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805B1 -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805B1
KR101523805B1 KR1020107027557A KR20107027557A KR101523805B1 KR 101523805 B1 KR101523805 B1 KR 101523805B1 KR 1020107027557 A KR1020107027557 A KR 1020107027557A KR 20107027557 A KR20107027557 A KR 20107027557A KR 101523805 B1 KR101523805 B1 KR 101523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acid
component
detergent composition
manufact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619A (ko
Inventor
히데유키 카네다
료 효도
다이스케 사사키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8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93Esters;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2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 C11D3/225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etherified, e.g. CMC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2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 C11D3/227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with nitrogen-contain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을 억제할 수 있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계면활성제(A)와 아스코르빈산의 지방산 에스테르(B)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에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선택되는 적어도 1종(C)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카티온화 셀룰로오스를 또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카티온화 셀룰로오스의 카티온화도가 0.4 내지 1.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세정제 조성물{DETER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8년 6월 17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08-157714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근래, 의류는 다양화하고 있고, 그 형상이나 섬유의 구조의 차이뿐만 아니라, 색조도 다양한 것이 증가하고 있다.
의류의 색조에서는, 반복의 세탁, 또는 옥외에서의 건조(햇볕건조) 등에 의해 생기는 퇴색이 문제가 되어 있다. 이 의류에서의 퇴색은, 세탁시에 사용되는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량의 염소가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의류에서의 퇴색을 억제하기 위해, 예를 들면, 저분자량의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는 입상(粒狀)의 세탁 세정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말론산 및 말론산 아미드를 제외하는, pKa가 18 이하의 CH 산성을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의류의 변퇴색 방지제, 및 이것을 함유하는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8-53698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0-129568호 공보
요즘의 세탁기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이전에는 가정에서 평상복용의 의류와 별도로 세탁되고 있던 고급용의 의류가, 평상복용의 의류와 함께 세탁되어 햇볕 건조 된다는 생활 습관으로 변하고 있다. 그리고, 햇볕 건조에 의해, 고급용의 의류가, 일광의 영향에 의해 퇴색이 생기기 쉽게 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세탁 환경하에서도, 세탁 건조 후의 의류의 색조를 신품과 같이 유지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세탁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의류를 반복하여 세탁한 후에 햇볕 건조를 한 경우,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을 억제하는 데는 아직 불충분하였다. 그 때문에, 더한층 의류의 퇴색 억제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세정제 조성물은, 누적 세정한 때의 의류의 변퇴색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고, 세정 후에 햇볕 건조를 한 때의 일광의 영향에 의한 퇴색의 억제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고, 햇볕 건조에 의한 퇴색을 억제하는 기술로서는 부적절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을 억제할 수 있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A)와 아스코르빈산의 지방산 에스테르(B)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C)을 또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카티온화 셀룰로오스를 또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카티온화 셀룰로오스의 카티온화도가 0.4 내지 1.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의하면,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을 억제할 수 있다.
《세정제 조성물》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A)(이하 「(A)성분」이라고 한다)와 아스코르빈산의 지방산 에스테르(B)(이하 「(B)성분」이라고 한다)를 함유한다.
<(A)성분>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A)성분은 계면활성제이다.
상기 (A)성분을 함유함에 의해, 주로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성분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아니온 계면활성제, 카티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A)성분 중 아니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1) 내지 (12)에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1) 탄소수 8 내지 18의 알킬기를 갖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벤젠술폰산염(LAS 또는 ABS).
(2)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칸술폰산염.
(3) 탄소수 10 내지 20의 α-올레핀술폰산염(AOS).
(4)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황산염 또는 알켄일황산염(AS).
(5) 알킬렌옥사이드가 평균 0.5 내지 10몰 부가된, 탄소수 10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켄일기를 갖는 알켄일에테르황산염(AES) ; 단, 상기 알킬렌옥사이드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옥사이드의 어느 하나, 또는 에틸렌옥사이드(EO)과 프로필렌옥사이드(PO)가 혼재한 것(몰비로 EO/PO=0.1/9.9 내지 9.9/0.1)을 들 수 있다.
(6) 알킬렌옥사이드가 평균 3 내지 30몰 부가된, 탄소수 10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페닐에테르황산염 또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켄일기를 갖는 알켄일페닐에테르황산염 ; 단, 상기 알킬렌옥사이드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옥사이드의 어느 하나, 또는 EO와 PO가 혼재한 것(몰비로 EO/PO=0.1/9.9 내지 9.9/0.1)을 들 수 있다.
(7) 알킬렌옥사이드가 평균 0.5 내지 10몰 부가된, 탄소수 10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에테르카르본산염 또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켄일기를 갖는 알켄일에테르카르본산염 ; 단, 상기 알킬렌옥사이드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옥사이드의 어느 하나, 또는 EO와 PO가 혼재한 것(몰비로 EO/PO=0.1/9.9 내지 9.9/0.1)을 들 수 있다.
(8)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글리세릴에테르술폰산염 등의 알킬다가(多價)알코올에테르황산염.
(9) 탄소수 8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α-술포지방산염 또는 그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에스테르염(α-SF).
(10) 장쇄모노알킬인산염, 장쇄디알킬인산염 또는 장쇄세스키알킬인산염.
(11) 폴리옥시에틸렌모노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디알킬인산염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세스키알킬인산염.
(12) 탄소수 10 내지 20의 고급지방산염(비누).
아니온 계면활성제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금속염 ; 아민염, 암모늄염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금속염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아니온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LAS 또는 ABS, α-SF, 비누가 바람직하고, LAS, α-술포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염, 고급지방산의 알칼리금속염(이상, 어느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의 아니온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A)성분 중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1) 내지 (8)에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1) 탄소수 6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8의 지방족 알코올에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옥사이드가 평균 3 내지 30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몰 부가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알킬렌알켄일에테르. 이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켄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켄일에테르가 알맞은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지방족 알코올로서는, 제 1급 알코올, 제 2급 알코올을 들 수 있고, 제 1급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는, 직쇄상이라도 좋고, 분기쇄상이라도 좋다.
(2)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켄일페닐에테르.
(3) 장쇄지방산 알킬에스테르의 에스테르결합 사이에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지방산 알킬에스테르알콕실레이트.
R1CO(OA)qOR2 … (I)
[식(I)중, R1CO는, 탄소수 6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의 지방산 잔기(殘基)를 나타내고 ; OA는, 탄소수 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의 알킬렌옥사이드(예를 들면,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부가 단위를 나타내고 ; q는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3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의 수이다. R2은, 탄소수 1 내지 3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킬기를 나타낸다]
(4)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 에스테르.
(6)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7)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8)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상기한 비이온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1)에 나타내는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탄소수 12 내지 16의 지방족 알코올에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옥사이드가 평균 5 내지 20몰 부가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알킬렌알켄일에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융점이 50℃ 이하이며, 또한, HLB가 9 내지 16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켄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켄일에테르,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에 에틸렌옥사이드이 부가된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에톡실레이트,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가 부가된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에톡시프로폭실레이트 등도 알맞게 사용된다.
이들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HLB」란, Griffin의 방법에 의해 구하여진 값이다(요시다, 신도우, 오오가키, 야마나까 공동편찬, 신판 계면활성제 핸드북, 공업도서주식회사, 1991년, 제234페이지 참조).
또한, 상기한 「융점」이란, JIS K 0064-1992 「화학제품의 융점 및 용융 범위 측정 방법」에 기재되어 있는 융점 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A)성분 중 카티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1) 내지 (3)에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1) 디장쇄알킬지단쇄알킬형 4급 암모늄염.
(2) 모노장쇄알킬트리단쇄알킬형 4급 암모늄염.
(3) 트리장쇄알킬모노단쇄알킬형 4급 암모늄염.
단, 상기한 「장쇄알킬」은 탄소수 12 내지 26,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단쇄알킬」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에 더하여, 페닐기, 벤질기, 히드록시기, 히드록시알킬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탄소 원자 사이에 에테르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의 알킬기 ; 벤질기 ; 탄소수 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의 히드록시알킬기 ; 탄소수 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의 폴리옥시알킬렌기가 알맞은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이들의 카티온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A)성분 중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린계의 양성 계면활성제, 아미드베타인계의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임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의 알맞은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이들의 양성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A)성분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A)성분으로서는, 아니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아니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A)성분의 함유 비율은, 1 내지 6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이 입상 세정제 조성물인 경우는, (A)성분의 함유 비율은, 5 내지 5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내지 3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 내지 3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이 액체 세정제 조성물인 경우는, (A)성분의 함유 비율은, 10 내지 6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내지 57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20 내지 55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A)성분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세정력이 보다 향상한다.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제조시의 핸들링성이 보다 향상되고, 제조성의 면에서 양호하다.
<(B)성분>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B)성분은 아스코르빈산의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상기 (B)성분을 함유함에 의해, 주로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성분은, 예를 들면 L-아스코르빈산을, 농황산 등의 존재하에서, 지방산에 의해 에스테르화함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B)성분에는, 아스코르빈산-2-인산 에스테르를, 지방산에 의해 에스테르화 한 유도체도 포함된다.
(B)성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아스코르빈산의 2위(位), 3위, 5위 또는 6위의 수산기의 1 또는 2개 이상이 치환되어 지방산 에스테르가 된 것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아스코르빈산-2-팔미틴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빈산-6-팔미틴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빈산-2-스테아린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빈산-6-스테아린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빈산-2,6-디부틸에스테르, 아스코르빈산-2,6-디팔미틴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빈산-2,3,5,6-테트라헥실데칸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빈산-2,3,5,6-이소팔미틴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빈산-2-인산-6-팔미틴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스코르빈산의 지방산 에스테르염으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을 들 수 있다.
(B)성분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닛코케미칼주(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NIKKOL CP, NIKKOL VC-IP(이상, 상품명) ; (주)ITO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VCI-1, NET-VCIP-1, APPS-0.1(이상, 상품명) ; 소화전공(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아푸리시에(상품명) ; 도쿄화성공업제의 시약(試藥)인 6-O-팔미토일-L-아스코르빈산(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B)성분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B)성분으로서는, 아스코르빈산의 2위 또는 3위, 또는 6위의 수산기가 치환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B)성분으로서는, 아스코르빈산 팔미틴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빈산 스테아린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아스코르빈산 팔미틴산 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B)성분의 함유 비율은, 0.05 내지 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3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내지 2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B)성분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다른 성분과의 배합 발란스를 취할 수 있다.
<(C)성분>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C)(이하 「(C)성분」이라고 한다)를 또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성분을 함유함에 의해,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유로서는, 세탁할 때, (C)성분이 의류에 흡착하고, 상기 (C)성분과 함께 (B)성분도 함께 의류에 흡착한다. 이에 의해, (C)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B)성분의 의류에의 흡착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추측된다.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카티온화 셀룰로오스(이하 「(C1)」성분이라고 한다)는, 그 중량평균분자량이 1만 내지 20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만 내지 160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이 입상 세정제 조성물인 경우는, 40만 내지 160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액체 세정제 조성물인 경우는 1 내지 40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10만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의 것임에 의해,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한편, 상한치 이하의 것이면, (C1)성분 자신의 용해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C1)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표준물질을 폴리에틸렌옥시드로 하여 겔 퍼미션 크로마토그래피(GPC)로 분석을 행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C1)성분의 카티온화도는, 0.4 내지 1.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내지 0.8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임에 의해,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본 발명에서, 「카티온화도」란,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분자중에 차지한 질소의 함유률(질량%)을 의미하고, 글루코스환(環) 단위당의 질소 원자의 비율을 나타낸다. 상기 질소 원자는 카티온화제에 유래한다.
상기 카티온화도는, 그 값이 클수록(C1)성분의 카티온성이 강해지고, 수용성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티온화도는, 피세척물인 의류에의 흡착성과 관계되는 물성이다. (C1)성분에서는, 카티온화도가 0.4질량% 이상이면, 적당한 강도의 카티온성을 얻을 수 있고, (C1)성분 자체의 의류에의 흡착성이 보다 양호해지기 때문에, 이에 수반하여 (B)성분의 흡착성도 양호하게 되고,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고 생각된다. 한편, 1.2질량% 이하이면, 카티온성의 강도가 적당하게 억제되고 수용성이 너무 높아지지 않고, (C1)성분 자체의 의류에의 흡착성이 양호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B)성분의 흡착성도 양호하게 되고,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고 생각된다.
(C1)성분은,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에 산화 에틸렌을 부가시켜서 얻어지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와, 카티온화제인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를 반응시킴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C1)성분의 알맞은 것으로서는, 하기 일반식(c1-1)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 즉, (할로겐)-O-[2-히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0080712069-pct00001
[식(c1-1)중, n1은 반복 단위의 반복수를 나타내고, R3 내지 R5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하기 일반식(c1-1-1)으로 표시되는 기(基)이다]
Figure 112010080712069-pct00002
[식(c1-1-1)중,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상기 식(c1-1-1)중,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불소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을 들 수 있고, 염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c1-1)중, n1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만 내지 200만의 범위가 되는 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입상 세정제 조성물인 경우 40만 내지 160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경우 1 내지 40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10만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c1-1)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에서는, 카티온화도가 0.4 내지 1.2질량%의 범위가 되도록, R3 내지 R5이 상기 식(c1-1-1)으로 표시되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글루코스환 단위당의 상기 일반식(c1-1-1)으로 표시되는 기의 평균 갯수는 0.1 내지 0.8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내지 0.8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반식(c1-1)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에 있어서, 글루코스환 단위당의 에틸렌옥시드(EO) 치환도는, 0.3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0.7 내지 2.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 「EO 치환도」란, 셀룰로오스 원료의 글루코스환 단위당, EO로 치환된 수산기의 평균 갯수(상기 글루코스환이 갖는 3개의 수산기중, 몇개에 EO가 부가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최대 3이 된다)를 나타낸다.
또한, 글루코스환 단위당의 EO 평균 부가 몰수는, l+m+n=1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세정력의 향상, 재오염(오염의 재부착)을 억제하는 효과가 양호하기 때문에, 하한치는 1 이상이 바람직하고, 상한치는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C1)성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라이온케미컬(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레오가드GPS(카티온화도 1.8질량%), 레오가드GP(카티온화도 1.8질량%), 레오가드GP0(카티온화도 1.8질량%), 레오가드LP(카티온화도 1.0질량%), 레오가드KGP(카티온화도 1.8질량%), 레오가드MGP(카티온화도 1.8질량%), 레오가드㎖P(카티온화도 0.6질량%)(이상, 상품명) ; 동방화학공업(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카치날HC-100(카티온화도 1.0 내지 2.0질량%), 카치날HC-200(카티온화도 1.0 내지 2.0질량%), 카치날LC-100(카티온화도 0.5 내지 1.5질량%), 카치날LC-200(카티온화도 0.5 내지 1.5질량%)(이상, 상품명) ; 다우케미컬(주)사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UCARE Polymer LR400(카티온화도 0.8 내지 1.1질량%), UCARE Polymer LR30M(카티온화도 0.8 내지 1.1질량%)(이상, 상품명) 등의 시판의 것을 알맞은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판의 것에서의 상품명의 상위는, 셀룰로오스의 분자량, EO의 평균 부가 몰수 또는 카티온화도 등이 다른 것에 의한다.
(C1)성분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C1)성분의 함유 비율은, 0.1 내지 3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1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1)성분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C1)성분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를 충분히 부여할 수 있다.
또한, (C1)성분을 배합함에 의해, 의류의 유연성이나 촉감의 면에서의 개선 효과도 동시에 얻어진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이하 「(C2)」성분이라고 한다)는, 그 중량평균분자량이 5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만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만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치는, 용해성의 점에서, 12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 특히 30만 이상의 것임에 의해,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한편, 상한치 이하의 것이면, (C2)성분 자신의 용해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C2)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표준물질을 폴리에틸렌옥시드로 하여 겔 퍼미션 크로마토그래피(GPC)로 분석을 행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C2)성분의 에테르화도는, 0.2 내지 1.3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내지 0.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임에 의해,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본 발명에서, 「에테르화도」란, 글루코스환 단위당의 카르복시메틸기 또는 그 염으로 치환된 수산기의 평균 갯수(상기 글루코스환이 갖는 3개의 수산기중, 몇개가 카르복시메틸기 또는 그 염에 의해 치환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최대 3이 된다)를 나타낸다.
상기 에테르화도는, (C2)성분의 피세척물인 의류에의 흡착성, (B)성분과의 상호작용의 정도, 물에의 용해성에 관계가 있는 물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에테르화도가 0.2 이상이면, 물에의 용해성이 양호해지고, (B)성분과의 상호작용이 높아저서 효율적으로 (B)성분과 함께 의류에 흡착할 수 있다. 한편, 에테르화도가 1.3 이하이면, 의류에의 흡착성이 저하되는 일 없이, (B)성분과 상호작용하여 (B)성분과 함께 의류에 흡착한다.
(C2)성분의 알맞은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로서 펄프를 원료로 하고, 이것을 가성 소다로 처리한 후, 모노클로르아세트산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아니온성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일반식(c2-1)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 예시된다.
Figure 112010080712069-pct00003
[식(c2-1)중, n2은 반복 단위의 반복수를 나타내고, R6 내지 R8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카르복시메틸기(-CH2COO-Z+ ; Z+는 대(對) 이온이다)를 나타낸다]
상기 식(c2-1)중, n2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만 내지 120만의 범위가 되는 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만 내지 100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6 내지 R8에서, Z+는 대 이온이고, Z로서는 수소 원자 또는 금속 원자를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원자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원자 ;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 원자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Z로서는, 물에의 용해성이 보다 양호하기 때문에, 1가의 금속 원자가 바람직하고, 알칼리금속 원자가 보다 바람직하고, 나트륨이 더욱 바람직하다.
(C2)성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다이셀화학공업(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CMC 다이셀 1110, 1120, 1130, 1140, 1160, 1180, 1190, 1220, 1240, 1260, 1280, 2200, 2260, 2280, 2450, 2340(이상, 상품명) 등의 시판의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제지케미컬(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산로즈F10LC, F600LC, F1400LC, F10MC, F150MC, F1400MC, F1400MG 등의 산로즈F 시리즈 ; A02SH, A20SH, A200SH 등의 산로즈A 시리즈 ; 산로즈 SLD-F1(이상, 상품명) 등의 시판의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CMC 다이셀 1130, 1180, 1190, 1280 ; 산로즈 F1400LC, 산로즈 A20SH, 산로즈 SLD-F1(이상, 상품명)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판의 것에서의 상품명의 상위는, 셀룰로오스의 분자량 또는 에테르화도 등이 다른 것에 의한다.
(C2)성분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C2)성분의 함유 비율은, 0.1 내지 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3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내지 2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2)성분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C2)성분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제조할 때에 점도가 너무 증가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핸들링성이 보다 향상하고, 제조성의 면에서 양호하다.
또한, (C2)성분을 배합함에 의해, 세탁시에 있어서의 의류의 재오염 방지 효과도 동시에 얻어진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이하 「(C3)」성분이라고 한다)는, 셀룰로오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고, 그 수산기에서의 수소 원자의 일부가 메틸기 또는 히드록시프로필기로 치환된 유도체를 말한다.
(C3)성분은, 그 중량평균분자량이 5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만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만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치는, 용해성의 점에서, 10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인 것임에 의해,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한편, 상한치 이하의 것이면, (C3)성분 자신의 용해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C3)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표준물질을 폴리에틸렌옥시드로 하여 겔 퍼미션 크로마토그래피(GPC)-다각도 레이저광 산란 검출 장치(MALLS) 시스템을 사용함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C3)성분에서의 메톡실기는 19 내지 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9 내지 24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3)성분에서의 히드록시프로폭실기는 4 내지 1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한 「메톡실기」란, 글루코스환 단위당에 메톡실기가 부가한 비율(질량% ; 평균치)을 나타낸다.
또한, 「히드록시프로폭실기」란, 글루코스환 단위당에 히드록시프로폭실기가 부가한 비율(질량% ; 평균치)을 나타낸다.
(C3)성분에서의 글루코스환 단위당의 메톡실기 및 히드록시프로폭실기의 평균 부가 몰수의 합계는, 1.4 내지 2.3인 것이 바람직하고, 1.4 내지 1.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셀룰로오스의 글루코스환 단위당, 메톡실기로 치환된 수산기의 평균 갯수(메톡실기 치환도)는 1.4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4 내지 1.7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메톡실기 치환도」란, 셀룰로오스 원료의 글루코스환 단위당, 메톡실기로 치환된 수산기의 평균 갯수(상기 글루코스환이 갖는 3개의 수산기중, 몇개에 EO가 부가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최대 3이 된다)를 나타낸다.
(C3)성분은, 그 구조의 차이에 의해 친수·소수로 밸런스가 변화한다. 그 때문에, 상기 구조의 범위 내이면, (C3)성분의 피세척물인 의류에의 흡착성과 함께, (B)성분의 의류에의 흡착성도 높아지고,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또한, 수용성도 양호하다.
(C3)성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기 일반식(c3-1)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 예시된다.
Figure 112010080712069-pct00004
[식(c3-1)중, n3은 반복 단위의 반복수를 나타내고, R9 내지 R11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CH2 CH(CH3)O)pH(p는 글루코스환 단위당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c3-1)중, n3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만 내지 100만의 범위가 되는 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만 내지 100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반식(c3-1)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에 있어서, R9 내지 R11의 어느 하나가 -(CH2CH(CH3)O)pH인 경우, 글루코스환 단위당의 (CH2CH(CH3)O)평균 부가 몰수는 0.15 내지 0.25인 것이 바람직하다.
(C3)성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신에쓰화학공업(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메토로즈60SH4000, 60SH10000, 60SH30000, 65SH400, 65SH1500, 65SH4000, 65SH15000, 90SH400, 90SH4000, 90SH15000, 90SH30000, 90SH100000(이상, 상품명) 등의 시판의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특히 메토로즈90SH 시리즈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판의 것에서의 상품명의 상위는, 셀룰로오스의 분자량, 글루코스환 단위당의 메톡실기의 비율 또는 히드록시프로폭실기의 비율 등이 다른 것에 의한다.
(C3)성분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C3)성분의 함유 비율은, 0.1 내지 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3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내지 2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3)성분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C3)성분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제조할 때에 점도가 너무 증가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핸들링성이 보다 향상하고, 제조성의 면에서 양호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C)성분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특히 향상하기 때문에, 상기 (A)성분 및 상기 (B)성분에 더하여, (C)성분으로서 카티온화 셀룰로오스를 또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카티온화도가 0.4 내지 1.2질량%의 카티온화 셀룰로오스를 또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C)성분의 함유 비율은, 0.1 내지 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3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내지 2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성분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C)성분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다른 성분과의 배합 발란스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이면,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형태는, 분말상, 입상, 정제라도 좋고, 액체나 겔상이라도 좋다. 분말, 입상인 경우는 부피밀도 500 내지 1200g/ℓ,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000g/ℓ, 평균 입경 150 내지 70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6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550㎛이, 간편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액체 또는 겔상 세정제인 경우는 물을 10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것이, 저장 안정성의 점에서 양호하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는, 상기 (A) 내지 (C)성분 이외에 필요에 응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그 밖의 성분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세정성 빌더, 형광 증백제, 효소, 효소 안정제, 폴리머류, 케이킹 방지제, 소포제, 환원제, 금속이온 포착제, pH 조정제, 항료,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세정성 빌더)
세정성 빌더로서는, 무기 빌더 및 유기 빌더를 들 수 있다.
무기 빌더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 나트륨, 탄산 칼륨, 중탄산 나트륨, 세스키탄산 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 탄산염 ; 아황산 나트륨, 아황산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아황산염 ; 결정성 층상 규산 나트륨[예를 들면, 쿠라리안토자판사제의 상품명 「Na-SKS-6」(δ-Na2O·2SiO2) 등의 결정성 알칼리금속 규산염], 비정질 알칼리금속 규산염 ; 황산 나트륨, 황산 칼륨 등의 황산염 ;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염화물 ; 오르도인산염, 피로인산염, 트리폴리인산염, 메타인산염, 헥사메타인산염, 피틴산염 등의 인산염 ; 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 무정형 알루미노규산염, 탄산 나트륨과 비정질 알칼리금속 규산염의 복합체(예를 들면, Rhodia사의 상품명 「NABION15」)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빌더중에서도, 탄산 나트륨, 알루미노규산염, 황산 나트륨 또는 용해성 향상의 효과를 겸비한 것으로서 칼륨염(탄산 칼륨, 황산 칼륨 등) 또는 알칼리금속 염화물(염화 칼륨, 염화 나트륨 등)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노규산염으로서는, 결정성, 비정질(무정형)의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고, 카티온 교환능의 점에서 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이 바람직하다.
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으로서는, A형, X형, Y형, P형 제오라이트 등이 알맞게 배합할 수 있고, 평균 1차 입경은 0.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의 함유 비율은, 1 내지 40질량%가 바람직하고, 세정 성능 및 유동성 등의 분체 물성의 점에서 2 내지 3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탄산 칼륨을 배합하는 경우, 그 함유 비율은, 용해성 향상의 효과의 점에서, 세정제 조성물중에, 1 내지 15질량%가 바람직하고, 2 내지 12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12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알칼리금속 염화물을 배합하는 경우, 그 함유 비율은, 용해성 향상의 효과의 점에서, 세정제 조성물중에, 1 내지 10질량%가 바람직하고, 2 내지 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7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결정성 알칼리금속 규산염을 배합하는 경우, 그 함유 비율은, 세정 성능의 점에서, 세정제 조성물중에, 0.5 내지 40질량%가 바람직하고, 1 내지 2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2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5 내지 15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 빌더로서는, 예를 들면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염,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 β-알라닌디아세트산염, 아스파라긴산 디아세트산염, 메틸글리신디아세트산염, 이미노디호박산염 등의 아미노카르본산염 ; 세린디아세트산염, 히드록시이미노디호박산염, 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3아세트산염, 디히드록시에틸글리신염 등의 히드록시아미노카르본산염 ; 히드록시아세트산염, 주석산염, 구연산염, 글루콘산염 등의 히드록시카르본산염 ; 피로메릿산염, 벤조폴리카르본산염, 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본산염 등의 시클로카르본산염 ; 카르복시메틸타르트로네이트, 카르복시메틸옥시숙시네이트, 옥시디숙시네이트, 주석산 모노숙시네이트, 주석산 디숙시네이트 등의 에테르카르본산염 ;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산-알릴알코올 공중합체의 염, 아크릴산-말레인산 공중합체의 염, 폴리글리옥실 산 등의 폴리아세탈카르본산의 염 ; 히드록시아크릴산 중합체, 다당류-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염 ; 말레인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테트라메틸렌1,2-디카르복실산, 호박산, 아스파라긴산 등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염 ; 전분, 아밀로오스, 펙틴 등의 다당류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빌더중에서도, 구연산염, 아미노카르본산염, 히드록시아미노카르본산염,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산-말레인산 공중합체의 염, 폴리아세탈카르본산의 염이 바람직하다. 특히, 히드록시이미노디호박산염,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80000의 아크릴산-말레인산 공중합체의 염, 폴리아크릴산염, 중량평균분자량이 800 내지 1000000(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200000)의 폴리글리옥실산 등의 폴리아세탈카르본산염(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54-52196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맞다.
유기 빌더의 함유 비율은, 세정제 조성물중, 0.1 내지 20질량%가 바람직하고, 1 내지 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2 내지 5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성 빌더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정성 빌더중에서도, 세정력, 세탁액중에서의 더러워진 부분 산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구연산염, 아미노카르본산염, 히드록시아미노카르본산염,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산-말레인산 공중합체의 염, 폴리아세탈카르본산의 염 등의 유기 빌더와, 제오라이트, 탄산 나트륨, 탄산 칼륨 등의 무기 빌더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세정성 빌더의 함유 비율은, 충분한 세정 성능을 부여하는 점에서, 0.1 내지 80질량%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8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7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형광 증백제)
형광 증백제로서는, 예를 들면 4,4'-비스-(2-술포스티릴)-비페닐염, 4,4'-비스-(4-클로로-3-술포스티릴)-비페닐염, 2-(스티릴페닐)나프토티아졸 유도체, 4,4'-비스(트리아졸-2-일)스틸벤 유도체, 비스-(트리아지닐아미노스틸벤)디술폰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형광 증백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형광 증백제의 함유 비율은, 0.001 내지 1질량%가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호와이텍스SA, 호와이텍스SKC(이상, 상품 ; 스미토모화학(주)제) ; 치노팔AMS-GX, 치노팔DBS-X, 치노팔CBS-X(이상, 상품명 ; 치바·재팬(주)제) ; LemoniteCBUS-3B(상품명 ; Khyati Chemicals제) 등이 알맞은 것으로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치노팔CBS-X, 치노팔AMS-GX가 보다 바람직하다.
(효소)
효소로서는, 효소의 반응성으로부터 분류하면, 하이드로라제류, 옥시도레덕타제류, 리아제류, 트란스페라제류, 또는 이소메라제류를 들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어느것도 적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로테아제, 에스테라제, 리파제, 뉴클레아제, 셀룰라제, 아밀라제, 펙티나제 등이 바람직하다.
프로테아제의 구체예로서는, 펩신, 트립신, 키모트립신, 콜라게나제, 케라티나제, 에라스타제, 수브틸리신, 파파인, 프로멜린, 카르복시펩티다제A 또는 B, 아미노펩티다제, 아스페르길로펩티다제A 또는 B 등을 들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사비나제, 알카라제, 칸나제, 에바라제, 데오자임(이상, 상품명 ; 노보자임즈재팬주식회사제) ; API21(상품명, 소화전공(주)제) ; 마쿠사칼, 마쿠사펨(이상, 상품명 ; 제넨코아사제) ; 프로테아제K-14 또는 K-16(일본 특개평5-25492호 공보에 기재된 프로테아제)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라제의 구체예로서는, 가스트릭리파제, 판크레아틱리파제, 식물(植物)리파제류, 포스포리파제류, 콜린에스테라제류, 포스포타제류 등을 들 수 있다.
리파제의 구체예로서는, 리포라제, 라이펙스(이상, 상품명 ; 노보자임즈재팬주식회사제), 리포삼(상품명, 소화전공(주)제) 등의 시판의 리파제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라제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품의 셀클린, 셀자임(이상, 상품명, 노보자임즈재팬주식회사제) ; 알칼리셀룰라제K, 알칼리셀룰라제K-344, 알칼리셀룰라제K-534, 알칼리셀룰라제K-539, 알칼리셀룰라제K-577, 알칼리셀룰라제K-425, 알칼리셀룰라제K-521, 알칼리셀룰라제K-580, 알칼리셀룰라제K-588, 알칼리셀룰라제K-597, 알칼리셀룰라제K-522, CMC아제I, CMC아제Ⅱ, 알칼리셀룰라제E-Ⅱ, 및 알칼리셀룰라제E-Ⅲ(이상, 일본 특개소63-264699호 공보에 기재된 셀룰라제) 등을 들 수 있다.
아밀라제로서는, 시판의 타마밀, 듀라밀(이상, 상품명 ; 노보자임즈재팬주식회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효소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효소는, 별도 안정한 입자로서 조립(造粒)한 것을, 세정제 생지(生地)(입자)에 드라이 블렌드한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효소 안정제)
효소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칼슘염, 마그네슘염, 폴리올, 포름산, 붕소 화합물 등을 배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4붕산 나트륨, 염화 칼슘 등이 바람직하다.
효소 안정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효소 안정제의 함유 비율은, 0.05 내지 2질량%가 바람직하다.
(폴리머류)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예를 들면 입상 세정제 조성물인 경우, 세정제 입자를 고밀도화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바인더 또는 분체 물성 조정제로서, 또는 소수성 미립자(오염)에 대한 재오염 방지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200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중량평균분자량 1000 내지 100000의 아크릴산 및/또는 말레인산 폴리머의 염, 폴리비닐 알코올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오염 방출제로서 테레프탈산에 유래하는 반복 단위와, 에틸렌글리콜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에 유래하는 반복 단위와의 코폴리머, 또는 터폴리머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색 변화 방지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머류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상기 폴리머류의 함유 비율은, 0.05 내지 5질량%가 바람직하다.
(케이킹 방지제)
케이킹 방지제로서는, 파라톨루엔술폰산염, 크실렌술폰산염, 아세트산염, 술포호박산염, 활석, 미분말 실리카, 점토, 산화 마그네슘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소포제)
소포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예를 들면 실리콘/실리카계의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소포제는, 하기한 소포제 조립물(造粒物)을 사용하여도 좋다.
[소포제 조립물의 제조 방법]
우선, 말토덱스트린(상품명, 일전화학주식회사제 ; 효소 변성 덱스트린) 100g에, 소포제 성분으로서 실리콘(콤파운드형, 상품명 : PS안티폼, 다우코닝사제) 20g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균질 혼합물을 얻는다. 다음에, 얻어진 균질 혼합물 50질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PEG-6000, 융점 58℃) 25질량%와, 중성무수망초 25질량%를 70 내지 80℃로 혼합한 후, 압출 조립기(형식 EXKS-1, 후지파우달주식회사제)에 의해 조립하여, 소포제 조립물을 얻는다(일본 특개평3-186307호 공보 참조).
(실리콘)
실리콘으로서는, 섬유 제품에 흡착한 때에, 유연성, 매끄러움, 드레이프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섬유 처리에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 화합물로서는, 디메틸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고급지방산 변성 실리콘, 메틸하이드로디엔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에폭시 변성 실리콘, 카르복시 변성 실리콘, 카르비놀 변성 실리콘, 및 아미노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실리콘 화합물의 분자 구조는, 직쇄상이라도 분기나 가교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변성 실리콘 화합물은 1종류의 유기 관능기에 의해 변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의 유기 관능기에 의해 변성되어 있어도 좋다. 비이온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디메틸실리콘, 카르비놀 변성 실리콘, 에폭시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들 수 있고,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리콘의 함유량은, 세정제 조성물중, 0.1 내지 3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의 글리콜류 ;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2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4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글리콜류 ;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알킬에테르류 등의 수혼화성(水混和性)의 유기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제의 함유량은, 세정제 조성물중, 0.1 내지 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원제)
환원제로서는, 아황산 나트륨, 아황산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이온 포착제)
금속이온 포착제는, 수도물중의 미량의 금속 이온 등을 포착하고, 상기 금속 이온의 섬유(피세척물)에의 흡착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금속이온 포착제로서는, 상기 세정성 빌더에 포함되는 것 외에,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 니트릴로3아세트산, 글리콜에틸렌디아민6아세트산 등의 아미노폴리아세트산류 ;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HEDP-H), 에탄-1,1-디포스폰산, 에탄-1,1,2-트리포스폰산, 히드록시에탄-1,1,2-트리포스폰산, 에탄-1,2-디카르복시-1,2-디포스폰산, 히드록시메탄포스폰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니트릴로트리(메틸렌포스폰산), 2-히드록시에틸이미노디(메틸렌포스폰산), 헥사메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폰산) 등의 유기 포스폰산 유도체 또는 그 염 ; 디글리콜산산, 구연산, 주석산, 옥살산, 글루콘산 등의 유기산류 또는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이온 포착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금속이온 포착제의 함유 비율은, 0.1 내지 5질량%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3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0.1질량% 이상이면, 수도물중의 금속 이온을 포착한 효과가 향상한다. 한편, 5질량% 이하이면, 금속 이온을 포착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진다.
(pH 조정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그 수용액의 pH가 특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입상 세정제 조성물인 경우, 세정 성능의 점에서, 세정제 조성물의 1질량% 수용액(25℃)에서의 pH가 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1질량% 수용액에서의 pH가 9 내지 1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pH가 8 이상임에 의해, 세정 효과가 발휘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이 액체 세정 조성물인 경우, 25℃에서의 pH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0.5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이다.
상기 범위 내의 pH이면, 조성물 중에서의 효소의 안정성이 얻어지기 쉽다.
세정제 조성물의 pH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로서는, 통상, 알칼리제에 의해 pH 조정을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칼리제로서는, 상기 세정성 빌더에 기재된 알칼리제 외에,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카놀아민 ;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물에의 용해성 및 알칼리도의 점에서, 탄산 나트륨과 규산 나트륨과 물과의 비율이 55/29/16(질량비)의 혼합물인 NABION15(상품명, 로디아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제 조성물의 1질량% 수용액의 pH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산 등을 사용하여 상기 pH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산으로서는, 상기 금속이온 포착제, 인산 2수소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인산 2수소염, 젖산, 호박산, 사과산, 글루콘산, 또는 그들의 폴리카르본산, 구연산, 탄산 수소나트륨, 황산, 염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정시에 섬유의 오염에 유래하는 산성분에 의한 pH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완충제의 사용도 가능하다.
상기 pH 조정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항료)
본 발명에서의 항료는, 항료 성분, 용제, 항료 안정화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항료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항료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2-146399호 공보, 일본 특개2003-89800호 공보에 기재된 모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항료의 함유 비율은, 0.001 내지 2질량%가 바람직하고, 0.01 내지 1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색소)
본 발명에서는, 세정제 조성물 또는 그 수용액의 외관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염료, 안료 등의 각종 색소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존 안정성의 점에서 안료가 바람직하고, 내산화성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색소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물 등을 들 수 있고, 알맞은 것으로서 산화 티탄, 산화 철, 구리프탈로시아닌, 코발트프탈로시아닌, 군청(群靑), 감청(紺靑), 시아닌블루, 시아닌그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도, 소일 릴리스 폴리머, 안식향산 나트륨, 롬·앤드·하스사제의 케이송CG(상품명) 등의 방부제, 하이도로트로프제, 이염(移染) 방지제, 진주(펄)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등의 산화 방지제, 유탁화제 등의 첨가제, 및 물 등의 용매를 배합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형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분말, 성형물 등의 고체상이라도 좋고, 액체상이라도 좋다. 그 중에서도, 고체상이 바람직하고, 분말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입상 세정제용으로서 알맞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종래 공지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의 형태가 분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와 다른 원료를 물에 분산·용해하고 분무 건조하는 방법이나, 날화·압출, 교반 조립, 전동 조립 등의 장치에 제공하여, 날화나 조립, 압축성형 등을 행하고, 또한 필요에 응하여 분쇄 등을 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B)성분의 배합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세정제 조성물의 형태가 분말인 경우, (a) 분무 건조 입자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슬러리를 조제할 때, (B)성분을, 알칼리제 성분이나 세정성 빌더 성분과 함께 예비 혼합하는 방법 ; (b) 분무 건조 입자와 그 밖의 원료를 날화 또는 교반 조립할 때에 첨가하여 혼련하는 방법 ; (c) 원료 분체인 채로 후 혼합(전동 혼합)할 때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양호하기 때문에, 방법(b)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C)성분의 배합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세정제 조성물의 형태가 분말인 경우, 상기 방법(a) 내지 (c)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 본 발명의 효과의 균일성의 관점에서, 방법(a) 또는 방법(b)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의 형태가 액체인 경우는, 알맞게는 물을 용제로 하여, 일상 방법에 의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의하면,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유로서는,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은, 세탁할 때, 수도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량의 염소가 의류에 잔존하고, 햇볕 건조할 때에 조사되는 일광의 영향에 의해, 상기 염소분이 산화하여 의류를 탈색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A)와 아스코르빈산의 지방산 에스테르(B)를 함유한다. 그리고, 세탁할 때, 주로, (B)성분이 의류에 흡착하여 상기 염소분에 작용함에 의해 상기 산화가 일어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이 억제된다고 추측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B)성분(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세탁할 때,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염에 비교하여, 의류에의 흡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높다고 추측된다. 또한, (B)성분은, 수용성도 양호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는 특히 거절이 없는 한 질량%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카티온화 셀룰로오스의 중량평균분자량, 카티온화도, 고형분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각각 측정하였다.
(중량평균분자량의 측정)
표준물질을 폴리에틸렌옥시드로 하여 겔 퍼미션 크로마토그래피(GPC)로 분석을 행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분석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GPC 분석 조건]
이동상(移動相) : 0.3M NaClO4, 0.02% NaN3 수용액
유속 : 1.0㎖/min
시료 농도 : 0.05 내지 0.1질량%(0.3M NaClO4, 0.02% NaN3 수용액)
주입량 : 300㎕
송액 펌프 : Shodex DS-4(상품명, 소화전공제)
디개서(degasser) : ERC3115(상품명, ERC사제)
칼럼 온도 : 40℃
칼럼 : TSKgel α-M×2+α2500(상품명, 동소(주)제)
프레칼럼 : TSKguardcolumnα(상품명, 동소(주)제)
RI 검출기 : Shodex RI-71(상품명, 소화전공제)
표준물질 : 폴리에틸렌옥시드(폴리머스탠더드서비스사제)
(카티온화도의 측정)
일본공정서협회편 「화장품원료기준 제 2법 주해 Ⅱ-1984-제 5쇄(刷)」(1992년)의 1433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는 질소 정량법에 따라, 분해 장치로서 미크로켈달 질소 분해기 전열식(상품명 : ME-6형, 시바타과학제), 증류 장치로서 질소 증류 장치(상품명 : B-323형, BUCHI(시바타과학)제)를 사용하여, 켈달법으로 산출하였다.
(고형분의 측정)
의약부외품원료규격에 준거한 시험법으로 건조 감량을 측정하고, 이 건조 감량으로부터 고형분을 산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중량평균분자량의 측정)
표준물질을 폴리에틸렌옥시드로 하여 겔 퍼미션 크로마토그래피(GPC)-다각도(多角度) 레이저광 산란 검출 장치(MALLS)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석을 행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분석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GPC 분석 조건]
용리액 : 0.1M NaNO3
유속 : 1.0㎖/min
시료 농도 : 0.02 내지 0.3질량%(용매는 0.1M NaNO3)
주입량 : 200㎕
송액 펌프 : Shodex DS-4(상품명, 소화전공제)
디개서 : ERC3115(상품명, ERC사제)
칼럼 온도 : 40℃
칼럼 : Shodex SB-806MHQ(상품명, 소화전공제)
광산란 검출기 : DOWN(상품명, Wyat Technologie사제)
농도 검출기 : Shodex RI-71(상품명, 소화전공제)
표준물질 : 폴리에틸렌옥시드(폴리머스탠더드서비스사제)
본 실시예에어서 사용한 원료는 하기와 같다.
<사용한 원료>
·계면활성제(A)
(A-1) MES-1 :
탄소수 14의 아실기를 갖는 화합물과, 탄소수 16의 아실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 비율이 질량비로 18 : 82의 α-술포지방산 메틸에스테르의 나트륨염(MES)의 수용액(라이온(주)제 ; AI 농도=70질량%, 잔부는 미반응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황산 나트륨, 메틸황산, 과산화수소, 물 등이다).
여기서, 「AI」란, MES중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로서의 기능을 갖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MES중에는, 통상, α-술포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염 외에, 부생물로서 α-술포지방산 디알카리염이 포함된다. α-술포지방산 디알카리염도, α-술포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염과 마찬가지로 계면활성제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AI 농도는, α-술포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염과, 부생물의 하나인 α-술포지방산 디알카리염과의 합계의 농도를 의미한다(이하 같음).
(A-2) MES-2 :
탄소수 16의 아실기를 갖는 화합물과, 탄소수 18의 아실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혼합 비율이 질량비로 8 : 2의 α-술포지방산 메틸에스테르의 나트륨염의 수용액(라이온(주)제 ; AI 농도=70질량%, 잔부는 미반응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황산 나트륨, 메틸황산, 과산화수소, 물 등이다).
(A-3) 비누 :
탄소수 14 내지 18의 지방산 나트륨(라이온(주)제).
순분 : 67질량%, 타이터 : 40 내지 45℃, 분자량 : 289.
지방산 조성 : C14(미리스틴산) 12.1질량%, C16(팔미틴산) 29.2질량%, C18F0(스테아린산) 0.7질량%, C18F1(올레인산) 56.8질량%, C18F2(리놀산) 1.2질량%.
(A-4) LAS :
직쇄알킬(탄소수 10 내지 14)벤젠술폰산[라이온(주)제, 라이폰LH-200(LAS-H 순분 96질량%)]을 48질량%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한 화합물과, 상기 라이폰LH-200을 48질량% 수산화 칼륨 수용액으로 중화한 화합물을 질량비 2 : 1로 혼합한 것. 표 중의 배합량은, 이들 혼합물로서의 값(질량%)을 나타낸다.
(A-5) 비이온 계면활성제 :
ECOROL26(상품명, ECOGREEN사제 ; 탄소수 12 내지 16의 알킬기를 갖는 알코올)의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15몰 부가체(순분 90질량%).
(A-6) LAS-H :
직쇄알킬(탄소수 10 내지 14)벤젠술폰산[라이온(주)제, 라이폰LH-200(LAS-H 순분 96질량%)]
(A-7) 비이온 계면활성제 2 :
탄소수 12 내지 16의 알킬기를 갖는 알코올(상품명 ; CO-1270A, 푸록타·앤드·도박·케미칼주사제)의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15몰 부가체[라이온(주)제, LMAO-90(순분 90%)]
(A-8) 비이온 계면활성제 3 :
라우린산 메틸(상품명 : 파스텔 M-12, 라이온(주)제)과 미리스틴산 메틸(상품명 : 파스텔 M-14, 라이온(주)제)의 질량비 80/20의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혼합물의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15몰 부가체인, C11H23CO(OC2H4)15OCH3과 C13H27CO(OC2H4)15OCH3의 혼합물, 일본 특개2009-7451호 공보의 단락[0011] 내지 [0012] 기재의 나로율 33질량% ; 합성품.
(A-9) 비이온 계면활성제 4 :
탄소수 12 내지 16의 알킬기를 갖는 알코올(상품명 ; CO-1214, 푸록타·앤드·도박·케미칼주사제)의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12몰 부가체[라이온(주)제, LMAL-90(순분 90%)]
(A-10) 비이온 계면활성제 5 :
알킬기 탄소수 12 내지 14의 직쇄2급 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3몰 부가체[닛폰촉매(주)제, 소후타놀-30]
(A-11) 야자지방산 :
일본유지제, 야자지방산
(A-12) 팔미틴지방산 :
일본유지제, NAA-160
·아스코르빈산의 지방산 에스테르(B)
(B-1) 아스코르빌-6-팔미테이트 :
L-아스코르빈산과 팔미틴산과의 에스테르, 도쿄화성공업제의 시약.
(B-2) 아스코르빌-6-스테아레이트 :
L-아스코르빈산과 스테아린산과의 에스테르, 도쿄화성공업제의 시약.
(B-3) 아스코르빌-2,6-디부틸레이트 :
L-아스코르빈산과 낙산과의 에스테르, 도쿄화성공업제의 시약.
·아스코르빈산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비교 성분(B')
(B'-1) 아스코르빈산 Na :
L-아스코르빈산의 나트륨염, 도쿄화성공업제의 시약.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C)
(C-1-1)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LF :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스미토모정화제, 상품명 : LF-15, 1질량% 수용액 점도(25℃) 700 내지 1300mPa·s) 30g(100질량부)에, 이소프로필알코올/물(질량비)=85/15가 되는 혼합 용매 300g(1000질량부)과, 또한 25질량%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4.5g(15질량부)를 가하여 혼합하였다. 뒤이어, 30분간 교반하여, 혼합 용매의 상등액 150g(500질량부)를 뽑아내었다.
그 후, 50℃까지 승온하고, 카티온화제로서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사카모토약품공업제, 상품명 : SY-GTA80, 유효 농도 : 73질량% 수용액) 4g(13질량부)을 가하고, 3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10질량% 염산 이소프로필알코올 용액을 가하여 pH6으로 조정하여,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슬러리를 얻었다.
그리고, 원심 탈수하고, 건조(70 내지 80℃)를 경유하여,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LF(중량평균분자량 : 약 90만, 카티온화도 : 0.6질량%, 고형분 : 91질량%)를 얻었다.
(C-1-2)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AX :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스미토모정화제, 상품명 : AX-15, 1질량% 수용액 점도(25℃) 1500 내지 3000mPa·s) 30g(100질량부)에, 이소프로필알코올/물(질량비)=85/15가 되는 혼합 용매 300g(1000질량부)과, 또한 25질량%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5g(16.5질량부)을 가하여 혼합하였다. 뒤이어, 30분간 교반하고, 혼합 용매의 상등액 150g(500질량부)을 뽑아내었다.
그 후, 50℃까지 승온하고, 카티온화제로서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사카모토약품공업제, 상품명 : SY-GTA80, 유효 농도 : 73질량% 수용액) 3g(10질량부)를 가하고, 3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10질량% 염산 이소프로필알코올 용액을 가하여 pH6으로 조정하여,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슬러리를 얻었다.
그리고, 원심 탈수하고, 건조(70 내지 80℃)를 경유하여,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AX(중량평균분자량 : 약 160만, 카티온화도 : 0.6질량%, 고형분 : 91질량%)를 얻었다.
(C-1-3)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XK :
라이온(주)제, XK-503(순분 48%), 평균분자량 : 약 6만, 카티온화도 0.4질량%.
(C-2-1) CMC-1(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
CMC다이셀1190(중량평균분자량 약 82만, 에테르화도 0.70 ; 다이셀화학공업(주)제).
(C-2-2) CMC-2(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
CMC다이셀1130(중량평균분자량 약 30만, 에테르화도 0.70, 다이셀화학공업(주)제).
(C-3-1) HPMC-1(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
메토로즈90SH30000(중량평균분자량 약 65만, 메톡실기 치환도 1.4, 메톡실기 질량%가 19 내지 24질량%, 히드록시프로폭실기 질량%가 4 내지 12질량%, 신에쓰화학공업(주)제).
(C-3-2) HPMC-2(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
메토로즈90SH4000(중량평균분자량 약 30만, 메톡실기 치환도 1.4, 메톡실기 질량%가 19 내지 24질량%, 히드록시프로폭실기 질량%가 4 내지 12질량%, 신에쓰화학공업(주)제).
·그 밖의 성분
제오라이트 :
A형 제오라이트·실톤B(상품명, 미즈사와화학(주)제, 순분 80질량%).
MA제 :
아크릴산/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나트륨염(상품명 : 아쿠아릭TL-400, 닛폰촉매(주)제 ; 순분 40질량% 수용액).
아황산 Na :
무수아황산 소다(상품명, 신주화학(주)제).
황산 Na :
중성무수망초(상품명, 일본화학공업(주)제).
탄산 K :
탄산 칼륨(분말)(아사히유리(주)제 ; 평균 입경 490㎛, 부피밀도 1.30g/㎤).
탄산 Na :
립회(粒灰)(아사히유리(주)제, 평균 입경 320㎛, 부피밀도 1.07g/㎤).
항료 :
일본 특개2002-146399호 공보 [표 11] 내지 [표 18]에 나타내는 항료 조성물 A.
효소 :
사비나제12T(상품명, 노보자임주제)/LIPEX100T(상품명, 노보자임주제)/스테인자임12T(상품명, 노보자임주제)=5/1/4(질량비)의 혼합물.
프로테아제 :
에바라제16L Type EX(상품명, 노보자임주사제).
PEG1000 :
폴리에틸렌글리콜, 상품명 : PEG#1000, 라이온(주)제, 농도(AI)=60질량%.
MEA :
모노에탄올아민, 미쓰이화학제.
구연산 :
구연산 3나트륨2수염, 후소화학공업(주)제 ; 농도(AI)=100질량%.
에탄올 :
상품명 : 95vol%합성 에탄올, NEDO제.
안식향산 Na :
안식향산 나트륨, 후시미제약사제.
PTS-H :
p-톨루엔술폰산, 교와발효공업(주)제.
실리콘 :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도레다우코닝(주)제, CF1188HV.
로즈마리유 :
심라이즈(주)제, EXTRAPONE ROSEMARY P.
형광제 :
치노팔S-X(상품명, 치바자판(주)제).
색소 :
녹201, 계사화성(주).
황산 : 도호아연(주)제.
표 1의 각 예의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공통 성분(w)의 조성을 이하에 나타낸다. 탄산 Na량의 「밸런스」는, 세정제 조성물의 총량이 100질량%가 되도록 조정한 것을 의미한다.
공통 성분(w)의 조성 :
제오라이트 21.0질량%
MA제 2.0질량%
아황산 Na 1.0질량%
황산 Na 5.0질량%
탄산 K 10.0질량%
탄산 Na 밸런스
수분 7.0질량%
항료 0.2질량%
효소 1.0질량%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표 1에 표시하는 조성에 따라, 이하에 나타내는 조제 방법에 의해, 각 예의 세정제 조성물(입상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MES-1 또는 MES-2를 통합 하여 MES로 표기한다.
(실시예 1)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조제 방법]
우선, 교반 장치를 구비한 재킷 부착 혼합조에 물을 넣고, 온도를 60℃로 조정하였다.
상기 혼합조에, MES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제외한 (A)성분의 일부를 첨가하고, 10분간 교반하였다.
계속되고, MA제, 황산 Na를 각각 첨가하였다.
또한, 10분간 교반한 후, 제오라이트의 일부[0.5질량% 상당량(대(對)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이하 같음)의 날화시 첨가용, 5.0질량% 상당량의 분쇄 조제용, 2.1질량% 상당량의 표면 피복용의 각 제오라이트분(分)을 제외한다], 탄산 Na, 탄산 K 및 아황산 Na를 각각 첨가하였다. 또한, 20분간 교반하여 수분 38질량%의 분무 건조용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그 후, 향류식 분무 건조탑을 사용하여, 열풍 온도 280℃의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고, 수분을 약 5질량% 함유하는 분무 건조 입자를 얻었다.
한편, 원료인 지방산 에스테르를 술폰화하고, 중화하여 얻어진 (A)성분의 일부인 MES의 수성 슬러리(수분 농도 25질량%)에,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일부(MES에 대해 25질량%)를 첨가하고, 수분이 11질량%가 될 때 까지 박막식 건조기에서 감압 농축하여, MES와 비이온 계면활성제와의 혼합 농축물을 얻었다.
상기 분무 건조 입자, 상기 혼합 농축물, 0.5질량% 상당량의 제오라이트, 상기 혼합 농축물용 및 1.0질량% 상당량의 분무 첨가용을 제외한 나머지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물 및 (B)성분을, 연속 니더((주)구리모토철공소제, KRC-S4형)에 투입(이하, 상기 투입의 단계를 「원료 투입 2」라고 칭한다)하고, 날화 능력 120kg/hr, 온도 60℃의 조건으로 날화하여, 계면활성제 함유 혼련물을 얻었다.
이 계면활성제 함유 혼련물을, 구멍지름 10mm의 다이스를 구비한 페레터 더블(후지파우달(주)제, EXDFJS-100형)을 사용하여 압출하면서, 커터로 절단하여(커터 주속은 5m/s), 길이 5 내지 30mm 정도의 펠릿상 계면활성제 함유 성형물을 얻었다.
뒤이어, 얻어진 펠릿상 계면활성제 함유 성형물에, 분쇄 조제로서의 입자상 제오라이트(평균 입경 180㎛) 5.0질량% 상당량을 첨가하고, 냉풍(10℃, 15m/s) 공존하에서, 직렬 3단으로 배치한 피츠밀(호소카와미크론(주)제, DKA-3)을 사용하여 분쇄하였다(스크린 구멍지름 : 1단째/2단째/3단째=12mm/6mm/3mm, 회전수 : 1단째/2단째/3단째 어느것이나 4700rpm).
최후로, 수평 원통형 전동 혼합기(원통 직경 585mm, 원통 길이 490mm, 용기 131.7ℓ의 드럼 내부 벽면에 내부 벽면과의 클리어런스 20mm, 높이 45mm의 방해판을 2장 갖는 것)에서, 충전율 30용적%, 회전수 22rpm, 25℃의 조건으로 2.1질량% 상당량의 미분 제오라이트를 가하고, 1.0질량% 상당량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항료를 분무하면서, 1분간 전동하고, 표면 개질하여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조제하였다.
[입상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수평 원통형 전동 혼합기(원통 직경 585mm, 원통 길이 490mm, 용기 131.7ℓ의 드럼 내부 벽면에 내부 벽면과의 클리어런스 20mm, 높이 45mm의 방해판을 2장 갖는 것)를 사용하여, 충전율 30용적%, 회전수 22rpm, 25℃의 조건으로,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와 효소를 5분간 혼합하여, 세정제 조성물(입상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15)
실시예 1의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 「원료 투입 2」에서 (B)성분 및 (C)성분을 배합으로 한 이외는, 표 1에 표시하는 조성에 따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각 예의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 「원료 투입 2」에서 (B)성분을 미배합으로 한 이외는, 표 1에 표시하는 조성에 따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 「원료 투입 2」에서 (B)성분 및 (C)성분을 어느것이나 미배합으로 하여, (B')성분을 배합한 이외는, 표 1에 표시하는 조성에 따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내지 5)
실시예 2의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 「원료 투입 2」에서 (B)성분을 미배합으로 한 이외는, 표 1에 표시하는 조성에 따라,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각 예의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에 표시하는 조성에 따라, 이하에 나타내는 조제 방법에 의해, 각 예의 세정제 조성물(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의 교반자가 들어간 원통 유리병(직경 50mm, 높이 100mm)에, (A)성분을 넣었다. 다음에, 프로테아제 이외의 임의 성분을 넣고, 400rpm로 교반자를 교반시켰다. 그 후, (B)성분과 전체량(전체량을 100질량부로 한다)이 95질량부가 되도록 정제수를 넣고, 교반 혼합한 후, 프로테아제, (C)성분의 순서로 첨가, 혼합한 후, pH를 조정하였다. 뒤이어, 전체량이 100질량%가 되도록 정제수를 가하여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pH의 조정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25℃에서 임의의 pH가 되도록, pH 조정제(황산 또는 모노에탄올아민)를 적량 첨가함에 의해 행하였다. 또한, 표 중의 배합량의 단위는 질량%이고, 순분 환산량을 나타낸다.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평가>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 억제의 평가는, 태양광에 유사한 분광 분포를 갖는 광을 조사하는 크세논 램프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하였다.
[전처리]
2조식 세탁기(제품명 : CW-C30A1-H1형,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제)를 사용하여, 프린트스타 T셔츠(목을 둥글게 판 반소매 헤비웨이트 T셔츠, 컬러 "025 그린", 톰스주식회사제) 1kg에 대해, 50℃의 수도물을 사용하고, 시판의 세정제 톱(라이온(주)제)을 표준 사용 농도(수도물 30ℓ에 대해 세정제 톱 20g, 즉 667ppm) 및 욕비(浴比) 30배로, 「15분간 세정 후, 5분간 탈수」의 세정·탈수의 조작을 2도 반복 후, 」15분간 유수(流水) 헹금 후, 5분간 탈수」가 헹굼·탈수의 조작을 5회 반복, 그 후, 실온에서 매달아 말림에 의해 건조하였다.
건조의 후, 색차계(제품명 : Spectrophotometer SE2000T, 일본전색공업(주)제)을 사용하여, 초기 상태의 색(E치)에 대해, 후술하는 크세논 롱라이프·페이드미터중의 조도계가 프린트스타 T셔츠에 대해 같은 위치, 즉 상기 조도계와 프린트스타 T셔츠와의 거리가 25㎝가 되는 위치의 4개소를 직경 3㎝의 사이즈(원내)로 측정을 행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B. V. D속셔츠(목을 둥글게 판 반소매 T셔츠, 품번G0134TS) 1kg에 대해, 프린트스타 T셔츠에 대한 전처리와 같은 전처리를 시행하였다.
[세탁·크세논 램프 조사 처리]
세탁기로서 미니 전자동 세탁기(제품명 : JW-Z23A, Haier사제)를 사용하고, 상기 미니 전자동 전기 세탁기의 조 내에, 수온 25℃의 수도물 12ℓ을 모아 두고, 각 예의 세정제 조성물 10g를 각각 용해한 후, 합계 600g의 의류(상기 전처리를 행한 프린트스타 T셔츠 4장, B. V. D속셔스 3.5장)를 투입하고, 표준 코스로 세탁을 행하였다.
탈수 후, 의류를 취출하고, 태양광에 유사한 분광 분포를 갖는 광을 조사하는 크세논 롱 라이프·페이드미터(형식 : FAL-25AX-HC·B·EC, 스가시험기(주)제)(이하 「크세논 램프」라고 한다)를 사용하고, 온도 40 내지 50℃, 상대 습도 50%로, 크세논 램프로부터의 거리를 25㎝로 유지하고, 크세논 램프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면서, 1회당의 적산 방사 조도량이 2500kJ/㎡가 되도록, 상기 4개소에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세탁·크세논 램프 조사 처리를 5회 반복 후, 상기 색차계를 사용하여, 프린트스타 T셔츠에서 상기 4개소의 색의 상태를 측정하고, 이들의 평균치를 구하고, 상기 평균치와 초기 상태의 E값과의 차(△E치 : 퇴색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적산 방사 조도량 2500kJ/㎡의 5회 반복의 세탁·크세논 램프 조사 처리는, 대체로 여름철의 햇볕 건조 1일분 정도에 상당한다.
이와 같은 세탁·크세논 램프 조사 처리의 반복에 의한 퇴색 실험에서는, 약간의 측정 편차·퇴색 얼룩이 생기는 것을 고려하고, 비교예 1의 세정제 조성물에 처리한 프린트스타 T셔츠의 퇴색도(△E치)를 100으로 하고, 이것과 비교하여 △E치가 어느 정도 작은지(입상 세정제 조성물인 실시예 1 내지 15, 비교예 1 내지 5에서는 비교예 1의 퇴색도에 대해 몇%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얻어졌는지, 액체 세정제 조성물인 실시예 16 내지 24, 비교예 6 내지 8의 실시예서는 비교예 6의 퇴색도에 대해 몇%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얻어졌는지)에 대해,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그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표시한다
. 또한, 비교예 1의 세정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A)만을 함유하는 것이다.
(평가 기준)
◎◎ : 비교예 1 또는 6의 퇴색도에 대해, 20% 이상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얻어졌다.
◎ : 비교예 1 또는 6의 퇴색도에 대해, 15% 이상, 20%미만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얻어졌다.
○ : 비교예 1 또는 6의 퇴색도에 대해, 10% 이상, 15%미만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얻어졌다.
△ : 비교예 1 또는 6의 퇴색도에 대해, 5% 이상, 10%미만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얻어졌다.
× : 비교예 1 또는 6의 퇴색도에 대해, 5%미만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얻어졌다.
Figure 112010080712069-pct00005
Figure 112010080712069-pct00006
표 1, 2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1 내지 24의 세정제 조성물은 모두, 비교예 1 내지 8의 세정제 조성물과 비하여,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대비, 및 실시예 21과 23과의 대비로부터, 카티온화 셀룰로오스를 또한 함유함에 의해,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3, 11, 13과의 대비로부터, (C)성분 중에서 카티온화 셀룰로오스를 사용하면,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에 관하여 가장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B)성분과는 다른 (B')성분을 함유하는 비교예 2 및 7의 세정제 조성물은,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B)성분을 결여한 비교예 1 내지 8의 세정제 조성물은 모두, 의류의 퇴색 억제의 효과가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의하면, 일광의 영향에 의한 의류의 퇴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1. 계면활성제(A)와,
    아스코르빈산의 지방산 에스테르(B)와,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C)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衣料)용 세정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성분의 함유 비율이 0.05 내지 5질량%이고, 상기 (C)성분의 함유 비율이 0.1 내지 1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성분으로서 카티온화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티온화 셀룰로오스의 카티온화도가 0.4 내지 1.2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
KR1020107027557A 2008-06-17 2009-05-27 세정제 조성물 KR101523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57714 2008-06-17
JP2008157714 2008-06-17
PCT/JP2009/059698 WO2009154061A1 (ja) 2008-06-17 2009-05-27 洗浄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619A KR20110038619A (ko) 2011-04-14
KR101523805B1 true KR101523805B1 (ko) 2015-05-28

Family

ID=4143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557A KR101523805B1 (ko) 2008-06-17 2009-05-27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01456B2 (ko)
KR (1) KR101523805B1 (ko)
MY (1) MY159372A (ko)
WO (1) WO20091540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3563B2 (ja) * 2011-04-18 2015-10-14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洗浄剤
JP6490929B2 (ja) * 2013-09-12 2019-03-27 ライオン株式会社 繊維製品用の液体洗浄剤
JP2018024728A (ja) * 2016-08-08 2018-02-15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洗浄剤
JP2019014784A (ja) * 2017-07-04 2019-01-31 日本製紙株式会社 成型洗剤組成物
JP2019099740A (ja) * 2017-12-06 2019-06-24 花王株式会社 繊維製品用洗浄剤組成物
JP7233852B2 (ja) * 2018-04-17 2023-03-07 キョーリンリメディオ株式会社 変色が抑制された固形製剤
JP7149732B2 (ja) * 2018-05-18 2022-10-07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前処理液、捺染物の製造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インクセット
JP2020105423A (ja) * 2018-12-28 2020-07-09 花王株式会社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7186610B2 (ja) * 2018-12-28 2022-12-09 花王株式会社 繊維製品用液体洗浄剤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970A (ja) * 2001-09-13 2005-05-26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化粧用発泡性クレンジングピロ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44302B1 (en) * 1996-11-22 2003-04-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bleaching compositions
JP2002167311A (ja) * 2000-11-30 2002-06-11 Hoyu Co Ltd 毛髪処理方法、及び毛髪処理剤組成物
JP4044764B2 (ja) * 2002-01-30 2008-02-06 タナテックス アイピー ビーブイ 繊維製品仕上げ剤組成物及び該仕上げ剤組成物を用いた繊維製品の仕上げ加工方法、並びにそれで仕上げ加工された繊維製品
CA2564250A1 (en) * 2004-04-28 2005-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substituted 3-pyridino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970A (ja) * 2001-09-13 2005-05-26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化粧用発泡性クレンジングピロ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4061A1 (ja) 2009-12-23
JP5401456B2 (ja) 2014-01-29
KR20110038619A (ko) 2011-04-14
JPWO2009154061A1 (ja) 2011-11-24
MY159372A (en) 201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805B1 (ko) 세정제 조성물
EP1776442B1 (en) A highly water-soluble sol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that forms a clear wash liquor upon dissolution in water
US7316995B2 (en) Detergents or cleaning agents comprising a water-soluble building block system and a cellulose derivative with dirt dissolving properties
JP2011524456A (ja) 洗濯組成物
JP2010520351A (ja) 反応性染料を有する洗濯洗剤組成物
JP4519122B2 (ja) 水溶性ビルダー系および汚れ解離性セルロース誘導体を含んでなる漂白剤含有洗濯または洗浄剤
JP5253748B2 (ja) 粒状洗剤組成物
ES2218429T3 (es) Composiciones detergentes.
US20050187127A1 (en)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n anionic detersive surfactant, sulphamic acid and/or water soluble salts thereof, and a sulphate salt
JP5542797B2 (ja) 粒状洗剤組成物
JP5364252B2 (ja) 粒状洗剤組成物
JP5173509B2 (ja) 粒状洗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347156B2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JP4920405B2 (ja) 粒状洗剤組成物、および粒状洗剤組成物の製造方法
CN110709497A (zh) 包含具有十四个总碳的烷基链长的aes表面活性剂的洗涤剂组合物
JP5326152B2 (ja) 粒状洗剤組成物
WO2011129438A1 (ja) 洗剤組成物
JP4871672B2 (ja) 粉末洗剤用増強剤
ES2280272T3 (es) Composiciones detergentes.
JP5211376B2 (ja) 衣料用粒状洗剤組成物
JP5470022B2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KR101404304B1 (ko) 입상 세제 조성물
JP2012087216A (ja) 粒状洗剤組成物
JP2002309297A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JP2004210811A (ja) 漂白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