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058B1 - 시어로그래픽 이미징 기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어로그래픽 이미징 기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058B1
KR101542058B1 KR1020147033182A KR20147033182A KR101542058B1 KR 101542058 B1 KR101542058 B1 KR 101542058B1 KR 1020147033182 A KR1020147033182 A KR 1020147033182A KR 20147033182 A KR20147033182 A KR 20147033182A KR 101542058 B1 KR101542058 B1 KR 10154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onveyor
sheath
machine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5668A (ko
Inventor
존 에스. 린제이
Original Assignee
브리지스톤 반닥,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지스톤 반닥, 엘엘씨 filed Critical 브리지스톤 반닥,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00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01M17/027Tyres using light, e.g. infrared, ultraviolet or holographic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02Inspecting ty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4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01B21/047Accessories, e.g. for positioning, for tool-setting, for measuring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15Objects of complex shape, e.g. examined with use of a surface follower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 B60C25/0548Machines equipped with sensing means, e.g. for positioning, measuring or controlling
    • B60C25/0554Machines equipped with sensing means, e.g. for positioning, measuring or controlling optical, e.g.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6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interferometric means
    • G01B11/16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interferometric means by speckle- or shearing interferomet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Tyre Moulding (AREA)
  • Instruments For Measurement Of Length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타이어 검사 기계는 타이어들을 기계에 운송하고 또한 횡방향으로 타이어들을 정렬하도록 적응된 인입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기계의 검사 테이블은 제어기에 응답하는 테이블 컨베이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테이블 및 테이블 컨베이어는 그 위에 배치된 타이어의 양쪽 측벽 부분들의 스캐닝을 허용하도록 함께 배치된다. 센서는 타이어의 길이 방향 위치를 검출하고, 타이어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될 때 테이블 컨베이어를 중지시킨다. 제어기는 타이어의 길이 방향 위치에 기초하여 테이블 컨베이어를 작동시킨다.

Description

시어로그래픽 이미징 기계 및 방법{SHEAROGRAPHIC IMAGING MACHINE AND METHOD}
본 특허 출원은 2012년 6월 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1/654,475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것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용으로 병합된다.
본 특허 발명은 일반적으로 물품들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타이어 재생 프로세스의 부분으로서 타이어들 또는 타이어 외피들(casings)을 검사하기 위한 시어로그래픽(shearographic) 기계에 관한 것이다.
프로세스가 일반적으로 시어로그래피(shearography)라 언급되는 시어링(shearing) 간섭계의 기술은 일반적으로 간섭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동일한 대상의 2개의 측면으로 변위된 이미지들의 간섭을 수반한다. 종래의 시어로그래픽 방법들은, 대상이 응력을 받는(stressed) 또는 제 1 응력을 받는 상태에 있는 동안 취해질 제 1 간섭 이미지(또는 기준선 이미지), 및 대상이 제 2 응력을 받는 상태에 있는 동안 다른 간섭 이미지를 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감산 방법들에 의해, 이들 2개의 간섭 이미지들의 비교는 시어로 그램(shearogram)이라 불리는 단일 이미지에서 복합 타이어 또는 외피에서의 특정한 결함들(defects)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특히, 시어로그래피는 차량 타이어들, 특히 재생 차량 타이어들에서 결함들을 검출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보여졌다.
종래의 전자 시어로그래피 기계들에서, 타이어 또는 타이어 외피는 검사 테이블 상에 적재된다. 테이블은 복사선 방출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복사선 방출기 및 수신기는 타이어의 전체 표면의 검사를 허용하기 위해 외피의 중앙 개구부(opening) 내에서 테이블에 대해 상승될 수 있고, 타이어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어로그래피 기계들은 진공이 타이에 가해질 수 있도록 타이어를 둘러쌀 수 있는 챔버를 포함한다. 물질 층 분리와 같은 대부분의 타이어 결함들은 공기가 타이어 물질 내에 갇히게 되는 것을 초래할 것이다. 이러한 갇힌 공기는, 타이어가 봉입물(enclosure) 내에서 양의(positive) 게이지 압력을 받을 때 타이어가 진공 또는 딤플들(dimples)을 받을 때 부풀어 오름들(bulges)이 나타나도록 할 것이다. 이때, 이들 부풀어 오름들 또는 딤플들은 시어로그래픽 프로세스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알려진 시어로그래픽 기계의 일례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참고용으로 병합되는 미국 특허 6,791,695('695 특허)에서 발견될 수 있다.
'695 특허에 기재된 기계들과 같은 기존의 시어로그래픽 검사 기계들에서, 클램셀(clamshell) 봉입물은 검사 프로세스 동안 타이어를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개방된 클램셀을 통해, 타이어를 기계로 그리고 기계로부터의 적재 및 하적은 타이어가 클램셀 봉입물로 그리고 클램셀 봉입물로부터 경사지는 이동가능 트레이 상에 타이어를 위치시키는 것을 수반한다. 이동가능 트레이는 타이어의 다양한 표면들과 시어로그래픽 방출기/수신기 사이에 적절한 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타이어를 봉입물 내에 중심을 두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타이어를 봉입물 내에 위치시키는 핀들을 포함한다. 트레이가 봉입물로부터 경사질 때, 조작자는 트레이로부터 타이어를 수동으로 적재하고 하적할 수 있다.
알려진 검사 기계들에서, 기계로의 적재로부터 기계로부터의 하적으로의 각 타이어에 대한 취급(handling) 시간은 40초에서 수분까지 걸릴 수 있다. 이 때 동안, 검사 기계는 타이어들을 검사하도록 작동하지 않는데, 이것은 기계들에 대해 비교적 높은 "데드" 타임(dead times)과, 비교적 낮은 검사율 처리량을 초래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서, 본 발명은 타이어 또는 외피 검사 기계를 기재한다. 검사 기계는 하우징 내에 형성된 밀봉가능 봉입물을 포함한다. 밀봉가능 봉입물은 밀봉가능 봉입물 내에 배치된 타이어 또는 외피를 시어로그래픽적으로 테스트할 때 양의 게이지 압력 및/또는 진공을 선택적으로 받도록 적응된다. 밀봉가능 봉입물 내에 배치된 테이블은 하우징의 일부분에 연결되고, 테이블 상에 배치된 타이어 또는 외피의 비드 구멍(bead hole)과 정렬되도록 적응되는 개구부를 갖는다. 시어로그래픽 조립체는 하우징에 연결되고, 테이블의 개구부와 정렬 상태에 있는 밀봉가능 봉입물 내에 배치된다. 시어로그래픽 조립체는 테이블에 대해 개구부를 통해 돌출하도록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고, 개구부 중심선 주위에 회전가능하여, 다양한 사시도들로부터 테이블 상에 배치된 타이어 또는 외피의 다중 부분들을 스캐닝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테이블과 연관된다.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은 시어로그래픽 조립체에 대해 테이블 상에 배치된 타이어 또는 외피의 상부 및 바닥 측벽 부분들의 가시도(visibility)와 간섭하지 않도록 크기를 갖고(sized) 테이블 상에 위치된다.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은 기계에 대해 타이어 또는 외피를 운반하고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적응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타이어들 또는 외피들을 검사하는 방법을 기재한다. 방법은 검사 기계에 인접한 타이어를 스태깅(stag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타이어는, 검사 사이클이 발명될 때 검사 기계쪽으로 자동으로 진행된다. 타이어는 검사 기계쪽으로 진행되는 동안 검사 기계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된다. 밀봉가능 봉입물은 테이블 개구부를 갖는 검사 테이블 상에 타이어를 입장(admit)시키도록 개방된다. 타이어는 테이블 개구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검사 테이블 상에 입장되고, 밀봉가능 봉입물은 차단된다. 타이어는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으로 테이블 상에서 운반된다. 테이블 개구부에 대한 타이어의 길이 방향 위치가 감지된다. 타이어는, 타이어가 테이블 개구부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될 때까지 테이블을 따라 충분히 운반된다. 검사 디바이스는, 타이어가 테이블 개구부와 길이 방향 및 횡방향으로 정렬되는 동안 타이어를 검사하도록 작동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시어로그래픽 검사 기계를 기재한다. 기계는 하우징 내에 형성된 봉입물을 포함한다. 봉입물은 봉입물 내에 배치된 타이어 또는 외피를 테스트할 때 압력 또는 진공을 선택적으로 받도록 적응된다. 봉입물은 돔형(domed) 상부 부분 및 일반적으로 원통형 바닥 부분을 갖고, 이들은 각 가장자리들(rims)을 따라 밀봉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형 테이블은 봉입물 내에 배치되고, 테이블 상에 배치된 타이어 또는 외피의 비드 구멍과 정렬되도록 적응되는 중앙 개구부를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테이블은 봉입물의 일반적으로 원통형 바닥 부분의 가장자리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시어로그래픽 조립체는 하우징에 연결되고, 봉입물 내에 배치된다. 시어로그래픽 조립체는 중앙 개구부의 중심선과 정렬되어, 테이블에 대해 개구부를 통해 돌출하도록 이동가능하고, 중심선 주위에서 회전가능하여, 다양한 사시도들로부터 테이블 상에 배치된 타이어 또는 외피의 다중 부분들을 스캐닝할 수 있다.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테이블과 연관된다.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은 시어로그래픽 조립체에 대해 테이블 상에 배치된 타이어 또는 외피의 상부 및 바닥 측벽 부분들의 가시도와 간섭하지 않도록 크기를 갖고, 테이블 상에 위치된다.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은 기계에 대해 타이어 또는 외피를 운반하고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적응된다.
인입(incoming) 컨베이어는 하우징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이어 또는 외피를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에 집결(stage)시키고 전달하도록 적응된다. 중심화(centering) 디바이스는 인입 컨베이어를 따라 배치되고, 타이어 또는 외피를 횡방향으로 정렬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횡방향은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에 의해 한정된 길이 방향의 이동 방향에 수직이다. 제어기는 시어로그래픽 조립체 및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과 연관되고, 센서는 테이블에 대해 타이어 또는 외피의 위치를 감지하고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기에게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제어기는, 테이블로부터 돌출하고 타이어 또는 외피를 스캐닝하기 위해 비드 구멍 내에 배치되게 시어로그래픽 조립체를 작동시키고 타이어 또는 외피를 운반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을 작동시킴으로써 비드 구멍이 테이블에서의 중앙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타이어 또는 외피를 위치시키도록 배치된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기계 봉입물 내에서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적응된 시어로그래픽 조립체를 포함하는 타이어 또는 외피 검사 기계를 기재한다. 기계 봉입물은 시어로그래픽 조립체에 대해 둘러싸는 관계로 그 안에 배치된 타이어를 하나 이상의 상이한 압력 상태들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검사 기계는 인입 컨베이어, 정렬 디바이스, 기계 봉입물 내에 배치된 검사 테이블, 테이블과 연관된 테이블 컨베이어 시스템, 센서,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인입 컨베이어는 기계 봉입물쪽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타이어 또는 외피를 운송하도록 적응된다. 정렬 디바이스는 인입 컨베이어와 연관되고, 타이어 또는 외피가 기계 봉입물쪽으로 인입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되는 동안 횡방향으로 시어로그래픽 조립체와 타이어 또는 외피를 정렬시키도록 적응된다. 검사 테이블은 개구부를 갖고, 개구부는 시어로그래픽 조립체와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시어로그래픽 조립체가 타이어의 바닥 측벽 부분을 스캐닝하도록 적응된다. 검사 테이블은 타이어를-향하는(tire-facing) 표면을 더 포함한다. 테이블 컨베이어 시스템은 타이어를-향하는 표면에 가로질러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개구부의 2개의 측부들 주위로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벨트들을 포함하여,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벨트들은 시어로그래픽 조립체에 의해 타이어의 양쪽 측벽 부분들의 스캐닝 동작과 간섭하지 않는다. 컨베이어들은 명령 신호들에 응답한다. 센서는 기계와 연관되고, 시어로그래픽 조립체에 대해 타이어 또는 외피의 길이 방향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신호들을 감지하고 제공하도록 적응된다. 제어기는 위치 신호들에 기초하여 명령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배치되어, 테이블 컨베이어 시스템은 시어로그래픽 조립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위치에 타이어를 위치시키도록 동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타이어 또는 외피 검사 기계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기재한다. 방법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 단계들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단계들은 타이어 또는 외피를 인입 컨베이어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인입 컨베이어를 가지고 검사 기계의 기계 봉입물쪽으로 타이어 또는 외피를 진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타이어 또는 외피는 기계 봉입물의 검사 조립체와 횡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횡방향으로 변위된다. 횡방향 변위는, 타이어 또는 외피가 인입 컨베이어 상에서 진행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타이어 또는 외피는 인입 컨베이어로부터 테이블 컨베이어로 통과하고, 테이블 컨베이어는 기계 봉입물 내에 그리고 검사 조립체 주위에 배치된 테이블과 연관된다. 테이블은 중앙 개구부를 포함하고, 중앙 개구부 주위에 테이블 컨베이어가 배치되어, 타이어 또는 외피의 양쪽 측벽 부분들 모두는 타이어가 테이블 컨베이어 상에 배치되는 동안 기계의 스캐너에 보이게 된다. 테이블 컨베이어에 대해 타이어 또는 외피의 길이 방향 위치가 감지되고, 길이 방향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들은 제어기에 제공된다. 제어기는 위치 신호들에 기초하여 테이블 컨베이어의 동작을 조정하도록 적응되어, 타이어 또는 외피는 검사 조립체와의 실질적인 길이 방향 정렬로 위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 시어로그래픽 타이어 이미징 기계의 실시예의 상이한 사시도들의 윤곽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 시어로그래픽 타이어 이미징 기계를 동작하는 방법의 실시예의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검사 기계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계 데드 타임을 감소시키고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신속한 방식으로 검사 기계로부터 자동 적재 및 하적을 위해 타이어들을 집결(staging)시키기 위한 시어로그래픽 타이어 검사 기계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기계(100)의 윤곽도는 다양한 사시도들로부터 도 1,2 내지 도 3에 도시되며, 간략함을 위해 특정한 구성요소들은 제거된다. 기계(100)는 각각 하부 및 상부 셀들(104 및 106) 사이에 한정된 봉입물(102)을 포함하는 시어로그래픽 타이어 검사 기계이다. 도시된 상부 셀(106)은 일반적으로 볼록한 외부 표면 및 일반적으로 오목한 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하부 셀(104)에 힌지 방식으로(hingeably) 연결된다. 상부 셀(106)은 하부 셀(104)의 대응하는 가장자리(110)와 밀봉가능하게 맞물리는 가장자리(108)를 가져, 하부 및 상부 셀들(104 및 106)이 짝을 이룰 때(mated), 클램셀-형 봉입물(112)이 형성되고, 클램셀-형 봉입물(112)의 내부는 타이어(116)를 테스트할 때 양의 게이지 압력 및/또는 진공을 선택적으로 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봉입물(112)은 상이한 형태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들에서, 봉입물(112)은 기계 내에서 타이어들의 적재, 하적 및 테스트를 허용하기 위해 개방 위치와 차단 위치 사이에서 진행 범위에 걸쳐 이동할 수 있는 이동가능 도어들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봉입물(112)은, 상부 셀이 하부 셀과 밀봉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린 위치와, 타이어가 하부 셀과 상부 셀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상부 셀이 하부 셀로부터 변위되는 맞물림 해제(disengaged) 위치 사이에서 진행 범위에 걸쳐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돔형 상부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봉입물(112)은 다른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임의의 구성에서 봉입물(112)의 개방 또는 차단은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봉입물(112)의 내부의 하나의 부분은 시어로그래픽 조립체(118)를 수용하며, 이러한 시어로그래픽 조립체(118)는 예를 들어, 레이저 광과 같은 복사선의 하나 이상의 방출기들과, 예를 들어 카메라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수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어로그래픽 조립체(118)는 기계(100)에 대해 예를 들어,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이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사시도들로부터 기계에 위치된 타이어의 다중 부분들을 효과적으로 스캐닝할 수 있다. 도시된 시어로그래픽 조립체(118)는 하부 셀(104) 내의 약화된(depressed) 상태에서 도 1에서의 재생된 위치에 있다. 타이어(116)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100)에 위치될 때, 시어로그래픽 조립체(118)는 타이어(116)의 다양한 표면들의 스캐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타이어(116)의 외피 비드 구멍(120)을 통해 돌출하도록 선택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어로그래픽 조립체(118)는 타이어에 대해 2개의 상이한 높이들에서 동작될 수 있어서, 타이어(116)의 양쪽 측벽 부분들(122)은 기계 내에서 타이어를 이동시키거나 휙 뒤집지(flipping) 않고도 스캐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타이어, 시어로그래픽 조립체 및/또는 기계의 상이한 배향들(orientations) 및/또는 감지 위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100)는 봉입물(112)의 단면과 일반적으로 호환가능한 형태를 갖는 테이블(124)을 포함하여, 상부 및 하부 셀들(106 및 104)이 차단 위치에 있을 때 봉입물(112) 내에 완전히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봉입물(112)은 테이블(124)을 둘러싸는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태를 갖고, 테이블(124)은 봉입물(112)의 내부 직경 내에 설치된 일반적으로 원형 형태를 갖는다. 하부 셀(104)의 가장자리(110)는 테이블(124)의 일반적으로 평평한 타이어를-향하는 표면(126, tire-facing surface)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의 관계로 배치되고, 양쪽 모두는 시어로그래픽 조립체(118)의 변위 축(Z)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이다. 타이어를-향하는 표면(126)은, 타이어가 테이블(124)의 타이어를-향하는 표면(126) 상에 위치될 때, 시어로그래픽 조립체(118)가 중앙 개구부(128)를 통과하도록 하고 타이어(116)를 통해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외피 비드 구멍(120)이 중앙 개구부(128)와 일반적으로 정렬되도록 시어로그래픽 조립체(118)가 이동하는 방향과 일반적으로 정렬되는 중앙 개구부(128)를 형성한다. 유리하게, 중앙 개구부(128)의 크기 및 형태는, 타이어가 테이블 상에 위치되는 동안 타이어의 상부 및 바닥 측벽 부분들 모두를 검사 프로세스 동안 시어로그래픽 조립체(118)에 보이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테이블(124)은 2개의 에지 개구부들(130)을 더 포함하고, 이들 에지 개구부들(130)은 2개의 대항 에지들에서 테이블(124)의 각 코드들(chords)을 따라 제거된 아치형 섹션들로서 내장된다.
테이블(124)은 도 3의 상부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X)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132)을 포함한다. 컨베이어 스트립들(132)의 도시된 배치 및 구성은 가능한 단지 하나의 구성이다. 컨베이어 스트립들은, 시어로그래픽 조립체(118)에 대해 타이어의 상부 및 바닥 측벽 부분들의 가시도와 간섭하지 않도록 크기를 갖고 테이블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컨베이어 스트립들은 시어로그래픽 조립체(118)에 의한 검사를 위해 적소에서 타이어의 양쪽 측벽 부분들의 실질적으로 숨겨지지 않은 시야를 허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컨베이어 스트립(132)은 롤러들(136) 주위에 나사산 형성된(threaded) 벨트를 포함하고, 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는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롤러들(136)은 테이블의 바깥 둘레(periphery)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각 컨베이어 스트립(132)은 테이블(124)의 타이어를-향하는 표면(126)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횡단하는 순환(endless) 컨베이어로서 작용한다. 4개의 벨트들이 도시되며, 각각은 약 1 인치의 폭을 갖는다. 컨베이어 스트립들(132)을 동작하는데 사용된 하나 이상의 모터들은 동작 동안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스트립들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실시예에서, 모터(들)는 스테퍼(stepper) 모터들일 수 있는데, 이들은 테이블(124) 아래에 봉입물(112) 내에 장착되고, 제어기(138)에 연결되고 제어기(138)에 의해 제어된다. 모터(들)는 컨베이어들을 동작시키기 위해 롤러들(136) 주위에서 벨트들과 맞물리고 벨트들을 잡아당기는 구동 풀리(drive pulley)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38)는 컨베이어 스트립들(132)의 속도, 방향 및 벨트 이동을 나타내는 명령 신호들을 모터들에게 제공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100)는 봉입물(112)의 대항하는 길이 방향 단부들에 배치된 인입 컨베이어(202) 및 유출(outgoing) 컨베이어(204)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스트립들(132)과 함께, 인입 및 유출 컨베이어들(202 및 204)은 타이어를 기계(100)의 테스트 영역에 적재하고, 타이어를 테스트 영역에 통과시키고, 기계(100)에 대해 타이어를 하적시키기 위해 컨베잉(conveying) 시스템(206)으로서 작용하도록 함께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 벨트가 제거된 도 1에 도시되는 인입 컨베이어(202)는 테이블(124) 상으로의 적재를 위해 타이어들을 집결시키고, 타이어가 스트립들(132)에 의해 맞물릴 수 있고 테이블(124) 상에 완전히 운반될 때까지 테이블에 가까운 그러한 타이어들을 컨베이어 스트립들(132)의 적어도 선두 부분 상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다. 컨베이어 스트립들(132)은, 기계(100)가 타이어를 검사한 후에 타이어를 테스트 영역으로부터 유출 컨베이어(204)로 운반할 수 있다.
테스트를 위해 타이어들을 테이블(124) 상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두는 것에 도움을 주기 위해, 인입 컨베이어(202)는 중심화 디바이스(207)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도 3의 평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중심화 디바이스(207)는, 타이어들이 봉입물(112)로 가는 도중에 인입 컨베이어(202)를 따라 진행할 때 횡방향 기계 검사 중심선에 대해 횡방향(Y)(도 3)으로 다양한 직경들의 타이어들을 정렬시키도록 구성된다.
일실시예에서, 중심화 디바이스(207)는 M-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그 단부들에서 서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링크 장치들(linkages)(212) 및 2개의 정렬 아암들(210)을 포함한다. 2개의 아암들(210)의 단부들에서 M-형태의 베이스는 인입 컨베이어(202)의 프레임(215)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2개의 링크 장치들(212)은 아암들(210)의 타단부들에서 서로 연결되어, M-형태를 형성한다. 스프링(216) 또는 다른 탄성 요소는 2개의 링크 장치들(212)을 서로 연결하는 피봇을 프레임(214)에 연결할 수 있어서, 타이어가 길이 방향(X)을 따라 2개의 아암들(210) 사이를 통과할 때, 아암들(210)은 타이어의 중심을 횡방향 기계 검사 중심선과 정렬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횡방향(Y)을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하도록 타이어 상에서 협력하여 작용한다. 2개의 링크 장치들(212)은 통과하는 타이어의 경로 위에, 아래에 또는 다른 경우 이 경로 밖에 위치될 수 있다. 2개의 아암들(210) 사이를 통과하는 타이어들 상에 스프링 힘의 대칭적인 전달은, 횡방향(Y)으로 횡방향 기계 검사 중심선(예를 들어, 봉입물(112)에서의 테이블(124)의 중심 영역)에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컨베이어(202)의 위치에 놓이기 전에 필요시 타이어들을 한 측부 또는 다른 측부로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인입 컨베이어(202)로부터 컨베이어 스트립들(132)로 건내 주어진(handed off) 타이어들은 테이블(124) 상으로 운반된다. 타이어들을 테이블(124) 상으로 운반하는 동안, 센서(214)(도 2)는 테이블(124)에 대한 타이어의 길이 방향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그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기(138)에 제공한다. 제어기(138)는 그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어가 시어로그래픽 조립체(118) 위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배치된다는 것을 센서(214)가 감지할 때까지 계속해서 진행하도록 컨베이어 스트립들(132)에게 명령한다. 일실시예에서, 센서(214)는 카메라와 같은 시각적 센서이고, 이것은 타이어의 연속적인 화상들을 취득하고, 타이어의 특징부(feature), 예를 들어 중앙 비드가 템플릿(template)의 요소와 실질적으로 중심을 이룰 때를 결정하기 위해 이들 연속적인 화상들을 위치 템플릿과 비교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센서(214)는 테이블(124) 아래에 배치된 대응하는 수신기들(미도시)에 의해 수신되는 다중 빔들을 방출하는 적외선 센서이다. 통과하는 타이어는 이들 빔들을 중단시키고, 이들 빔들은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제어기에 제공된 신호로 전환된다. 빔 중단이 수신기들의 배치에 기초하여 대칭적일 때, 제어기(138)에 의해 제공된 신호는, 타이어가 중심에 배치되고 컨베이어 스트립들(132)이 정지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어기(138)는 타이어의 전체 치수를 결정하고, 컨베이어 스트립들(132)의 속도의 결정과 함께, 봉입물(112) 내에서 시어로그래픽 조립체(118)와 타이어의 중심을 정렬시키는데 요구되는 총 운반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센서(214)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타이어가 시어로그래픽 조립체(118)에 대해 봉입물(112)의 중심에 위치된 후에, 하나 이상의 추가 타이어들은 인입 컨베이어(202) 상에서 기계에 적재하기 위해 집결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유형들의 타이어들일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혼합된 타이어 유형들 및 크기들일 수 있다. 상부 셀(106)은 테이블(124) 상에 적재된 타이어를 테스트하는 동안 차단될 수 있다. 테스트가 완료될 때, 봉입물(112)은 개방될 수 있고, 컨베이어 스트립들(132)은 검사된 타이어를 유출 컨베이어(204) 상으로 운반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동시에, 다음에 검사될 타이어는 컨베이어 스트립들(132)의 인입 측부 상에 적재될 수 있다. 컨베이어 스트립들(132)로부터 유출 컨베이어(204) 상으로 통과하는 타이어는 테스트될 적소에서의 다음 타이어 위의 상부 셀(106)을 차단하기 위해 충분히 봉입물(112)로부터 운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유출 컨베이어(204)는 집결 영역으로서 작용할 수 있고, 하적을 위해 다수의 검사된 타이어들을 그 위에 저장할 정도로 충분히 길 수 있다.
시어로그래픽 타이어 이미징 기계를 동작하는 방법의 실시예의 예시적인 단계들에 대한 흐름도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들에서, 기계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기계(100)일 수 있고, 이것은 검사를 위해 그 안에 물품들을 이동시키고 적절히 위치시키기 위한 추가 위치 지정(positioning) 시스템을 포함하는 검사 영역 주위에 배치된 인입 및 유출 컨베이어들을 포함한다. 타이어는 프로세스 단계(302)에서 인입 컨베이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인입 컨베이어 상에 위치된 타이어는 기계의 검사 봉입물에 적재하기 위한 단일 타이어일 수 있거나, 검사를 위해 집결되고 검사를 위해 기계에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타이어들 중 하나일 수 있다.
기계는 테스트 봉입물 내의 특정한 장소에 배치된 검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검사될 타이어는 걸이 방향 및 횡방향(X 및 Y)으로 검사 디바이스와 정렬될 수 있다. 인입 컨베이어는 프로세스 단계(304)에서 검사 기계의 봉입물쪽으로 타이어를 진행시킬 수 있는 한편, 동시에 306에서 검사 디바이스와의 원하는 정렬을 위해 횡방향으로 타이어를 변위시킬 수 있다. 횡방향으로의 타이어의 정렬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에 의해, 예를 들어 센서들을 통해 타이어의 횡방향 위치를 전자적으로 감지하고 원하는 횡방향 위치가 얻어질 때까지 타이어를 변위시키기 위해 엑추에이터들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횡방향 타이어 위치 지정은 스프링-장전된 가이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프링-장전된 가이드는 타이어의 외부 직경을 포함하는 타이어 바깥 둘레와 맞물리고, 타이어의 어느 한 측부 상에 힘을 가하여, 타이어가 검사 기계 봉입물쪽으로 인입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할 때 타이어는 기계의 검사 디바이스에 대해 중심에 위치된 횡방향 위치를 나타내게 된다.
기계의 검사 봉입물 내에 배치된 테이블과 연관된 컨베이어는 인입 컨베이어로부터 타이어를 수용하기 위해 프로세스 단계(308)에서 활성화된다. 테이블은 검사 디바이스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중앙 개구부를 가질 수 있고, 컨베이어는 횡방향으로 개구부의 양쪽 측부들 상에 배치되는 스트립들 또는 벨트들과 같은 부분들에서 분할될 수 있어서, 타이어는 개구부에 걸쳐 운반될 수 있거나, 검사 디바이스와 정렬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테이블 개구부의 크기 및 형태뿐 아니라 테이블 컨베이어 시스템의 크기, 구성 및 위치 지정은 시어로그래픽 조립체에 의해 타이어의 양쪽 측벽 부분들의 실질적으로 숨겨지지 않은 시야를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타이어의 위치는 프로세스 단계(310)에서 적절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감지된다. 센서들은 프로세스 단계(312)에서 길이 방향의 타이어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제어기에 제공할 수 있다. 타이어의 운반의 방향, 위치 및 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제어기는 검사 디바이스 위에 타이어를 위치시키기 위해 적절한 경우, 컨베이어의 운동을 정지시키고, 감속시키고 및/또는 역전시킴으로써 프로세스 단계(314)에서 센서들에 의해 제공된 타이어 위치의 위치 피드백에 기초하여 타이어를 검사 디바이스와 실질적인 정렬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타이어가 검사를 위해 위치될 때, 검사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단계(316)에서 수행될 수 있다. 검사 프로세스는 검사 기계의 유형 및 구성에 따라 다양한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검사 기계는 대기압 및 양 또는 음의 게이지 압력들과 같이 다양한 주변 상태들에서 타이어의 부분들을 스캐닝할 수 있는 시어로그래픽 방출기 및 수신기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시어로그래픽 검사 기계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시어로그래픽 조립체는, 타이어가 컨베이어 상에 배치되는 동안 타이어의 양쪽 측벽 부분들을 스캐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검사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 테이블 컨베이어는 테이블로부터 타이어를 제거하고 이 타이어를 길이 방향으로 테이블의 하류에 배치된 유출 컨베이어로 운반하기 위해 프로세스 단계(318)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프로세스 단계(318)에서 테이블 컨베이어의 활성화는, 또한 검사된 타이어를 유출 컨베이어 상에 적재하는 동안 후속 타이어를 기계에 적재하는 이중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유출 컨베이어는 역으로 동작하는 인입 컨베이어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테이블은 예를 들어, 검사 프로세스의 결과들에 따라, 타이어를 하나 이상의 유출 컨베이어 상으로 조향하기 위해 그 중심선을 따라 회전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가 처리를 위해 승인된 타이어들은 하나의 컨베이어에 제공될 수 있는 한편, 거부가능한 결함들을 갖는 타이어들은 상이한 컨베이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유출 컨베이어들은 상이한 크기들의 타이어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타이어 감지 절차들의 부분으로서, 제어기는, 다양한 유형들의 검사된 타이어들이 특정한 타이어 유형을 위해 지정된 각 컨베이어를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기계에서 그들 유형에 따라 분류될 수 있도록 특정한 타이어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Claims (20)

  1. 타이어 또는 외피(casing) 검사 기계로서,
    하우징 내에 형성된 밀봉가능한 봉입물(enclosure)로서, 상기 밀봉가능한 봉입물은 상기 밀봉가능한 봉입물 내에 배치된 타이어 또는 외피를 테스트할 때 양의 게이지 압력 및/또는 진공을 선택적으로 받도록 적응되는, 밀봉가능한 봉입물과;
    상기 밀봉가능한 봉입물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부분에 연결된 테이블로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테이블 상에 배치된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의 비드 구멍(bead hole)과 정렬되도록 적응된 개구부(opening)를 갖는, 테이블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테이블의 상기 개구부와의 정렬 상태로 상기 밀봉가능한 봉입물 내에 배치된 시어로그래픽(shearographic) 조립체로서, 상기 시어로그래픽 조립체는 상기 테이블에 대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돌출하도록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고, 개구부 중심선 주위를 회전할 수 있어서, 다양한 시각에서 상기 테이블 상에 배치된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의 복수의 부분들을 스캐닝할 수 있는, 시어로그래픽 조립체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기 테이블과 연관된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은 상기 시어로그래픽 조립체에 대해 상기 테이블 상에 배치된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의 상부 및 바닥 측벽 부분들의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크기를 갖고(sized) 상기 테이블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은 상기 기계에 대해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를 운반하고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적응되는,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을 포함하는, 타이어 또는 외피 검사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가장자리(rim)를 갖는 상부 셀과, 가장자리를 갖는 하부 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셀은 상기 하부 셀에 힌지 방식으로(hingeably) 연결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셀들이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밀봉가능한 봉입물은 상기 각 가장자리들이 밀봉가능하게 맞물리는 경우 그 안에 한정되는, 타이어 또는 외피 검사 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어로그래픽 조립체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과 연관된 제어기와;
    상기 테이블에 대한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어기에 제공하도록 배치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를 운반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을 작동시켜 상기 비드 구멍이 상기 테이블의 상기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게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를 위치시키도록, 그리고 상기 테이블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를 스캐닝하기 위해 상기 비드 구멍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시어로그래픽 조립체를 작동시키도록 작동하는, 타이어 또는 외피 검사 기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를 상기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에 집결(stage)시키고 전달하도록 적응된 인입(incoming)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또는 외피 검사 기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컨베이어를 따라 배치된 중앙화(centering)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화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스트립 컨베이어들에 의해 한정된 이동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횡방향으로 다양한 직경들의 타이어들 또는 외피들을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타이어 또는 외피 검사 기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화 디바이스는,
    2개의 정렬 아암들(arms)과;
    M-형태를 함께 형성하기 위해 그 단부들에서 서로 그리고 상기 2개의 정렬 아암들 중 각 하나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링크 장치들(linkages)로서, 상기 2개의 정렬 아암들의 상기 단부들에서 상기 M-형태의 베이스(base)는 상기 인입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링크 장치들과;
    상기 2개의 링크 장치들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2개의 정렬 아암들 사이에 타이어 또는 외피가 통과할 때, 상기 2개의 정렬 아암들은 상기 테이블의 상기 개구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계 중섬선과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의 중심을 정렬시키기 위해 횡방향을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 상에서 협력하여 작용하는, 탄성 요소를 포함하는, 타이어 또는 외피 검사 기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어로그래픽 조립체는, 상기 테이블 상에 배치된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의 양쪽 측벽 부분들이 상기 기계 내에서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를 이동시키거나 휙 뒤집지(flipping) 않고도 스캐닝될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에 대해 2개의 상이한 높이들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타이어 또는 외피 검사 기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 각각은
    롤러들, 즉 2개 이상의 롤러들 주위에 나사산 형성된(threaded) 벨트로서, 상기 2개 이상의 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바깥 둘레(periphery)를 한정하는 대체로 원형인 형태를 갖고;
    상기 롤러들은 상기 테이블의 상기 바깥 둘레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각 컨베이어 스트립은 상기 테이블의 타이어 대향면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횡단하는 순환 컨베이어로서 작용하고;
    상기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은 작동 중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타이어 또는 외피 검사 기계.
  9. 타이어들 또는 외피들을 검사하는 방법으로서,
    검사 기계에 인접한 타이어를 집결(staging)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검사 기계는 밀봉가능한 봉입물을 갖는, 집결 단계와;
    검사 사이클이 시작되는 경우 상기 타이어를 상기 검사 기계쪽으로 자동으로 진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타이어가 상기 검사 기계쪽으로 진행되는 동안 상기 검사 기계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타이어를 정렬시키는 단계와;
    테이블 개구부를 갖는 검사 테이블 상으로 상기 타이어를 진입하도록 밀봉 가능한 봉입물을 개방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어 개구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어를 상기 검사 기계로 진입시키고, 상기 밀봉가능한 봉입물을 폐쇄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블 상의 타이어를 길이 방향으로 운반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블 개구부에 대한 상기 타이어의 길이 방향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타이어를 상기 테이블 개구부와 길이 방향으로 정렬하도록 상기 타이어를 충분히 운반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어가 상기 테이블 개구부와 길이 방향으로 그리고 횡방향으로 정렬되는 동안 상기 타이어를 검사하기 위해 검사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들 또는 외피들을 검사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상기 길이 방향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는 위치 신호를 제어기에 제공하는 센서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테이블 상의 상기 타이어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운반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블 개구부와 상기 타이어의 길이 방향 정렬이 상기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수행되도록 상기 제어기의 작동에 의해 달성되는, 타이어들 또는 외피들을 검사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사이클 동안 상기 밀봉가능한 봉입물을 양의 게이지 압력 또는 진공을 받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들 또는 외피들을 검사하는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디바이스는 시어로그래픽 검사 디바이스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타이어가 테이블 개구부와 정렬될 때 상기 테이블 개구부를 통해 상기 테이블에 수직인 축을 따라 상기 시어로그래픽 검사 디바이스를 상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타이어를 완전히 스캐닝하기 위해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시어로그래픽 검사 디바이스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들 또는 외피들을 검사하는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테이블에 대해 제 1 높이 및 제 2 높이에서 달성되고, 상기 제 1 높이는 상기 타이어의 2개의 측벽들 중 하나에 시야선(line of sight)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높이는 상기 검사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타이어의 상기 2개의 측벽들 중 다른 하나에 시야선을 제공하고, 상기 검사 디바이스를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검사 사이클 동안 상기 타이어를 이동시키거나 휙 뒤집지 않고도 상기 타이어를 완전히 스캐닝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높이들 각각에 대해 반복되는, 타이어들 또는 외피들을 검사하는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상의 상기 타이어를 운반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블 상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 각각은,
    롤러들, 즉 2개 이상의 롤러들 주위에 나사산 형성된 벨트로서, 상기 2개 이상의 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바깥 둘레를 한정하는 대체로 원형의 형태를 갖고;
    상기 롤러들은 상기 테이블의 상기 바깥 둘레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각 컨베이어 스트립은 상기 테이블의 타이어 대향면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횡단하는 순환 컨베이어로서 작용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은 작동 중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타이어들 또는 외피들을 검사하는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가능한 봉입물은 하우징 내에 한정되고, 상기 하우징은 가장자리를 갖는 상부 셀과, 가장자리를 갖는 하부 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셀은 상기 하부 셀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셀들이 차단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밀봉가능한 봉입물은 상기 각 가장자리들이 밀봉가능하게 맞물릴 때 그 안에 한정되는, 타이어들 또는 외피들을 검사하는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으로 상기 타이어를 정렬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계와 연관된 인입 컨베이어를 따라 배치된 중앙화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되고, 상기 중앙화 디바이스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횡방향으로 다양한 직경들의 타이어들 또는 외피들을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타이어들 또는 외피들을 검사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화 디바이스는
    2개의 정렬 아암들과;
    M-형태를 함께 형성하기 위해 그 단부들에서 서로 그리고 상기 2개의 정렬 아암들 중 각 하나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링크 장치들로서, 상기 2개의 정렬 아암들의 상기 단부들에서 상기 M-형태의 베이스는 상기 인입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링크 장치들과;
    상기 2개의 링크 장치들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2개의 정렬 아암들 사이에 타이어 또는 외피가 통과할 때, 상기 2개의 정렬 아암들은 상기 테이블의 상기 개구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계 중섬선과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의 중심을 정렬시키기 위해 횡방향을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 상에서 협력하여 작용하는, 탄성 요소를 포함하는, 타이어들 또는 외피들을 검사하는 방법.
  18. 시어로그래픽 검사 기계로서,
    하우징 내에 형성된 봉입물로서, 상기 봉입물은 상기 봉입물 내에 배치된 타이어 또는 외피를 테스트할 때 압력 또는 진공을 선택적으로 받도록 적응되고, 상기 봉입물은 돔형(domed)의 상부 부분과 대체로 원통형인 바닥 부분을 갖고, 상기 상부 및 바닥 부분들은 각 가장자리들을 따라 밀봉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봉입물과;
    상기 봉입물 내에 배치된 대체로 원형인 테이블로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테이블 상에 배치된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의 비드 구멍과 정렬되도록 적응된 중앙 개구부를 갖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봉입물의 상기 대체로 원통형인 바닥 부분의 상기 가장자리와 동일 평면에 있는, 원형 테이블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봉입물 내에 배치된 시어로그래픽 조립체로서, 상기 시어로그래픽 조립체는 상기 중앙 개구부의 중심선과 정렬되고, 상기 테이블에 대해 상기 중앙 개구부를 통해 돌출하도록 이동가능하고, 다양한 시각에서 상기 테이블 상에 배치된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의 복수의 부분들을 스캐닝할 수 있도록 상기 중심선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시어로그래픽 조립체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기 테이블과 연관된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로서, 상기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은 상기 시어로그래픽 조립체에 대해 상기 테이블 상에 배치된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의 상부 및 바닥 측벽 부분들의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크기를 갖고 상기 테이블 상에 위치되고, 상기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은 상기 기계에 대해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를 운반하고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적응되는,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과;
    상기 하우징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를 상기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에 집결시키고 전달하도록 적응된 인입 컨베이어와;
    상기 인입 컨베이어를 따라 배치된 중앙화 디바이스로서, 상기 중앙화 디바이스는 상기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에 의해 한정된 길이 방향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횡방향으로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를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중앙화 디바이스와;
    상기 시어로그래픽 조립체 및 상기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과 연관된 제어기와;
    상기 테이블에 대해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어기에 제공하도록 배치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를 운반하기 위해 상기 4개의 컨베이어 스트립들을 작동시켜 상기 비드 구멍이 상기 테이블에서의 상기 중앙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게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를 위치시키도록, 그리고 상기 테이블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를 스캐닝하기 위해 상기 비드 구멍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시어로그래픽 조립체를 작동시키도록 작동하는, 시어로그래픽 검사 기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화 디바이스는
    2개의 정렬 아암들과;
    M-형태를 함께 형성하기 위해 그 단부들에서 서로 그리고 상기 2개의 정렬 아암들 중 각 하나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링크 장치들로서, 상기 2개의 정렬 아암들의 상기 단부들에서 상기 M-형태의 베이스는 상기 인입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링크 장치들과;
    상기 2개의 링크 장치들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2개의 정렬 아암들 사이에 타이어 또는 외피가 통과할 때, 상기 2개의 정렬 아암들은 상기 테이블의 상기 중앙 개구부의 중심선과 교차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계 중섬선과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의 중심을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횡방향을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 상에서 협력하여 작용하는, 탄성 요소를 포함하는, 시어로그래픽 검사 기계.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어로그래픽 조립체는, 상기 테이블 상에 배치된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의 양쪽 측벽 부분들이 상기 기계 내에서 상기 타이어 또는 외피를 이동시키거나 휙 뒤집지 않고도 스캐닝될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에 대해 2개의 상이한 높이들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시어로그래픽 검사 기계.
KR1020147033182A 2012-06-01 2013-05-31 시어로그래픽 이미징 기계 및 방법 KR101542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54475P 2012-06-01 2012-06-01
US61/654,475 2012-06-01
US13/906,823 US8813550B2 (en) 2012-06-01 2013-05-31 Shearographic imaging machine and method
US13/906,823 2013-05-31
PCT/US2013/043640 WO2013181550A1 (en) 2012-06-01 2013-05-31 Shearographic imaging machine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668A KR20150005668A (ko) 2015-01-14
KR101542058B1 true KR101542058B1 (ko) 2015-08-12

Family

ID=49668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182A KR101542058B1 (ko) 2012-06-01 2013-05-31 시어로그래픽 이미징 기계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813550B2 (ko)
EP (1) EP2856075B1 (ko)
JP (1) JP6034961B2 (ko)
KR (1) KR101542058B1 (ko)
CN (1) CN104364604B (ko)
AU (1) AU2013267175B2 (ko)
BR (1) BR112014029969A2 (ko)
CA (1) CA2874694C (ko)
MX (1) MX2014014429A (ko)
WO (1) WO20131815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5743B (zh) * 2014-04-16 2016-04-27 江苏通用科技股份有限公司 全钢成品胎输送线的分胎装置
RU2709152C2 (ru) * 2014-12-05 2019-12-16 Пирелли Тайр С.П.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шин в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м процессе и в установке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шин для колес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10067036B2 (en) * 2015-02-24 2018-09-04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achinery Systems, Ltd. Tire inspection device and tire posture detection method
CN106442108A (zh) * 2016-09-30 2017-02-22 山东大学 废旧轮胎片体抗剪强度测试装置和方法
CN106353341A (zh) * 2016-10-22 2017-01-25 钟贵洪 一种轮胎探测仪
WO2018225150A1 (ja) 2017-06-06 2018-12-13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タイヤ搬送装置、これを備えるタイヤ試験システム、及びタイヤ搬送方法
IT201800003276A1 (it) * 2018-03-05 2019-09-05 Bridgestone Europe Nv Sa Apparato per l'analisi del comportamento di uno pneumatico all'interfaccia con il suolo
CN108662987B (zh) * 2018-04-23 2021-06-08 西南交通大学 2d摄像式激光测量头的标定方法
GB201918864D0 (en) * 2019-12-19 2020-02-05 Renishaw Plc Apparatus
DE102022208944A1 (de) * 2022-08-29 2024-02-29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Verarbeitbarkeit eines Reifens
CN117571736B (zh) * 2024-01-15 2024-05-10 中路慧能检测认证科技有限公司 一种轮胎检测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3729A (en) 1993-04-08 1994-12-20 Alcatel Cit Leak-detection installation for testing the gastightness of sealed packages
US20010040682A1 (en) 1999-06-16 2001-11-15 John Lindsay Shearographic imaging machine
US6330822B1 (en) 1998-08-10 2001-12-18 Mtd Products Inc Tir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US6840097B1 (en) 1999-04-09 2005-01-11 Steinbichler Optotechnik Gmbh Inspection apparatus for tire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0007A (en) * 1957-08-28 1959-08-18 Gilbert C Hoogendoorn Central valve for pneumatic tire wheel
US4702594A (en) * 1982-11-15 1987-10-27 Industrial Holographics, Inc. Double exposure interferometric analysis of structures and employing ambient pressure stressing
JPS61102857U (ko) * 1984-12-10 1986-06-30
JPH09126935A (ja) * 1995-10-26 1997-05-16 Kobe Steel Ltd タイヤ試験機のタイヤセンタリング装置及びタイヤセンタリング方法
US6082191A (en) * 1997-01-24 2000-07-04 Illinois Tool Works, Inc. Inlet conveyor for tire testing systems
US6016695A (en) * 1997-01-24 2000-01-25 Illinois Tool Works Inc. Tire uniformity testing system
US6219143B1 (en) * 1999-06-16 2001-04-17 Banda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shearogram images by animation
JP4409667B2 (ja) * 1999-07-21 2010-02-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位置決め搬送装置およびタイヤ搬送方法
JP2001232695A (ja) * 2000-02-22 2001-08-28 Toyo Tire & Rubber Co Ltd 未加硫タイヤのベルトの成型方法
EP1512953B1 (de) * 2003-09-04 2008-12-10 Snap-on Equipment Srl a unico soci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optischen Abtasten eines Fahrzeugrades
US6934018B2 (en) * 2003-09-10 2005-08-23 Shearographics, Llc Tire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7187437B2 (en) * 2003-09-10 2007-03-06 Shearographics, Llc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7436504B2 (en) * 2003-09-10 2008-10-14 Shear Graphics, Llc Non-destructive testing and imaging
EP1927484B1 (en) * 2006-11-28 2009-09-02 Snap-on Equipment Srl a unico soci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geometrical dimensions of a wheel rim, in particular when fitting and/or removing a motor vehicle tyre
DE102006061003B4 (de) * 2006-12-22 2009-03-26 Mähner, Bernward Vorrichtung zum Prüfen eines Prüfobjekts, insbesondere eines Reifens, mittels eines zerstörungsfreien Messverfahrens
DE102007009040C5 (de) * 2007-02-16 2013-05-08 Bernward Mähne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Prüfen eines Reifens, insbesondere mittels eines interferometrischen Messverfahrens
JP4872811B2 (ja) * 2007-06-05 2012-02-08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の検査装置および方法
DE102010037079A1 (de) * 2010-08-19 2012-02-23 Schenck Rote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rolle des Reifensitzes an Fahrzeugräder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3729A (en) 1993-04-08 1994-12-20 Alcatel Cit Leak-detection installation for testing the gastightness of sealed packages
US6330822B1 (en) 1998-08-10 2001-12-18 Mtd Products Inc Tir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US6840097B1 (en) 1999-04-09 2005-01-11 Steinbichler Optotechnik Gmbh Inspection apparatus for tires
US20010040682A1 (en) 1999-06-16 2001-11-15 John Lindsay Shearographic imag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56075B1 (en) 2018-05-16
US8813550B2 (en) 2014-08-26
CA2874694A1 (en) 2013-12-05
EP2856075A1 (en) 2015-04-08
AU2013267175B2 (en) 2015-09-17
JP6034961B2 (ja) 2016-11-30
MX2014014429A (es) 2015-02-04
KR20150005668A (ko) 2015-01-14
CN104364604A (zh) 2015-02-18
CA2874694C (en) 2016-12-20
US20130319101A1 (en) 2013-12-05
AU2013267175A1 (en) 2014-12-04
JP2015523262A (ja) 2015-08-13
BR112014029969A2 (pt) 2017-06-27
CN104364604B (zh) 2018-07-20
WO2013181550A1 (en) 2013-12-05
EP2856075A4 (en)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058B1 (ko) 시어로그래픽 이미징 기계 및 방법
US10458883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yres, in a process and plant for manufacturing tyres for vehicle wheels
US20220334029A1 (en) Station for checking tyres
CN114161110B (zh) 一种下料装置及检测生产线
US4488430A (en) Tire inspecting apparatus
KR102353465B1 (ko) 기판 분단시스템
JP6187889B2 (ja) タイヤ検査装置、及びタイヤの姿勢検出方法
JP4872811B2 (ja) タイヤの検査装置および方法
JP4249889B2 (ja) シールチェック装置
KR101781335B1 (ko) 냉연강판 표면 품질검사를 위한 자동화시스템
CN112718540B (zh) 一种基于刀具检测的智能筛选控制方法及其系统
CN114210578A (zh) 一种分料装置、分料方法及检测生产线
CN209764753U (zh) 一种用于核燃料棒表面检测的装置
CN209922371U (zh) 一种用于核燃料棒表面检测设备的上料装置
JPH07277493A (ja) 空箱分別装置
JPH0460891B2 (ko)
JP2001031242A (ja) タイヤの位置決め搬送装置およびタイヤ搬送方法
KR101408851B1 (ko) 타이어 공기 주입장치
CN209772793U (zh) 一种用于核燃料棒表面检测设备的下料装置
CN116281053A (zh) 电池下料装盘设备
CN114210592A (zh) 一种上料装置及检测生产线
JPS632849B2 (ko)
CN114210579A (zh) 一种检测装置及检测生产线
CN115060739A (zh) 面板检测设备以及面板检测方法
KR100232399B1 (ko) 음극선관용 전면유리 외관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