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556B1 -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556B1
KR101530556B1 KR1020120057129A KR20120057129A KR101530556B1 KR 101530556 B1 KR101530556 B1 KR 101530556B1 KR 1020120057129 A KR1020120057129 A KR 1020120057129A KR 20120057129 A KR20120057129 A KR 20120057129A KR 101530556 B1 KR101530556 B1 KR 101530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mage forming
packet
forming apparatus
recei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059A (ko
Inventor
유지 나야
케이시 이나바
코지 시미즈
코헤이 아사노
키요카즈 우미무라
유이치 코노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5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55Managing power consumption, e.g. standby mode
    • G06K15/406Wake-up proced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1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 G06F3/1217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achieving reduced idle time at the output device or increased asset util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패킷이,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의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패킷이 상기 제1 형태의 패킷이라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전력이 상기 수신 수단과 휘발성 메모리에 공급되는 제1전력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패킷이 상기 제2 형태의 패킷이라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전력이 상기 수신 수단에 공급되지 않고 전력이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공급되는 제2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전원제어수단; 및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기동제어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서버 장치를 사용해서 원격조작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전원투입을 제어하는 방식은, 화상형성장치를 아이들(idle) 상태까지 기동하는 기술이 이미 확립되어 있다. 그 아이들 상태에서는, 화상형성장치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89864호에 개시된 것처럼, 상기 장치의 시스템 셋업 정보에 따라, 시스템을 아이들 상태로 할지 전원 오프로 할지를 제어하는 기술이 이용 가능하다.
원격조작 전원투입 방식에서는, 정각이 되면 서버 장치가 자동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전원투입을 행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방식에 따라 자동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전원투입될 경우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근방에 해당 화상형성장치를 즉시 사용하기를 원하는 유저가 있을 가능성이 적고,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전원투입후에 유저가 화상형성장치를 실제로 사용할 때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즉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화상형성장치는 아이들 상태에서 대기해버려, 그 기간에 쓸데없이 전력을 소비해버린다.
한편, 유저가 화상형성장치를 즉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유저는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기를 원할 때에는 빨리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되어 주기를 기대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서버 장치가 화상형성장치에 전원투입시에, 유저는 화상형성장치가 아이들 상태에서 기동할지 또는 고속 기동 상태에서 기동할지를 선택할 수 없어, 이는 본 발명에서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되었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서는, 청구항 1 내지 8에 기재된 것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패킷이,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의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패킷이 상기 제1 형태의 패킷이라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전력이 상기 수신 수단과 휘발성 메모리에 공급되는 제1전력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패킷이 상기 제2 형태의 패킷이라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전력이 상기 수신 수단에 공급되지 않고 전력이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공급되는 제2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전원제어수단; 및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기동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국면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콘트롤러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의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예시적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의 천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7은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종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요소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그들의 구성요소에만 한정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구성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예시적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이미지 리더(reader)(200) 및 프린터부(300)로 이루어진 화상형성장치 본체, 접지 장치 (folding apparatus)(500) 및 피니셔(finisher)(600)를 구비한다. 이미지 리더(200)의 상부에는, 원고반송장치(100)가 장착되어 있다. 피니셔(600)의 상부에는, 인서터(inserter)(700)가 설치된다. 화상형성장치는, 후술하는 통신제어부(450)를 통해 서버 장치(453)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후술하는 기동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패킷을 취득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고반송장치(100)는, 원고 트레이(105) 위에 세트된 원고를 선두 페이지로부터 1매씩 급지하고, 만곡된 패스(path)를 거쳐서 원고대 유리 위에 그 원고를 반송한다. 단면 원고를 판독하는데는 2개의 판독 모드가 있다. 원고고정 판독 모드(제1 판독 모드)에서는, 원고대 유리(205)상의 판독위치R1에서 원고의 후단을 반송 및 정지시키고, 스캐너 유닛(206)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원고를 판독한다. 또 다른 판독모드(제2 판독 모드)에서는, 원고를 특정 판독 속도로 판독위치R1에 반송하고, 스캐너 유닛(206)을 판독위치R1에 고정한 채 원고를 판독한다. 어떠한 모드에서도, 원고를 판독한 후, 원고를 배지 트레이(106)에 배출한다.
양면 원고 판독방법에서는, 스캐너 유닛(206)에 의해 원고의 표면을 판독하고, 원고반송장치(100) 내측에 배치한 광학 유닛(110)에 의해 이면을 판독한다. 이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광학 유닛(110) 내측에 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이미지 센서 및 광원이 배치되어 있다.
렌즈(207)를 통해 이미지 센서(208)에 의해 판독된 원고의 화상은, 프린터 제어부(301)를 통해 노광 제어부(305)에 보내진다. 노광 제어부(305)는, 화상신호에 대응한 레이저빔을 출력한다. 이 레이저빔이 감광 드럼(306)에 조사되면, 감광 드럼(306) 위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306)상의 정전 잠상은 현상기(307)에 의해 현상되어, 감광 드럼(306)상에 존재하는 현상제는 카세트(308, 309), 수동 급지부(310) 및 양면반송 패스(311) 중 어느 하나로부터 급송된 시트(sheet)에 전사부(312)에서 전사된다.
현상제가 시트에 전사된 후, 그 시트는 정착부(313)에 이끌어지면, 현상제의 정착 처리가 실행된다. 정착부(313)를 통과한 후, 그 시트를,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플래퍼(flapper)에 의해, 패스315로부터 패스314에 이끈다. 시트의 후단이 패스315를 지나간 후, 시트를 스위치백(switch back) 시켜서 배출 롤러(317)에 이끈다. 이에 따라, 현상제가 부착된 면을 하방을 향하면서(페이스 다운 상태), 배출 롤러(317)에 의해 프린터부(300)로부터 상기 시트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을 반전 배지라고 한다. 상기 시트가 페이스 다운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원고반송장치(100)에 의해 복수매의 원고로부터 판독된 화상을 프린트할 경우, 선두 페이지로부터 옳은 순서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수동 급지부(310)를 거쳐 공급된 OHP시트와 같은 단단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그 시트를 패스315에 이끌지 않지만, 현상제가 부착된 면이 위를 향하면서(페이스 업 상태) 배출 롤러(317)로부터 배출한다.
시트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시트를 정착부(313)로부터 패스315, 패스314에 이끈다. 시트가 패스315를 지나간 직후에, 시트를 스위치백시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플래퍼에 의해 양면 반송 패스311에 이끈다. 양면반송 패스311에 이끌어진 시트에 대하여, 전사부(312)에 의해 정전잠상이 전사되고, 정착부(313)에 의해 정착 처리가 실행된다.
전사부(312)로부터 양면반송 패스311을 경유해서 다시 전사부(312)에 돌아가는 단일 순환의 패스에, A4, B5등의 하프 사이즈 용지가 5매 존재하는 경우에도, 패스 길이, 롤러 배치 및 구동계의 분할의 설정으로 시트를 반송 가능하게 한다. 홀수 페이지가 하방을 향하면서 시트가 배출되므로, 양면 카피시의 적절한 순서로 시트 페이지를 배치할 수 있다.
배출 롤러(317)로부터 배출된 시트는 접지 장치(500)에 보내진다. 접지 장치(500)는, 시트를 Z형상으로 접는 처리를 실행한다. A3사이즈나 B4사이즈의 시트에 대해 접지 처리를 지정하는 경우, 접지 처리를 실행한 후, 상기 시트를 피니셔(600)에 보내진다. 그 이외의 사이즈의 시트는 그대로 피니셔(600)에 보내진다. 피니셔(600)는, 제본 처리, 철하기(stapling) 처리 및 구멍내기 처리를 실행한다. 피니셔(600)의 상부에는, 인서터(700)가 장착되어 있고, 표지와 간지를 공급한다. 콘트롤러 제어부(400)는 이미지 리더(200), 프린터부(300), 접지 장치(500) 및 피니셔(600)와 통신을 행하여, 화상형성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본 장치는, 화상형성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콘트롤러 제어부(400) 주위에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트롤러 제어부(400)에는, 조작부(800)의 설정이나 서버 장치(45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원고반송장치(100)를 제어하는 원고반송장치 제어부(101)가 있다. 콘트롤러 제어부(400)는, 이미지 리더(200)를 제어하는 이미지 리더 제어부(201)와 통신을 행해 입력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한층 더, 콘트롤러 제어부(400)는, 프린터부(300)를 제어하는 프린터 제어부(301)와 통신을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시트에 인쇄한다. 추가로, 콘트롤러 제어부(400)는, 접지 장치(500)를 제어하는 접지장치 제어부(501)와, 피니셔(600)를 제어하는 피니셔 제어부(601)와 통신을 행하여, 인쇄된 시트에 스테이플이나 펀치 구멍 등의 원하는 출력을 실현한다.
통신 인터페이스(451)는, 서버 장치(453)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USB등의 외부 버스(452)와 접속해 서버 장치(453)로부터 공급된 프린트 데이터를 래스터화 하여(rasterize) 그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콘트롤러 제어부(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을 참조하면, 콘트롤러 제어부(400)는, 주 제어부(410)내의 CPU(401)로 제어되고, 오퍼레이팅 시스템(이하, OS라고 함)으로 제어된다. 버스 브리지(408)는 CPU(401)의 초기 기동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있는 ROM(403)과, CPU(401)의 제어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제어에 따르는 연산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 주기억 메모리(주 메모리)(405)에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402)에는, CPU(40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포함하는 메인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있다. 기억부(402)는, 본 예시적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가 동작 상태일 경우의 화상 데이터의 일시적인 기억영역으로서도 사용된다. 또한, 네트워크나 USB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통신제어부(450)와, 조작부(800)를 제어하는 조작부 제어부(406)는, CPU(401)에 접속되어 있다.
CPU(401)는, 버스 브리지(408)를 통해 디바이스 제어부(407)와 통신을 행한다. 디바이스 제어부(407)는 원고반송장치 제어부(101), 이미지 리더 제어부(201), 프린터 제어부(301), 접지장치 제어부(501) 및 피니셔 제어부(601)와 접속되어 이들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전원제어부(418)는, 화상형성장치 전체의 전원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제어부(418)는, 원고반송장치 제어부(101), 이미지 리더 제어부(201), 프린터 제어부(301), 접지장치 제어부(501) 및 피니셔 제어부(601)의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콘트롤러 제어부(400)내의 에너지 절약 모드로 전원 제어를 실시한다.
제1 전원 온(ON)/오프(OFF)전환기(412)는, 통신제어부(4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원(411)의 온/오프를 전환한다. 제2 전원 온/오프 전환기(415)는 콘트롤러 제어부(400)내의 CPU(401), 기억부(402), ROM(40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413)의 온/오프를 전환한다.
제3 전원 온/오프 전환기(417)는 콘트롤러 제어부(400)내의 주기억 메모리(40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 전원(416)의 온/오프를 전환한다. 통신제어부(450)는, 제1 전원 온/오프 전환기(412)에 접속되어, 통신 인터페이스(451)를 통해 수신한 패킷을 판단해서 플래그(flag) 레지스터(414)를 제어한다.
메인 스위치(420)는, 유저가 상기 시스템을 직접 조작한 것을 전원제어부(418)에 통지한다. 메인 스위치(420)는, 전원투입을 전원제어부(418)에 대하여 지시한다. 그리고, 메인 스위치(420)로부터의 전원 온(ON) 지시를 고속 기동 상태에서 접수했을 경우, CPU(401)는 화상형성장치를 고속기동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이행시키는 제어를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순서에 따라 실행한다. 또한, 전원제어부(418)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 아이들 상태시에 있어서, 제1∼제3 전원으로부터의 통전을 허가하고, 화상형성장치를 화상 형성가능한 상태로 천이시킨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의 조작부(8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액정 디바이스(LCD) 표시부(900)에서는, 그 LCD 패널 위에 터치패널 시트가 부착되어 있다. 터치패널 시트는, 시스템의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키가 유저에 의해 눌려진 경우에, 조작부(800)는 그 위치 정보를 콘트롤러 제어부(400)에 통지한다. 텐 키 패드(801)는, 카피 매수와 같은 숫자의 입력에 사용된다. 스타트 키(802)는, 유저가 원하는 조건을 설정한 후, 카피 동작 또는 원고의 판독 동작을 시작하는데 사용된다. 스톱 키(803)는 현재 가동중인 동작을 멈추는데 사용된다. 에너지 절약 키(804)는 에너지 절약 모드에의 천이, 또는 에너지 절약 모드에의 복귀를 행하는데 사용된다.
유저가 키의 기능을 모를 때 가이드 키(805)를 누르면, 그 키의 설명이 표시된다. 카피 모드 키(806)는, 복사를 행하는데 사용된다. 팩스 키(807)는, 팩스에 관한 설정을 행하는데 사용된다. 파일 키(808)는, 파일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프린터 키(809)는, 컴퓨터 등의 외부장치로부터의 프린트 출력에 관한 설정을 하는데 사용된다.
도 5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의 상태 천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용전원(AC 플러그)이 오프일 때, P103에서, 장치는 모두 오프상태가 된다. 이 때, 그 장치에는 전원이 전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전기적인 조작도 접수할 수 없다.
전체 시스템이 오프상태(P103)일 때, 상용전원이 온 되면, 시스템이 셧다운 상태(P104)로 된다. 이때, 전원제어부(418)가 통전된다. 다음에, 전원제어부(418)는 제1 전원 온/오프 전환기(412)를 온 한다. 그에 따라, 통신제어부(450)는, 서버 장치(453)로부터의 리모트 온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 기동한다.
셧다운 상태(P104)에서 서버 장치(453)로부터 고속기동 상태(P102)에의 천이 명령 패킷이 나온 경우, 화상형성장치는 고속기동 상태(P102)로 이행한다. 메인 스위치(420)로부터의 전원 오프 지시를 고속기동 상태로 접수했을 경우, CPU(401)가 화상형성장치를 아이들(idle) 상태로부터 고속기동 상태에 이행시킨다. 이때, 전원제어부(418)는, 제3 전원 온/오프 전환기(417)를 온 하여, 주 제어부(410) 중, 주기억 메모리(405)와 전원제어부(418)만 통전되어 있다.
고속기동 상태(P102)일 때, 유저가 메인 스위치(420)를 온 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아이들 상태(P100)로 이행한다. 메인 스위치(420)로부터의 전원 온 지시를 상기 고속기동 상태로 접수했을 경우, 화상형성장치를 고속기동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 아이들 상태에서, 제1 전원 온/오프 전환기(412), 제2 전원 온/오프 전환기(415) 및 제3 전원 온/오프 전환기(417)는 모두 온 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 제어부(406)와 디바이스 제어부(407)도 통전되어 있어, 화상형성장치는 전체적으로 구동되어 있다.
아이들 상태(P100)에서 화상형성장치에 설정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슬립(sleep) 상태(P101)로 이행한다. 이 상태에서, 제1 전원 온/오프 전환기(412) 및 제3 전원 온/오프 전환기(417)는 온 된 상태이지만, 콘트롤러 제어부(400)내의 주기억 메모리(405)를 제외한 전체 시스템은 오프되어 있다.
이하, 본 예시적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의 리모트 전원제어 방법 및 그 이용 방법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제어부(450)는, 통신제어부(450)가 취득한 패킷이 화상형성장치 본체를 화상형성 가능한 아이들 상태에서 기동시키는 패킷인지, 또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주 메모리에의 통전이외를 제한하는 고속기동 상태에서 기동시키는 패킷인지를 판단한다.
도 6은, 본 예시적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다. 본 예는, 화상형성장치가 고속기동 가능상태에서 대기하는 명령 패킷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기동된다. 또한, 각 단계는, 전원제어부(418)와, CPU(401)가 연계해서 처리된다. CPU(401)는, ROM(403)으로부터 제어 프로그램을 주기억 메모리(405)에 로드해서 실행함으로써 각 단계의 처리를 실현한다.
이하, 서버 장치(453)로부터 취득한 패킷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를 아이들 상태로부터 고속기동 상태로 이행시키는 기동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부(418) 및 통신제어부(450)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P104)에 본 장치가 있다고 가정한다. 단계S101에서, 콘트롤러 제어부(400)내의 통신제어부(450)는, 서버 장치(453)로부터 기동 패킷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통신제어부(450)가 기동 패킷을 수신했다고 판단하면(단계S101에서 YES), 통신제어부(450)는 그 패킷이 고속기동 상태에서 대기하는 명령 패킷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렇다면, 고속기동 플래그를 플래그 레지스터(414)에 유지하고, 단계S104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S102에서, 통신제어부(450)가 고속기동 상태에서 대기하는 명령 패킷이 수신한 패킷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103에서, CPU(401)는, 조작부(800)가 초기화중인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한 표시를 한다.
단계S102에서 고속기동 플래그가 유지되어 있다고 전원제어부(418)가 판단했을 경우, 단계S104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리고, 전원제어부(418)는 제2 전원 온/오프 전환기(415) 및 제3 전원 온/오프 전환기(417)를 온 시킨다. 단계S104에서, CPU(401)는, 디바이스 제어부(407)와 조작부 제어부(406)를 제외하는 콘트롤러 제어부(400)의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105에서, 단계S104의 기동 처리시에, CPU(401)는 고속기동 플래그가 유지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고속기동 플래그가 유지되어 있다고 CPU(401)가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104의 처리가 단계S106에서 완료된 후, 단계S107에서, 상기 시스템이 고속기동 상태에서 대기한다.
고속기동 상태에서, 전원제어부(418)는 제2 전원 온/오프 전환기(415) 및 제1 전원 온/오프 전환기(412)를 오프 한다. 그러나, 제3 전원 온/오프 전환기(417)는 온함으로써, 주기억 메모리(405)가 데이터를 유지한다. 그 후, 유저에 의해 메인 스위치(420)가 온 되었을 때, 화상형성장치는 고속으로 기동된다.
한편, 단계S105에서, 고속기동 플래그가 유지되어 있지 않다고 CPU(401)가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104후, 상기 시스템은 단계S104에서 행해지지 않은 나머지의 기동 처리 플로우(S110)에 들어간다. 다음에, 메인 스위치(420)가 온 되면, CPU(401)는, 단계S108에서 전력 절약 모드를 해제하고, CPU(401)는, 단계S109에서 조작부(800)가 초기화중인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표시를 표시한다.
단계S110에서, CPU(401)는, 단계S104의 기동 처리에서 행해지지 않은 나머지의 디바이스 제어부(407)의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는, 원고와 시트의 반송에 필요하고 화상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예를 들면 모터와 솔레노이드의 진동이나 충격을 발생하는 어떠한 소스도 포함한다.
단계S111에서, 콘트롤러 제어부(400)와 주변 장치와의 니고시에이션(negotiation)을 행한다. 예를 들면, 콘트롤러 제어부(400)는 주변 장치의 정보를 취득하여, 통신이 적절하게 행해지는 것인가 아닌가를 보기 위해 체크한다.
단계S112에서, 이상의 처리가 끝나면, 화상형성장치의 기동 처리를 마치고, 화상형성장치를 아이들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원격조작에 의한 전원투입후의 화상형성장치의 시작 단계를, 서버 장치로부터 보내진 패킷의 종류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즉시 소모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의 대기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시작 단계를, 유저가 설정한 평소의 상태에 따라 바꿀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의 평소의 설정으로 화상형성장치를 기동할 수 있다.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고속기동하는 패킷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반드시 고속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그렇지만, 화상형성장치를 공유하는 유저 환경에 따라서는, 그러한 기동 처리를 원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패킷을 수신한 경우도, 미리 조작부(800)를 통해 해당 패킷을 무효화하는 설정을 이룬 경우에는, 고속기동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화상형성장치가 기동되어도 된다. 이하,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다. 이는, 화상형성장치가 고속기동 상태에서 대기하는 명령 패킷을 서버로부터 수신했을 경우의 기동 처리 예다. 또한, 각 단계는, 전원제어부(418)와, CPU(401)가 연계해서 처리된다. CPU(401)는, 제어 프로그램을 주기억 메모리(405)에 로드해서 실행함으로써 제어를 실현한다. 이하, 서버 장치(453)로부터 취득된 패킷에 따라, 고속기동 처리를 제한하는 설정의 유효 또는 무효의 상태를 판단해서 화상형성장치를 아이들 상태 혹은 고속기동 상태로 천이시키는 기동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부(418) 및 통신제어부(450)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S201에서, 콘트롤러 제어부(400)내의 통신제어부(450)는, 서버 장치(453)로부터 보내진 기동 패킷을 대기하는 대기 상태에 있다.
통신제어부(450)가 기동 패킷을 수신한 것을 인식하면, 통신제어부(450)는 그 패킷이 고속기동 상태에서 대기하는 명령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렇다면, 단계S202에서, 통신제어부(450)는, 고속기동 플래그를 플래그 레지스터(414)에 유지하고, 단계S205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S202에서, 고속기동 플래그가 유지되어 있지 않다고 통신제어부(450)가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203에서, 통신제어부(450)는, 화상형성장치의 설정이 고속 기동을 금지하기 위한 고속기동 금지 플래그가 유지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고속 기동은 메인 스위치(420)의 오프시에 주기억 메모리(405)에 전기 공급과 함께 실행된다. 따라서, 유저가 그 전기 공급을 금지하길 원하는 경우에 고속기동 금지를 설정하여도 된다. 고속기동 금지 플래그가 주기억 메모리(405) 위에 유지되어 있다고 CPU(401)가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204의 처리로 진행된다. 고속기동 금지 플래그가 유지되지 않고 있다고 CPU(401)가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20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204에서, CPU(401)는, 조작부(800)가 초기화중인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표시를 한다.
단계S205에서, 전원제어부(418)는 제2 전원 온/오프 전환기(415) 및 제3 전원 온/오프 전환기(417)를 온 하고, CPU(401)는 디바이스 제어부(407)와 조작부 제어부(406)를 제외하는 콘트롤러 제어부의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205의 기동 처리시에, CPU(401)는 단계S206과 단계S207 각각에서 고속기동 플래그 및 고속기동 금지 플래그가 유지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고속기동 플래그가 온이고 고속기동 금지 플래그가 오프일 경우에, 단계S208에서, 상기 시스템은 단계S205의 처리가 완료하는 것을 대기한다. 그리고, CPU(401)는, 단계S205의 처리가 완료한 후, 단계S209에서, 고속기동 상태에서 대기한다.
이 고속기동 상태일 때, 전원제어부(418)는 제2 전원 온/오프 전환기(415) 및 제1 전원 온/오프 전환기(412)를 오프 한다. 그러나, 제3 전원 온/오프 전환기(417)가 온될 때, 주기억 메모리(405)의 데이터를 유지하여, 유저에 의해 메인 스위치(420)가 온 되면, 화상형성장치는 고속으로 기동된다.
다음에, 단계S210에서, CPU(401)는, 메인 스위치(420)가 온되는 경우, 고속기동 상태의 해제를 지시했다고 판단한다. 고속기동 상태의 해제를 지시하였다고 CPU(401)가 판단하는 경우(단계S210에서 YES), 단계S211에서, CPU(401)는, 조작부(800)가 초기화중인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표시를 행한다.
다음에, 단계S206 및 단계S207 각각에 있어서, 고속기동 플래그가 오프이거나 또는 고속기동 금지 플래그가 온이라고 CPU(401)가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212에서, 상기 시스템은, 단계S205 후에 단계S205에서 행해지지 않은 나머지의 기동 처리 플로우에 들어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시스템은, 단계S205의 기동 처리에서 실행되지 않은 나머지의 디바이스 제어부(407)의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처리는, 원고와 시트의 반송에 필요하고 화상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예를 들면 모터와 솔레노이드의 진동이나 충격을 발생하는 어떠한 소스도 포함한다.
단계S213에서, 콘트롤러 제어부(400)와 주변 장치와의 니고시에이션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콘트롤러 제어부(400)는 주변 장치의 정보를 취득하여, 통신이 적절하게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알기 위해 체크한다.
이상의 처리가 끝나면, 단계S214에서, 화상형성장치의 기동 처리를 마치고, 화상형성장치는 아이들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1 예시적 실시예의 효과와 아울러, 화상형성장치는 유저에게 편리한 기동 처리를 실행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각 단계들은,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억매체를 거쳐서 취득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퍼스널 컴퓨터의 처리장치(CPU, 프로세서)에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기동 패킷을 수신했을 경우에, 상기 시스템이 셧다운 상태(P104)로부터 고속기동 상태(P103)에 이행되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변형 예에서는, 특정한 패킷을 수신했을 경우에, 상기 시스템은, 셧다운 상태(P104)로부터 슬립 상태(P101)에 이행되어도 좋다.
상기한 특정한 패킷은, 서버 장치(453)로부터 송신되어 화상형성장치를 기동시킨다. 이 특정한 패킷은, 화상형성장치에 특정한 처리(예를 들면, 프린트 처리, 스캔 처리, HDD에의 데이터의 격납 처리)를 실행시키는 패킷과는 다르다. 이 서버 장치(453)로부터 송신된 특정한 패킷은, 브로드캐스트 패킷 또는 멀티캐스트 패킷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이 변형 예의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변형 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원제어부(418) 및 통신제어부(450)에만 전력이 공급되어 있는 셧다운 상태에 있는 것이라고 가정한다. 콘트롤러 제어부(400)내의 통신제어부(450)는, 서버 장치(453)로부터 보내진 특정한 패킷에 대해 대기 상태에 있다.
단계S301에서, 통신제어부(450)는, 상기 특정한 패킷을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통신제어부(450)가 어떠한 특정한 패킷을 수신했다고 판단하면(단계S301에서 YES), 통신제어부(450)는, 단계S302에서, 특정한 패킷을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플래그 레지스터(414)에 유지한다.
한편, 통신제어부(450)가 특정한 패킷이외의 패킷을 수신했다고 판단하면(단계S301에서 NO), 통신제어부(450)는, 상기한 플래그를 플래그 레지스터(414)에 유지하지 않고 처리를 진행한다.
다음에, 전원제어부(418)는, 제2 전원 온/오프 전환기(415) 및 제3 전원 온/오프 전환기(417)를 온 한다. 이에 따라, CPU(401)의 주 제어부(410)에 전력이 공급된다. 그 후, CPU(401)는, 단계S303에서 주 제어부(410)의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문에,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가, 아이들 상태(P100)가 된다.
그 후에, 전력제어부(418)는, 단계S304에서, 특정한 플래그가 플래그 레지스터(414)에 유지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특정한 플래그가 유지되어 있으면 전력제어부(418)가 판단한 경우에는(단계S304에서 YES), 단계S305에서, CPU(401)는 슬립 이행 처리를 실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력제어부(418)는, 제2 전원 온/오프 전환기(415) 및 제3 전원 온/오프 전환기(417)를 오프로 한다. 이에 따라, 콘트롤러 제어부(400)에의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다. 그 결과,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가 슬립 상태(P101)가 된다.
한편, 전력제어부(418)는 특정한 플래그가 유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단계S304에서 NO), CPU(401)는, 슬립 이행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도 8의 플로우를 종료한다.
상기한 변형 예는, 전원제어부(418) 및 통신제어부(450)에만 전력이 공급되어 있는 셧다운 상태를 나타낸다. 이 변형 예에 의하면, 서버 장치로부터 특정한 패킷을 수신했을 경우에,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슬립 상태로 하고, 서버 장치로부터 특정한 패킷이외의 패킷을 수신했을 경우에,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아이들 상태로 한다. 서버 장치로부터 특정한 패킷을 수신했을 경우에,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가 아이들 상태로부터 에너지 절약의 상태로 이행되면, 상기 변형 예는 슬립 상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타의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8)

  1.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패킷이,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의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패킷이 상기 제1 형태의 패킷이라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전력이 상기 수신 수단과 휘발성 메모리에 공급되는 제1전력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패킷이 상기 제2 형태의 패킷이라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전력이 상기 수신 수단에 공급되지 않고 전력이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공급되는 제2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전원제어수단; 및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기동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력상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동에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가 기억되는 상기 휘발성 메모리이외의 구성요소에 전력의 공급을 제한하는 상태인,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력상태가 상기 제2전력상태보다 소비 전력이 많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화상형성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전원;
    화상형성처리를 실행하는 화상형성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전원; 및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3전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패킷이 상기 제2 형태의 패킷이라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제3전원으로부터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패킷이 상기 제1형태의 패킷이라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제2전원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전원; 및
    상기 제1전원과 상기 수신 수단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원으로부터 상기 수신 수단에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더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패킷이 상기 제2형태의 패킷이라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제2형태의 패킷을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기억하는 플래그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제어 수단은, 상기 플래그 기억 수단에 상기 플래그가 기억될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태의 패킷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기동시키는 패킷인,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태의 패킷은 브로드캐스트 패킷 또는 멀티캐스트 패킷인, 화상형성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패킷이, 제1형태 또는 제2형태의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패킷이 상기 제1 형태의 패킷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전력이 상기 수신 수단과 휘발성 메모리에 공급되는 제1전력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수신한 패킷이 상기 제2 형태의 패킷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전력이 상기 수신 수단에 공급되지 않고 전력이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공급되는 제2전력상태로 이행시키며,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16. 삭제
  17. 청구항 15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18. 삭제
KR1020120057129A 2011-06-01 2012-05-30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1530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3476 2011-06-01
JP2011123476A JP6025307B2 (ja) 2011-06-01 2011-06-01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059A KR20120135059A (ko) 2012-12-12
KR101530556B1 true KR101530556B1 (ko) 2015-06-22

Family

ID=4646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129A KR101530556B1 (ko) 2011-06-01 2012-05-30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842318B2 (ko)
EP (1) EP2530529B1 (ko)
JP (1) JP6025307B2 (ko)
KR (1) KR101530556B1 (ko)
CN (1) CN1028112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5786A (ja) * 2012-09-11 2014-04-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49741B2 (ja) 2013-11-29 2017-12-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WO2017078709A1 (en) * 2015-11-04 2017-05-11 Intel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small form factor system in package archite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5106A (ja) * 2004-05-25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KR100554196B1 (ko) * 2005-11-22 2006-02-24 김동현 네트워크 프린터의 문서 출력 방법
US20070240159A1 (en) * 2006-04-10 2007-10-11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647B1 (ko) 1998-07-30 2002-01-15 윤종용 웨이크 온 랜신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파워 제어방법및 그 장치
JP2003248580A (ja) * 2002-02-22 2003-09-05 Seiko Epson Corp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4250396B2 (ja) * 2002-10-08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71598B2 (ja) * 2006-01-19 2012-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起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14329B2 (ja) * 2009-03-31 2014-02-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87494B2 (ja) * 2009-05-20 2013-09-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5106A (ja) * 2004-05-25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KR100554196B1 (ko) * 2005-11-22 2006-02-24 김동현 네트워크 프린터의 문서 출력 방법
US20070240159A1 (en) * 2006-04-10 2007-10-11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45218B2 (en) 2016-01-26
CN102811295A (zh) 2012-12-05
US20120307285A1 (en) 2012-12-06
JP2012252454A (ja) 2012-12-20
EP2530529B1 (en) 2020-12-23
US20150022858A1 (en) 2015-01-22
KR20120135059A (ko) 2012-12-12
EP2530529A2 (en) 2012-12-05
JP6025307B2 (ja) 2016-11-16
EP2530529A3 (en) 2017-08-23
US8842318B2 (en) 2014-09-23
CN102811295B (zh)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7501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5262498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0032916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530556B1 (ko)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JP200602152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509809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US888519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power-saving control
JP2006217075A (ja) 画像処理装置
JP529898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25377A (ja) 画像処理装置
JP2015152846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電源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86893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1097171A (ja) 情報機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47494B2 (ja) 画像形成装置、電源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01064A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174269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47643A (ja) 画像形成装置の省電力および待機モードの状態遷移方法
JP2013111755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180342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1245081A (ja) 省エネ機能を有する画像処理装置
JP2003255767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422051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902971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57832A (ja) ジョブ処理方法
JP200505297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