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951B1 - 분체 반송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분체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반송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분체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951B1
KR101525951B1 KR1020100109567A KR20100109567A KR101525951B1 KR 101525951 B1 KR101525951 B1 KR 101525951B1 KR 1020100109567 A KR1020100109567 A KR 1020100109567A KR 20100109567 A KR20100109567 A KR 20100109567A KR 101525951 B1 KR101525951 B1 KR 101525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developer
conveying
container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507A (ko
Inventor
가즈히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 수용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분체를 분체 배출구로 안정하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한 분체 반송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분체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분체를 수용한 분체 수용 용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따른 일 단부이며 상기 분체 수용 용기의 분체 배출구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분체를 수용하고,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수용된 분체를 상기 분체 배출구에 배출하는 분체 배출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해서 과제를 해결했다.

Description

분체 반송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분체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POWDER DELIVERY MEMBER, AND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RESPECTIVELY USING SUCH POWDER DELIVERY MEMBER}
본 발명은 분체 반송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분체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내부에 현상제(분체)를 수용한 현상제 수용 용기로부터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해, 현상제 수용 용기의 내부에 배치된 현상제 반송 부재에 의해 현상제를 교반(攪拌)하면서 현상제 배출구로 반송함으로써, 현상제를 현상 장치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4-286772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2004-354451호 공보 등에 개시된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상기 일본국 특개2004-286772호 공보에 따른 토너 공급 장치는 토너 수용실과, 이 토너 수용실에 연통하는 토너 교반실과, 이 토너 교반실로의 토너 공급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개2004-354451호 공보에 따른 현상 장치는, 현상제 수용실과, 이 현상제 수용실로부터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교반실과, 이 현상제 교반실 내에 설치된 현상제 교반 부재와, 상기 현상제 수용실과 상기 현상제 교반실을 연통하는 공급로와, 이 공급로를 통해 상기 현상제 교반실에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갖고, 이 규제 부재에 부착된 현상제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핑부를 상기 현상제 교반 부재에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2004-286772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4-354451호 공보
그런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체 수용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분체를 분체 배출구로 안정하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한 분체 반송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분체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어떤 관점에 의하면, 분체를 수용한 분체 수용 용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따른 일 단부이며 상기 분체 수용 용기의 분체 배출구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분체를 수용하고,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수용된 분체를 상기 분체 배출구에 배출하는 분체 배출부를 구비한 분체 반송 부재이다.
[2] [1]의 분체 반송 부재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의 반송 방향에 따른 하류측의 단부는, 상기 분체 배출부의 개구부의 회전 방향에 따른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3] [1] 또는 [2]의 분체 반송 부재에 있어서, 상기 분체 배출부는, 상기 분체 수용 용기의 분체 배출구를 폐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4] [1] 또는 [2]의 분체 반송 부재에 있어서, 상기 분체 배출부의 둘레 방향에 따른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확인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5] [1] 또는 [2]의 분체 반송 부재에 있어서, 상기 분체 수용 용기의 분체 배출구는, 상기 분체 배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하는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6] [1] 또는 [2]의 분체 반송 부재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의 반송 방향에 따른 상류측의 단부에는, 상기 분체 수용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분체를 교반하는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을 따라 평판 형상으로 설치된 교반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7]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내부에 분체를 수용한 분체 수용부와, 상기 분체 수용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당해 분체 수용부에 수용된 분체를 교반하면서 배출구로 반송하는 분체 반송 부재로서, [1] 또는 [2]에 기재된 분체 반송 부재를 이용한 분체 수용 용기이다.
[8]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위에 형성된 정전 현상을 현상하는 수단으로서, 분체를 표면에 유지한 분체 유지체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현상 장치 본체와, 상기 현상 장치 본체에 공급하는 분체를 수용하는 분체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 수용 용기로서 [7]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이다.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분체 수용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분체를 분체 배출구로 안정하게 반송할 수 있다.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분체를 양호한 효율로 분체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품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분체 반송 부재에 의해 분체 수용 용기의 분체 배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분체 배출부의 둘레 방향에 따른 위치의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분체 수용 용기의 분체 배출구에 분체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분체에 응집이 발생하고 있을 경우여도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분체 수용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분체를 분체 배출구로 안정하게 반송할 수 있다.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분체 수용 용기로부터 현상 장치 본체에 분체를 안정하게 공급할 수 있고, 화상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현상제 반송 부재를 적용해서 현상제 수용 용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현상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프린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현상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프린터의 화상 형성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현상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프린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현상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프린터를 나타낸 커버를 연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현상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프린터를 나타낸 커버를 연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7은 현상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현상 장치를 나타낸 분해 평면도.
도 9는 화상 형성 유닛을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10은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11은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는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13은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14는 토너 카트리지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현상제 반송 부재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16은 토너 카트리지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17은 토너 카트리지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18은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19는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20은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21은 반송용 오거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22는 흑색용 폐기 토너 반송부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23은 현상제 공급부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현상제 반송 부재 및 현상제 수용 용기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프린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또한, 도 3은 동일한 컬러 프린터의 화상 형성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 컬러 프린터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퍼스널컴퓨터나 화상 판독 장치(도시 생략)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 혹은 전화 회선이나 LAN 등을 통해 보내 오는 화상 데이터에 따라, 풀(full)컬러나 단색의 화상을 출력하는 것이다.
이 컬러 프린터의 본체(1)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컬러 프린터 본체(1)의 정면에는, 기록 용지의 급지 등을 행하기 위한 정면 커버(28)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일 측면에는, 현상제 수용 용기(분체 수용 용기)로서의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의 교환 등을 행하기 위한 측면 커버(29)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컬러 프린터 본체(1)의 상부에는, 화상이 형성된 기록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 트레이(2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컬러 프린터 본체(1)의 내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퍼스널컴퓨터(PC)(2)나 화상 판독 장치(도시 생략) 등으로부터 보내 오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셰이딩 보정, 위치 어긋남 보정, 명도/색 공간(colorspace) 변환, 감마 보정, 프레임 삭제, 색/이동 편집 등의 미리 정해진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부(3)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컬러 프린터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 처리부(3)에 의해 미리 정해진 화상 처리가 실시된 화상 데이터는, 동일한 화상 처리부(3)에 의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4색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되고,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컬러 프린터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된 화상 출력부(5)에 의해 풀컬러 화상이나 단색 화상으로서 출력된다.
상기 컬러 프린터 본체(1)의 내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4개의 화상 형성 유닛(화상 형성부)(6Y, 6M, 6C, 6K)이, 제 1 색째의 옐로우(Y)의 화상 형성 유닛(6Y)이 상대적으로 높고, 최종 색의 흑(K)의 화상 형성 유닛(6K)이 상대적으로 낮게, 수평 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예를 들면, 약 10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일정한 간격을 사이를 두고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의 경사 각도는, 약 10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보다 큰 각도거나 작은 각도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렇게,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4개의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을,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이들 4개의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을 수평으로 배치했을 경우와 비교해서,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간의 거리를 짧게 설정할 수 있어, 컬러 프린터 본체(1)의 폭을 작게 해서 가일층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이들 4개의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은, 기본적으로, 형성하는 화상의 색 이외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구별해서, 구동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속도로 회전 구동되는 상 유지체로서의 감광체 드럼(8)과, 이 감광체 드럼(8)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1차 대전용 대전 롤(9)과, 당해 감광체 드럼(8)의 표면에 미리 정해진 색에 대응한 화상을 노광해서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LED 프린트 헤드로 이루어지는 화상 노광 장치(7)와, 감광체 드럼(8)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미리 정해진 색의 토너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10)와, 감광체 드럼(8)의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 장치(1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감광체 드럼(8)으로서는, 예를 들면 직경 30mm 정도의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며, 표면에 유기 광 도전체(OPC) 등으로 이루어지는 감광체층을 피복한 것이 이용되고, 구동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또한, 상기 대전 롤(9)로서는, 예를 들면 코어(芯金)의 표면에 합성 수지나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전기 저항을 조정한 도전층을 피복한 롤 형상의 대전기(帶電器)가 이용되며, 이 대전 롤(9)의 코어에는, 미리 정해진 대전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상기 화상 노광 장치(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마다 각각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에 설치된 화상 노광 장치(7)로서는, LED 발광 소자를 미리 정해진 피치(예를 들면, 600dpi ~ 1200dpi)로 감광체 드럼(8)의 축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LED 발광 소자 어레이와, 당해 LED 발광 소자 어레이의 각 LED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出射)된 광을 감광체 드럼(8) 상에 스폿(spot) 형상으로 결상하는 로드 렌즈(rod lens) 어레이를 구비한 것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화상 노광 장치(7)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으로부터 감광체 드럼(8) 상에 화상을 주사 노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상 노광 장치(7)로서 LED 발광 소자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화상 노광 장치를 대폭 소형화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만, 화상 노광 장치(7)로서는, LED 발광 소자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하지 않고, 레이저 빔을 각 감광체 드럼(8)의 축 방향을 따라 편향 주사하는 것 등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4개의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에 대하여 1개의 화상 노광 장치(7)가 배치된다.
상기 화상 처리부(3)로부터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화상 노광 장치(7Y, 7M, 7C, 7K)에, 대응하는 색의 화상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출력되고, 이들 화상 노광 장치(7Y, 7M, 7C, 7K)로부터 화상 데이터에 따라 출사된 광속(光束)은, 대응하는 감광체 드럼(8Y, 8M, 8C, 8K)의 표면에 주사 노광되어, 화상 데이터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감광체 드럼(8Y, 8M, 8C, 8K)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10Y, 10M, 10C, 10K)에 의해,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토너 상(像)으로서 현상된다.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의 감광체 드럼(8Y, 8M, 8C, 8K)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토너 상은, 각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의 상방에 걸쳐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무단(無端)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12) 상에, 4개의 1차 전사 롤(13Y, 13M, 13C, 13K)에 의해 순차적으로 다중으로 1차 전사된다.
이 중간 전사 벨트(12)는, 복수의 롤에 의해 팽팽히 걸쳐진 무단 벨트 형상 부재이며, 당해 벨트 형상 부재의 하변(下邊) 주행 영역이, 그 주행 방향에 따른 하류측이 상대적으로 낮고, 또한 상류측이 상대적으로 높게,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중간 전사 벨트(1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차 전사부의 배면 지지 롤로서의 기능을 겸비한 구동 롤(15)과, 종동 롤(14) 사이에 미리 정해진 장력으로 걸쳐져 있고, 정속성이 우수한 구동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15)에 의해, 화살표 B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속도로 순환 구동된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12)로서는, 예를 들면 가요성을 갖는 폴리이미드나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합성 수지 필름에 의해 무단 벨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이용된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12)는, 그 하변 주행 영역에 있어서, 각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의 감광체 드럼(8Y, 8M, 8C, 8K)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전사 벨트(12)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중간 전사 벨트(12)의 주행 영역의 낮은 위치측 단부에 배치되어, 중간 전사 벨트(12) 상에 1차 전사된 토너 상을 기록 매체(16) 상에 2차 전사하는 2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2차 전사 롤(17)이, 구동 롤(15)에 의해 팽팽히 걸쳐진 중간 전사 벨트(12)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12) 상에 다중으로 전사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토너 상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롤(15)에 중간 전사 벨트(12)를 통해 접촉하는 2차 전사 롤(17)에 의해, 기록 매체로서의 기록 용지(16) 상에 2차 전사되고, 이들 각 색의 토너 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16)는, 연직 방향의 상방에 위치하는 정착 장치(18)에 반송된다. 상기 2차 전사 롤(17)은, 구동 롤(15)의 측방에 중간 전사 벨트(12)를 통해 압접되어 있고, 연직 방향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반송되는 기록 용지(16) 상에, 각 색의 토너 상을 일괄해서 2차 전사하게 되어 있다.
상기 2차 전사 롤(17)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코어의 외주에, 도전제를 첨가한 합성 고무 재료 등의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체층을 미리 정해진 두께로 피복한 것이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각 색의 토너 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16)는, 정착 장치(18)의 가열 롤(19) 및 가압 벨트(또는 가압 롤)(20)에 의해 열 및 압력으로 정착 처리를 받은 후, 배출 롤(21)에 의해 프린터 본체(1)의 상단부에 설치된 배출 트레이(22) 상에 화상 면을 아래로 한 상태로 배출된다.
상기 기록 용지(1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1) 내의 저부에 배치된 급지 트레이(23)로부터 미리 정해진 사이즈 및 재질의 것이, 급지 롤(24) 및 용지 분리 롤(25)에 의해 한 매씩 분리된 상태로 급지되며, 레지스트 롤(26)까지 일단 반송되어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급지 트레이(23)로부터 공급된 기록 용지(16)는, 중간 전사 벨트(12) 상의 토너 상과 동기해서 회전 구동되는 레지스트 롤(26)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2)의 2차 전사 위치로 송출된다. 상기 기록 용지(16)로서는, 보통지 이외에도, 표면 또는 표리(表裏) 양면에 코팅 처리가 실시된 코트지(coat paper) 등의 두꺼운 종이 등도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고, 코트지로 이루어지는 기록 용지(16)에는, 사진 화상 등도 출력된다.
또한, 토너 상의 1차 전사 공정이 종료된 감광체 드럼(8)의 표면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장치(11)에 의해 잔류 토너가 제거되어, 다음 화상 형성 공정에 대비한다. 또한, 토너 상의 2차 전사 공정이 종료된 중간 전사 벨트(12)의 표면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롤(15)의 하류측의 근방에 설치된 벨트 클리닝 장치(27)에 의해 잔류 토너 등이 제거되어, 다음 화상 형성 공정에 대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컬러 프린터에 사용되는 현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 현상 장치(1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31)과 상부 하우징(32)을 구비하고 있고, 상부 하우징(32)의 일측의 상단부에는, 개구부(33)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당해 개구부(33)에는, 현상제 유지체(분체 유지체)로서의 현상 롤(34)이 배설되어 있다. 이 현상 롤(34)은,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된 마그네트 롤(35)과, 당해 마그네트 롤(35)의 외주에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현상 슬리브(3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 롤(34)의 하방에는, 상부 하우징(32)과 조합된 하부 하우징(31)으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2 성분 현상제(37)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의 현상제 수용실(38)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32)의 내부에는, 현상 롤(34)의 표면에 공급되는 현상제(37)의 양을 규제하는 현상제 규제 부재(39)가, 현상 롤(34)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이며 개구부(33)의 근방에, 현상 롤(34)의 표면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간극을 통해 배치되어 있다. 이 현상제 규제 부재(39)는, 예를 들면 자성을 이용해서 현상 롤(34)의 표면에 공급되는 현상제(37)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니켈 등의 자성 재료에 의해 미리 정해진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31)의 내부에는,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2 성분 현상제(37)가 수용되어 있는 동시에, 당해 현상제(37)를 교반하면서 반송함으로써, 현상제(37)를 현상 롤(34)의 표면에 공급하는 제 1 교반 반송 오거(40)와, 현상제(37)를 교반하면서 반송하는 제 2 교반 반송 오거(41)가 배설(配設)되어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31)의 내부에서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실(38)은, 제 1 교반 반송 오거(40)가 수용되는 제 1 교반 반송 오거 수용실(42)과, 제 2 교반 반송 오거(41)가 수용되는 제 2 교반 반송 오거 수용실(43)로, 격벽(52)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교반 반송 오거(40, 4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축(44, 45)과, 당해 회전축(44, 45)의 외주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교반 반송용 블레이드(46, 47)로 구성되어 있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현상제(37)를 교반하면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교반 반송 오거(40, 4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회전축(44, 45)의 일 단부에 부착된 기어(48, 49)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상기 현상 장치(10)의 내부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교반 반송 오거(41)의 축 방향에 따른 일 단부측(도 9 중, 앞쪽)으로 연장 설치된 현상제 공급용 오거(50)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로부터 적어도 토너를 포함하는 새로운 현상제가 공급된다. 이 현상제 공급용 오거(50)의 단부에는, 필요에 따라, 현상제가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 방지용 블레이드(5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광체 드럼(8)의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 장치(11)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8)의 표면에 접촉하는 클리닝 블레이드(111)와, 당해 클리닝 블레이드(111)에 의해 감광체 드럼(8)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한 토너를 회수하는 회수용 오거(1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수용 오거(112)의 외주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8)측이 개구된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폐기 토너 반송 부재(113)가 피복되어 있고, 당해 폐기 토너 반송 부재(113)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선단부(66)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1)의 측면에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 장치(10)의 내부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교반 반송 오거 수용실(42)과, 제 2 교반 반송 오거 수용실(43)을 구획하는 구획판(52)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구획판(52)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 단부에는, 제 1 교반 반송 오거 수용실(42)과, 제 2 교반 반송 오거 수용실(43) 사이에서 현상제(37)를 주고받음으로써 순환시키는 순환용 통로(53, 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 장치(10)의 내부로의 새로운 현상제의 공급은, 순환용 통로(54)나 제 2 교반 반송 오거(41)의 단부에, 현상제 공급용 오거(51)에 의해 현상제를 낙하시킴으로써 행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런데,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컬러 프린터 본체(1)의 측면 커버(29)를 열면 외부에 노출되는 측면에,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적어도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61)를 수용한 현상제 수용 용기로서의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가 장착되어 있고, 이들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로부터 대응하는 색의 현상 장치(10Y, 10M, 10C, 10K)에 적어도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61)가 공급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의 내부에 현상제로서 토너(61)만이 수용되어 있지만,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현상제(61)를 수용해도 물론 된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흑(K)의 토너 카트리지(60K)는, 다른 컬러의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와 비교해서 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컬러 프린터 본체(1)의 일 측면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카트리지 격납 프레임(6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 격납 프레임(62)에는, 옐로우색, 마젠타색, 시안색 및 흑색의 각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를 장착하기 위해서, 당해 각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의 형상에 대응한 4개의 장착용 오목부(63Y, 63M, 63C, 63K)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4개의 장착용 오목부(63Y, 63M, 63C, 63K) 중, 컬러의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를 장착하는 장착용 오목부(63Y, 63M, 63C)에는, 다른 색의 토너 카트리지를 잘못해서 장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서로 형상이 상이한 오장착 방지용 돌기(64Y, 64M, 64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착용 오목부(63Y, 63M, 63C, 63K)의 내부에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현상제(61)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부(65Y, 65M, 65C, 65K)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클리닝 장치(11Y, 11M, 11C, 11K)로부터 폐기 토너를 회수하는 현상제 회수부(66Y, 66M, 66C, 66K)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현상제 회수부(66Y, 66M, 66C, 66K) 중, 흑(K)의 현상제 회수부(66K)는, 감광체 드럼(8K)의 클리닝 장치(11K)로부터 폐기 토너를 회수하는 동시에, 중간 전사 벨트(12)의 클리닝 장치(27)로부터도 폐기 토너를 회수 가능하게, 다른 현상제 회수부(66Y, 66M, 66C)와 비교해서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현상제 공급부(65Y, 65M, 65C, 65K)는, 도 6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에 설치된 후술하는 현상제 공급용 원통부를 장착하는 원통 형상의 현상제 수용부(67)와, 당해 현상제 수용부(66)의 앞쪽에 상부가 개구된 반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 도입부(6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현상제 공급부(65Y, 65M, 65C, 65K)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를 제거한 상태에서는, 현상 장치(10)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프링(160)에 의해 가압되어서, 후술하는 구동 기어(104)를 덮은 상태까지 돌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현상제 회수부(66Y, 66M, 66C, 66K)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의 클리닝 장치(11)의 앞쪽에 있어서, 장착용 오목부(63Y, 63M, 63C, 63K)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한 폐기 토너 반송 부재(113)의 선단부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현상제 회수부(66Y, 66M, 66C, 66K)의 선단부의 하단면에는, 폐기 토너의 배출구(도시 생략)가 하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런데, 이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로서의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 중,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의 컬러의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대략 직방체형의 박스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흑(K)의 토너 카트리지(60K)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컬러의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와 비교해서 폭이 넓은 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6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구별해서, 일 측면(70)이 전체 면에 걸쳐 개구되어 있는 동시에 상단부에 토너 충전용 개구부(71)를 갖고, 세로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직방체 형상의 박스체 형상으로 형성된 용기 본체(72)와, 당해 용기 본체(72)의 일 측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내측의 덮개(73)와, 당해 내측 덮개(73)의 표면에 설치되는 외측 덮개(74)와, 용기 본체(72)의 토너 충전용 개구부(71)를 막는 캡 부재(75) 및 공기 구멍을 밀봉하는 시일 부재(76)와, 당해 용기 본체(72)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상측 덮개(77)와, 상측 덮개(77)의 내부에 장착되어, 토너 카트리지(60)에 관한 데이터 등을 기억한 외부로부터 판독 가능한 기억 소자(78)와, 용기 본체(72)의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61)를 교반하면서 배출구로 반송하는 교반 반송 부재로서의 반송 오거(79)와, 용기 본체(72)의 내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탄성 부재(80)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60)의 용기 본체(72)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측면(전면(前面))에 전체 면에 걸쳐 개구된 개구부(70)가 설치된 세로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직방체 형상의 박스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용기 본체(72)의 내부는, 새로운 현상제(61)를 수용하는 새현상제 수용실(81)과, 폐기되는 현상제를 회수하는 폐기 현상제 회수실(82)에, 용기 본체(72) 내의 중간부의 한쪽 측벽(84)으로부터 다른쪽 측벽(89)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격벽(83)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 격벽(83)은, 새현상제 수용실(81)측의 격벽(83a)과, 폐기 현상제 회수실(82)측의 격벽(83b)으로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83a)은, 그 상단부가 새현상제 수용실(81)을 형성하는 한쪽의 측벽(84)의 하단부에 연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도 12 중, 비스듬히 좌측 아래쪽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당해 격벽(83a)의 하단부는, 새현상제 수용실(81)의 측벽(84)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서 폐기 현상제 수용실(82)을 형성하는 측벽(85)의 상단부와 연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측벽(85)도, 격벽(83)과 마찬가지로, 새현상제 수용실(81)측의 측벽(85a)과, 폐기 현상제 회수실(82)측의 측벽(85b)으로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새현상제 수용실(81)이 토너 카트리지(60)의 전체 길이의 약 3/4 ~ 2/3 정도를 차지하고, 폐기 현상제 수용실(82)이 약 1/4 ~ 1/3 정도를 차지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이들 새현상제 수용실(81)과 폐기 현상제 수용실(82)의 용적의 비율은, 다른 비율로 설정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폐기 현상제 수용실(82)을 설치하지 않고, 토너 카트리지(60)의 내부를 전부 새현상제 수용실(81)로 해도 된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60)의 새현상제 수용실(81) 및 폐기 현상제 수용실(82)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72)의 개구부(70)를 폐쇄하는 내측의 덮개(73)에 의해 폐쇄되는 동시에, 새현상제 수용실(81)과 폐기 현상제 수용실(82)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내측의 덮개(73)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70)의 내주 및 외주에 설치된 측벽(84)이나 격벽(83) 등으로 이루어지는 벽 부재를 통해, 초음파 용착(溶着) 등의 수단에 의해 용기 본체(72)의 개구부(70)의 전체 면을 폐쇄하도록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 때, 상기 새현상제 수용실(81)과 폐기 현상제 수용실(82)로 구획하는 격벽(83)의 이면에도, 초음파 용착 장치의 용착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새현상제 수용실(81)과 폐기 현상제 수용실(82)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83) 및 측벽(85)의 이면측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 홈(86)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도 13 중의 부호 87은, 컬러의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의 오장착 방지용 돌기(64Y, 64M, 64C)에 대응한 형상의 오목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새현상제 수용실(81)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70)를 폐쇄하는 내측의 덮개(73)를 포함한 4개의 측벽(84, 88, 89, 73)이, 그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 연직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84)은, 새현상제 수용실(81)의 상단부로부터 중간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당해 측벽(84)의 하단부에는,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격벽(83a)이 연속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격벽(83a)의 하단부는, 새현상제 수용실(81)의 폭 방향에 따른 중간에 위치해 있고, 당해 격벽(83a)의 하단부에는, 측벽(89)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짧은 측벽(85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89)과 측벽(85a)의 하단부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저벽(91)이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새현상제 수용실(81)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측벽(84, 88, 89, 73)으로 용기 본체(72)의 전체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구성된 상단부(81a)와, 한쪽 벽(89)을 향해 폭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형성된 중간부(81b)와, 한쪽 벽(89)과 측벽(85a)과 저벽(91)에 의해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하단부(81c)로 구성되어 있다. 새현상제 수용실(81)의 내부에 수용된 새로운 현상제(6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현상 장치(10)에 서서히 공급됨으로써, 그 상단부(81a)로부터 중간부(81b)를 통해 하단부(81c)로 중력에 의해 서서히 감소해 간다.
상기 새현상제 수용실(81)의 하단부(81c)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새현상제 수용실(81) 내에 수용된 현상제(61)를 교반하면서 반송하며, 하단부(81c)의 안쪽 방향의 앞쪽(개구부(70)측)의 저부에 형성된 배출구(90)로부터 현상제(61)를 외부에 공급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로서의 반송 오거(79)가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새현상제 수용실(81)의 하단부(81c)의 저부에 형성되는 배출구(9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스펀지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배출구 형성 부재(91)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 형성 부재(91)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72)의 새현상제 수용실(81)의 하단부(81c)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된 오목부(92)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당해 배출구 형성 부재(91)의 상단면은, 토너 카트리지(60)의 출하시에, 반송 오거(79)의 외주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배출구(90)를 닫은 상태로 현상제(61)의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미사용 상태에서 배출구(90)를 닫은 시일 부재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있어, 부품 수의 저감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는, 컬러 프린터의 출하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인스톨(pre-install)되어서 프린터 본체(1)에 미리 장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편의상, 배출구 형성 부재(91)의 상단면이 반송 오거(79)의 외주 형상에 대응한 오목 형상으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배출구 형성 부재(9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펀지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서, 반송 오거(79)가 배출구(90)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는, 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단면이 평탄한 상태로 복귀한다. 그 때문에, 상기 배출구 형성 부재(91)에 설치된 배출구(90)는, 반송 오거(79)의 현상제 배출부(96)(분체 배출부)가 통과할 때마다, 탄성 변형 및 복귀를 반복하기 때문에, 당해 배출구 형성 부재(91)의 상하 이동, 즉 펌프 작용에 의해 배출구(90) 내에 현상제(61)가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오거(79)는, 도 15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에 반송 방향을 따라 설치된 원기둥 형상의 회전축부(92)와, 당해 회전축부(92)의 반송 방향(축 방향)의 상류측의 단부에 설치된 원판 형상의 지지부(93)와, 회전축부(92)의 상류측에 반경 방향 바깥 쪽으로 원판 형상의 지지부(93)와 동일한 반경으로 평판 형상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교반부(94)와, 회전축부(92)의 중간부만 외주에 나선 형상으로 설치되어 현상제(61)를 반송하는 반송부로서의 반송 블레이드부(95)와, 회전축부(92)의 반송 방향에 따른 하류측에 위치하고, 현상제(61)를 상기 배출구(90) 내에 배출하는 버킷(bucket) 형상(수용기 형상)의 현상제 배출부(9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현상제 배출부(96)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부(92)의 반송 방향에 따른 하류측의 단부에, 축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선형상(扇形狀)의 측판(97, 98)과, 이들 한 쌍의 선형상의 측판(97, 98)의 외주면을 덮도록 원호 형상으로 설치된 외주판(99)과, 현상제 배출부(96)의 내부에 측판(97, 98)의 둘레 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반경 방향을 따라 설치된 구획판(100)으로, 대략 버킷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형상의 측판(97, 98)은, 그 중심각이 예를 들면 약 120도로 설정되지만, 이보다 큰 각도로 설정하거나 작은 각도로 설정해도 된다. 상기 현상제 배출부(96)의 상단면에는, 회전축부(92)의 방향으로 전체 면이 개구된 개구부(96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현상제 배출부(96)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판(99)이 배출구(91)를 폐쇄함으로써, 현상제(61)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송 블레이드부(95)의 반송 방향에 따른 상류측의 단부(95a)는,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교반부(94)에 연결되어 있어, 당해 교반부(94)에 의해 회전축부(92)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교반되어서 풀어진 현상제(61)가, 반송 블레이드부(95)의 반송 방향에 따른 상류측의 단부에 원활하게 도입되어, 반송 블레이드부(95)에 의해 반송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송 블레이드부(95)의 반송 방향에 따른 하류측의 단부(95b)는,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현상제 배출부(96)의 개구부(96a)의 둘레 방향에 따른 상류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어, 당해 반송 블레이드부(95)에 의해 회전축부(92)의 축 방향을 따라 반송된 현상제(61)가, 현상제 배출부(96)의 개구부(96a) 내에 원활하게 도입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현상제 배출부(96)는, 반송 오거(79)의 반송 블레이드부(95)에 의해 회전축부(92)의 축 방향을 따라 반송된 새로운 현상제(61)를, 대략 버킷 형상으로 형성된 당해 현상제 배출부(96)의 내부에 퍼담아, 회전축부(92)의 회전에 따라 상부로 이동한 현상제 배출부(96)로부터, 하방에 위치하는 배출구(90) 내에 새로운 현상제(61)를 압입한 상태로 공급하면서 낙하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92)의 선단부(101)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대략 D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선단부(101)에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오거(79)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제 1 구동용 기어(102)가 장착된다. 이 구동용 기어(102)에는, 제 2 구동용 기어(103)가 맞물려 있고, 당해 제 2 구동용 기어(103)는 프린터 본체(1)측에 부착된 본체측의 기어(104)가 맞물린다.
그리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타이밍으로 회전 구동되는 본체측의 기어(104)로부터 제 2 구동용 기어(103)를 통해 제 1 구동용 기어(102)에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어, 반송 오거(79)가 미리 정해진 타이밍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송 오거(79)는, 예를 들면 본체측의 기어(104)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 구동되어, 배출구 형성 부재(91)의 배출구(90)는, 반송 오거(79)의 현상제 배출부(96)에 의해 간헐적으로 개폐되는 상태로 된다. 상기 배출구 형성 부재(91)의 배출구(90)를 개폐하는 타이밍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반송 오거(79)의 1 회전을 1로 했을 경우, 열려 있는 시간이 0.3 ~ 0.5 정도의 비율로 되도록 개폐된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용 기어(102) 및 제 2 구동용 기어(103)에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오거(79)의 현상제 배출부(96)가 배출구(90)를 막은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에 의해 확인 가능하도록, 반송 오거(79)의 현상제 배출부(96)가 배출구(90)를 막은 상태에서, 제 1 구동용 기어(102) 및 제 2 구동용 기어(103)에 설치된 위치 결정 홀(151, 152)이, 덮개 부재(74)에 설치된 위치 확인용 홀(153, 154)과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로부터 공급된 새로운 현상제(61)를 배출구(90)로부터 즉시 현상 장치(10)에 공급하는 것이 아니고, 새현상제 수용실(81)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61)를, 현상 장치(10)에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수단(105)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 현상제 공급 수단(105)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의 새현상제 수용실(81)의 하방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 형상의 현상제 공급 부재(106)를 구비하고 있다.
이 현상제 공급 부재(106)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오거(79)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일 단부에는, 배출구(91)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107)가 개구되어 있다. 이 도입구(107)는, 반송 오거(79)의 대략 버킷 형상으로 형성된 배출부(96)의 원호 형상으로 설치된 외주판(99)이 배출구(91)를 폐쇄함으로써, 동시에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제 공급 부재(106)의 타 단부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구(108)가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 공급구(108)는, 현상 장치(10)의 현상제 공급용 오거(50)의 외주를 덮는 현상제 공급용 원통부(109)의 상단부에 개구된 수용구(110)와 대응한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제 공급 부재(106)의 내부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 오거(111)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공급 오거(111)는, 도 21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그 중심에 반송 방향을 따라 설치된 회전축(112)과, 당해 회전축(112)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단부에 설치된 원판 형상의 지지부(113)와, 회전축(112)의 외주에 나선 형상으로 설치된 반송 블레이드부(114)와, 회전축(112)의 반송 방향에 따른 상류측에 설치된 원판 형상의 밀봉부(115)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12)의 기단부(116)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대략 D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기단부(116)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 오거(111)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제 2 구동용 기어(103)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제 2 구동용 기어(103)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1)측에 부착된 본체측의 기어(104)가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공급 오거(111)의 회전축(112)은, 도입구(107)와 공급구(108)에 대응한 부분(112a, 112b)이 다른 부분과 비교해서 직경이 작게 설정되어 있어, 이들 도입구(107)로부터의 현상제(61)의 수용 및 공급구(108)로부터의 공급을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제 공급 부재(106) 내의 선단부에는, 도 11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구(108)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1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또한 스프링(121)에 의해 공급구(108)를 폐쇄하도록 가압되어 있고, 이 셔터 부재(12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를 프린터 본체(1)에 장착했을 때에,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1)의 현상제 공급부(65Y, 65M, 65C, 65K)의 내부에 돌출한 상태로 설치된 가느다란 축 형상의 작동용 돌기(122)에 의해 밀려서, 공급구(108)를 개방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는, 프린터 본체(1)의 클리닝 장치(11Y, 11M, 11C, 11K) 및 벨트 클리닝 장치(27)로부터 배출되는 폐기 토너를 회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기 현상제 수용실(82)의 배면측에, 프린터 본체(1)의 클리닝 장치(11Y, 11M, 11C, 11K) 및 벨트 클리닝 장치(27)로부터 배출되는 폐기 토너를 도입하는 도입구(130)가 개구되어 있다. 이 도입구(130)의 외주에는, 토너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일 부재(1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입구(130)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142)에 의해 가압되어서 제 2 셔터 부재(132)에 의해 통상은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의 폐기 토너용 도입구(13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를 프린터 본체(1)에 장착함으로써, 프린터 본체(1)측의 현상제 회수부(66Y, 66M, 66C, 66K)에 의해, 제 2 셔터 부재(132)가 내측으로 밀림으로써 개구된다.
또한, 상기 프린터 본체(1)의 흑색의 현상제 회수부(66K)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흑색의 클리닝 장치(11K)로부터의 폐기 토너 이외에, 중간 전사 벨트(12)의 벨트 클리닝 장치(27)로부터의 폐기 토너도 회수하게 되어 있다. 그 때, 상기 중간 전사 벨트(12)의 벨트 클리닝 장치(2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흑색의 클리닝 장치(11K)의 대략 바로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흑색의 현상제 회수부(66K)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12)의 벨트 클리닝 장치(27)에 의해 회수된 폐기 토너를, 중간 전사 벨트(12)의 벨트 클리닝 장치(27)의 단부와 흑색의 클리닝 장치(11K)의 단부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된 당해 흑색의 현상제 회수부(66K)에 의해 합류시켜, 흑색의 클리닝 장치(11K)의 배출용 오거에 의해 흑색의 토너 카트리지(60K)의 도입구(132)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이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가 적용된 컬러 프린터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현상제 수용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현상제 배출구로 안정하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따른 컬러 프린터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에 의해 각 색의 토너 상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이들 각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의 감광체 드럼(8) 상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 상은, 중간 전사 벨트(12) 상에 순차적으로 다중으로 1차 전사된 후, 2차 전사 위치에 있어서 중간 전사 벨트(12) 위로부터 기록 용지(16)에 일괄해서 2차 전사되며, 기록 용지(16) 위에 토너 상이 정착되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 트레이(22) 상에 배출된다.
상기 컬러 프린터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에 의해 각 색의 토너 상을 형성할 때에,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의 현상 장치(10) 내의 토너가 서서히 소비되어, 현상 장치(10) 내의 토너 농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각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의 현상 장치(10)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로부터 대응하는 색의 적어도 토너를 포함하는 새현상제(61)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 내의 새현상제(61)가 공급되어서, 새현상제 수용실 내가 비게 되었을 경우 또는 새현상제 수용실 내가 빈 것에 가까운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1)의 사이드 커버(29)를 열고, 비게 된 또는 빈 것에 가까운 상태가 된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를 프린터 본체(1)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가 프린터 본체(1)에 장착된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1)에 장착됨으로써, 반송 오거 및 공급 오거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용 기어 및 중간 기어가, 프린터 본체(1)측의 본체 기어와 맞물리는 동시에, 현상제 공급 부재(106)의 공급구가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60Y, 60M, 60C, 60K)에서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1)측의 본체측의 기어(104)를 미리 정해진 타이밍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당해 본체측의 기어(104)의 회전 구동력이 제 1 및 제 2 구동용 기어(102, 103)에 전달되어, 반송 오거(79) 및 공급 오거(111)가 회전 구동된다.
상기 반송 오거(79)가 회전 구동되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반송 오거(79)의 축 방향에 따른 상류측의 단부에 설치된 평판부(94)에 의해, 도 1 및 도 16,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현상제 수용실(81)의 저부에 위치하는 새현상제(61)가 둘레 방향을 따라 긁어내져 부서지는 동시에, 당해 평판부(94)에 의해 긁어내져 부서진 새현상제(61)는, 당해 반송 오거(79)의 축 방향에 따른 중간부에 설치된 반송용 블레이드(95)에 의해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상기 반송 오거(79)의 반송용 블레이드(95)에 의해 축 방향 하류측으로 반송된 새현상제(61)는, 반송 오거(79)의 버킷 형상으로 형성된 배출부(96)에 의해 퍼담아져서 현상제가 축적되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오거(79)의 축 방향에 따른 하류측 단부에 설치된 배출구(90)로부터 배출된다.
이렇게, 상기 반송 오거(79)는, 그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단부에, 반송 블레이드부(95)에 의해 반송되는 현상제(61)를 수용한 상태에서, 회전축부(92)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현상제 배출부(96)에 의해, 회전축부(9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반송되어, 당해 현상제 배출부(96)의 하방에 설치된 현상제 배출구(90)로부터 안정하게 공급할 수 있다.
79 : 반송 오거
90 : 배출구
92 : 회전축부
95 : 반송용 블레이드
96 : 현상제 배출부

Claims (8)

  1. 분체를 수용한 분체 수용 용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따른 일 단부이며 상기 분체 수용 용기의 분체 배출구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분체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 분체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 배출부는 외주부를 갖고,
    상기 분체 배출부는,
    축 방향에서 볼 때 외형이 선형상(扇形狀)이며, 상기 반송부의 하류측의 단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분체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수용된 분체를 상기 분체 배출구로 배출하고, 당해 분체를 배출한 후에 선형상의 상기 외주부가 상기 분체 배출구를 폐색하고,
    상기 분체 배출부가 상기 분체 배출구를 막은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분체 수용 용기의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확인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의 반송 방향에 따른 하류측의 단부는, 상기 분체 배출부의 개구부의 회전 방향에 따른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부재.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수용 용기의 분체 배출구는, 상기 분체 배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하는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부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의 반송 방향에 따른 상류측의 단부에는, 상기 분체 수용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분체를 교반하는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을 따라 평판 형상으로 설치된 교반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부재.
  7. 내부에 분체를 수용한 분체 수용부와,
    상기 분체 수용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당해 분체 수용부에 수용된 분체를 교반하면서 배출구로 반송하는 분체 반송 부재로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분체 반송 부재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수용 용기.
  8.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수단이며, 분체를 표면에 유지한 분체 유지체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현상 장치 본체와,
    상기 현상 장치 본체에 공급하는 분체를 수용하는 분체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 수용 용기로서 제 7 항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00109567A 2010-04-26 2010-11-05 분체 반송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분체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KR101525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00796A JP5003788B2 (ja) 2010-04-26 2010-04-26 現像剤搬送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現像剤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JPJP-P-2010-100796 2010-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507A KR20110119507A (ko) 2011-11-02
KR101525951B1 true KR101525951B1 (ko) 2015-06-08

Family

ID=4481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567A KR101525951B1 (ko) 2010-04-26 2010-11-05 분체 반송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분체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68221B2 (ko)
JP (1) JP5003788B2 (ko)
KR (1) KR101525951B1 (ko)
CN (1) CN102236293B (ko)
AU (1) AU2010241192B2 (ko)
TW (1) TWI4189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5179B2 (ja) * 2009-06-23 2011-05-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930565B2 (ja) * 2009-09-30 2012-05-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772205B2 (ja) * 2012-12-12 2020-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6312407B2 (ja) * 2012-12-12 2018-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5855595B2 (ja) * 2013-03-27 2016-02-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75195B2 (ja) * 2013-05-08 2017-02-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520834B2 (ja) * 2016-06-08 2019-05-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
JP6547688B2 (ja) * 2016-06-08 2019-07-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
JP6504115B2 (ja) * 2016-06-08 2019-04-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
JP6520833B2 (ja) * 2016-06-08 2019-05-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
JP6524970B2 (ja) * 2016-06-08 2019-06-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
JP6528728B2 (ja) * 2016-06-08 2019-06-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
JP2018031892A (ja) * 2016-08-24 2018-03-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容器、粉体入り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787031B2 (ja) * 2016-10-18 2020-1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ES2952326T3 (es) * 2019-09-17 2023-10-31 Canon Kk Cartucho de tóner y aparato de formación de imágenes
CN111562731A (zh) * 2020-06-09 2020-08-21 江西凯利德科技有限公司 显影剂供应装置
KR102396917B1 (ko) * 2021-08-19 2022-05-13 (주)토너월드 토너 카트리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7846A (ja) * 2003-04-17 2004-11-11 Fuji Xerox Co Ltd トナー供給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354451A (ja) * 2003-05-27 2004-12-16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85024A (ja) * 2005-04-01 2006-10-19 Sharp Corp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8170896A (ja) * 2007-01-15 2008-07-24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コンテナ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8412A (ja) * 1996-04-22 1997-11-04 Minolta Co Ltd 現像装置
JP3250094B2 (ja) 1996-11-15 2002-01-28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シール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容器
US5890040A (en) * 1997-01-14 1999-03-30 Konica Corporation Developer cartridge and developer replenishing apparatus
JP2002296882A (ja) * 2001-03-30 2002-10-09 Kyocera Mita Corp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機
JP2003280343A (ja) 2002-03-26 2003-10-02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コンテナ
JP3968659B2 (ja) 2003-03-19 2007-08-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供給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43625B2 (ja) * 2003-08-29 2009-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US7792470B2 (en) * 2007-01-15 2010-09-07 Kyocera Mita Corporation Toner container and developer replenishing device
JP4593655B2 (ja) * 2008-06-27 2010-12-08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ユニットと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7846A (ja) * 2003-04-17 2004-11-11 Fuji Xerox Co Ltd トナー供給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354451A (ja) * 2003-05-27 2004-12-16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85024A (ja) * 2005-04-01 2006-10-19 Sharp Corp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8170896A (ja) * 2007-01-15 2008-07-24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コンテ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62189A1 (en) 2011-10-27
TWI418961B (zh) 2013-12-11
CN102236293B (zh) 2015-06-24
CN102236293A (zh) 2011-11-09
JP5003788B2 (ja) 2012-08-15
KR20110119507A (ko) 2011-11-02
US8768221B2 (en) 2014-07-01
AU2010241192A1 (en) 2011-11-10
JP2011232436A (ja) 2011-11-17
TW201137543A (en) 2011-11-01
AU2010241192B2 (en)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951B1 (ko) 분체 반송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분체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KR101505913B1 (ko)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현상 장치, 화상 형성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JP5305233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98543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5824954B2 (ja) シャッター開閉機構及び現像剤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JP2019184658A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5521661B2 (ja) 現像剤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476695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37043A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20064251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5803413B2 (ja) シャッター開閉機構及び現像剤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9237223A (ja) 現像剤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10048619B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397937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82254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434399B2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ユニット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4271967A (ja) 画像形成装置
JP6860846B2 (ja)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323258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15892B2 (ja) 現像装置
CN112055835A (zh) 具有用于再填充显影剂的显影剂入口和密封显影剂入口的盖的显影盒
JP2007271844A (ja) 現像剤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008552A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9020309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214107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