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192B1 -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192B1
KR101526192B1 KR1020130155317A KR20130155317A KR101526192B1 KR 101526192 B1 KR101526192 B1 KR 101526192B1 KR 1020130155317 A KR1020130155317 A KR 1020130155317A KR 20130155317 A KR20130155317 A KR 20130155317A KR 101526192 B1 KR101526192 B1 KR 101526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haft
reversing
panel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55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는, 벨트를 반전시키는 2조의 핀치 롤러들 사이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핀치 롤러들 사이에서 180° 반전되면서 상기 핀치 롤러들 사이의 중앙 부분에서 개방 단면의 통 형상으로 비틀어지는 벨트를 외측으로부터 통 형상으로 안내하는 반전 가이드부와, 상기 반전 가이드부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반전 가이드부를 통과하는 벨트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벨트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원형 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반전시 개방 단면의 통 형상으로 비틀어지는 벨트의 단면 형상이 찌그러지지 않고 원형으로 유지되므로 벨트의 원활한 반전을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BELT REVERSING APPARATUS OF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전시 통 형상으로 비틀어지는 벨트의 단면 형상이 찌그러지지 않고 원형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벨트의 원활한 반전을 유도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루형, 낟알형 또는 덩어리형의 각종 원재료 등을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는 시단(始端)부와 종단(終端)부에 설치된 2조의 구동 풀리와, 이들 구동 풀리에 걸친 무한 루프형의 벨트와, 구동 풀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가지며,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 풀리를 매개로 벨트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벨트 위에 실린 피반송물이 시단으로부터 종단까지 반송되게 되며 종단측 풀리에서 벨트가 아래 방향으로 유턴(U-turn)하게 되고 리턴 벨트가 종단으로부터 시단까지 이동된 다음 시단측 풀리에서 벨트가 위 방향으로 유턴하게 된다.
상기한 벨트 컨베이어에서 피반송물을 적제하는 면은 오염되게 되며 리턴 벨트에서 오염된 면을 아래 방향으로 향한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오염면으로부터 피반송물이 비산(飛散)하여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리턴 벨트 이동 방향의 상류부와 하류부에 벨트 반전 장치를 설치하고 상류부의 벨트 반전 장치에 의해 벨트를 180° 반전시켜 오염면을 상향시키고 하류부의 벨트 반전 장치에 의해 오염면을 하향시켜 복귀시킨 후 시단측 풀리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러한 벨트 반전 장치가 일본특허 제2808351호 공보(이하,'선행특허'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선행특허에서는 벨트(1)의 상,하 양면을 지지하는 2조의 핀치 롤러들(2A,2B)과, 2조의 핀치 롤러들(2A,2B) 사이에서 180° 반전되면서 핀치 롤러들(2A,2B) 사이의 중앙 부분에서 개방 단면의 통 형상으로 비틀어지는 벨트(1)를 외측으로부터 통 형상으로 안내하는 반전 가이드(3)를 구비하여, 전단의 핀치 롤러(2A)를 지나온 벨트(1)가 반전 가이드(3)를 통과하면서 통 형상으로 만들어진 후 다시 후단의 핀치 롤러(2B)에서 상하면이 뒤집어진 평면으로 반전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3A, 3B, 3C는 반전 가이드(3)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로, 3A는 벨트(1)와 접촉되어 벨트(1)를 통 형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를 나타내고 3B는 가이드 롤러(3A)가 고정되는 판넬을 나타내고 3C는 가이드 롤러(3A)를 판넬(3B)에 고정시키기 위한 롤러 브라켓을 나타낸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가 가이드 롤러(3A)에 의해 안내되어 반전 가이드를 통과할 때, 벨트(1)의 내부가 지지되지 못하여 찌그러져 비정형 상태가 되며, 찌그러진 비정형 상태의 벨트(1)가 후단의 핀치 롤러(2B, 도 1)에서 강제로 반전되면서 꼬였던 벨트(1)의 응력이 자연스럽게 해소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주행상태가 불량해져 프레임 등에 접촉되거나 벨트(1)가 평면으로 펼쳐지지 못하고 겹쳐짐에 따라서 벨트 수명이 단축되고 빈번한 벨트 교체로 인해 수송 작업이 중단되어 생산 차질이 빚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특허 제280835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반전시 통 형상으로 비틀어지는 벨트의 단면 형상이 찌그러지지 않고 원형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벨트의 원활한 반전을 유도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는, 벨트를 반전시키는 2조의 핀치 롤러들 사이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핀치 롤러들 사이에서 180° 반전되면서 상기 핀치 롤러들 사이의 중앙 부분에서 개방 단면의 통 형상으로 비틀어지는 벨트를 외측으로부터 환상(環象)으로 안내하는 반전 가이드부와, 상기 반전 가이드부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반전 가이드부를 통과하는 벨트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벨트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원형 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형 유지부는, 고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벨트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트 롤러들과, 상기 서포트 롤러들이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는 롤러 브라켓들과, 외곽에 상기 롤러 브라켓들을 매개로 상기 서포트 롤러들이 배설되는 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는, 중앙 부분에 상기 판넬이 고정되며 상기 벨트가 통 형상으로 닫히기 이전의 지점에 그 일단부가 배치되고 상기 벨트가 통 형상에서 풀린 이후의 지점에 그 타단부가 배치된 축과, 상기 축의 양단에 결합된 제1,제2 베어링과, 상기 제1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축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축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벨트와 반대측 개소에 마련된 고정 구조물과 상기 축의 일단부간을 연결하는 제1 지지 브라켓과, 상기 제2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축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축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벨트와 반대측 개소에 마련된 고정 구조물과 상기 축의 타단부간을 연결하는 제2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롤러의 개수는 6개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전시 통 형상으로 비틀어지는 벨트의 단면 형상이 찌그러지지 않고 원형으로 유지되므로 벨트의 원활한 반전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벨트 비틀림으로 발생하는 응력에 의한 유동을 흡수하여 자연스러운 벨트 풀림으로 벨트의 편심 주행 및 이로 인한 벨트 마모, 벨트 겹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벨트의 수명이 연장되고 빈번한 벨트 교체로 인한 수송 작업 중단에 따른 생산 차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 반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반전 장치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반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반전 가이드부 및 원형 유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원형 유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반전 장치에 의한 벨트의 원형 유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 위하여 가장 적합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반전 장치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반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반전 가이드부 및 원형 유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원형 유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반전 장치에 의한 벨트의 원형 유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벨트(10)의 상, 하 양면을 지지하며 벨트(10)를 반전시키는 2조의 핀치 롤러(21, 22)들이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다.
벨트(10)는 2조의 핀치 롤러(21,22)들 사이에서 180° 반전되면서 핀치 롤러들(21,22) 사이의 중앙 부분에서 개방 단면의 통 형상으로 비틀어지게 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되는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벨트(10)의 비틈 방향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 방향을 향하여 반시계회전방향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벨트 반전 장치는 2조의 핀치 롤러들(21,22) 사이의 중앙 부분에서 개방 단면의 통 형상으로 비틀어지는 벨트(10)를 외측으로부터 통 형상으로 안내하는 반전 가이드부(30)와, 반전 가이드부(30)를 통과하는 벨트(10)의 단면 형상이 찌그러지지 않고 원형으로 유지되도록 벨트(10)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원형 유지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 가이드부(30)는 벨트(10)를 반전시키는 2조의 핀치 롤러들(11,12) 사이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며, 큰 원형의 구멍(H)을 중심부에 갖는 판넬(31)과, 이 판넬(31)의 원형 구멍(H) 주변에 환상으로 배설된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32)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반전 가이드부(30)의 설치 개소에 마련된 프레임(50)에 큰 원형의 구멍(H)을 갖는 판넬(31)이 고정되고, 판넬(31)의 원형 구멍(H) 주위에 'L'자형 롤러 브라켓(33)을 개재하여 복수개, 예컨대 6개의 가이드 롤러(32)들이 배설된다.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L'자형 롤러 브라켓(33)의 양 선단 중앙에는 가이드 롤러(32)의 양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롤러(32)는 롤러 브라켓(33)의 삽입홈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32)가 원형 구멍(H) 주위에 배설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 브라켓(33)은 원형 구멍(H) 주변 판넬(31)에 볼트(34) 및 너트(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 브라켓(33)이 볼트(34) 및 너트를 이용하여 판넬(31)에 고정된 경우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롤러 브라켓(33)은 용접에 의해 판넬(31)에 고정될 수도 있고, 판넬(31)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가이드 롤러(32)들이 판넬(31)의 원형 구멍(H)을 따라서 서로 60°씩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6개의 가이드 롤러(32)들은 판넬(31)의 원형 구멍(H) 주변을 둘러싸는 고리 형태, 즉 환상을 이루게 된다.
반전되면서 통 형상으로 비틀어지는 벨트(10)는 판넬(31)의 원형 구멍(H)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판넬(31)의 원형 구멍(H) 주변에 배설된 가이드 롤러(32)들은 통 형상으로 비틀어진 상태로 원형 구멍(H)을 통과하는 벨트(10)의 외측에 접촉하여, 주행하는 벨트(10)와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벨트(10)를 통 형상으로 안내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원형 유지부(40)는 반전 가이드부(30) 판넬(31)의 원형 구멍(H) 내측에 제공되며, 정육각형 판넬(41) 및 판넬(41)의 외곽에 고리형으로 배설된 6개의 서포트 롤러(42)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롤러(42)들은 정육각형 판넬(41)의 6개의 테두리에 'L'자형 롤러 브라켓(43)을 개재하여 배설되며, 판넬(41)의 외곽을 둘러싸는 고리 형태를 이루고 있다.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롤러 브라켓(43)의 양 선단 중앙에는 서포트 롤러(42)의 양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서포트 롤러(42)들은 각각 롤러 브라켓(43)의 삽입홈(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롤러 브라켓(43)은 판넬(41)의 테두리에 볼트(44) 및 너트(45)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 브라켓(43)이 판넬(41)에 볼트(44) 및 너트(46)를 이용하여 고정된 경우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롤러 브라켓(43)은 용접에 의해 판넬(41)에 고정될 수도 있고, 판넬(41)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고리형으로 배설된 서포트 롤러(42)들은 가이드 롤러(32)들에 의해 통 형상으로 안내되어 주행하는 벨트(10)의 내측에 접촉하여, 주행하는 벨트(10)와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벨트(10)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유지되도록 벨트(10)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판넬(41)이 정육각형의 형상을 갖고, 정육각형 판넬(41)의 6개의 테두리에 서포트 롤러(42)가 배설된 경우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판넬(41)의 형상은 정팔각형, 정십이각형 등의 정다각형일 수도 있고, 원형일 수도 있다. 그리고, 서포트 롤러(42)의 개수는 6개보다 많을 수도 있고 6개보다 적을 수도 있다. 다만, 서포트 롤러(42)들의 개수가 적어지면 반전 가이드부(30)를 통과하는 벨트(10)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유지시키기 어려우므로, 서포트 롤러(42)의 개수는 6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넬(41)의 중심부에는 축(60)이 고정되어 있다. 판넬(41)은 축(60)의 중앙 부근에 고정되며, 축(60)은 판넬(41)을 중심으로 벨트(10)의 주행 방향을 따라서 전, 후로 길게 배치된다. 축(60)은, 그 일단부(61)가 벨트(10)가 통 형상으로 닫히기 이전의 평면이나 반원 상태로 되는 지점에 배치되고 그 타단부(62)가 벨트(10)가 통 형상에서 풀린 이후의 평면이나 반원 상태로 되는 지점에 배치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10)의 비틈 방향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 방향을 향하여 반시계회전방향인 경우를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반전 가이드부(30)를 통과하기 전에는 벨트(10)가 상측으로 오므려지고 반전 가이드부(30)를 통과한 후에는 벨트(10)가 뒤집혀 오므려진 반대 방향, 즉 하측에서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0)가 통 형상으로 닫히기 이전의 지점에 배치되는 축(60)의 일단부(61)는 벨트(10)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벨트(10)가 통 형상에서 풀린 이후의 지점에 배치되는 축(60)의 타단부(62)는 벨트(10)의 하부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도 3에서는 축(60)의 타단부(62)가 벨트(10)에 의해 가려져 도시되지 않았다.
도 3 및 4를 다시 참조하면, 축(60)의 양단(61,62)에는 각각 제1,제2 베어링(71,27)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축(60)의 일단부(61)에는 제1 베어링(71)을 매개로 제1 지지 브라켓(81)이 고정되고, 축(60)의 타단부(62)에는 제2 베어링(72)을 매개로 제2 지지 브라켓(82)이 고정되어 있다. 즉, 축(60)은 제1,제2 베어링(71,72)을 매개로 하여 제1,제2 지지 브라켓(81,8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따라서, 축(60)에 고정되어 있는 판넬(41) 및 판넬(41)에 설치되어 있는 서포트 롤러(42)들도 축(60) 회전시에 축(6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벨트(10)가 반전 가이드부(30)의 가이드 롤러(32)들과 원형 유지부(40)의 서포트 롤러(42)들 사이에서 원형 단면을 유지한 상태로 주행하는 과정에서 비틀림에 의한 응력으로 벨트(10)에 좌, 우 유동이 발생되게 된다. 이때, 서포트 롤러(42)들은 주행하는 벨트(10)에 접촉되어 벨트(10)의 유동에 따라서 축(60)과 함께 자연스럽게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벨트(10)의 비틀림에 의한 응력에 따른 유동이 흡수되어 응력이 해소되므로 벨트(10)의 편심 주행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제1 지지 브라켓(81)의 하단면은 제1 베어링(71)을 매개로 축(60)의 일단부(61)와 고정되며, 그 상단은 축(60)의 일단부(61)를 중심으로 벨트(10)와 반대측, 즉 축(60)의 일단부(61) 상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1 고정 구조물(91)과 연결 고정된다. 그리고, 제2 지지 브라켓(82)의 상단은 제2 베어링(72)을 매개로 축(60)의 타단부(62)와 고정되며, 그 하단은 축(60)의 타단부(62)를 중심으로 벨트(10)와 반대측, 즉 축(60)의 타단부(62)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2 고정 구조물(92)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비록, 전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10)의 비틈 방향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 방향을 향하여 반시계회전방향인 경우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벨트(10)의 비틈 방향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 방향을 향하여 시계회전방향인 경우도 포함한다.
이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반전 가이드부(30)를 통과하기 전에는 벨트(10)가 하측으로 오므려지고, 반전 가이드부(30)를 통과한 후에는 벨트(10)가 상측에서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벨트(10)가 통 형상으로 닫히기 이전의 지점에 배치되는 축(60)의 일단부(61)는 벨트(10)의 하부측에 배치되게 되고, 벨트(10)가 통 형상에서 풀린 이후의 지점에 배치되는 축(60)의 타단부(62)는 벨트(10)의 상부측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제1 지지 브라켓(81)은 벨트(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축(60)의 일단부(61)와 그 하부측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 구조물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제2 지지 브라켓(82)은 벨트(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축(60)의 타단부(62)와 그 상부측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 구조물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전시 통 형상으로 비틀어지는 벨트의 단면 형상이 찌그러지지 않고 원형으로 유지되므로 벨트의 원활한 반전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벨트 비틀림으로 발생하는 응력에 의한 유동을 흡수하여 자연스러운 벨트 풀림으로 벨트의 편심 주행 및 이로 인한 벨트 마모, 벨트 겹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벨트의 수명이 연장되고 빈번한 벨트 교체로 인한 수송 작업 중단에 따른 생산 차질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벨트
21,22: 핀치 롤러
30: 반전 가이드부
40: 원형 유지부
41: 판넬
42: 서포트 롤러
43: 롤러 브라켓
50: 프레임
60: 축
71,72: 제1,제2 베어링
81,82: 제1, 제2 지지 브라켓
91,92: 제1,제2 고정 구조물

Claims (4)

  1. 벨트를 반전시키는 2조의 핀치 롤러들 사이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핀치 롤러들 사이에서 180° 반전되면서 상기 핀치 롤러들 사이의 중앙 부분에서 개방 단면의 통 형상으로 비틀어지는 벨트를 외측으로부터 통 형상으로 안내하는 반전 가이드부;및
    상기 반전 가이드부의 내측에 환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반전 가이드부를 통과하는 벨트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벨트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트 롤러들을 구비하는 원형 유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반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유지부는,
    상기 서포트 롤러들이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는 롤러 브라켓들;및
    외곽에 상기 롤러 브라켓들을 매개로 상기 서포트 롤러들이 배설된 판넬;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반전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중앙 부분에 상기 판넬이 고정되며 상기 벨트가 통 형상으로 닫히기 이전의 지점에 그 일단부가 배치되고 상기 벨트가 통 형상에서 풀린 이후의 지점에 그 타단부가 배치된 축;
    상기 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제1,제2 베어링;
    상기 제1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축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축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벨트와 반대측 개소에 마련된 고정 구조물과 상기 축의 일단부간을 연결하는 제1 지지 브라켓;및
    상기 제2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축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축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벨트와 반대측 개소에 마련된 고정 구조물과 상기 축의 타단부간을 연결하는 제2 지지 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반전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롤러의 개수가 6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반전 장치.
KR1020130155317A 2013-12-13 2013-12-13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 KR101526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317A KR101526192B1 (ko) 2013-12-13 2013-12-13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317A KR101526192B1 (ko) 2013-12-13 2013-12-13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192B1 true KR101526192B1 (ko) 2015-06-05

Family

ID=5350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317A KR101526192B1 (ko) 2013-12-13 2013-12-13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1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9403A (zh) * 2019-09-27 2019-12-20 福建龙净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管带式输送机及其纠偏装置
KR20210036428A (ko) 2019-09-24 2021-04-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형 컨베이어 장치,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및 그 작동방법
KR102409725B1 (ko) 2021-07-15 2022-06-15 박강원 화재 감시 수단이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KR20230049923A (ko) 2021-10-07 2023-04-14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컨베이어용 프로파일 반전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2221A (ja) * 1999-08-31 2001-03-21 Furukawa Co Ltd ベルト反転装置
KR100946054B1 (ko) * 2002-12-17 2010-03-09 주식회사 포스코 낙광방지형 콘베어벨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2221A (ja) * 1999-08-31 2001-03-21 Furukawa Co Ltd ベルト反転装置
KR100946054B1 (ko) * 2002-12-17 2010-03-09 주식회사 포스코 낙광방지형 콘베어벨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428A (ko) 2019-09-24 2021-04-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형 컨베이어 장치,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및 그 작동방법
CN110589403A (zh) * 2019-09-27 2019-12-20 福建龙净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管带式输送机及其纠偏装置
CN110589403B (zh) * 2019-09-27 2024-04-12 福建龙净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管带式输送机及其纠偏装置
KR102409725B1 (ko) 2021-07-15 2022-06-15 박강원 화재 감시 수단이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KR20230049923A (ko) 2021-10-07 2023-04-14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컨베이어용 프로파일 반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192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
US86637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pping food dough
JP2010504261A5 (ko)
JP5032242B2 (ja) ベルトコンベヤ
KR20140036189A (ko) 벨트 정션 컨베이어 및 롤러
KR20160047941A (ko) 컨베이어 장치
JP6584163B2 (ja) 分岐装置
JP5879080B2 (ja) 自動調芯プーリーローラを備えるベルト搬送装置
KR102621582B1 (ko) 분기 장치
JP5688759B2 (ja) 倍速コンベヤチェーン及び倍速コンベヤ
JP4461052B2 (ja) 回転機器、それを用いたベルト駆動装置及び可撓性部材の巻き取り装置
KR20040038342A (ko) 벨트콘베이어의 사행방지용 자동조정 캐리어스탠드
JP5800965B1 (ja) 搬送装置
KR101047531B1 (ko) 대형 플랜지용 링 제작을 위한 절단장치
JP6251508B2 (ja) 搬送装置
TWI750006B (zh) 皮帶輸送系統及其皮帶偏斜調整裝置
KR20130034959A (ko) 수상용 펜스 권선장치
JP2007070021A (ja) パイプコンベヤのベルト捩れ防止装置
JP6848247B2 (ja) シート材の凹凸検出装置
JP2007153559A (ja) チェーン構造
JP4622361B2 (ja) 搬送装置
JPH07223716A (ja) カーブコンベア
JP5412192B2 (ja) ベルト搬送装置
JP2012076929A (ja) ローラコンベア
JP4487729B2 (ja) ローラコンベヤ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