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746B1 - 창의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창의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746B1
KR101533746B1 KR1020140154545A KR20140154545A KR101533746B1 KR 101533746 B1 KR101533746 B1 KR 101533746B1 KR 1020140154545 A KR1020140154545 A KR 1020140154545A KR 20140154545 A KR20140154545 A KR 20140154545A KR 101533746 B1 KR101533746 B1 KR 101533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user terminal
system server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은
정의석
이창목
문영준
여민경
오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임
Priority to KR1020140154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리자 서버(30)가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학생 학업 플랜 설정을 수행하여 네트워크(40)를 통해 시스템 서버(10)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시스템 서버(10)가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한 DB(11)에 대한 조회에 따라 미확정 학습 일정이 있는지 여부 판단 결과 미확정 학습 일정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20)로 미확정 학습 일정 선택을 요청하는 제 2 단계; 시스템 서버(10)가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미확정 학습 일정 선택에 대한 반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반환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 사용자에 대한 미확정 학습 일정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학습 진행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상기 반환 정보를 이용해 미확정 학습 일정이 스피킹 학습이라고 판단한 경우, 시스템 서버(10)가 레벨테스트 진행을 사용자 단말(20)에 대해서 진행하는 제 4 단계; 관리자 서버(30)가 시스템 서버(10)로부터 레벨테스트 결과에 따른 사용자 단말(20)의 레벨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20)의 레벨에 속하는 스피킹 학습 미확정 학생을 확인하고, 네트워크(40)를 통해 시스템 서버(10)로 액세스하여 각 강사에 의해 스피킹 학습이 제공가능한 요일 및 시간 확인,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시간대 별 예약가능 강사 존재 여부를 통해 강사 매칭을 확인하는 제 5 단계; 관리자 서버(30)가 사용자 단말(20)의 레벨 정보에 따라 초등, 중등 레벨을 선택하여 각 레벨에 따른 스피킹 학습 리스트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제 6 단계; 관리자 서버(30)가 검색된 리스트에서 스피킹 학습 미확정 학생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참가 그룹 선택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 관리자 서버(30)가 판단 결과 선택신호가 수신된 경우, 시스템 서버(10)로 상기 제 5 단계의 매칭되는 강사에 대한 정보, 상기 제 7 단계의 각 레벨에 따른 스피킹 학습 리스트에 대한 정보 및 선택신호를 전송하여, 스피킹 학습 플래너 정보에 포함시켜 시스템 서버(10)의 DB(11)에 저장하도록 하는 제 8 단계; 시스템 서버(10)가 미확정 학습 일정에 따른 스피킹 학습 플래너 정보로 지정된 시간에 상기 학생 학업 플랜 설정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해 DB(11) 상에 지정된 다른 학습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9 단계; 및 판단 결과 다른 학습이 있는 경우, 시스템 서버(10)가 기존의 다른 학습에 대한 시간 변경을 사용자 단말(20)로 요청한 뒤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스피킹 학습을 진행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학생 학업 플랜 설정은 관리자 서버(30)가 데이터베이스(DB: 31)로 사용자 단말(2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네트워크(40)를 통해 시스템 서버(10)로 전송하여 DB(11)에 학생 학업 플랜 설정 정보로 저정되며, 학생 학업 플랜 설정 정보는, 내신 교과 별 학습 반영을 위한 입력항목으로, 과목별 교과서 설정, 학습 진행 요일 설정, 등원 시간 설정, 주간/월간 학습 회수 설정, 일간 학습시간 설정(과목별 진행 시간), 화상영어 학습시간 설정, 토론 학습시간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종래에 일방적인 커리큘럼으로 일방적으로 제공되던 스마트 러닝에 대해서 학습자에게 시험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시 이에 대해 능동적인 학습 방법이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 러닝을 수행하는 사용자 간에 그룹화가 이미 달성되는 경우에는 강사 중심의 그룹핑 재설정으로 능동적인 커리큘럼 진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험기간, 스피킹 학습 시간, 토론 학습 시간 및 주말 같은 특수한 경우 따른 유연한 학습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지수 누적에 따른 지수 레포트를 제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의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Future plan providing method based on creative and hybrid learning}
본 발명은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future plan)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에 일방적인 커리큘럼으로 일방적으로 제공되던 스마트 러닝에 대해서 학습자에게 시험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시 이에 대해 능동적인 학습 방법이 체계적으로 제공되고, 지수 누적에 따른 지수 레포트를 제공하기 위한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러닝(e-learning)의 패러다임 변화가 요청되는 가운데 등장한 스마트러닝(smart learning)은 이러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산업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스마트 러닝은 인터넷, 전자장비 등을 활용한 교육의 일종으로, 유러닝(u-learning)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정의 내리기도 하고 전자학습으로 연결되는 등 정확한 정의는 아직 불분명 하지만 최근 모바일에서 스마트폰으로의 디바이스 변화에 따라 다른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다양한 연구와 정의가 내려지고 있다.
스마트 러닝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의 스마트형 인프라와 소셜네트워킹,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스마트형 소프트웨어 기술이 결합되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러닝은 주로 컨텐츠 제공자의 일방적인 컨텐츠 제작과 사용자에게의 제공을 기반으로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시험과 같은 일정이 겹치는 경우 진도를 놓치거나, 스마트 러닝을 수행하는 사용자 간에 그룹화가 이미 달성되는 경우에는 능동적인 학습을 기대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어 왔다.
[관련기술문헌]
1. U-러닝 콘텐츠 제작을 위한 휴대용 스마트 영상 스튜디오 시스템(PORTABLE SMART VIDEO STUDIO SYSTEM FOR U-LEARNING CONTENTS PRODUCTION)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28714호)
2. 스마트 러닝 교탁 장치와 시스템 및 스마트 러닝 교탁 장치의 관리 방법(APPARAUS AND SYSTEM FOR SMART LEARING TEACHING DESK, AND MANAGEMENT METHOD OF MANAGING SMART LEARING TEACHING DESK)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8651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 일방적인 커리큘럼으로 일방적으로 제공되던 스마트 러닝에 대해서 학습자에게 시험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시 이에 대해 능동적인 학습 방법이 체계적으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러닝을 수행하는 사용자 간에 그룹화가 이미 달성되는 경우에는 강사 중심의 그룹핑 재설정으로 능동적인 커리큘럼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험기간, 스피킹 학습 시간, 토론 학습 시간 및 주말 같은 특수한 경우 따른 유연한 학습 제공이 가능하고 지수 누적에 따른 지수 레포트를 제공하기 위한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은, 관리자 서버(30)가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학생 학업 플랜 설정을 수행하여 네트워크(40)를 통해 시스템 서버(10)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시스템 서버(10)가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한 DB(11)에 대한 조회에 따라 미확정 학습 일정이 있는지 여부 판단 결과 미확정 학습 일정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20)로 미확정 학습 일정 선택을 요청하는 제 2 단계; 시스템 서버(10)가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미확정 학습 일정 선택에 대한 반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반환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 사용자에 대한 미확정 학습 일정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학습 진행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상기 반환 정보를 이용해 미확정 학습 일정이 스피킹 학습이라고 판단한 경우, 시스템 서버(10)가 레벨테스트 진행을 사용자 단말(20)에 대해서 진행하는 제 4 단계; 관리자 서버(30)가 시스템 서버(10)로부터 레벨테스트 결과에 따른 사용자 단말(20)의 레벨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20)의 레벨에 속하는 스피킹 학습 미확정 학생을 확인하고, 네트워크(40)를 통해 시스템 서버(10)로 액세스하여 각 강사에 의해 스피킹 학습이 제공가능한 요일 및 시간 확인,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시간대 별 예약가능 강사 존재 여부를 통해 강사 매칭을 확인하는 제 5 단계; 관리자 서버(30)가 사용자 단말(20)의 레벨 정보에 따라 초등, 중등 레벨을 선택하여 각 레벨에 따른 스피킹 학습 리스트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제 6 단계; 관리자 서버(30)가 검색된 리스트에서 스피킹 학습 미확정 학생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참가 그룹 선택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 관리자 서버(30)가 판단 결과 선택신호가 수신된 경우, 시스템 서버(10)로 상기 제 5 단계의 매칭되는 강사에 대한 정보, 상기 제 7 단계의 각 레벨에 따른 스피킹 학습 리스트에 대한 정보 및 선택신호를 전송하여, 스피킹 학습 플래너 정보에 포함시켜 시스템 서버(10)의 DB(11)에 저장하도록 하는 제 8 단계; 시스템 서버(10)가 미확정 학습 일정에 따른 스피킹 학습 플래너 정보로 지정된 시간에 상기 학생 학업 플랜 설정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해 DB(11) 상에 지정된 다른 학습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9 단계; 및 판단 결과 다른 학습이 있는 경우, 시스템 서버(10)가 기존의 다른 학습에 대한 시간 변경을 사용자 단말(20)로 요청한 뒤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스피킹 학습을 진행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학생 학업 플랜 설정은 관리자 서버(30)가 데이터베이스(DB: 31)로 사용자 단말(2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네트워크(40)를 통해 시스템 서버(10)로 전송하여 DB(11)에 학생 학업 플랜 설정 정보로 저정되며, 학생 학업 플랜 설정 정보는, 내신 교과 별 학습 반영을 위한 입력항목으로, 과목별 교과서 설정, 학습 진행 요일 설정, 등원 시간 설정, 주간/월간 학습 회수 설정, 일간 학습시간 설정(과목별 진행 시간), 화상영어 학습시간 설정, 토론 학습시간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0 단계는, 상기 제 9 단계의 판단 결과 다른 학습이 없는 경우, 시스템 서버(10)가 시스템 서버(10)가 기존의 다른 학습에 대한 시간 변경 요청에 대한 진행 없이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스피킹 학습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0 단계 이후, 시스템 서버(10)가 스피킹 학습 그룹에 포함된 결원 발생을 감지하며, 감지시 미리 설정된 인원 이하라도 스피킹 학습에 대한 진행을 수행하며, 미리 설정된 인원 이하 진행 그룹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서버(30)로 네트워크(40)를 통해 전송하여 확인하도록 하는 제 11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7 단계에서, 관리자 서버(30)가 검색된 리스트에서 스피킹 학습 미확정 학생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참가 그룹 선택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별도의 스피킹 학습 그룹을 신설하는 제 7-1 단계; 시스템 서버(10)가 관리자 서버(30)로부터의 스피킹 학습 그룹 생성에 따라 현재 원어민강사 중 수업 가능한 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DB(11)에 대한 조회를 통해 판단하는 제 7-2 단계; 및 판단 결과 해당 원어민 강사가 있는 경우 시스템 서버(10)가 조회에 따른 원어민 강사를 새롭게 생성된 스피킹 학습 그룹의 강사로 설정하여 DB(11)에 저장하여, 스피킹 학습 플래너 정보에 반영한 뒤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한 해당 시간에 다른 학습 여부를 판단한 뒤, 다른 학습이 있는 경우 기존 학습에 대한 시간 변경을 요청한 뒤, 스피킹 학습을 진행하는 제 7-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은, 종래에 일방적인 커리큘럼으로 일방적으로 제공되던 스마트 러닝에 대해서 학습자에게 시험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시 이에 대해 능동적인 학습 방법이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은, 스마트 러닝을 수행하는 사용자 간에 그룹화가 이미 달성되는 경우에는 강사 중심의 그룹핑 재설정으로 능동적인 커리큘럼 진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은, 시험기간, 스피킹 학습 시간, 토론 학습 시간 및 주말 같은 특수한 경우 따른 유연한 학습 제공하며, 지수 누적에 따른 지수 레포트를 제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관리자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중 학습 플랜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중 개별 학습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중 개별 학습 중 스피킹 학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중 개별 학습 중 지수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과정에 의해 생성된 지수의 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관리자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퓨처 플랜 제공 서버(10: 이하, '시스템 서버'),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관리자 서버(30: 이하, '관리자 서버')는 네트워크(4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과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네트워크(4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4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4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40)는 시스템 서버(10), 사용자 단말(20), 관리자 서버(3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의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을 중심으로 도 1의 각 구성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작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중 학습 플랜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자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DB: 31)로 사용자 단말(2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S11). 한편 본 발명에서의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단계(S11) 이후, 관리자 서버(30)는 학생 학업 플랜 설정을 수행하여 네트워크(40)를 통해 시스템 서버(10)로 전송한다(S12).
여기서 학생 학업 플랜 설정은 시스템 서버(10) 상으로의 내신 교과 별 학습 반영을 위한 입력항목으로, 과목별 교과서 설정, 학습 진행 요일 설정, 등원 시간 설정, 주간/월간 학습 회수 설정, 일간 학습시간 설정(과목별 진행 시간), 화상영어 학습시간 설정, 토론 학습시간 설정일 수 있다.
단계(S12) 이후, 시스템 서버(10)는 단계(S12)에 의해 수신된 학생 학업 플랜 설정 정보를 이용해 학습 일정에 대한 유효성 여부를 판단한다(S13).
단계(S13)의 판단에 따라 유효한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을 소지한 사용자의 등원에 따른 오프라인 학습 일정을 사용자 단말(20)과의 네트워크(4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체크한다(S14). 이를 위해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은 주간 스케줄 및 월간 스케줄 등을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4)에 따라 시스템 서버(10)는 오프라인 학습 일정 변경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S15).
단계(S15)의 판단 결과, 오프라인 학습 일정 변경이 필요한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 오프라인 일정, 진도 수정 요청을 전송하며(S16),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은 학습 일정 수정 정보를 시스템 서버(10)로 반환한다(S17).
한편, 단계(S15)의 판단 결과 오프라인 학습 일정 변경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에 의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한다(S18).
단계(S18) 이후,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한 DB(11)에 대한 조회에 따라 미확정 학습 일정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
단계(S19)의 판단 결과 미확정 학습 일정이 있는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 미확정 학습 일정 선택을 요청한다(S20). 여기서 미확정 학습 일정으로는 스피킹 학습, 토론 학습, 스케줄 반영 확인 요청일 수 있다.
단계(S20) 이후,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미확정 학습 일정 선택에 대한 반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반환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 사용자에 대한 미확정 학습 일정을 선택한다(S21). 이후 단계(S22)로 진행함으로써,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학습 진행을 수행한다.
한편, 단계(S19)의 판단 결과 미확정 학습 일정이 없이 확정 학습 일정만 있는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확정 학습 일정을 수행한다(S22).
단계(S22) 이후,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일, 주 단위 학습 순서 변경 요청 여부를 판단한다(S23). 여기서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학습 순서에 대한 수정 범위는 학습하는 주간 일정과 다음 주 일정일 수 있다.
단계(S23)의 판단 결과 학습 순서 변경 요청인 있는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요청된 학습 순서 수정을 반영하여(S24), 단계(S22)의 학습 진행을 수행한다.
한편, 단계(S22) 이후에는 단계(S23)의 학습 순서 변경 요청 여부 판단과 함께, 단계(S25)로의 진행을 통해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시험 일정, 그리고 진도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이용해 DB(11)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한다(S25).
단계(S25) 이후, 시스템 서버(10)는 단계(S25)의 업데이트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 사용자에 대한 시험기간 10일 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6).
단계(S26)의 판단결과 시험기간 10일 전인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 사용자에 대한 시험 대비 일정 플랜을 반영한 뒤(S27), 진도 반영 기출문제를 제공한다(S28). 단계(S28) 이후,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기출문제 오답풀이를 제공하여 시험을 대비하도록 하며(S29), 시험기간 종료시(S30), 미래설계로 내신학습결과 입력안내 팝업을 제공한다(S3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중 개별 학습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은 네트워크(40)를 통해 시스템 서버(10) 상으로 로그인을 수행한다(S32).
단계(S32) 이후,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DB(11)에서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해 시험기간이 10일 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3).
단계(S33)의 판단 결과 시험기간이 10일 전인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내신 시험대비 플랜을 반영을 개시하여(S33a), 미리 설정된 주간으로 설정된 기존 학습 일정은 시험기간 뒤로 연기하도록 설정하고(S33b), 시험대비를 위한 미리 설정된 학습을 진행한다(S33c).
한편, 단계(S33)의 판단 결과 시험기간이 10일 전이 아닌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스피킹 학습 시간인가 여부를 단계(S13)의 설정 정보(학생 학업 플랜 설정 정보; 시스템 서버(10) 상으로의 내신 교과 별 학습 반영을 위한 입력항목으로 과목별 교과서 설정, 학습 진행 요일 설정, 등원 시간 설정, 주간/월간 학습 회수 설정, 일간 학습시간 설정(과목별 진행 시간), 화상영어 학습시간 설정, 토론 학습시간 설정에 관한 정보)를 이용해 판단한다(S34).
단계(S34)의 판단 결과 스피킹 학습 시간인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주에 1회 그룹(10인)으로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스피킹 학습을 진행하고(S34a), 10 내지 30분, 예를 들어 20분간 원어민 영어학습을 진행한다(S34b).
한편, 단계(S34)의 판단 결과 스피킹 학습 시간이 아닌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토론 학습 시간인가 여부를 판단한다(S35).
단계(S35)의 판단 결과 토론 학습 시간인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주에 수회, 예를 들어 주에 2회 대상인원으로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설정을 통해(S35a), 토론 학습을 진행한다(S35b).
한편, 단계(S35)의 판단 결과 토론 학습 시간이 아닌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주말인가 여부를 판단한다(S36).
단계(S36)의 판단 결과 주말인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주말로 설정된 미션을 진행하고(S36a), 주말로 설정된 컨텐츠, 그 밖의 주중 학습에 대한 복습 컨텐츠를 제공한다(S36b).
한편, 단계(S36)의 판단 결과 주말이 아는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일일 학습 진행 시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7).
단계(S37)의 판단 결과 일일 학습 진행 시간이 아닌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랜덤 컨텐츠, 또는 학습 복습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한다(S38).
한편, 단계(S37)의 판단 결과 일일 학습 진행 시간인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일일 학습을 사용자 단말(20)로 제공을 개시한다(S37a).
단계(S37a) 이후,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 VOD 시청 제공(S37b), 교안 제공(S37c), 기출문제 풀이(S37d)를 순차적으로 제공한 뒤, 제공한 문제가 채점 가능한 문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9).
단계(S39)의 판단 결과 채점 가능한 문항인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 채점 및 정답제공을 수행하며(S40), 반대로 채점 가능하지 않은 문항인 경우, 정답 제공(S39a)을 통해 사용자 단말(20) 사용자인 학생에 의한 채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39b).
한편, 단계(S39b) 이후 및 단계(S40) 이후, 사용자 단말(20)은 오답노트를 작성한 뒤, 시스템 서버(10)의 DB(11)로 업데이트 하면(S39c), 시스템 서버(10)는 오답노트 수신에 따라 해당 일일 학습에 대한 진행 확인을 수행한 뒤(S39d), 단계(S37a)로 회귀하여 다음 단계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중 개별 학습 중 스피킹 학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시스템 서버(10)는 레벨테스트 진행을 사용자 단말(20)에 대해서 진행한다(S41).
단계(S41) 이후, 관리자 서버(30)는 단계(S41)에 따른 레벨테스트 겨로가에 따른 사용자 단말(20)의 레벨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20)의 레벨에 속하는 스피킹 학습 미확정 학생을 확인한다(S42). 단계(S42)에서 관리자 서버(30)는 네트워크(40)를 통해 시스템 서버(10)로 액세스하여 각 강사에 의해 스피킹 학습이 제공가능한 요일 및 시간 확인,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시간대 별 예약가능 강사 존재 여부를 통해 강사 매칭을 확인한다.
단계(S42) 이후, 관리자 서버(30)는 사용자 단말(20)의 레벨 정보에 따라 초등, 중등 레벨을 선택하여 각 레벨에 따른 스피킹 학습 리스트에 대한 검색을 수행한다(S43).
단계(S43) 이후, 관리자 서버(30)는 단계(S43)에서 검색된 리스트에서 스피킹 학습 미확정 학생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참가 그룹 선택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44a).
단계(S44a)의 판단 결과 선택신호가 수신된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관리자 서버(30)로부터 매칭되는 강사에 대한 정보, 각 레벨에 따른 스피킹 학습 리스트에 대한 정보 및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스피킹 학습 플래너 정보로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를 반영시켜 DB(11)에 저장한다(S44b).
단계(S44b) 이후, 시스템 서버(10)는 미확정 학습 일정에 따른 스피킹 학습 플래너 정보로 지정된 시간에 학생 학업 플랜 설정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해 DB(11) 상에 지정된 다른 학습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44c).
단계(S44c)의 판단 결과 다른 학습이 있는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기존의 다른 학습에 대한 시간 변경을 사용자 단말(20)로 요청한 뒤(S44d), 단계(S48c)로 진행하여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스피킹 학습을 진행한다.
한편, 단계(S44c)의 판단 결과 다른 학습이 없는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상술한 단계(S44d)에 대한 진행 없이 바로 단계(S48c)로 진행하여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스피킹 학습을 진행한다.
그리고 단계(S48c) 이후, 시스템 서버(10)는 스피킹 학습 그룹에 포함된 결원 발생을 감지하며(S49), 감지시 4명 이하라도 스피킹 학습에 대한 진행을 수행한다(S50).
한편, 단계(S50) 이후, 관리자 서버(30)는 4명 이하 진행 그룹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서버(10)로부터 네트워크(40)를 통해 수신하여 확인한다(S51).
다시 단계(S44a)로 회귀하여 관리자 서버(30)는 단계(S43)에서 검색된 리스트에서 스피킹 학습 미확정 학생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참가 그룹 선택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별도의 스피킹 학습 그룹을 신설한다(S45).
단계(S45) 이후, 시스템 서버(10)는 관리자 서버(30)로부터의 스피킹 학습 그룹 생성에 따라 현재 원어민강사 중 수업 가능한 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DB(11)에 대한 조회를 통해 판단한다(S47a).
단계(S47a)의 판단 결과 해당 원어민 강사가 있는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조회에 따른 원어민 강사를 단계(S45)에서 새롭게 생성된 스피킹 학습 그룹의 강사로 설정하여 DB(11)에 저장함으로써, 학습 플래너 정보에 반영한 뒤(S47b), 단계(S48a)로 진행하여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한 해당 시간에 다른 학습 여부를 판단한 뒤, 있는 경우 기존 학습에 대한 시간 변경을 요청한 뒤(S48b), 스피킹 학습을 진행한다(S48c).
한편, 단계(S47a)의 판단 결과 해당 원어민 강사가 없는 경우 관리자 서버(30)는 시스템 서버(10)의 요청에 따라 원어민 강사에 대한 요일, 시간 재선택을 수행한다(S47d). 단계(S47d) 이후, 시스템 서버(10)는 원어민강사 수업 가능 여부를 재판단한 뒤(S47c), 가능한 경우 단계(S47b)로 진행하며, 가능하지 않은 경우 단계(S47d)로 회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중 개별 학습 중 지수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과정에 의해 생성된 지수의 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의 도 2 내지 도 4와 같은 과정에서 내신전략을 수행하는 경우(S61), 개념문제, 기출문제를 통한 영역별 문제 분석에 따른 영역지수를 산출한다.
한편,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의 도 2 내지 도 4와 같은 과정에서 미디어 청취를 수행(미디어통)하는 경우(S62), 미디어 콘텐츠 시청을 통한 영상태그 통계치를 통한 흥미지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의 도 2 내지 도 4와 같은 과정에서 창의프로그램(거꾸로 창의교실)을 수행하는 경우(S63), 창의프로그램 이수 및 임의부여(센터장) 적립을 통한 창의지수를 산출한다.
또한,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의 직업 영상 청취(퓨처 플랜)을 수행하는 경우(S64), 미디어 콘텐츠 시청을 통한 영상태그 통계치에 따른 흥미지수를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시스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의 로드 미션에 대한 수행(S65)의 경우, 미션수행 여부 확인을 통한 시스템 자동 부여를 통해 창의지수를 산출한다.
이러한 상술한 단계(S61) 내지 단계(S65)의 과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경우 시스템 서버(10)는 지수누적(S70)을 통해 월별 또는 라이브(live) 지수 레포트 도출하여(S80),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함으로써, 지수 레포트 코칭을 수행한다(S90).
한편, 여기서 영역지수는 내신과목(국어/영어/수학/사회/역사/과학)별로 학습자의 세부 영역별 강점 지수를 파악하며, 흥미지수는 교과와 연계된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습자의 교과목 흥미도와 교과 외 활동영역의 흥미도를 지수로 파악하며, 창의지수는 창의프로그램을 통해 산출되는 창의력 4요소(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로 학습자의 세부적인 창의지수를 파악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시스템 서버
20: 사용자 단말
30: 관리자 서버
40: 네트워크

Claims (9)

  1. 관리자 서버(30)가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학생 학업 플랜 설정을 수행하여 네트워크(40)를 통해 시스템 서버(10)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시스템 서버(10)가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한 DB(11)에 대한 조회에 따라 미확정 학습 일정이 있는지 여부 판단 결과 미확정 학습 일정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20)로 미확정 학습 일정 선택을 요청하는 제 2 단계;
    시스템 서버(10)가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미확정 학습 일정 선택에 대한 반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반환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 사용자에 대한 미확정 학습 일정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학습 진행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상기 반환 정보를 이용해 미확정 학습 일정이 스피킹 학습이라고 판단한 경우, 시스템 서버(10)가 레벨테스트 진행을 사용자 단말(20)에 대해서 진행하는 제 4 단계;
    관리자 서버(30)가 시스템 서버(10)로부터 레벨테스트 결과에 따른 사용자 단말(20)의 레벨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20)의 레벨에 속하는 스피킹 학습 미확정 학생을 확인하고, 네트워크(40)를 통해 시스템 서버(10)로 액세스하여 각 강사에 의해 스피킹 학습이 제공가능한 요일 및 시간 확인,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시간대 별 예약가능 강사 존재 여부를 통해 강사 매칭을 확인하는 제 5 단계;
    관리자 서버(30)가 사용자 단말(20)의 레벨 정보에 따라 초등, 중등 레벨을 선택하여 각 레벨에 따른 스피킹 학습 리스트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제 6 단계;
    관리자 서버(30)가 검색된 리스트에서 스피킹 학습 미확정 학생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참가 그룹 선택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
    관리자 서버(30)가 판단 결과 선택신호가 수신된 경우, 시스템 서버(10)로 상기 제 5 단계의 매칭되는 강사에 대한 정보, 상기 제 7 단계의 각 레벨에 따른 스피킹 학습 리스트에 대한 정보 및 선택신호를 전송하여, 스피킹 학습 플래너 정보에 포함시켜 시스템 서버(10)의 DB(11)에 저장하도록 하는 제 8 단계;
    시스템 서버(10)가 미확정 학습 일정에 따른 스피킹 학습 플래너 정보로 지정된 시간에 상기 학생 학업 플랜 설정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해 DB(11) 상에 지정된 다른 학습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9 단계; 및
    판단 결과 다른 학습이 있는 경우, 시스템 서버(10)가 기존의 다른 학습에 대한 시간 변경을 사용자 단말(20)로 요청한 뒤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스피킹 학습을 진행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학생 학업 플랜 설정은 관리자 서버(30)가 데이터베이스(DB: 31)로 사용자 단말(2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네트워크(40)를 통해 시스템 서버(10)로 전송하여 DB(11)에 학생 학업 플랜 설정 정보로 저정되며, 학생 학업 플랜 설정 정보는, 내신 교과 별 학습 반영을 위한 입력항목으로, 과목별 교과서 설정, 학습 진행 요일 설정, 등원 시간 설정, 주간/월간 학습 회수 설정, 일간 학습시간 설정(과목별 진행 시간), 화상영어 학습시간 설정, 토론 학습시간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의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0 단계는,
    상기 제 9 단계의 판단 결과 다른 학습이 없는 경우, 시스템 서버(10)가 시스템 서버(10)가 기존의 다른 학습에 대한 시간 변경 요청에 대한 진행 없이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스피킹 학습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의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0 단계 이후,
    시스템 서버(10)가 스피킹 학습 그룹에 포함된 결원 발생을 감지하며, 감지시 미리 설정된 인원 이하라도 스피킹 학습에 대한 진행을 수행하며, 미리 설정된 인원 이하 진행 그룹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서버(30)로 네트워크(40)를 통해 전송하여 확인하도록 하는 제 11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의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에서,
    관리자 서버(30)가 검색된 리스트에서 스피킹 학습 미확정 학생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참가 그룹 선택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별도의 스피킹 학습 그룹을 신설하는 제 7-1 단계;
    시스템 서버(10)가 관리자 서버(30)로부터의 스피킹 학습 그룹 생성에 따라 현재 원어민강사 중 수업 가능한 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DB(11)에 대한 조회를 통해 판단하는 제 7-2 단계; 및
    판단 결과 해당 원어민 강사가 있는 경우 시스템 서버(10)가 조회에 따른 원어민 강사를 새롭게 생성된 스피킹 학습 그룹의 강사로 설정하여 DB(11)에 저장하여, 스피킹 학습 플래너 정보에 반영한 뒤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한 해당 시간에 다른 학습 여부를 판단한 뒤, 다른 학습이 있는 경우 기존 학습에 대한 시간 변경을 요청한 뒤, 스피킹 학습을 진행하는 제 7-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의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154545A 2014-11-07 2014-11-07 창의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KR101533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545A KR101533746B1 (ko) 2014-11-07 2014-11-07 창의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545A KR101533746B1 (ko) 2014-11-07 2014-11-07 창의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746B1 true KR101533746B1 (ko) 2015-07-10

Family

ID=5379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545A KR101533746B1 (ko) 2014-11-07 2014-11-07 창의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7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284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엑센코리아 학습 시스템의 수업 일정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109510A (ko) * 2012-03-27 2013-10-08 김현옥 자동 생성 스케줄로 관리되는 복수의 멘토에 의한 전화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21796A (ko) * 2012-08-10 2014-02-20 주식회사 티피코리아 전화영어학습관리시스템
KR20140045672A (ko) * 2012-10-09 2014-04-17 김태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컨설팅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284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엑센코리아 학습 시스템의 수업 일정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109510A (ko) * 2012-03-27 2013-10-08 김현옥 자동 생성 스케줄로 관리되는 복수의 멘토에 의한 전화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21796A (ko) * 2012-08-10 2014-02-20 주식회사 티피코리아 전화영어학습관리시스템
KR20140045672A (ko) * 2012-10-09 2014-04-17 김태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컨설팅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57644A1 (en) Interactive digital video library
CN105225556B (zh) 一种课件分发的方法及装置
KR101770220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7905B1 (ko) 컨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운용방법
KR20200057562A (ko) 다자간 실시간 화상 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00817A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n 스크린 스마트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634102A (zh) 远程课堂系统、加入远程课堂的方法、电子设备及介质
KR101533746B1 (ko) 창의학습기반의 퓨처 플랜 제공 방법
KR20150015704A (ko)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70048862A (ko) 양방향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CN113053184B (zh) 在线授课互动的方法和用于其的装置
KR20130100813A (ko) e-Book 기반 온라인 방송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7264A (ko) 인터넷을 활용한 실시간 미용 교육 시스템
CN106251262A (zh) 基于教育系统的信息交互方法、装置和系统
KR20020092515A (ko) 온라인 강의의 수강 인증 방법
KR101527741B1 (ko) 온라인 보팅 및 퀴즈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433923B1 (ko) 원격교육평가 방법 및 시스템
CN106992971B (zh) 一种互动终端切换方法、装置和一种互动录播系统
KR101135199B1 (ko)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소셜 네트워크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1901351A (zh) 远程教学系统、方法、装置以及语音网关路由器
KR20170043332A (ko) 강의실 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10853435A (zh) 远程教学培训系统和方法
KR20160087136A (ko) 교사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33364B1 (ko)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21799A (ko)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