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429B1 -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 - Google Patents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429B1
KR101527429B1 KR1020140109985A KR20140109985A KR101527429B1 KR 101527429 B1 KR101527429 B1 KR 101527429B1 KR 1020140109985 A KR1020140109985 A KR 1020140109985A KR 20140109985 A KR20140109985 A KR 20140109985A KR 101527429 B1 KR101527429 B1 KR 101527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connection
tie member
member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희
Original Assignee
임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희 filed Critical 임경희
Priority to KR1020140109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429B1/ko
Priority to CN201580045053.8A priority patent/CN106572714A/zh
Priority to PCT/KR2015/008785 priority patent/WO20160281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2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attached by thread not visible to the front
    • A44B1/24Eye-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면에 보여지는 제1 대검부(110)와, 상기 제1 대검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목에 걸리는 부분인 제1 중검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중검부(120)의 단부에 제1 연결부(230, 234, 238, 244)을 구비하는 제1 넥타이 부재(100, 200); 및 정면에 드리워지는 제2 대검부(110') 및 제2 중검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중검부(120')에는 상기 제1 연결부(230, 234, 238, 244)와 탈부착하는 제2 연결부(232, 236, 242, 246)를 구비하는 제2 넥타이 부재(100', 20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에 따르면, 정면에 보여지는 제1 대검부와, 제1 대검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목에 걸리는 부분인 제1 중검부를 구비하고, 제1 중검부의 단부에 제1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 넥타이 부재 및 정면에 드리워지는 제2 대검부 및 제2 중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중검부에는 제1 연결부와 탈부착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 넥타이 부재로 구성되어, 2개 내지 4개 디자인의 넥타이를 매듭법에 따라 연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넥타이 부재 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일측의 넥타이 부재가 오염되거나 훼손되어도 일측의 넥타이 부재를 탈착시키고 다른 넥타이 부재를 타측의 넥타이 부재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넥타이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DETACHABLE NECKTIE HAVING DOUBLE STRUCTUE}
본 발명은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호 탈부착할 수 있는 2개의 넥타이를 기호에 따라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necktie)란, 목 또는 깃 둘레에 감고 여분을 앞부분에 늘어뜨리는 띠나 끈 모양의 장식용 부속품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넥타이는 넥(neck)과 타이(tie)의 복합어이며, 이를 약칭하여 타이라고도 한다. 넥타이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액세서리(accessary)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남성복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드레스 셔츠(dress shirt, 와이셔츠라고도 함)의 깃 부분에 매어 장식하는 것으로 정장을 입을 때 주로 사용되어 액세서리 역할을 하는 것이며, 점차 시대의 흐름에 따라 화이트칼라 종사자(white-collar worker)가 늘어나면서 넥타이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그 모양이나 장식, 소재 등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넥타이의 소재는 대개 비단, 합성섬유, 모, 피혁, 사란(saran) 등이고, 제조방법에 의하여 직물 타이, 염색 타이, 편물 타이 등으로 나뉜다. 또한, 모양에 따라서도 스카프 상태의 애스컷 타이(ascot tie), 끈 상태의 웨이스터 타이(waister tie), 장식 맺기 풍의 나비 타이(bow tie), 그리고 보편적인 띠 형태의 타이 등으로 분류된다.
보편적인 띠 형태의 넥타이의 매듭 방법은 프레스식, 원저 노트식(Windsor knot), 에스콰이어식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넥타이는 남성의 중요한 패션 소품일 뿐만 아니라 남성 정장의 유일한 액세서리이므로 남성 패션에 있어서는 중용한 위치를 차지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띠형 넥타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띠 형태의 넥타이는 착용하였을 때 앞으로 드리워지는 대검부(4), 넥타이 매듭을 매듭지으면 사용자의 목을 감싸게 되는 중검부(5) 및 매듭을 짓게 되면 대검부(4)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소검부(6)로 이루어진다.
또는, 넥타이를 기능적으로 분류하면, 머리부, 연결부 및 꼬리부로 분류하기도 하며, 머리부는 장식부와 매듭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9-0005193호에서는 넥타이 중 머리부와 연결부의 일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연결부 일측에 결합면을 형성한 넥타이 부재(1, 1')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넥타이 부재(1, 1')를 하나로 연결하여 일체로 구성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넥타이 부재(1, 1')는 결합면을 서로 연결하는 결합부(2)를 갖고, 넥타이 부재(1, 1')의 앞면(11, 11')이 같은 방향으로 보이게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취향에 맞게 또는 넥타이 훼손에 대비하여 2개의 디자인의 넥타이를 구비한 효과가 있는 넥타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넥타이 부재(1, 1')를 하나로 연결함으로써, 넥타이 부재(1, 1')의 일측에 훼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는 훼손이 발생하지 않은 타측만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결과 넥타이 부재(1, 1')가 모두 손상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2개의 디자인의 넥타이 중 선택하여 원하는 넥타이를 사용할 수 있지만, 2개 디자인의 넥타이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정면에 보여지는 제1 대검부와, 제1 대검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목에 걸리는 부분인 제1 중검부를 구비하고, 제1 중검부의 단부에 제1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 넥타이 부재 및 정면에 드리워지는 제2 대검부 및 제2 중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중검부에는 제1 연결부와 탈부착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 넥타이 부재로 구성되어, 2개 내지 4개 디자인의 넥타이를 매듭법에 따라 연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넥타이 부재 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일측의 넥타이 부재가 오염되거나 훼손되어도 일측의 넥타이 부재를 탈착시키고 다른 넥타이 부재를 타측의 넥타이 부재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넥타이 사용이 가능한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는,
정면에 보여지는 제1 대검부(110)와, 상기 제1 대검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목에 걸리는 부분인 제1 중검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중검부(120)의 단부에 제1 연결부(230, 234, 238, 244)를 구비하는 제1 넥타이 부재(100, 200); 및
정면에 드리워지는 제2 대검부(110') 및 제2 중검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중검부(120')에는 상기 제1 연결부(230, 234, 238, 244)와 탈부착하는 제2 연결부(232, 236, 242, 246)를 구비하는 제2 넥타이 부재(100', 20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230)는 부착된 다수의 단추(312)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부(232)는 상기 다수의 단추(312)에 대응하여 결합하는 다수의 단춧구멍(31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234)와 제2 연결부(236)는,
각각 대응하는 벨크로(234, 236)를 구비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연결부(238)는 다수의 단추(322) 및 단춧구멍(324)으로 이루어지고, 제2 연결부(242)는 상기 다수의 단추(322) 및 상기 단춧구멍(324)에 각각 대응하여 결합하는 다수의 단춧구멍(328) 및 단추(326)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244)는 갈고리형 벨크로 및 고리형 벨크로가 조합된 제1 벨크로열(33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246)는 상기 제1 벨크로열(332)에 각각 대응하여 결합하는 제2 벨크로열(33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넥타이 부재(200) 및 상기 제2 넥타이 부재(200')의 후면도 장식으로 사용 가능한 양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에 따르면, 정면에 보여지는 제1 대검부와, 제1 대검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목에 걸리는 부분인 제1 중검부를 구비하고, 제1 중검부의 단부에 제1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 넥타이 부재 및 정면에 드리워지는 제2 대검부 및 제2 중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중검부에는 제1 연결부와 탈부착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 넥타이 부재로 구성되어, 2개 내지 4개 디자인의 넥타이를 매듭법에 따라 연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넥타이 부재 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일측의 넥타이 부재가 오염되거나 훼손되어도 일측의 넥타이 부재를 탈착시키고 다른 넥타이 부재를 타측의 넥타이 부재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넥타이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띠형 넥타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넥타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이중구조 넥타이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이중구조 넥타이 부재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이중구조 넥타이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이중구조 넥타이 부재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이중구조 넥타이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이중구조 넥타이 부재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 3에는 제1 넥타이 부재(100)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된 넥타이 부재 2개를 연결하여 넥타이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연결되는 2개의 넥타이 부재 중 일측의 넥타이 부재를 제1 넥타이 부재(100)로 칭하고, 타측에 연결되는 넥타이 부재(100')를 제2 넥타이 부재로 칭하기로 한다.
제1 넥타이 부재(100)와 제2 넥타이 부재(100')는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넥타이 부재(100)는 넥타이를 매면 정면으로 보여지도록 정면에 보여지는 대검부(110), 대검부(110)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목에 걸리는 부분인 중검부(120) 및 상기 중검부(120)의 단부에 고정되어 형성된 제1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제2 넥타이 부재(100')는 상기 제1 넥타이 부재(100)의 대검부(110)와 중검부(120)의 구성은 동일하며, 제1 연결부(130)에 대응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130')가 중검부(120')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제1 넥타이 부재(100) 및 제2 넥타이 부재(100')의 각각의 중검부(120, 120')는 그 길이에 있어서 일반적인 띠 형태의 넥타이 길이의 절반 정도일 수 있다. 즉, 제1 넥타이 부재(100)의 중검부(120)와 제2 넥타이 부재(100')의 중검부(120')를 연결한 상태에서 일반적인 띠 넥타이의 중검부의 길이와 비슷한 길이가 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넥타이 부재(100, 100')를 상호 연결하면, 띠 형태의 넥타이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는 소검부가 없이 2개의 대검부(110, 110')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넥타이 부재(100)와 제2 넥타이 부재(100')를 연결 시에 제1 넥타이 부재(100)의 앞면과 제2 넥타이 부재(100')의 앞면을 반드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제1 넥타이 부재(100)의 앞면과 제2 넥타이 부재(100')의 뒷면을 연결하여도 무관하다. 넥타이 부재(100, 100')를 연결한 이후, 넥타이 매듭 시에 원하는 앞면이 사용자의 정면으로 드리워지도록 매듭지으면 된다. 예컨대, 제1 넥타이 부재(100)의 앞면이 사용자의 정면으로 드리워지게 되면, 제2 넥타이 부재(100')의 대검부(110')는 제1 넥타이 부재(100)에 가려지게 되므로, 제2 넥타이 부재(100')의 앞면이 정면으로 나오거나 뒷면이 정면으로 나와도 무관하다.
그러나, 소검부(120, 120')가 전면으로 드러나도록 하거나, 또는 소검부(120, 120')가 더 길게 뒤에 늘어지도록 하는 연출을 하는 매듭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일 평면상에 각각의 넥타이 부재(100, 100')의 앞면을 배치하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당업자가 주지하는 바와 같이 내측에는 넥타이 부재(100, 10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울과 폴리에스터 등의 재질로 넥타이 모양으로 형성된 심지가 내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이중구조 넥타이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이중구조 넥타이 부재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넥타이 부재(200, 200')를 결합하여 넥타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다음과 같은 재봉법을 이용하여 넥타이 부재(200, 200')를 양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넥타이 부재(200)와 제2 넥타이 부재(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넥타이 부재(200, 200')의 재봉법을 달리하여 양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음과 같은 재봉법을 이용하여 양면 넥타이를 구성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제1 및 제2 넥타이 부재(200, 200')가 각각 2개의 디자인을 갖도록 하기 위한 재봉법은 양면으로 각각의 문양을 갖는 2개의 천을 잇대어 대검부(210, 210')에서부터 중검부(220, 220')의 모든 측면을 따라 재봉하는 것이다. 양면으로 구성된 넥타이 부재들(200, 200')은 각각의 앞면의 대검부(210, 210') 및 뒷면의 대검부(210, 210') 모두 고유의 디자인된 문양을 갖는다.
즉 양면을 모두 액세서리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넥타이 부재(200, 200')가 된다. 이와 같은 양면의 넥타이 부재(200, 200')의 내측에는 넥타이 부재(200, 20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울과 폴리에스터 등의 심지가 내장될 수 있다.
전술한 양면의 넥타이 부재들(200, 200') 간을 연결부(230)를 통해 탈착가능하도록 결합하면, 작게는 2개에서부터 많게는 4개까지의 넥타이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게 되며, 매듭법에 따라서는 더욱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예컨대 뒤로 보여지는 대검부(210, 210')를 길게 늘이고 앞에 보여지는 대검부(210, 210')를 짧게 하는 연출법을 사용하게 되면, 8가지의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넥타이 부재들(200, 200')을 양면으로 구성하면 모두 4가지 디자인의 넥타이를 하나의 넥타이에 갖게 되며, 각 4가지 넥타이를 사용자의 정면에 배치하는 일반적인 매듭법을 채택하게 되면, 4가지의 디자인의 넥타이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디자인을 조합하여 정면으로 보여지는 넥타이를 짧게 하고 뒷면으로 보여지는 넥타이를 길게 하는 언밸런스 형태로 구성하게 되면 8가지의 넥타이를 표현할 수 있게 되어 모두 12가지 디자인의 넥타이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넥타이 표출법에 있어서, 매듭법을 달리하는 연출에 대해서는 매듭법에 따라 수없이 많은 경우의 수가 가능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연결부(230)는 다양한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넥타이 부재(200, 200') 간을 연결한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230)는 다수의 고정된 단추들(3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314)는 단추들(312)에 대응하여 결합하는 단춧구멍들(314)을 구비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로 제1 연결부(230)는 다수의 단춧구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232)는 다수의 단춧구멍에 대응하여 결합하는 고정된 다수의 단추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추(312)와 단춧구멍(314)을 결합하여 2개의 넥타이 부재들(100, 100', 200, 200') 간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234)와 제2 연결부(236)를 각각 벨크로를 사용하여 결합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1 연결부(234)와 제2 연결부(236)를 대응하는 벨크로를 사용하여 탈부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부(234)는 갈고리형의 벨크로(316)를 사용하고, 제2 연결부(236)는 고리형 벨크로(318)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로 제1 연결부(234)는 고리형 벨크로를 사용하고, 제2 연결부(236)는 갈고리형 벨크로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230)와 제2 연결부(232)는, 각각 다수의 단추(312) 및 단춧구멍(314)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1 연결부(230)와 제2 연결부(232)는 상이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예컨대, 단추(312)와 단추 구멍(314)은 각각 암수 구조를 가지게 되며, 따라서, 단추(312)와 단추(312)의 구조를 가진 넥타이 부재들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호 연결할 수 없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춧구멍(314)과 단춧구멍(314)을 가진 넥타이 부재들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상호 연결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각각의 연결부가 동일한 구조의 벨크로(316, 318 중 어느 하나)인 경우면, 상호 결합할 수 없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238) 및 제2 연결부(242)의 구조에 모두 암수의 구조를 모두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떤 상황에서도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예컨대, 제1 연결부(238)의 단추(322)와 제2 연결부(242)의 단추 구멍(328)을 연결할 수도 있다. 제1 연결부(238)의 단춧구멍(324)과 제2 연결부(242)의 단추(326)를 연결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연결부(238)의 단추(322)와 제2 연결부(242)의 단춧구멍(328)을 연결하고, 제1 연결부(238)의 단춧구멍(324)과 제2 연결부(242)의 단추(326)를 모두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각각의 연결부(244, 246) 간을 벨크로(332, 334)를 사용하여 탈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수단(244)에 갈고리형 벨크로와 고리형 벨크로가 가로 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나란하게 한 쌍 이상 형성되도록 한 제1 벨크로열(332)을 생성하고, 대응하여 제2 연결수단(334)에도 갈고리형 벨크로와 고리형 벨크로가 한 쌍 이상 대응하여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제2 벨크로열(334)를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넥타이 부재(100, 100', 200, 200')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부(332, 224)가 고리형 벨크로인지 또는 갈고리형 벨크로인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어떤 넥타이 부재(100, 100', 200, 200')라도 상호 결합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벨크로열(332, 334)를 양측면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또는 단추들(322, 326)을 양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하는 면을 결합하여 원하는 디자인의 대검부가 정면으로 늘어지도록 연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단추와 단춧구멍으로 결합하거나, 벨크로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이외의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단추에는 스냅단추, 갈고리단추 등도 대응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연결부를 고무자석 형태로 구성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고무자석의 경우에는 자력을 가진 가루를 고무에 섞어 제조한 것으로서 암수(또는 NS)의 구조가 아니므로 극성에 상관없이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연결부(230, 234)와 제2 연결부(232, 236)는 각각 맞물리도록 구성된 지퍼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지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연결부(230, 234)와 제2 연결부(232, 236)가 접촉하는 면적이 짧아, 지퍼를 체결한 이후 지퍼의 고리를 고정시켜 탈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는 기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일측은 통공의 상부에 홈을 구비하고 타측은 통공에 결합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는 홈에 결합되는 고리를 형성하여 상호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 200, 200': 넥타이 부재
110, 110': 대검부 120, 120': 중검부
130, 230, 232, 234, 236, 238, 242, 244, 246: 연결부
312, 322, 326: 단추 314, 324, 328: 단춧구멍
316, 318, 322, 324: 벨크로

Claims (6)

  1. 정면에 보여지는 제1 대검부(210)와, 상기 제1 대검부(210)에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에 걸리는 부분인 제1 중검부(2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중검부(220)의 단부에 제1 연결부(238)를 구비하는 제1 넥타이 부재(200); 및
    상기 제1 넥타이 부재(200)와 분리 구성되며, 정면에 드리워지는 제2 대검부(210′)와, 상기 제2 대검부(210′)에 연장되는 제2 중검부(220′)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중검부(220′)에는 상기 제1 연결부(238)와 탈부착하는 제2 연결부(242)를 구비하는 제2 넥타이 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넥타이 부재(200, 200′)는,
    전면과 후면에 장식으로 사용이 가능한 고유 디자인 문양이 형성된 양면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 연결부(238)는 제1 중검부(220)의 단부에 단추(322)와 단춧구멍(324)이 순차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부(238)와 체결되는 제2 연결부(242)는 제2 중검부(220′)의 단부에 제1 연결부(238)의 역순으로 단춧구멍(328)과 단추(326)가 순차로 배치되어 각각 대응 결합을 통해 체결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 연결부(238) 및 제2 연결부(242)는 체결을 위한 고무 자석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09985A 2014-08-22 2014-08-22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 KR101527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985A KR101527429B1 (ko) 2014-08-22 2014-08-22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
CN201580045053.8A CN106572714A (zh) 2014-08-22 2015-08-21 可拆装式双重结构领带
PCT/KR2015/008785 WO2016028127A1 (ko) 2014-08-22 2015-08-21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985A KR101527429B1 (ko) 2014-08-22 2014-08-22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429B1 true KR101527429B1 (ko) 2015-06-10

Family

ID=5350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985A KR101527429B1 (ko) 2014-08-22 2014-08-22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27429B1 (ko)
CN (1) CN106572714A (ko)
WO (1) WO20160281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764A (ko) *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이센스 넥타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43390A (ja) * 2019-03-05 2020-09-10 福田 陽介 ネクタ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418U (ja) * 1993-01-19 1994-08-19 小林 淳一 ネクタイ構造
JPH0665419U (ja) * 1993-02-19 1994-09-16 株式会社ユニマック ネクタイ
JPH0728916U (ja) * 1992-07-24 1995-05-30 マンテロ セタ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ユニット式ネクタイ
KR20100067790A (ko) * 2008-12-12 2010-06-22 윤시태 리본, 레이스, 열매, 나뭇잎을 연출하는 양면넥타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873A (ko) * 2000-06-15 2001-12-22 송경애 착탈식 넥타이 및 그 착용방법
CN2466937Y (zh) * 2000-07-06 2001-12-26 董水荣 双头领带
KR200450666Y1 (ko) * 2009-04-29 2010-10-20 박대열 이중 넥타이
CN202907863U (zh) * 2012-09-25 2013-05-01 嵊州市四明领带服饰有限公司 一种四面领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916U (ja) * 1992-07-24 1995-05-30 マンテロ セタ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ユニット式ネクタイ
JPH0659418U (ja) * 1993-01-19 1994-08-19 小林 淳一 ネクタイ構造
JPH0665419U (ja) * 1993-02-19 1994-09-16 株式会社ユニマック ネクタイ
KR20100067790A (ko) * 2008-12-12 2010-06-22 윤시태 리본, 레이스, 열매, 나뭇잎을 연출하는 양면넥타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764A (ko) *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이센스 넥타이
KR102161609B1 (ko) * 2018-09-17 2020-10-05 주식회사 이센스 넥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8127A1 (ko) 2016-02-25
CN106572714A (zh)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9848B1 (en) Belt sleeve system and method
US8931116B2 (en) Pre-knotted adjustable necktie
US10278439B2 (en) Variable bowtie system and method
US20150289577A1 (en) Convertible scarf
KR101602204B1 (ko)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한복 저고리
KR101527429B1 (ko) 탈부착형 이중 구조 넥타이
US20140366243A1 (en) Multi-part bow ties
US9060552B2 (en) Garment construction
KR200435873Y1 (ko)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US20050191438A1 (en) Attachable and removable pompon structure
JP4526569B2 (ja) 新しい衣服用ピース
JP3221053U (ja) 着物用半衿
JP3187104U (ja) スカーフ
JP3212514U (ja) ゆかた
KR20080000070U (ko) 1회용 셔츠 칼라와 소매
JP2009007714A (ja) 首巻き
EP3515223A1 (en) Variable bowtie system and method
JP3104828U (ja) スカートのパーツの組み替え
JP2003155613A (ja) ネクタイ
JP3214998U (ja) 後紐に柄を形成した袴
JP3124559U (ja) 複数のボタンを備えたボタンホール
JP3189873U (ja) 意匠クリップと意匠紐によるアクセサリー
JP3120437U (ja) ガウン
JP3206835U (ja) 和装要素
CN102406239B (zh) 一种领扣、领带条与衬衫组合的服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