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620B1 -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620B1
KR101695620B1 KR1020150025427A KR20150025427A KR101695620B1 KR 101695620 B1 KR101695620 B1 KR 101695620B1 KR 1020150025427 A KR1020150025427 A KR 1020150025427A KR 20150025427 A KR20150025427 A KR 20150025427A KR 101695620 B1 KR101695620 B1 KR 101695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re
unit
cavity
intraocula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2836A (ko
Inventor
김학권
김승재
Original Assignee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5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62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6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mould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3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centering mould parts or halves, e.g. during mounting
    • B29C33/304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centering mould parts or halves, e.g. during mounting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2Artificial eyes from organic plastic material
    • B29D11/023Implants for natural 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는, 착탈 코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캐비티를 형성시키도록 착탈 코어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금형부재를 포함하는 금형유닛 및, 한 쌍의 금형부재 사이로 성형제를 공급하여 캐비티로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안구내 렌즈 지지체의 버(Burr)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안구내 삽입시의 이물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MANUFACTURE APPARATUS FOR INTRAOCULAR LENS SUPPORTER}
본 발명은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구내 렌즈 제조시 발생되는 버(Burr) 발생을 저감시켜 안구내 렌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백내장과 같이 수정체에 이상이 있는 안과적 질병의 치료방법으로써, 안구의 캡슐러색(Capsular sac) 내부에 있는 수정체 내용물을 제거하고, 제거된 수정체 공간에 인공으로 제조된 안구내 렌즈(Intraocular lens)를 삽입하는 수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구내 렌즈 삽입 수술은 환자에게 혼탁 없는 맑은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에, 안구내 렌즈가 삽입된 캡슐러색이 수술 후에 수축되어 변형되는 문제점도 가진다.
따라서, 최근에는 안구내 렌즈를 삽입하기 전에, 캡슐러색의 적도 영역에 캡슐러 텐션링을 삽입하고 캡슐러 텐션링에 안구내 렌즈를 고정시키는 방식이 점차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캡슐러 텐션링은 개방(Open) 또는 폐쇄(Closed) 환상체로서, 캡슐러색의 수축을 완화시키기 위해 수정체가 제거된 캡슐러색의 형상을 일부분 유지하면서 삽입된 렌즈를 용이하게 지지한다.
캡슐러 텐션링은 일반적으로 캐비티에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금형방식에 의해 제조된다. 그런데, 캡슐러 텐션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버(Burr)가 형성됨에 따라, 환자의 안구내에 캡슐러 텐션링이 삽입될 경우 깨끗한 시야를 제공하지 못하고 이물감을 제공하는 원인이 된다.
-. 국내등록특허 제10-0807939호(출원인: 박경진) -. 국내등록특허 제10-0843454호(출원인: 박경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버(Burr) 발생을 저감시켜 깨끗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는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는, 착탈 코어의 원주면에 캐비티를 형성시키는 금형유닛 및 상기 캐비티로 성형제를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는 상기 착탈 코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링형 안구내 렌지 지지체를 제조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금형유닛은 상기 착탈 코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캐비티 형성을 위해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금형부재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캐비티는 상기 금형유닛에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금형유닛에 진입하여 상기 캐비티와 연통하는 공급로로 상기 성형제를 공급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금형유닛은 상기 착탈 코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캐비티 형성을 위해 상호 대면하는 제1 및 제2금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제1금형부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2금형부재에 상기 캐비티와 연통하도록 마련된 공급로로 상기 성형제를 공급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공급유닛은 티타늄(titanium) 재질로 형성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금형유닛 및 공급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금형 동작 중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로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는, 착탈 코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캐비티를 형성시키도록 상기 착탈 코어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금형부재를 포함하는 금형유닛 및, 상기 한 쌍의 금형부재 사이로 성형제를 공급하여 상기 캐비티로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한 쌍의 금형부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삽입되어 다른 하나의 금형부재에 상기 캐비티와 연통하도록 마련된 공급로로 상기 성형제를 공급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공급유닛은 티타늄(titanium) 재질로 형성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한 쌍의 금형부재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금형부재는 한 쌍의 지지부재에 의해 각각 지지된 후, 한 쌍의 커버에 의해 커버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에는 금형 동작 중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로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는, 착탈 코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안구내 렌즈 지지체를 제조함으로써, 버(Burr)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금형부재의 사이에 삽입된 착탈 코어의 원주를 따라 캐비티가 형성되어 성형제가 공급됨으로써, 한 쌍의 금형부재가 상호 대면하는 부위의 틈새에서만 버(Burr)가 발생되게 된다. 즉, 착탈 코어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마주하는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는 한 쌍의 금형부재가 상호 맞물리는 틈새가 없음으로 인해, 버(Burr) 발생이 최소화된다.
이렇게 안구내 렌즈 지지체의 버(Burr)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안구내로 삽입된 안구내 렌즈 지지체로 인한 이물감 발생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게 되어 환자에게 깨끗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1금형부재에 착탈 코어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제2금형부재에 착탈 코어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그리고,
도 5는 캐비티 내에서 안구내 렌즈가 제조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1)는 금형유닛(10), 공급유닛(20) 및 지지유닛(30)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1)는 백내장과 같은 안과적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안구내 렌즈 삽입수술에 적용되어 안구의 캡슐러색(Capsular sac)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삽입되는 캡슐러 텐션링(이하, 안구내 렌즈 지지체로 지칭함)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 금형유닛(10)은 착탈 코어(11)의 외주면을 따라 캐비티(C)를 형성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금형유닛(10)은 착탈 코어(11)를 사이에 두고 캐비티(C)를 형성시키기 위해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금형부재(13)(14)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의 도시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금형부재(13)를 제1금형부재(13)로 지칭하고, 제1금형부재(13)와 대면하도록 하부에 위치하는 금형부재(14)를 제2금형부재(14)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금형부재(13)(14)에는 착탈 코어(11)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호 대면하도록 제1 및 제2코어홈(15)(16)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코어홈(15)(16)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캐비티(C)를 형성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캐비티홈(17)(18)이 제1 및 제2코어홈(15)(16)에 대해 단차지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캐비티홈(17)(18)은 도 5와 같이, 착탈 코어(11)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착탈 코어(11)에는 제1 및 제2캐비티홈(17)(18)에 삽입되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코어돌기(12)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착탈 코어(11)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제1 및 제2금형부재(13)(14)가 상호 대면하여 착탈 코어(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캐비티(C)가 형성됨으로써 환상체인 링형 안구내 렌즈 지지체(R)가 제조된다.
착탈 코어(11)의 길이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금형부재의 형폐 및 형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이에 따라서 링형 안구내 렌즈 지지체(R)가 제1 및 제2 금형부재(13)(14)에 걸쳐서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 결과, 제1 및 제2금형부재(13)(14)에 의하여 발생하는 파팅 라인은, 링형 안구내 렌즈 지지체(R)의 길이방향으로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의 링형 안구내 렌즈 지지체(R)의 원주 방향에 파팅 라인이 발생하지 않고, 본 발명은 상기 링형 안구내 렌즈 지지체의 길이방향에 발생하게 되어 그 길이가 짧아지고, 퍼팅라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버 또한 최소화될 수 있다.
참고로, 착탈 코어(11)는 형개시에 사람 또는 로봇에 의하여 상기 금형 유닛(10)으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상기 착탈 코어(1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제조된 안구내 렌즈 지지체(R)는 착탈 코어(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분리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C)는 상호 이격되어 금형유닛(10)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안구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한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캐비티(C)가 금형유닛(10)에 단일개 또는 3개 이상의 복수개로 마련되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캐비티(C)가 금형유닛(10)에 한 쌍 형성됨에 대응하여 착탈 코어(11)도 한 쌍으로 마련되어 금형유닛(10)에 삽입된다. 즉, 상기 착탈 코어(11)는 캐비티(C)의 개수에 대응하여 단수개 또는 복수개 마련된다.
상기 공급유닛(20)은 캐비티(C)로 성형제를 공급한다. 상기 공급유닛(20)은 금형유닛(10)에 진입하여 캐비티(C)와 연통하는 공급로(21)로 성형제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유닛(20)은 제1금형부재(13)에 마련된 설치홀(19)을 통해 진입하여 제2금형부재(14)에 마련된 공급로(21)로 성형제를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로(21)는 제2금형부재(14)에 마련된 한 쌍의 제2캐비티홈(18)을 상호 연통시키도록 한 쌍의 제2캐비티홈(18) 사이에 "T"자 모양으로 마련된다.
참고로, 상기 공급유닛(20)은 성형제로써 실리콘과 같은 탄성을 가진 재료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공급유닛(20)은 고온의 성형제가 공급유닛(20)을 통해 공급되는 도중에 고형화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낮은 예컨데, 티타늄(titanium)과 같은 재질로 형성됨이 좋다. 이러한 공급유닛(20)은 일반적인 주사기 타입이 아닌 부쉬(Bush) 타입으로 제1금형부재(13)의 설치홀(19)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유닛(30)은 금형유닛(10) 및 공급유닛(20)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유닛(30)은 제1 및 제2금형부재(13)(14)가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금형홀(33)(34)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지지부재(31)(32)를 포함한다. 이렇게 제1 및 제2금형홀(33)(34)이 형성된 제1 및 제2지지부재(31)(32)에 제1 및 제2금형부재(13)(14)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제1 및 제2금형부재(13)(14)가 금형 동작 중 유동되지 않고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유닛(20)은 제1금형부재(13)의 설치홀(19)에 설치된 상태로 제1지지부재(31)와 함께 제1지지부재(31)에 지지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31)(32)에는 금형 동작 중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가스 배출로(35)(36)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가스 배출로(35)는 제1금형홀(33)과 연통하고 제2가스 배출로(36)는 제2금형홀(34)과 연통한다. 여기서, 상기 제2가스 배출로(36)는 한 쌍의 캐비티(C)와 각각 연통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참고로, 상기 지지유닛(30)의 제1 및 제2지지부재(31)(32)는 각각 제1 및 제2커버(37)(38)에 커버되며, 복수의 스크류(S)에 의해 금형유닛(10)과 지지유닛(30)이 상호 정위치에서 맞물려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1)의 안구내 렌즈 지지체(R)의 제조방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제1지지부재(31)에 설치된 제1금형부재(13)의 설치홀(19)을 통해 공급유닛(20)이 진입하여 성형제를 공급한다. 상기 공급유닛(20)의 성형제는 도 4와 같이, 제2지지부재(32)에 설치된 제1금형부재(13)에 형성된 공급로(21)로 공급됨으로써, 캐비티(C)로 공급된다. 상기 캐비티(C)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착탈 코어(11)의 코어돌기(12)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링형 안구내 렌즈 지지체(R)가 성형되어 제조된다. 이때, 상기 캐비티(C) 내에서 성형제가 고형화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는 제1 및 제2가스 배출로(35)(36)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C)가 착탈 코어(11)의 삽입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대면하는 제1 및 제2금형부재(13)(14)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제조되는 안구내 렌즈 지지체(R)의 버(Burr) 발생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안구내 렌즈 지지체(R)가 제1 및 제2금형부재(13)(14)가 상호 대면함으로써 발생된 틈새 영역(도 5의 B영역 참고)에서만 버(Burr)가 발생됨으로써, 버(Burr)에 의한 안구내 삽입시의 이물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 후에, 형개 후에 착탈 코어는 사람 또는 로봇에 의하여 금형 유닛으로부터 분리되고, 착탈 코어(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조된 안구내 렌즈 지지체(R)는 착탈 코어(11)의 길이방향으로 밀어내어서 이동되도록 하여서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 C: 캐비티
R: 안구내 렌즈 지지체 10: 금형유닛
11: 착탈 코어 12: 코어돌기
13: 제1금형부재 14: 제2금형부재
15: 제1코어홈 16: 제2코어홈
17: 제1캐비티홈 18:제2캐비티홈
19: 설치홀 20: 공급유닛
21: 공급로 30: 지지유닛
31: 제1지지부재 32: 제2지지부재
33: 제1금형홀 34: 제2금형홀
35: 제1가스 배출로 36: 제2가스 배출로

Claims (8)

  1.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코어돌기가 형성된 착탈 코어;
    착탈 코어를 사이에 두고 캐비티가 형성되도록 상호 대면하는 제1 및 제2금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금형부재는 상기 코어돌기가 삽입되도록 제1 및 제2캐비티홈이 형성된 금형유닛; 및
    상기 캐비티로 성형제를 공급하는 공급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코어는 형개시에 상기 금형 유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금형 부재 및 상기 제2 금형 부재에 의하여 파팅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파팅라인은 상기 코어 돌기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형부재에는 상기 착탈 코어가 삽입되도록 제1 및 제2코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캐비티홈은 상기 제1 및 제2코어홈에 대해 단차지게 형성되는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코어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제1 및 제2금형부재가 상호 대면하여 착탈 코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캐비티가 형성되는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금형유닛에 진입하여 상기 캐비티와 연통하는 공급로로 상기 성형제를 공급하는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제1금형부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2금형부재에 상기 캐비티와 연통하도록 마련된 공급로로 상기 성형제를 공급하는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티타늄(titanium) 재질로 형성되는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유닛 및 공급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금형 동작 중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로가 마련되는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코어 외주면에 형성된 안구내 렌즈 지지체는 상기 착탈 코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외부로 밀어내어져 분리되는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
KR1020150025427A 2015-02-23 2015-02-23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 KR10169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427A KR101695620B1 (ko) 2015-02-23 2015-02-23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427A KR101695620B1 (ko) 2015-02-23 2015-02-23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836A KR20160102836A (ko) 2016-08-31
KR101695620B1 true KR101695620B1 (ko) 2017-01-13

Family

ID=56877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427A KR101695620B1 (ko) 2015-02-23 2015-02-23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963A (ko) * 2020-12-21 2022-06-28 현태섭 연질 성형물의 성형 캐비티
KR102366064B1 (ko) * 2022-01-21 2022-02-23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안구내 렌즈 지지링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150B1 (ko) 2006-07-19 2007-07-03 김길곤 중공형 성형체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KR100807939B1 (ko) 2007-03-08 2008-02-28 박경진 안구내렌즈 조립체
KR100843454B1 (ko) 2007-03-08 2008-07-03 박경진 안구내렌즈 지지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981A (ja) * 1994-08-05 1996-02-20 Yamakawa Ind Co Ltd 樹脂製チューブの成形法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150B1 (ko) 2006-07-19 2007-07-03 김길곤 중공형 성형체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KR100807939B1 (ko) 2007-03-08 2008-02-28 박경진 안구내렌즈 조립체
KR100843454B1 (ko) 2007-03-08 2008-07-03 박경진 안구내렌즈 지지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836A (ko)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2944B2 (ja) 眼内レンズ
KR100881725B1 (ko) 삼투기능을 증강시키도록 눈물순환로가 형성된 콘택트 렌즈 및 이러한 콘택트를 생산하기 위한 자웅형 지그
KR100809497B1 (ko) 안구내 콘택트렌즈 및 그것의 삽입방법
EP0507292B1 (en) Device for inhibiting aftercataract
JP4777991B2 (ja) 眼内レンズ装置の射出成形装置および方法
JP2008526545A (ja) 非対称成形型の方位設定のための集成コアロック及び方法
CA2571762A1 (en) I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iol
US20050237481A1 (en) Contact lenses having a rounded edge form
RU2012108951A (ru) Скрытые интраокулярные имплантанты и линзы
KR101695620B1 (ko)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
KR20110083672A (ko) 옵틱과 헵틱 구역 간의 표면 접촉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TWI476092B (zh) 光學塑膠鏡片及其射出成型方法
TWI404990B (zh) 複曲面隱形眼鏡製造之軸控制
KR20200041826A (ko) 수정체 캡슐의 재구성 및 장력 조정을 위한 디바이스
MX2021005352A (es) Tratamiento y diagnóstico de enfermedades oculares mediadas por autoanticuerpos.
US4896958A (en) Flexible contact lens for enhanced movement on the eye
KR102229389B1 (ko) 천공구 가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콘택트렌즈
CN108431673A (zh) 眼镜腿
KR102366064B1 (ko) 안구내 렌즈 지지링 제조장치
CN107427359B (zh) 制造人工晶状体的装置和方法
KR102061813B1 (ko) 석션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
CN110037853B (zh) 折叠式人工玻璃体及其模具与制造方法
KR100914215B1 (ko) 삼투기능을 증강시키도록 눈물순환로가 형성된 콘택트 렌즈를 생산하기 위한 금형코어
KR20150138752A (ko) 쇠심을 활용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JPH04364840A (ja) 眼内レンズの挿入固定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