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706B1 -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706B1
KR101529706B1 KR1020080138143A KR20080138143A KR101529706B1 KR 101529706 B1 KR101529706 B1 KR 101529706B1 KR 1020080138143 A KR1020080138143 A KR 1020080138143A KR 20080138143 A KR20080138143 A KR 20080138143A KR 101529706 B1 KR101529706 B1 KR 101529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elastomer resin
polyester ela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9609A (ko
Inventor
김진훈
박성근
박은하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706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2Phenols containing keto groups, e.g. benzophen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 C08K5/23Azo-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및 지방산 금속염을 포함하는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은 500 시간 이상의 자외선 조사 후에도 80% 이상의 물성이 유지되고 특히 색상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부품 등의 내, 외장재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힌더드 페놀, 열안정제,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논,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 지방산 금속염, 내후성, 색상안정성

Description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Polyester elastomer resin composition having high weatherability}
본 발명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및 지방산 금속염을 포함하는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던 탄성체 재료는 주로 가황 고무로서 천연상태나 인위적인 합성에 의해 제조된 저점도의 고무 원료를 가황에 의해 성형한 것으로, 유연성 및 탄성 회복력은 우수하나 복잡한 성형 공정, 불량한 안정성 및 열경화성으로 인한 재활용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종류의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주요 개발예로는 스티렌 형태, 우레탄 형태, 올레핀 형태, 아미드 형태, 에스테르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에스테르 형태의 열가소성 탄성체는 에스테르 형태의 체인 구조를 가지는 열가소성 탄성체로서 유연성, 탄성회복력,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가황 공정 없이 일반적인 열가소성 탄성체의 성형 공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각종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에스테르 형태의 열가소성 탄성체는 내후성이 부족하여 외장재 제품에는 그 적용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이유는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글리콜의 축합에 의하여 이루어진 하드 세그먼트 부분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소프트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형태인데,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 부분이 빛에 대한 안정성이 좋지 않고 인장력을 받을 경우 소프트 세그먼트에 응력이 집중되며 외력 제거시 회복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결정 영역이 부족하여 기계적 강도, 탄성회복력 등의 물리적 특성이 열악하고 또한 공기 중의 산소, 오존, 자외선 등에 의하여 열화, 착색, 표면 균열 등이 일어나는 등 내후 안정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외선 흡수제나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등의 여러 종류의 내후제의 배합에 의하여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의 내후성을 향상시키려는 방법이 제안된바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4,185,003호에는 힌다드 아민계 광안정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랜덤공중합체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힌다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첨가량이 전체 중량의 2%를 초과하는 경우 성형이 어렵고 만족할만한 물성저하 방지 효과를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본특허공고 소52-22774호에는 치환된 모노 페놀류나 알킬리덴비스알 킬페놀 등과 폴리페놀류의 페놀계 화합물을 소량 첨가하여 열과 빛에 대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성형시 물성변화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특허공개 소57-115448호에는 스티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그라프트 공중합시킨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랜덤공중합체에 대해 개시되어 있고, 일본특허공개 소59-152951호에는 결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락톤류를 반응시킨 중합체에 에폭시 화합물과 열안정제를 배합시킴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랜덤공중합체의 경우 충분히 열안정성 및 빛에 대한 안정성에 대한 내후성을 얻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었다.
미국특허 제6,534,585 및 제6,573,317에는 내후성향상을 위한 메커니즘을 소개하여 장기내후성 향상을 개선하였으나,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이 밖에도 국내공개특허 10-2006-0037631에는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 보다 구체적으로 광안정제를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내후성이 향상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상기 미국특허의 내후 메커니즘과 매우 유사하며, 오직 광안정제 조성의 배합에 따른 물성향상에 관하여만 기술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탄성체 수지에 있어서 500 시간 이상의 자외선 조사 조건에서도 물성 유지력이 우수하고 색상 변화가 적은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와 더불어 지방산 금속염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조성물의 물리적 물성을 자외선 장기 체류 조건에서도 높은 정도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색상안정성도 우수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및 지방산 금속염을 포함하는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은 500 시간 이상의 자외선 조사 조건에서도 물성 유지력이 우수하고 색상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이러한 물성 및 색상 유지 요건이 필요한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부품 등의 내장재 제품 뿐만 아니라 외장재 제품으로 적용될 수도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에어백 커버, 자동차 튜브류 및 케이블류, 주택용 루핑(roofing) 부직포,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한 의자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및 지방산 금속염을 포함하는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각 성분의 함량은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 0.05-0.5 중량부,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0.1-2.0 중량부,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0.1-2.0 중량부 및 지방산 금속염 0.01-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한 각 성분의 함량은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 0.1-0.3 중량부,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0.3-1.0 중량부,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0.3-1.0 중량부 및 지방산 금속염 0.1-0.9 중량부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는 화학식 1의 경질 세그먼트와 화학식 2의 연질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90984361-pat00001
상기 식에서 D는 C2-C8의 포화지방족 디올 및 사이클릭 디올의 단독 또는 2개의 이상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에서 2개의 히드록시기가 제거된 라디칼을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90984361-pat00002
상기 식에서 G는 분자량이 400-4,000인 폴리에테르 글리콜 단독 또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에서 2개의 히드록시기가 제거된 라디칼이며, R은 분자량 500 이하의 지방족, 방향족 및 사이클릭 디카르복실산 단독 또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에서 2개의 카르복실기가 제거된 라디칼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는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또는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Pentaerythritol Tet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는 그 함량이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0.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3 중량부이다. 상기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의 함량이 0.1 미만이면 발현하려면 물성을 얻기가 매우 어려우며, 0.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가격 경쟁력에 있어 매우 불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는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및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 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는 그 함량이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1.0 중량부이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이 0.3 중량부 미만이면 발현하려면 물성을 얻기가 매우 어려우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물성 면에서 매우 불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는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디부틸 아민-1,3,5-트리아진-N,N’-비 스(2,2,6,6-테트라 메틸-4-피페리질-1,6-헥사메틸렌 디아민과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질)부틸아민의 중축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는 그 함량이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1.0 중량부이다. 0.3 중량부 미만이면 발현하려면 물성을 얻기가 매우 어려우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표면 및 가스발생으로 인하여 물성 면에서 매우 불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방산 금속염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및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와 함께 사용되어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의 변색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인장강도 및 인장신도 특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지방산 금속염은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112008090984361-pat00003
상기 식에서 M은 알칼리 금속을 가리키며, 바람직하게는 Li, Na, K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K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3의 지방산 금속염은 조성물 내에서 제품 가공시에 변색을 완화시키고 광분해 반응에 취약한 연질 세그먼트에서 일어나는 분해반응이 이웃 세그먼트로 전이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3의 지방산 금속염은 그 함량이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9 중량부이다. 상기 지방산 금속염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발현하려는 물성을 얻기가 매우 어려우며, 0.9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황변으로 인한 색상 변화값(E)이 지나치게 높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은 상기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및 지방산 금속염 이외에도 통상의 내열제, 내후제, 안료, 염료, 대전방지제, 도전성 첨가제, 무기 충진재, 난연제, 상용화제, 포착제, 핵제, 형광 증백제, 내충격제 등의 각종 첨가제와 다른 종류의 열가소성 탄성체 및 각종 플라스틱들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은 500 시간이상 자외선을 조사하더라도 물성 유지율이 높고 색상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이러한 물성 유지 요건이 필요한 성형품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부품 등의 내장재 및 외장재로 적용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에어백 커버, 자동차 튜브류 및 케이블류, 주택용 루핑(roofing) 부직포,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한 의자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150℃~ 240℃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를 이용해 1차 원료 투입구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표면경도가 쇼어(shore) 55D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탄성체 수지(주식회사 코오롱 KOPEL KP3355H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안정제(Pentaerythritol Tet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CIBA사 제품) 0.1 중량부, 자외선 흡수제(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CIBA사 제품) 0.6 중량부,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디부틸 아민-1,3,5-트리아진-N,N'비스(2,2,6,6-테트라 메틸-4-피페리질-1,6-헥사메틸렌) 디아민, CYTEC사 제품) 0.6 중량부, 화학식 3에서 M이 칼륨인 지방산 금속염(동양제철화학 제품) 0.5 중량부를 혼합한 뒤 열용융 혼련공정을 통해 수지를 제조한 다음, 80℃에서 6시간 동안 제습형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한 후 170~240℃로 가열된 스크류식 사출기를 사용하여 ASTM 규격시편 및 내후성 평가용 시험편을 제작, 색상변화 및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2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
표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의 조성을 달리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각 예의 평가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 성
A B C D
실시예1 0.1 0.3 0.4 0.3
실시예2 0.1 0.6 0.6 0.5
실시예3 0.1 0.9 0.8 0.8
비교예1 0.1 0 0.5 0.1
비교예2 0.1 0.5 0 0.5
비교예3 0.1 0.8 0.8 0
물성 평가 방법
(1) 인장강도
인장강도 평가방법은 ASTM D638에 의거하여 인장강도 측정용 1/8인치 덤벨 시편을 제작 후, 초기 물성값을 측정하고, 동일한 인장강도 시편을 Xenon광원, 블랙판넬온도 89 ± 3℃, 조내습도 50 ± 5%RH, 조사조도 60~100W/m2(300~400nm)에 준수하여500시간 동안 방치된 덤벨 시편을 측정속도 200mm/분으로 측정하며 그때의 인장강도 값을 평가 기준으로 정한다. 단위는 ㎏/㎠이다.
(2) 신도
신도 평가방법은 상기 인장강도 평가방법과 동일하게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 이다.
(3) 내후성
사출성형으로 제작된 내후성 평가용 시험편을 ISO-105 규정에 따라 내후성평가 조건은 Xenon광원, 블랙판넬온도 89 ± 3℃, 조내습도 50 ± 5%RH, 조사조도 60~100W/m2(300~400nm)에 준수하여 500시간 동안 실시하였으며 이때 내후성의 등급은 ΔE 값으로 나타낸다. 내후성 등급은 500시간 측정시, ΔE값이 5를 초과일 경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탄성체 수지는 공기 중의 산소, 오존 및 자외선 등의 작용에 의해 열화, 착색, 표면의 균열이 일어나 시각적으로 변색의 정도가 심하여 검정계열 이외의 제품에는 적용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내후성 등급 ΔE=5미만을 만족해야 한다.

UV 500시간 측정 후 ΔE 물성유지율
인장강도(%)
물성유지율
인장신도(%)
비고
실시예1 4.80 90 85
실시예2 3.85 80 80
실시예3 4.25 85 85
비교예1 12.24 55 45 색상변화, 물성저하
비교예2 10.65 50 40 색상변화,
물성저하
비교예3 8.65 70 65 색상변화,
물성저하
상기 인장강도 및 인장신도의 물성유지율은 자외선 500 시간 조사 전후의 값을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위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실시예 1-3)은 내후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및 지방산 금속염을 함께 포함하는 조성으로서 500 시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한 후의 물성유지율을 80%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고 색상(황색도) 변화 정도도 낮게 유지되었으나, 본원발명의 조성과 다른 조성을 사용한 경우(비교예 1-3)에 있어서는 충분한 물성 유지율을 얻을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색상 변화 정도도 매우 큰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은 내후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 0.05-0.5 중량부;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0.1-2.0 중량부;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0.1-2.0 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지방산 금속염 0.01-1.5 중량부;
    를 포함하는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112015005770087-pat00007
    (상기 식에서 M은 알칼리 금속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 0.1-0.3 중량부,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0.3-1.0 중량부,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0.3-1.0 중량부 및 지방산 금속염 0.1-0.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가 화학식 1의 경질 세그먼트와 화학식 2의 연질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90984361-pat00004
    (상기 식에서 D는 C2-C8의 포화지방족 디올 및 사이클릭 디올의 단독 또는 2개의 이상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에서 2개의 히드록시기가 제거된 라디칼임)
    <화학식 2>
    Figure 112008090984361-pat00005
    (상기 식에서 G는 분자량이 400-4,000인 폴리에테르 글리콜 단독 또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에서 2개의 히드록시기가 제거된 라디칼이며, R은 분자량 500 이하의 지방족, 방향족 및 사이클릭 디카르복실산 단독 또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에서 2개의 카르복실기가 제거된 라디칼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가 Pentaerythritol Tet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가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및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 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가 디부틸 아민-1,3,5-트리아진-N,N’-비스(2,2,6,6-테트라 메틸-4-피페리질-1,6-헥사메틸렌 디아민과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질)부틸아민의 중축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이 Li, Na 또는 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10.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이 자동차 부품 또는 전기전자부품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080138143A 2008-12-31 2008-12-31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KR101529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143A KR101529706B1 (ko) 2008-12-31 2008-12-31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143A KR101529706B1 (ko) 2008-12-31 2008-12-31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609A KR20100079609A (ko) 2010-07-08
KR101529706B1 true KR101529706B1 (ko) 2015-06-29

Family

ID=4264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143A KR101529706B1 (ko) 2008-12-31 2008-12-31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602B1 (ko) * 2010-12-29 2014-08-21 제일모직주식회사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663B1 (ko) * 1995-12-30 1999-11-15 구광시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수지조성물
KR100606175B1 (ko) * 2004-04-23 2006-08-01 주식회사 케이티피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8501054A (ja) * 2004-05-28 2008-01-17 トータル・ペトロケミカルズ・リサーチ・フエリユイ 回転成形でのポリエーテルエステルの使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663B1 (ko) * 1995-12-30 1999-11-15 구광시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수지조성물
KR100606175B1 (ko) * 2004-04-23 2006-08-01 주식회사 케이티피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8501054A (ja) * 2004-05-28 2008-01-17 トータル・ペトロケミカルズ・リサーチ・フエリユイ 回転成形でのポリエーテルエステルの使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609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16067A (zh) 一种改性耐候聚丙烯材料
US20090054572A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 Molded or Formed Therefrom
JP5252518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Bhowmick et al. Thermal, UV-and sunlight ageing of thermoplastic elastomeric natural rubber-polyethylene blends
KR100836363B1 (ko)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JP2007045952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被覆電線
KR20100121131A (ko) 소광특성 및 내열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529706B1 (ko)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US9150724B2 (en)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KR101157161B1 (ko) 가스켓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드럼식 세탁기 도어 밀폐용 가스켓 및 상기 가스켓을 구비한 드럼식 세탁기
KR101276454B1 (ko)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5298544A (en) Non-halog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composition
KR100966220B1 (ko) 마찰계수가 낮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Jana et al. Accelerated hygrothermal and UV aging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s
JP7241665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H0228620B2 (ko)
KR101851198B1 (ko) 투습방수 원단
CN106398199A (zh) 一种pa6/as基树脂合金及其制备方法
JP2000103917A (ja) 耐候性ゴム組成物
KR10021424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529705B1 (ko) 고내열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CN114605624B (zh) 一种聚合型光稳定剂以及制备与应用
KR101357176B1 (ko)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JP2005247982A (ja) 芳香族アミド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
JP2011162634A (ja) 高分子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