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428A - 원형 컨베이어 장치,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원형 컨베이어 장치,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428A
KR20210036428A KR1020190117480A KR20190117480A KR20210036428A KR 20210036428 A KR20210036428 A KR 20210036428A KR 1020190117480 A KR1020190117480 A KR 1020190117480A KR 20190117480 A KR20190117480 A KR 20190117480A KR 20210036428 A KR20210036428 A KR 20210036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haft
conveyor
inversion
central shaft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706B1 (ko
Inventor
진경태
박영철
이창근
선도원
박재현
배달희
조성호
남형석
이승용
원유섭
이동호
이도연
류호정
김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17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7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for conveying in a circular ar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6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for 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arriers movable in curved paths
    • B65G21/18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for 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arriers movable in curved paths in three-dimensionally curved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91Speed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원형 컨베이어 장치,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중심축부재; 상기 중심축 부재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반전가이드축; 상기 중심축 부재 외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2반전가이드축;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과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내측면이 상기 중심축 부재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이동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부재;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상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부재 측으로 이송대상입자가 공급되는 공급관; 및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컨베이어 부재가 반전되는 위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부재에 의해 이동된 이송대상입자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형 컨베이어 장치,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및 그 작동방법{Round conveyor belt valv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valve}
본 발명은 원형 컨베이어 장치,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리밸브는 입구측과 토출측이 차단된 상태에서 입구측의 분진이 포함된 가스 및 공기와 같은 대상물을 토출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밸브로서 알려져 있다.
종래의 로터리밸브는 대상물의 도입을 위한 입구와, 상기 입구를 통하여 도입된 대상물을 방출시키기 위한 토출구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은 횡방향 회전축 주위로의 움직이는 내부 회전자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회전자는 상기 하우징과의 내부에 회전되게 축결합되고 회전자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날개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날개에는 탈착가능하게 마찰패널이 체결되어 내벽에 붙은 분진을 탈거시키게 된다.
상기 하우징는 입구를 통해 대상물을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의 회전자가 회전되어서 토출구를 통해 대상물을 토출하게 된다. 입구와 출구에는 별도의 챔버를 설치하여 입구와 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된다. 이러한, 하우의 내부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되어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들의 외단이 하우징의 내주면에 미세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되어 대상물을 이송을 제어하게 된다.
종래의 로터리밸브에 적용되는 회전자는 축을 중심으로 날개가 직각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하우징의 내벽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충돌시 충격이 완충되지 않아 회전자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날개가 빈번하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충돌에 따른 마찰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의 로터리밸브는 클리어런스(clearance)에 의해 필연적으로 마모와 소음 등에 대한 단점이 수반되게 된다.
또한, 컨베이어란, 공장 내에서의 부품의 운반 등에 사용되는 장치로써, 단순한 운반장치로만이 아니고 작업원과 결합시켜 움직이는 작업대로도 사용되어, 공장 내에서의 대량생산방식의 기초를 형성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 및 도 2는 종래 컨베이어 벨트의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컨베이어는 공장 내에서 상황에 따라, 직선, 곡선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데, 곡선 형태의 컨베이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커브가 필요한 부분에 코너 휠 조립체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코너 휠 조립체는 회전하는 휠과, 휠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곡선의 프레임과, 휠 및 프레임을 상호연결하는 연결부 구성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는 컨베이어 부재가 제1반전가이드축과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루프를 형성하며 순환되는 형태로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를 특정곡률을 갖는 커브를 가지며 루프를 형성하는 원형 컨베이어 벨트를 로터리 밸브에 적용하여 로터리 밸브의 클리어런스에 의한 입자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컨베이어를 적용한 밸브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5256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1515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2619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로터리 밸브의 클리어런스에 의한 입자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원형 컨베이어 밸브에 의해 이송대상입자를 수송할 수 있으며, 로드셀 및 이동속도에 따른 이송량을 제어할 수 있고 차폐벽 설치에 의해 가스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원형 컨베이어 장치,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중심축부재; 상기 중심축 부재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반전가이드축; 상기 중심축 부재 외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2반전가이드축; 및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과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내측면이 상기 중심축 부재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이동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부재는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상부에서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 상부까지 상기 중심축부재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이송공간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반전되어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 하부에서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하부까지 리턴공간을 따라 이동된 후, 제1반전가이드축에서 반전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반전가이드축은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보다 낮거나 같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중심축 부재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부재는 다수의 벨트유닛이 이송방향을 따라 연결되어지며, 상기 벨트유닛 각각의 내측면이 상기 중심축부재의 외면 곡률을 따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중심축 부재의 외면 곡률을 따라 컨베이어 부재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벨트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유닛 간 거리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반전가이드축과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컨베이어 부재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밸브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중심축부재; 상기 중심축 부재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반전가이드축; 상기 중심축 부재 외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2반전가이드축;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과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내측면이 상기 중심축 부재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이동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부재;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상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부재 측으로 이송대상입자가 공급되는 공급관; 및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컨베이어 부재가 반전되는 위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부재에 의해 이동된 이송대상입자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반전가이드축은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보다 낮거나 동일하게 위치되고, 컨베이어 부재는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상부에서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 상부까지 상기 중심축부재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이송공간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이송대상입자를 이송시키고,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반전되어 상기 이송대상입자를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시키고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 하부에서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하부까지 리턴공간을 따라 이동된 후, 제1반전가이드축에서 반전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부재는 다수의 벨트유닛이 이송방향을 따라 연결되어지며, 상기 벨트유닛 각각의 내측면이 상기 중심축부재의 외면 곡률을 따라 접촉되고, 상기 중심축 부재의 외면 곡률을 따라 컨베이어 부재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벨트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유닛 간 거리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반전가이드축과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컨베이어 부재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대상입자의 무게, 및 컨베이어 부재의 이동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컨베이어 부재의 이동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이송대상입자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부재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중심축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과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 사이에 구비되는 차폐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앞서 언급한 제1목적에 따른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공급관을 통해 이송대상입자가 공급되는 단계;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중심축 부재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반전가이드축과, 중심축 부재 외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내측면이 중심축 부재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이동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부재 상으로 상기 이송대상입자가 공급되는 단계; 구동수단에 의해 제1반전가이드축과, 제2반전가이드축이 구동되어 상기 이송대상입자가 상기 컨베이어 부재에 의해 이송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단계; 및 상기 컨베이어 부재가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반전되어 상기 이송대상입자가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 하부에서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하부까지 리턴공간을 따라 이동된 후, 제1반전가이드축에서 반전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의 작동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부재 일측에 구비된 측정부에 의해 이송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대상입자의 무게, 및 컨베이버 부재의 이동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컨베이어 부재의 이동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이송대상입자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컨베이어 장치,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및 그 작동방법에 따르면, 로터리 밸브의 클리어런스에 의한 입자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원형 컨베이어 밸브에 의해 이송대상입자를 수송할 수 있으며, 로드셀 및 이동속도에 따른 이송량을 제어할 수 있고 차폐벽 설치에 의해 가스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및 도 1b 및 도 2는 종래 컨베이어 벨트의 사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부재의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의 측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의 평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3 및 도 4는 하우징(10)과, 원형 컨베이어 장치가 분해된 상태의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100)는 하우징(10)과, 중심축 부재(20), 제1반전가이드축(21), 제2반전가이드축(22), 컨베이어 부재(30), 공급관(40), 배출관(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심축 부재(20)는 하우징(10) 내에 구비되며,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반전가이드축(21)은 중심축 부재(20) 외면 일측에 구비되며, 제2반전가이드축(22)은 중심축 부재(20) 외면 타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반전가이드축(21)과 제2반전가이드축(22)은 구동수단(33)에 의해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컨베이어 부재(30)는 제1반전가이드축(21)과 제2반전가이드축(22)의 구동에 의해, 내측면이 중심축 부재(20)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이동되어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공급관(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반전가이드축(21) 상부 측에 위치되어 컨베이어 부재(30) 측으로 이송대상입자(2)가 공급되도록 구성되고, 배출관(50)은 제2반전가이드축(22)에 의해 컨베이어 부재(30)가 반전되는 위치 하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부재(30)에 의해 이동된 이송대상입자(2)가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부재(3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반전가이드축(22)은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21) 보다 낮게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컨베이어 부재(30)는 제1반전가이드축(21) 상부에서 제2반전가이드축(22) 상부까지 중심축 부재(20)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이송공간(23)을 따라 이동되어 이송대상입자(2)를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반전가이드축(22)에 의해 반전되어 이송대상입자(2)를 배출관(50) 측으로 낙하시켜 배출시키고 제2반전가이드축(22) 하부에서 제1반전가이드축(21) 하부까지 리턴공간(24)을 따라 이동된 후, 제1반전가이드축(21)에서 반전되어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컨베이어 부재(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벨트유닛(31)이 이송방향을 따라 연결되어지며, 이러한 벨트유닛(31) 각각의 내측면이 중심축 부재(20)의 외면 곡률을 따라 접촉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중심축 부재(20)의 외면 곡률을 따라 컨베이어 부재(30)가 이동될 수 있도록 벨트유닛(31) 사이에 구비되어 벨트유닛(31) 간 거리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연결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10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10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70)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100)는 하우징(10)과 중심축 부재(20) 사이에 차폐벽(60)이 설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폐벽(60)은 컨베이어 부재(30)가 설치되지 않은 중심축 부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반전가이드축(21)과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22) 사이에 설치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구동수단(33)은 제1반전가이드축(21)과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22)을 회전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서 부재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공간(23)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대상입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71)과,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이동속도 감지부(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이러한 로드셀(71)과 이동속도 감지부(72)에서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구동수단(33)을 제어하여 컨베이어 부재(30)의 이동속도를 조절하여 이송대상입자의 이송량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100)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공급관(40)을 통해 이송대상입자가 하우징(10) 내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10) 내에 구비되는 중심축 부재(20)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반전가이드축(21)과, 중심축 부재(20) 외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2반전가이드축(22)에 의해, 내측면이 중심축 부재(20)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이동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부재(30) 상으로 이송대상입자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구동수단(33)에 의해 제1반전가이드축(21)과, 제2반전가이드축(22)이 구동되어 이송대상입자가 컨베이어 부재(30)에 의해 이송공간(23)을 따라 이송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송공간(23)은 제1반전가이드축(21) 상부에서 제2반전가이드축(22) 상부 측까지의 공간에 해당한다.
그리고 컨베이어 부재(30)가 제2반전가이드축(22)에 의해 반전되어, 이송공간(23)을 따라 이송된 이송대상입자가 낙하되어 배출관(50)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컨베이어 부재(30)는 제2반전가이드축(22) 하부에서 제1반전가이드축(21) 하부까지 리턴공간(24)을 따라 이동된 후, 제1반전가이드축(21)에서 반전되어 루프를 형성하며 순환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컨베이어 부재(30) 일측에 구비된 로드셀(71)은 이송공간(23)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대상입자의 무게를 측정하며, 이동속도 감지부(72)는 이러한 컨베이어 부재(30)의 이동속도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로드셀(71)과 이동속도 감지부(72)에서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구동수단(33)을 제어하여 컨베이어 부재(30)의 이동속도를 조절하여 이송대상입자의 이송량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컨베이어 벨트
2:이송대상입자
10:하우징
20:중심축 부재
21:제1반전가이드축
22:제2반전가이드축
23:이송공간
24:리턴공간
30:컨베이어 부재
31:벨트유닛
32:연결부
33:구동수단
40:공급관
50:배출관
60:차폐벽
70:제어부
71:로드셀
72:이동속도감지부
100: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Claims (16)

  1.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중심축부재;
    상기 중심축 부재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반전가이드축;
    상기 중심축 부재 외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2반전가이드축; 및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과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내측면이 상기 중심축 부재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이동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부재는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상부에서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 상부까지 상기 중심축부재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이송공간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반전되어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 하부에서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하부까지 리턴공간을 따라 이동된 후, 제1반전가이드축에서 반전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은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보다 낮거나 같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 부재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부재는 다수의 벨트유닛이 이송방향을 따라 연결되어지며, 상기 벨트유닛 각각의 내측면이 상기 중심축부재의 외면 곡률을 따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 부재의 외면 곡률을 따라 컨베이어 부재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벨트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유닛 간 거리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과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컨베이어 부재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장치.
  9. 밸브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중심축부재;
    상기 중심축 부재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반전가이드축;
    상기 중심축 부재 외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2반전가이드축;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과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내측면이 상기 중심축 부재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이동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부재;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상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부재 측으로 이송대상입자가 공급되는 공급관; 및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컨베이어 부재가 반전되는 위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부재에 의해 이동된 이송대상입자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은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부재는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상부에서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 상부까지 상기 중심축부재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이송공간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이송대상입자를 이송시키고,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반전되어 상기 이송대상입자를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시키고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 하부에서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하부까지 리턴공간을 따라 이동된 후, 제1반전가이드축에서 반전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부재는 다수의 벨트유닛이 이송방향을 따라 연결되어지며, 상기 벨트유닛 각각의 내측면이 상기 중심축부재의 외면 곡률을 따라 접촉되고, 상기 중심축 부재의 외면 곡률을 따라 컨베이어 부재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벨트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유닛 간 거리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과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컨베이어 부재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대상입자의 무게, 및 컨베이어 부재의 이동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컨베이어 부재의 이동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이송대상입자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부재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중심축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과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 사이에 구비되는 차폐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15. 제 9항에 따른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공급관을 통해 이송대상입자가 공급되는 단계;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중심축 부재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반전가이드축과, 중심축 부재 외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내측면이 중심축 부재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이동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부재 상으로 상기 이송대상입자가 공급되는 단계;
    구동수단에 의해 제1반전가이드축과, 제2반전가이드축이 구동되어 상기 이송대상입자가 상기 컨베이어 부재에 의해 이송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단계; 및
    상기 컨베이어 부재가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에 의해 반전되어 상기 이송대상입자가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2반전가이드축 하부에서 상기 제1반전가이드축 하부까지 리턴공간을 따라 이동된 후, 제1반전가이드축에서 반전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의 작동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부재 일측에 구비된 측정부에 의해 이송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대상입자의 무게, 및 컨베이버 부재의 이동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컨베이어 부재의 이동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이송대상입자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의 작동방법.
KR1020190117480A 2019-09-24 2019-09-24 원형 컨베이어 장치,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및 그 작동방법 KR10224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480A KR102243706B1 (ko) 2019-09-24 2019-09-24 원형 컨베이어 장치,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480A KR102243706B1 (ko) 2019-09-24 2019-09-24 원형 컨베이어 장치,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428A true KR20210036428A (ko) 2021-04-05
KR102243706B1 KR102243706B1 (ko) 2021-04-28

Family

ID=7546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480A KR102243706B1 (ko) 2019-09-24 2019-09-24 원형 컨베이어 장치,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70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6804A (en) * 1978-07-03 1980-04-08 Portec, Inc. Belt tightener for spiral conveyor belt
JPS6151349B2 (ko) * 1978-09-21 1986-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P1044901A1 (en) * 1999-04-16 2000-10-18 Alcatel Device and method for verticaly transporting articles
KR100952569B1 (ko) 2003-07-23 2010-04-12 우베 고산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1203639B1 (ko) * 2010-11-08 2012-11-23 주식회사 포스코 분체 정량 절출장치
KR101526192B1 (ko) 2013-12-13 2015-06-05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
KR101915153B1 (ko) 2017-02-06 2018-12-28 김지영 컨베이어 코너 휠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1473B (zh) * 2012-03-21 2016-10-05 莱特拉姆有限责任公司 强制驱动螺旋输送机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6804A (en) * 1978-07-03 1980-04-08 Portec, Inc. Belt tightener for spiral conveyor belt
JPS6151349B2 (ko) * 1978-09-21 1986-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P1044901A1 (en) * 1999-04-16 2000-10-18 Alcatel Device and method for verticaly transporting articles
KR100952569B1 (ko) 2003-07-23 2010-04-12 우베 고산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1203639B1 (ko) * 2010-11-08 2012-11-23 주식회사 포스코 분체 정량 절출장치
KR101526192B1 (ko) 2013-12-13 2015-06-05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반전 장치
KR101915153B1 (ko) 2017-02-06 2018-12-28 김지영 컨베이어 코너 휠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706B1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27905A (ja) コンベヤ
WO2013005763A1 (ja) ショット処理装置
JP2010215352A (ja) 仕分け装置
JP4818995B2 (ja) 両頭平面研削盤
KR102243706B1 (ko) 원형 컨베이어 장치, 원형 컨베이어 벨트 밸브 및 그 작동방법
EP2226277B1 (en) Path-changing rotational conveyor for light articles
US10300580B2 (en) Shot processing device
KR20070057588A (ko) 컨베이어 시스템과 그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US20100126826A1 (en) Package diverting mechanism for conveyor systems
WO2007037776A2 (en) Directional input device
KR20210098001A (ko) 제품 정렬 이송 장치
JP7464910B2 (ja) バキュームコンベア
JP4213794B2 (ja) ブラスト加工における被加工物の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JP4109116B2 (ja) 適量吐出装置
US6030152A (en) Pneumatic switch with repositionable conduits
JP2010149215A (ja) ブラスト装置
US2852315A (en) Material feeder
TWI637815B (zh) 珠擊處理裝置
JP7236137B2 (ja) ワーク排出機及びコンベア装置
JPS60197340A (ja) 搬送装置
JP7379873B2 (ja) 気体搬送装置
JPS63300043A (ja) ウエハ搬送装置
CN217101613U (zh) 摆动式分配带装置及包含该装置的污泥干化系统
GB2248816A (en) Pneumatically driven roller conveyor
JPS623824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