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201B1 -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 - Google Patents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201B1
KR101534201B1 KR1020140109525A KR20140109525A KR101534201B1 KR 101534201 B1 KR101534201 B1 KR 101534201B1 KR 1020140109525 A KR1020140109525 A KR 1020140109525A KR 20140109525 A KR20140109525 A KR 20140109525A KR 101534201 B1 KR101534201 B1 KR 101534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eft
bar
distanc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아
Priority to KR1020140109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5/00Shuttles
    • D03J5/24Tens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류의 힘으로 경사 사이로 위사를 날려 직물을 짜는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는, 노즐의 전단에 배치되어 날려 보내지는 위사를 잡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디스크와,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하부 디스크에 접촉 및 이격을 반복하도록 상하로 작동하는 상부 디스크를 포함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의 후단에 위치되고 위사가 통과되는 후방 개구가 형성된 후방 가이드부; 상기 후방 가이드부에 인접하게 고정되고, 이격된 2개의 세로바와, 상기 2개의 세로바를 연결하는 가로바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세로바에는 각각 거치용 개구가 형성된 거치대; 상기 2개의 세로바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거치용 개구에 삽입되는 제1 횡단바; 상기 제1 횡단바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횡단바와 직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횡단바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삽입 개구가 형성된 제1 수직바; 일단부는 상기 클램프의 상기 상부 디스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수직바의 상기 삽입 개구에 삽입되는 고정핀; 상기 클램프의 전단에 위치되고 위사가 통과하는 제1 전방 개구가 형성된 제1 전방 가이드부; 상기 제1 전방 가이드부의 전단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1 전방 개구와 동일한 높이에 위사가 통과하는 제2 전방 개구가 형성된 제2 전방 가이드부; 상기 제1 횡단바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상기 제1 수직바의 단부에 고정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하향 연장바로서, 상기 하향 연장바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전방 개구와 상기 제2 전방 개구 사이에 동일한 높이로 위치하고 위사가 통과하는 관통 개구가 형성된 하향 연장바;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의 5배 내지 7배 이고, 위사는 상기 제2 전방 개구, 상기 관통 개구, 상기 제1 전방 개구, 상기 후방 개구를 차례로 통과하고, 상기 상부 디스크가 상승하여 상기 하부 디스크와 이격되면, 상기 상부 디스크와 연결된 상기 고정핀이 상승하여, 상기 제1 수직바를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하향 연장바의 상기 관통 개구가 상기 제1 전방 개구의 높이보다 상승하고, 상기 상부 디스크가 하강하여 상기 하부 디스크와 접촉되면, 상기 상부 디스크와 연결된 상기 고정핀이 하강하여, 상기 제1 수직바를 하강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하향 연장바의 상기 관통 개구가 상기 제1 전방 개구와 동일한 높이까지 하강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클램프의 상부 디스크가 상승할 때 소정량의 위사가 함께 상승하고, 상부 디스크가 하강할 때 상승된 위사의 여유분이 하강하면서 펴지는 과정에서 위사에 전달되는 인장력을 감소시키므로, 워터제트직기에서 노즐에 의해 위사를 날려 보내는 과정에서 피더 솔레노이드와 클램프에 의해 위사가 잡히는 순간에 위사에 전달되는 인장력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 {Apparatus for reducing tension of weft in water jet loom}
본 발명은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류의 힘으로 경사 사이로 위사를 날려 직물을 짜는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워터제트직기는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류의 힘으로 경사 사이로 위사를 날려 짜는 직기로서, 생산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워터제트직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워터제트직기(1)는 일정량의 위사(5)가 피더(10)에 감긴 상태에서 노즐(30)에서 분사되는 분사수 압력에 의해 위사(5)를 경사(6) 사이로 날려 보내 직물을 제직하게 된다. 이때, 클램프(20)는 경사(6) 사이로 날려 보내지는 위사(5)가 직물의 폭 이상으로 날아가지 않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클램프(20)는 솔레노이드에 의해서 작동하는 상부 디스크(21)와 하부에 고정된 하부 디스크(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 디스크(21)와 하부 디스크(22) 사이로 지나가는 위사(5)를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상부 디스크(21)를 하부 디스크(22)에 밀착시켜 위사(5)를 잡아주도록 구성된다.
피더 솔레노이드(11)는 노즐(30)의 분사 압력에 의해 피더(10)에서 위사(5)가 일정량 이상으로 풀려지지 않도록 위사(5)를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클램프(20)의 양쪽에는 가이드(26, 27)가 위치되어, 노즐(30)에 의해 위사(5)가 날려 보내질 때 위사(5)가 클램프(20)를 경유하도록 가이드 한다. 경사(6) 사이로 보내진 위사(5)는 커터(40, 50)에 의해 직물의 길이에 맞게 잘려진다.
피더 솔레노이드(11)가 위사(5)를 잡으면, 거의 동시에 클램프(20)가 작동하여 위사(5)를 잡게 된다. 이때, 피더 솔레노이드(11)와 클램프(20) 사이에 위치하는 위사(5)는 피더 솔레노이드(11)와 클램프(20)에 의해 잡히는 순간 관성력에 의해 매우 강한 인장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피더 솔레노이드(11)와 클램프(20) 사이에 위치하는 위사(5)는 물성의 변화가 생기고, 이러한 부분의 위사(5)가 경사(6) 사이로 보내져 실제로 직물로 제작되었을 때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염색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피더 솔레노이드(11)와 클램프(20)에 의해 위사(5)가 잡히는 순간에 위사(5)에 전달되는 인장력을 최소로 함으로써, 그 부분의 물성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638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워터제트직기에서 노즐에 의해 위사를 날려 보내는 과정에서 피더 솔레노이드와 클램프에 의해 위사가 잡히는 순간에 위사에 전달되는 인장력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류의 힘으로 위사를 경사 사이로 날려 보내 직물을 짜는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는, 노즐의 전단에 배치되어 날려 보내지는 위사를 잡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디스크와,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하부 디스크에 접촉 및 이격을 반복하도록 상하로 작동하는 상부 디스크를 포함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의 후단에 위치되고 위사가 통과되는 후방 개구가 형성된 후방 가이드부; 상기 후방 가이드부에 인접하게 고정되고, 이격된 2개의 세로바와, 상기 2개의 세로바를 연결하는 가로바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세로바에는 각각 거치용 개구가 형성된 거치대; 상기 2개의 세로바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거치용 개구에 삽입되는 제1 횡단바; 상기 제1 횡단바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횡단바와 직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횡단바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삽입 개구가 형성된 제1 수직바; 일단부는 상기 클램프의 상기 상부 디스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수직바의 상기 삽입 개구에 삽입되는 고정핀; 상기 클램프의 전단에 위치되고 위사가 통과하는 제1 전방 개구가 형성된 제1 전방 가이드부; 상기 제1 전방 가이드부의 전단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1 전방 개구와 동일한 높이에 위사가 통과하는 제2 전방 개구가 형성된 제2 전방 가이드부; 상기 제1 횡단바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상기 제1 수직바의 단부에 고정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하향 연장바로서, 상기 하향 연장바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전방 개구와 상기 제2 전방 개구 사이에 동일한 높이로 위치하고 위사가 통과하는 관통 개구가 형성된 하향 연장바;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의 5배 내지 7배 이고, 위사는 상기 제2 전방 개구, 상기 관통 개구, 상기 제1 전방 개구, 상기 후방 개구를 차례로 통과하고, 상기 상부 디스크가 상승하여 상기 하부 디스크와 이격되면, 상기 상부 디스크와 연결된 상기 고정핀이 상승하여, 상기 제1 수직바를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하향 연장바의 상기 관통 개구가 상기 제1 전방 개구의 높이보다 상승하고, 상기 상부 디스크가 하강하여 상기 하부 디스크와 접촉되면, 상기 상부 디스크와 연결된 상기 고정핀이 하강하여, 상기 제1 수직바를 하강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하향 연장바의 상기 관통 개구가 상기 제1 전방 개구와 동일한 높이까지 하강한다.
이때,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의 6배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류의 힘으로 위사를 경사 사이로 날려 보내 직물을 짜는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는, 노즐의 전단에 배치되어 날려 보내지는 위사를 잡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디스크와,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하부 디스크에 접촉 및 이격을 반복하도록 상하로 작동하는 상부 디스크를 포함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의 후단에 위치되고 위사가 통과되는 후방 개구가 형성된 후방 가이드부; 상기 후방 가이드부에 인접하게 고정되고, 이격된 2개의 세로바와, 상기 2개의 세로바를 연결하는 가로바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세로바에는 각각 거치용 개구가 형성된 거치대; 상기 2개의 세로바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거치용 개구에 삽입되는 제1 횡단바; 상기 제1 횡단바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횡단바와 직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횡단바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1 삽입 개구가 형성된 제1 수직바; 일단부는 상기 클램프의 상기 상부 디스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수직바의 상기 제1 삽입 개구에 삽입되는 고정핀; 상기 클램프의 전단에 위치되고, 거치용 개구와, 위사가 통과하는 제1 전방 개구가 형성된 제1 전방 가이드부; 상기 제1 전방 가이드부의 전단에 위치되고, 거치용 개구와, 상기 제1 전방 개구와 동일한 높이에 위사가 통과하는 제2 전방 개구가 형성된 제2 전방 가이드부; 상기 제1 전방 가이드부와 상기 제2 전방 가이드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1 전방 가이드부의 상기 거치용 개구와 상기 제2 전방 가이드부의 상기 거치용 개구에 삽입되는 제2 수직바; 상기 제1 전방 가이드부와 상기 제2 전방 가이드부 사이에서 상기 제2 수직바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횡단바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수직바로부터 제3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2 삽입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바로부터 제4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위사가 통과되는 중간 개구가 형성된 제2 횡단바; 일단부는 상기 제1 횡단바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상기 제1 수직바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횡단바의 상기 제2 삽입 개구에 삽입되는 연결핀;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의 4배 내지 6배이고, 상기 제4 거리는 상기 제3 거리의 3배 내지 4배이고, 위사는 상기 제2 전방 개구, 상기 중간 개구, 상기 제1 전방 개구, 상기 후방 개구를 차례로 통과하고, 상기 상부 디스크가 상승하여 상기 하부 디스크와 이격되면, 상기 상부 디스크와 연결된 상기 고정핀이 상승하여, 상기 제1 수직바를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핀으로 연결된 상기 제2 횡단바가 상승하여 상기 중간 개구가 상기 제1 전방 개구의 높이보다 상승하고, 상기 상부 디스크가 하강하여 상기 하부 디스크와 접촉되면, 상기 상부 디스크와 연결된 상기 고정핀이 하강하여, 상기 제1 수직바를 하강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핀으로 연결된 상기 제2 횡단바가 하강하여 상기 중간 개구가 상기 제1 전방 개구와 동일한 높이까지 하강한다.
이때,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의 5배이고, 상기 제4 거리는 상기 제3 거리의 3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의 상부 디스크가 상승할 때 소정량의 위사가 함께 상승하고, 상부 디스크가 하강할 때 상승된 위사의 여유분이 하강하면서 펴지는 과정에서 위사에 전달되는 인장력을 감소시키므로, 워터제트직기에서 노즐에 의해 위사를 날려 보내는 과정에서 피더 솔레노이드와 클램프에 의해 위사가 잡히는 순간에 위사에 전달되는 인장력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워터제트직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상부 디스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상부 디스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에서 상부 디스크가 상승한 상태의 위사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에서 상부 디스크가 하강할 때의 위사 형상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상부 디스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에서 상부 디스크가 상승한 상태의 위사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에서 상부 디스크가 하강할 때의 위사 형상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는 위사 텐션 감소 장치(100)를 구비한다.
워터제트직기는 일정량의 위사(5)가 피더(10)에 감긴 상태에서 노즐(30)에서 분사되는 분사수 압력에 의해 위사(5)를 경사(6) 사이로 날려 보내 직물을 제직하게 된다. 이때, 클램프(110)는 경사(6) 사이로 날려 보내지는 위사(5)가 직물의 폭 이상으로 날아가지 않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클램프(110)는 솔레노이드에 의해서 작동하는 상부 디스크(111)와, 하부에 고정된 하부 디스크(1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 디스크(111)와 하부 디스크(112) 사이로 지나가는 위사(5)를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상부 디스크(111)를 하부 디스크(112)에 밀착시켜 위사(5)를 잡아주도록 구성된다.
피더 솔레노이드(11)는 노즐(30)의 분사 압력에 의해 피더(10)에서 위사(5)가 일정량 이상으로 풀려지지 않도록 위사(5)를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클램프(110)의 양쪽에는 가이드가 위치되어, 노즐(30)에 의해 위사(5)가 날려 보내질 때 위사(5)가 클램프(110)를 경유하도록 가이드한다. 경사(6) 사이로 보내진 위사(5)는 커터(40, 50)에 의해 직물의 길이에 맞게 잘려진다.
피더 솔레노이드(11)가 위사(5)를 잡으면, 거의 동시에 클램프(110)가 작동하여 위사(5)를 잡게 된다. 이때, 피더 솔레노이드(11)와 클램프(110) 사이에 위치하는 위사(5)는 피더 솔레노이드(11)와 클램프(110)에 의해 잡히는 순간 관성력에 의해 매우 강한 인장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피더 솔레노이드(11)와 클램프(110) 사이에 위치하는 위사(5)는 물성의 변화가 생기고, 이러한 부분의 위사(5)가 경사(6) 사이로 보내져 실제로 직물로 제작되었을 때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염색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100)는 피더 솔레노이드(11)와 클램프(110)에 의해 위사(5)가 잡히는 순간에 위사(5)에 전달되는 인장력을 최소로 함으로써, 그 부분의 물성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위사 텐션 감소 장치(100)는 클램프(110), 후방 가이드부(120), 거치대(130), 제1 횡단바(135), 제1 수직바(140), 고정핀(150), 제1 전방 가이드부(160), 제2 전방 가이드부(170), 하향 연장바(180) 등을 포함한다.
클램프(110)는 노즐(30)의 전단에 배치되어 날려 보내지는 위사(5)를 잡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디스크(111)와 하부 디스크(112)를 포함한다. 하부 디스크(112)는 클램프(110)에 고정되고, 상부 디스크(111)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하부 디스크(112)에 접촉 및 이격을 반복하도록 상하로 작동한다.
후방 가이드부(120)는 클램프(110)의 후단에 위치되고, 편평한 판 형태로 될 수 있다. 후방 가이드부(120)에는 후방 개구(121)가 형성되어, 위사(5)가 클램프(110)를 통과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전단은 피더 솔레노이드(11)가 있는 쪽을 말하고, 후단은 노즐(30)이 있는 쪽을 말한다.
거치대(130)는 후방 가이드부(120)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후방 가이드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거치대(130)는 이격된 2개의 세로바(131, 132)와, 이러한 2개의 세로바(131, 132)를 연결하는 가로바(133)를 포함한다. 2개의 세로바(131, 132)에는 각각 거치용 개구(131a, 132a)가 형성되어, 제1 횡단바(1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횡단바(135)는 2개의 세로바(131, 132)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거치용 개구(131a, 132a)에 삽입된다. 제1 횡단바(135)의 단부는 제1 횡단바(135)가 거치용 개구(131a, 132a)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굴곡될 수 있다.
제1 수직바(140)는 제1 횡단바(135)에 고정되어 제1 횡단바(135)와 직각으로 연장된다. 제1 수직바(140)에는 제1 횡단바(135)로부터 제1 거리(ℓ1)만큼 이격된 위치에 삽입 개구(141)가 형성되어, 클램프(110)의 상부 디스크(111)와 연결된 고정핀(150)이 삽입될 수 있다. 삽입 개구(141)는 대체로 클램프(110)의 상부 디스크(111)의 바로 위에 위치된다.
고정핀(150)의 일단부(151)는 클램프(110)의 상부 디스크(111)에 고정되고, 타단부(152)는 제1 수직바(140)의 삽입 개구(141)에 삽입된다. 그에 따라, 클램프(110)의 상부 디스크(111)가 하부 디스크(112)로부터 이격되게 상승하면, 고정핀(150)도 상승하고, 고정핀(150)과 연결된 제1 수직바(140)도 제1 횡단바(13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승하게 된다. 상부 디스크(111)가 하강하면, 제1 수직바(140)도 제1 횡단바(135)를 중심으로 반대로 회전하여 하강하게 된다.
제1 전방 가이드부(160)는 클램프(110)의 전단에 위치되어 위사(5)가 클램프(110)를 경유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제1 전방 가이드부(160)에는 위사(5)가 통과하도록 제1 전방 개구(161)가 형성된다.
제2 전방 가이드부(170)는 제1 전방 가이드부(160)의 전단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위사(5)가 클램프(110)를 경유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제2 전방 가이드부(170)에는 제1 전방 개구(161)와 동일한 높이에 위사(5)가 통과하는 제2 전방 개구(171)가 형성된다.
하향 연장바(180)는 제1 횡단바(135)로부터 제2 거리(ℓ2)만큼 이격된 제1 수직바(140)의 단부에 고정되어 하향으로 연장된다. 제2 거리(ℓ2)는 제1 거리(ℓ1)의 5배 내지 7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배이다.
하향 연장바(180)의 단부에는 제1 전방 개구(161)와 제2 전방 개구(171) 사이에 동일한 높이로 위치하고 위사(5)가 통과하는 관통 개구(181)가 형성된다.
위사(5)는 제2 전방 개구(171), 관통 개구(181), 제1 전방 개구(161), 클램프(110), 후방 개구(121)를 차례로 통과한다.
도 4는 클램프(110)의 상부 디스크(111)가 하부 디스크(112)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하향 연장바(180)의 관통 개구(181)는 제1 전방 개구(161)와 제2 전방 개구(171) 사이에 동일한 높이로 위치된다.
도 5는 클램프(110)의 상부 디스크(111)가 상승하여 하부 디스크(112)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부 디스크(111)가 상승하면, 상부 디스크(111)와 연결된 고정핀(150)이 상승하고, 제1 수직바(140)도 제1 횡단바(13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승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수직바(140)의 단부에 연결된 하향 연장바(180)의 관통 개구(181)도 제1 전방 개구(161)의 높이보다 상승하게 된다.
제2 거리(ℓ2)가 제1 거리(ℓ1)의 6배라 가정하고, 상부 디스크(111)가 상승할 때 상부 디스크(111)와 하부 디스크(112) 사이의 이격 거리(ℓ)가 1.5mm라 한다. 이때, 고정핀(150)으로 상부 디스크(111)와 연결된 제1 수직바(140)의 삽입 개구(141)의 높이가 대략 1.5mm가 상승한다 하면, 하향 연장바(180)의 관통 개구(181)의 높이는 대략 1.5mm의 6배만큼 상승하여 9mm 정도 상승하게 된다. 그에 따라, 클램프(110)를 통과하는 위사(5)의 형상은 대략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다음에, 클램프(110)의 상부 디스크(111)가 하강하여 하부 디스크(112)와 접촉되면서 위사(5)를 잡을 때는, 상부 디스크(111)와 연결된 고정핀(150)이 하강하여, 제1 수직바(140)를 하강시킨다.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디스크(112)의 관통 개구(181)가 제1 전방 개구(161)와 동일한 높이까지 하강하게 된다. 도 4와 같이 하향 연장바(180)의 관통 개구(181)도 제1 전방 개구(161)와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된다.
이때, 클램프(110)를 통과하는 위사(5)의 형상은 대략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를 갖게 된다. 위사(5)가 도 11a에서 도 11b와 같이 변형되는 과정에서, 위사(5)의 여유분(S)은 피더 솔레노이드(11)가 위사(5)를 잡고 클램프(110)가 위사(5)를 잡는 순간 위사(5)의 팽팽한 정도를 훨씬 줄어들게 한다. 따라서, 이때 위사(5)의 관성력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은 위사(5)의 여유분(S)에 의해 상당히 줄어들 수 있어, 위사(5)의 물성 변화를 최소로 하고 제직된 직물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상부 디스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는 위사 텐션 감소 장치(200)를 구비한다. 워터제트직기의 피더(10), 피더 솔레노이드(11), 클램프(210), 노즐(30), 커터(40, 5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위사 텐션 감소 장치(200)는 클램프(210), 후방 가이드부(220), 거치대(230), 제1 횡단바(235), 제1 수직바(240), 고정핀(250), 제1 전방 가이드부(260), 제2 전방 가이드부(270), 제2 수직바(275), 제2 횡단바(280), 연결핀(290) 등을 포함한다.
클램프(210)는 노즐(30)의 전단에 배치되어 날려 보내지는 위사(5)를 잡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디스크(211)와 하부 디스크(212)를 포함한다. 하부 디스크(212)는 클램프(210)에 고정되고, 상부 디스크(211)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하부 디스크(212)에 접촉 및 이격을 반복하도록 상하로 작동한다.
후방 가이드부(220)는 클램프(110)의 후단에 위치되고, 편평한 판 형태로 될 수 있다. 후방 가이드부(220)에는 후방 개구(221)가 형성되어, 위사(5)가 클램프(210)를 통과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전단은 피더 솔레노이드(11)가 있는 쪽을 말하고, 후단은 노즐(30)이 있는 쪽을 말한다.
거치대(230)는 후방 가이드부(220)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후방 가이드부(220)에 고정될 수 있다. 거치대(230)는 이격된 2개의 세로바(231, 232)와, 이러한 2개의 세로바(231, 232)를 연결하는 가로바(233)를 포함한다. 2개의 세로바(231, 232)에는 각각 거치용 개구(231a, 232a)가 형성되어, 제1 횡단바(2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횡단바(235)는 2개의 세로바(231, 232)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거치용 개구(231a, 232a)에 삽입된다. 제1 횡단바(235)의 단부는 제1 횡단바(235)가 거치용 개구(231a, 232a)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굴곡될 수 있다.
제1 수직바(240)는 제1 횡단바(235)에 고정되어 제1 횡단바(235)와 직각으로 연장된다. 제1 수직바(240)에는 제1 횡단바(235)로부터 제1 거리(ℓ1)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1 삽입 개구(241)가 형성되어, 클램프(210)의 상부 디스크(211)와 연결된 고정핀(250)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삽입 개구(241)는 대체로 클램프(210)의 상부 디스크(211)의 바로 위에 위치된다.
고정핀(250)의 일단부(251)는 클램프(210)의 상부 디스크(211)에 고정되고, 타단부(252)는 제1 수직바(240)의 제1 삽입 개구(241)에 삽입된다. 그에 따라, 클램프(210)의 상부 디스크(211)가 하부 디스크(212)로부터 이격되게 상승하면, 고정핀(250)도 상승하고, 고정핀(250)과 연결된 제1 수직바(240)도 제1 횡단바(23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승하게 된다. 상부 디스크(211)가 하강하면, 제1 수직바(240)도 제1 횡단바(235)를 중심으로 반대로 회전하여 하강하게 된다.
제1 전방 가이드부(260)는 클램프(210)의 전단에 위치되어 위사(5)가 클램프(210)를 경유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제1 전방 가이드부(260)에는 거치용 개구(261)와, 위사(5)가 통과하는 제1 전방 개구(262)가 형성된다.
제2 전방 가이드부(270)는 제1 전방 가이드부(160)의 전단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위사(5)가 클램프(210)를 경유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제2 전방 가이드부(270)에는 거치용 개구(271)가 형성되고, 제1 전방 개구(261)와 동일한 높이에 위사(5)가 통과하는 제2 전방 개구(272)가 형성된다.
제2 수직바(275)는 제1 전방 가이드부(260)와 제2 전방 가이드부(270)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제1 전방 가이드부(260)의 거치용 개구(261)와 제2 전방 가이드부(270)의 거치용 개구(272)에 삽입된다.
제2 횡단바(280)는 제1 전방 가이드부(260)와 제2 전방 가이드부(270) 사이의 제2 수직바(275)에 고정되고, 제1 횡단바(280)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 횡단바(280)에는 제2 수직바(275)로부터 제3 거리(d3)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2 삽입 개구(281)가 형성되고, 제2 수직바로부터 제4 거리(d4)만큼 이격된 위치에 위사가 통과되는 중간 개구(282)가 형성된다. 제4 거리(d4)는 제3 거리(d3)의 3배 내지 4배이고, 바람직하게는 3배이다.
연결핀(290)은 제1 수직바(240)와 제2 횡단바(280)를 연결한다. 연결핀(290)의 일단부는 제1 횡단바(240)로부터 제2 거리(ℓ2)만큼 이격된 제1 수직바(240)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 횡단바(280)의 제2 삽입 개구(281)에 삽입된다. 제2 거리(ℓ2)는 제1 거리(ℓ1)의 4배 내지 6배이고, 바람직하게는 5배이다.
위사(5)는 제2 전방 개구(272), 중간 개구(282), 제1 전방 개구(262), 클램프(210), 후방 개구(221)를 차례로 통과한다.
도 7은 클램프(210)의 상부 디스크(211)가 하부 디스크(212)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제2 횡단바(280)의 중간 개구(282)는 제1 전방 개구(262)와 제2 전방 개구(272) 사이에 동일한 높이로 위치된다.
도 10은 클램프(210)의 상부 디스크(211)가 상승하여 하부 디스크(212)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부 디스크(211)가 상승하면, 상부 디스크(211)와 연결된 고정핀(250)이 상승하고, 제1 수직바(240)도 제1 횡단바(23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승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수직바(240)의 단부가 상승하면서, 제1 수직바(240)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핀(290)도 상승하게 된다. 이때, 연결핀(290)은 제2 횡단바(280)를 들어올려서, 제2 횡단바(280)의 중간 개구(282)는 제1 전방 개구(262)의 높이보다 상승하게 된다.
제2 거리(ℓ2)가 제1 거리(ℓ1)의 5배이고, 제4 거리(d4)가 제3 거리(d3)의 3배라 가정하고, 상부 디스크(211)가 상승할 때 상부 디스크(211)와 하부 디스크(212) 사이의 이격 거리(ℓ)가 1mm라 한다.
이때, 고정핀(250)으로 상부 디스크(211)와 연결된 제1 수직바(240)의 삽입 개구(241)의 높이가 대략 1mm 상승한다 하면, 제1 수직바(240)에 고정되는 연결핀(290)의 단부는 대략 1mm의 5배만큼 상승하여 5mm 정도 상승하게 된다. 연결핀(290)이 상승하면, 제2 횡단바(280)도 제2 수직바(27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승하게 된다.
그에 따라, 연결핀(290)이 제2 횡단바(280)를 5mm 만큼 상승시키면, 제2 횡단바(280)의 단부에 위치된 중간 개구(282)는 제3 거리(d3)에 대한 제4 거리(d4)의 배수에 따라 5mm의 3배만큼 상승하여 15mm 정도 상승하게 된다. 이때, 클램프(110)를 통과하는 위사(5)의 형상은 대략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다음에, 클램프(210)의 상부 디스크(211)가 하강하여 하부 디스크(212)와 접촉되면서 위사(5)를 잡을 때는, 상부 디스크(211)와 연결된 고정핀(250)이 하강하여, 제1 수직바(240)를 하강시킨다. 그에 따라, 제2 횡단바(280)도 하강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횡단바(280)의 중간 개구(282)가 제1 전방 개구(262)와 동일한 높이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때, 클램프(210)를 통과하는 위사(5)의 형상은 대략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를 갖게 된다. 위사(5)가 도 11a에서 도 11b와 같이 변형되는 과정에서, 위사(5)의 여유분(S)은 피더 솔레노이드(11)가 위사(5)를 잡고 클램프(210)가 위사(5)를 잡는 순간 위사(5)의 팽팽한 정도를 훨씬 줄어들게 한다. 따라서, 이때 위사(5)의 관성력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은 위사(5)의 여유분(S)에 의해 상당히 줄어들 수 있어, 위사(5)의 물성 변화를 최소로 하고 제직된 직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5 : 위사
6 : 경사
10 : 피터
11 : 피더 솔레노이드
30 : 노즐
40, 50 : 커터
100 : 위사 텐션 감소 장치
110 : 클램프
120 : 후방 가이드부
130 : 거치대
135 : 제1 횡단바(135)
140 : 제1 수직바
150 : 고정핀
160 : 제1 전방 가이드부
170 : 제2 전방 가이드부
180 : 하향 연장바(180)

Claims (4)

  1.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류의 힘으로 위사를 경사 사이로 날려 보내 직물을 짜는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에 있어서,
    노즐의 전단에 배치되어 날려 보내지는 위사를 잡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디스크와,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하부 디스크에 접촉 및 이격을 반복하도록 상하로 작동하는 상부 디스크를 포함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의 후단에 위치되고 위사가 통과되는 후방 개구가 형성된 후방 가이드부;
    상기 후방 가이드부에 인접하게 고정되고, 이격된 2개의 세로바와, 상기 2개의 세로바를 연결하는 가로바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세로바에는 각각 거치용 개구가 형성된 거치대;
    상기 2개의 세로바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거치용 개구에 삽입되는 제1 횡단바;
    상기 제1 횡단바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횡단바와 직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횡단바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삽입 개구가 형성된 제1 수직바;
    일단부는 상기 클램프의 상기 상부 디스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수직바의 상기 삽입 개구에 삽입되는 고정핀;
    상기 클램프의 전단에 위치되고 위사가 통과하는 제1 전방 개구가 형성된 제1 전방 가이드부;
    상기 제1 전방 가이드부의 전단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1 전방 개구와 동일한 높이에 위사가 통과하는 제2 전방 개구가 형성된 제2 전방 가이드부;
    상기 제1 횡단바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상기 제1 수직바의 단부에 고정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하향 연장바로서, 상기 하향 연장바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전방 개구와 상기 제2 전방 개구 사이에 동일한 높이로 위치하고 위사가 통과하는 관통 개구가 형성된 하향 연장바;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의 5배 내지 7배 이고,
    위사는 상기 제2 전방 개구, 상기 관통 개구, 상기 제1 전방 개구, 상기 후방 개구를 차례로 통과하고,
    상기 상부 디스크가 상승하여 상기 하부 디스크와 이격되면, 상기 상부 디스크와 연결된 상기 고정핀이 상승하여, 상기 제1 수직바를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하향 연장바의 상기 관통 개구가 상기 제1 전방 개구의 높이보다 상승하고,
    상기 상부 디스크가 하강하여 상기 하부 디스크와 접촉되면, 상기 상부 디스크와 연결된 상기 고정핀이 하강하여, 상기 제1 수직바를 하강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하향 연장바의 상기 관통 개구가 상기 제1 전방 개구와 동일한 높이까지 하강하는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의 6배인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
  3.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류의 힘으로 위사를 경사 사이로 날려 보내 직물을 짜는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에 있어서,
    노즐의 전단에 배치되어 날려 보내지는 위사를 잡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디스크와,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하부 디스크에 접촉 및 이격을 반복하도록 상하로 작동하는 상부 디스크를 포함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의 후단에 위치되고 위사가 통과되는 후방 개구가 형성된 후방 가이드부;
    상기 후방 가이드부에 인접하게 고정되고, 이격된 2개의 세로바와, 상기 2개의 세로바를 연결하는 가로바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세로바에는 각각 거치용 개구가 형성된 거치대;
    상기 2개의 세로바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거치용 개구에 삽입되는 제1 횡단바;
    상기 제1 횡단바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횡단바와 직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횡단바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1 삽입 개구가 형성된 제1 수직바;
    일단부는 상기 클램프의 상기 상부 디스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수직바의 상기 제1 삽입 개구에 삽입되는 고정핀;
    상기 클램프의 전단에 위치되고, 거치용 개구와, 위사가 통과하는 제1 전방 개구가 형성된 제1 전방 가이드부;
    상기 제1 전방 가이드부의 전단에 위치되고, 거치용 개구와, 상기 제1 전방 개구와 동일한 높이에 위사가 통과하는 제2 전방 개구가 형성된 제2 전방 가이드부;
    상기 제1 전방 가이드부와 상기 제2 전방 가이드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1 전방 가이드부의 상기 거치용 개구와 상기 제2 전방 가이드부의 상기 거치용 개구에 삽입되는 제2 수직바;
    상기 제1 전방 가이드부와 상기 제2 전방 가이드부 사이에서 상기 제2 수직바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횡단바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수직바로부터 제3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2 삽입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바로부터 제4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위사가 통과되는 중간 개구가 형성된 제2 횡단바;
    일단부는 상기 제1 횡단바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상기 제1 수직바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횡단바의 상기 제2 삽입 개구에 삽입되는 연결핀;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의 4배 내지 6배이고,
    상기 제4 거리는 상기 제3 거리의 3배 내지 4배이고,
    위사는 상기 제2 전방 개구, 상기 중간 개구, 상기 제1 전방 개구, 상기 후방 개구를 차례로 통과하고,
    상기 상부 디스크가 상승하여 상기 하부 디스크와 이격되면, 상기 상부 디스크와 연결된 상기 고정핀이 상승하여, 상기 제1 수직바를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핀으로 연결된 상기 제2 횡단바가 상승하여 상기 중간 개구가 상기 제1 전방 개구의 높이보다 상승하고,
    상기 상부 디스크가 하강하여 상기 하부 디스크와 접촉되면, 상기 상부 디스크와 연결된 상기 고정핀이 하강하여, 상기 제1 수직바를 하강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핀으로 연결된 상기 제2 횡단바가 하강하여 상기 중간 개구가 상기 제1 전방 개구와 동일한 높이까지 하강하는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의 5배이고, 상기 제4 거리는 상기 제3 거리의 3배인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
KR1020140109525A 2014-08-22 2014-08-22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 KR101534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525A KR101534201B1 (ko) 2014-08-22 2014-08-22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525A KR101534201B1 (ko) 2014-08-22 2014-08-22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201B1 true KR101534201B1 (ko) 2015-07-06

Family

ID=5378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525A KR101534201B1 (ko) 2014-08-22 2014-08-22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2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603Y2 (ja) * 1988-08-09 1994-10-26 日産テクシス株式会社 緯糸引き通し装置を備えた織機の緯糸テンサ装置
JP2002339194A (ja) * 2001-05-11 2002-11-27 Toyota Industries Corp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入れ制御装置
KR100482533B1 (ko) * 2001-05-11 2005-04-1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삽입 제어장치
US7243872B2 (en) * 2002-03-04 2007-07-17 Picanol N.V. Device for detecting and/or adjusting a tensile force in a yar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603Y2 (ja) * 1988-08-09 1994-10-26 日産テクシス株式会社 緯糸引き通し装置を備えた織機の緯糸テンサ装置
JP2002339194A (ja) * 2001-05-11 2002-11-27 Toyota Industries Corp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入れ制御装置
KR100482533B1 (ko) * 2001-05-11 2005-04-1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삽입 제어장치
US7243872B2 (en) * 2002-03-04 2007-07-17 Picanol N.V. Device for detecting and/or adjusting a tensile force in a yar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3460B (zh) 橡膠加強用織物編織用織機中之織入邊形成裝置
JP2015507707A (ja) 追加的な緯糸模様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織機
CN101283132B (zh) 用于编织带的方法和针织织带机
KR101534201B1 (ko)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
JP3348056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タックイン装置
KR20180003154A (ko) 에어제트직기에서의 다중위사 위입불량 방지장치 및 방법
JP2008063715A (ja) 緯糸を保持するための方法及びストレッチング装置
ITMI20060252A1 (it) Macchina per la tessitura e la contemporanea ricamature di articoli di vestiario in particolare copricapo ricamati
US5005609A (en) Pneumatic removal of defective weft filament
JP2016084557A (ja) エアジェット織機における緯糸張力付与装置
CN207727237U (zh) 一种高品质的高速喷气织机
CN208632725U (zh) 一种球经机全自动拨线机构
JP3360080B2 (ja) 織機における流体により作動する耳形成装置
US6422270B2 (en) Weft selvage tuck-in nozzle injection timing apparatus
CS256386B2 (en) Loom
KR101279668B1 (ko) 자카드를 이용한 천연섬유사 제직장치
US20030201026A1 (en) Catching and holding apparatus for the catching-side weft thread end in a weaving machine
EP1179624A1 (en) Tuck-in apparatus
US20080178959A1 (en) Ca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rapier weaving machine
CN2780792Y (zh) 喷气织机织边器
CN205775086U (zh) 绞纱花楼木织机
JPH04228655A (ja) シャットル形織機用のデウィービング装置 及びデウィービング方法
CN109642362B (zh) 用于捕捉和拉伸纬线的装置和方法
EP3014004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serting two weft threads at the same time
JP3041518U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織機用キャッチコード糸の切断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