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067B1 - 소결광용 원료분의 조정 방법 및 소결광용 원료분 - Google Patents

소결광용 원료분의 조정 방법 및 소결광용 원료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067B1
KR101525067B1 KR1020147028653A KR20147028653A KR101525067B1 KR 101525067 B1 KR101525067 B1 KR 101525067B1 KR 1020147028653 A KR1020147028653 A KR 1020147028653A KR 20147028653 A KR20147028653 A KR 20147028653A KR 101525067 B1 KR101525067 B1 KR 101525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iron ore
sintered
mixing ratio
sintered o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326A (ko
Inventor
켄지 오야
타카히데 히구치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4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철광석 원료 중의 입경(粒徑): 3㎜ 이상의 철광석 원료 질량 (F)와, 분(粉) 코크스 중의 입경: 3㎜ 이상의 분 코크스 질량 (C)와의 혼합 비율 [(C/F)×100]을, 2∼3%의 범위로 함으로써, 철광석의 품질에 좌우되지 않고, 소결광의 제조 효율이 우수한 소결광용 원료분을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결광용 원료분의 조정 방법 및 소결광용 원료분 {METHOD FOR ADJUSTING PRECURSOR POWDER FOR SINTERED ORE, AND PRECURSOR POWDER FOR SINTERED ORE}
본 발명은, 고로(blast furnace)용의 소결광용 원료분(precursor powder)을 조정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소결광용 원료분에 관한 것이다.
안정적이고 고효율인 고로의 조업에는, 냉간 강도나 피(被)환원성, 내환원분화성(anti-reduction-disintegration property) 등의 제(諸)특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소결광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소결광은 제조시에 있어서의 제어 항목이 많아, 완성품의 수율이나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소결광은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우선, 10㎜ 정도 이하의 입경(粒徑; particle size)의 철광석에 대하여, 응결재인 코크스나, 석회석 등의 CaO 함유 부원료, 니켈 슬러그 등의 SiO2 함유 부원료 등을 더하여 혼합하고, 여기에 적당한 수분을 더하여 드럼 믹서 등으로 혼합이나 조립(造立; granulation)을 행한다. 그 후, 얻어진 입상의(granular) 소결광용 원료는, 소결기의 팔레트 상에 분(粉) 코크스(coke breeze)와 함께 장입되어, 팔레트 상에 소결광용 원료층이 형성된다. 이어서, 소결광용 원료층에 대하여 표층부의 고체 연료를 통하여 착화(ignition)가 행해진다. 그리고, 공기의 작용에 의해, 소결광용 원료층 중의 고체 연료가 순차적으로 연소하고, 소결하여, 소결 케이크(sinter cake)가 된다. 그 소결 케이크는, 파쇄되어 정립(uniformly-sized particle)된 후, 일정 입경 이상인 것이 고로용 소결광으로서 고로에 이송된다.
즉, 소결광은, 철광석이 플럭스(flux), 즉 CaO나 SiO2 등의 슬러그 성분과 반응 용융하여, 괴상화(agglomeration)하여 생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아시아 모든 국가를 비롯한 신흥국에 있어서의 철강 재료의 수요의 성장은, 최근, 특히 눈부신 것이 있다. 그 성장에 따라서, 고로용의 소결광 및 고로용의 소결광의 원료인 철광석의 수요도 또한 계속 성장하고 있다.
전술한 철광석의 수요의 성장은, 종래에 없었던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즉, 공급되는 철광석의 품질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없게 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입도 분포의 편차가 큰 철광석 등이 공급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추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로부터의 문제점인 완성품의 수율이나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한다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 즉, 현재는, 철광석의 입도의 편차가 큰 가운데, 더욱 소결광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망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소결광을 제조할 때는, 원료 중의 분 코크스를, 소결광용 원료층 내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연소시키고 있다. 즉, 그 생산성은, 소결광용 원료층의 통과 풍량(통기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통기성은, 철광석 등의 입경에 의해 결정되는 소결 전의 냉간 통기성과, 융액의 유동을 통하여 생성되는 공기의 유로인 소결 케이크의 기공 지름에 의해 결정되는 소결 중이나 소결 후의 열간 통기성으로 크게 나누어져 있지만, 철광석 등의 입경에 의해 결정되는 소결 전의 냉간 통기성은, 전술한 광석 원료의 품질의 편차에 영향을 받기 쉬워, 최근 특히 생산성 향상에 대한 큰 과제가 되고 있었다.
그러나, 현행에서는, 상기한 과제에 대하여, 반드시 유효한 방책이 제안되고 있지는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현상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고로에 이용되는 소결광용 원료분으로서, 철광석 원료의 입경에 편차가 있어도, 소결광의 제조 효율이 우수한 소결광용 원료분의 조정 방법 및 소결광용 원료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했다. 그 결과, 소결광용 원료분에 있어서의 소정 형상의 철광석 원료의 질량과 소정 형상의 분 코크스의 질량과의 혼합비를 일정한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소결광의 제조 효율의 향상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을 인식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특히 소결 전의 냉간 통기성을, 철광석 원료의 품질(입경에 편차)에 따라서 분 코크스의 성상(property)을 바꿈으로써, 우수한 소결 팔레트 내의 소결광용 원료분(조립하여 의사 입자화(pseudo-granulation)한 소결광용 원료)의 통기성(JPU 지수)이 달성되고, 그로써 소결광의 제조 효율의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인식에 기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철광석 원료와 분 코크스와 부원료를 드럼 믹서로 혼합·조립한 후, 소결기에 장입하여 소성함으로써 고로용의 소결광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철광석 원료 중의 입경: 3㎜ 이상의 철광석 원료 질량 (F)와, 상기 분 코크스 중의 입경: 3㎜ 이상의 분 코크스 질량 (C)와의 혼합 비율 [(C/F)×100]을, 2∼3%의 범위로 조정하여 혼합·조립하는 소결광용 원료분의 조정 방법.
2. 상기 혼합 비율 [(C/F)×100]을, 2.2∼2.8%의 범위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소결광용 원료분의 조정 방법.
3. 철광석 원료와 분 코크스와 부원료로 이루어지는 고로용의 소결광용 원료분으로서,
상기 철광석 원료 중의 입경: 3㎜ 이상의 철광석 원료 질량 (F)와, 상기 분 코크스 중의 입경: 3㎜ 이상의 분 코크스 질량 (C)와의 혼합 비율 [(C/F)×100]이, 2∼3%의 범위인 소결광용 원료분.
4. 상기 혼합 비율 [(C/F)×100]이, 2.2∼2.8%의 범위인 상기 3에 기재된 소결광용 원료분.
본 발명에 따름으로써, 철광석 원료의 품질(입도 분포)에 편차가 있어도, 안정적으로 우수한 소결 팔레트 내의 소결광용 원료분의 통기성(JPU 지수)이 달성되기 때문에, 소결광의 제조 효율의 향상이 효과적으로 도모된다.
도 1은 철광석 원료와 분 코크스의 혼합 비율 [(C/F)×100]과 JPU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철광석 원료와 분 코크스와 부원료를 드럼 믹서로 혼합하여, 소결광용 원료분으로 한 후, 이 소결광용 원료분을 소결기에 장입하여 소결함으로써 고로용의 소결광을 제조하는 것이다. 그때, 특히, 이하 서술하는 바와 같이, 철광석 원료와 분 코크스를 그 입경에 착안하여,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소결시의 생산성, 즉, 이하의 (1) 식으로 구해지는 소결 팔레트 내의 소결광용 원료분의 통기성(JPU 지수: 이하 단순히, JPU라고 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JPU는 수치가 클수록 통기성이 좋은 것을 의미하며, 22 이상 정도가 소결광 제조시의 생산성의 관점에서 특히 양호하게 여겨지는 값이다.
(JPU)=[풍량(㎥/min)/소성 면적(㎡)]·[층 두께(㎜)/부압(㎜Aq)]0.6
···(1)
여기에서, 식 중,
풍량: 어떤 소성 면적에 있어서의 소결광용 원료분을 빠져 나가는 풍량,
소성 면적: 상기의 풍량을 측정한 소결광용 원료분의 적재 면적,
층 두께: 풍량을 측정한 장소의 소결광용 원료분의 층 두께,
부압: 소결광용 원료분 하부의 풍상(wind box)의 기압
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1㎜Aq=9806.38㎩이다.
본 발명에서, 입경이란, 체분급법(sieve classification method)(JIS R6001 (1998))에 의해 측정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하는 철광석 원료는, 남미산 헤마타이트 광석(hematite ore), 북미산 마그네타이트광(magnetite ore), 남미산 마그네타이트광, 호주산 피솔라이트(pisolite ore) 광석 및 마라맘바 광석(Marra Mamba ore)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철광석 원료 중의 입경: 3㎜ 이상의 철광석 원료 질량 (F)와, 분 코크스 중의 입경: 3㎜ 이상의 분 코크스 질량 (C)와의 혼합 비율 [(C/F)×100]을, 2∼3%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특징이지만, 상기 F를 구할 때의 철광석 원료의 질량에는, 반광(return ore)의 질량분을 포함하지 않고 계산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한 혼합 비율 [(C/F)×100]을 제어함으로써, 양호한 JPU를 달성하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비율이 작을 때, 즉 2 미만일 때는, 분 코크스 입도에 대하여 광석의 입도가 큰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분 코크스의 입도가 지나치게 작아지면, 소결 속도는 증가하기는 하지만, 소결 용융대의 폭도 증가하여 열간에 있어서의 통기성을 악화시킨다. 한편, 혼합 비율이 클 때, 즉 3보다도 클 때는, 분 코크스의 입도가 조립화되어 있어, 조립 과정에 있어서, 분 코크스를 핵입자로 하는 의사 입자(pseudoparticle)의 생성이 현저해진다. 분 코크스를 핵입자로 하는 의사 입자는, 분 코크스의 습윤성(wettability)이 낮기 때문에, 의사 입자의 강도가 발현되지 않아, 소결 팔레트에 장입될 때까지의 핸들링 과정에서 붕괴되기 쉽고, 그 결과, 소결 팔레트로 장입되는 의사 입자가 세립화되어 통기성을 악화시킨다.
따라서, 광석 입경에 대한 분 코크스 입경의 적정 범위가 존재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 범위는, C/F×100의 값으로 나타낼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2∼3%가 된다. 또한, 상기 C/F×100의 값의 적합 범위는, 2.2∼2.8%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원료란, 석회석 등의 CaO 함유 부원료, 니켈 슬러그 등의 SiO2 함유 부원료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제한은 없고, 통상 공지의 소결광용 원료분에 이용되는 부원료나 불가피적으로 혼합되어 버리는 불순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그 혼합 비율로서는, 소결광 중의 CaO/SiO2(=염기도)가 2.0 부근이 되도록 정해진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드럼 믹서는, 원통형 콘을 갖는 드럼 믹서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소결광용 원료분의 제조에 이용되는 통상의 드럼 믹서로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하는 소결기는, 하방 흡인의 드와이트 로이드식 소결기(Dwight Lloyd type sintering machine)가 바람직하다. 그 외, 공지의 소결광용 원료분 제조용의 소결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름으로써, 철광석 원료와 분 코크스와 부원료로 이루어지는 제조 효율이 우수한 고로용의 소결광용 원료분을 얻을 수 있다.
즉, 반광을 제외한 철광석 원료 중의 입경: 3㎜ 이상의 철광석 원료 질량 (F)와, 분 코크스 중의 입경: 3㎜ 이상의 분 코크스 질량 (C)와의 혼합 비율 [(C/F)×100]이 2∼3%, 바람직하게는 2.2∼2.8%의 범위가 되는 소결광용 원료분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특별히 정한 것 이외에, 원료분 등의 재료나 사용 설비, 그 운전 조건 등의 제조 방법은, 상법에 따르면 좋다.
(실시예)
[실시예 1]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소결광용 원료분을 조정했다. 이어서, 얻어진 소결광용 원료분을 이용하여, 하방 흡인의 드와이트 로이드식 소결기에 장입 충전(充塡)하여 소결광을 제작했다. 이 소결광용 원료분을 소결할 때의 JPU를 조사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했다.  
철광석 원료
철광석 원료의 원(原)단위: 1100∼1200(㎏/t-sr)
3㎜ 이상의 철광석 원료의 비율: 30∼40(%대(對) 장입 원료)
분 코크스
분 코크스의 원단위: 45∼50(㎏/t-sr)
3㎜ 이상의 분 코크스의 비율: 5∼20(%대 분 코크스)
혼합 비율 [(C/F)×100]: 1.2∼3.5%
부원료는, 석회석: 6∼10(%대 장입 원료)
도 1에, 3㎜ 이상의 철광석 원료와 3㎜ 이상의 분 코크스의 혼합 비율 [(C/F)×100]과 JPU의 관계를 나타낸다. 동(同)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조건을 충족하는 범위의 혼합 비율 [(C/F)×100]으로 만들어진 소결광용 원료분의 JPU는, 22 이상 정도의 양호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하여, 혼합 비율 [(C/F)×100]이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JPU가 19∼21 정도, 즉 21 이하로서, JPU에서 뒤떨어지고 있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을 실기(實機)에 이용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 소결 공정에서 사용하는 철광석 원료는, 원료 야드(raw material yard)에 있어서 자동 샘플링한 후, 일본공업규격 JIS8706에 따라 입도 분포를 측정했다.
분 코크스에 관해서는, 통상 코크스 공장에서 제조된 덩어리 코크스를 체로 거르거나, 구입 무연탄을 소결 공장에서 수용하여, 조업에 적절한 입도 분포가 될 때까지 분쇄하여 소결 공정에서 사용했다.
분쇄는, 로드 밀(rod mill), 케이지 밀(cage mill), 볼 밀(ball mill) 등의 장치를 이용했다. 이어서, 분쇄 후의 분 코크스를 벨트 컨베이어 승계부(transfer point)에 설치된 샘플러로 채취하고, 그 후, 건조기로 건조하여, 로우 탭식 체기(Ro-tap type sieve shaker)로 입도 분포를 측정했다.
본 발명에 따라, 입하한 철광석의 입도 구성, 즉 3㎜ 이상의 존재 비율에 따라서, 분 코크스의 분쇄 조건을 조정하고, 분 코크스 중의 3㎜ 이상의 존재 비율을 변경했다.
표 1에, 3㎜ 이상의 철광석 원료(광석)와 3㎜ 이상의 분 코크스의 혼합 비율 [(C/F)×100]과 JPU의 측정 결과를 병기한다. 또한, 코크스 성분을 X(㎏/t), 광석 Ⅰ 성분을 Y(㎏/t), 광석 Ⅱ 성분을 Z(㎏/t)로 하고, 코크스의 3㎜ 이상의 비율을 x(%), 광석 Ⅰ의 3㎜ 이상의 비율을 y(%), 광석 Ⅱ의 3㎜ 이상의 비율을 z(%)로 하면, C=X×x, F=Y×y+Z×z이다.
Figure 112014097191882-pct00001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조건을 충족하는 범위의 혼합 비율 [(C/F)×100]으로 만들어진 소결광용 원료분의 JPU는, 22 이상 정도의 양호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하여, 혼합 비율 [(C/F)×100]이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JPU가 19∼21 정도, 즉 21 이하로 JPU에서 뒤떨어지고 있었다.
또한, 철광석을 분급(classification)하여, 분쇄할 수 있는 라인을 갖는 경우에는, 분 코크스의 분쇄 조건뿐만 아니라, 철광석의 조립 분쇄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발명법에서 나타내는, C/F의 혼합 비율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결광의 제조 효율이 우수한 소결광용 원료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생산성 향상 외에, 통기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소결광의 덩어리 수율, 강도가 향상되고, 그 때문에, 안정적이고 고효율인 고로의 조업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철광석 원료와 분(粉) 코크스와 부원료를 드럼 믹서로 혼합·조립(造立)한 후, 소결기에 장입하여 소성함으로써 고로용의 소결광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철광석 원료 중의 입경(粒徑): 3㎜ 이상의 철광석 원료 질량 (F)와, 상기 분 코크스 중의 입경: 3㎜ 이상의 분 코크스 질량 (C)와의 혼합 비율 [(C/F)×100]을, 2∼3%의 범위로 조정하여 혼합·조립하는 소결광용 원료분의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비율 [(C/F)×100]을, 2.2∼2.8%의 범위로 하는 소결광용 원료분의 조정 방법. 
  3. 철광석 원료와 분 코크스와 부원료로 이루어지는 고로용의 소결광용 원료분으로서,
    상기 철광석 원료 중의 입경: 3㎜ 이상의 철광석 원료 질량 (F)와, 상기 분 코크스 중의 입경: 3㎜ 이상의 분 코크스 질량 (C)와의 혼합 비율 [(C/F)×100]이, 2∼3%의 범위인 소결광용 원료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비율 [(C/F)×100]이, 2.2∼2.8%의 범위인 소결광용 원료분.
KR1020147028653A 2012-03-22 2013-03-21 소결광용 원료분의 조정 방법 및 소결광용 원료분 KR101525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66244 2012-03-22
JPJP-P-2012-066244 2012-03-22
PCT/JP2013/001933 WO2013140809A1 (ja) 2012-03-22 2013-03-21 焼結鉱用原料粉の調整方法および焼結鉱用原料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326A KR20140134326A (ko) 2014-11-21
KR101525067B1 true KR101525067B1 (ko) 2015-06-02

Family

ID=49222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653A KR101525067B1 (ko) 2012-03-22 2013-03-21 소결광용 원료분의 조정 방법 및 소결광용 원료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50047466A1 (ko)
EP (1) EP2829619B1 (ko)
JP (1) JP5505579B2 (ko)
KR (1) KR101525067B1 (ko)
CN (1) CN104204242B (ko)
AU (1) AU2013236699B2 (ko)
BR (1) BR112014023430B1 (ko)
PH (1) PH12014502031B1 (ko)
TW (1) TWI471419B (ko)
WO (1) WO201314080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346A (ko) * 2003-03-20 2004-10-01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소결광의 제조방법
KR20060101864A (ko) * 2004-09-17 2006-09-26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소결광의 제조방법
KR20060120235A (ko) * 2004-10-01 2006-11-24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소결광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70688A (en) * 1929-04-08 1930-07-15 Witt Clyde C De Molding material
JPS53118215A (en) * 1977-03-26 1978-10-16 Sumitomo Metal Ind Ltd Sintering method
JPS6237325A (ja) * 1985-06-27 1987-02-18 Nippon Kokan Kk <Nkk> 焼成塊成鉱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149333A (ja) * 1986-12-15 1988-06-22 Nkk Corp 焼成塊成鉱用生ペレツトの粉コ−クス被覆方法
JPH089739B2 (ja) * 1989-08-23 1996-01-31 日本鋼管株式会社 焼成塊成鉱の製造方法
JPH08120350A (ja) * 1994-10-25 1996-05-14 Nippon Steel Corp 高温還元・軟化溶融性状の優れた焼結鉱の製造方法
JP3731361B2 (ja) * 1998-12-25 2006-01-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焼結鉱の製造方法
CN1696318A (zh) * 2000-05-29 2005-11-16 杰富意钢铁株式会社 烧结用模拟粒子原料及其制造方法
JP3879408B2 (ja) * 2001-01-31 2007-02-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焼結鉱の製造方法および焼結鉱
JP2008019455A (ja) * 2006-07-10 2008-01-31 Jfe Steel Kk 半還元焼結鉱の製造方法
JP5063978B2 (ja) * 2006-10-20 2012-10-3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焼結原料の造粒方法
CN101928824B (zh) * 2009-06-22 2013-05-01 鞍钢股份有限公司 降低烧结固体燃耗、提高强度的烧结矿生产方法
CN102206744B (zh) * 2010-03-29 2013-04-10 攀钢集团钢铁钒钛股份有限公司 一种烧结混合料制粒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346A (ko) * 2003-03-20 2004-10-01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소결광의 제조방법
KR20060101864A (ko) * 2004-09-17 2006-09-26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소결광의 제조방법
KR20060120235A (ko) * 2004-10-01 2006-11-24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소결광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23430B1 (pt) 2019-05-14
CN104204242A (zh) 2014-12-10
EP2829619A4 (en) 2015-05-27
JPWO2013140809A1 (ja) 2015-08-03
AU2013236699A1 (en) 2014-10-09
AU2013236699B2 (en) 2015-04-09
JP5505579B2 (ja) 2014-05-28
KR20140134326A (ko) 2014-11-21
CN104204242B (zh) 2016-08-24
WO2013140809A8 (ja) 2014-10-16
EP2829619A1 (en) 2015-01-28
TWI471419B (zh) 2015-02-01
US20150047466A1 (en) 2015-02-19
TW201339313A (zh) 2013-10-01
EP2829619B1 (en) 2017-03-01
PH12014502031A1 (en) 2014-11-24
WO2013140809A1 (ja) 2013-09-26
PH12014502031B1 (en) 201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068B1 (ko) 소결광용 원료분의 조정 방법 및 소결광용 원료분
CN101928824B (zh) 降低烧结固体燃耗、提高强度的烧结矿生产方法
CN101701289A (zh) 强化褐铁矿烧结的方法
US10683562B2 (en) Reduced iron manufacturing method
US20120180599A1 (en) Method for producing an agglomerate made of fine material containing metal oxide for use as a blast furnace feed material
JP6236163B2 (ja) マンガン含有合金鉄の生産方法
JP6686974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
CN102787234A (zh) 褐铁矿的高配比烧结方法
CN101994002B (zh) 尖山精矿粉与褐铁矿配矿的烧结方法
CN106480308B (zh) 一种降低烧结固体燃耗的方法
CN104120207A (zh) 一种以锡尾铁精矿和高有害元素贫杂矿配矿生产生铁的方法
KR101525067B1 (ko) 소결광용 원료분의 조정 방법 및 소결광용 원료분
JPH05263155A (ja) ライムケーキを使用した高炉原料としての焼結鉱またはペレット鉱の製造法
CN110042227A (zh) 烧结矿及其制备方法
JP7180406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
JP7024649B2 (ja) 焼結用原料の造粒方法
JPH0742519B2 (ja) 高炉用原料の事前処理方法
CN114317948A (zh) 一种提高烧结矿转鼓强度的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