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459B1 -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 - Google Patents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459B1
KR101538459B1 KR1020140031799A KR20140031799A KR101538459B1 KR 101538459 B1 KR101538459 B1 KR 101538459B1 KR 1020140031799 A KR1020140031799 A KR 1020140031799A KR 20140031799 A KR20140031799 A KR 20140031799A KR 101538459 B1 KR101538459 B1 KR 101538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cking
rail
auxiliary
lei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스페이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스페이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스페이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3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주행바퀴가 구비된 3륜차 또는 4륜차이며, 상측으로 연장된 프레임의 좌우측에는 각각 보조주행바퀴가 구비된 레져용 차량; 지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레져용 차량의 좌우측 주행바퀴가 안착되어 주행할 수 있도록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전방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주행홈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주행홈들의 단부에서 연장된 가상연장선상의 직상방에 설치되어 레져용 차량의 보조주행바퀴가 주행가능하게 걸려지는 한 쌍의 도킹레일; 및 상기 도킹레일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레져용 차량의 보조주행바퀴가 주행가능하게 걸려지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져용 차량이 지상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다가 상기 베이스의 주행홈으로 진입하여 도킹레일에 의해 공중의 와이어로 연속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A leisure vehicle installation drivable both earth and sky}
본 발명은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환승하지 않고 육지와 강을 연속적으로 주행할 수 있어 주변 경치 관람이 단절되지 않으며, 지상에서 일정코스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어 철로, 승강장 개설비를 절감할 수 있고 좀 더 다양한 코스를 연속적으로 즐길 수 있는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악용 바이크 등의 레져용 차량은 4륜차로서 산악지형 등을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험준하긴 하지만 경관이 아름다운 장소를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은 레져용 차량은 폐선로 등을 이용하여 일정경로만을 주행하는 레일바이크에 비해 탑승자가 보다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어 모험심이 강하거나 좀 더 다양한 루트의 자유여행을 원하는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레져용 차량도 강이나 협곡과 같이 길이 끊겨진 곳에서는 우회로를 이용하여 한참을 돌아가야 하므로 원하지 않는 코스의 여행을 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시간도 상당히 지체되는 문제가 있다. 만약, 우회로가 없는 경우에는 경관이 아름다운 지형을 멀리서 바라보기만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강이나 협곡이 있는 경우 케이블카를 설치하여 운영하기도 하지만, 레져용 차량을 탑승하여 여행하다가 케이블카로 환승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케이블카로 환승하는 경우에는 경치관람의 흐름이 단절되어 분위기와 흥이 깨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케이블카 환승을 위해서 대기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가 심각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238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가 환승하지 않고 육지와 강을 연속적으로 주행할 수 있어 주변 경치 관람이 단절되지 않으며, 지상에서 일정코스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어 철로, 승강장 개설비를 절감할 수 있고 좀 더 다양한 코스를 연속적으로 즐길 수 있는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복수개의 주행바퀴가 구비된 3륜차 또는 4륜차이며, 상측으로 연장된 프레임의 좌우측에는 각각 보조주행바퀴가 구비된 레져용 차량; 지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레져용 차량의 좌우측 주행바퀴가 안착되어 주행할 수 있도록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전방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주행홈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주행홈들의 단부에서 연장된 가상연장선상의 직상방에 설치되어 레져용 차량의 보조주행바퀴가 주행가능하게 걸려지는 한 쌍의 도킹레일; 및 상기 도킹레일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레져용 차량의 보조주행바퀴가 주행가능하게 걸려지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져용 차량이 지상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다가 상기 베이스의 주행홈으로 진입하여 도킹레일에 의해 공중의 와이어로 연속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의 선단에 레져용 차량이 지상으로 안착되도록 해주는 또 다른 도킹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도킹레일 중 적어도 일측 도킹레일에는 지상에서 와이어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구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구간부가 구비된 도킹레일과 레져용 차량의 프레임에는 서로 맞물려서 레져용 차량을 도킹레일의 경사구간부를 따라 전방으로 견인시키는 견인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견인수단은 도킹레일에 전후로 연장 설치된 랙과, 상기 레져용 차량의 보조주행바퀴의 보조바퀴축에 축결되며 상기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레져용 차량에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지상에서 주행하는 레져용 차량이 도킹레일의 경사구간을 따라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도킹레일에 수평곡선코스가 형성되고, 이 수평곡선코스의 인코스도킹레일 및 아웃코스도킹레일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상면이 도킹레일의 상면보다 낮은 제1 및 제2보조레일이 더 구비되며, 상기 레져용 차량의 보조주행바퀴의 보조바퀴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보조주행바퀴보다 직경이 커서 상기 보조주행바퀴가 도킹레일을 따라 주행할 때 보조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인코스도킹레일의 상면과 제1보조레일의 상면간의 간격이 아웃코스도킹레일의 상면과 제2보조레일의 상면간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 인코스도킹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레져용 차량의 일측 보조주행바퀴가 인코스도킹레일에서 이격됨에 따라 타측 보조주행바퀴만이 아웃코스도킹레일을 따라 주행하여 레져용 차량이 수평곡선코스를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상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레져용 차량이 도킹레일을 이용하여 와이어로 연속적으로 주행할 수 있으므로, 강이나 협곡 등에서 공중의 와이어를 통해 건널 수 있어 원하는 목적지에 우회하지 않고 보다 신속하고도 연속적으로 주행하여 도달 할 수 있고 케이블카 등으로 환승할 필요가 없어 환승대기시간이 요구되지 않아서 시간이 절약되며 환승에 따른 관람의 흐름이 끊기지 않아서 여흥이 깨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져용 차량이 도킹레일에 형성된 경사구간부를 견인수단을 통해 상승주행하므로 단차가 형성되지 않은 강이나 협곡에서도 와이어를 하향 경사지게 할 수 있어 레져용 차량이 와이어에서 무동력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되다. 이때, 강이나 협곡 등 지형지물과 관계없이 도킹레일에 경사구간부를 형성하여 지상주행과 공중주행이 적절히 혼합됨에 따라 단조롭지 않고 보다 다양하고 효과적으로 경치를 관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견인수단으로 랙과 피니언과 같은 간단한 부품을 사용하면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킹레일에 지형지물 등에 따라 수평곡선코스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한 쌍의 도킹레일의 길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인코스도킹레일을 주행하는 보조주행바퀴의 동력을 차단함으로써 아웃코스도킹레일을 주행하는 보조주행바퀴의 구동력만으로 수평곡선코스를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형지물에 따라 도킹레일을 직선 뿐만 아니라 곡선으로 다양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편의성이 향상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나무나 바위 등의 자연을 파괴하지 않을 수 있어 자연경관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일부구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차량이 지상에서 도킹레일로 도킹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에서 차량이 도킹레일의 경사구간을 주행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1에서 차량이 와이어를 주행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1에서 차량이 도킹레일에서 주행하는 상태를 보인 차량의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구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레져용 차량이 곡선주행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 시스템은 하단에 복수개의 주행바퀴(2)가 구비되며 상측에 보조주행바퀴(4)가 구비된 레져용 차량(1)과, 지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레져용 차량(1)의 좌우측 주행바퀴(2)가 일정경로로 주행하도록 된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의 소정위치의 직상방에 설치되어 레져용 차량(1)의 보조주행바퀴(4)가 걸려지는 한 쌍의 도킹레일(20,21)과, 이 도킹레일(20,21)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레져용 차량(1)의 보조주행바퀴(4)가 걸려 주행하는 와이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 시스템은 강을 우회하지 않고 건널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협곡이나 레져용 차량(1)의 운행이 어려운 불규칙한 지상면 등을 직선코스로 주행하기 위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레져용 차량(1)은 3륜차도 가능하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주행바퀴(2)가 4개인 4륜차를 예시하였으며, 도시안된 엔진 등에 의해 자주식으로 주행될 수 있다. 그리고 레져용 차량(1)의 양측면에는'∩'형상의 프레임(3)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3)의 상측부에 양단에 보조주행바퀴(5)가 구비된 한 쌍의 보조바퀴축(4)이 전후로 이격되게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레져용 차량(1)에는 주행바퀴(2)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7)가 장착된다. 이때, 주행바퀴축(2a) 뿐만 아니라 보조바퀴축(4)이 상기 구동모터(7)와 벨트(8)에 의해 구동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7)의 구동에 의해 주행바퀴(2) 및 보조주행바퀴(5)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주행바퀴(5)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에 직경이 확장된 확장판(5a)이 구비되고 중앙부에 직경이 축소된 형태의 걸림홈(5b)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강을 사이에 둔 양쪽의 지상에 각각 마주보도록 설치되되 지상에서 강과 근접되는 방향을 전후로 하여 소정길이로 설치된다. 베이스(10)의 상면에는 레져용 차량(1)의 좌우 주행바퀴(2)가 안착되어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홈(11)이 서로 이격되며 전후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도킹레일(20,21)은 베이스(10)의 한 쌍의 주행홈(11)의 각 선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가상연장선의 직상방에 위치되도록 한 쌍이 지주(9) 등에 의해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강을 사이에 둔 양쪽의 도킹레일(20,21)은 각각 직선구간부(D)와 이 직선구간부(D)의 선단에서 강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구간부(S)로 이루어진 제1도킹레일(20)과, 직선구간만 형성된 제2도킹레일(21)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도킹레일(20,21)은 레져용 차량(1)의 보조주행바퀴(5)가 걸려져서 주행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우 두께가 상기 보조주행바퀴(5)의 양단 확장판(5a)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보조주행바퀴(5)가 제1 및 제2도킹레일(20,21)에서 원활하게 이동되면서도 확장판(5a)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제2도킹레일(21)에서 레져용 차량(1)이 지상으로 착륙하므로 제2도킹레일(21)의 하측에는 베이스(1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와이어(30)는 강을 사이에 둔 양쪽 제1 및 제2도킹레일(20,21)의 선단을 연결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강 일측의 제1도킹레일(20)의 경사구간부(S)의 선단에서 강 타측의 제2도킹레일(21)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레져용 차량(1)의 보조주행바퀴(5)의 걸림홈(5b)이 와이어(30)에 안착되어, 레져용 차량(1)은 그 자체의 무게로 인해 보조주행바퀴(5)가 하향 경사진 와이어(30)에서 슬립됨에 따라 무동력으로 전진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강 양측의 제1도킹레일(20)끼리 와이어(30)가 수평하게 연결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레져용 차량(1)이 구동모터(7)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30)에서 주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지상에서 주행하던 레져용 차량(1)이 경사구간부(S)가 구비된 도킹레일(20)을 통해 와이어(30)로 진입할 때, 상기 도킹레일(20)의 경사구간부(S)와 레져용 차량(1)에는 서로 맞물려서 레져용 차량(1)을 전방으로 견인하는 견인수단에 의해 레져용 차량(1)이 상승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견인수단은 도 3을 참조하면 제1도킹레일(20)의 직선구간부(D)의 일부와 경사구간부(S)에 전후로 연장 설치된 랙(22)과, 이 랙(22)과 치합되도록 레져용 차량(1)의 보조바퀴축(4)에 축결된 피니언(6)과, 상기 보조바퀴축(4)을 구동시키는 상기 구동모터(7)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상기 피니언(6)은 기어 이외에 랙(22)의 돌기들이 걸려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바가 원주 양측 링체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 설치됨으로써 바와 바 사이에 공간으로 랙(22)의 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7)의 구동에 의해 레져용 차량(1)이 제1도킹레일(20)의 경사구간부(S)를 따라 상승 주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견인수단은 랙(22)과 피니언(6) 이외에 체인과 스프로켓 등 동력수단의 구동력에 의해 차량(1)을 제1도킹레일(20)의 경사구간부(S)를 따라 상승주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차량 시스템은 레져용 차량(1)이 왕복주행 가능하도록 도 1에서와 같이 복선으로 시공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레져용 차량(1)은 지상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다가 베이스(10)의 주행홈(11)을 따라 조금만 주행하면 도 2와 같이 보조주행바퀴(5)가 제1도킹레일(20)의 직선구간부(D)에 걸려 주행하게 된다. 이때, 주행바퀴(2)도 베이스(10)의 상면에서 주행한다. 그리고 레져용 차량(1)이 계속 주행하다가 상기 견인수단인 보조바퀴축(4)의 피니언(6)이 제1도킹레일(20)의 경사구간부(S)와 근접된 직선구간부(D)에 구비된 상기 견인수단인 랙(22)과 치합된다. 또한, 구동모터(7)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6)이 회전됨에 따라 레져용 차량(1)이 상기 경사구간부(S)를 따라 상승(전진)하게 된다.
한편, 레져용 차량(1)이 경사구간부(S)의 상단에 도달하면 보조주행바퀴(5)의 걸림홈(5b)에 와이어(30)가 걸려지며, 도 1에서와 같이 하향 경사진 와이어(30)를 따라 전진하여 강을 건너게 된다. 와이어(30)의 선단에 도달한 레져용 차량(1)은 보조주행바퀴(5)가 강 건너편의 제2도킹레일(21)에 안착되어 주행하며 제2도킹레일(21)에서 벗어나면 강 건너편의 지상에서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한편, 미설명 부호 23은 제1 및 제2도킹레일(20,21) 각각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면에 랙(22)이 구비되는 단면 기역자 형상의 설치플레이트이며, 미설명 부호 3a는 레져용 차량(1)의 프레임(3)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플레이트(23)를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롤러이다. 이와 같이 레져용 차량(1)이 보조주행바퀴(5) 및 가이드롤러(3a)가 제1 및 제2도킹레일(20,21)에 밀착되어 주행되므로 주행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제1도킹레일(20)의 직선구간부(D)에 지형지물 등을 고려하여 수평곡선코스(C)를 형성한 것인데, 제2도킹레일(21)에도 수평곡선코스(C)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수평곡선코스(C)에서 한 쌍의 제1도킹레일(20)은 인코스도킹레일(20a)과 아웃코스도킹레일(20b)로 구분하며 이하에서는 이에 따라 설명한다. 한편, 수평곡선코스(C)에서 인코스도킹레일(20a)에 비해 아웃코스도킹레일(20b)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레져용 차량(1)의 양쪽 보조주행바퀴(5)가 동시에 구동되면 수평곡선코스(C)를 주행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레져용 차량(1)이 수평곡선코스(C)에서도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우선, 상기 레져용 차량(1)의 보조바퀴축(4)에는 피니언(6)과 보조주행바퀴(5) 사이에 가이드바퀴(40)가 도시안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주행바퀴(5)의 양단에 구비된 전번 실시예의 확장판의 기능 즉, 보조주행바퀴(5)의 제1 및 제2도킹레일(20,21)에서의 이탈방지기능은 가이드바퀴(40)가 대신한다.
그리고 상기 인코스도킹레일(20a) 및 아웃코스도킹레일(20b)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상기 레져용 차량(1)의 가이드바퀴(40)가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보조레일(24a,24b)이 구비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보조레일(24a,24b)은 전번 실시예의 설치플레이트와 동일한 단면 기역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그 측면에 레져용 차량(1)의 가이드롤러(3a)가 밀착되어 주행한다.
한편, 도 7의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코스도킹레일(20a)의 상면과 제1보조레일(24a)의 상면간의 간격(h1)이 상기 아웃코스도킹레일(20b)의 상면과 제2보조레일(24b)의 상면간의 간격(h2)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코스도킹레일(20a)을 따라 주행하는 보조주행바퀴(5)가 인코스도킹레일(20b)의 상면에서 소정거리(h3) 이격되어, 아웃코스도킹레일(20b)을 따라 주행하는 보조주행바퀴(5)가 아웃코스도킹레일(20b)의 상면에 밀착될 때 인코스도킹레일(20a)을 따라 주행하는 보조주행바퀴(5)는 공중에 뜨게 된다. 따라서 레져용 차량(1)이 수평곡선코스(C)를 주행할 때, 구동력이 아웃코스레일(20b)에만 전달되고 인코스도킹레일(20a)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때, 가이드바퀴(40)는 보조바퀴축(4)에서 슬립된다. 그러므로 레져용 차량(1)은 아웃코스도킹레일(20b)을 따라 주행하는 보조주행바퀴(5)의 구동력만으로 수평곡선코스(C)를 주행하므로, 수평곡선코스(C)를 보다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인코스도킹레일(20a)의 상면의 높이를 아웃코스도킹레일(20b)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레져용 차량(1)이 수평곡선코스(C)를 주행할 때 인코스도킹레일(20a)쪽으로 약간 기울어짐으로써 원심력을 상쇄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복수개의 주행바퀴가 구비된 3륜차 또는 4륜차이며, 상측으로 연장된 프레임의 좌우측에는 각각 보조주행바퀴가 구비된 레져용 차량;
    지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레져용 차량의 좌우측 주행바퀴가 안착되어 주행할 수 있도록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전방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주행홈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주행홈들의 단부에서 연장된 가상연장선상의 직상방에 설치되어 레져용 차량의 보조주행바퀴가 주행가능하게 걸려지는 한 쌍의 도킹레일; 및
    상기 도킹레일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레져용 차량의 보조주행바퀴가 주행가능하게 걸려지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선단에 연결 설치되며 레져용 차량이 지상으로 안착되도록 해주는 한 쌍의 또 다른 도킹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킹레일들 중 적어도 일측 도킹레일에는 지상에서 와이어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구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구간부가 형성된 도킹레일과 레져용 차량의 프레임에는 서로 맞물려서 레져용 차량을 도킹레일의 경사구간부를 따라 와이어쪽으로 견인시키는 견인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레져용 차량이 지상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다가 상기 베이스의 주행홈 및 도킹레일에 의해 공중의 와이어로 진입하여 지상과 공중을 연속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은 도킹레일에 전후로 연장 설치된 랙과, 상기 레져용 차량의 보조주행바퀴에 축결되며 상기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레져용 차량에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지상에서 주행하는 레져용 차량이 도킹레일을 따라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도킹레일에 수평곡선코스가 형성되고, 이 수평곡선코스의 인코스도킹레일 및 아웃코스도킹레일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상면이 도킹레일의 상면보다 낮은 제1 및 제2보조레일이 더 구비되며, 상기 레져용 차량의 보조주행바퀴의 보조바퀴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보조주행바퀴보다 직경이 커서 상기 보조주행바퀴가 도킹레일을 따라 주행할 때 제1 및 제2보조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바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인코스도킹레일의 상면과 제1보조레일의 상면간의 간격이 아웃코스도킹레일의 상면과 제2보조레일의 상면간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 인코스도킹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레져용 차량의 일측 보조주행바퀴가 인코스도킹레일에서 이격됨에 따라 타측 보조주행바퀴만이 아웃코스도킹레일을 따라 주행하여 레져용 차량이 수평곡선코스를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
KR1020140031799A 2014-03-18 2014-03-18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 KR101538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799A KR101538459B1 (ko) 2014-03-18 2014-03-18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799A KR101538459B1 (ko) 2014-03-18 2014-03-18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459B1 true KR101538459B1 (ko) 2015-07-22

Family

ID=5387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799A KR101538459B1 (ko) 2014-03-18 2014-03-18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4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8114A (zh) * 2017-12-22 2018-09-25 北京中冶设备研究设计总院有限公司 一种悬挂式过山车
KR102048547B1 (ko) * 2018-08-10 2019-11-25 길승환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4702A (ja) * 1985-09-28 1987-04-06 Toshiba Corp 無人搬送システム
JPH0541909U (ja) * 1991-11-15 1993-06-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路上・軌道両用走行車
JPH08225076A (ja) * 1994-12-08 1996-09-03 Koyo Eng Kk 水中陸走行体
KR101098524B1 (ko) * 2011-04-18 2011-12-26 (주)한국에이앤지 급경사지에서 운행가능한 레일바이크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4702A (ja) * 1985-09-28 1987-04-06 Toshiba Corp 無人搬送システム
JPH0541909U (ja) * 1991-11-15 1993-06-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路上・軌道両用走行車
JPH08225076A (ja) * 1994-12-08 1996-09-03 Koyo Eng Kk 水中陸走行体
KR101098524B1 (ko) * 2011-04-18 2011-12-26 (주)한국에이앤지 급경사지에서 운행가능한 레일바이크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8114A (zh) * 2017-12-22 2018-09-25 北京中冶设备研究设计总院有限公司 一种悬挂式过山车
KR102048547B1 (ko) * 2018-08-10 2019-11-25 길승환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6622C (zh) 单轨车辆
KR101098524B1 (ko) 급경사지에서 운행가능한 레일바이크 구조
KR101313817B1 (ko) 폐철로를 이용한 레일바이크
KR101538459B1 (ko)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
KR100765359B1 (ko) 산악용 모노레일시스템
CN101424065A (zh) 根据路面状况的路面防滑槽施工方法
CN1183734A (zh) 人用娱乐乘坐装置
JP6498690B2 (ja) 可変水位を有するウォータライド
KR101213739B1 (ko) 쌍줄 짚라인
KR20160123800A (ko) 지상 및 공중주행 겸용 레져차량장치
KR101217805B1 (ko) 쌍줄 짚라인
KR101503267B1 (ko) 급곡선 및 급구배의 운행이 가능한 레일 바이크
CN212262358U (zh) 一种水上飞船娱乐装置
CN204590708U (zh) 无避让立体停车设备用车台板
KR101213365B1 (ko) 로프웨이 시스템
KR101077147B1 (ko) 모노레일을 이용한 이동수단
RU141932U1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канатное метро)
US599697A (en) Monocycle
CN106864475B (zh) 齿轨卡轨观光车用车轮导向悬挂与卡轨装置
KR102260564B1 (ko)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KR101213314B1 (ko) 자주식 케이블카
CN220974156U (zh) 一种可以转弯的贴地索道
CN216395248U (zh) 一种乘人装置可滑动的过山车
ES2615603T3 (es) Sistema de arrastre para plataformas móviles
CN210508563U (zh) 一种无避让停车设备的行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