한 A/S 시 그 고장 원인을 파악하는데 활용된다.
일례로, A/S 시 정비사가 DTC의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차량 이상이 전장계통에 의한 것인지 또는 엔진/연료 계통에 의한 것인지 또는 교환부품에 의한 것인지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특히, 엔진의 RPM 급상승 현상이 분석을 위한 파워트레인(Powertrain)의 조건 재현 실험에 DTC의 데이터가 활용되면, 운전자의 의도에 일치하지 않는 RPM 급상승 현상이 파워트레인(Powertrain)의 일시적 제어 불량(Temporary Control Error)이기 보다는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실수에 의한 것임이 보다 정확히 판단될 수 있다.
국내등록특허 10-0689372(2007년02월23일)
하지만, DTC가 이상 상태(Error(Failure)Status)의 유사한 현상 묶음이라는 분류코드(Classified Code)의 성격을 가짐으로써 차량의 이상 상태(Error(Failure)Status)가 모두 진단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예로, 시동 꺼짐(엔진 스톨(Stall))현상이 있다. 이는, 시동 꺼짐을 가져오는 원인이 전장계통, 엔진/연료계통에 의함과 같이 너무나 다양하고, 특히 DTC가 시동 꺼짐의 다양한 원인을 정확히 구분한 분류코드(Classified Code)로 구축됨이 불가할 수밖에 없음에 기인된다.
일례로, 시동 꺼짐의 원인 파악 시 DTC를 활용한 원인 파악율은 전장계통에서는 약 30%이내이고, 엔진/연료계통에서는 약 20% 이내로 파악되고 있다. 이와 같이 DTC를 활용함에도 극히 낮은 시동 꺼짐 원인 파악은 A/S의 어려움과 불필요한 차량 부품 정비를 가져오고, 결국 고객 클레임(Claim)으로 나타남으로써 상품성 저하 및 경쟁력 저하로 발전될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RPM-Time 선도를 이용해 RPM 급상승 전후 및 엔진 스톨(Engine Stall) 전후의 다수 데이터를 각각 세분하고, RPM 급상승 대비 엔진 스톨(Engine Stall)에 우선순위를 두어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우선권 부여된 데이터만 저장됨으로써 메모리 활용성을 크게 높이고, 특히 RPM 급상승 전후 및 엔진 스톨(Engine Stall) 전후로 세분된 다수 데이터를 이용해 시동 꺼짐에 때한 정확한 원인 규명에 이용됨으로써 DTC(Diagnostic Trouble Code)가 갖는 한계성도 극복되는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알엠 제어기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에서는 키온(Key On) 시 엔진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면, 엔진의 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 엔진 스톨(Stall)과 RPM 급상승이 판단되고, 상기 엔진 스톨(Stall)에 관련된 제1 D_RPM Data와 RPM 급상승에 관련된 제2 D_RPM Data의 우선순위결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D_RPM Data와 상기 제2 D_RPM Data중 우선순위결정이 이루어진 하나가 메모리의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 시 기존 저장 데이터가 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진 모니터링에는 엔진운전상태에서 센서들로 검출되고, ECU(Engine Control Unit)에서 인식하는 차량검출데이터(Vehicle Detection Data)이다. 상기 엔진 스톨(Stall)은 150RPM이하로 판단되고, 상기 RPM 급상승은 2000RPM이상으로 판단된다.
상기 엔진 스톨(Stall)의 판단 시 상기 메모리 저장은, (A-1) 검출된 현재 RPM이 현재 RPM과 < A(Stall RPM)을 만족할 때 엔진 스톨(Stall)로 판단하고, (A-2) 상기 엔진 스톨(Stall)로 판단된 현재 RPM을 ES_Data(Engine Stall Data)로 정의되고, (A-3) RPM-Time 선도를 이용해 상기 ES_Data의 발생 시점이 판단되며, (A-4) 상기 ES_Data의 발생 시점 전 RPM과 발생 시점 후 RPM이 상기 제1 D_RPM Data로 구분되어 상기 메모리의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되고, (A-5) 상기 메모리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제1 D_RPM Data의 저장횟수를 N=1로 카운트한 다음 상기 엔진 모니터링으로 복귀된다.
상기 (A-4)에서, 상기 제1 D_RPM Data의 발생 시점 전 RPM은 8개의 스톨 RPM(A1-A8)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D_RPM Data의 발생 시점 후 RPM은 스톨 RPM(A9-A0)으로 구분되며, 상기 스톨 RPM(A1-A10)을 구분하는 10개의 간격은 100~125ms의 시간간격(Time Interval)이다. 상기 (A-4)에서, 상기 제1 D_RPM Data가 상기 메모리의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데이터가 지워진다.
상기 RPM 급상승의 판단 시 상기 메모리 저장은, (B-1) 검출된 현재 RPM이 현재 RPM과 > B(threshold_1, 급상승 RPM 임계값)을 만족할 때 RPM 급상승으로 판단하고, (B-2) 상기 현재 RPM에 대해 RPM기울기(△RPM) > C(threshold_2,정해진 시간간격(Time Interval)에서 임계값)을 만족할 때 RPM_Data로 정의되고, (B-3) RPM-Time 선도를 이용해 상기 RPM_Data의 발생 시점이 판단되며, (B-4) 상기 RPM_Data의 발생 시점 전 RPM과 발생 시점 후 RPM이 상기 제2 D_RPM Data로 구분되어 상기 메모리의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되고, (B-5) 상기 메모리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엔진 스톨(Stall)의 발생이 없을 때 상기 엔진 모니터링으로 복귀된다.
상기 (B-1)에서, 상기 RPM 급상승 판단은 상기 엔진 스톨(Stall)의 판단 시 상기 메모리 저장을 나타내는 횟수 N=1이 아닌 경우이고, 횟수 N=1일 때 상기 엔진 모니터링으로 복귀된다. 상기 (B-1)에서 현재 RPM과 > B(threshold_1, 급상승 RPM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을 때, 상기 (B-2)에서 RPM기울기(△RPM) > C(threshold_2,정해진 시간간격(Time Interval)에서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을 때, 상기 엔진 모니터링으로 복귀된다. 상기 (B-4)에서, 상기 제2 D_RPM Data의 발생 시점 전 RPM은 8개의 급상승 RPM(B1-B8)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D_RPM Data의 발생 시점 후 RPM은 급상승 RPM(B9-B0)으로 구분되며, 상기 급상승 RPM(B1-B10)을 구분하는 10개의 간격은 100~125ms의 시간간격(Time Interval)이다. 상기 (B-4)에서, 상기 제2 D_RPM Data가 상기 메모리의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데이터가 지워진다. 상기 (B-5)에서, 상기 엔진 스톨(Stall)의 발생이 있으면,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제2 D_RPM Data가 지워지고 제3 D_RPM Data가 다시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제3 D_RPM Data가 다시 저장되는 과정은, (C-1) 상기 엔진 스톨(Stall)로 판단된 현재 RPM을 ES_Data(Engine Stall Data)로 정의되고, (C-2) RPM-Time 선도를 이용해 상기 ES_Data의 발생 시점이 판단되며, (C-3) 상기 ES_Data의 발생 시점 전 RPM과 발생 시점 후 RPM이 상기 제3 D_RPM Data로 구분되어 상기 메모리의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되고, (C-4) 상기 메모리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제3 D_RPM Data의 저장횟수를 N=1로 다시 카운트한 다음 상기 엔진 모니터링으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알엠 제어기에는 엔진운전상태(Engine Running State)의 모니터링으로 엔진 스톨(Stall)에 관련된 제1 D_RPM Data와, RPM 급상승에 관련된 제2 D_RPM Data, RPM 급상승 후 엔진 스톨(Stall)에 관련된 제3 D_RPM Data 중 어느 하나가 새로운 메모리 저장값으로 입력되면, 기존 메모리 저장값이 상기 새로운 메모리 저장값으로 스위칭되어 메모리 저장신호로 출력되는 스위칭 판단부; 상기 메모리 저장신호가 입력되면, 기존의 저장 데이터를 지우고 상기 새로운 메로리 저장값을 저장하는 ERM 데이터 메모리(Egine RPM Monitoring Data Memory);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RM 데이터 메모리는 차량검출데이터 메모리(Vehicle Detection Data Memory)와 구별되고, 상기 차량검출데이터 메모리에는 엔진운전상태에서 검출된 차량검출데이터(Vehicle Detection Data)가 저장된다.
상기 스위칭 판단부와 상기 ERM 데이터 메모리는 ECU(Engine Control Unit)에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알엠(Egine RPM Monitoring)방식을 이용해 엔진회전수(RPM)변화에 근거한 엔진 스톨(Engine Stall)과 RPM 급상승과 관련된 데이터가 발생 순서를 우선순위로 하여 ERM제어기(또는 ECU)에 저장됨으로써 DTC(Diagnostic Trouble Code)가 갖는 한계성이 극복되고, 특히 시동 꺼짐을 유발하는 엔진 스톨(Engine Stall)의 원인이 정확하게 분석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PM-Time 선도를 이용한 RPM 급상승 전후 및 엔진 스톨(Engine Stall) 전후의 다수 데이터로 구분되어 하나씩 ECU의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ECU의 메모리 활용성이 크게 높아지고, 특히 ECU의 메모리 확장과 같은 하드웨어적 변경도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운행 시 발생될 수 있는 이상 상태(Error(Failure)Status)를 진단할 수 있는 DTC의 어떠한 개선 없이도 전장계통과 엔진/연료계통의 시동 꺼짐 진단의 정확도가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동 꺼짐 진단의 정확도 향상으로 A/S가 수월해짐으로써 원인 분석을 위한 불필요한 차량 부품 정비가 해소되고, 신속하고 빠른 원인 분석 및 대처로 상품성 저하 및 경쟁력 저하로 발전될 수 있는 고객 클레임(Claim)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 스톨(Engine Stall)과 RPM 급상승의 정확한 원인 진단에 활용된 데이터가 DB(Data Base)로 구축됨으로써 주요 필드 문제점에 대한 AS 대책 근거 제시, ECU 내부적인 데이터 분석 활용, 고객 클레임(Claim) 차량에 대한 대응 근거 확보가 가능하고, 특히 구축된 DB를 활용해 필드 문제 차량의 데이터 분석을 통한 문제 차량 점검 이전에 사전 분석 가능함으로써 개발차량에 대한 필드문제점 대응 효율성도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제어유니트(Engine Control Unit 또는 Electronic Control Unit)가 이알엠(Egine RPM Monitoring)방식 로직을 수행하는 제어기로 활용됨으로써 엔진제어유니트의 활용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Egine RPM Monitoring)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톨(Engine Stall)시 제1분할회전수데이터(Division RPM Data)저장의 예이며, 도 3은 발명에 따른 RPM 급상승시 제2분할회전수데이터(Division RPM Data)의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Egine RPM Monitoring) 방법이 실행되는 ERM 제어기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ERM 제어기에서 엔진 스톨(Engine Stall)과 RPM 급상승 및 RPM 급상승 후 엔진 스톨(Engine Stall)시 작동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Egine RPM Monitoring, 이하 ERM)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우선순위저장방식 ERM방법은 ERM제어기로 수행되지만, 엔진제어장치(Engine Control Unit 또는 Electronic Control Unit)를 적용할 수 있다.
S10과 같이 엔진 시동을 위한 키온(Key On)이 감지되면, S20과 같이 엔진운전상태(Engine Running State, 이하 ERS)가 모니터링된다. 이때, ERS 모니터링은 차량검출데이터(Vehicle Detection Data, 이하 VD Data)를 대상으로 한다. 일례로, VD Data에는 배터리 전압(Batt. Voltage), 냉각수온, MAF(또는 MAP), 뱅크1/2(Bank1/2), 연료트림(Fuel Trim(Long/Short)), 산소센서(O2 sensor(Bank1/2)), 브레이크 정보, 차속, 가속페달(APS_1/2(%)), 쓰로틀(TPS_1/2(%)), 클러치 정보, 공조기(A/C state), 기어정보(P/R/N/D), 기어단수정보, CTA(Commanded Throttle Actuator), 댐퍼 클러치(Damper clutch), 흡기/배기 캠 페이저(CAM Phazer)위치, 퍼지(Purge Duty, Purge Concentration), 점화시기, 연료레일 압력(GDI engine), 혼합율(A/F Ratio), 마일리지 등을 포함한다.
S20의 ERS 모니터링을 통해 VDD 확인이 이루어지면, 이어 S30의 우선순위ERM모드가 실시된다. 상기 우선순위ERM모드는 메모리로 저장되는 S100의 엔진 스톨(Engine Stall)데이터(이하, ES_데이터)저장과 S200의 RPM 급상승데이터(이하, RPM_데이터)저장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하고, 정해진 우선순위로 S100의 ES_데이터중 제1 분할회전수데이터(Division RPM Data)(이하, 제1 D_RPM Data)를 우선 저장하거나 또는 S200의 RPM_데이터중 제2 분할회전수데이터(Division RPM Data)(이하, 제2 D_RPM Data)를 우선 저장하며, 지속적인 VDD 확인에 의한 전환 조건 충족 시 제1 D_RPM Data와 제2 D_RPM Data의 저장우선순위를 변화시켜 준다. 이때, 상기 전환 조건은 엔진 스톨(Engine Stall)과 RPM 급상승이며, 엔진 스톨(Engine Stall)에 대한 우선권이 먼저 부여된다.
이를 위해, S30의 우선순위ERM모드에서는 키온(Key On)/엔진회전수(ENG RPM)로 엔진 스톨(Engine Stall)이 먼저 판단된다. 엔진 스톨(Engine Stall)은 현재 RPM < A(Stall RPM)을 적용하며, A(Stall RPM)에는 150RPM 이하로 특정한다.
그러므로, S30에서 현재 RPM < A(Stall RPM)이 충족되면, ERS를 엔진 스톨(Engine Stall)로 판단함으로써 즉시 S100의 ES_데이터 저장으로 진입한다. S100에서는 VD Data, 제1 D_RPM Data가 포함된 데이터저장이 이루어진다. 특히, 제1 D_RPM Data는 우선권이 부여됨으로써 저장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2 D_RPM Data를 지우고 저장된다. 이어, S100의 데이터 저장이 완료되면, S100-1과 같이 제1 D_RPM Data의 저장횟수를 체크한 후 S20의 ERS 모니터링으로 복귀된다.
도 2에는 VD Data와 제1 D_RPM Data의 예를 나타낸다. 도신된 바와 같이, VD Data는 배터리 전압(Batt. Voltage), 냉각수온, MAF(또는 MAP), 뱅크1/2(Bank1/2), 연료트림(Fuel Trim(Long/Short)), 산소센서(O2 sensor(Bank1/2)), 브레이크 정보, 차속, 가속페달(APS_1/2(%)), 쓰로틀(TPS_1/2(%)), 클러치 정보, 공조기(A/C state), 기어정보(P/R/N/D), 기어단수정보, CTA(Commanded Throttle Actuator), 댐퍼 클러치(Damper clutch), 흡기/배기 캠 페이저(CAM Phazer)위치, 퍼지(Purge Duty, Purge Concentration), 점화시기, 연료레일 압력(GDI engine), 혼합율(A/F Ratio), 마일리지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 D_RPM Data는 시동 꺼짐의 원인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한 정보이므로, 엔진 스톨(Engine Stall)발생시 스톨(Stall)발생 전후 관련 데이터(DATA)가 저장된다.
이를 위해, 제1 D_RPM Data는 RPM-Time 선도를 이용하고, 이로부터 스톨(Stall)발생 전후의 RPM을 약 10개의 스톨 RPM(P1-P10)으로 구분된다. 일례로, 10개의 스톨 RPM(A1-A10)은 스톨(Stall)발생 전 8개의 스톨 RPM(A1-A8)과 스톨(Stall)발생 후 2개의 스톨 RPM(A9-A10)으로 구분되고, 시간간격(Time Interval)은 100~125ms를 적용한다.
반면, S30에서 현재 RPM < A(Stall RPM)이 충족되지 않으면, ERS를 엔진 스톨(Engine Stall)로 판단하지 않음으로써 S40에 진입하여 S200의 RPM_데이터 저장을 위한 판단이 이루어진다. S40에서는 엔진 스톨(Engine Stall)로 인한 S100의 데이터 저장이 이루어졌는지 횟수 N을 확인하고, 데이터저장으로 인해 N > 1일 때 S20의 ERS 모니터링으로 복귀되는 반면 N < 1 일 때 S50으로 즉시 진입한다.
그러면, S50에서는 제1 RPM 급상승조건을 판단한다. 상기 제1 RPM 급상승조건은 현재 RPM > B(threshold_1)를 적용하며, B(threshold_1)는 쓰로틀 아이들 위치에서 2000RPM/Idle_P_TPS으로 특정한다. 이어, S50에서 현재 RPM > B(threshold_1)이 충족되면, 즉시 S60으로 진입함으로써 제2 RPM 급상승조건을 판단한다. 상기 제2 RPM 급상승조건은 RPM기울기(△RPM) > C(threshold_2)를 적용하며, C(threshold_2)는 정해진 시간간격(Time Interval)에서 RPM기울기의 임계값으로 특정된다. 통상, C(threshold_2)는 타 간격대비 높은 기울기 값을 갖는다.
그러므로, S60에서 RPM기울기(△RPM) > C(threshold_2)가 충족되면, ERS를 RPM 급상승으로 판단함으로써 즉시 S200의 RPM_데이터 저장으로 진입한다. S200에서는 VD Data, 제2 D_RPM Data가 포함된 데이터저장이 이루어진다. 특히, 제2 D_RPM Data는 우선권이 부여됨으로써 저장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1 D_RPM Data를 지우고 저장된다. 이어, S200의 데이터 저장이 완료되면, S70과 같이 우선순위ERM모드가 다시 체크됨으로써 엔진 스톨(Engine Stall)발생이 없음을 확인한 후 S20의 ERS 모니터링으로 복귀된다.
도 3에는 VD Data와 제2 D_RPM Data의 예를 나타낸다. 도신된 바와 같이, VD Data는 도 2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2 D_RPM Data는 RPM 급상승의 원인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한 정보이므로, 현재 RPM > B(threshold_1)[2000RPM/Idle_P_TPS]에서 RPM기울기(△RPM) > C(threshold_2)의 발생 전후 관련 데이터(DATA)가 저장된다.
이를 위해, 제2 D_RPM Data는 RPM-Time 선도를 이용하고, 이로부터 RPM 급상승발생 전후의 RPM을 약 10개의 급상승 RPM(B1-B10)으로 구분된다. 일례로, 10개의 급상승 RPM(B1-B10)은 △RPM 발생 전 8개의 급상승 RPM(B1-B8)과 △RPM 발생 후 2개의 급상승 RPM(B9-B10)으로 구분되고, 시간간격(Time Interval)은 100~125ms를 적용한다.
그러나, S70의 우선순위ERM모드 재 체크로 현재 RPM < A(Stall RPM)이 충족되면, ERS를 엔진 스톨(Engine Stall)로 판단함으로써 즉시 S100의 ES_데이터 저장으로 진입하여 제1 D_RPM Data와 동일한 제3 D_RPM Data의 생성과정에 진입한다. 이 경우, 저장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2 D_RPM Data보다 제3 D_RPM Data가 우선권이 있으므로, 저장 메모리에서는 제2 D_RPM Data가 지워지고 대신 제3 D_RPM Data가 저장된다. 이어, S100의 데이터 저장이 완료되면, S100-1과 같이 제3 D_RPM Data의 저장횟수를 다시 체크한 후 S20의 ERS 모니터링으로 복귀된다. 이때, 제3 D_RPM Data는 제1 D_RPM Data의 다른 정의 일뿐 제1 D_RPM Data와 모두 동일하다.
한편, 도 4,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Egine RPM Monitoring) 방법이 실행되는 ERM 제어기(Engine RPM Monitoring Controller)구성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ERM 제어기(1)에는 스위칭 판단부(10), 차량검출데이터 메모리(Vehicle Detection Data Memory, 이하 VD_데이터메모리)(20), ERM 데이터 메모리(Egine RPM Monitoring Data Memory, 이하 ERM_데이터메모리)(30)가 포함된다.
상기 스위칭 판단부(10)에는 스위칭 ERM 데이터(10A)가 입력되고, 상기 스위칭 ERM 데이터(10A)는 엔진 스톨 진입신호(10-1), RPM 급상승 진입신호(10-2), 엔진 스톨 재진입신호(10-3)를 포함한다. 상기 엔진 스톨 진입신호(10-1)는 제1 분할회전수데이터(Division RPM Data, 이하 제1 D_RPM Data)(200)로 제공되고, 상기 RPM 급상승 진입신호(10-2)는 제2 분할회전수데이터(Division RPM Data, 이하 제2 D_RPM Data)(300)로 제공되며, 상기 엔진 스톨 재진입신호(10-3)는 상기 제1 D_RPM Data(200)로 제공된다. 상기 제1 D_RPM Data(200)는 도 2에서 기술된 100~125ms의 시간간격(Time Interval)을 갖는 스톨(Stall)발생 전 8개의 스톨 RPM(A1-A8)과 스톨(Stall)발생 후 2개의 스톨 RPM(A9-A10)이다. 상기 제2 D_RPM Data(300)는 도 3에서 기술된 100~125ms의 시간간격(Time Interval)을 갖는 △RPM 발생 전 8개의 급상승 RPM(B1-B8)과 △RPM 발생 후 2개의 급상승 RPM(B9-B10)이다.
상기 VD_데이터 메모리(20)는 도 1내지 3에서 기술된 S100의 데이터 저장 단계나 또는 S200의 데이터 저장 단계 시 차량검출데이터(Vehicle Detection Data, 이하 VD_데이터)(100)를 저장정보(A)로 입력받는다. 상기 VD_데이터(100)는 엔진운전상태(Engine Running State)의 모니터링 시 검출된 차량 정보로서, 배터리 전압(Batt. Voltage), 냉각수온, MAF(또는 MAP), 뱅크1/2(Bank1/2), 연료트림(Fuel Trim(Long/Short)), 산소센서(O2 sensor(Bank1/2)), 브레이크 정보, 차속, 가속페달(APS_1/2(%)), 쓰로틀(TPS_1/2(%)), 클러치 정보, 공조기(A/C state), 기어정보(P/R/N/D), 기어단수정보, CTA(Commanded Throttle Actuator), 댐퍼 클러치(Damper clutch), 흡기/배기 캠 페이저(CAM Phazer)위치, 퍼지(Purge Duty, Purge Concentration), 점화시기, 연료레일 압력(GDI engine), 혼합율(A/F Ratio), 마일리지 등을 포함한다.
상기 ERM_데이터메모리(30)는 제1 D_RPM Data(200)나 제2 D_RPM Data(300)중 우선권이 부여된 하나만 저장된다. 그러므로, 상기 ERM_데이터메모리(30)는 스위칭 판단부(10)에서 이루어지는 스위칭 출력과 연계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위칭 판단부(10)가 엔진 스톨 진입신호(10-1)를 입력받으면, 상기 스위칭 판단부(10)는 제1,2,3 스위칭신호(a-1,b-1,c-1)중 제1 스위칭신호(a-1)를 출력하고, ERM_데이터메모리(30)는 제1 스위칭신호(a-1)로 입력된 제1 D_RPM Data(200)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ERM_데이터메모리(30)가 저장하던 기존 데이터는 지워진다. 이는, 도 1내지 3에서 기술된 S100의 데이터 저장과 동일하다.
그리고, 스위칭 판단부(10)가 RPM 급상승 진입신호(10-2)를 입력받으면, 상기 스위칭 판단부(10)는 제1,2,3 스위칭신호(a-1,b-1,c-1)중 제2 스위칭신호(b-1)를 출력하고, ERM_데이터메모리(30)는 제2 스위칭신호(b-1)로 입력된 제2 D_RPM Data(300)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ERM_데이터메모리(30)가 저장하던 기존 데이터(예, 제1 D_RPM Data(200))는 지워진다. 이는, 도 1내지 3에서 기술된 S200의 데이터 저장과 동일하다.
또한, 스위칭 판단부(10)가 엔진 스톨 재진입신호(10-3)를 입력받으면, 상기 스위칭 판단부(10)는 제1,2,3 스위칭신호(a-1,b-1,c-1)중 제3 스위칭신호(c-1)를 출력하고, ERM_데이터메모리(30)는 제3 스위칭신호(c-1)로 입력된 제1 D_RPM Data(200)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ERM_데이터메모리(30)가 저장하던 기존 데이터(예, 제2 D_RPM Data(300))는 지워진다. 이는, 도 1내지 3에서 기술된 S200의 데이터 저장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ERM_데이터메모리(30)는 스위칭 판단부(10)의 제1,2,3 스위칭신호(a-1,b-1,c-1)를 이용해 제1 D_RPM Data(200)와 제2 D_RPM Data(300)중 우선권이 부여된 하나의 데이터 만 저장됨으로써 높은 메모리 활용성을 갖는 ERM제어기(1)가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ERM제어기(1)는 ERM을 위한 전용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엔진제어장치(Engine Control Unit 또는 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ERM_데이터메모리(30)의 메모리 활용성은 ECU의 사용성을 더욱 확장하는데 기여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에서는 키온(Key On) 시 엔진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면, 엔진의 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 엔진 스톨(Stall)과 RPM 급상승이 판단되고, 엔진 스톨(Stall)에 관련된 제1 D_RPM Data와 RPM 급상승에 관련된 제2 D_RPM Data의 저장우선순위결정이 이루어지며, 제1 D_RPM Data와 제2 D_RPM Data중 우선순위결정이 이루어진 하나가 ERM 데이터 메모리(Egine RPM Monitoring Data Memory)(30)의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 시 기존 저장 데이터가 지워짐으로써 ERM 데이터 메모리(Egine RPM Monitoring Data Memory)(30)활용성을 크게 높이고, 특히 RPM 급상승 전후 및 엔진 스톨(Engine Stall) 전후로 세분된 제2 D_RPM Data(B1-B10)와 제1 D_RPM Data(A1-A10)를 이용해 시동 꺼짐에 때한 정확한 원인 규명에 이용됨으로써 DTC(Diagnostic Trouble Code)가 갖는 한계성도 극복된다.
1 : ERM제어기(Egine RPM Monitoring Controller)
10 : 스위칭 판단부 10A : 스위칭 ERM 데이터
10-1 : 엔진 스톨 진입신호 10-2 : RPM 급상승 진입신호
10-3 : 엔진 스톨 재진입신호
20 : 차량검출데이터 메모리(Vehicle Detection Data Memory)
30 : ERM 데이터 메모리(Egine RPM Monitoring Data Memory)
100 : 차량검출데이터(Vehicle Detection Data)
200 : 제1 분할회전수데이터(Division RPM Data)
300 : 제2 분할회전수데이터(Division RPM Data)

Claims (16)

  1. 키온(Key On) 시 엔진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면, 엔진의 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 엔진 스톨(Stall)과 RPM 급상승이 판단되고, 상기 엔진 스톨(Stall)에 관련된 제1 D_RPM Data와 상기 RPM 급상승에 관련된 제2 D_RPM Data의 우선순위결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D_RPM Data와 상기 제2 D_RPM Data중 우선순위결정이 이루어진 하나가 메모리의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 시 기존 저장 데이터가 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 모니터링에는 엔진운전상태에서 센서들로 검출되고, ECU(Engine Control Unit)에서 인식하는 차량검출데이터(Vehicle Detection Dat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 스톨(Stall)은 150RPM이하로 판단되고, 상기 RPM 급상승은 2000RPM이상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 스톨(Stall)의 판단 시 상기 메모리 저장은, (A-1) 검출된 현재 RPM이 현재 RPM과 < A(Stall RPM)을 만족할 때 엔진 스톨(Stall)로 판단하고, (A-2) 상기 엔진 스톨(Stall)로 판단된 현재 RPM을 ES_Data(Engine Stall Data)로 정의되고, (A-3) RPM-Time 선도를 이용해 상기 ES_Data의 발생 시점이 판단되며, (A-4) 상기 ES_Data의 발생 시점 전 RPM과 발생 시점 후 RPM이 상기 제1 D_RPM Data로 구분되어 상기 메모리의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되고, (A-5) 상기 메모리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제1 D_RPM Data의 저장횟수를 N=1로 카운트한 다음 상기 엔진 모니터링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A-4)에서, 상기 제1 D_RPM Data의 발생 시점 전 RPM은 8개의 스톨 RPM(A1-A8)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D_RPM Data의 발생 시점 후 RPM은 스톨 RPM(A9-A0)으로 구분되며, 상기 스톨 RPM(A1-A10)을 구분하는 10개의 간격은 100~125ms의 시간간격(Time Interv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A-4)에서, 상기 제1 D_RPM Data가 상기 메모리의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데이터가 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PM 급상승의 판단 시 상기 메모리 저장은, (B-1) 검출된 현재 RPM이 현재 RPM과 > B(threshold_1, 급상승 RPM 임계값)을 만족할 때 RPM 급상승으로 판단하고, (B-2) 상기 현재 RPM에 대해 RPM기울기(△RPM) > C(threshold_2,정해진 시간간격(Time Interval)에서 임계값)을 만족할 때 RPM_Data로 정의되고, (B-3) RPM-Time 선도를 이용해 상기 RPM_Data의 발생 시점이 판단되며, (B-4) 상기 RPM_Data의 발생 시점 전 RPM과 발생 시점 후 RPM이 상기 제2 D_RPM Data로 구분되어 상기 메모리의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되고, (B-5) 상기 메모리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엔진 스톨(Stall)의 발생이 없을 때 상기 엔진 모니터링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B-1)에서, 상기 RPM 급상승 판단은 상기 엔진 스톨(Stall)의 판단 시 상기 메모리 저장을 나타내는 횟수 N=1이 아닌 경우이고, 횟수 N=1일 때 상기 엔진 모니터링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B-1)에서 현재 RPM과 > B(threshold_1, 급상승 RPM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을 때, 상기 (B-2)에서 RPM기울기(△RPM) > C(threshold_2,정해진 시간간격(Time Interval)에서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을 때, 상기 엔진 모니터링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B-4)에서, 상기 제2 D_RPM Data의 발생 시점 전 RPM은 8개의 급상승 RPM(B1-B8)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D_RPM Data의 발생 시점 후 RPM은 급상승 RPM(B9-B0)으로 구분되며, 상기 급상승 RPM(B1-B10)을 구분하는 10개의 간격은 100~125ms의 시간간격(Time Interv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B-4)에서, 상기 제2 D_RPM Data가 상기 메모리의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데이터가 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B-5)에서, 상기 엔진 스톨(Stall)의 발생이 있으면,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제2 D_RPM Data가 지워지고 제3 D_RPM Data가 다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제3 D_RPM Data가 다시 저장되는 과정은, (C-1) 상기 엔진 스톨(Stall)로 판단된 현재 RPM을 ES_Data(Engine Stall Data)로 정의되고, (C-2) RPM-Time 선도를 이용해 상기 ES_Data의 발생 시점이 판단되며, (C-3) 상기 ES_Data의 발생 시점 전 RPM과 발생 시점 후 RPM이 상기 제3 D_RPM Data로 구분되어 상기 메모리의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되고, (C-4) 상기 메모리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제3 D_RPM Data의 저장횟수를 N=1로 다시 카운트한 다음 상기 엔진 모니터링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14. 엔진운전상태(Engine Running State)의 모니터링으로 엔진 스톨(Stall)에 관련된 제1 D_RPM Data와, RPM 급상승에 관련된 제2 D_RPM Data, RPM 급상승 후 엔진 스톨(Stall)에 관련된 제3 D_RPM Data 중 어느 하나가 새로운 메모리 저장값으로 입력되면, 기존 메모리 저장값이 상기 새로운 메모리 저장값으로 스위칭되어 메모리 저장신호로 출력되는 스위칭 판단부;
    상기 메모리 저장신호가 입력되면, 기존의 저장 데이터를 지우고 상기 새로운 메모리 저장값을 저장하는 ERM 데이터 메모리(Egine RPM Monitoring Data Memory);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알엠 제어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ERM 데이터 메모리는 차량검출데이터 메모리(Vehicle Detection Data Memory)와 구별되고, 상기 차량검출데이터 메모리에는 엔진운전상태에서 검출된 차량검출데이터(Vehicle Detection Data)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알엠 제어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판단부와 상기 ERM 데이터 메모리는 ECU(Engine Control Unit)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알엠 제어기.
KR1020140084291A 2014-07-07 2014-07-07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알엠 제어기 KR101558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291A KR101558789B1 (ko) 2014-07-07 2014-07-07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알엠 제어기
US14/555,789 US9664595B2 (en) 2014-07-07 2014-11-28 Engine RPM monitoring method using mode of priority and engine RPM monitoring controller therefore
CN201410747977.XA CN105240123B (zh) 2014-07-07 2014-12-09 使用优先级模式的发动机rpm监测方法及erm控制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291A KR101558789B1 (ko) 2014-07-07 2014-07-07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알엠 제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789B1 true KR101558789B1 (ko) 2015-10-07

Family

ID=5434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291A KR101558789B1 (ko) 2014-07-07 2014-07-07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알엠 제어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64595B2 (ko)
KR (1) KR101558789B1 (ko)
CN (1) CN1052401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945A (ko) * 2018-12-07 2020-06-1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자동차에 탑재되는 고성능 메모리 운용방법 및 이에 의해 운용되는 엔진제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329A1 (ja) * 2016-10-03 2018-04-1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載電子制御装置
KR101795306B1 (ko) * 2016-10-07 201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동 제어 방법
CN108871544A (zh) * 2018-04-20 2018-11-23 南京曦光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分布式光纤综合传感数据汇聚优先调度方法及系统
CN113432878B (zh) * 2021-06-28 2023-07-21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带监测控制系统的柴燃蒸电混联式船舶混合动力试验台及试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4407A (ja) 2002-07-09 2004-02-12 Suzuki Motor Corp 車両用故障診断制御装置
JP2004324599A (ja) 2003-04-28 2004-11-18 Suzuki Motor Corp 車両用故障診断制御装置
JP2007040225A (ja) 2005-08-04 2007-02-15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始動異常診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7561A (en) * 1985-04-15 1987-10-06 Purdue Research Foundation On-line engine torque and torque fluctuation measurement for engine control utilizing crankshaft speed fluctuations
US4836016A (en) * 1985-08-10 1989-06-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 state in pulse train generating sensor
JP3081285B2 (ja) 1991-07-04 2000-08-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H08329296A (ja) 1995-05-31 1996-12-13 Yazaki Corp 車両運行情報収集解析システム
JP3449170B2 (ja) * 1996-08-09 2003-09-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KR100689372B1 (ko) 2005-01-03 2007-03-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엔진식 건설기계의 운행 데이터 제어 장치 및 방법
FR2898640B1 (fr) * 2006-03-20 2008-04-25 Siemens Vdo Automotive Sas Procede de transmission d'information relatif au fonctionneme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4424407B2 (ja) * 2007-10-23 2010-03-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1328514B1 (ko) 2012-06-20 2013-11-20 안상기 차량의 작동상태 감시 및 급발진 방지장치
JP5710583B2 (ja) * 2012-12-25 2015-04-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4407A (ja) 2002-07-09 2004-02-12 Suzuki Motor Corp 車両用故障診断制御装置
JP2004324599A (ja) 2003-04-28 2004-11-18 Suzuki Motor Corp 車両用故障診断制御装置
JP2007040225A (ja) 2005-08-04 2007-02-15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始動異常診断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945A (ko) * 2018-12-07 2020-06-1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자동차에 탑재되는 고성능 메모리 운용방법 및 이에 의해 운용되는 엔진제어기
KR102176760B1 (ko) 2018-12-07 2020-11-1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자동차에 탑재되는 고성능 메모리 운용방법 및 이에 의해 운용되는 엔진제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03709A1 (en) 2016-01-07
CN105240123B (zh) 2019-07-26
CN105240123A (zh) 2016-01-13
US9664595B2 (en)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789B1 (ko) 우선순위저장방식 이알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알엠 제어기
EP1223490B1 (en) Controller for vehicle with self-diagnostic function and recording medium
US8970359B2 (en) Method and device for wear diagnosis of a motor vehicle
US8527137B2 (en) Vehicle behavior data recording control system and recording apparatus
KR101646132B1 (ko) 실화 진단 시스템 및 실화 진단 방법
JP5278498B2 (ja) データ記憶装置
CN110594028A (zh) 节气门自学习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控制单元
US949407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function of an exhaust-gas sensor
KR101575510B1 (ko) 이그니션 전원 모니터링을 이용한 시동꺼짐 원인 판단 방법 및 시스템
US20180259577A1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03921740A (zh) 油门踏板信号自诊断方法
CN109935869A (zh) 用于诊断供应至车辆冷却剂泵的冷却剂不足的方法
CN109591820A (zh) 用于快速发动机启动的系统和方法
CN111140377A (zh) 一种检测节气门错装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EP2910759B1 (en) Torque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2011127439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CN110410222B (zh) 节气门开度故障的判断方法及设备
KR101304050B1 (ko) 차량 고장 코드 연관 가변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
JP5556801B2 (ja) 車載電子制御装置および診断システム
JP2006161604A (ja) 車両故障診断装置
KR102474614B1 (ko) 재학습 분류방식 cvvd 위치학습 방법 및 cvvd 시스템
KR102435347B1 (ko) 전자 제어 장치용 메모리 감시 및 사용 표시 방법 및 장치
JP6443214B2 (ja) 車両用データ記録装置
US20180173559A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Stack Usage Method
KR20180067265A (ko)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