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363B1 -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363B1
KR100836363B1 KR1020070069778A KR20070069778A KR100836363B1 KR 100836363 B1 KR100836363 B1 KR 100836363B1 KR 1020070069778 A KR1020070069778 A KR 1020070069778A KR 20070069778 A KR20070069778 A KR 20070069778A KR 100836363 B1 KR100836363 B1 KR 100836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tetramethyl
butyl
poly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범
이춘수
김성룡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로 이를 자동차용 루프랙 커버에 적용하는 경우 별도의 표면도장 없이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내후성

Description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Polycarbonate alloy resin composition improved weatherability}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조성을 구성함으로서 종래에 비해 별도의 도장없이도 자동차용 루프랙 커버에 적용하기 적당한 내후성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내열성과 강도, 치수안정성, 특히 충격강도 및 투명도 등의 우수한 물성을 지닌 수지이다. 그리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고, 특히 결정화 속도가 빨라 성형가공성이 우수하여 사출 성형용으로 열경화성 수지, 금속 대체제 등으로 각광받고 있어 자동차, 전기, 전자 산업 분야에 많이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내화학성 및 내광성 등이 부족하여 이 특성이 요구되는 분야의 소재로 쓰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 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상용성이 없지만, 고온과 고압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카보네이트 결합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에스테르 결합의 직접 반응인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이루어져 어느정도 상용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그 에스테르 교환반응으로 인해 생성된 코폴리머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계면 사이에 존재하면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결정화도를 떨어뜨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 성질인 내화학성, 전기절연성 및 기계적 물성을 약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에스테르 교환반응으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스페이트나 아미드기를 함유한 고분자 등의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에스테르화를 억제시키고 있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조성물은 자동차용 루프랙 커버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바, 최근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변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소재에 도장 처리를 추가하여 대응하고 있으나, 이로 인해 소재 적용이 제한되고 있으므로 개선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변색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해 내후성을 개선하는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발명은 내후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광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내후성이 우수함은 물론 성형시 소재 표면의 광택을 저감시킨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루프랙 커버 무도장재로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도장없이 사용 가능한 새로운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혼합하고, 여기에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를 배합하여 내후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혼합물에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를 첨가함으로서 내후성이 크게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지조성물에 추가로 소광제를 첨가 하게 되면 소재 표면의 광택을 저감시킨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내후성이 크게 개선되고 필요시 광택도 저감시켜서 기존 도장 소재였던 자동차용 루프랙 커버 소재를 무도장 사 양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 ∼ 75중량%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25 ∼ 40 중량%을 함유한 수지성분 100 중량부;
페놀계 산화방지제 20 ∼ 80 중량비와 인산계 산화방지제 20 ∼ 80 중량비가 혼합된 산화방지제 0.1 ∼ 1 중량부 ; 및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아민계 광안정제 0.1 ∼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루프랙 커버 무도장용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혼합된 수지성분에, 첨가제로 산화방지제와, 자외선 흡수제 또는 광안정제를 일정량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필요 시 여기에 추가로 소광제를 사용하여 표면광택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내후성이 우수하여 별도의 표면도장이 필요없이도 자동차용 루프랙 커버용으로 적용하기 매우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혼합조성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 ∼ 75 중량%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25 ∼ 40 중량%을 함유한 수 지 혼합물이 바람직한 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중량% 미만 시 자동차용 루프랙 커버 소재로 적용되기에는 내충격성이 부족하며, 75 중량% 초과 시 경제적 효율성이 저하된다. 이와 동시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25 중량% 미만 시에는 내약품성과 성형성이 떨어지고, 40 중량% 초과 시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카보네이트 결합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에스테르결합 간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자주 발생되며 이로 인해 생성된 코폴리머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계면사이에 존재하면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결정화도를 떨어뜨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 성질인 내화학성, 전기절연성 및 기계적 물성을 약화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와, 자외선 흡수제 또는 광안정제를 각각 0.1 ∼ 1 중량부로 첨가한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사용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압출이나 사출 등과 같은 가공 시 필요로 하는 높은 온도로 인한 산화로 변색하기 쉽고, 1중량부 초과이면 경제적 효율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산화방지제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인산계 산화방지제를 20 ∼ 80 중량비 : 20 ∼ 80 중량비 범위로 혼합 사용하며, 바람직하기로는 50 : 50 중량비로 혼합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사용량이 20 중량비 미만이면 압출이나 사출 가공시 요구되는 높은 온도로 인한 변색 발생될 수 있고 80 중량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첨가제의 잉여로 인한 소재의 물성 저하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산화방지제인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2차 산화방지제인 인산계 산화방지제를 병용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공기 중에서 뿐만 아니라, 가공 시에도 산화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 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 N,N'-헥사메틸렌 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록시안아미드),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비스(3-(3,5-디-테트라-부틸-4-하이드록시펜틸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티오디에틸렌 비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산계 산화방지제는 비스-(2,4-디-t-부틸페놀) 펜타에리쓰리톨 디포스파이트 또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페이트을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페놀계와 인산계의 산화방지제가 혼합되어 있는 제품이 상품화되어 출시되고 있는 바, 본 발명은 이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제품은 구체적으로Ciba 社의 Irganox B 1171, Irganox B 1411, Irganox B 1412, Irganox B 215, Irganox B 220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사용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300 ∼ 450 μm의 파장역을 흡수하고 빛의 에너지를 영향을 주지 않는 레벨로 저하시키지 못해 자외선에 의한 열화 반응을 초래할 수 있으며, 1중량부 초과이면 블루밍(Blooming)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로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벤조트라이아졸계의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2,4-디-t-부틸-6-(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2-일) 페놀, 2-(2'-하이드록시-5'-옥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2-(2'-하이드록시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di-tert-아밀)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N-벤조트리아조-2-일)페놀],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실-페놀, 및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안정제의 사용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라디칼 포착능력이 저하되어 열안정화에 유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1 중량부 초과이면 블루밍(Blooming)등의 문제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자외선 흡수제와 병용 상승효과가 저하된다. 이러한 광안정제는 입체장애 아민계 광안정제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구체적으로 폴리[[6-[(1,1,3,3-테트라에틸부틸)아미노]-1,3,5-트라이아진-2,4-다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1,6-헥산딜[(2,2,6,6-테트라메틸 -4-피페리디닐)이미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N-메틸-2,2,6,6-테트라메틸-s-피페리딜] 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2-(3,5-디-tert-부틸-4-하리드록시벤질)-2-n-부틸 말로네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s-피페리딜)-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트리데시)-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트리데실)-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β,β,β',β'-테트라메틸-3,9-[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디메틸}-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β,β,β',β'-테트라메틸-3,9-[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디메틸}-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및 숙신산 디메틸-1-(2-하이드록시에틸)-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성형 시 표면광택을 저감시키기 위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추가로 소광제를1 ∼ 5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는 바, 상기 소광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자동차용 루프랙 커버 소재로 적용하기에 부적합한 광택효과를 보이며,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제적 효율성과 다른 물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소광제로는 구체적으로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바이사이클로[2,2,2]-oct-7-ene-2,3,5,6-테트라카르복실릭 디언하이드라이드, Exo-3,6-에폭시-1,2,3,6-테트라하이드로 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릭 디언하이드라이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 디언하이드라이드, 1,4,5,8 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릭-디언하이드라이드 및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릭 디언하이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혼합하는 방법은 예컨데 이축 압출기를 이용 한 통상의 혼련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융 혼련시 온도 조건은 250 ∼ 270 ℃ 가 바람직한데, 250 ℃ 미만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충분히 용융되지 않아 균일하게 섞이지 않을 수 있으며, 높은 전단응력에 의해 사슬이 절단되어 물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고 270 ℃ 초과에서는 수지가 열분해 되어 물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으며, 용융 혼련시 조성물의 열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체류 시간은 최소화 하는 것이 좋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제조시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한 물성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지 혼합물을100 ∼ 200 rpm 회전 속도로 용융 혼련시켜 제조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가장 큰 특징은 내후성을 강화하여 각종 성형물로 내후조건에서 사용할 경우 별도의 도장 없이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필요시 소광제를 첨가하면 소재 표면 광택을 저감시킨 자동차용 루프랙 커버용 무도장재로서 사용하기 적당하다.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 중량%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30 중량% 를 혼합하였다. 이후에 혼합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인 N,N'-헥사메틸렌 비스(3,5-di-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안아미드)와 인산계 산화방지제인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를 각각 50 대 50 중량비로 0.5중량부를 투입하였고, 소광제인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를 이축 압출기에서 260 ℃에서 150 rpm 회전 속도로 용융 및 혼련시켜 최종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 중량%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30 중량%를 혼합하였다. 이후에 혼합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인산계 산화방지제의 혼합형 산화방지제인 Irganox B 1171(Ciba 社) 0.5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소광제인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를 이축 압출기에서 260 ℃에서 150 rpm 회전 속도로 용융 및 혼련시켜 최종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 5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 중량%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30 중량%를 혼합하였다. 그리고 난 뒤에 혼합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 이트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 흡수제 중 2,4-디-t-부틸-6-(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2-일) 페놀 (3-1), 2-(2'-하이드록시-5'-옥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3-2),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3-3),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 (3-4) 및 (3-3)과 (3-4)를 50 : 50 중량비로 혼합한 자외선 흡수제(3-5) 각각을 0.5 중량부와 광안정제인 폴리[[6-[(1,1,3,3-테트라에틸부틸)아미노]-1,3,5-트라이아진-2,4-다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1,6-헥산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 0.5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소광제인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드 공중합체 3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를 이축 압출기에서 260 ℃에서 150 rpm 회전 속도로 용융 및 혼련시켜 최종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 중량%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30 중량%를 혼합하였다. 이후에 혼합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인 N,N'-헥사메틸렌 비스(3,5-di-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아미드)와 인산계 산화방지제인 트리스(2,4-di-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를 각각 50 : 50 중량비로 혼합하여 0.5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여기에 자외선 흡수제 중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0.5 중량부와 광안정제인 폴리[[6-[(1,1,3,3-테트라에틸부틸)아미노]-1,3,5-트라이 아진-2,4-다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1,6-헥산딜[(2,2,6,6-테트라메틸 -4-피페리디닐)이미노]]) 0.5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소광제인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를 이축 압출기에서 260 ℃에서 150 rpm 회전 속도로 용융 및 혼련시켜 최종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 중량%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30 중량%를 혼합하였다. 이후에 혼합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인산계 산화방지제의 혼합형 산화방지제인 Irganox B 1171(Ciba 社) 0.5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여기에 자외선 흡수제 중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0.5 중량부와 광안정제인 폴리[[6-[(1,1,3,3-테트라에틸부틸)아미노]-1,3,5-트라이아진-2,4-다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1,6-헥산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 0.5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소광제인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를 이축 압출기에서 260 ℃에서 150 rpm 회전 속도로 용융 및 혼련시켜 최종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 중량%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30 중량%를 혼합하였고, 이를 이축 압출기에서 260 ℃에서 150 rpm 회전 속도로 용융 및 혼련시켜 최종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 중량%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30 중량%를 혼합하였다. 이후에 혼합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인 N,N'-헥사메틸렌 비스(3,5-di-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아미드)와 인산계 산화방지제인 트리스(2,4-di-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를 각각 50 대 50 중량비로 혼합하여 0.05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소광제인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를 이축 압출기에서 260 ℃에서 150 rpm 회전 속도로 용융 및 혼련시켜 최종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 중량%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30 중량%를 혼합하였다. 이후에 혼합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인산계 산화방지제의 혼합형 산화방지제인 Irganox B 1171(Ciba 社) 0.05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소광제인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를 이축 압출기에서 260 ℃에서 150 rpm 회전 속도로 용융 및 혼련시켜 최종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비교예 4-1 ∼ 5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 중량%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30 중량%를 혼합하였다. 이후에 혼합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 흡수제 중 2,4-디-t-부틸-6-(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2-일) 페놀 (4-1), 2-(2'-하이드록시-5'-옥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4-2),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4-3),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 (4-4) 및 (4-3)과 (4-4)를 50 : 50중량비로 혼합한 자외선 흡수제(4-5)를 각각 0.05 중량부와 광안정제인 폴리[[6-[(1,1,3,3-테트라에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다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1,6-헥산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 0.05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소광제인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를 이축 압출기에서 260 ℃에서 150 rpm 회전 속도로 용융 및 혼련시켜 최종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비교예 5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 중량%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30 중량% 를 혼합하였다. 이후에 혼합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인 N,N'-헥사메틸렌 비스(3,5-di-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안아미드)와 인산계 산화방지제인 트리스(2,4-di-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를 각각 50 : 50 중량비로 혼합하여 0.05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여기에 자외선 흡수제 중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0.05 중량부와 광안정제인 폴리[[6-[(1,1,3,3-테트라에틸부틸)아미노]-1,3,5-트라이아진-2,4-다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1,6-헥산딜[(2,2,6,6-테트라메틸 -4-피페리디닐)이미노]]) 0.5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소광제인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를 이축 압출기에서 260 ℃에서 150 rpm 회전 속도로 용융 및 혼련시켜 최종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비교예 6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 중량%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30 중량%를 혼합하였다. 이후에 혼합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인산계 산화방지제의 혼합형 산화방지제인 Irganox B 1171(Ciba 社) 0.05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여기에 자외선 흡수제 중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0.05 중량부와 광안정제인 폴리[[6-[(1,1,3,3-테트라에틸부틸)아미노]-1,3,5-트라이아진-2,4-다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1,6-헥산딜[(2,2,6,6-테트라메틸-4- 피페리디닐)이미노]]) 0.5중량부를 투입하였고, 소광제인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를 이축 압출기에서 260 ℃에서 150 rpm 회전 속도로 용융 및 혼련시켜 최종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 5와 비교예 1 ∼ 6에서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조성물에 대해 각각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1. 인장특성 측정방법
ASTM D 638에 의거하여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실시하였으며,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및 신율(Elongation at Break) 값을 측정하였다.
2. 굴곡특성 측정방법
ASTM D 790 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만능시험기를 사용, 굴곡강도 (Flexural Strength), 굴곡탄성율 (Flexural Modulus)을 측정하였다.
3. 충격강도 측정방법
ASTM D 256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아이조드 충격기를 사용, 충격강도(Impact Strength)를 측정하였다.
4. 열변형 온도 측정방법
ASTM D 648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18.5 kg 하중을 가하여 열변형 온도 (Heat Distortion Temperature)를 측정하였다.
5. 색차 측정 방법
JIS D 0205 (자동차 부품의 내후성 시험 통칙)에 따라 SUNSHINE WEATHER-O-METER를 사용하여 1200시간 조사(照射)한 시편의 시험 전후를 색차계로 측정하여 색차를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실시예 3-4 실시예 3-5 실시예 4 실시예 5
인장강도 (kgf/cm2) 538 535 540 545 540 540 543 540 539
신율 (%)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굴곡강도 (kgf/cm2) 780 785 810 812 811 805 820 790 788
굴곡탄성율 (kgf/cm2) 19500 19500 22000 22300 22000 22000 22800 19800 19900
충격강도 (kgf cm/cm) 45 48 48 45 46 44 48 46 45
열변형온도 (℃) 110 110 113 115 112 113 115 100 100
색 차 (△E) 2.90 2.92 1.80 1.80 1.88 1.89 1.56 2.53 2.40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1 비교예 4-2 비교예 4-3 비교예 4-4 비교예 4-5 비교예 5 비교예 6
인장강도 (kgf/cm2) 528 525 530 535 537 535 539 538 530 535
신율 (%)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굴곡강도 (kgf/cm2) 750 760 755 780 778 775 790 790 750 755
굴곡탄성율 (kgf/cm2) 19000 19000 19500 20000 20300 20100 20400 20600 19000 19900
충격강도 (kgf cm/cm) 42 44 41 42 42 44 44 44 43 45
열변형온도 (℃) 110 110 110 113 115 112 113 112 100 100
색 차 (△E) 5.8 4.90 4.94 3.83 3.81 3.78 3.88 3.52 4.53 4.40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 5 는 인장강도, 신율, 굴곡강도, 굴곡탄성율, 충격강도, 열변형 온도 등의 물성은 비교예 1 ∼ 6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나, 내후성을 확인하는 색차의 경우 실시예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산화방지제 만을 첨가한 조성물(실시예 1 ∼ 2)은 가공 시 생성된 라디칼에 의한 가교 반응으로 물성의 변질은 없었으나, 색차를 비교할 경우 제품 적용 시 필요한 내후성은 다소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자외선 흡수제와 광안정제를 첨가한 조성물(실시예 3)은 내후성이 다른 소재에 비해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외선 흡수제와 광안정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서 발휘될 수 있는 상승효과에 기한다. 그리고 산화방지제뿐만 아니라, 자외선 흡수제와 광안정제를 모두 첨가한 조성물(실시예 4 ∼ 5)은 색차 결과 산화방지제만을 넣은 경우보다 내후성이 다소 미비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광안정제를 병용하였을 경우 퀴논(quinine)체가 생성되어 수지 착색을 촉진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Claims (7)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 ∼ 75 중량%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25 ∼ 40 중량%을 함유한 수지성분 100 중량부;
    페놀계 산화방지제 20 ∼ 80 중량비와 인산계 산화방지제 20 ∼ 80 중량비가 혼합된 산화방지제 0.1 ∼ 1 중량부; 및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아민계 광안정제 0.1 ∼ 1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루프랙 커버 무도장용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소광제 1 ∼ 5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루프랙 커버 무도장용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N,N'-헥사메틸렌 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록시안아미드),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비스(3-(3,5-디-테트라-부틸-4-하이드록시펜틸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티오디에틸렌 비스[3-(3,5-디-t-부틸-4-하이드록 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루프랙 커버 무도장용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계 산화방지제는 비스-(2,4-디-t-부틸페놀) 펜타에리쓰리톨 디포스파이트 또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루프랙 커버 무도장용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트라이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는 2,4-디-t-부틸-6-(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2-일) 페놀, 2-(2'-하이드록시-5'- 옥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2-(2'-하이드록시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di-tert -아밀)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N-벤조트리아조-2-일)페놀],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실-페놀, 및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루프랙 커버 무도장용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안정제는 폴리[[6-[(1,1,3,3-테트라에틸부틸)아미노]-1,3,5-트라이아진-2,4-다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1,6-헥산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이미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N-메틸-2,2,6,6-테트라메틸-s-피페리딜] 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2-(3,5-디-tert-부틸-4-하리드록시벤질)-2-n-부틸 말로네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s-피페리딜)-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트리데시)-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트리데실)-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β,β,β',β'-테트라메틸-3,9-[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디메틸}-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β,β,β',β'-테트라메틸-3,9-[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디메틸}-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및 숙신산 디메틸-1-(2-하이드록시에틸)-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루프랙 커버 무도장용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제는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바이사이클로[2,2,2]-oct-7-ene-2,3,5,6-테트라카르복실릭 디언하이드라이드, Exo-3,6-에폭시-1,2,3,6-테트라하이드로 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릭 디언하이드라이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 디언하이드라이드, 1,4,5,8 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릭-디언하이드라이드 및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릭 디언하이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루프랙 커버 무도장용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1020070069778A 2007-07-11 2007-07-11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100836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778A KR100836363B1 (ko) 2007-07-11 2007-07-11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778A KR100836363B1 (ko) 2007-07-11 2007-07-11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363B1 true KR100836363B1 (ko) 2008-06-09

Family

ID=39770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778A KR100836363B1 (ko) 2007-07-11 2007-07-11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36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461B1 (ko) * 2009-05-08 2014-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광특성 및 내열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WO2015002428A1 (ko) * 2013-07-01 2015-01-08 (주)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60105666A (ko) 2015-02-27 2016-09-07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20049914A (ko) 2020-10-15 2022-04-22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단열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복층판
KR102415670B1 (ko) 2021-12-28 2022-07-05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내후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복층골판
KR20220100500A (ko)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폴리카보네이트 골판
WO2022182137A1 (ko) * 2021-02-26 2022-09-0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22207787A1 (en) * 2021-04-01 2022-10-06 Basf Se Stabilizer mixture
KR20230165158A (ko)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복층골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1841A (ja) * 1995-02-23 1996-09-10 Denki Kagaku Kogyo Kk 滞留熱安定性に優れ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621209B2 (ja) * 1987-08-25 1997-06-1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254813B1 (ko) * 1997-08-27 2000-05-01 정몽규 폴리에스테르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US6989190B2 (en) 2000-10-17 2006-01-24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parent polycarbonate polyester composition and process
KR100680338B1 (ko) * 2005-12-07 2007-0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저광택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694981B1 (ko) * 2005-12-12 2007-03-14 제일모직주식회사 고충격, 고내피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계 얼로이수지 조성물
KR20070072372A (ko) * 2005-12-29 2007-07-04 제일모직주식회사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1209B2 (ja) * 1987-08-25 1997-06-1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8231841A (ja) * 1995-02-23 1996-09-10 Denki Kagaku Kogyo Kk 滞留熱安定性に優れ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54813B1 (ko) * 1997-08-27 2000-05-01 정몽규 폴리에스테르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US6989190B2 (en) 2000-10-17 2006-01-24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parent polycarbonate polyester composition and process
KR100680338B1 (ko) * 2005-12-07 2007-0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저광택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694981B1 (ko) * 2005-12-12 2007-03-14 제일모직주식회사 고충격, 고내피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계 얼로이수지 조성물
KR20070072372A (ko) * 2005-12-29 2007-07-04 제일모직주식회사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461B1 (ko) * 2009-05-08 2014-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광특성 및 내열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WO2015002428A1 (ko) * 2013-07-01 2015-01-08 (주)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N104603201A (zh) * 2013-07-01 2015-05-06 Lg化学株式会社 聚碳酸酯树脂组合物
US9688843B2 (en) 2013-07-01 2017-06-27 Lg Chem,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KR20160105666A (ko) 2015-02-27 2016-09-07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20049914A (ko) 2020-10-15 2022-04-22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단열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복층판
KR20220100500A (ko)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폴리카보네이트 골판
WO2022182137A1 (ko) * 2021-02-26 2022-09-0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22207787A1 (en) * 2021-04-01 2022-10-06 Basf Se Stabilizer mixture
KR102415670B1 (ko) 2021-12-28 2022-07-05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내후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복층골판
KR20230165158A (ko)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복층골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363B1 (ko)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JP6586339B2 (ja) 樹脂組成物
CN114539675A (zh) 稳定的树脂组合物
GB2373507A (en) Flame retardant polyolefin composition
JP2014141616A (ja) 樹脂組成物
KR101777275B1 (ko) 합성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외장재
KR101602750B1 (ko) 합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자동차 내외장재
KR20100123743A (ko) 내후성이 개선된 목질계 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JP6689715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体、並びにそれを含む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709455A (zh) Uv和热稳定的阻燃玻璃填充的聚合物组合物和由其制成的增强制品
WO2002100970A1 (fr) Composition d'absorbeur uv et composition de resine stabilisee au moyen de la composition
KR20210134919A (ko) 장기적인 색상 성능을 위한 청정화된 폴리프로필렌
US9150724B2 (en)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JP2006290961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EP1384749B1 (en) Ultraviolet absorber for synthetic resin and synthe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20200224100A1 (en) Composition and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CN110741446A (zh) 电缆绝缘体
TW202108749A (zh) 防火聚合物組合物及由其製備之物品
KR20110065848A (ko)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417114B1 (ko)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클레이 나노복합재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020133A1 (ja) フェノール化合物、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成形体
CN114144464A (zh) 稳定剂组合物
KR20190139476A (ko)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432602B1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2002012720A (ja) 金型汚染性に優れる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