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107B1 -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107B1
KR101547107B1 KR1020137020687A KR20137020687A KR101547107B1 KR 101547107 B1 KR101547107 B1 KR 101547107B1 KR 1020137020687 A KR1020137020687 A KR 1020137020687A KR 20137020687 A KR20137020687 A KR 20137020687A KR 101547107 B1 KR101547107 B1 KR 101547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pindle
lower rail
section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711A (ko
Inventor
악셀 슈펙
다니엘 우르반
로베르트 란츠크론
Original Assignee
존슨 콘트롤즈 메탈즈 앤드 메카니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콘트롤즈 메탈즈 앤드 메카니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존슨 콘트롤즈 메탈즈 앤드 메카니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114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에 연결될 수 있는 하부 레일(3), 및 스핀들 리테이너(4)에 의해 회전 고정 방식으로 하부 레일에 배열되는 스핀들(6)을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 리테이너는 하부 레일 상의 체결 개구(17) 및 스핀들 리테이너 상의 체결 개구(20)를 통하여 연장하는 체결 요소(8, 8')에 의해 하부 레일에 체결된다. 특히 스핀들 리테이너를 통하여 연장하는 나사 결합식 플로어 연결부의 경우 스핀들 리테이너의 회전이 주로 배제되는 하부 레일을 가지는 시트 레일을 제공하기 위해, 체결 개구들 및/또는 체결 요소는 체결 개구들의 구역에 배열되는 연결 섹션(18)에서, 원형 형상으로부터 벗어나는 크로스-섹션, 바람직하게는 다각형 크로스-섹션을 가진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 {SEAT RAIL FOR A MOT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에 연결될 수 있는 하부 레일, 스핀들 리테이너에 의해 회전 고정 방식으로 하부 레일 상에 배열되는 스핀들을 가지며, 상기 스핀들 리테이너는 스핀들 리테이너 내의 체결 개구 및 하부 레일 내의 체결 개구를 통하여 연장하는 체결 요소에 의해 하부 레일에 고정된다.
앞에서 명명된 타입의 시트 레일들은 종래 기술로부터 다양한 설계들로 공지되어 있다. 자동차 시트들과 함께, 시트 레일들은 각각의 차량 사용자에 대한 착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능을 하며, 여기에서 자동차 시트들은 일반적으로 상부 레일에 연결되는데, 상부 레일은 차량에 체결되어 배열되는 하부 레일에 대해 조정될 수 있어, 차량 시트의 길이 방향 위치가 개인적 요구들에 대해 차량 시트의 설치 위치에서 조정될 수 있다.
현대의 자동차 시트들은 하부 레일에 대해 자동차 시트를 모터-구동식으로 조정하는 가능성을 점점 더 가져서 각각의 사용자는 특히 안락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요구들에 따라 착석 위치를 조정하는 가능성을 가진다. 하부 레일에 배열되는 스핀들을 가지는 구동 유닛들은 조정에 대해 특히 유용한 것으로 증명되었으며, 하부 레일에서 길이 방향 조정을 위한 스핀들은 구동된 스핀들 너트를 수용하기 위해 설계된다. 소정의 정도로 구동 유닛들을 뒷받침하는 기능적 원리는 스핀들이 회전 고정 방식으로 하부 레일 상에 배열될 것을 요구한다. 이를 위해, 스핀들을 수용하고 하부 레일에 연결되는 스핀들 리테이너들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스핀들 리테이너를 하부 레일에 체결하기 위해, 스핀들 리테이너 및 또한 하부 레일 모두를 통하여 연장하는 체결 볼트들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체결 볼트들은 하부 레일로의 스핀들 리테이너의 체결과 함께, 또한 자동차로의 하부 레일의 고정을 허용한다. 그러나, 이 같은 나사 체결식 플로어 연결부들을 조이는 동안, 체결 볼트들과 스핀들 리테이너 사이의 마찰에 의해, 하부 레일에 대한 스핀들 리테이너의 피벗팅을 초래할 수 있는 스핀들 리테이너로의 조임 토크의 전달이 있으며 이의 결과, 스핀들이 구부러진다. 예를 들면 리벳 연결을 이용하는 스핀들 리테이너의 체결은 나사 체결식 플로어 연결부의 조임 동안 스핀들 리테이너의 회전을 방지하는 목적에 적합하지 않다. 스핀들의 구부러짐은 소음에 부가하여 굽힘 각도에 따라, 더욱이 기능적 장애들을 초래하며 이는 가능하게는 또한 길이 방향 조정의 완전한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기인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레일을 가지는 시트 레일을 제공하는 것이며 하부 레일 상에서 스핀들 리테이너의 회전이 주로, 특히 스핀들 리테이너를 통하여 연장하는 나사 체결식 플로어 연결부의 경우, 주로 배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가지는 시트 레일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용한 추가의 개선들이 종속항들에서 특정된다.
본 발명에 다른 시트 레일은 스핀들 리테이너를 하부 레일에 체결하기 위해 제공된 체결 개구들 및 스핀들 리테이너, 및/또는 체결 요소가 체결 개구들의 구역에 배열되는 연결 섹션에서 원형 형상으로부터 벗어나는 크로스-섹션(cross-section), 바람직하게는 다각형 크로스-섹션을 갖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본 발명에 따라, 스핀들 리테이너 및 이의 설치 위치에 있는 하부 레일이 실질적으로 서로 정렬되게 형성되는 체결 개구들을 가지며, 이 체결 개구들은 체결 개구들을 관통하는 체결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설계된다.
하부 레일에 대한 스핀들 리테이너의 회전에 대한 확실한 잠금은 원형 형상으로부터 벗어나는 크로스-섹션, 바람직하게는 다각형 크로스-섹션을 가지는 체결 요소 및/또는 체결 개구들의 본 발명에 따른 설계에 의해 얻어진다. 체결 볼트에 의해 유발되는, 스핀들 리테이너 상에 작용하는 토크의 경우, 스핀들의 굽힘을 초래하는 스핀들 상에 작용하는 해로운 횡방향 힘들이 배제될 수 있도록 스핀들 리테이너의 시프팅(shifting)이 방지된다. 원형 형상으로부터 벗어나는 크로스-섹션, 특히 다각형 크로스-섹션을 가지는, 체결 개구들 및/또는 연결 섹션의 설계는 하부 레일에 대한 스핀들 리테이너의 회전을 특히 확실히 방지하는데, 이는 이에 의해 스핀들 리테이너의 상대적 운동들이 차단되기 때문이다. 특히, 체결 개구의 대응하는 설계에 따른 크로스-섹션의 다각형 설계는 여기서 하부 레일에 대한 스핀들 리테이너의 회전에 대한 특히 단단한 잠금에 의해 구별된다.
스핀들 리테이너 및 하부 레일 상의 체결 개구들을 통하여 연장하는 체결 요소는 기본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용한 설계에 따라, 그러나 체결 요소는 연결 리벳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연결 리벳의 크로스-섹션은 연결 섹션에서, 즉 설치 상태에서 체결 개구들 내에 배열되는 체결 요소의 구역이 체결 개구들의 크로스-섹션에 맞추어진다. 연결 리벳은 매우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트 레일의 매우 경제적인 제조를 허용한다. 특히, 연결 리벳이 단지 매우 작은 설치 공간만을 요구하도록 단지 작은 구역에서만 스핀들 리테이너 또는 하부 레일의 표면으로부터 연결 리벳이 단지 돌출되도록 연결 리벳이 설계될 수 있다.
원형 형상으로부터 벗어나는 크로스-섹션, 바람직하게는 다각형 크로스-섹션을 가지는 연결 섹션의 특정 설계는 기본적으로 어떠한 형상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히 유용한 설계에 따라, 체결 요소의 연결 섹션은 사각형, 바람직하게는 오각형, 특히 바람직하게는 육각형 크로스-섹션을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연결 섹션들을 가지는 체결 요소들은 특히 용이하고 저렴하게 생산될 수 있고 또한 체결 요소의 측부 표면들에 의해, 하부 레일에 대해 스핀들 리테이너의 회전에 대한 특히 확실한 잠금을 보장한다. 여기서, 오각형, 특히 육각형 크로스-섹션의 설계는 특히 유용한 것으로 증명되었으며, 이에 의해 최소의 간극(play)을 가지고 또는 각각 간극 없이 시트 레일로의 스핀들 리테이너의 체결이 가능하다.
이미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체결 요소의 설계는 기본적으로 자유롭게 선택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히 유용한 실시예에 따라, 설치된 상태에서 스핀들 리테이너와 마주하는 하부 레일의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체결 요소의 연결 섹션에 페그(peg)가 부착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설계에 따라, 체결 요소는 스핀들 리테이너와 마주하는 측부-일반적으로 하부 레일의 하부 측으로부터 섹션이 돌출한다. 이러한 섹션, 즉 페그는 자동차 내에 하부 레일을 위치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페그는 보충 부재(supplement)로서 또는 단지 자동차의 플로어 상의 시트 레일의 특히 간단하고 신속한 위치 설정을 얻기 위한 배열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히 추가의 위치설정 보조 부재(aid)들 및/또는 체결 볼트와 관련하여, 또한 시트 레일의 잘못된 설치가 특히 효과적인 방식으로 회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용한 실시예에 따라, 체결 요소의 페그는 다각형 크로스-섹션 및/또는 페그의 자유 단부를 향하여 점점 가늘어 지는(tapering) 형상을 가진다. 점점 가늘어지는 크로스-섹션은 차량 플로어 상의 시트 레일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다각형 크로스-섹션은 차량 플로어에 대한 시트 레일의 정렬을 허용하고, 또는 각각 시트 레일의 회전 운동을 방지하여 이에 따라 위치설정 정확도를 증가시킨다.
기본적으로, 하부 레일을 자동차에 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체결 볼트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하부 레일을 통하여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용한 설계에 따라, 스핀들 리테이너 및 하부 레일은 각각 시트 레일을 자동차에 고정하기 위해 체결 볼트를 수용하기 위해 설계된 조립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정렬되게 배열되는 제 2 체결 개구를 가진다. 대응하는 설계는 체결 볼트가 하부 레일을 구비한 구역 내에 배열되는 것을 보장하는데, 이 구역에서 스핀들 리테이너의 재료 두께에 의해, 특히 충돌의 경우 찢어짐을 상쇄하는 부가 재료가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 요소의 사용에 의해, 체결 볼트의 조임 동안 마찰에 의해 스핀들 리테이너 상에 작용하는 토크가 스핀들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스핀들 리테이너의 회전을 초래하는 것이 확실히 배제될 수 있다.
구동 유닛의 기능적 원리에 따라, 스핀들 리테이너에서의 스핀들의 배열은 회전에 대해 고정되는 또는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히 유용한 실시예에 따라, 스핀들 리테이너는 회전에 대해 잠금된 방식으로 스핀들을 수용하기 위한, U-형상의 수용 섹션을 가진다. 스핀들을 배열하기 위한 대응하게 설계된 섹션은 스핀들이 특히 확실한 방식으로 회전에 대해 잠금된 스핀들 리테이너에 체결되는 것을 허용한다. 여기서, U-형상 섹션의 자유 림(limb)들은 스핀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스핀들 리테이너에 대한 스핀들의 회전을 확실히 방지한다. 여기서, 체결 요소는 또한 U-형상의 수용 구역의 구역 내에 특히 유용하게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연결의 안정성은 보충 방식으로 증가되며, 이에 따라 스핀들 리테이너가 특히 높은 강성을 가진다. 따라서, 특히 충돌의 경우 스핀들 리테이너가 하부 레일에 대해 찢겨지는 것이 특히 유효하게 방지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은 아래와 같다.
도 1은 시트 레일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시트 레일 위에 상부 레일이 배치되지 않은, 도 1로부터의 시트 레일의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로부터의 하부 레일의 하부 측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체결 요소가 하부 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도 2로부터의 하부 레일의 추가 사시도이며;
도 4a는 도 1로부터의 시트 레일의 부분 구역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어느 정도 절단된(in section) 도 1로부터의 시트 레일의 부분 구역의 추가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도 1의 시트 레일의 부분 구역의 평면도이며;
도 5a는 다각형 연결 크로스-섹션(cross-section)을 가지는 체결 요소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며;
도 5b는 다각형 연결 크로스-섹션을 가지는 체결 요소 및 이에 연결되는 페그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은 자동차 시트에 연결될 수 있는 상부 레일(2) 및 차량의 플로어에 연결될 수 있는 하부 레일(3)을 가지는 시트 레일(1)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은 차량의 플로어에 대한, 또한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 시트의 길이 방향 조정을 위해, 상부 레일(2)은 길이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하부 레일(3)에 장착되며, 여기에서,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시트 하부 레일(2)에서 편안한 길이 방향 조정을 위해, 스핀들(6)이 스핀들 리테이너(4) 및 스핀들 리셉터클(11)을 경유하여 회전 고정 방식으로 하부 레일(3) 상에 장착된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은, 조정 장치의 구동식 스핀들 너트와의 상호 작용에서 스핀들(6)은 상부 레일(2)이 모터-구동 방식으로 하부 레일(3)에 대해 변위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 같은 조정성은 수동 길이 방향 조정에 비해 편안함에서의 증가를 나타내며 이의 위치 설정을 고착하기 위해 모터 구동의 경우 그러나 조정성 기능을 갖지 않는 하부 레일(3) 상에 만입부(13)가 제공된다.
스핀들(6)의 일 단부가 스탬핑(12)들을 이용하여 회전 고정 방식으로 하부 레일(3)에 체결되는 스핀들 리셉터클(11)에 체결된다. 타 단부 상에서, 스핀들(6)은 스핀들 리테이너(4)를 경유하여 하부 레일(3)에 연결되며, 여기에서 스핀들 리테이너(4)는 제 1 체결 개구(20) 및 제 2 체결 개구(9)를 가지며, 하부 레일(3)은 제 1 체결 개구(17) 및 제 2 체결 개구(16)를 가진다(도 2 내지 도 4c 참조).
제 1 체결 개구(20, 17)들 및 제 2 체결 개구(9, 16)들은 하부 레일(3) 상의 스핀들 리테이너(4)의 설치 위치에서 서로 정렬되어 배열된다. 제 1 체결 개구(20, 17)들은 다각형, 즉 육각형 크로스-섹션을 가지며 연결 리벳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 요소(8, 8')의 배열을 허용하는데, 연결 리벳은 연결 섹션(18)에서 대응하는 육각형 크로스-섹션을 가진다. 체결 리벳(8,8')은 제 1 체결 개구(20, 17)들을 통하여 연장하고 연결 섹션(18)의 다각형 크로스-섹션 및 체결 개구(20, 17)들의 대응하는 설계에 의해 하부 레일(3)에 대한 스핀들 리테이너(4)의 회전을 방지한다.
시트 레일(1)을 차량 플로어에 체결시키는 체결 볼트(10)가 제 2 체결 개구(9, 16)들을 통하여 연장하고 차량 플로어에 볼트결합될 때 회전에 대한 적절한 잠금이 특히 유용한데, 이는 체결 볼트(10)의 조임 동안, 체결 볼트(10)와 스핀들 리테이너(4) 사이의 마찰에 의해, 스핀들 리테이너(4)의 회전을 초래할 수 있는 토크가 발생되고 결론적으로 스핀들(6)의 벤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적절한 잠금은 단단함(stiffness)을 초래한다.
스핀들 리테이너(4) 상의 회전에 대해 잠금된 스핀들(6)을 배열하기 위해, 스핀들 리테이너(4)는 U-형상의 수용 섹션(5)을 가지며, U-형상의 수용 섹션은 자유 림들이 스핀들(6)의 평탄화된 연결 섹션(7)을 둘러싼다.
체결을 위해, 리벳(8, 8')으로서 설계되는 체결 요소는 연결 섹션(18)을 이용하여 회전에 대한 잠금이 제공되는 것을 보장하는 임의의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체결 수단은 이의 연결 섹션(18)에 의해 하부 레일(3) 및 스핀들 리테이너(4)의 제 1 체결 개구(20, 17)들 내에 놓이는 리벳(8)으로서 설계되며, 여기에서 위치설정은 리벳 헤드(19)를 이용하여 고착된다. 도 5b는 체결 요소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며, 여기에서 체결 리벳(8')은 점점 가늘어지는 크로스-섹션을 가지고 연결 섹션(18)에 부착되는 페그(15)를 가진다. 설치 위치에서, 특히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페그(15)는 하부 레일(3)의 하부 측(14)으로부터 돌출하고 회전에 대한 잠금과 함께 리벳(8')이 또한 차량 플로어 상에 시트 레일(1)을 위치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여기에서, 단부 구역에서 점점 가늘어지는 페그(15)의 크로스-섹션은 조립체 보조부(aid)로서 기능한다.

Claims (8)

  1. - 자동차에 연결될 수 있는 하부 레일.
    - 스핀들 리테이너에 의해 회전 고정 방식으로 상기 하부 레일 상에 배열되는 스핀들을 가지며,
    상기 스핀들 리테이너는 상기 하부 레일 내의 체결 개구(17) 및 상기 스핀들 리테이너 내의 체결 개구(20)를 통하여 연장하는 체결 요소에 의해 상기 하부 레일에 고정되는,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에 있어서,
    상기 체결 개구(17, 20)들 및 상기 체결 요소(8, 8') 중 하나 이상은 체결 개구(17, 20)들의 구역에 배열되는, 연결 섹션(18)에서 비원형 형상인 크로스-섹션(cross-section)을 가지며,
    상기 스핀들 리테이너(4)와 마주하는 상기 하부 레일(3)의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페그(15)가 상기 체결 요소(8')의 연결 섹션(18)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요소는 연결 리벳(8, 8')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섹션(18)은 사각형 크로스-섹션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그(15)는 (a) 상기 페그의 자유 단부를 향하여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 및 (b) 다각형 크로스-섹션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리테이너(4) 및 상기 하부 레일(3)은 각각 서로 대응하게 배열되는 제 2 체결 개구(9, 16)를 가지며, 상기 제 2 체결 개구는 차량에 상기 시트 레일(1)을 고정하도록 체결 볼트(10)를 수용하기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
  7.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에 대해 잠금된 상기 스핀들(6)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스핀들 리테이너(4)가 U-형상 수용 섹션(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요소(8, 8')는 상기 U-형상의 수용 섹션(5)의 구역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
KR1020137020687A 2011-01-04 2011-11-29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 KR101547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2441.7 2011-01-04
DE102011002441A DE102011002441A1 (de) 2011-01-04 2011-01-04 Sitzschiene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PCT/EP2011/071267 WO2012093002A1 (de) 2011-01-04 2011-11-29 Sitzschiene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711A KR20130114711A (ko) 2013-10-17
KR101547107B1 true KR101547107B1 (ko) 2015-08-25

Family

ID=4535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687A KR101547107B1 (ko) 2011-01-04 2011-11-29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42579B2 (ko)
EP (1) EP2661380B1 (ko)
JP (1) JP5771703B2 (ko)
KR (1) KR101547107B1 (ko)
CN (1) CN103298650B (ko)
DE (1) DE102011002441A1 (ko)
WO (1) WO2012093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4521S1 (en) * 2012-12-28 2016-04-26 Thk Co., Ltd. Vehicle seat rail
FR3025756B1 (fr) 2014-09-12 2018-03-16 Faurecia Sieges D'automobile Glissieres pour sieges de vehicules,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e telle glissiere
KR101600191B1 (ko) 2014-09-30 2016-03-0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 레일
DE102015203763A1 (de) 2015-03-03 2016-09-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Sitzes in einem Fahrzeug, Fahrzeugsitzanordnung
CN107428264A (zh) * 2015-03-20 2017-12-01 安道拓卢森堡控股有限公司 用于车辆座椅的纵向调节机构
DE102016224514A1 (de) * 2016-12-08 2018-06-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Verstelleinrichtung für die Längsverstellung eines Fahrzeugsitzes
DE102017218492B4 (de) * 2017-08-08 2022-12-22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Längseinsteller und fahrzeugsitz
DE102020102867A1 (de) * 2019-10-02 2021-04-08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FR3106538B1 (fr) * 2020-01-29 2022-01-14 Faurecia Sieges Dautomobile Fixation de glissière de siège de véhic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713A (ja) 2002-09-19 2004-04-08 Shiroki Corp パワーシートトラック
JP2010179688A (ja) 2009-02-03 2010-08-19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1839A (en) * 1960-08-09 1963-07-17 Goodrich Co B F Expansible hollow rivet
JPS57198224U (ko) * 1981-06-12 1982-12-16
DE19639007A1 (de) * 1996-09-23 1998-03-26 Boellhoff Gmbh Verbindungs Und Befestigungselement zum Einnieten in eine Lochkontur eines flächigen Bauteiles
JPH111136A (ja) 1997-06-12 1999-01-06 Gifu Shatai Kogyo Kk シートトラック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部品固定構造
EP0979750A3 (de) * 1998-08-12 2001-04-11 C. Rob. Hammerstein GmbH & Co.KG Farhzeugsitz mit Verstellvorrichtung, die eine Spindel und eine zugeordnete Spindelmutter hat
GB0107664D0 (en) * 2001-03-28 2001-05-16 Emhart Inc Blind rivet nut with improved seal retention
DE10358586B4 (de) * 2003-12-08 2008-02-21 Keiper Gmbh & Co.Kg Getriebegehäuse eines Sitzverstellgetriebes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01624B3 (de) 2004-01-09 2005-09-01 Keiper Gmbh & Co. Kg Antrieb einer Sitzverstell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202005000317U1 (de) * 2004-02-12 2005-04-07 Keiper Gmbh & Co Kg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JP4484549B2 (ja) 2004-03-09 2010-06-16 富士機工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857558B2 (ja) * 2004-12-21 2012-01-1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7407214B2 (en) * 2005-01-18 2008-08-05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Seat adjusting assembly including lead screw and mounting attachment
FR2882974B1 (fr) * 2005-03-14 2008-11-07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e reglage a vis, glissiere comportant un tel mecanisme de reglage et siege comportant une telle glissiere
DE102006022947B3 (de) 2006-05-17 2007-09-27 Keiper Gmbh & Co.Kg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US8540203B2 (en) * 2009-12-16 2013-09-24 Keiper Gmbh & Co. Kg Longitudinal adjuster for a vehicle seat with spindle and spindle hol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713A (ja) 2002-09-19 2004-04-08 Shiroki Corp パワーシートトラック
JP2010179688A (ja) 2009-02-03 2010-08-19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02441A1 (de) 2012-07-05
JP5771703B2 (ja) 2015-09-02
EP2661380A1 (de) 2013-11-13
CN103298650B (zh) 2016-05-11
WO2012093002A1 (de) 2012-07-12
JP2014501662A (ja) 2014-01-23
KR20130114711A (ko) 2013-10-17
EP2661380B1 (de) 2015-07-15
CN103298650A (zh) 2013-09-11
US9242579B2 (en) 2016-01-26
US20140374560A1 (en) 2014-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107B1 (ko)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
JP4949257B2 (ja) 車両用シートの乗員重量測定装置
US9045061B2 (en) Vehicle seat having a height adjustment device
EP1950085A2 (en) Seat apparatus for vehicle
US20150307006A1 (en) Vehicle seat
US20160107549A1 (en) Vehicle seat substructure with an accident-induced adjustment device
JP6696347B2 (ja) 乗物用シート
EP2662251B1 (en) seat belt connection device for a vehicle
US20120193960A1 (en) Reinforcement assembly for reinforcing a seat belt apparatus of a seat assembly
US8833857B2 (en) Vehicle seat
US8939456B2 (en) Rocker molding attachment system for automated running boards
US20170120778A1 (en) Vehicle seat
JP2005280692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テザーアンカー構造
CN105899403A (zh) 具有驱动装置的车辆座椅和用于以无游隙的方式附接驱动装置的方法
WO2017022492A1 (ja) 乗物用シート
KR101600191B1 (ko) 차량용 시트 레일
JP5109674B2 (ja) 車両用シートのリフターレバー配設構造
KR101220648B1 (ko) 리클라이너 어셈블리
JP4699630B2 (ja) 鉄道車両の車輪踏面清掃装置
US8469451B2 (en) Vehicle seat having a rotatable back part
JP6990363B2 (ja) ブラケット
JP4599605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取付け構造
JP4973134B2 (ja) 車両のスライドシート構造
JP2021030985A (ja) 電動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389489B2 (ja) 車両用シート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