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483B1 - 전자 헤드 기어 - Google Patents

전자 헤드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483B1
KR101526483B1 KR1020140104543A KR20140104543A KR101526483B1 KR 101526483 B1 KR101526483 B1 KR 101526483B1 KR 1020140104543 A KR1020140104543 A KR 1020140104543A KR 20140104543 A KR20140104543 A KR 20140104543A KR 101526483 B1 KR101526483 B1 KR 101526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ensor
validity
electrically connected
surfa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미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미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미타
Priority to KR1020140104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0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충격 흡수용 보호재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보호재에 인접하며, 서로 대향되고 적어도 하나는 전도성 폴리머재 또는 전도성 섬유재로 구비된 제1필름 및 제2필름과, 상기 제1필름과 제2필름의 사이에 개재된 센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는 상기 센서 필름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강도 감지 센서와,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 상기 강도 감지 센서에 부착된 한 쌍의 패드와, 상기 한 쌍의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헤드 기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헤드 기어 {Electronic head gear}
전자 헤드 기어에 관한 것이다.
태권도나 쿵푸와 같은 신체에 대한 타격이 이루어지는 격투 경기에서는 선수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헤드 기어를 사용한다. 최근에는 이 헤드 기어에 전자 센서를 장착하여 타격 여부가 자동적으로 판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격을 가한 선수의 득점이 자동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종래에 상기 헤드 기어에 장착되는 전자 센서는 전하의 제공 및/또는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으로 박막의 금속 필름, 예컨대 알루미늄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 데, 이러한 박막 금속 필름은 금속 자체가 갖는 특성 상 연신율에 한계가 있고, 일정 정도의 취성을 갖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타격을 받을 경우 쉽게 찢어질 수 있는 등 내구성에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자 센서는 전극을 따로 제작하여 센서 필름에 부착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품 성형성도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헤드 기어에는 유효타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센서도 추가되는 데, 이 센서와 타격을 센싱하는 센서가 서로 간섭을 일으켜 센싱 오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상기 과제, 문제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구성 및 제품 성형성이 뛰어난 강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헤드 기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유효타 센싱과 타격 센싱의 센싱 및/또는 통신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자 헤드 기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충격 흡수용 보호재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보호재에 인접하며, 서로 대향되고 적어도 하나는 전도성 폴리머재 또는 전도성 섬유재로 구비된 제1필름 및 제2필름과, 상기 제1필름과 제2필름의 사이에 개재된 센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는 상기 센서 필름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강도 감지 센서와,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 상기 강도 감지 센서에 부착된 한 쌍의 패드와, 상기 한 쌍의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헤드 기어를 제공한다.
상기 제2필름의 표면적과 상기 센서 필름의 표면적이 같을 수 있다.
상기 제2필름의 가장자리는 상기 센서 필름의 가장자리와 일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일단이 상기 제어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유효타 감지 센서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일단이 상기 제어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유효타 감지 센서의 타단에 연결된 제2유효타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도 감지 센서는 상기 제1유효타 감지 센서 및 제2유효타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와 인접한 절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필름 및 제2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도성 폴리머재 또는 전도성 섬유재로 형성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필름과 제2필름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강도 감지 센서로 인해 유효타 감지 센서의 센싱 및/또는 통신 오류가 날 수 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동시에 타격 센싱 신뢰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헤드 기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헤드 기어의 강도 감지 센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의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의 단면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헤드 기어의 전개도이다.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헤드 기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헤드 기어의 강도 감지 센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전자 헤드 기어(100)는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도록 구비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와 결합되고 본체(110)가 머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임 밴드(11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충격 흡수용 보호재와 표면의 외장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보호재는 사람의 머리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강도 감지 센서(120)가 내장된다.
상기 강도 감지 센서(120)는 본체(110)의 전개도에 대응되는 형태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I-I의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 감지 센서는 서로 대향된 제1필름(121) 및 제2필름(122)과, 상기 제1필름(121) 및 제2필름(122)의 사이에 개재된 센서 필름(1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필름(121) 및 제2필름(122)은 전극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전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필름(121) 및 제2필름(122)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도성 폴리머재 또는 전도성 섬유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필름(121) 및 제2필름(122) 모두 전도성 폴리머재 또는 전도성 섬유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전도성 폴리머재는 금속에 비해 연신율이 월등하고 취성도 약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한 내구성이 뛰어나다. 전도성 섬유재는 전도성 폴리머재에 비해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더욱 뛰어나 센서 자체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필름(121) 및 제2필름(122)으로 전도성 섬유재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섬유재는 메쉬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 데, 메쉬 형태의 전도성 섬유재는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필름(121) 및 제2필름(122) 모두 전도성 폴리머재 또는 전도성 섬유재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타격에 의해 제1필름(121) 및 제2필름(122) 중 어느 하나라도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필름(121) 및 제2필름(122) 중 하나가 전도성 폴리머재 또는 전도성 섬유재로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알루미늄 필름과 같은 금속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도성 폴리머재로 형성된 필름을 타격을 받는 외측에 배치하고 금속 박막으로 형성된 필름은 착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금속 박막으로 형성된 필름이 타격에 의한 직접적인 충격으로부터 조금이라도 영향을 덜 받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121)과 제2필름(122)은 각각 센서 필름(123)의 일면 및 타면에 접합될 수 있는 데, 제2필름(122), 센서 필름(123) 및 제1필름(121)이 순차 적층된 조립체를 가압 라미네이팅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필름(121)과 센서 필름(123)의 사이, 제2필름(122)과 센서 필름(123)의 사이에 접착층이 더 개재되어 접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필름(121) 및/또는 제2필름(122)은 전도성 폴리머 테이프 또는 전도성 섬유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필름(121) 및/또는 제2필름(122)을 센서 필름(123)의 양면에 더욱 간단하게 접합시킬 수 있고, 부착 위치의 변경 또는 얼라인 정밀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떼었다가 다시 부착시킬 기에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뿐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필름(121)의 표면적(A1)은 상기 제2필름(122)의 표면적(A2) 및 센서 필름(123)의 표면적(A3)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2필름(122)의 표면적(A2)이 센서 필름(123)의 표면적(A3)과 같고, 상기 제1필름(121)의 표면적(A1)은 상기 제2필름(122)의 표면적(A2) 및 센서 필름(123)의 표면적(A3)보다 작게 된 것이다. 이 때, 상기 제1필름(121)의 외곽 가장자리 전체는 상기 제2필름(122)의 외곽 가장자리 전체 및 센서 필름(123)의 외곽 가장자리 전체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필름(121)과 제2필름(122)이 접촉되어 전기적 단락을 일으키게 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필름(122)의 가장자리와 센서 필름(123)의 가장자리가 서로 일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필름(122)과 센서 필름(123)의 컷팅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공정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도 감지 센서(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30)은, 제1필름(121)에 형성된 제1관통공(131)과, 제2필름(122)에 형성된 제2관통공(132)과, 제3필름(123)에 형성된 제3관통공(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공(131) 내지 제3관통공(133)은 동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통공(131)의 표면적(H1)은 상기 제2관통공(132)의 표면적(H2) 및 제3관통공(133)의 표면적(H3)보다 클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관통공(131)의 가장자리 전체는 상기 제2관통공(132)의 가장자리 전체 및 제3관통공(133)의 가장자리 전체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공(130)에서 제1필름(121)과 제2필름(122)이 접촉되어 전기적 단락을 일으키게 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와 같이 제1필름(121)의 표면적(A1)이 제2필름(122)의 표면적(A2)과 같고, 제1필름(121)의 표면적(A1)과 제2필름(122)의 표면적(A2)이 센서 필름(123)의 표면적(A3)보다 작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필름(121)과 제2필름(122)을 동일한 형태로 컷팅하고, 센서 필름(123)에 부착함으로써 제1필름(121)과 제2필름(122)을 별도의 컷팅 공정으로 진행할 필요가 없어 공정이 간단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필름(121) 및 제2필름(122)의 전체 가장자리들은 센서 필름(123)의 전체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필름(121) 및 제2필름(122)이 서로 접촉해 전기적 단락이 발생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관통공(131)의 표면적(H1)이 상기 제2관통공(132)의 표면적(H2)과 같고, 제1관통공(131)의 표면적(H1)과 제2관통공(132)의 표면적(H2)이 제3관통공(133)의 표면적(H3)보다 클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관통공(131)과 제2관통공(132)의 가장자리 전체는 제3관통공(133)의 가장자리 전체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공(130)에서 제1필름(121)과 제2필름(122)이 접촉되어 전기적 단락을 일으키게 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필름(121)과 제2필름(122)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에 연결되거나, 서로 다른 극성의 전하가 충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필름(123)은 유전체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필름(123)은 타격에 의해 그 두께가 가변되는 충격 가변 유전체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필름(121)과 제2필름(122) 사이에 소정의 정전 용량이 유지되며, 타격을 받아 센서 필름(123)의 두께가 변형되면 정전 용량이 변형되므로 타격의 유무와 타격의 강도(세기)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필름(123)은 내부가 특정 전하로 대전될 수 있는 폴리머재의 필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 필름(123)은 다공질 폴리머재로 구비되어 내부 다공질 표면이 특정 전하로 대전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가해진 타격의 강도에 따라 상기 대전 전하의 분포의 변형 정도가 달라지고, 그 변형 정도에 따라 상기 제1필름(121) 및 제2필름(122) 사이에 나타나는 전위차가 달라지게 된다. 이렇게 제1필름(121) 및 제2필름(122) 사이의 전위차 변경에 따라 타격 여부 및 강도가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121) 및 제2필름(122)에는 각각 패드(125)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패드(125)는 제1필름(121) 및 제2필름(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데, 도전성 테이프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들(125)에는 각각 도전 라인들(126)이 접속되어 있고, 도전 라인들(126)은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 모듈(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50)은 전원과, 무선 통신 모듈과,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데, 강도 감지 센서(120)로부터 전달된 타격 신호를 처리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강도 감지 센서(120)는 본체(110)의 전체 면적에 걸쳐 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강도 감지 센서(120)가 본체(110)의 전체 면적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므로, 경기 시 상대방이 두부에서 헤드 기어(10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부분을 타격했을 때에도 근육의 움직임이나 전달되는 충격값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더욱 정밀한 타격 센싱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헤드 기어의 전개도인 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보호재(112)와, 강도 감지 센서(120)와, 유효타 감지 센서(140)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유효타 감지 센서(140)는 제1유효타 감지 센서(141) 및 제2유효타 감지 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효타 감지 센서(141)는 일단이 상기 제어 모듈(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유효타 감지 센서(142)는일단이 상기 제어 모듈(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유효타 감지 센서(141)의 타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 모듈(150)에는 상기 제1유효타 감지 센서(141) 및 제2유효타 감지 센서(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효타 감지 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는 데, 상기 유효타 감지 모듈은 태그 리더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시합 상대방의 주먹이나 발에 착용되어 있는 보호대에 내장된 전자태그의 태그 정보를 상기 제1유효타 감지 센서(141) 및 제2유효타 감지 센서(142)가 감지하고 이 감지 신호로부터 태그 리더기가 상기 전자 태그의 태그 정보를 판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자 태그 및 태그 리더기는 각각 RFID 칩 및 RFID 리더기가 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블루투스 통신 기반이나, 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효타 감지 센서(140)는 보호재(112)의 외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는 데, 강도 감지 센서(120)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효타 감지 센서(140)는 그 일부가 강도 감지 센서(120)와 중첩될 수는 있으나, 가능하면 강도 감지 센서(120)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효타 감지 센서(140)가 상대방의 전자 태그의 태그 정보를 감지함에 있어서, 강도 감지 센서(120)로 인해 유효타 감지 센서(140)의 센싱 및/또는 통신 오류가 날 수 있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강도 감지 센서(120)는 상기 유효타 감지 센서(140)와 인접하게 위치한 절개 홈(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 홈(124)은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파상으로 연결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강도 감지 센서(120)로 인해 유효타 감지 센서(140)의 센싱 및/또는 통신 오류가 날 수 있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유효타 감지 센서(140)를 강도 감지 센서(120)로부터 이격시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 경우, 보호재(112)의 일부 영역에 강도 감지 센서(120)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강도 감지 센서(120)가 타격이 가해져도 이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파상 형태의 절개 홈(124)을 복수 개 배치시킴에 따라 강도 감지 센서(120)가 보호재(112)의 대략 전체 영역에 걸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타격 센싱 신뢰도를 유지하면서, 특정 부분에서는 유효타 감지 센서(140)와 강도 감지 센서(120)의 거리가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강도 감지 센서(120)로 인해 유효타 감지 센서(140)의 센싱 및/또는 통신 오류가 날 수 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효타 감지 센서(140)와 강도 감지 센서(120)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유효타 감지 센서(140)로 인한 강도 감지 센서(120)의 센싱 오류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더욱 정밀한 타격 센싱이 가능해지고, 두부에서 헤드 기어(10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부분의 타격까지 센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하나의 제1필름, 하나의 센서 필름 및 하나의 제2필름의 적층 조립체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적층 조립체가 복수개 적층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제1필름, 센서 필름, 제2필름, 센서 필름, 및 제1필름의 순으로 적층된 적층 조립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충격 흡수용 보호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보호재에 인접하며, 서로 대향되고 적어도 하나는 전도성 폴리머재 또는 전도성 섬유재로 구비된 제1필름 및 제2필름과, 상기 제1필름과 제2필름의 사이에 개재된 센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는 상기 센서 필름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강도 감지 센서;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 상기 강도 감지 센서에 부착된 한 쌍의 패드;
    상기 한 쌍의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모듈;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일단이 상기 제어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유효타 감지 센서;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일단이 상기 제어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유효타 감지 센서의 타단에 연결된 제2유효타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헤드 기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의 표면적과 상기 센서 필름의 표면적이 같은 전자 헤드 기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의 가장자리는 상기 센서 필름의 가장자리와 일치하도록 구비된 전자 헤드 기어.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감지 센서는 상기 제1유효타 감지 센서 및 제2유효타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와 인접한 절개 홈을 포함하는 전자 헤드 기어.
KR1020140104543A 2014-08-12 2014-08-12 전자 헤드 기어 KR101526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543A KR101526483B1 (ko) 2014-08-12 2014-08-12 전자 헤드 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543A KR101526483B1 (ko) 2014-08-12 2014-08-12 전자 헤드 기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483B1 true KR101526483B1 (ko) 2015-06-09

Family

ID=5350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543A KR101526483B1 (ko) 2014-08-12 2014-08-12 전자 헤드 기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4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76561A (zh) * 2022-09-23 2022-12-16 歌尔科技有限公司 纤维复合材料、外壳以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975U (ja) * 1993-01-29 1994-08-16 株式会社ウイニング スポーツ用ヘッドギヤ
KR20100090848A (ko) * 2009-02-09 2010-08-18 김광진 타격값을 추출하는 격투기경기용 전자호구 및 타격점수 인식방법
KR20120095933A (ko) * 2009-10-23 2012-08-29 니드사이프 노미니스 피티와이 엘티디 무술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자 채점 시스템, 방법 및 호구
JP2014061013A (ja) * 2012-09-19 2014-04-10 Kyoyu Co Ltd 頭部保護防具および打撃判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975U (ja) * 1993-01-29 1994-08-16 株式会社ウイニング スポーツ用ヘッドギヤ
KR20100090848A (ko) * 2009-02-09 2010-08-18 김광진 타격값을 추출하는 격투기경기용 전자호구 및 타격점수 인식방법
KR20120095933A (ko) * 2009-10-23 2012-08-29 니드사이프 노미니스 피티와이 엘티디 무술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자 채점 시스템, 방법 및 호구
JP2014061013A (ja) * 2012-09-19 2014-04-10 Kyoyu Co Ltd 頭部保護防具および打撃判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76561A (zh) * 2022-09-23 2022-12-16 歌尔科技有限公司 纤维复合材料、外壳以及电子设备
CN115476561B (zh) * 2022-09-23 2023-09-29 歌尔科技有限公司 纤维复合材料、外壳以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04514A (ja) 防護衣服
NL2013612C (en) A wearable sports timing tag assembly.
KR101018038B1 (ko) 태권도용 전자 호구
US10754378B2 (en) Touch sensor and bracelet-type device
TW201349128A (zh) 具有保護導電陣列之生物測定掃描器
KR101526483B1 (ko) 전자 헤드 기어
US20170020401A1 (en) Biological-information detecting device
KR20180068597A (ko) 격투기용 호구의 유효타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유효타 감지 시스템
ES2221734T3 (es) Localizacion electronica del impacto de un dardo en una diana.
US11617407B2 (en) Helmet and sensor attachment structure
US9121785B2 (en) Non-powered impact recorder
KR20150075636A (ko) 스마트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스마트카드
CN106056108A (zh) 指纹模组及移动终端
KR102664145B1 (ko) 접근응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련아머
CN217119300U (zh) 一种跆拳道用电子护头
KR101374602B1 (ko) 압전 종이 셀을 이용한 전자 호구
JPH02279186A (ja) パチンコゲーム機およびパチンコ玉の検知装置
KR101478666B1 (ko) 타격용 전자 강도 감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20150296608A1 (en) Rfid shielding
CN220736128U (zh) 一种搏击护具
CN211536478U (zh) 一种搏击用护胸组件
CN217119302U (zh) 一种跆拳道用电子护胸
JP6782266B2 (ja) 装着可能なスポーツ計時タグ・アセンブリ
CN211532897U (zh) 一种搏击用头盔
KR20170133028A (ko)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