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433B1 -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 - Google Patents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433B1
KR101533433B1 KR1020140108016A KR20140108016A KR101533433B1 KR 101533433 B1 KR101533433 B1 KR 101533433B1 KR 1020140108016 A KR1020140108016 A KR 1020140108016A KR 20140108016 A KR20140108016 A KR 20140108016A KR 101533433 B1 KR101533433 B1 KR 101533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mold
applicator
sanitary napkin
mol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오
Original Assignee
(주)상오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오정밀 filed Critical (주)상오정밀
Priority to KR1020140108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43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은 길이방향으로 캐비티를 형성하기 위한 제1중공부를 가지며, 외주면에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수지주입구가 형성된 제1금형부재와, 상기 제1금형부재의 상단부와 형합되어 캐비티의 일부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제1중공부에 연통되는 제2중공부가 마련되고, 상측 내주면에 날개 형상의 리드홈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금형부재와, 상기 제2금형부재와 결합되며, 제품의 성형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중공부로 연장되는 제1코어부재와, 상기 제1금형부재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성형공간의 하부를 밀폐하는 제2코어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은 다수의 리드홈이 마련된 코어부재를 통해 제품의 제조시 별도의 컷팅 작업 없이 사출성형을 통해 다수의 날개부분도 함께 제조할 수 있으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은 사용자의 신체 접하는 생리대 어플리케이터의 외측면에 버 발생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은 생리대 어플리케이터의 축소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금형부재가 상호 분리시 제2금형부재와 함께 생리대 어플리케이터가 제1금형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injection mold for tampon}
본 발명은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튜브 상의 생리대 어플리케이터와 같은 심입 박막형 부품을 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사출금형은 상부금형과 하부 금형이 상호 형합되어 성형하고자하는 제품의 형상과 동일한 캐비티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 캐비티에 용융된 수지를 고압으로 주입하여 제품을 성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이 복잡하여 상하부 금형으로서의 성형 시 형분리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라이드 코어를 설치하여 상하부 금형이 형분리되지 않는 부분을 성형하고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4155호에 개시된 삽입형 생리대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같은 심입 박막 부품은 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품의 캡슐로서 표면이 부드러워야 하며, 이물질이나 미세한 버(burr)가 발생되어 있는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초정밀 금형구조가 필요하다.
그런데, 심입박막 제품인 삽입형 생리대의 케이스는 단부에 내측으로 휘어진 복수개의 날개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종래에는 사출금형에 의해 제조된 튜브의 단부를 컷팅하여 상기 날개들을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이 컷팅에 의해 날개부분을 제작하므로 날개의 단부가 날까로워지거나 미세한 버가 발생되어 사용자에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컷팅 작업 없이 사출성형을 통해 다수의 날개부분도 함께 제조할 수 있는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다른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은 길이방향으로 캐비티를 형성하기 위한 제1중공부를 가지며, 외주면에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수지주입구가 형성된 제1금형부재와, 상기 제1금형부재의 상단부와 형합되어 캐비티의 일부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제1중공부에 연통되는 제2중공부가 마련되고, 상측 내주면에 날개 형상의 리드홈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금형부재와, 상기 제2금형부재와 결합되며, 제품의 성형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중공부로 연장되는 제1코어부재와, 상기 제1금형부재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성형공간의 하부를 밀폐하는 제2코어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금형부재는 상기 제품의 상단부에 외경이 축소되는 축소부가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중공부의 내경보다 상기 제1중공부의 내경이 더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1코어부재는 상기 제2금형부재에 결합시 상기 제1중공부에 노출되는 부분이 상기 제2중공부에 노출되는 부분의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금형부재는 상기 제품의 상단부가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상기 제2중공부가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코어부재는 상기 제품의 하단 내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1코어부재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은 튜브본체와, 상기 튜브본체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튜브본체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축소부와, 상기 축소부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튜브본체의 상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방으로 볼록한 다수의 날개를 가진 심입 박막부품인 삽입형 생리대 어플리케이터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축소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중공부를 가지며, 외주면에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수지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중공부 하측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테이퍼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확장부분이 마련된 제1금형부재와, 상기 제1금형부재의 상단부와 형합 및 형분리되며, 상기 튜브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중공부에 연통되는 제2중공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중공부는 상기 제1중공부에 연통되며, 상단부에 상기 날개 형상의 다수의 리드홈이 형성된 제1단위중공과, 상기 제1단위중공의 상단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단위중공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제2단위중공을 포함한 제2금형부재와, 상기 제2금형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중공부로 연장되어, 상기 튜브본체, 축소부 및 플랜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공간을 구획하는 제1코어부재와, 상기 제1금형부재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중공부의 하부를 밀폐하는 제2코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코어부재는 상기 제2금형부재에 결합시 상기 제2중공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단위중공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분에 대향되는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외경감소부가 마련된 제1삽입부재와, 상기 제1삽입부재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삽입부재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제2삽입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은 다수의 리드홈이 마련된 코어부재를 통해 제품의 제조시 별도의 컷팅 작업 없이 사출성형을 통해 다수의 날개부분도 함께 제조할 수 있으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은 사용자의 신체 접하는 생리대 어플리케이터의 외측면에 버 발생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은 생리대 어플리케이터의 축소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금형부재로부터 제1금형부재가 분리시 제품이 제1금형부재와 함께 상기 제2금형부재에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심입 막박 부품의 일 예를 도시한 일부 절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심입 박막 부품 성형용 사출 금형에 의해 제조되는 삽입형 생리대 어플리케이터(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삽입형 생리대 어플리케이터(10)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중공형의 튜브본체(11)와, 상기 튜브본체(11)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16)와, 상기 테이퍼부(16)의 하방에 연장되며, 상기 튜브본체(1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축소부(12)와, 상기 축소부(12)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3)와, 상기 튜브본체(11)의 상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방으로 볼록한 반구형의 날개(14)들을 구비한다.
이때, 축소부(12) 내주면에는 다수의 가이드돌기(15)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15)는 다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되,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생리대 어플리케이터(10) 내로 인입되는 부재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며, 튜브본체(11)에 대해 축소부(12)를 직립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또한, 축소부(12)는 후술되는 사출금형의 제1 및 제2금형부재가 상호 분리시 튜브본체(11)가 제1금형부재와 함께 상기 제2금형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은 상기 언급된 삽입형 생리대 어플리케이터(10)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100)은 길이방향으로 캐비티를 형성하기 위한 제1중공부(112)를 가지며, 외주면에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복수의 수지주입구(111)가 형성된 제1금형부재(110)와, 상기 제1금형부재(110)의 상단부와 형합되어 캐비티의 일부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제1중공부(112)에 연통되는 제2중공부(121)가 마련된 제2금형부재(120)와, 상기 제2금형부재(120)와 결합되며, 제품의 성형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중공부(112,121)로 연장된 제1코어부재(130)와, 상기 제1금형부재(110)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성형공간의 하부를 밀폐하는 제2코어부재(140)를 구비한다.
제1금형부재(110)는 사출금형(100)의 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성형시 삽입형 생리대 어플리케이터(10)의 축소부(12)를 제조하기 위한 제1중공부(112)가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중공부(112)는 삽입형 생리대 어플리케이터(10)의 테이퍼부(16)가 성형될 수 있도록 상단부에 상기 테이퍼부(16)에 대응되게 상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는 확장부분(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금형부재(110)는 상기 축소부(12)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제1중공부(112)가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중공부(112)에 의해 상기 축소부(12)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므로 제2금형부재(120)가 제1금형부재(110)로부터 분리시 튜브본체(11)가 제1금형부재(110)와 함께 제2금형부재(120)로부터 취출되므로 금형으로부터의 제품 취출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1금형부재(110)는 삽입형 생리대 어플리케이터(10)의 플랜지부(13)를 형성하기 위해 제1중공부(112)의 하측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금형부재(110)에 형성된 수지주입구(111)들은 연장홈(116)이 형성된 위치의 상부 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중공부(112)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성형공간에 수지의 주입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금형부재(110)의 하측 외주면에는 제1금형부재(1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돌기(114)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금형부재(120)는 제1금형부재(110)와 형합 및 형분리되는 것으로 형분리시 성형품인 케이스(10)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2금형부재(120)는 케이스(10)의 튜브본체(11)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제2중공부(121)가 제1중공부(112)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중공부(121)는 제2금형부재(12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1단위중공(122)과, 상기 제2단위중공(123)의 상단부에 상부로 연장된 제2단위중공(123)을 구비한다.
제1단위중공(122)은 삽입형 생리대 어플리케이터(10)의 튜브본체(11)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튜브본체(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단위중공(122)은 하단부가 상기 확장부분(115) 상단의 내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단위중공(122)은 튜브본체(11)의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두께가 얇아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상기 제2중공부(121)가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단위중공(122)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케이스(10)의 날개(14) 형상에 대응되는 리드홈(135)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드홈(135)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위중공(123)은 제1단위중공(122)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되, 제1코어부재(130)가 삽입시 성형공간의 상부가 폐쇄될 수 있도록 후술되는 제1코어부재(130)의 제1삽입부재(132)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단위중공(122) 및 제2단위중공(123)의 내경 길이의 차는 튜브본체(11)의 두께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금형부재(120)와 제1코어부재(130)가 접하는 부분이 착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하는 삽입형 생리대 어플리케이터(10)의 상단부 외측면이 아니라 삽입형 생리대 어플리케이터(10)의 상단부 내측면이므로 이 부분에 버가 발생되더라도 착용자의 신체에 생체기를 발생시키기 않는 장점이 있다.
제1코어부재(130)는 헤드부(131)와, 상기 헤드부(1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제2중공부(121)에 삽입되어 성형공간을 구획하는 제1삽입부재(132)와, 상기 제1삽입부재(13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제1중공부(112)에 삽입되어 성형공간을 구획하는 제2삽입부재(133)를 구비한다.
헤드부(131)는 제1코어부재(130)가 제2금형부재(120)에 형합시 제2금형부재(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제1삽입부재(132)는 제2단위중공(123)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다. 이때, 제1금형부재(110)의 확장부분(115)에 대향되는 제1삽입부재(132)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외경감소부(138)가 형성된다.
제2삽입부재(133)는 상기 제1중공부(112)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제1삽입부재(132)의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부재(133)의 하면에는 제2코어부재(140)와의 결합을 위한 인입돌기(1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삽입부재(132)는 상기 케이스(10)의 하단 내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돌기(15)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삽입홈(137)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137)은 상기 제2삽입부재(133)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1코어부재(130)는 상기 제1코어부재(130)를 냉각하기 위해 내부에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라인(13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코어부재(140)는 제1금형부재(110)의 하단부와 형합 및 형분리되는 것으로서, 성형공간의 일부를 이루는 제1중공부(112)의 하부를 밀폐한다. 제2코어부재(140)는 제1중공부(112)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면에는 제2삽입부재(133)의 인입돌기(136)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코어부재(140)의 상부에는 제1중공부(112)로부터 수지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형의 수밀유지링(142)이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다른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100)은 제1금형부재(110)에 제2코어부재(140)를 삽입하여 제1중공부(112)의 하부를 폐쇄한다. 다음, 제1금형부재(110)의 상부에 제2금형부재(120)를 형합하고, 제1 및 제2중공부(112,121)에 각각 제2삽입부재(133) 및 제1삽입부재(132)가 각각 삽입되도록 제1코어부재(130)를 제2금형부재(120)에 결합시켜 성형하고자 하는 심도 박막 부품인 삽입형 생리대 어플리케이터(10)의 형상과 동일한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1금형부재(110)의 측면에 형성된 수지주입구(111)를 통하여 양측에서 용융된 수지를 성형공간으로 주입한다. 이때, 상기 수지주입구(111)를 통한 수지의 주입은 핫런너를 통하여 주입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성형공간에 수지의 주입이 완료되면, 제1금형부재(110)에 대해 제1코어부재(130)가 소정길이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제1금형부재(110)를 제2금형부재(120)로부터 형분리시킨다. 이때, 제1금형부재(110)의 제1중공부(112)에 의해 상기 축소부(12)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므로 제2금형부재(120)가 제1금형부재(110)로부터 분리시 튜브본체(11)가 제1금형부재(110)와 함께 제2금형부재(120)로부터 취출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100)은 다수의 리드홈(135)이 마련된 코어부재를 통해 제품의 제조시 별도의 컷팅 작업 없이 사출성형을 통해 다수의 날개(14)부분도 함께 제조할 수 있으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의 단부에 버 발생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
110: 제1금형부재
111: 수지주입구
112: 제1중공부
113: 만곡부
114: 지지돌기
120: 제2금형부재
121: 제2중공부
130: 제1코어부재
131: 헤드부
132: 제1삽입부재
133: 제2삽입부재
140: 제2코어부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튜브본체와, 상기 튜브본체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튜브본체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축소부와, 상기 축소부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튜브본체의 상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방으로 볼록한 다수의 날개를 가진 심입 박막부품인 삽입형 생리대 어플리케이터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축소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중공부를 가지며, 외주면에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수지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중공부 하측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테이퍼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확장부분이 마련된 제1금형부재와;
    상기 제1금형부재의 상단부와 형합 및 형분리되며, 상기 튜브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중공부에 연통되는 제2중공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중공부는 상기 제1중공부에 연통되며, 상단부에 상기 날개 형상의 다수의 리드홈이 형성된 제1단위중공과, 상기 제1단위중공의 상단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단위중공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제2단위중공을 포함한 제2금형부재와;
    상기 제2금형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중공부로 연장되어, 상기 튜브본체, 축소부 및 플랜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냉가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라인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제1코어부재와;
    상기 제1금형부재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중공부의 하부를 밀폐하는 제2코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코어부재는 상기 제2금형부재에 결합시 상기 제2중공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단위중공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분에 대향되는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외경감소부가 마련된 제1삽입부재와, 상기 제1삽입부재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삽입부재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제2삽입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중공부는 상기 축소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
KR1020140108016A 2014-08-19 2014-08-19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 KR101533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016A KR101533433B1 (ko) 2014-08-19 2014-08-19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016A KR101533433B1 (ko) 2014-08-19 2014-08-19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433B1 true KR101533433B1 (ko) 2015-07-03

Family

ID=5378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016A KR101533433B1 (ko) 2014-08-19 2014-08-19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4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59U (ja) * 1993-11-16 1995-06-13 東洋製罐株式会社 経管投与剤用接続具
JP2002360700A (ja) * 2001-06-04 2002-12-17 Japan Lifeline Co Ltd バルーンカテーテル及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用バルーンの製造方法
KR100932249B1 (ko) * 2009-01-14 2009-12-16 (주)상오정밀 심입 박막 제품의 사출금형
KR20100083573A (ko) * 2009-01-14 2010-07-22 (주)상오정밀 심입 박막 부품 성형용 사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59U (ja) * 1993-11-16 1995-06-13 東洋製罐株式会社 経管投与剤用接続具
JP2002360700A (ja) * 2001-06-04 2002-12-17 Japan Lifeline Co Ltd バルーンカテーテル及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用バルーンの製造方法
KR100932249B1 (ko) * 2009-01-14 2009-12-16 (주)상오정밀 심입 박막 제품의 사출금형
KR20100083573A (ko) * 2009-01-14 2010-07-22 (주)상오정밀 심입 박막 부품 성형용 사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2630C2 (ru) Канюля с мягким наконечником
RU2527576C2 (ru) Катетер, отлитый под давлением
US9961434B2 (en) In-ear headphones having a flexible nozzle and related methods
JP4818752B2 (ja) シリンジ用外筒の射出成形用金型、シリンジ用外筒の製造方法、シリンジ用外筒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6189419B2 (ja) キャップの製造方法
CN101896214A (zh) 将插管模制到注射器针筒上的筒夹机构和方法
JP6147444B2 (ja) 内視鏡用コネクタ
JPWO2016157829A1 (ja) 医療用コネクタ
KR101533433B1 (ko) 생리대 어플리케이터 성형용 사출금형
WO2018181196A1 (ja) 医療用弁、医療用弁を備えた医療機器、及び医療用弁の製造方法
JP6715635B2 (ja) 医療用針及びその製造方法
TWI617254B (zh) Toe shoe and integrated molding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95620B1 (ko)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
JP6461148B2 (ja) 眼内レンズを製造するための挿入アセンブリ
JPS59136216A (ja) 合成樹脂筒状体の成形方法
EP3103614B1 (en) Method for producing a tube and moulding die
CN100417612C (zh) 可使毛凸不影响成品装配的射出成形模具
CN112999469A (zh) 一种注射器和具有保护罩的针座
JP3894011B2 (ja) 樹脂製中空体の製造方法
JP2007237665A (ja) 樹脂成型体の製造方法
CN205754781U (zh) 一种动铁单元外壳和耳机腔体一体化结构
WO2021060053A1 (ja) 医療用針及び医療用針の製造方法
JP4272903B2 (ja) 外套シース付き内視鏡の透明キャップの製造方法
JP2010197437A (ja) 成形プラスチックレンズ及びその成形型
CN208514854U (zh) 双色旋钮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