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336B1 -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336B1
KR101555336B1 KR1020140089972A KR20140089972A KR101555336B1 KR 101555336 B1 KR101555336 B1 KR 101555336B1 KR 1020140089972 A KR1020140089972 A KR 1020140089972A KR 20140089972 A KR20140089972 A KR 20140089972A KR 101555336 B1 KR101555336 B1 KR 101555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vehicle
vehicle component
bracket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봉
이순형
Original Assignee
동희오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희오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희오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9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는,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의 상면에는 차량부품이 안착되는 가이드환봉과, 상기 복수의 가이드환봉을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나사산의 상면에 안착된 차량부품이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어 승하강되도록 하는 승하강부와, 상기 승하강부에 의한 차량부품의 하강시, 상기 차량부품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이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배출공에서 배출되는 차량부품을 전달받아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부품이 정확하게 배출 및 이동되도록 하여 차량부품을 차체 제조 공정 라인의 로봇암에 신속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PART FEED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부품이 정확하게 배출 및 이동되도록 하여 차량부품을 차체 제조 공정 라인의 로봇암에 신속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와, 기관과, 섀시와, 그리고 전기를 포함한다. 이중 자체는 제조 공정 라인을 거치는 동안 복수개의 부품이 결합되어 완성된다.
또한, 차체 제조 공정 라인에는 복수개의 로봇이 사용된다. 이러한 로봇은 해당 지그에 준비된 부품을 파지하여 자체의 해당 위치에 부품을 결합시킨다. 특히, 이러한 부품은 크기에 따라 대형 부품과 중형 부품과 그리고 소형 부품으로 나뉘어진다.
하지만, 소형 부품을 해당 지그에 로딩하기 위해서는, 부품이 크기가 작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해당 지그에 로딩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계속 해당 지그에 상주해야 하고, 반복되는 로딩 동작에 의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소형 부품을 해당 지그에 로딩 후에 버튼을 눌러야 다음 공정이 진행되므로, 작업자에 따라 다음 공정의 시작시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는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2510(발명의 명칭:차량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공개일자:2013년 04월 02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부품이 정확하게 배출 및 이동되도록 하여 차량부품을 차체 제조 공정 라인의 로봇암에 신속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부품이 복수의 가이드환봉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지지됨으로 인하여 차량부품 간의 적정한 거리를 항상 유지할 수 있어 차량부품이 겹쳐지면서 발생되는 걸림현상이 발생될 염려가 없으므로 차량부품을 안정적으로 하부로 이동 및 배출 가능한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환봉의 일측에 차량부품을 복수의 가이드환봉 내측으로 차량부품의 통과는 허용하되, 통과된 차량부품의 측면과 맞닿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차량부품이 나사산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환봉의 나사산을 따라 하강하여 나사산의 하부로 낙하된 차량부품이 로케이터에 안착되어 제어부에 의해 기설정된 패턴으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차량부품의 정확한 인출이 가능한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는,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의 상면에는 차량부품이 안착되는 가이드환봉과, 상기 복수의 가이드환봉을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나사산의 상면에 안착된 차량부품이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어 승하강되도록 하는 승하강부와, 상기 승하강부에 의한 차량부품의 하강시, 상기 차량부품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이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배출공에서 배출되는 차량부품을 전달받아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환봉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환봉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들을 상호 연결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복수의 가이드환봉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환봉을 회전시켜 나머지 가이드 환봉을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환봉의 일측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부품을 상기 복수의 가이드환봉이 형성한 내측 공간으로의 통과는 허용하며, 상기 통과된 차량부품의 측부와 맞닿아 상기 차량부품이 가이드환봉이 형성한 내측공간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브라켓과, 상기 가압브라켓과 고정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부품이 상기 가압브라켓의 통과시 탄성복원력이 저장되며, 상기 차랑부품이 가압브라켓의 통과 후 상기 저장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브라켓을 원상태로 되돌리는 복원스프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브라켓은, 상기 나사산의 피치와 동일한 갯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에 의해 하강된 차량부품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유닛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가동액츄에이터와, 상기 가동액츄에이터와 링크를 매개로 연결되어 전후진되며, 차량부품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로케이터가 구비되는 피동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동유닛은, 상기 가동액츄에이터의 가동축에 설치되어 전후진되는 제1링크와, 일측이 상기 제1링크와 각각 링크결합되는 한 쌍의 제2링크와, 일측이 상기 한 쌍의 제2링크의 타측과 각각 링크결합되며, 타측은 각각 피동브라켓의 피동축에 연결되는 제3링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동축은 상기 피동브라켓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피동브라켓의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피동축과 가이드축이 각각 관통되며, 상기 피동축과 가이드축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로케이터에 의해 차량부품이 지지되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차량부품이 감지되면, 상기 가이드환봉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케이터에 차량부품이 지지되면, 상기 가이드환봉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가동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상기 피동유닛을 후진되도록 하여 상기 배출공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출부는, 상기 배출공에서 배출되는 차량부품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각각 결합되는 이동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브라켓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케이블체인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부품이 정확하게 배출 및 이동되도록 하여 차량부품을 차체 제조 공정 라인의 로봇암에 신속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부품이 복수의 가이드환봉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지지됨으로 인하여 차량부품 간의 적정한 거리를 항상 유지할 수 있어 차량부품이 겹쳐지면서 발생되는 걸림현상이 발생될 염려가 없으므로 차량부품을 안정적으로 하부로 이동 및 배출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환봉의 일측에 차량부품을 복수의 가이드환봉 내측으로 차량부품의 통과는 허용하되, 통과된 차량부품의 측면과 맞닿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차량부품이 나사산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환봉의 나사산을 따라 하강하여 나사산의 하부로 낙하된 차량부품이 로케이터에 안착되어 제어부에 의해 기설정된 패턴으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차량부품의 정확한 인출이 가능한 차량부품용 피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의 승하강부의 내부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의 베이스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의 가이드환봉의 나사산을 따라 차량부품이 하강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의 배출유닛에 의해 차량부품이 배출유닛으로 배출되는 것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의 배출유닛에서 배출된 차량부품이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의 고정수단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장치의 고정수단을 통해 차량부품이 삽입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의 승하강부의 내부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의 베이스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의 가이드환봉의 나사산을 따라 차량부품이 하강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의 배출유닛에 의해 차량부품이 배출유닛으로 배출되는 것을 보인 개념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의 배출유닛에서 배출된 차량부품이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의 고정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장치의 고정수단을 통해 차량부품이 삽입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는, 가이드환봉(100), 승하강부(200), 베이스(300), 인출부(500)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는, 동시에 복수개의 차량부품(10)을 배출공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부품(10)은 4개의 가이드환봉(100)이 형성한 공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배출된다.
먼저, 가이드환봉(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환봉(100)은 외주면에 나사산(101)이 형성된 봉형상의 부재로서, 본 발명에서는 4개의 가이드환봉(100)이 형성한 내측 공간에 차량부품(10)이 끼워지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차량부품(10)의 형상에 따라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환봉(1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0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나사산(101)에는 차량부품(10)이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산(101)에 안착된 차량부품(10)은 후술할 승하강부(200)에 의해 가이드환봉(100)들이 동시에 정회전되면 하강한다.
그러나, 후술할 베이스(300)에 형성된 배출공(310)으로 차량부품(10)이 걸리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 가이드환봉(100)들의 회전방향을 역회전시켜 배출공(310)으로 접근 가능한 높이까지 차량부품(10)을 상승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나사산(101)은 가이드환봉(100)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피치(나사산과 나사산의 이격거리)가 일정해야 함은 물론이고, 4개의 가이드환봉(100)의 피치는 모두 동일해야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가이드환봉(100)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환봉(100) 외부에는 도 11에 도시된 고정수단(40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고정수단(400)은 상기 가이드환봉(100)의 나사산(101)에 안착된 차량부품(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4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410), 가압브라켓(420) 및 복원스프링(430)을 포함하는데, 상기 고정플레이트(410)는 후술할 베이스(300)의 상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부재이며, 이러한 고정플레이트(410)에는 가압브라켓(4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복원스프링(430)은 가압브라켓(420)과 고정플레이트(410) 사이에 구비되어 차량부품(10)이 가압브라켓(420)의 통과시 가이드환봉(100) 측으로 회전되면서 탄성복원력이 저장되며, 차량부품(10)이 가압브라켓(420)을 통과한 후 상기 저장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브라켓(420)을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브라켓(420)은 고정플레이트(410)에 회전축(411)을 매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플레이트(410)에는 복원스프링(430)에 의한 가압브라켓(420)의 복원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브라켓(420)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톱퍼(41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브라켓(420)은 차량부품(10)이 복수의 가이드환봉(100)이 형성한 내측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door)의 역할과, 상기 가이드환봉(100)들이 형성한 공간에서 차량부품(10)이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압브라켓(420)은 나사산(101)에 차량부품(10)이 안착된 상태에서 가이드환봉(100)의 회전에 의해 차량부품(10)이 나사산(101)을 따라 움직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400)은 차량부품(10)을 복수의 가이드환봉(100)이 형성한 내측 공간으로의 통과는 허용하며, 상기 통과된 차량부품(10)의 측부와 맞닿아 차량부품(10)이 가이드환봉(100)들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브라켓(420)은 상술한 나사산(101)의 피치와 동일한 갯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나사산(101)의 피치에 차량부품(10)이 안착되므로 안착된 차량부품(10)의 측부와 맞닿아 고정해야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승하강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승하강부(200)는 복수의 가이드환봉(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이드환봉(100)을 회전시켜 나사산(101)의 상면에 안착된 차량부품(10)이 나사산(101)을 따라 이동되어 승하강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승하강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기어(210), 타이밍벨트(220) 및 구동모터(2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기어(210)는 상술한 가이드환봉(100)들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며, 이러한 회전기어(210)들은 타이밍벨트(220)를 매개로 모두 연결되어 가이드환봉(100)들은 모두 동시에 회전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30)는 상술한 가이드환봉(100)들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환봉(100)에 구비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가이드환봉(100)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가이드환봉(100)에 타이밍벨트(220)를 매개로 연결된 나머지 가이드환봉(100)들은 모두 동시에 회전될 수 있어 상기 나사산에 안착된 차량부품은 안정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다음으로, 베이스(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3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환봉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술한 승하강부(200)에 의해 가이드환봉(100)이 회전되면서 하강하는 차량부품(10)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310)이 구비되는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부(200)에 의해 하강된 차량부품(10)이 배출공(310)을 통해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유닛(32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배출유닛(320)은 가동액츄에이터(330)와 피동유닛(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동액츄에이터(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00)에 고정설치되는 부재이며, 이러한 가동액츄에이터(330)의 가동축(331)에는 제1링크(341)가 고정설치되어 가동축(331)의 전후진시 제1링크(341)도 동시에 전후진된다.
상기 제1링크(341)의 단부에는 한 쌍의 제2링크(342) 일측이 대체로 "Y"자 형상으로 결합되는데, 이러한 제2링크(342)의 일측은 제1링크(341)에, 타측은 제3링크(343)에 각각 링크결합된다.
상기 제3링크(343)는 제2링크(342)의 타측에 연결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제3링크(343)의 일측은 제2링크(342)의 타측에, 제3링크(343)의 타측은 피동브라켓(350)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된 피동축(351)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제1링크(341)와 제3링크(343)는 각각 가동축(331)과 피동축(351)에 연결되어 직선운동하며, 제2링크(342)는 제1링크(341)의 직선운동에 의해 회전되어 피동축(351)을 가동축(331)에 대하여 상대적인 직선운동하게 한다.
한편, 상기 피동브라켓(350)의 길이방향 타측에는 가이드축(352)이 구비되는데, 상기 피동축(351)과 가이드축(352)은 각각 베이스(300)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353)를 관통하며, 가이드부재(353)를 관통한 피동축(351)과 가이드축(352)은 가이드부재(353)에 의해 직선운동이 가이드된다.
상기 피동브라켓(350)이 가이드부재(353)에 의해 고정됨으로 인하여 피동브라켓(350)이 가동액츄에이터(330)의 전후진에 의한 회전이 방지됨은 물론 안정적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피동축(351)은 전후로 직선운동하며, 상기 피동축(351)과 가동축(331)의 직선운동을 연장한 연장선은 서로 수직하게 교차된다.
다시말하면, 상기 가이드부재(353)는 가동축(311)의 직선운동 방향에 대하여 피동축(351)이 상대적으로 수직하게 직선운동 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한편, 상기 피동브라켓(350)에는 내측(배출공(310)측)을 향하여 로케이터(354)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로케이터(354)에는 승하강부(200)에 의해 하강하는 차량부품(10)이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로케이터(354)에 안착된 차량부품(10)은 가동액츄에이터(330)의 작동에 의해 배출공(31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300)에는 차량부품(10)이 로케이터(354)에 안착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0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감지센서(301)에서 차량부품(10)을 감지한 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로케이터(354)에 차량부품(10)이 안착되면, 가이드환봉(100)의 회전을 정지시켜 또 다른 차량부품이 로케이터(354)에 낙하되지 않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가동액츄에이터(330)를 구동시켜 피동유닛(340)으로 하여금 차량부품(10)이 배출공(31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배출공(310)의 하부에 후술할 인출부(500)도 동시에 제어하여 안착플레이트(510)가 배출공(3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도 동시에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인출부(5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인출부(5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공(310)으로 배출되는 차량부품(10)을 전달받아 외부로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외부로 인출된 차량부품(10)은 로봇암(미도시)에 의해 파지되어 차체 제조 공정 라인(미도시)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인출부(500)는 안착플레이트(510)와 이동유닛(520)을 포함하는데, 상기 안착플레이트(510)에는 배출공(310)에서 배출(낙하)되는 차량부품(10)이 안착된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520)은 상기와 같이 배출공(310)에서 배출되는 차량부품(10)을 외부로 인출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이동유닛(520)은 프레임부(521), 이동브라켓(522), 케이블체인(523)이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부(521)는 베이스(300)의 하부에서 베이스(300)를 지지하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524)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가이드레일(524)에는 이동브라켓(522)이 결합되며, 이동브라켓(522)의 일측은 안착플레이트(5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이동브라켓(522)에는 케이블체인(523)이 연결되는데, 이러한 케이블체인(523)은 회전모터(M)와 연결되어 이동브라켓(522)이 가이드레일(524)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에서 차량부품이 외부로 인출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차량부품(10)을 복수의 가이드환봉(100)이 형성한 내측공간으로 삽입한다.
이때, 작업자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부품(10)의 일측 모서리로 가압브라켓(420)을 밀면서 가이드환봉(100)이 형성한 내측공간으로 삽입하는데, 가압브라켓(420)은 차량부품(10)의 삽입이 완료된 후, 복원스프링(430)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차량부품(10)은 가이드환봉(100)의 피치로 진입하여 나사산(101)의 상면에 안착되며, 차량부품(10)이 나사산(10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는 최대의 갯수는 약 20개 내외가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이 설치되는 현장여건과 차량부품(10)의 크기와 종류 및 형상에 따라 다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차량부품(10)의 삽입이 완료되면, 차량부품(10)을 배출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이후, 제어부는 자동 또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승하강부(200)를 가동시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환봉(100)들을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나사산(101)에 안착되어 있는 차량부품(10)은 나사산(101)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산(101)을 따라 하강하는 차량부품(10)은 나사산(101)이 없는 가이드환봉(100)의 하부에서는 낙하하는데, 이렇게 낙하된 차량부품(10)은 로케이터(354)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로케이터(354)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 차량부품(10)은 베이스(300)에 구비된 감지센서(301)에 의해 감지되고, 이렇게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되어 또 다른 차량부품이 낙하되지 않도록 승하강부(200)의 가동을 정지시킨다.
이후, 제어부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액츄에이터(330)를 구동시키는데, 가동액츄에이터(330)의 가동축(331)을 제1링크(341)와 제2링크(342)가 수직한 상태가 될때 까지 전진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링크(341)와 제2링크(342)가 수직한 상태가 되면, 제3링크(343)는 제2링크(342)에 의해 후진하게 되며, 동시에 제3링크(343)에 연결되어 있는 피동축(351)과 피동브라켓(350)이 연쇄적으로 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동브라켓(350)에 설치된 로케이터(354)도 동시에 후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로케이터(354)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차량부품(10)은 배출공(310)을 통해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가동축(331)이 전진하면, 피동축(351)은 상대적으로 후진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피동브라켓(350)은 벌어지면서 배출공(310)을 개방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배출공(310)을 통해 낙하하는 차량부품(10)은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플레이트(510)의 상면에 안착되며, 안착된 차량부품(10)은 이동유닛(520)에 의해 외부로 인출된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안착플레이트(510)는 케이블체인(523)과 이동브라켓(522)을 매개로 연결되어 이동브라켓(522)의 하부는 프레임부(521)의 가이드레일(524)과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체인(523)이 전진함에 따라 이동브라켓(522)와 안착플레이트(510)는 함께 이동되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부로 인출된 차량부품(10)은 로봇암에 의해 파지되어 차체 제조 공정 라인으로 이동되어 차체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차량부품(10)의 인출이 완료된 후, 케이블체인(523)이 후진하여 안착플레이트(510)는 다시 베이스(300)의 하부, 즉, 배출공(310)의 하부로 이동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차량부품
100-가이드환봉 101-나사산
200-승하강부 210-회전기어
220-타이밍벨트 230-구동모터
300-베이스 301-감지센서
310-배출공 320-배출유닛
330-가동액츄에이터 331-가동축
340-피동유닛 341-제1링크
342-제2링크 343-제3링크
350-피동브라켓 351-피동축
352-가이드축 353-가이드부재
354-로케이터
400-고정수단 410-고정플레이트
411-회전축 412-스톱퍼
420-가압브라켓 430-복원스프링
500-인출부 510-안착플레이트
520-이동유닛 521-프레임부
522-이동브라켓 523-케이블체인
524-가이드레일

Claims (13)

  1.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의 상면에는 차량부품이 안착되는 가이드환봉과,
    상기 복수의 가이드환봉을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나사산의 상면에 안착된 차량부품이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어 승하강되도록 하는 승하강부와,
    상기 승하강부에 의한 차량부품의 하강시, 상기 차량부품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이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배출공에서 배출되는 차량부품을 전달받아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부가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환봉의 일측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부품을 상기 복수의 가이드환봉이 형성한 내측 공간으로의 통과는 허용하며, 상기 통과된 차량부품의 측부와 맞닿아 상기 차량부품이 가이드환봉이 형성한 내측공간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브라켓과,
    상기 가압브라켓과 고정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부품이 상기 가압브라켓의 통과시 탄성복원력이 저장되며, 상기 차랑부품이 가압브라켓의 통과 후 상기 저장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브라켓을 원상태로 되돌리는 복원스프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환봉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환봉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들을 상호 연결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복수의 가이드환봉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환봉을 회전시켜 나머지 가이드 환봉을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브라켓은,
    상기 나사산의 피치와 동일한 갯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에 의해 하강된 차량부품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유닛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가동액츄에이터와,
    상기 가동액츄에이터와 링크를 매개로 연결되어 전후진되며, 차량부품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로케이터가 구비되는 피동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피동유닛은,
    상기 가동액츄에이터의 가동축에 설치되어 전후진되는 제1링크와,
    일측이 상기 제1링크와 각각 링크결합되는 한 쌍의 제2링크와
    일측이 상기 한 쌍의 제2링크의 타측과 각각 링크결합되며, 타측은 각각 피동브라켓의 피동축에 연결되는 제3링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피동축은 상기 피동브라켓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피동브라켓의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피동축과 가이드축이 각각 관통되며, 상기 피동축과 가이드축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로케이터에 의해 차량부품이 지지되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차량부품이 감지되면, 상기 가이드환봉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케이터에 차량부품이 지지되면, 상기 가이드환봉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가동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상기 피동유닛을 후진되도록 하여 상기 배출공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배출공에서 배출되는 차량부품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각각 결합되는 이동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브라켓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케이블체인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KR1020140089972A 2014-07-16 2014-07-16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KR101555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972A KR101555336B1 (ko) 2014-07-16 2014-07-16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972A KR101555336B1 (ko) 2014-07-16 2014-07-16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336B1 true KR101555336B1 (ko) 2015-09-23

Family

ID=5424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972A KR101555336B1 (ko) 2014-07-16 2014-07-16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3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2867A (zh) * 2018-02-10 2018-08-10 长春工大检测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上盖自动上料机构
CN112830216A (zh) * 2020-12-30 2021-05-25 航天科工智能机器人有限责任公司 一种医疗器械硬质可堆叠外壳自动上料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6820A (ja) * 2009-08-14 2011-02-24 Toyo Seikan Kaisha Ltd 不良蓋排除装置及び不良蓋排除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6820A (ja) * 2009-08-14 2011-02-24 Toyo Seikan Kaisha Ltd 不良蓋排除装置及び不良蓋排除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2867A (zh) * 2018-02-10 2018-08-10 长春工大检测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上盖自动上料机构
CN112830216A (zh) * 2020-12-30 2021-05-25 航天科工智能机器人有限责任公司 一种医疗器械硬质可堆叠外壳自动上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3908B2 (en) System and method with floating welder for high rate production welding
KR101000716B1 (ko) 다차종 대응 범용 스토리지 취출 장치
CN105798609B (zh) 限位开关组装机
KR101149361B1 (ko) 공작기계용 소재 급속 로딩 및 언로딩 시스템
KR101555336B1 (ko) 차량용 부품 배출 장치
CN109013795A (zh) 汽车座椅调角器滚边和扭矩检测设备
PH120155022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itch conversion of pick and place heads, pick and place head and pick and place device
CN110902303B (zh) 一种成对工件的对称位置自动上料设备
CN201010368Y (zh) Ic全自动托盘式检测编带机的托盘分离装置
JP4942157B2 (ja) カップ供給装置
JP4855865B2 (ja) 荷移載装置及び荷移載方法
CN208214118U (zh) 一种管件中转料斗、管件升降中转系统及旋压机
EP0016280B1 (en) Loader for gear burnishing machine
CN110584189A (zh) 烟草上料系统
CN115535604A (zh) 料盒下料装置及下料方法
CN112917113B (zh) 一种安全帽带扣组装机的扭簧送料装置
CN108480965B (zh) 一种车感组件装配设备
CN107695274B (zh) 铆接机
CN110355547A (zh) 一种扭簧的分料输送机
CN111483807B (zh) 自动供料设备
CN218524124U (zh) 一种丝杆跳动数据收集装置
CN108620503B (zh) 细长金属管路横向上料机构及上料方法
CN205057454U (zh) 棒状工件排列设备
JPH06321348A (ja) 枠体供給装置
CN113636325A (zh) 内存条插件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