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702B1 - 근적외선 조리 기구 - Google Patents

근적외선 조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702B1
KR101524702B1 KR1020120158567A KR20120158567A KR101524702B1 KR 101524702 B1 KR101524702 B1 KR 101524702B1 KR 1020120158567 A KR1020120158567 A KR 1020120158567A KR 20120158567 A KR20120158567 A KR 20120158567A KR 101524702 B1 KR101524702 B1 KR 101524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infrared ray
ray emitting
cover body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7845A (ko
Inventor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이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화 filed Critical 이정화
Priority to KR1020120158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702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47J37/0709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시 발생하는 연기 및 기름 등의 물질이 사용자에게 직접 닿는 것은 방지하여, 쾌적한 조리가 가능한 근적외선 조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흡기구에 연결되며, 하면이 개방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그릴의 적어도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체; 그릴의 적어도 하부를 커버하며,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커버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그릴로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근적외선 방출부; 및 상기 본체에 전방 지지부와 손잡이 연결부가 지지되며, 상기 전방 지지부와 손잡이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그릴을 포함하며, 상기 그릴이 근적외선 방출부에 의해서 가열될 때 발생하는 연기는 상기 흡기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커버체는 상기 본체의 상면을 덮도록 구성되는 근적외선 조리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근적외선 조리 기구{Near Infrared Ray Cooker}
본 발명은 근적외선을 활용하여 피조리물을 가열 및 조리하는 근적외선 조리 기구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근적외선 가열시 발생되는 연기 및 기름 등이 사용자에게 직접 배출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그릴이 적용 가능한 근적외선 조리 기구에 대한 것이다.
음식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구로 일반적으로 가스, 숯 및 전열선등을 활용한 조리 기구가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근적외선을 사용한 사용한 조리 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근적외선은 빛을 스팩트럼으로 분산하였을 때, 적색 외측의 적외선중 파장이 짧은 적외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근적외선을 통하여 피조리물을 가열하는 장치로는 특허문헌 1 과 같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 의 경우에 도어 내부에서 조리를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 양면을 고르게 읽히기 위하여는 도어를 개방하여 피조리물을 뒤집어야 하는데, 이때, 가열시 발생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열시 발생되는 기름 등은 내부에 잔존하기 때문에, 내부의 기름을 별도로 제거해야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64153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 시 발생하는 연기 및 기름 등의 물질이 사용자에게 직접 닿는 것은 방지하여, 쾌적한 조리가 가능한 근적외선 조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의 그릴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릴의 회전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배기를 위한 흡기공과 근적외선 방출부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게 하여 외부로의 연기의 누출이 없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근적외선 조리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흡기구에 연결되며, 하면이 개방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그릴의 적어도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체; 그릴의 적어도 하부를 커버하며,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커버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그릴로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근적외선 방출부; 및 상기 본체에 전방 지지부와 손잡이 연결부가 지지되며, 상기 전방 지지부와 손잡이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그릴을 포함하며, 상기 그릴이 근적외선 방출부에 의해서 가열될 때 발생하는 연기는 상기 흡기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커버체는 상기 본체의 상면을 덮도록 구성되는 근적외선 조리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체와 상기 본체에는 그릴의 전방 지지부와 손잡이 연결부가 삽입되는 그릴 삽입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하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배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그릴은 전방 지지부; 상기 전방 지지부에 연결되며 피조리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판 및 하판; 상기 전방 지지부와 상기 상판 및 하판에 연결되며, 상기 상판 혹은 하판 중 하나의 판이 다른 판에 대하여 회전하게 하는 회전 연결부;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상기 전방 지지부 반대측에서 연장되는 손잡이 연결부; 및 상기 손잡이 연결부에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연결부 및 상기 손잡이는 상기 상판 및 하판에 각각 연결되도록 2 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근적외선 방출부는 상기 커버체 외부에 구비된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근적외선 방출부가 방출하는 근적외선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근적외선 방출부는 상기 커버체의 흡기구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구로의 흡기통로 확보를 위하여 상기 커버체의 내면으로부터 일정거리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근적외선 방출부는 상기 그릴의 회전시 상기 그릴의 회전 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 지지부는 상기 커버체의 내면에 연결되서 상기 근적외선 방출부가 장착되며,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을 포함하는 장착부와, 상기 이동홈을 관통하여 상기 근적외선 방출부에 연결된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근적외선 방출부에는 상기 그릴의 회전시 그릴과 먼저 접촉하여, 상기 근적외선 방출부의 이동 및 그릴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는 상기 그릴의 손잡이 연결부와 상기 전방 지지대와 수평면에서 수직인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조리 시 발생하는 연기 및 기름 등의 물질이 사용자에게 직접 닿는 것은 방지하여, 쾌적한 조리가 가능한 근적외선 조리 기구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의 그릴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릴의 회전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배기를 위한 흡기공과 근적외선 방출부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게 하여 외부로의 연기의 누출이 없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릴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근적외선 방출부와 피조리물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어서 조리 응답성이 빠르며, 그에 따라서 다양한 조리가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근적외선 조리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근적외선 조리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근적외선 조리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근적외선 조리 기구의 근적외선 방출부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그릴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근적외선 조리 기구에서 그릴이 회전할 때 근적외선 방출부가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동작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3 에는 본 발명의 근적외선 조리 기구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에는 본 발명의 근적외선 조리 기구의 정면도가, 도 2 에는 본 발명의 근적외선 조리 기구의 사시도가, 도 3 에는 본 발명의 근적외선 조리 기구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3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근적외선 조리 기구는 흡기구(10)에 연결되며, 하면이 개방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그릴(50)의 적어도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체(100), 그릴(50)의 적어도 하부를 커버하며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대(210)를 포함하고, 상면이 개방된 본체(200), 상기 커버체(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그릴(50)로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근적외선 방출부(300), 및 상기 본체(200)에 전방 지지부(55)와 손잡이 연결부(54)가 지지되며, 상기 전방 지지부(55)와 손잡이 연결부(54)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그릴(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커버체(100)는 상기 그릴(50)을 중심으로 대략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흡기구(10)가 연결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상기 흡기구(10)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구성된다. 커버체(100)는 상기 흡기구(10)와 연결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는 별도의 구동수단으로 동작될 수도 있지만, 상기 커버체(100)가 도르레의 한쪽에 커버체(100)에 대응되는 중량체가 도르레 반대측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간단히 커버체(100)를 이동시키는 수동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체(100)의 커버 본체(101)의 측면에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관측부(110)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체(100)와 본체(200)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차단된 내부 공간을 관측할 수 있다.
커버체(100)의 내부 상부 중앙에는 근적외선 방출부(300)가 장착된다. 근적외선의 방출 원리 및 방출 구성은 상기 배경기술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근적외선 방출 구성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며, 근적외선 방출부(300)의 상세 구성은 도 4 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커버체(100)의 일면에는 제어부(150)가 구비되며, 제어부(150)에서는 근적외선 방출부(300)의 세기 및 가동 시간, 근적외선량 등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커버체(100)는 하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하면을 통하여 상기 본체(200)의 일부가 삽입되어,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릴(50)이 근적외선 방출부(300)에 의해서 가열될 때 피조리물에서 발생하는 연기는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상기 흡기구(10)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커버체(100)는 상기 그릴(50)의 전방 지지부(55)와 손잡이 연결부(54)에 대응되는 위치에 그릴 삽입홈(10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그릴의 하면까지 상기 커버체(100)가 커버할 수 있다.
본체(200)는 상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그릴(50)이 지지되는 그릴 삽입홈(203)을 포함한다. 본체(200)는 상기 커버체(100)와 비슷하게 대략 반구형을 가지되, 하면은 경사면(202)으로 형성되며, 경사면(202)의 단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배출구멍(220)이 형성된다. 그릴(50)에서 피조리물이 조리됨에 따라서 발생되는 기름 등이 경사면(202)을 따라서 흘러내리며 배출구멍(2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체(200)는 하부 외면에 본체(200), 그릴(50) 및 커버체(100)를 지지하게 해주는 지지대(220)를 포함하며, 배출구멍(220)의 하방에는 받침판(250)이 놓여져 근적외선 조리 기구 외부로 배출된 기름을 사용자가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본체(200) 역시 그릴 삽입홈을 포함하므로, 그릴(50)의 하면뿐만 아니라 상면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본체(200)의 개구가 커버체(100)의 내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그릴(50)을 포함한 내부 공간은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
도 4 에는 본 발명의 커버체(100)에 장착되는 근적외선 방출부(30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방출부(300)는 도 1 내지 3 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커버체(100)의 내부에서 장착부(331)를 통하여 장착된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커버체(1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3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근적외선 방출부(300)는 상기 장착부(331)에 장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 지지부(320)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동 지지부(320)는 상기 장착부(331)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332)을 통과하여 상기 근적외선 방출부(300)의 홈(323)에 장착되는 돌출부(322)와 상기 돌출부(322)의 단부에서 상기 이동홈(332)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헤드부(3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321)는 상하 방향 이외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상기 이동홈(331)을 따라서 상기 돌출부(322)가 이동됨으로써 상기 근적외선 방출부(3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적외선 방출부(300)는 그릴(50)이 회전할 때, 근적외선 방출 램프(301)가 상기 그릴(50)에 닿아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근적외선 방출 램프(301)보다 돌출된 가이드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310)는 상기 그릴(50)의 손잡이 연결부(54)와 상기 전방 지지대(55)와 수평면에서 수직인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근적외선 방출 램프(301)와 그릴(50)의 충돌을 방지한다.
도 5 에는 본 발명의 그릴(5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그릴(50)은 원형 단면을 가지고 연장된 전방 지지부(55), 상기 전방 지지부(55)에 연결되며 피조리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판(53) 및 하판(52), 상기 전방 지지부(55)와 상기 상판(53) 및 하판(52)에 연결되며, 상기 상판(53) 혹은 하판(52) 중 하나의 판이 다른 판에 대하여 회전하게 하는 회전 연결부(56), 상기 상판 및 하판(52, 53)의 상기 전방 지지부(55) 반대측에서 연장되는 손잡이 연결부(54) 및 상기 손잡이 연결부(54)에 연결된 손잡이(51)를 포함한다. 이때 상판 및 하판(52, 53)은 피조리물을 잡아줄 수 있으면서도, 피조리물에서 나오는 기름 등이 본체(200)로 낙하할 수 있도록 격자형태로 구성되어 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지지부(55)와 상기 회전 연결부(56)를 제외하고는 상판(53), 하판(52)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분리되므로, 상기 손잡이 연결부(54) 및 상기 손잡이(55)는 상기 상판 및 하판(52, 53)에 각각 연결되도록 2 피스로 구성된다. 즉, 상기 손잡이 연결부(54)는 상판(53)에 연결되는 상부 손잡이 연결부(54A)와 하판에 연결되는 하부 손잡이 연결부(54B)를 포함하며, 손잡이(51)는 상부 손잡이 연결부(54A)와 연결되는 상부 손잡이(51A)와 하부 손잡이 연결부(54B)와 연결되는 하부 손잡이(51B)를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손잡이 연결부(54A)는 상판 및 하판(52, 53)이 겹쳐졌을 때, 원형의 단면을 가지게 구성되며, 이는 손잡이(51)의 경우도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전방 지지부(55) 및 손잡이 연결부(54)가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손잡이 연결부(54) 및 손잡이(51)가 2피스가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관측부(110)로 근적외선 조리 기구의 내부를 보고 있다가 손잡이(51)를 잡고 돌림으로써 피조리물의 상하면의 고른 가열이 가능하다.
도 6 에는 본 발명의 근적외선 조리 기구에서 그릴(50)을 회전시키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근적외선 조리 기구의 커버체(100)의 내면 상부에 흡기구(10)가 연결되어 있으며, 흡기구(10)의 아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근적외선 발생부(300)가 배치된다. 따라서, 근적외선 발생부(300)가 피조리물에서 발생되는 연기의 배출 경로상에 있다. 한편, 근적외선 발생부(300)는 피조리물을 고르게 가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크기가 필요하며, 근적외선 발생부(300)는 그릴(50)의 회전 경로 상에도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히 그릴(50)로부터 떨어져 위치해야 한다(도 6 참고).
본 발명에서는 근적외선 발생부(300)와 흡기구(10)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고 근적외선 발생부(300)를 크게 하면서도, 그릴(5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근적외선 발생부(300)가 이동 지지부(320)로 연결되어 있으며, 가이드부(310)가 그릴(50)의 회전시 근적외선 램프(301)보다 먼저 그릴(50)에 닿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그릴(50)의 한가지 사이즈만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커버체(100)의 크기가 그릴(50) 대비 과도하게 크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근적외선 조리 기구는 커버체(100)와 본체(200)로 그릴(50)의 상하면을 덮은 상태에서 근적외선 발생부(300)를 통하여 조리를 하기 때문에, 그릴(50)에 수용된 피조리물에서 발생하는 연기, 기름 등이 외부로 직접 누출되지 않는다. 또한, 그릴(50)에서 발생하는 연기는 흡기구(10)를 통하여 제거되며, 그릴에서 발생하는 기름 등의 이물은 본체(200) 하면의 경사면(202)을 따라서 배출구멍(220)으로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그릴(50)은 전방 지지부(55) 및 손잡이 연결부(54)가 본체(200)에 지지되어, 손잡이(51)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그릴(50)의 피조리물을 잡은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피조리물의 상하면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공간이 차단된 상태에서 내부 공간을 확인할 수 있는 관측부(110)를 구비하여, 정확한 조리를 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흡기구 50: 그릴
54: 손잡이 연결부 55: 전방 지지부
100: 커버체 102: 그릴 삽입홈
110: 관측부 200: 본체
202: 경사면 203: 그릴 삽입홈
220: 배출구멍 300: 근적외선 방출부
320: 이동 지지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흡기구에 연결되며, 하면이 개방되어 그릴의 적어도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체;
    그릴의 적어도 하부를 커버하며,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커버체의 흡기구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구로의 흡기통로 확보를 위하여 상기 커버체의 내면으로부터 일정거리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체에는 내부 공간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관측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체 외부에 구비된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조작에 의해 방출하는 근적외선량이 조절되는 근적외선 방출부;
    상기 본체에 전방 지지부와 손잡이 연결부가 지지되며, 상기 전방 지지부와 손잡이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그릴을 포함하며,
    상기 그릴이 근적외선 방출부에 의해서 가열될 때 발생하는 연기는 상기 흡기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커버체는 상기 본체의 상면을 덮도록 구성되되,
    상기 커버체와 상기 본체에는 상기 그릴의 전방 지지부와 손잡이 연결부가 각각 삽입되는 그릴 삽입홈;
    상기 본체의 하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는 외부와 배출구멍; 및
    상기 커버체의 내면에 연결되서 상기 근적외선 방출부가 장착되며,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을 포함하는 장착부와, 상기 이동홈을 관통하여 상기 근적외선 방출부에 연결된 헤드부로 이루어진 이동지지부;로 구성되는 근적외선 조리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방출부에는 상기 그릴의 회전시 그릴과 먼저 접촉하여, 상기 근적외선 방출부의 이동 및 그릴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조리 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그릴의 손잡이 연결부와 상기 전방 지지대와 수평면에서 수직인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조리 기구.
KR1020120158567A 2012-12-31 2012-12-31 근적외선 조리 기구 KR101524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567A KR101524702B1 (ko) 2012-12-31 2012-12-31 근적외선 조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567A KR101524702B1 (ko) 2012-12-31 2012-12-31 근적외선 조리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845A KR20140087845A (ko) 2014-07-09
KR101524702B1 true KR101524702B1 (ko) 2015-06-01

Family

ID=5173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567A KR101524702B1 (ko) 2012-12-31 2012-12-31 근적외선 조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7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798Y1 (ko) * 1997-08-07 2000-01-15 차오-타 수 바베큐 그릴 및 이 바베큐 그릴을 사용하는 노 프레임
KR20050107359A (ko) * 2005-10-25 2005-11-11 김현도 근적외선을이용한회전식구이장치와구이방법
KR200441881Y1 (ko) * 2007-05-09 2008-09-16 주식회사 모닝아트 커버를 구비한 할로겐 램프 구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798Y1 (ko) * 1997-08-07 2000-01-15 차오-타 수 바베큐 그릴 및 이 바베큐 그릴을 사용하는 노 프레임
KR20050107359A (ko) * 2005-10-25 2005-11-11 김현도 근적외선을이용한회전식구이장치와구이방법
KR200441881Y1 (ko) * 2007-05-09 2008-09-16 주식회사 모닝아트 커버를 구비한 할로겐 램프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845A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38219A (zh) 烹饪设备
KR20200103506A (ko) 구이장치
KR101524702B1 (ko) 근적외선 조리 기구
JP5973376B2 (ja) 加熱調理容器
KR100881211B1 (ko) 고기 구이기
KR101064766B1 (ko) 스팀조리기기
KR101236868B1 (ko) 휴대용 숯불 구이 장치
KR101489691B1 (ko)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KR101117330B1 (ko) 근적외선 전기 오븐
KR101101487B1 (ko) 스팀조리기기
KR20100112337A (ko) 조리기기 및 스팀조리기기
KR200480272Y1 (ko) 하향식 그릴장치
KR101623599B1 (ko) 야외용 조리기기
KR200408483Y1 (ko) 숯불 로스터
KR200259785Y1 (ko) 훈연기를 가진 바베큐기
KR102008011B1 (ko) 숯불 로스터
KR101232617B1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JP6296287B2 (ja) レンジフード
KR200434659Y1 (ko) 구이장치
KR101145000B1 (ko) 조리용 랙 및 조리기기
CN217592586U (zh) 一种可透视的空气炸锅
JP6987193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823824B1 (ko) 복합 조리기기
CN210810618U (zh) 一种装配简单的空气炸锅
KR101935135B1 (ko) 난방 기능을 갖는 촛불화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