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356B1 - Av 신호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Av 신호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356B1
KR101552356B1 KR1020090044880A KR20090044880A KR101552356B1 KR 101552356 B1 KR101552356 B1 KR 101552356B1 KR 1020090044880 A KR1020090044880 A KR 1020090044880A KR 20090044880 A KR20090044880 A KR 20090044880A KR 101552356 B1 KR101552356 B1 KR 101552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modulator
processing
strength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918A (ko
Inventor
김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4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35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신호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이들 신호의 품질에 대한 상태를 파악하는 데 보다 용이한 신호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믹서, OSC, 및 PLL 블럭을 구비한 신호 선택부와, 디모듈레이터를 구비하는 AV 신호처리장치의 AV신호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신호의 세기가 예정된 임계값보다 약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가 약한 경우 상기 디모듈레이터에서 상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가 약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신호 선택부에서 상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신호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영상, 음성, SNR, 디모듈레이터, 신호세기.

Description

AV 신호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AV SIGNAL}
본 발명은 AV(Audio and Video)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AV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신호의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공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많은 전자기기들이 개발되었고, 그로 인해 인간의 생활이 편리해졌다. 특히 소리정보와 영상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텔레비젼 세트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편리하게 사용하는 전자기기이다. 텔레비젼 세트 이외에도 최근에는 소리정보와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전가기기들이 개발되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소리정보와 영상정보는 송신을 할 때에 고주파수에 더해져, 즉 변조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수신하는 신호처리장치는 변조된 신호를 입력받아 복조과정을 통해 소리와 영상정보를 분리해내고 이를 예정된 스피커와 화면표시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신호처리장치는 분리된 소리신호와 영상신호의 신호품질이 좋은지 나쁜지 체킹할 필요가 있다. 분리된 소리신호와 영상신호의 품 질이 좋지 않다면 복조하는 과정에 변화를 준다던지 기타 다른 동작에 변화를 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신호처리장치는 사용자가 현재 신호의 품질에 대해 체크하고, 신호처리과정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소리신호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이들 신호의 품질에 대한 상태를 파악하는 데 보다 용이한 신호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믹서, OSC, 및 PLL 블럭을 구비한 신호 선택부와, 디모듈레이터를 구비하는 AV 신호처리장치의 AV신호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신호의 세기가 예정된 임계값보다 약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가 약한 경우 상기 디모듈레이터에서 상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가 약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신호 선택부에서 상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신호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모듈레이터에서 SNR 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되는 RF 신호를 증폭하여 신호 선택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신호 선택부에서 상기 증폭된 RF 신호에서 영상과 소리를 가지고 있는 신호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디모듈레이터에서 상기 증폭되고 분리된 신호를 디모듈레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호 선택부는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모듈레이터에서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 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입력되는 소리신호와 영상신호의 품질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이들 신호를 활용하는데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AV 신호의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특히 AV 신호의 처리방법중에서 수신된 신호의 품질을 파악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신호처리장치가 채널검색을 하고, AV신호를 입력받아 영상과 소리출력을 수행한다. 신호처리장치는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소리신호의 품질을 체크하여 파악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신호의 세기(Signal Strength)와, SNR(Signal to Nosie Ratio)이다. 신호의 세기는 강신호/약신호/무신호와 같이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기 위한 지표이며, SNR은 신호대 잡음 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신호의 깨끗함을 표시하기 위한 지표이다.
텔레비젼 세트나 또는 셋탑박스에서는 이 두개의 지표를 영상신호와 소리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체크한다. 만약 사용자가 기능키를 이용하여 이들 지표를 화면에 출력하고자 하면, 신호처리장치는 체크된 지표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2는 도1에 있는 AV 신호의 처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RF 증폭기(100), 밴드 패스 필터(200), 신호 선택부(300), IF 증폭기(400), 및 디모듈레이터(500)를 구비한다. RF 증폭기(100)는 RF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RF 신호는 다양한 채널의 영상신호와 소리신호를 담고 있으며, 복조가 된 신호를 말한다. 밴드 패스 필터(200)는 RF 증폭기(1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신호 선택부(300)는 밴드 패스 필터(200)에서 제공되는 RF 신호중에서 원하는 영상과 소리정보가 담겨져 있는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신호 선택부(300)는 믹서(310), OSC(320), 및 PLL(330) 블럭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신호(SCL,SDA)를 입력받아 예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SS)를 측정하여 제공한다. OSC 블럭(320)은 클럭발진회로를 말한다. 또한 신호 선택부(300)는 RF 증폭기(100)로 피드백신호(RFA)를 출력하여, RF 증폭기(100)의 게인(Gain)을 제어한다. 도2에 도시된 블럭들은 단지 신호의 세기(SS)와 SNR 을 추출하기 위한 블럭은 아니며, 실제 AV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블럭이며, 여기서는 신호의 세기(SS)와 SNR를 추출하는 것을 중심으로 도시한 것이다.
IF 증폭기(400)는 믹서(310)에서 제공되는 출력신호를 증폭한다. 디모듈레이터(500)는 제어신호(SCL,SDA)를 입력받아 IF 증폭기(4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복조하고, SNR 신호를 제공한다. 디모듈레이터(500)는 피드백신호(IFA)를 통해 IF 증폭기(400)의 게인을 제어한다. 제어신호(SCL,SDA)는 클럭신호(SCL)와 명령을 담고 있는 데이터 신호(SDA)를 포함하며, 이들 신호는 중앙처리장치가 있는 블럭으로부터 제공된다. 신호 선택부(300)는 강한 신호가 입력되면, RF 증폭기(100)를 제어하여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고, RF 증폭기(100)가 보상할 수 없을 정도로 약한 신호가 입력되면, IF 증폭기(400)를 제어하여 신호의 세기를 증폭한다.
신호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신호의 세기(SS)와 SNR가 출력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SNR는 디모듈레이터(500)에 의해 생성되어 출력된다. 신호의 세기(SS)는 신호 선택부(300) 또는 디모듈레이터(500)에 의해 출력된다. 신호의 세기(SS)가 일정한 레벨이상인 경우에는 신호 선택부(300)에서 출력되고, 일정한 레벨이하인 경우, 즉 약한경우에는 신호 선택부(300)에서는 예정된 일정한 값을 출력하고, 디모듈레이터(500)에서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최종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는(SS)는 신호 선택부(300)과 디모듈레이터(50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결합하여 정해지게 된다.
여기에 관해 자세히 살펴보면, AV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서 신호의 세기를 RF 증폭기(100)와 IF 증폭기(400)로 조절하는데, 이 둘은 신호 선택부(300)와, 디모듈레이터(500)에서 각각 제어할 수도 있고, 디모듈레이터(500)에서 둘 모두 제어할 수도 있다. 만약 디모듈레이터(500)에서 두 증폭동작을 모두 제어하게 되면, 신호의 세기 또한 모두 디모듈레이터(500)에서 측정하게 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RF 증폭기(100)와 디모듈레이터(5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서 중간에 노이즈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 방법은 요즘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그래서 요즘은 RF 증폭기(100)의 증폭동작은 믹서(310), OSC(320), 및 PLL(330) 블럭을 구비한 신 호 선택부(300)에서 제어하고 IF 증폭기(400)는 디모듈레이터(500)에서 제어하고 있는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이 경우에는 신호의 세기를 신호 선택부(300)와, 디모듈레이터(500)에서 각각 전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게 된다.
RF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신호 선택부(300) 또는 디모듈레이터(500)가 신호의 세기(SS)를 출력하고, 디모듈레이터(500)가 SNR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입력되어 처리되는 신호가 약한 경우에 먼저 신호 선택부(300)가 동작하여 입력된 신호가 약한 것을 감지하고, 이어서 디모듈레이터(500)에서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신호가 약한 경우 신호 선택부(300)는 불필요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선택부(300)는 단지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기 위한 블럭이 아니며, 믹서(310), OSC(320), 및 PLL(330) 블럭을 구비하여, 입력된 신호중에서 필요한 주파수의 소리신호와 영상신호를 분리하여 IF 증폭기(400)로 전달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는 블럭이다. 신호 선택부(3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해야만, 신호처리장치가 RF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소리와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신호 선택부(300)를 동작시키면, 처리되는 신호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처리되는 신호가 약한 경우에는 신호 선택부를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하지 않고, 바로 디모듈레이터가 동작할 수 있는 신호처리방법을 제안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V 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 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AV 신호 처리방법은 먼저 채널검색을 수행하고(S1), 영상/음성을 출력한다.(S2) 이어서, 신호상태표시 요구가 있는지 판단하여, 신호상태표시에 대한 요구가 있다면(S3), 디모듈레이터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세기를 읽는다.(S4) 이어서 디모듈레이터에서 읽은 신호의 세기가 약한 경우에는(S5) 신호의 세기를 표시한다.(S7) 만약 디모듈레이터에서 읽은 신호의 세기가 약한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신호 선택부에서 신호의 세기를 읽는다.(S6) 이어서 신호 선택부에서 읽은 신호의 세기를 표시한다.(S7) 이어서 디모듈레이터에서 SNR을 감지하여 신호 품질에 대해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방법은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과정에서 먼저 신호의 세기가 예정된 임계값보다 낮은 약한 신호인지, 예정된 임계값보다 강한 신호인지 체크한다. 이어서, 강한 신호라면 신호 선택부에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약한 신호라면 신호 선택부는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디모듈레이터에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따라서 신호 선택부에서 불필요하게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신호 선택부의 동작상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믹서(310), OSC(320), 및 PLL(330) 블럭을 구비한 신호 선택부에 대한 동작을 최소화하여, 이전의 방법에 비하여 소리 및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에러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 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1은 AV 신호의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2는 도1에 있는 AV 신호의 처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블럭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V 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RF 증폭기 200: 밴드 패스 필터
300: AV 신호 선택부 400: IF 증폭기
500: 디모듈레이터

Claims (5)

  1. 믹서, OSC, 및 PLL 블럭을 구비한 신호 선택부와, 디모듈레이터를 구비하는 AV 신호처리장치의 AV신호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모듈레이터에서 입력된 신호의 세기가 예정된 임계값보다 약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가 약한 경우 상기 디모듈레이터에서 상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가 약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신호 선택부에서 상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AV 신호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모듈레이터에서 SNR 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신호처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RF 증폭기에서 입력되는 RF 신호를 증폭하여 신호 선택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신호 선택부에서 상기 증폭된 RF 신호에서 영상과 소리를 가지고 있는 신호를 분리하는 단계;
    IF 증폭기에서 상기 분리된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디모듈레이터에서 상기 증폭되고 분리된 신호를 디모듈레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신호처리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택부는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신호처리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모듈레이터에서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신호처리방법.
KR1020090044880A 2009-05-22 2009-05-22 Av 신호처리 방법 KR101552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880A KR101552356B1 (ko) 2009-05-22 2009-05-22 Av 신호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880A KR101552356B1 (ko) 2009-05-22 2009-05-22 Av 신호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918A KR20100125918A (ko) 2010-12-01
KR101552356B1 true KR101552356B1 (ko) 2015-09-10

Family

ID=4350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880A KR101552356B1 (ko) 2009-05-22 2009-05-22 Av 신호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3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4365A (ja) 2005-10-05 2007-04-19 Sharp Corp 放送受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4365A (ja) 2005-10-05 2007-04-19 Sharp Corp 放送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918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9951B1 (ko) 무선송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오버레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4179928A5 (ko)
KR20070014095A (ko) 무선 오디오 전송 시스템, 수신기, 비디오 카메라, 및오디오 믹서
JP2013081224A (ja) チャンネル信号強度を有する番組ガイド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552356B1 (ko) Av 신호처리 방법
KR20150087509A (ko) 위성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위성 방송 수신 방법
EP1355502B1 (en) Video measurement instrument having a common input port for analog and digital video signals
JP2005311570A (ja) デジタル変調信号評価装置
KR100797679B1 (ko) 표시 장치, 무선 송수신 시스템, 표시 방법, 및 기록 매체
US7185242B2 (en) Digital display apparatus supporting error compensation and method thereof
CN101212564A (zh) 改善图像质量的图像重现设备和方法
JP6079199B2 (ja) 無線通信機、および無線通信機における妨害波警告方法
KR20070120696A (ko) 수신상태 측정 및 표시하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기 및그 방법
JP2013187840A (ja) 信号レベル測定装置
JP2010109792A (ja) 出音方法、出音装置、及び受像装置
JP6726999B2 (ja) 検査システム
KR20170109444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025660A (ja) 電波状態検出装置、電波状態検出方法、及び電波状態検出プログラム
JP2007288521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1484784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신호 세기 표시 방법
JP5918820B2 (ja) 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JP4082240B2 (ja) 受信装置
KR19980041113U (ko) 시력검사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JP2005051676A (ja) 同期分離回路
JP2008054019A (ja) リモコ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