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840B1 -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840B1
KR101535840B1 KR1020140029300A KR20140029300A KR101535840B1 KR 101535840 B1 KR101535840 B1 KR 101535840B1 KR 1020140029300 A KR1020140029300 A KR 1020140029300A KR 20140029300 A KR20140029300 A KR 20140029300A KR 101535840 B1 KR101535840 B1 KR 101535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flap
airbag
mounting
airba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서석빈
Original Assignee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의 폭발시 절개되도록 도어부를 형성하는 슈트의 가장자리 적어도 일측에 플랩을 형성하고, 상기 슈트가 장착되는 크래쉬패드의 장착부에 플랩이 삽입되는 장착홈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폼층 형성을 위한 공정을 최소화 하도록 하면서 발포액의 누설을 방지토록 하는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Mounting structure of airbag module of Automotive interior}
본 발명은 에어백의 폭발시 절개되도록 도어부를 형성하는 슈트의 가장자리 적어도 일측에 플랩을 형성하고, 상기 슈트가 장착되는 크래쉬패드의 장착부에 플랩이 삽입되는 장착홈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폼층 형성을 위한 공정을 최소화 하도록 하면서 발포액의 누설을 방지토록 하는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에어백은, 운전석 또는 조수석 전방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순간적으로 팽창되면서 운전자나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자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 장치의 구조는, 차량의 조수석 전방의 크래쉬패드 내측에 설치되는 에어백 하우징에 에어백 모듈과 에어백이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및 에어백 모듈의 전방에 에어백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 도어는 크래쉬패드 스킨과 도어 스킨 사이에 다공질의 폼(Foam)이 충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충돌시 ECU로부터 에어백 작동 신호를 받으면, 에어백 모듈에 내장된 인플레이터의 점화가 이루어져 폭발하면서 에어백이 부풀게 되고, 이러한 에어백의 팽창에 의해 에어백 도어의 도어스킨 및 크래쉬패드 스킨이 개방되면서 에어백이 팽창하게 되어 탑승자의 신체를 보호하게 된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에어백 장치 기술이 특허 제1086513호에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에어백 도어(20), 상기 에어백 도어(20)의 양단에 위치하는 슈트(30) 및 상기 슈트(30)에 결합되어 에어백을 수용하는 에어백 하우징(10)을 포함하고, 상기 슈트(30)에는 일단에 제1걸림홈(32)과 타단에 제2걸림홈(34)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은 상기 제1걸림홈(32) 및 상기 제2걸림홈(34)에 각각 수용되는 제1후크(12)와 제2후크(14)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에어백 장치는, 슈트(30)를 크래쉬패드에 형성되는 장착부에 올려놓은 후 그 연결부에 폼층의 형성시 발포액의 유입을 방지토록 테잎 등을 부착하고, 상기 슈트의 상부에 우레탄폼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에어백 장치는, 발포액의 누출방지를 위해 테잎 등을 부착하여야 하는 공정이 증가되고, 슈트(30)의 정확한 위치결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폼층의 형성시 슈트가 유동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폼층 형성을 위한 공정을 최소화 하도록 하면서 발포액의 누설을 방지토록 하고, 에어백이 장착되는 슈트의 크래쉬패드 장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며, 폼층의 형성시 슈트의 유동을 방지토록 하여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슈트의 좌우 및 상하방향의 유동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에어백의 폭발시 절개되는 도어부를 형성하는 슈트의 가장자리 적어도 일측에 플랩을 형성하고, 상기 슈트가 장착되는 크래쉬패드의 장착부에 플랩이 삽입되는 장착홈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슈트에 형성되는 플랩(flap) 및 장착부에 형성되는 장착홈은,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는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슈트에 형성되는 플랩은, 반대방향하면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지지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착홈은, 플랩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단부에 경사부가 구비되는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플랩은 단부를 향하여 두께가 점차로 감소토록 설치되고, 상기 슈트에는 장착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돌기에 대응토록 지지홈이 장착부에 구비되는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폼층 형성을 위한 공정을 최소화 하면서 발포액의 누설을 방지하고, 에어백이 장착되는 슈트의 크래쉬패드 장착이 정확하며, 폼층의 형성시 슈트의 유동을 방지토록 하여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슈트의 좌우 및 상하방향의 유동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모듈 장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모듈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모듈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모듈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모듈 장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모듈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모듈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모듈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에어백의 폭발시 절개되도록 도어부(110)를 형성하는 슈트(100)의 가장자리 적어도 일측에 플랩(1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슈트(100)가 장착되는 크래쉬패드(200)의 장착부(210)에 플랩(130)이 삽입되는 장착홈(21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장착부(210)는, 지지판(215)이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장착부의 상부면적은 슈트의 상부면적은 장착부의 상부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플랩(130)의 적어도 일부가 장착홈(213)에 삽입토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슈트(100)에 형성되는 플랩(flap)(130)은,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연속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플랩에 대응토록 장착부에 복수의 장착홈(213)이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슈트(100)에 형성되는 플랩(130)은, 반대방향을 향하는 지지편(135)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홈(213)은, 플랩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단부에 경사부(21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플랩(130)은, 슈트(100) 단부를 향하여 두께가 점차로 감소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슈트(100)에는 장착부의 지지홈(217)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돌기(17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돌기(170)의 높이는 지지홈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지랫대의 역활을 수행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슈트(100)의 가장자리 적어도 일측에 플랩(130)을 형성하여 크래쉬패드(200)의 장착부(210)에 둘레에 형성되는 장착홈(213)에 압입되어 위치결정토록 된다.
이때, 상기 플랩(130)의 면적은 평면에서 슈트(100)가 밀착되는 장착부(21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결합시 장착부(210)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면서 우레탄폼층의 형성시 별도의 테잎 부착 작업이 없이도 발포액의 연결부를 통한 누설이 방지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슈트(100)의 가장자리가 장착되는 크래쉬패드(200)의 장착부(210)는 지지판의 내측이 관통되어 에어백모듈(미도시) 하향되는 상태에서 지지토록 된다.
또한, 상기 슈트(100)의 장착시 플랩(130)이 삽입토록 장착부의 둘레를 따라 장착홈(213)을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부(21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랩(130)을 상부에서 아일 할 때 유연성을 갖도록 하면서 단부를 향하여 두께가 점차로 감소되는 플랩의 특성에 의해 장착홈(213)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압입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플랩(130) 및 장착홈(213)은, 슈트의 가장자리 및 장착부에 복수개가 구비되어 움직임이 방지토록 되면서 밀착면적을 증가시켜 발포액의 누설이 방지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홈(213) 역시 그 단부에 경사부(219)가 형성되어 플랩의 진입이 용이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슈트(100)에 형성되는 플랩(flap)(130)은,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연속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장착홈(213)에 삽입시 플랩이 장착홈의 상부면 하부면에 각각 밀착 지지되어 장착홈을 통한 발포액의 누출을 방지하게 하면서 슈트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슈트(100)에 형성되는 플랩(130)은, 반대방향을 향하는 지지편(135)이 일체로 형성되어 플랩이 장착홈(213)에 압입될 때 상,하방향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크래쉬패드의 장착부에는 복수의 지지홈(217)이 이에 대응되는 슈트(100)의 저면에는 복수의 지지돌기(170)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상기 슈트(100)를 장착부에 내려 놓으면 용이하게 위치결정토록 된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170)를 중심으로 플랩(130)이 하향되면서 장착홈(213)의 내측으로 압입되는 구성으로 플랩과 장착홈의 상호 밀착력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슈트 110...도어부
130...플랩 200...크래쉬패드
210...장착부 213...장착홈
250...지지판

Claims (5)

  1. 에어백의 폭발시 절개토록 도어부를 형성하는 슈트의 가장자리에 플랩을 형성하고, 상기 슈트가 장착되는 크래쉬패드의 장착부에 플랩이 삽입되는 장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플랩은 단부를 향하여 두께가 점차로 감소토록 설치되고,
    상기 슈트에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부에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대응토록 지지홈이 구비되는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하나로 형성되면서 반대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지지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플랩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단부에 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
  5. 삭제
KR1020140029300A 2014-03-13 2014-03-13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 KR101535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300A KR101535840B1 (ko) 2014-03-13 2014-03-13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300A KR101535840B1 (ko) 2014-03-13 2014-03-13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840B1 true KR101535840B1 (ko) 2015-07-10

Family

ID=5379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300A KR101535840B1 (ko) 2014-03-13 2014-03-13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8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6544A (ja) * 1996-09-03 1998-03-24 Kansei Corp 車両用内装パネル及びその成形方法
KR100396141B1 (ko) * 1998-02-19 2003-08-27 텍스트론 오토모티브 캄파니 인크. 일체형 에어백 커버 조립체와 그 제조방법
KR100812835B1 (ko) * 2006-12-06 2008-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89567A (ko) * 2009-02-04 2010-08-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모듈용 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6544A (ja) * 1996-09-03 1998-03-24 Kansei Corp 車両用内装パネル及びその成形方法
KR100396141B1 (ko) * 1998-02-19 2003-08-27 텍스트론 오토모티브 캄파니 인크. 일체형 에어백 커버 조립체와 그 제조방법
KR100812835B1 (ko) * 2006-12-06 2008-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89567A (ko) * 2009-02-04 2010-08-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모듈용 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9312B2 (en) Side air bag device
JP6224915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CN105818777A (zh) 车辆斜向碰撞吸收系统
KR101113667B1 (ko) 차량의 에어백 장착용 크래쉬패드
KR20160045489A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US20130001929A1 (en) Air bag chute topper system
JP2017047861A (ja) 後席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04554121A (zh) 集成的侧面撞击和后排乘员正面撞击保护垫式安全气囊
US11001225B2 (e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KR20110037598A (ko)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CN103153713A (zh) 用于乘员座椅的安全气囊设备
US9475449B2 (en) Headliner assemblies having tethered support structure
KR101086513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1535840B1 (ko) 크래쉬패드의 에어백 모듈 장착구조
KR100970696B1 (ko) 에어백 모듈의 결합 구조
JP7097461B6 (ja) シート使用の検出機能を備えた自動車シートの発泡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668885B2 (en) Side airbag device for rear seat
JP2010006101A (ja) 車両の内装構造
KR100946939B1 (ko) 에어백 모듈의 결합 구조
JP5803666B2 (ja) 車室内構造
KR102386992B1 (ko) 슈트 분리형 구조를 갖는 승객 에어벡용 도어
KR100538619B1 (ko) 조수석 에어백의 도어 구조
US20100038891A1 (en) Instrument panel for motor vehicle
KR101550142B1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 고정구조
KR0131028B1 (ko) 자동차용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