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292B1 - 플레이트형 제습기 - Google Patents

플레이트형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292B1
KR101547292B1 KR1020130161652A KR20130161652A KR101547292B1 KR 101547292 B1 KR101547292 B1 KR 101547292B1 KR 1020130161652 A KR1020130161652 A KR 1020130161652A KR 20130161652 A KR20130161652 A KR 20130161652A KR 101547292 B1 KR101547292 B1 KR 101547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ying
unit
panel
out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3672A (ko
Inventor
곽병두
Original Assignee
(주)두영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영에너텍 filed Critical (주)두영에너텍
Priority to KR1020130161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2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3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이트형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실내 공기의 제습을 플레이트형 제습 유닛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 공간에 제습유닛 탑재부를 형성하고, 제습유닛 탑재부의 각 모서리로부터 하우징의 측벽까지 연설되는 하나 이상의 분리벽으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분리한 하우징 유닛, 및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분리 통과를 위한 흡습 유로 및 제습 유로를 각각 형성한 복수 개의 제습패널을 교차되게 적층시켜 하우징 유닛 내부의 각 실과 연통 가능하도록 제습유닛 탑재부에 설치되는 교환 제습유닛을 포함하는 플레이트형 제습기를 제공하여, 종래의 로터형 제습 유닛에서 발생되는 소음, 발열, 전력 문제 등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도 소용량부터 대용량의 제습기를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플레이트형 제습기{Plate type dehumidifier}
본 발명은 플레이트형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레이트 타입의 제습 유니트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의 제습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의 로터형 유닛에서 발생되는 소음, 발열, 전력 문제 등을 개선하여 가정용 옷장이나 욕실 등과 같이 콤팩트한 공간의 습기가 많은 곳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용량형부터 사무 공간, 공장 현장 등에 적용가능한 대용량형까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한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제습기는 압축냉각기를 이용하는 냉각식 제습기,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는 반도체 제습기 또는 디스크 형태의 제습로터를 이용하는 회전식 제습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제습기는 실내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특히, 회전식 제습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모터에 벨트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습로터, 제습로터의 일부영역인 재생부로 가열된 재생공기를 공급하는 가열공기 공급부, 제습로터의 나머지 영역인 흡착부를 통해 실내의 습공기를 통과시키는 습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며, 습공기 공급부에는 습공기 블로워가 포함된다.
가열공기 공급부는 재생공기 블로워를 통과한 공기를 히터로 가열한 상태로 재생부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며, 가열된 건공기는 습공기의 습기를 흡착한 상태로 재생부 영역으로 올라온 습기를 말려 제거한다. 이에 따라 제습로터 내부의 제습제는 실리카겔이나 제올라이트로 구성되어 건조해진 상태로 다시 흡착부 영역으로 내려가 흡착을 수행하게 되며, 재생부를 통과한 가열공기는 습기를 머금어 축축한 상태로 응축기를 통과하며 외기와 열교환을 통해 응축기로 수분을 내놓고, 재생공기로서 가열공기 공급부로 돌아가며, 습공기 공급부에서 흡착부를 거친 건공기는 애프터쿨러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지고 건공기 블로워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습장치는 실리카겔이나 제올라이트 등의 무기계 제습제를 코팅한 흡착층을 사용하는 제습로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습공기와 흡착층 간의 접촉면적이 작아 제습 효율이 어느 이상 올라가지 않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제습장치를 오래 사용하여 흡착층이 이물질에 오염될 경우 흡착효율이 더욱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에 알갱이 형태의 흡착재를 수용하는 제습로터의 경우, 유동공간의 부피가 커서 한 공간 안에 채워지는 흡착재의 양이 많으므로, 흡착재가 깨지거나 마모되어 중력에 의해 하부로 가라앉을 우려가 있으며 만약 흡착재가 하부로 가라앉게 되면 유동공간을 통과하는 공기가 흡착재를 만나지 못하고 통과하게 되므로 제습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사용 중 흡착재가 공기와 부딪힘에 의한 소음의 발생현상도 발생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04350호(2008.01.09 공개; 이하 '특허문헌1'이라 약칭함)에는, 제습 장치의 치수를 크게 하거나 운전 조건을 크게 변경하거나 하는 일 없이, 간편한 방법으로 제습 공기의 노점을 낮출 수 있는 제습 방법, 및 상기 제습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제습 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의하면, 재생 존과 냉각 존 사이에 기능 존을 설치하고 기능 존에 냉각용, 건조용 또는 냉각겸 건조용의 기능 존 통기 가스를 공급하거나, 냉각 존과 제습 존 사이에 기능 존을 설치하고 기능 존에 냉각용, 건조용 또는 냉각겸 건조용의 기능 존 통기 가스를 공급하거나, 제습 존과 재생 존 사이에 기능 존을 설치하고 기능 존에 가열용의 기능 존 통기 가스를 공급하여, 제습제의 흡착 용량이 증가하고 제습 공기의 노점을 낮게 하거나, 기능 존에 공급하는 기능 존 통기 가스의 면속을 다른 존보다 빠르게 하여 제습 공기의 노점을 낮출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6105호(2012.05.08 등록; 이하 '특허문헌2'라 약칭함)에는,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 플레이트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 의하면, 설치를 위한 별도의 부재 및 추가공정이 없이 라인을 구성할 수 있어 제작상의 용이함 및 라인 구성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5304호(2013.07.29 공개; 이하 '특허문헌3'이라 약칭함)에는,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제습로터 및 상기 제습로터의 제작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3에 의하면,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제습장치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부에 제습물질을 갖는 것으로서, 제습장치 외부로부터 유입된 습공기를 두께방향으로 통과시키며 습공기 내의 습기를 흡착하는 제습로터에 있어서, 제습로터에는 제습로터를 통과하는 습공기 내의 오염물질을 흡착 및 분해하는 촉매를 구비하여, 제습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공기 중의 질소산화물이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또는 병원성세균이나 곰팡이와 같은 각종 유해물질과 악취의 제거까지 가능하여 습도조절과 공기청정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들은 제습기 및/또는 열교환 장치에서 흡착 공정 및/또는 탈착 공정이 이루어질 때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습기 및/또는 열교환 장치의 용량은 본질적으로 현실화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유체에 노출되어 있는 코팅면에 유동 유체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 입자들이 축적됨으로써 상응하는 장치의 효율을 저하시키거나 세척 및 유지,보수에 상당한 비용이 지출되게 하는 단점이 있다.
KR 10-2008-0004350 A 2008.01.09 공개 KR 10-1146105 B1 2012.05.08 등록 KR 10-2013-0085304 A 2013.07.29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내의 흡기 공기와 급기 공기 간의 제습 동작이 하나의 플레이트형 제습 유닛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로터형 유닛에서 발생되는 소음, 발열, 전력 문제 등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도, 가정용 옷장이나 욕실 등과 같이 콤팩트한 공간의 습기가 많은 곳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소용량형으로부터 사무 공간, 공장 현장 등에 적용가능한 대용량형까지 다양하게 적용대상을 갖는 제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제습유닛을 탑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탑재되는 제습유닛의 공기 흐름을 위한 실내 흡기구, 실내 급기구, 실외 흡기구 및 실외 배기구를 하나 이상의 측벽에 각각 형성한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 탑재되며, 복수 개의 패널형 제습패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몸체의 내부에 제습 유로와 흡습 유로를 각각 분리시켜 형성하되, 상기 제습 유로의 입구와 출구가 상기 흡습 유로의 입구와 출구에 대해 각각 다른 방향을 향하게 형성되는 제습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의 흡기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습유닛의 흡습 유로로 공급되는 실외 흡기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유닛; 상기 제습유닛에서 실내로 공급되는 실내 공기의 급기 유로 상에 설치되어 제습유닛의 제습 유로를 거쳐 나온 실내 급기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급기하는 실내 급기유닛; 및 상기 제습유닛에서 실외로 배기되는 실외 공기의 배기 유로 상에 설치되어 제습유닛의 흡습 유로를 거쳐 나온 실외 배기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실외 배기유닛;을 포함하는 플레이트형 제습기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중앙부에 제습유닛이 설치될 수 있는 제습유닛 탑재부를 형성하고 제습유닛 탑재부의 각 모서리로부터 하우징의 측벽까지 연설되는 하나 이상의 분리벽으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여 각각 제1 실내 흡기실과 제1 실내 급기실 및 제1 실외 흡기실과 제1 실외 배기실을 형성하고 각 분리벽에 의해 분리된 각 실의 하우징 측벽에 제1 실내 흡기구와 제1 실내 급기구 및 제1 실외 흡기구와 제1 실외 배기구를 각각 형성한 제1 하우징 유닛, 제1 하우징 유닛 내부의 각 실과 연통 가능하도록 제습유닛 탑재부에 탑재되며 복수 개의 제습패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몸체의 내부에 제습용 실내공기의 통과를 위한 제습 유로와 흡습용 실외공기의 통과를 위한 흡습 유로를 각각 분리시켜 형성하되 제습 유로와 흡습 유로가 면접촉 가능하면서 제습 유로의 입구와 출구가 흡습 유로의 입구와 출구에 대해 각각 다른 방향을 향하게 형성하여 두 유로 상에서 실내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습유닛, 제1 실외 흡기실에 설치되며 제1 실외 흡기구로부터 흡입되어 제습유닛의 흡습 유로로 공급되는 실외 흡기 공기를 가열하는 제1 가열유닛, 제1 실내 급기실에 설치되며 제1 실내 흡입구로부터 흡입되어 제습유닛의 제습 유로를 거쳐 나온 실내 흡기 공기를 제1 실내 급기구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급기하는 제1 실내 급기유닛, 및 제1 실외 배기실에 설치되어 제습유닛의 흡습 유로를 거쳐 나온 실외 흡기공기를 제1 실외 배기구를 통해 실외로 배기하는 제1 실외 배기유닛을 포함하는 일체형의 플레이트형 제습기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는, 내부에 탑재되는 제습유닛에 의해 하우징 내부 공간을 각각 제2 실내 흡기실과 제2 실내 급기실 및 제2 실외 흡기실과 제2 실외 배기실로 각각 분리시켜 형성하고 분리되는 각 실의 하우징 측벽에 제2 실내 흡기구와 제2 실내 급기구 및 제2 실외 흡기구와 제2 실외 배기구를 각각 형성한 제2 하우징 유닛, 제2 하우징 유닛 내부의 각 실과 연통 가능하도록 제2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제습패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몸체의 내부에 제습용 실내공기의 통과를 위한 제습 유로와 흡습용 실외공기의 통과를 위한 흡습 유로를 각각 분리시켜 형성하되 제습 유로와 흡습 유로가 면접촉 가능하면서 제습 유로의 입구와 출구가 흡습 유로의 입구와 출구에 대해 각각 다른 방향을 향하게 형성하여 두 유로 상에서 실내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습유닛, 제2 하우징 유닛의 제2 실외 흡기구에 덕트를 통해 연결되며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제2 실외 흡기구 및 제2 실외 흡기실을 통해 제습유닛의 흡습 유로로 공급하는 제2 가열유닛, 제2 하우징 유닛의 제2 실내 급기구에 덕트를 통해 연결되며 제습유닛의 제습 유로를 거쳐 나온 실내 흡기공기를 제2 실내 급기실에서 제2 실내 급기구를 통해 흡입하여 실내 공간으로 급기하는 제2 실내 급기유닛, 및 제2 하우징 유닛의 제2 실외 배기구에 덕트를 통해 연결되며 제습유닛의 흡습 유로를 거쳐 나온 실외 흡기공기를 제2 실외 배기실에서 제2 실외 배기구를 통해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하는 제2 실외 배기유닛을 포함하는 분리형의 플레이트형 제습기이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서 제습유닛은, 복수 개의 제습패널이 지그재그로 서로 교차되게 적층되어 하나의 적층 몸체를 형성하는 직교류형 유닛 또는 대향류형 유닛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적층 몸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제습패널이 상하로 층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서 제습유닛은, 복수 개의 제습패널이 지그재그로 서로 교차되게 적층되어 하나의 적층 몸체를 형성하는 직교류형 유닛 또는 대향류형 유닛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적층 몸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제습패널이 횡으로 열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서 제습유닛은, 하층과 상층에 이웃하는 각 제습패널에 대해 하층과 상층에 격층으로 반복되게 흡습 유로와 제습 유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서 제습유닛은, 각 제습패널의 몸체 내부에 일정한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갖는 흡습 유로 또는 제습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서 제습유닛은, 각 제습패널의 몸체 내부에 각 제습패널의 평면상에서 횡방향으로 1회 이상 절곡되게 흡습 유로 또는 제습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서 제습유닛을 형성하는 각각의 제습패널 중 홀수층 또는 홀수열에 적층(또는 배치)되는 제습패널은, 투습지 또는 일반 종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패널, 및 일반 종이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코로게이트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 중의 어느 하나로 굴곡지게 가공되어 그 상, 하부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이 평판형 패널에 접합되는 굴곡형 패널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서 제습유닛을 형성하는 각각의 제습패널 중 짝수층 또는 짝수열에 적층(또는 배치)되는 제습패널은, 투습지 또는 제습 투과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패널, 및 일반 종이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코로게이트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 중의 어느 하나로 굴곡지게 가공되어 그 상, 하부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이 평판형 패널에 접합되는 굴곡형 패널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특히 평판형 패널로 사용되는 제습 투과지는 폴리머 재질로 구성되는 부직포에 활성탄, 활성 알루미나,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흡습제를 함침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분리 통과를 위한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각각 형성한 복수 개의 제습패널을 교차되게 2층 이상 적층시켜 하우징 유닛 내부의 각 실과 연통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실내의 흡기 공기와 급기 공기 간의 제습 동작이 하나의 플레이트형 제습유닛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로터형 유닛에서 발생되는 소음, 발열, 전력 문제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따라서 콤팩트형 또는 대용량형으로 다양한 공간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형 제습기가 소용량형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구현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형 제습기가 대용량형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구현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플레이트형 제습기에 탑재되는 제습유닛이 직교류형 유닛으로 구현된 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플레이트형 제습기에 탑재되는 제습유닛이 대향류형 유닛으로 구현된 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와 그 측면도 및 단위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c와 도 2d는 본 발명의 플레이트형 제습기에 탑재되는 제습유닛이 대향류형으로 구현된 경우의 단위 제습패널의 평면도와 유로 상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2a의 홀수층 및 짝수층 제습패널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도 2a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형 제습기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형 제습기가 소용량형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구현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형 제습기가 대용량형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구현된 예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본 발명의 플레이트형 제습기는 소용량형으로 적용 가능한 일체형 제습기(도 1a 참조), 또는 대용량형으로 적용 가능한 분리형 제습기(도 1b 참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도면에서 일체형 제습기(도 1a 참조)의 경우 제1 제습유닛(200)이 직교류형 유닛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고, 분리형 제습기(도 1b 참조)의 경우 제2 제습유닛(200a)이 대향류형 유닛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들 도면과 이에 따른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해당하며, 소용량형으로 구현되는 일체형 제습기에 대향류형 유닛을 조합하거나 또는 대용량형으로 구현되는 분리형 제습기에 직교류형 유닛을 조합하는 형태로도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체형 제습기의 경우 직교류형 유닛이, 분리형 제습기의 경우 대향류형 유닛이 각각 적용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체형 제습기는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유닛(100)의 내부에 제1 제습유닛(200), 제1 가열유닛(300), 제1 실내 급기유닛(400), 및 제1 실외 배기유닛(500)이 일체형으로 모두 탑재되는 소용량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분리형 제습기는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 유닛(100a)의 내부에 제2 제습유닛(200a)이 탑재되고, 제2 가열유닛(300a), 제2 실내 급기유닛(400a), 및 제2 실외 배기유닛(500a)은 분리형으로 덕트(162-164)를 통해 제2 하우징 유닛(100a)에 연결되는 대용량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소용량형으로 구현되는 일체형 제습기의 경우를 설명한다.
제1 하우징 유닛(100)은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중앙부에 제1 제습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는 제습유닛 탑재부(110)가 구비되고, 이러한 제습유닛 탑재부(110)의 각 모서리로부터 하우징의 측벽(140)까지 하나 이상의 분리벽(121-124)이 연설된다. 이들 하나 이상의 분리벽(121-124)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분리시켜 각각 제1 실내 흡기실(131)과 제1 실내 급기실(133) 및 제1 실외 흡기실(132)과 제1 실외 배기실(134)을 형성한다. 각 분리벽(121-124)에 의해 분리된 각 실의 하우징 측벽(140)에는 제1 실내 흡기구(151)와 제1 실내 급기구(153) 및 제1 실외 흡기구(152)와 제1 실외 배기구(154)를 각각 형성한다.
제1 제습유닛(200)은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분리 통과를 위한 제1 흡습 유로(201) 또는 제1 제습 유로(202)를 형성한 복수 개의 제습패널(211-216)을 2층 이상 적층시켜 형성되며, 제1 하우징 유닛(100) 내부의 각 실(131-134)과 연통 가능하도록 제습유닛 탑재부(110)에 설치되고 별도의 조립 부재(미도시됨) 등을 이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제1 제습유닛(200)에서 각 제습패널(211-216)은 그 몸체 내부에 일정한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갖게 제1 흡습 유로(201) 또는 제1 제습 유로(202)를 형성하며, 이러한 제1 흡습 유로(201)와 제1 제습 유로(202)는 면접촉 가능하게 형성하여 두 유로(201,202) 상에서 실내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1 제습유닛(200)은 도면에서는 직교류형 유닛이 적층형(다수의 패널이 상하로 적층되는 형태)으로 설치된 경우를 예시되어 있으나, 대향류형 유닛이 사용되는 경우 직립형(다수의 패널이 직립하게 배치된 형태)으로 또는 적층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제습유닛(200)은 복수 개의 적층된 제습패널(211-216), 즉 예를 들면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여섯 개의 제습패널(211-216)이 총 6층으로 적층되어 제1 제습유닛(200)이 형성되는 경우 홀수 층에 적층되는 제습패널(211,213,215)과 짝수 층에 적층되는 제습패널(212,214,216)이 각각 지그재그로 서로 교차되게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제습패널(211-216) 각각은 하층과 상층에 이웃하게 적층되는 제습패널에 대해 각각 지그재그로 서로 교차되게 제1 흡습 유로(201)와 제1 제습 유로(202)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홀수 층에 적층된 제습패널(211,213,215) 내부의 유로가 더운 공기가 통과하는 제1 흡습 유로(201)인 경우, 짝수 층에 적층된 제습패널(212,214,216) 내부의 유로는 습한 공기가 통과하는 제1 제습 유로(202)가 되며, 이로써 제1 흡습 유로(201)와 제1 제습 유로(202)는 각각 하층과 상층에 격층으로 반복되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흡습 유로(201)는 홀수 층에 적층된 제습패널(211,213,215) 내부에 형성된 것, 또는 제1 제습 유로(202)는 짝수 층에 적층되는 제습패널(212,214,216)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각각의 제습패널(211-216)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더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경우 해당 제습패널의 유로를 제1 흡습 유로(201)로, 실내의 습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경우 해당 제습패널의 유로를 제1 제습 유로(202)로 명명하기로 한다.
도 3a와 도 3b는 도 2a의 홀수층과 짝수층에 각각 적층되는 단위 제습패널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3a는 홀수층에 적층되는 제습패널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짝수층에 적층되는 제습패널의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습패널(211-216) 중 홀수 층에 적층되는 제습패널(211,213,215)은 투습지 또는 일반 종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패널(211a)과, 일반 종이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굴곡형 패널(211b)이 접합되어 형성되며, 특히 굴곡형 패널(211b)은 코로게이트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다이아몬드 형)으로 굴곡지게 가공되어 그 상, 하부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이 평판형 패널(211a)에 접합됨으로써 코로게이트형(물결 모양)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 굴곡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갖는 제1 흡습 유로(201)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습패널(211-216) 중 짝수 층에 적층되는 제습패널(212,214,216)은 투습지 또는 제습 투과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패널(212a)과, 일반 종이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굴곡형 패널(212b)이 접합되어 형성되며, 특히 굴곡형 패널(212b)은 코로게이트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다이아몬드 형)으로 굴곡지게 가공되어 그 상, 하부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이 평판형 패널(212a)에 접합되어 코로게이트형(물결 모양)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 굴곡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갖는 제1 제습 유로(202)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도 2a의 A부 확대 단면도로서, 도 4a는 평판평 패널(211a 또는 212a)을 투습지로 구현한 경우의 제습 원리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평판형 패널(212a)을 제습 투과지로 구현한 경우, 즉 흡습제(212a-2)를 부직포(212a-1)에 함침시켜 형성한 흡습제 함침형 부직포로 구현한 경우의 제습 원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a의 확대부분(도면에서는 제1층에 위치하는 제습패널(211)의 경우만을 발췌하여 예시하고 있으나 제3층 및 제5층에 위치하는 제습패널(213,215)도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형 패널(211a, 212a)에 사용되는 투습지의 경우, 실내 공기 중의 습기 입자(H2O)를 제1 제습 유로(202) 측에서 제1 흡습 유로(201) 측으로 잘 투과시켜 밖으로 배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습지의 경우 습기 투과율은 870 g/ ㎡.24hr 이며 용도에 맞게 개선 가능하다.
한편, 평판형 패널(212a)에 제습 투과지로 사용되는 흡습제 함침형 부직포는 도 4b의 확대부분(도면에서는 제2층에 위치하는 제습패널(212)의 경우만을 발췌하여 예시하고 있으나 제4층 및 제6층에 위치하는 제습패널(214,216)도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폴리머 재질로 구성되는 부직포(212a-1)에 활성탄(A/C), 활성 알루미나,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흡습제(212a-2)를 함침시켜, 부직포와 흡습제가 일체형으로 되도록 구현한 것으로, 실내 공기 중의 습기(H2O)를 제1 제습 유로(202) 측에서 흡습시켜 제1 흡습 유로(201) 측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이들 흡습제는 아래의 표 1에 예시된 물성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습성 부피밀도
(g/cm3)
평균기공크기
(Å)
표면적
(m3/g)
흡습용량
(g/g absorbent)
A/C 0.35-0.45 20-30 800-1500 0.4-0.5
활성 알루미나 0.7-0.9 40-70 200-400 0.2-0.3
실리카 겔 0.7-0.9 20-50 600-800 0.35-0.5
제올라이트 0.5-0.7 40-60 500-700 0.2-0.3
결과적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한공기는 제습유닛을 통과해서 건조 또는 제습이 된 공기가 실내에 공급된다.
제1 가열유닛(300)은 히터 등으로 구성되어 제1 하우징 유닛(100)의 제1 실외 흡기실(132)에 설치되며, 제1 실외 흡기구(152)로부터 흡입되어 제1 제습유닛(200)의 제1 흡습 유로(201)로 공급되는 실외 흡기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실내 공기가 흡기되는 유로 상에 구비된다.
제1 실내 급기유닛(400)은 급기 블로워 등으로 구성되어 제1 하우징 유닛(100)의 제1 실내 급기실(133)에 설치되며, 제1 제습유닛(200)의 제1 제습 유로(202)를 거치면서 습기를 실외 공기에 전가시키고 나온 건조한 공기를 제1 실내 급기구(153)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급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실외 배기유닛(500)은 배기 블로워 등으로 구성되어 제1 하우징 유닛(100)의 제1 실외 배기실(134)에 설치되며, 제1 제습유닛(200)의 제1 흡습 유로(201)를 거치면서 습기를 함유하고 나온 습한 공기를 제1 실외 배기구(154)를 통해 실외로 배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대용량형으로 구현되는 분리형 제습기의 경우를 설명한다.
제2 하우징 유닛(100a)은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탑재되는 제2 제습유닛(200a)에 의해 하우징 내부 공간을 각각 제2 실내 흡기실(131a)과 제2 실내 급기실(133a) 및 제2 실외 흡기실(132a)과 제2 실외 배기실(134a)로 각각 분리시켜 형성하고, 분리되는 각 실의 하우징 측벽에 제2 실내 흡기구(151a)와 제2 실내 급기구(153a) 및 제2 실외 흡기구(152a)와 제2 실외 배기구(154a)를 각각 형성한다.
제2 제습유닛(200a)은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분리 통과를 위한 제2 흡습 유로(201a) 및 제2 제습 유로(202a)를 각각 형성한 복수 개의 제습패널(221-226)을 교차되게 배치시켜 제2 하우징 유닛(100a) 내부의 각 실과 연통 가능하도록 제2 하우징 유닛(100a)의 내부에 대향류형으로 직립하게 설치되며, 제2 흡습 유로(201a)와 제2 제습 유로(202a)가 면접촉 가능하게 형성하여 두 유로 상에서 실내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제2 제습유닛(200a)은 도면에서는 대향류형 유닛이 직립형(다수의 패널이 직립하게 배치된 형태)으로 설치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으나, 대향류형 유닛은 도2a에 도시된 직교류형 유닛처럼 수평으로 적층된 적층형(다수의 패널이 상하로 적층되는 형태)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제습유닛(200a)은 예를 들어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여섯 개의 제습패널(221-226)이 총 6층으로 배치되어 직립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홀수열(도면의 좌측 가장자리부터 차례로 제1열 내지 제6열 패널이라 함)에 배치되는 제습패널(221,223,225)과 짝수열에 배치되는 제습패널(222,224,226)이 각각 지그재그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제습패널(221-226) 각각은 홀수열과 짝수열에 이웃하게 직립하는 제습패널에 대해 각각 지그재그로 서로 교차되게 제2 흡습 유로(201a)와 제2 제습 유로(202a)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홀수열에 직립 배치된 제습패널(221,223,225) 내부의 유로가 더운 공기가 통과하는 제2 흡습 유로(201a)인 경우, 짝수열에 직립 배치된 제습패널(222,224,226) 내부의 유로는 습한 공기가 통과하는 제2 제습 유로(202a)가 되며, 이로써 제2 흡습 유로(201a)와 제2 제습 유로(202a)는 각각 홀수열과 짝수열에 교대로 반복되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도 제2 흡습 유로(201a)는 홀수열에 배치된 제습패널(221,223,225) 내부에 형성된 것, 또는 제2 제습 유로(202a)는 짝수열에 배치된 제습패널(222,224,226)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만, 각각의 제습패널(221-226)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더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경우 해당 제습패널의 유로를 제2 흡습 유로(201a)로, 실내의 습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경우 해당 제습패널의 유로를 제2 제습 유로(202a)로 명명하기로 한다.
도 2c는 도 2b의 제2 제습유닛(200a)의 홀수열과 짝수열에 각각 배치되는 제습패널을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d는 제2 제습유닛(200a)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2c의 상측은 홀수열에 배치되는 제습패널(221,223,225) 중의 하나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하측은 짝수열에 배치되는 제습패널(222,224,226) 중의 하나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들 각각의 제습패널(221-226)은 전체적으로 그 외관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에서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는 2쌍의 4면은 개방되고 상하에 서로 대향하는 1쌍의 2면은 폐쇄된 형태이다. 특히 도 2b 및 도 2c를 참고하면, 이러한 홀수열에 직립 배치되는 제습패널 (221,223,225)에는 패널을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좌측 상단부에서 우측 하단부로 향하면서 패널의 평면상에서 1회 이상 절곡되게 제2 흡습 유로(201a)가 형성되고, 짝수열에 직립 배치되는 제습패널(222,224,226)에는 패널을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우측 상단부에서 좌측 하단부로 향하면서, 즉 제2 흡습 유로(201a)와는 그 방향이 대칭방향이면서 패널의 평면상에서 1회 이상 절곡되게 제2 제습 유로(202a)가 각각 형성되어, 홀수열에 배치되는 제2 제습패널(221,223,225)의 제2 흡습 유로(201a)와 짝수열에 배치되는 제2 제습패널(222,224,226)의 제2 제습 유로(202a)가 그 방향이 대각으로 교차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제습유닛(200a) 내부에서는 제2 흡습 유로(201a)와 제2 제습 유로(202a)가 대각 방향으로 서로 지그재그로 교차될 수 있도록 패널의 평면상으로 1회 이상 절곡되게 형성하여 있게 되므로, 공기의 통과 속도는 직교류형에 비해 그 흐름이 느리지만 1회 이상 꺽여 형성된 유로를 통과하게 되어 전체적으로는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가 이웃하는 패널을 사이에 두고 면접촉하면서 서로 교차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게 되므로 제습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각각의 제습패널(221-226) 중 홀수열에 배치되는 제습패널 (221,223,225)은 투습지 또는 일반 종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패널과, 일반 종이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굴곡형 패널이 접합되어 형성되며, 굴곡형 패널의 경우 코로게이트형(물결 모양)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다이아몬드형)으로 굴곡지게 가공되어 그 상, 하부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이 평판형 패널에 접합됨으로써, 코로게이트형(물결 모양)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 굴곡 방향의 제2 흡습 유로(201a)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제습패널(221-226) 중 짝수열에 배치되는 제습패널 (222,224,226)은 투습지 또는 제습 투과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패널과, 일반 종이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굴곡형 패널이 접합되어 형성되며, 굴곡형 패널의 경우 코로게이트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다이아몬드 형)으로 굴곡지게 가공되어 그 상, 하부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이 평판형 패널에 접합되으로써 코로게이트형(물결 모양)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 굴곡 방향의 제2 제습 유로(202a)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1b를 참조하면, 제2 가열유닛(300a)은 제2 하우징 유닛(100a)의 외부에 분리되게 설치되며, 제2 하우징 유닛(100a)의 제2 실외 흡기구(152a)에 덕트(162)를 통해 연결되고,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제2 실외 흡기구(152a) 및 제2 실외 흡기실(132a)을 통해 제2 제습유닛(200a)의 제2 흡습 유로(201a)로 공급한다.
제2 실내 급기유닛(400a)은 제2 하우징 유닛(100a)의 외부에 분리되게 설치되며, 제2 하우징 유닛(100a)의 제2 실내 급기구(153a)에 덕트(163)를 통해 연결되고, 제2 제습유닛(200a)의 제2 제습 유로(202a)를 거쳐 나온 실내 흡기공기를 제2 실내 급기실(133a)에서 제2 실내 급기구(153a)를 통해 흡입하여 실내 공간으로 급기한다.
제2 실외 배기유닛(500a)은 제2 하우징 유닛(100a)의 외부에 분리되게 설치되며, 제2 하우징 유닛(100a)의 제2 실외 배기구(154a)에 덕트(164)를 통해 연결되고, 제2 제습유닛(200a)의 제2 흡습 유로(201a)를 거쳐 나온 실외 흡기공기를 제2 실외 배기실(134a)에서 제2 실외 배기구(164a)를 통해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제습기의 제습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 종이 또는 통상의 투습지로 이루어진 판지를 준비하여, 상기 준비된 일반 종이 또는 투습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판지를 원하는 규격(예를 들면 콤팩트형으로 제습기를 제작하는 경우 가로와 세로가 각각 300mm*300mm 일 수 있음)에 맞게 컷팅하여 평판형 패널(211a)을 준비하고, 다시 상기 평판형 패널(211a)과 가로 또는 세로 중의 어느 한 쪽의 길이는 동일하고 다른 나머지 어느 한 쪽의 길이가 긴 형태의 일반종이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다른 하나의 판지를 준비하여, 그 길이가 긴 쪽을 코로게이트형(물결 모양)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으로 굴곡지게 가공하여 굴곡형 패널(211b)을 준비하고, 이러한 굴곡형 패널(211b)을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 패널(211a)의 일면에 접합시켜, 코로게이트형(물결 모양)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 굴곡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갖는 제1흡습 유로(201)를 구비한, 홀수층에 적층될 각각 제습패널(211,213,215)을 형성한다.
이어서, 폴리머 재질로 구성되는 부직포의 일면에 활성탄, 활성 알루미나,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흡습제를 함침시켜, 공기 중의 습기를 흡습제 함침형 부직포의 일면에서 흡습시켜 다른면으로 습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습 투과지, 또는 통상의 투습지로 이루어진 판지를 준비한다.
상기 준비된 투습지 또는 제습 투과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판지를 원하는 규격(예를 들면 콤팩트형으로 제습기를 제작하는 경우 가로와 세로가 각각 300mm*300mm 일 수 있음)에 맞게 컷팅하여 평판형 패널(212a)을 준비하고, 다시 상기 평판형 패널(212a)과 가로 또는 세로 중의 어느 한 쪽의 길이는 동일하고 다른 나머지 어느 한 쪽의 길이가 긴 형태의 일반 종이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다른 하나의 판지를 준비하여, 그 길이가 긴 쪽을 코로게이트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으로 굴곡지게 가공하여 굴곡형 패널(212b)을 준비하고, 이러한 굴곡형 패널(212b)을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 패널(212a)의 일면에 접합시켜, 코로게이트형(물결 모양)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 굴곡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갖는 제1제습 유로(202)를 구비한, 짝수층에 적층될 각각의 제습패널(212,214,216)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복수 개의 제습패널(211-216)을 2층 이상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원하는 규격(예를 들면 콤팩트형으로 제습기를 제작하는 경우 가로와 세로와 높이가 각각 300mm*300mm*300mm 일 수 있음)에 맞는 높이와 층으로 제1 제습유닛(200)을 형성한다. 이때 제1 제습유닛(200)은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분리 통과를 위한 제1 흡습 유로(201)와 제1 제습 유로(202)가 각각 지그재그로 서로 교차시키며, 면접촉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제습패널(211-216)을 2층 이상 적층시켜 형성한다. 이때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여섯 개의 제습패널(211-216)로 총 6층의 제1 제습유닛(200)을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홀수 층에 적층되는 제습패널(211,213,215)과 짝수 층에 적층되는 제습패널(212,214,216)이 각각 지그재그로 서로 교차되게 적층하여, 하층과 상층에 이웃하게 적층되는 제습패널에 대해 각각 지그재그로 서로 교차되게 제1 흡습 유로(201)와 제1 제습 유로(202)를 형성한다.
제1 하우징 유닛(100)의 내부에는 제습유닛 탑재부(110)의 각 모서리로부터 하우징의 측벽(140)까지 연설되는 하나 이상의 분리벽(121-124)으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분리시켜 각각 제1 실내 흡기실(131)과 제1 실내 급기실(133) 및 제1 실외 흡기실(132)과 제1 실외 배기실(134)을 형성하고, 각 분리벽(121-124)에 의해 분리된 각 실의 하우징 측벽(140)에는 제1 실내 흡기구(151)와 제1 실내 급기구(153) 및 제1 실외 흡기구(152)와 제1 실외 배기구(154)를 각각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 제습유닛(200)을 제1 하우징 유닛(100)의 내부 공간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습유닛 탑재부(110)에 설치하여 고정하게 되면, 제1 제습유닛(200)은 제1 하우징 유닛(100) 내부의 각 실(131-134)과 연통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1 하우징 유닛(100)의 제1 실외 흡기실(132)에 제1 가열유닛(300)을 설치하여, 제1 실외 흡기구(152)로부터 흡입되어 제1 제습유닛(200)의 제1 흡습 유로(201)로 공급되는 실외 흡기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고, 다시 제1 하우징 유닛(100)의 제1 실내 급기실(133)과 제1 실외 배기실(134)에 각각 급기 블로워 및 배기 블로워 등으로 구성되는 제1 실내 급기유닛(400) 및 제1 실외 배기유닛(500)을 각각 설치하여 제1 제습유닛(200)의 짝수층에 위치한 제습패널 (212,214,216)의 제1 제습 유로(202)를 거쳐 나온 건조한 공기를 제1 실내 급기구(153)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급기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제1 제습유닛(200)의 홀수층에 위치한 제습패널(211,213,215)의 제1 흡습 유로(201)를 거쳐 나온 습한 공기를 제1 실외 배기구(154)를 통해 실외로 배기할 수 있게 하여, 일체형 제습기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 및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 제1 하우징 유닛(100)의 커버(도면에는 미도시됨)를 덮고 일체형 제습기를 구동시키게 되면, 제1 가열 유닛(300)의 히터와 제1 실내 급기유닛(400)의 급기 블로워 및 제1 실외 배기유닛(500)의 배기 블로워가 각각 작동되면서 실내의 공기는 급기 블로워에 의해 제1 실내 흡기구(151)를 통해 제1 실내 흡기실(131)에 들어온 후 제1 제습유닛(200)의 짝수층에 위치한 제습패널(212,214,216)의 제1 제습 유로(202)를 통과하여 다시 제1 실내 급기실(133) 및 제1 실내 급기구(153)를 통해 실내로 재공급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실외의 공기는 배기 블로워에 의해 제1 실외 흡기구(152)를 통해 제1 실외 흡기실(132)에 들어온 후 제1 가열 유닛(300)에 의해 가열되고 제1 제습유닛(200)의 홀수층에 위치한 제습패널(211,213,215)의 제1흡습 유로(201)를 통과하여 다시 제1 실외 급기실(134) 및 제1 실외 배기구(15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의 제습원리를 보면, 실내의 습한 공기는 제1 제습유닛(200)의 제1 제습 유로(202)를 통과하면서 제1 흡습 유로(201)와 면접하는 상태로 되고, 제1 흡습 유로(201) 내의 실외 공기는 제1 가열 유닛(300)에 의해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제1 제습유닛(200)으로 들어오게 되므로, 서로 지그재그 교차되게 적층된 제1 흡습 유로(201)와 제1 제습 유로(202) 상을 각각 분리되어 흐르는 실내의 습한 공기와 가열된 실외의 더운 공기는 이러한 두 유로 상에서 서로 교차되면서 및 습기를 주고 받는다. 결국, 실내의 습한 공기는 전열 교환지 또는 제습 투과지를 통해 습기(H2O)를 투과시켜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에 습기를 전달할 수 있게 되며, 제1 제습 유로(202)에서 습기를 전달받은 제1 흡습 유로(201) 상의 습기를 흡수한 공기는 제1 실외 배기유닛(500)에 의해 실외로 배기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어 수행되는 경우 실내공기는 제습되고 건조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분리형 제습기의 경우 제2 제습유닛(200a)이 제2 하우징 유닛(100a)에 별도로 분리되어 탑재되는 것만 다르고, 덕트(162-164)를 통해 연통 가능하게 제2 하우징 유닛(100a)에 연결되는 다른 나머지 구성요소(제2 가열유닛(300a), 제2 실내 급기유닛(400a), 및 제2 실외 배기유닛(500a))에 의한 제습 동작 및 그 원리는 동일하므로 분리형 제습기에 대한 동작 설명은 위의 일체형 제습기의 동작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로터식 제습기에 비하여 소형화가 가능하여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발생 요인을 줄일 수 있고, 기존 로터식 제품을 대체 가능(덕트 배치로 각 방에 한 대로 적용 가능)하며, 신축 아파트의 드레스 룸/ 욕실 등 특수 용도로 활용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100a : 하우징 유닛 110 : 제습유닛 탑재부
121-124 : 분리벽 131,131a : 실내 흡기실
132,132a : 실외 흡기실 133,133a : 실내 급기실
134,134a : 실외 배기실 140 : 측벽
151,151a : 실내 흡기구 152,152a : 실외 흡기구
153,153a : 실내 급기구 154,154a : 실외 배기구
200,200a : 제습유닛 201,201a : 흡습 유로
202,202a : 제습 유로 211-216,221-226 : 제습패널
211a,212a : 평판형 패널 211b,212b : 굴곡형 패널
212a-1 : 부직포 212a-2 : 흡습제
300,300a : 가열 유닛 400,400a : 실내 급기유닛
500,500a : 실외 배기유닛

Claims (12)

  1. 삭제
  2. 일체형 플레이트를 구비한 소용량 제습기에 있어서,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중앙부에 제습유닛이 설치될 수 있는 제습유닛 탑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습유닛 탑재부의 각 모서리로부터 하우징의 측벽까지 연설되는 하나 이상의 분리벽으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여 각각 제1실내 흡기실과 제1실내 급기실 및 제1실외 흡기실과 제1실외 배기실을 형성하고, 상기 각 분리벽에 의해 분리된 각 실의 하우징 측벽에 제1실내 흡기구와 제1실내 급기구 및 제1실외 흡기구와 제1실외 배기구를 각각 형성한 제1 하우징 유닛;
    상기 제1하우징 유닛 내부의 각 실과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제습유닛 탑재부에 탑재되며, 복수 개의 제습패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몸체의 내부에 제습용 실내공기의 통과를 위한 제1 제습 유로와 흡습용 실외공기의 통과를 위한 제1 흡습 유로를 각각 분리시켜 형성하되, 상기 제1 제습 유로와 제1 흡습 유로가 면접촉 가능하면서 제1 제습 유로의 입구와 출구가 상기 제1 흡습 유로의 입구와 출구에 대해 각각 다른 방향을 향하게 형성하여 상기 두 유로 상에서 실내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1 제습유닛;
    상기 제1 실외 흡기실에 설치되며 제1 실외 흡기구로부터 흡입되어 제1 제습유닛의 제1 흡습 유로로 공급되는 실외 흡기 공기를 가열하는 제1 가열유닛;
    상기 제1 실내 급기실에 설치되며 제1 실내 흡입구로부터 흡입되어 제1 제습유닛의 제1 제습 유로를 거쳐 나온 실내 흡기 공기를 제1 실내 급기구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급기하는 제1 실내 급기유닛; 및
    상기 제1 실외 배기실에 설치되어 제1 제습유닛의 제1 흡습 유로를 거쳐 나온 실외 흡기공기를 제1 실외 배기구를 통해 실외로 배기하는 제1 실외 배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습유닛을 형성하는 각각의 제습패널 중 홀수층 또는 홀수열에 위치되는 제습패널은, 투습지 또는 일반 종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패널 및 일반 종이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코로게이트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 중의 어느 하나로 굴곡지게 가공되어 그 상, 하부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이 평판형 패널에 접합되는 굴곡형 패널로, 가열된 흡습용 실외공기의 통과를 위한 제1 흡습 유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제습유닛을 형성하는 각각의 제습패널 중 짝수층 또는 짝수열에 위치되는 제습패널은, 투습지 또는 제습 투과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패널 및 일반 종이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코로게이트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 중의 어느 하나로 굴곡지게 가공되어 그 상, 하부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이 평판형 패널에 접합되는 굴곡형 패널로, 습기를 포함하는 실내공기의 통과를 위한 제1 제습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습 투과지는 폴리머 재질로 구성되는 부직포에 활성탄, 활성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흡습제를 함침시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 제습 유로를 통과하는 실내공기 중의 습기가 상기 짝수층 또는 짝수열 제습패널의 투습지 또는 제습 투과지를 통과하여 홀수층 또는 홀수열 제습패널로 이동하면, 제1 흡습 유로를 통과하는 가열된 실외공기에 의해 상기 습기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형 제습기.
  3. 분리형 플레이트를 구비한 대용량 제습기에 있어서,
    내부에 탑재되는 제습유닛에 의해 하우징 내부 공간을 각각 제2 실내 흡기실과 제2 실내 급기실 및 제2 실외 흡기실과 제2 실외 배기실로 각각 분리시켜 형성하고, 분리되는 각 실의 하우징 측벽에 제2 실내 흡기구와 제2 실내 급기구 및 제2 실외 흡기구와 제2 실외 배기구를 각각 형성한 제2 하우징 유닛;
    상기 제2 하우징 유닛 내부의 각 실과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제습패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몸체의 내부에 제습용 실내공기의 통과를 위한 제습 유로와 흡습용 실외공기의 통과를 위한 흡습 유로를 각각 분리시켜 형성하되, 상기 제습 유로와 흡습 유로가 면접촉 가능하면서 제습 유로의 입구와 출구가 상기 흡습 유로의 입구와 출구에 대해 각각 다른 방향을 향하게 형성하여 상기 두 유로 상에서 실내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2 제습유닛;
    상기 제2 하우징 유닛의 제2 실외 흡기구에 덕트를 통해 연결되며,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제2 실외 흡기구 및 제2 실외 흡기실을 통해 제2 제습유닛의 흡습 유로로 공급하는 제2 가열유닛;
    상기 제2 하우징 유닛의 제2 실내 급기구에 덕트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2제습유닛의 제습 유로를 거쳐 나온 실내 흡기공기를 제2 실내 급기실에서 제2 실내 급기구를 통해 흡입하여 실내 공간으로 급기하는 제2 실내 급기유닛; 및
    상기 제2 하우징 유닛의 제2 실외 배기구에 덕트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2 제습유닛의 흡습 유로를 거쳐 나온 실외 흡기공기를 제2 실외 배기실에서 제2 실외 배기구를 통해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하는 제2 실외 배기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습유닛을 형성하는 각각의 제습패널 중 홀수층 또는 홀수열에 위치되는 제습패널은, 투습지 또는 일반 종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패널 및 일반 종이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코로게이트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 중의 어느 하나로 굴곡지게 가공되어 그 상, 하부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이 평판형 패널에 접합되는 굴곡형 패널로, 가열된 흡습용 실외공기의 통과를 위한 제2 흡습 유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제습유닛을 형성하는 각각의 제습패널 중 짝수층 또는 짝수열에 위치되는 제습패널은, 투습지 또는 제습 투과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패널 및 일반 종이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코로게이트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사류형 중의 어느 하나로 굴곡지게 가공되어 그 상, 하부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이 평판형 패널에 접합되는 굴곡형 패널로, 습기를 포함하는 실내공기의 통과를 위한 제2 제습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습 투과지는 폴리머 재질로 구성되는 부직포에 활성탄, 활성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흡습제를 함침시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2 제습 유로를 통과하는 실내공기 중의 습기가 상기 짝수층 또는 짝수열 제습패널의 투습지 또는 제습 투과지를 통과하여 홀수층 또는 홀수열 제습패널로 이동하면, 제2 흡습 유로를 통과하는 가열된 실외공기에 의해 상기 습기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형 제습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30161652A 2013-12-23 2013-12-23 플레이트형 제습기 KR101547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652A KR101547292B1 (ko) 2013-12-23 2013-12-23 플레이트형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652A KR101547292B1 (ko) 2013-12-23 2013-12-23 플레이트형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672A KR20150073672A (ko) 2015-07-01
KR101547292B1 true KR101547292B1 (ko) 2015-08-25

Family

ID=5378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652A KR101547292B1 (ko) 2013-12-23 2013-12-23 플레이트형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358B1 (ko) * 2018-06-12 2020-02-11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벽면녹화 및 공기정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0372A (ja) 2005-03-08 2006-09-21 Yamato Kobo:Kk 全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0372A (ja) 2005-03-08 2006-09-21 Yamato Kobo:Kk 全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672A (ko)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0446B1 (en) Indirect evaporative cooler
US6978635B2 (en) Adsorption element and air conditioning device
AU2002330393B2 (en) Air conditioner
US20160146479A1 (en) Dehumidification device and dehumidification system
JP4341924B2 (ja) デシカント換気システム
WO2022014652A1 (ja) 調湿システム、吸脱着装置、調湿装置及び調湿方法
JP2003028458A (ja) 空気調和装置
WO2015083732A1 (ja) 除湿機
AU2002318752B2 (en) Air conditioning device
KR20060067796A (ko) 제가습 장치
KR101547292B1 (ko) 플레이트형 제습기
JP2003035436A (ja) 空気調和装置
JP4165102B2 (ja) 調湿システム
JP2018169054A (ja) 空調システム
JPH02187542A (ja) 除湿・加湿機及び除湿・加湿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3115391U (ja) 固定型ウェット除湿及びエネルギー回収装置
JP4776642B2 (ja) 加湿装置、および加湿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
JP4710741B2 (ja) 換気装置
JP2002191971A (ja) 吸着素子構造体及び調湿装置
JP3649203B2 (ja) 調湿装置
JP2006023079A (ja) 調湿装置
JP4393478B2 (ja) デシカント換気システム
JP2024060974A (ja) 調湿装置及び住宅
JP2023122126A (ja) 調湿装置及び住宅
JPH11207117A (ja) 気体浄化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