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873Y1 -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873Y1
KR200435873Y1 KR2020060026531U KR20060026531U KR200435873Y1 KR 200435873 Y1 KR200435873 Y1 KR 200435873Y1 KR 2020060026531 U KR2020060026531 U KR 2020060026531U KR 20060026531 U KR20060026531 U KR 20060026531U KR 200435873 Y1 KR200435873 Y1 KR 200435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ength
garment
hem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열
Original Assignee
오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열 filed Critical 오창열
Priority to KR2020060026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8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8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02Convertible garments in their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Abstract

본 고안은 밑단을 재단하거나 박음질을 하여 의복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그 단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며, 단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단추, 고리결합 단추, 벨크로 테이프, 및 똑닥이 단추가 의복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악세사리로서 기능하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의복는, 의복의 허리단과 밑단 사이에는 상호 체결 가능한 단추, 및 단추 홀이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단추와 단추 홀은 상호 교번되게 배치되어 이웃하는 것 끼리 상호 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단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의복, 단추, 고리결합 단추, 벨크로 테이프, 똑닥이 단추

Description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Length controlled Garments}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추와 단추 홀의 결합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단추가 의복의 단 내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단의 최종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단추가 의복의 단의 외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단의 접힌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리결합 단추의 외형 및 결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고리결합 단추에 의해 변형된 의복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9는 벨크로 테이프가 결합하여 단의 길이를 감소시킨 일 예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허리 단 5 : 옆선
10, 20, 30, 40, 50, 60 : 단
11 ∼ 18 : 단추 21 ∼ 28 : 단추 홀
31 ∼ 34, 41 ∼ 44 : 고리결합 단추
31a, 32a : 단추 머리 31b : 단추 끈
51 ∼ 56 : 벨크로 테이프
본 고안은,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로 길이를 수선하지 않고도 의복의 길이를 자유로이 가변 가능한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시판되는 의복들은 그 치수에 따라 기장의 길이 등이 대략 정해진다. 예를 들어 허리둘레가 큰 바지의 경우 기장도 그만큼 길게 만들어지며, 반대의 경우 기장의 길이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허리둘레는 크더라도 다리길이가 짧은 경우, 또는 허리 둘레는 가늘더라도 다리길이는 긴 체형의 구매자는 자신의 체형에 적합한 바지를 찾기가 쉽지 않다. 또한, 바지 길이와는 상관없이 개인적인 패션 취향에 따라 바지를 올려 입거나 길이를 가감하는 경우가 많다.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바지를 접어서 바짓단의 내 측면이 외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박음질을 하거나 바짓단의 밑단을 재단하여 기장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바지의 기장은 감소시킬 수 있으나 한 번 재단된 밑단은 다시 늘릴 수 없으며, 박음질을 한 경우 박음질 된 실을 다시 뜯어내는 일이 용이하지 않다. 더욱이 박음질 된 부위는 실의 자국이 남아 실을 뜯어낸다 하더라도 외관의 손상을 피하기 어렵다.
또한 상의의 경우에도 팔 소매 부분을 걷거나 길이를 조절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고정되지 아니하거나 별도로 재단을 해야하고, 허리부분의 경우에도 벨트를 사용하면 허리치수가 큰 하의의 경우에는 바지가 물결모양으로 접혀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밑단을 재단하거나 박음질을 하지 않으면서도 단의 길이를 조절하되, 의복의 외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의 길이를 똑닥이 단추, 벨크로 테이프, 및 고리결합 단추를 통해 조절하며, 똑닥이 단추, 벨크로 테이프, 및 고리결합 단추를 단의 옆선에 배치하여 미려한 외관을 갖는 의복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의복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허리 단과 밑단 사이의 단에는 상호 체결 가능한 단추, 및 단추 홀이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상기 단추와 상기 단추 홀은 상호 교번되게 배치되어 이웃하는 것 끼리 상호 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짓단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단추와 상기 단추 홀은, 상기 단의 외 측면, 및 내 측면 중 어느 일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단의 양 옆선에 마련되며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의복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허리 단과 밑단 사이의 단에는 똑닥이 단추가 적어도 둘 배치되며, 상기 똑닥이 단추는 암 수가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교대로 배열되는 암 수 똑닥이 단추는 각각 이웃하는 것과 체결되어 상기 단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의복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허리 단과 밑단 사이의 단에 상호 고리 결합이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고리결합 단추가 마련되며, 상기 고리결합 단추는, 단추 머리, 및 이웃하는 고리결합 단추의 단추 머리와 고리 결합되는 단추 끈을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고리결합 단추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의복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단추 머리는, 상기 단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된 단추 머리는 이웃하는 단추 끈에 의해 견인되어 상기 길이를 감소시킨다.
상기 고리결합 단추는, 상기 단의 외 측면, 및 내 측면 중 어느 일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추와 단추 끈은, 상기 단의 양 옆선에 마련되며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의복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허리 단과 밑단 사이의 단에는, 벨크로 테이프의 루프 테이프, 및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 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루프 테이프와 상기 후크 테이프는 상호 교번되게 배치되며, 상기 루프 테이프와 상기 후크 테이프는 각각 이웃하는 후크 테이프와 루프 테이프와 결합하여 상기 단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루프 테이프와 후크 테이프는 상기 의복의 단의 옆선에 부착되는 형태, 및 상기 단을 둘러싸는 벨트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의복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팔소매단과 어깨단 사이의 단에는 상호 체결 가능한 단추, 및 단추 홀이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상기 단추와 상기 단추 홀은 상호 교번되게 배치되어 이웃하는 것 끼리 상호 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의복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허리 단 일측에는 상기 허리단의 둘레방향으로 상호 체결 가능한 단추, 및 단추 홀이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상기 단추와 상기 단추 홀은 상호 교번되게 배치되어 이웃하는 것 끼리 상호 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허리 단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의복의 단은 바지의 경우 허리 단과 밑단을 제외한 바지가랑이 전체를 가리키며, 상의의 경우 팔소매단과 어깨단 사이의 팔 부분 전체를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을 나타낸다.
도시된 의복의 옆선(5)에는 단추(11 ∼ 18), 및 단추(11 ∼ 18)와 체결되는 단추 홀(21 ∼ 28)이 교번되게 배열된다. 단추(11 ∼ 18)와 단추 홀(21 ∼ 28)은 교대로 반복되는 형태를 가지며, 이웃하는 단추(예컨대 참조부호 11)와 단추 홀(예컨대 참조부호 21)이 도 2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추(예컨대 11)와, 단추(예컨대 11)가 단추 홀(예컨대 21)과 단추 결합 시, 단추(예컨대 11)와 단추(예컨대 11)를 지지하는 천(11a)은 단추 홀(예컨대 21) 방향으로 견인되어 단(10)의 길이를 감소시키게 된다. 여기서, 단추(11 ∼ 18)는 바짓단(10)의 외 측면, 또는 내 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단추(11 ∼ 18)와 단추 홀(21 ∼ 28)의 배열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도면에는 허리 단(2)에서 밑단 방향으로 단추 홀(21 ∼ 28)과 단추(11 ∼ 18)가 교대로 배열되고 있으나, 허리 단(2)에서 밑단 방향으로 단추(11 ∼ 18)와 단추 홀(21 ∼ 28)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단(20)의 단추(15 ∼ 18)와 단추 홀(25 ∼ 28)도 단(10)에 배열된 단추(11 ∼ 14), 및 단추 홀(21 ∼ 24)과 동일한 순서의 배열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단추(11 ∼ 18)와 단추 홀(21 ∼ 28)을 각각 돌기 단추와 결합 단추로 대체하여 단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똑닥이 단추는 돌기를 구비하는 돌기 단추와 돌기와 결합되는 결합 홈을 구비하는 결합 단추를 한 조로 하여 구성되며, 돌기 단추와 결합 단추가 교대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똑닥이 단추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형상과 결합 방법이 익히 알려져 있는 바, 도면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단추가 단의 내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단의 최종 형상을 나타내며, 도 4는 단추가 단의 외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단의 최종 접힌 형상을 나타낸다.
먼저, 단추(11 ∼ 18)가 단(10, 20)의 내 측면에 마련되는 경우, 단(10, 20)의 내 측면에 숨어있던 단추가 단추 홀(21 ∼ 28)을 통해 외 측면으로 돌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10, 20)은 단추(11 ∼ 18)가 단(10, 20)에 박힌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형상은 청바지나 면바지에 장식물을 부착하는 현재의 트랜드에 부합할 수 있다. 도면에서 단(10, 20)은 허리 단(2)에서 밑단 방향으로 단추 홀(예컨대 21)이 먼저 배치되고 단추(예컨대 11)가 이어서 배치되므로 단(10, 20)는 허리 단(2) 방향의 가랑이 폭이 넓고 밑단 방향의 폭이 좁아지게 된다. 반대의 경우, 단(10, 20)은 단추(11 ∼ 18)와 단추 홀(21 ∼ 28)이 결합되는 부분이 계단 형상을 지니면서 허리 단(2)에서 밑단 방향으로 갈수록 단의 폭이 넓어지는 형상(예컨대 나팔바지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는 단추(11 ∼ 18)가 단(10, 20)의 외 측면에 마련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단추(11 ∼ 18)와 단추 홀(21 ∼ 28)이 결합되는 경우 단(10, 20)은 단추(11 ∼ 18)와 단추 홀(21 ∼ 28)이 결합하는 곳마다 층을 이루게 된다. 물론 제1실시예에는 의복의 옆선(3) 방향에만 단추(11 ∼ 18)와 단추 홀(21 ∼ 28)이 배치된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단(10, 20)이 안정적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옆선(5)의 맞은편에도 동일한 패턴의 단추(미도시), 및 단추 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을 나타낸다.
도시된 도면는, 단추 끈을 통해 이웃하는 단추 머리와 고리 결합되어 단(30, 40)의 길이를 가변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바짓단의 옆선(5)에는 단(30, 40)에 고정 결합되는 단추 머리와, 단추 머리와 결합되는 단추 끈을 한 조로 하는 고리 결합 단추(31 ∼ 34, 41 ∼ 44)가 배열된다. 고리결합 단추(31 ∼ 34, 41 ∼ 44)는 도면에 도시된 단(30, 40)의 옆선(5) 이외에 전면이나 후면에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리결합 단추(31 ∼ 34, 41 ∼ 44)의 외형 및 결합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하,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결합 단추(31 ∼ 34, 41 ∼ 44)는 단추 머리(32a), 및 단추 끈(32b)을 한 조로 하여 구성되며, 단추 끈(32b)은 단추 머리(32a)에 고정된다. 이때, 단추 끈(32b)은 단추 머리(32a)와 천이 연결되는 부위에 함께 결합 되거나 단추 머리(32a) 근처에 박음질 될 수 있다. 단추 끈(32b)을 이웃하는 단추 머리(31a)에 걸면 단추 머리(32a)를 지지하는 천이 단추 머리(31a) 방향으로 견인되는 효과를 얻는다. 단(30, 40)의 길이를 줄이는 정도에 비례하여 고리결합 단추(31 ∼ 34, 41 ∼ 44)가 모두 체결되거나 부분 체결될 수 있다. 고리결합 단추(31 ∼ 34, 41 ∼ 44)가 모두 체결되면 고리결합 단추(31 ∼ 34, 41 ∼ 44)는 이웃하여 배열되며, 그 형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 서, 본 실시예에 나타난 고리결합 단추(31 ∼ 34, 41 ∼ 44)는 바짓단(30, 40)의 외 측면 이외에 내 측면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고리결합 단추(31 ∼ 34, 41 ∼ 44)의 체결 방식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을 나타낸다.
도시된 의복은 단(50, 60)에 벨크로 테이프를 장착하며, 이를 이용하여 단(50, 6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벨크로 테이프는 통상 "찍찍이"라는 별칭으로 널리 통용되며, 천 재질의 루프 테이프와 루프 테이프와 고리 결합되는 후크 테이프를 한 조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51, 52, 53은 아래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루프 테이프와 후크 테이프의 배열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1) 51, 52, 53을 각각 루프 테이프, 후크 테이프, 및 루프 테이프의 순으로 배열하는 방법.
2) 51, 52, 53을 각각 후크 테이프, 루프 테이프, 및 후크 테이프의 순으로 배열하는 방법.
3) 51, 52, 53을 각각 후크 테이프, 루프 테이프, 및 루프 테이프의 순으로 배열하는 방법.
4) 51, 52, 53을 각각 루프 테이프, 루프 테이프, 및 후크 테이프의 순으로 배열하는 방법.
여기서, 1)과 2)의 방법은 상호 이웃하는 후프 테이프와 루프 테이프가 결합 되어 단(50, 60)의 길이를 줄이는 방법이며, 3)과 4)의 방법은 기준이 디는 후크 테이프가 단(50, 60)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루프 테이프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예컨대, 4)의 경우, 후크 테이프(53)가 루프 테이프(51, 52)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만일, 단(50, 60)의 길이를 크게 줄이고자 한다면 후크 테이프(53)를 루프 테이프(51)와 결합하며, 반대의 경우 후크 테이프(53)를 루프 테이프(52)와 결합할 수 있다. 이는 단(60)에 마련되는 벨크로 테이프(61 ∼ 63)에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된다. 도 9는 벨크로 테이프(51 ∼ 53, 61 ∼ 63)가 결합하여 단(50, 60)의 길이를 감소시킨 일 예를 나타낸다. 단(50, 60)의 길이를 줄인 후, 단(50, 60)는 줄무늬 바지의 형상을 가지며, 벨크로 테이프(51 ∼ 53, 61 ∼ 63)에 의해 접힌 부분은 단(50, 60)의 돌출부가 되는 바, 밑단 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가해지는 느낌을 받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단(50, 60)이 허리 단(2)에서 밑단 방향으로 점차 확장되는 기존의 나팔바지가 나타내던 것으로, 본 고안은 단(50, 60)의 밑단 방향을 점차로 확장하지 않으면서도 이와 유사한 효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 의복은 하의에 기준을 두어 설명하였으나, 상의의 경우에 있어서도 그 팔소매단과 어깨단 사이의 단에는 상호 체결 가능한 단추, 및 단추 홀이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상기 단추와 상기 단추 홀은 상호 교번되게 배치되어 이웃하는 것끼리 상호 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팔소매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절되게 하고, 팔을 일단 걷은 후에 걷은 상태에서 고정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미도시). 여기에 전술한 바와 같은 똑딱이 단추, 벨크로를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 다.
아울러, 의복의 허리부분에 그 둘레방향으로 위와 같은 배치규칙을 따라 단추를 배치할 수 있는데, 상기 단추와 상기 단추 홀은 상호 교번되게 배치되어 이웃하는 것 끼리 상호 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허리 단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별도의 벨트를 구비하지 않고 바지 또는 치마 등을 착용할 수 있으며, 외관상 미려한 느낌도 갖도록 할 수 있다(미도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밑단을 재단하거나 박음질을 하여 의복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단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단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단추, 고리결합 단추, 벨크로 테이프, 및 똑닥이 단추가 바지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악세사리로서 기능할 수 있다.

Claims (11)

  1. 의복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허리 단과 밑단 사이의 단에는 상호 체결 가능한 단추, 및 단추 홀이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상기 단추와 상기 단추 홀은 상호 교번되게 배치되어 이웃하는 것 끼리 상호 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와 상기 단추 홀은,
    상기 단의 외 측면, 및 내 측면 중 어느 일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단의 양 옆선에 마련되며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3. 의복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허리 단과 밑단 사이의 단에는 똑닥이 단추가 적어도 둘 배치되며,
    상기 똑닥이 단추는 암 수가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교대로 배열되는 암 수 똑닥이 단추는 각각 이웃하는 것과 체결되어 상 기 단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4. 의복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허리 단과 밑단 사이의 단에 상호 고리 결합이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고리결합 단추가 마련되며,
    상기 고리결합 단추는,
    단추 머리; 및
    이웃하는 고리결합 단추의 단추 머리와 고리 결합되는 단추 끈;을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고리결합 단추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의복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 머리는,
    상기 단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된 단추 머리는 이웃하는 단추 끈에 의해 견인되어 상기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결합 단추는,
    상기 단의 외 측면, 및 내 측면 중 어느 일 측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 머리와 단추 끈은,
    상기 단의 양 옆선에 마련되며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8. 의복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허리 단과 밑단 사이의 단에는,
    벨크로 테이프의 루프 테이프; 및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 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루프 테이프와 상기 후크 테이프는 상호 교번되게 배치되며,
    상기 루프 테이프와 상기 후크 테이프는 각각 이웃하는 후크 테이프와 루프 테이프와 결합하여 상기 단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테이프와 후크 테이프는 상기 단의 옆선에 부착되는 형태, 및 상기 단을 둘러싸는 벨트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10. 의복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팔소매단과 어깨단 사이의 단에는 상호 체결 가능한 단추, 및 단추 홀이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상기 단추와 상기 단추 홀은 상호 교번되게 배치되어 이웃하는 것 끼리 상호 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11. 의복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허리 단 일측에는 상기 허리단의 둘레방향으로 상호 체결 가능한 단추, 및 단추 홀이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상기 단추와 상기 단추 홀은 상호 교번되게 배치되어 이웃하는 것 끼리 상호 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허리 단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KR2020060026531U 2006-09-29 2006-09-29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KR2004358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531U KR200435873Y1 (ko) 2006-09-29 2006-09-29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531U KR200435873Y1 (ko) 2006-09-29 2006-09-29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873Y1 true KR200435873Y1 (ko) 2007-02-28

Family

ID=4162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531U KR200435873Y1 (ko) 2006-09-29 2006-09-29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87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088B1 (ko) 2012-11-23 2013-04-03 정욱재 바지의 허리선 높이 조절 방법 및 허리선 높이조절이 가능한 바지
KR101281694B1 (ko) 2012-02-17 2013-07-03 이연옥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운쟈켓
CN103549691A (zh) * 2013-11-15 2014-02-05 北京派克兰帝儿童服装服饰有限公司 一种儿童成长扩展服
KR101806052B1 (ko) 2016-12-12 2018-01-11 김두환 의복용 단의 액세서리
KR102615139B1 (ko) * 2022-09-30 2023-12-15 김경희 다기능 바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694B1 (ko) 2012-02-17 2013-07-03 이연옥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운쟈켓
KR101249088B1 (ko) 2012-11-23 2013-04-03 정욱재 바지의 허리선 높이 조절 방법 및 허리선 높이조절이 가능한 바지
CN103549691A (zh) * 2013-11-15 2014-02-05 北京派克兰帝儿童服装服饰有限公司 一种儿童成长扩展服
KR101806052B1 (ko) 2016-12-12 2018-01-11 김두환 의복용 단의 액세서리
KR102615139B1 (ko) * 2022-09-30 2023-12-15 김경희 다기능 바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710E1 (en) Short reversible dresses
US8549666B2 (en) Convertible garment
US7757308B2 (en) Clothing with adjustable waist size
US9009866B2 (en) Convertible garment cuff
KR200435873Y1 (ko)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복
US6715155B2 (en) Pair of pants equipped with a tightening strap
AU2004226949A1 (en) Shirts having neck size adjusting function
JP2019502041A (ja) コンバーチブル衣類
JP2009102772A (ja) カフスとその製造方法
CN109831906B (zh) 衣服
JP2009007722A (ja) 腰ゴム入りボトム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3984265B2 (ja) 衣服
JP2018131725A (ja) 上衣の身八つ口の下方において前身頃と後身頃とが離れた二部式着物及び着付け方法
JP4726739B2 (ja) 重ね着用巻きスカート
JP3726186B2 (ja) 和服
JP3240705U (ja) シャツ
JP3174928U (ja) スカート付きパンツ
JP2003171812A (ja) 重ね着カジュアル
JP3245020U (ja) エプロン及び三角巾
KR101249088B1 (ko) 바지의 허리선 높이 조절 방법 및 허리선 높이조절이 가능한 바지
JP3231625U (ja) 引き締めベルト付き衣服
KR101993932B1 (ko) 양면 청바지 제조 방법
CN210696021U (zh) 一种前后翻转二件套连衣裙
KR200342605Y1 (ko) 바지의 신축 가능한 벨트 고리
JP2011021294A (ja) 腰ゴム入りボトム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