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040B1 -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040B1
KR101544040B1 KR1020130118953A KR20130118953A KR101544040B1 KR 101544040 B1 KR101544040 B1 KR 101544040B1 KR 1020130118953 A KR1020130118953 A KR 1020130118953A KR 20130118953 A KR20130118953 A KR 20130118953A KR 101544040 B1 KR101544040 B1 KR 101544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dye
solar cell
sensitized solar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443A (ko
Inventor
조효정
남정은
김대환
강진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118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040B1/ko
Priority to US14/229,807 priority patent/US9251964B2/en
Publication of KR2015004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2/00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 C09B62/002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linkage of the reactive group being alternatively specified
    • C09B62/016Porphines; Azaporph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59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rganic dye as the active light absorbing material, e.g. adsorbed on an electrode or dissolved in sol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four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1/00Thiazine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7/00Porphines; Azaporph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8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B metal element, e.g. comprising cadmium, mercury or zin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유기염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전 변환 효율이 향상된 유기염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DY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A DYE SENSITIZED SOLAR CE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전 변환 효율이 향상된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는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써, 다른 에너지원과 달리 자원이 무한하고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원으로, 실리콘 태양전지, 염료감응 태양전지 등이 알려져 있다.
실리콘 태양전지는 제작비용이 상당히 고가라서 실용화가 곤란하고, 효율 개선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반면,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기존의 실리콘계 태양전지에 비해 제조단가가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기존의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가시광선의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전자-홀 쌍(electron-hole pair)을 생성하는 메커니즘이며, 감광성 염료 분자 및 생성된 전자를 전달하는 전이 금속 산화물을 주된 구성 재료로 하는 광전기화학적 태양 전지이다.
현재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실용화된 염료로는 루테늄 착화합물을 사용한 것으로 10%를 상회하는 에너지 변환 효율을 나타냄으로써 학계의 주목을 받았으나 착화합물계 염료의 가장 큰 문제점인 안정성이 떨어지는 한계점으로 인해 아직 상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새로운 유기 화합물들이 염료로서 연구되고 있으며 그 중 광합성 물질로 잘 알려진 포르피린 화합물을 염료로서 사용하는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효율은 1~3% 정도로 높지 않았다. 이에 대해 영국의 임페리얼(Imperial) 대학의 듀런트(Durrant) 연구팀은 루테늄계 착화합물에 비해 포르피린 염료가 효율이 낮은 이유는 인접한 포르피린 화합물 간의 쌍극자 쌍극자 인력에 의해 여기 상태의 포르피린 염료가 바닥상태로 전화됨에 있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일본공개공보 제2002-063949호에는 광전변환 특성을 가지는 포르피린 유도체로서 하기와 같이 포르피린의 5, 10, 15, 20 위치에 페닐기가 치환된 포르피린계 유도체를 공지하고 있다. 그러나, 하기의 포르피린 화합물은 포르피린 염료 간의 여기 전자의 재결합으로 인하여 낮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Figure 112013090385340-pat00001
(R은 수소원자 또는 산성치환기)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0809496호에는 포르피린의 5, 10, 15, 20 위치에 치환된 페닐기에 공액(conjugaton) 확장을 위한 페닐기에 아민기 또는 에테르기가 확장된 구조의 포르피린계 유도체를 공지하고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6547호에는 포르피린의 5위치에는 아민기가, 10, 15, 20 위치에는 페닐기가 치환된 구조의 포르피린계 유도체를 공지하고 있다. 그러나, 하기의 포르피린 화합물은 상기 일본 특허에 비하여 염료 간의 재결합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전자수용체가 1개로 고정되어 있어 TiO2 표면에 염료의 흡착량을 증가시키기가 어려워 낮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09496호]
Figure 112013090385340-pat00002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6547호]
Figure 112013090385340-pat00003
Figure 112013090385340-pat00004
따라서, 루테늄계 착물에 비해 장기 안정성이 우수하고, 기존 포르피린계 염료에 비해 우수한 광전 변환 효율을 갖는 염료 감응 태양전지용 포르피린 유도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합성이 용이하고 광전변환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포르피린계 유도체에 다양한 치환기를 도입하여 기존의 루테늄계 염료가 가지는 가장 큰 문제점인 장기안정성의 결여로 인한 소자 응용에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종래의 포르피린계 유도체를 사용한 태양전지의 낮은 효율을 극복한 고효율의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유기염료를 제공한다.
<화학식 1> <화학식 2>
Figure 112013090385340-pat00005
Figure 112013090385340-pat00006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은 제 1전극; 제 2전극; 및 상기 제 1전극과 제 2전극 사이에 형성된 염료층;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공하며, 이때 상기 염료층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 표시되는 유기염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합성이 용이하고 광전변환율이 우수한 새로운 포르피린 유도체로 다양한 치환기를 도입하여 평면성이 좋은 포르피린 염료의 염료 간 재결합을 방지함으로써 여기 상태의 포르피린 염료가 바닥상태로 전환됨을 방지하고 또한 여기 상태의 포르피린으로부터 전해질로 전자가 재결합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자 흐름 방향을 조절하여 광전변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염료의 광흡수스펙트럼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염료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할로" 또는 "할로겐"은 다른 설명이 없는 한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알킬" 또는 "알킬기"는 다른 설명이 없는 한 1 내지 60의 탄소수를 가지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알케닐" 또는 "알키닐"은 다른 설명이 없는 한 각각 2 내지 60의 탄소수의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을 가지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시클로알킬"은 다른 설명이 없는 한 3 내지 60의 탄소수를 갖는 고리를 형성하는 알킬을 의미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알콕시기"는 다른 설명이 없는 한 1 내지 60의 탄소수를 가지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아릴기" 및 "아릴렌기"는 다른 설명이 없는 한 각각 6 내지 60의 탄소수를 가지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는 단일고리 또는 다중고리의 방향족을 의미하며, 이웃한 치환기가 결합 또는 반응에 참여하여 형성된 방향족 고리를 포함한다. 예컨대, 아릴기는 페닐기, 비페닐기, 플루오렌기, 스파이로플루오렌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헤테로알킬"은 다른 설명이 없는 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알킬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는 다른 설명이 없는 한 각각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60의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를 의미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일고리뿐만 아니라 다중고리를 포함하며, 이웃한 기가 결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고리기"는 다른 설명이 없는 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2 내지 60의 탄소수를 가지며, 단일고리뿐만 아니라 다중고리를 포함하며, 이웃한 기가 결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헤테로고리기"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지환족 및/또는 방향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헤테로원자"는 다른 설명이 없는 한 N, O, S, P 및 Si를 나타낸다.
다른 설명이 없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지방족"은 탄소수 1 내지 60의 지방족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지방족고리"는 탄소수 3 내지 60의 지방족 탄화수소 고리를 의미한다.
다른 설명이 없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고리"는 탄소수 3 내지 60의 지방족고리, 탄소수 6 내지 60의 방향족고리, 탄소수 2 내지 60의 헤테로고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의미하며, 포화 또는 불포화를 포함한다.
전술한 헤테로화합물 이외의 그 밖의 다른 헤테로화합물 또는 헤테로라디칼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시적인 설명이 없는 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에서 "치환"은 중수소, 할로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C1~C20의 알킬기, C1~C20의 알콕시기, C1~C20의 알킬아민기, C1~C20의 알킬티오펜기, C6~C20의 아릴티오펜기, C2~C20의 알케닐기, C2~C20의 알키닐기, C3~C20의 시클로알킬기, C6~C60의 아릴기, 중수소로 치환된 C6~C20의 아릴기, C8~C20의 아릴알케닐기, 실란기, 붕소기, 게르마늄기, 및 C2~C20의 헤테로고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됨을 의미하며, 이들 치환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00)는, 투명기판(110), 투명전극(120), 나노입자(130), 염료(140), 전해질 및 상대전극(150)을 포함한다.
즉,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빛을 받아 전자를 발생시키는 염료를 흡착시킨 나노입자(일반적으로 산화티타늄이 사용됨)와 전해질, 그리고 양극 역할을 하는 상대적극으로 구성된다.
이때, 염료(140)는 광전자 생성에 직접 참여하는 소재로서, 가시광 전영역에 걸쳐 흡수가 일어나고 광흡수계수가 클수록 유리하다. 염료 고분자 코팅층의 두께는 단분자가 좋고, 2층 이상의 분자가 쌓이면 전자의 전달에 방해를 받아 효율이 나빠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기염료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1> <화학식 2>
Figure 112013090385340-pat00007
Figure 112013090385340-pat00008
상기 화학식에서, M은 Zn 또는 Pt이며,
n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20의 정수이며,
R은 서로 독립적으로 C6~C60의 아릴렌기; 플루오렌일렌기; O, N, S, Si 및 P 중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60의 헤테로고리기; 및
Figure 112013090385340-pat00009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A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30의 알킬기; C2~C30의 알켄일기; C2~C30의 알킨일기; C6~C60의 아릴기; O, N, S, Si 및 P 중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60의 헤테로고리; 및
Figure 112013090385340-pat00010
(여기서 R1과 R2는 이들이 결합된 탄소와 함께 C6~C60의 방향족고리 또는 O, N, S, Si 및 P 중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를 형성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A는 카르복실기(-COOH)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1과 R2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헤테로고리는 고리를 구성하는 원자가 탄소 이외의 원자가 포함된 고리 화합물을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A는
Figure 112013090385340-pat00011
또는
Figure 112013090385340-pat00012
가 될 수 있다.
상기 아릴기, 플루오렌일기, 헤테로고리, 알킬기, 알켄일기, 알킨일기, 아릴렌기, 플루오렌일렌기 및 방향족고리 각각은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시기, 할로겐, 실란기, 붕소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고리로 치환된 아민기, C1~C20의 알킬싸이오기, C1~C20의 알콕실기, C1~C20의 알킬기, C2~C20의 알켄일기, C6~C20의 아릴기, C2~C20의 헤테로고리기, C3~C20의 시클로알킬기, C7~C20 아릴알킬기 및 C8~C20의 아릴알켄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더욱 치환될 수 있다. 따라서, A가 알켄일기인 경우, 카르복실기 및 시아노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A가 알켄일기인 경우
Figure 112013090385340-pat00013
와 같이 카르복실기와 시아노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 예에서, 상기 R은 하기 화합물 중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3090385340-pat00014
Figure 112013090385340-pat00015
Figure 112013090385340-pat00016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 예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염료는 하기 화합물 중 하나일 수 있다.
Figure 112013090385340-pat00017
Figure 112013090385340-pat00018
Figure 112013090385340-pat00019
Figure 112013090385340-pat00020
Figure 112013090385340-pat00021
Figure 112013090385340-pat00022
Figure 112013090385340-pat00023
Figure 112013090385340-pat00024
Figure 112013090385340-pat00025
Figure 112013090385340-pat00026
Figure 112013090385340-pat00027
Figure 112013090385340-pat00028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 예에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유기염료는 하기 화합물 중 하나일 수 있다.
Figure 112013090385340-pat00029
Figure 112013090385340-pat00030
Figure 112013090385340-pat00031
Figure 112013090385340-pat00032
Figure 112013090385340-pat00033
Figure 112013090385340-pat00034
Figure 112013090385340-pat00035
Figure 112013090385340-pat00036
Figure 112013090385340-pat00037
Figure 112013090385340-pat00038
Figure 112013090385340-pat00039
Figure 112013090385340-pat00040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 예에서, 제 1전극; 제 2전극; 및 상기 제 1전극과 제 2전극 사이에 형성된 염료층;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있어서, 상기 염료층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유기염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포함되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유기염료의 합성예 및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예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이하, 본 발명의 화합물 합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기 합성예는 예시에 불과하며, 하기 방법 이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가능할 것이다.
1. 중간체 합성
( 1) 5,10,15,20- tert -(4- hydroxyphenyl ) porphyrin 의 합성
<반응식 1>
Figure 112013090385340-pat00041
1L 삼각플라스크에 피롤 (2.32ml, 33.49mmol), 4-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 (5ml, 35mmol), CHCl3 1L를 넣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다. BF3OEt2 (Boron Trifluoride Diethyl Ether, 1.17ml, 9.21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DDQ (2,3-Dichloro-5,6-dicyano-1,4-benzoquinone, 5.70g, 25.12mmol)를 넣고 1시간 동안 교반한다. TLC 확인 후 감압하에서 여과한 후, 얻은 용액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 후, 차가운 에탄올로 세척하여 생성물을 얻었다(수득률 : 15%).
1H NMR (400 MHz, CDCl3): δ 8.78-8.86(m, 8H), 8.46(m, 8H), 8.27-8.15(m,8H) HR-MS (MARDI) : C44H30N4O4 m/z: 678.2 [M+H]+
(2) [5,10,15,20- tert -(4- hydroxyphenyl ) porphyrin ] Zn 합성
<반응식 2>
Figure 112013090385340-pat00042
상기 반응식 1에서 얻어진 5,10,15,20-tert-(4-hydroxyphenyl)porphyrin (0.5g, 0.525mmol), 아연아세테이트 이수물 (zinc acetate dehydrate, 0.577g, 2.63mmol), THF 50ml를 넣고 하루 동안 환류 교반한다. 반응이 종결되면 상온으로 식힌 후 CHCl3로 추출하고 소듐바이카보네이트 (sodium bicarbonate)수용액과 물로 수회 세척한다. 유기층을 무수 소듐설페이트로 건조하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다. 차가운 에탄올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생성물을 얻었다(수득률 : 90%).
1H NMR (300MHz, DMSO-d6): δ 8.96-8.88(m, 8H), 8.42-8.39(d, 2H), 8.3-8.28(d, 2H), 8.2-8.17(d, 6H), 7.80-7.78(d, 6H), HR-MS (MARDI): C45H31N4O4Zn m/z: 752.2 [M+H]+
(3) 10-(6- bromo - hexyl )-10H- phenothiazine 의 합성
<반응식 3>
Figure 112013090385340-pat00043
페노씨아진 (Phenothiazine, 5.0g, 0.025mol)과 1,6-다이브로모헥산 (1,6-dibromohexane, 10.0g, 0.065mol)을 DMF(dimethyl formamide) 100mL에 용해시킨 후 상온에서 NaOH (sodium hydride, 0.98g, 0.041mol)를 천천히 첨가한다. 그 후 상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종결되면 물과 CHCl3을 1:1로 섞은 용매에 워크업(work-up)을 진행한다. 워크업 과정을 거친 유기층을 추출법을 이용해 분리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다. 용매를 제거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Chloroform:hexane, 1:5)를 이용하여 투명한 액체 생성물(4.5g, 49.7%)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 δ 7.13(d, J=5.1Hz, 2H), 7.09(d, J=7.5Hz, 2H), 6.98(d, J=7.2Hz, 2H), 6.82(d, J=8.1Hz, 2H), 3.84(t, J=6.9Hz, 2H), 3.33(t, J=6.6Hz, 2H), 1.87-1.76 (m, 4H), 1.47-1.40(m, 4H).HR-MS (MARDI) : C18H20BrNS m/z: 363.15 [M+H]+
(4) 10-(6- bromo - hexyl )-10H- phenothiazine -3- carbaldehyde 의 합성
<반응식 4>
Figure 112013090385340-pat00044
상기 합성에서 얻어진 10-(6-bromohexyl)-10H-phenothiazine (4.5g, 12.4mmol)을 1,2-dichloro-ethane 20mL에 용해시킨 뒤 DMF (10.88g, 0.15mol)를 첨가하고 POCl3 (phosphorus oxychloride, 7.6g, 50.0mmol)을 0℃에서 천천히 적하시켜 8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다. 반응이 종결되면 물과 CHCl3을 1:1로 섞은 용매에 워크업을 진행한다. 워크업 과정을 거친 유기층을 추출법을 이용해 분리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다. 용매를 제거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Chloroform:hexane, 1:3)를 이용하여 노란색 고체 생성물(2.5g, 51.6%)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 δ 9.78(s, 1H), 7.63(d, J=8.7Hz, 1H), 7.59(s, 1H), 7.17(d, J=7.2Hz, 1H), 7.12(d, J=8.7Hz, 1H), 6.97(d, J=7.5Hz, 1H), 6.92(d, J=9.9Hz, 1H), 6.87(d, J=7.5Hz, 1H), 3.90(t, J=7.2Hz, 2H), 3.49(t, J=6.3Hz, 2H), 1.82-1.79(m, 4H), 1.45(m, 4H). HR-MS (MARDI) : C19H20BrNOS m/z: 390.3 [M+H]+
(5) 5,10,15,20- tert -[4-hydroxyphenyl(10- hexyl -10H- phenothiazine -3-carbaldehyde)] porphyrin 의 합성
<반응식 5>
Figure 112013090385340-pat00045
상기 합성에서 얻어진 10-(6-bromo-hexyl)-10H-phenothiazine-3-carbaldehyde (2.5 g, 9.0 mmol), 5,10,15,20-tert-(4-hydroxyphenyl)porphyrin (0.64 g, 2.1 mmol), K2CO3(4.15g, 12.8mmol)를 DMF 20ml에 용해시킨 후 18-crown-6를 소량 넣고 110℃에서 24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다. 반응이 종결되면 물과 CHCl3을 1:1로 섞은 용매에 워크업을 진행한다. 워크업 과정을 거친 유기층을 추출법을 이용해 분리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다. 용매를 제거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ethylacetate:chloroform, 1:10)를 이용하여 검푸른색의 고체 생성물(1.3g, 50.1%)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9.87(s, 4H), 8.32(d, 8H), 7.96(d, 8H), 7.64-7.2(m, 28H), 6.95-6.28(d. 12H), 3.89(m, 12H), 2.09(s, 3H), 1.84-1.75(m, 12H), 1.49(m, 12H). HR-MS (MARDI) : C100H66N8O8S4 m/z: 1635 [M+H]+
2.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 1-1의 합성(5,10,15,20- tert -[4-hydroxyphenyl(10- hexyl -10H-phenothiazine)] porphyrin )
<반응식 6>
Figure 112013090385340-pat00046
상기 합성에서 얻어진 5,10,15,20-tert-[4-hydroxyphenyl(10-hexyl-10H-phenothiazine-3-carbaldehyde)]porphyrin (1.3g, 1.05mmol), 피페린딘 (piperidine, 0.40g, 5.25mmol), 시아노아세틱산 (cyanoaceticacid, 0.45g, 5.25mmol)을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50mL에 용해시킨 후 6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반응기 내에서 생성된 고체를 필터 과정을 거쳐 푸른색 고체 생성물(0.8g, 53.3%)을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8.39(s, 4H), 8.02(d, 8H), 8.0(d, 8H), 7.62-7.1(m, 28H), 6.95-6.28(d. 12H), 3.89(m, 12H), 2.09(s, 3H), 1.84-1.75(m, 12H), 1.49(m, 12H) HR-MS (MARDI) : C113H73N12O12S4S4 m/z: 1983.6 [M+H]+
(2) 화합물 1-4의 합성(5,10,15,20- tert -[4-hydroxyphenyl(10- hexyl -10H-carbazole)] porphyrin )
상기 반응식 3에서 출발물질로 9H-카바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반응식1 및 반응식 3 내지 반응식 6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반응 종결 후 반응기 내에서 생성된 고체를 필터 과정을 거쳐 푸른색 고체 생성물을 얻었다.
Figure 112013090385340-pat00047
1H NMR (300MHz, DMSO-d6) : δ 8.26(s, 4H), 7.85(d, 12H), 7.65-7.45(d, 28H), 6.95-6.28(d. 12H), 3.89(m, 12H), 2.09(s, 3H), 1.84-1.75(m, 12H), 1.49(m, 12H) HR-MS (MARDI): C112H70N12O12 m/z: 1774.59 [M+H]+
3.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 2-1의 합성(5,10,15,20- tert -[4-hydroxyphenyl(10- hexyl -10H-Phenothiazine) porphyrin ] Zn )
상기 반응식 2를 통해 얻은 물질을 반응식 3 내지 6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반응 종결 후 반응기 내에서 생성된 고체를 필터 과정을 거쳐 보라색빛 고체 생성물을 얻었다.
Figure 112013090385340-pat00048
1H NMR (300MHz, DMSO-d6): δ 8.69(s, 4H), 8.32(d, 8H), 8.1-7.99(d, 8H), 7.72-7.25(m, 28H), 6.95-6.28(d. 12H), 3.89(m, 12H), 2.09(s, 3H), 1.84-1.75(m, 12H), 1.49(m, 12H) HR-MS (MARDI) : C113H71N12O12S4Zn m/z: 1979 [M+H]+
(2) 화합물 2-4의 합성(5,10,15,20- tert -[4-hydroxyphenyl(10- hexyl -10H-carbazole) porphyrin ] Zn )
상기 반응식 3에서 출발물질로 9H-카바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반응식 2를 통해 얻은 물질을 반응식 3 내지 6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반응 종결 후 반응기 내에서 생성된 고체를 필터 과정을 거쳐 푸른색빛 고체 생성물을 얻었다.
Figure 112013090385340-pat00049
1H NMR (300MHz, DMSO-d6): δ 8.19(s, 4H), 8.07(d, 12H), 7.59-7.45(d, 28H), 6.85-6.28(d. 12H), 4.1(m, 12H), 3.09(s, 3H), 1.84-1.75(m, 12H), 1.49(m, 12H) HR-MS (MARDI) : C113H71N12O12Zn m/z: 1846.64 [M+H]+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평가
[ 실험예 1]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
초음파를 이용하여 전도성 글래스 기판(FTO; TEC8, Pilkington, 8Ω㎠, Thickness of 2.3㎜)을 에탄올에서 세정하였다. 상용화된 TiO2 페이스트(20nm, solarnonix)를 준비하여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미리 세정된 글래스 기판에 준비된 TiO2 페이스트를 코팅하고, 500℃에서 30분 동안 소성하였다. 소성된 TiO2 페이스트층의 두께를 Alpha-step IQ surface profiler(KLA Tencor)로 측정하였다.
또 다른 TiO2 페이스트를 산란층으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400nm 크기의 TiO2 입자를 이용하여 상기 소성층을 재코팅한 후, 500℃에서 30분 동안 소성하였다. 준비된 TiO2 필름을 70℃에서 30분 동안 0.04 M TiCl4 수용액에 담구었다.
염료 흡착을 위하여, 어닐링된 TiO2 전극을 50℃에서 3시간 동안 0.3mM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1-1로 이루어진 염료 용액에 담구었다. 2-프로판올에 용해된 0.7mM H2PtCl6 용액으로부터 형성된 박막의 400℃에서 20분간의 열적 환원을 통해 Pt 상대전극을 준비하였다.
염료 흡착된 TiO2 전극과 Pt 상대전극을 결합제로서 60㎛-thick Surlyn (Dupont 1702)를 이용하여 조립하였다. 상대전극 상의 천공홀을 통해 액체 전해질을 도입하였다. 전해질은 아세토니트릴/발레로니트릴(85:15)에 용해된 3-프로필-1-메틸-이미다졸리윰 아이오다이드(PMII, 0.7M), 리튬 아이오다이드(LiI, 0.2M), 요오드(I2, 0.05M), t-부틸피리딘(TBP, 0.5M)으로 구성되었다.
[ 실험예 2]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
염료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1-4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
염료로 하기 비교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일본공개공보 제2002-063949호).
<비교화합물 >
Figure 112013090385340-pat00050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소자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으며, 측정을 위해 사용된 솔라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전기적 특성 측정 조건은 AM 1.5 (1sun, 100mW/㎠)이다.
[표 1]
Figure 112013090385340-pat00051
상기 표 1에서, Jsc는 단락 광전류 밀도(short-circuit photocurrent density), Voc는 개방 전압(opencircuit photovoltage), FF는 충전 인자(fill factor), η는 전체 광변환 효율을 나타낸다. 이때, 염료감응태양전지의 성능은 0.24㎠의 작업면적으로 측정되었다.
표 1은 도 3을 바탕으로 작성된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표 1 및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과 같이 포르피린 모핵에 페닐과 이써(ether)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이후 페노씨아진과 같은 전자공여체를 알킬기로 연결하였을 때 분자간 재결합을 방지하여 비교예보다 Voc(개방전압)와 Jsc(단락전류)가 모두 향상되었다. 태양전지의 품질은 FF와 광효율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유기염료로 이용한 경우 비교화합물을 유기염료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FF가 월등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광효율 또한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의 광흡수스펙트럼을 도시한 그래프인데, 이에 따르면 본발명의 화합물을 이용할 경우 비교예보다 파장에 대한 양자효율이 증가되고, 강한 전자공여체인 페노씨아진(phenothiazine)을 도입 (화합물 1-1) 하였을 때는 장파장으로 이동하여 넓은 파장영역을 흡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염료감응 태양전지 110 : 투명기판
120 : 투명전극 130 : 나노입자
140 : 염료 150 : 상대전극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화학식 1> <화학식 2>
    Figure 112015054251962-pat00052
    Figure 112015054251962-pat00053

    [상기 화학식에서,
    M은 Zn 또는 Pt이며,
    n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20의 정수이며,
    R은 서로 독립적으로 C6-C60의 아릴렌기; 플루오렌일렌기; O, N, S, Si 및 P 중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2-C60의 헤테로고리기; 및
    Figure 112015054251962-pat00054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A는 서로 독립적으로,
    Figure 112015054251962-pat00087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상기 아릴렌기, 플루오렌일렌기 및 헤테로고리 각각은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시기, 할로겐, 실란기, 붕소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고리로 치환된 아민기, C1-C20의 알킬싸이오기, C1-C20의 알콕실기, C1-C20의 알킬기, C2-C20의 알켄일기, C6-C20의 아릴기, C2-C20의 헤테로고리기, C3-C20의 시클로알킬기, C7-C20 아릴알킬기 및 C8-C20의 아릴알켄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더욱 치환될 수 있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하기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Figure 112013090385340-pat00056
    Figure 112013090385340-pat00057
    Figure 112013090385340-pat00058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Figure 112013090385340-pat00060
    Figure 112013090385340-pat00061

    Figure 112013090385340-pat00062
    Figure 112013090385340-pat00063

    Figure 112013090385340-pat00064
    Figure 112013090385340-pat00065

    Figure 112013090385340-pat00066
    Figure 112013090385340-pat00067

    Figure 112013090385340-pat00068
    Figure 112013090385340-pat00069

    Figure 112013090385340-pat00070
    Figure 112013090385340-pat00071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Figure 112013090385340-pat00072
    Figure 112013090385340-pat00073

    Figure 112013090385340-pat00074
    Figure 112013090385340-pat00075

    Figure 112013090385340-pat00076
    Figure 112013090385340-pat00077

    Figure 112013090385340-pat00078
    Figure 112013090385340-pat00079

    Figure 112013090385340-pat00080
    Figure 112013090385340-pat00081

    Figure 112013090385340-pat00082
    Figure 112013090385340-pat00083
  6. 제 1전극; 제 2전극; 및 상기 제 1전극과 제 2전극 사이에 형성된 염료층;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있어서,
    상기 염료층은 제 1항, 제 2항,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20130118953A 2013-10-07 2013-10-07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544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953A KR101544040B1 (ko) 2013-10-07 2013-10-07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US14/229,807 US9251964B2 (en) 2013-10-07 2014-03-28 Porphyrin-based compound, dye and dye-sensitized solar cell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953A KR101544040B1 (ko) 2013-10-07 2013-10-07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443A KR20150040443A (ko) 2015-04-15
KR101544040B1 true KR101544040B1 (ko) 2015-08-12

Family

ID=5277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953A KR101544040B1 (ko) 2013-10-07 2013-10-07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51964B2 (ko)
KR (1) KR101544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3116B (zh) * 2016-07-28 2018-09-14 华南理工大学 一种trans-A2B2型卟啉衍生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1994C (zh) * 2004-12-10 2008-01-16 吉林大学 四苯基卟啉衍生物及其在有机电致发光器件中的应用
KR100809496B1 (ko) 2006-10-24 2008-03-04 김환규 염료 응답 태양전지용 새로운 포르피린 유도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5459B2 (ja) 2000-08-16 2003-08-11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色素増感太陽電池
KR100890496B1 (ko) 2002-08-20 2009-03-26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중공 중합체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종이 도공용 조성물, 도공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99476B1 (ko) 2011-12-12 2015-03-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르피린계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유기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1994C (zh) * 2004-12-10 2008-01-16 吉林大学 四苯基卟啉衍生物及其在有机电致发光器件中的应用
KR100809496B1 (ko) 2006-10-24 2008-03-04 김환규 염료 응답 태양전지용 새로운 포르피린 유도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51964B2 (en) 2016-02-02
US20150096618A1 (en) 2015-04-09
KR20150040443A (ko)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qbal et al. Trilateral π-conjugation extensions of phenothiazine-based dyes enhance the photovoltaic performance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s
JP5106381B2 (ja) 色素増感光電変換素子
US20090293951A1 (en) Dy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dye-sensitized solar cell including the same
Liu et al. Effect of structural modification on the performances of phenothiazine-dye sensitized solar cells
JP2004296170A (ja) 光電変換素子用材料、光電変換素子ならびにルテニウム錯体化合物
KR101157743B1 (ko) 염료 감응 태양전지용 유기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 감응 태양전지
WO2012011642A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준고체 고분자 전해질, 그에 포함되는 정공수송물질, 및 그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JP2014196283A (ja) 新規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電変換素子
KR101290406B1 (ko) 정공전도성을 갖는 화합물, 그의 공흡착체로서의 용도, 및 그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JP2011060669A (ja) 光電変換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金属フタロシアニン錯体色素
KR101760492B1 (ko) 신규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
JP5530102B2 (ja) ベンゾインドール系化合物及びこれを利用した色素増感太陽電池
KR101544040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JP5846579B2 (ja) ポリメチン色素前駆体、その前駆体の骨格を含むスクアリリウム色素、それを用いた色素増感太陽電池、光電変換素子
KR101264082B1 (ko) 벤조씨아졸을 함유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587829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이에 사용되는 유기염료
KR101499476B1 (ko) 포르피린계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유기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555843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KR20120126498A (ko) 신규한 유기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457105B1 (ko) 유기염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760493B1 (ko) 벤조비스옥사졸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
KR20130089024A (ko) 페노티아진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KR101465454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유기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504526B1 (ko) 신규한 유기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483621B1 (ko) 바이카바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