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840B1 -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840B1
KR101522840B1 KR1020130023489A KR20130023489A KR101522840B1 KR 101522840 B1 KR101522840 B1 KR 101522840B1 KR 1020130023489 A KR1020130023489 A KR 1020130023489A KR 20130023489 A KR20130023489 A KR 20130023489A KR 101522840 B1 KR101522840 B1 KR 101522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curling
hole
frame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203A (ko
Inventor
서인종
문제섭
이용민
권혁홍
Original Assignee
대린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린전자(주) filed Critical 대린전자(주)
Priority to KR1020130023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84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1/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1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6Deforming sheet metal, tubes or profiles by sequential impacts, e.g. hammering, beating, peen 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1Shaping combined with punching, e.g. stamping and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가장자리를 말은 후, 말은 가장자리를 압착시켜 원형 단면의 테두리를 형성시킨 커링형부재를 기존의 트랜스퍼 금형공정으로 제작할 경우에 블랭킹된 피가공물을 좌에서 우로 핑거에 의해 이송할 때 관성에 의해 튕겨져 나가 고속생산이 어렵고, 튕겨져 나간 미성형물 파편이 금형기계 주위에 쌓이다 보니 작업 중에도 잦은 청소를 해야하므로,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과, 튕겨져 나간 미성형물이 완성품과 혼입의 가능성이 많아 생산된 제품전체를 일일이 수동방식으로 선별해야 하고, 가공소재가 단열(單列)방식으로 이송되어 제작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이브리드복합 상부금형(100),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200)을 구성함으로서, 가공소재에 여러번의 공정을 거쳐 딥드로잉을 형성시키는 프로그래시브 금형공법과, 가공소재 및 가공소재에서 제작된 커링형부재를 핑거펀치를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트랜스퍼금형공법과, 수직방향으로 한번에 낙하하면서 단 한번의 공정으로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커링시키는 단발·컴파운드금형공법이 믹싱되어 하나의 금형장치에 형성시킨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를 통해 생산속도를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 있고, 프로그래시브 금형공정의 장점인 금형 복열화를 통해 1회에 복수개의 커링형부재를 생산할 수 있어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일본 설비를 구입하지 않고도 국산장비로도 생산량을 3배 이상 높일 수 있으며, 무엇보다 완성된 커링형부재를 광학센서검출기를 통해 자동취출시킬 수 있어, 양질의 커링형부재를 제작할 수 있는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 및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OF HYBRID COMPOSITE DIES FOR THE FORMING CURLING PRODUCTS}
본 발명에서는 가공소재에 여러번의 공정을 거쳐 딥드로잉을 형성시키는 프로그래시브 금형공법과, 가공소재 및 가공소재에서 제작된 커링형부재를 핑거펀치를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트랜스퍼금형공법과, 수직방향으로 한번에 낙하하면서 단 한번의 공정으로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커링시키는 단발·컴파운드금형공법이 믹싱되어 하나의 금형장치에 형성시킨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링형부재는 몸체의 가장자리를 몸체 내부에서 지지한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말은 후, 말은 가장자리를 압착시켜 원형 단면의 테두리를 형성시킨 것으로, 수은건전지케이스, 리튬전지케이스, 밥그릇, 단추, EDLC용 초정밀 캡 케이스, 슈퍼캐패시터 케이스를 말한다.
상기 커링형부재 중 하나인 EDLC(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용 초정밀 캡 케이스를 제작시, 가공소재를 앞에서 뒤로 진행시키고, 피가공물은 좌에서 우로 핑거에 의해 이송해가면서 제품형상을 완성해 가는 트랜스퍼 금형공정으로 제작된다.
하지만, 기존의 트랜스퍼 금형공정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블랭킹된 피가공물을 좌에서 우로 핑거에 의해 이송할 때 관성에 의해 튕겨져 나가 고속생산이 어렵고, 튕겨져 나간 미성형물 파편이 금형기계 주위에 쌓이다 보니 작업 중에도 잦은 청소를 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튕겨져 나간 미성형물이 완성품과 혼입의 가능성이 많아 생산된 제품전체를 일일이 수동방식으로 선별해야 하고, 가공소재가 단열(單列)방식으로 이송되어 제작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772170호(2007년 10월 31일 공고)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공소재에 여러번의 공정을 거쳐 딥드로잉을 형성시키는 프로그래시브 금형공법과, 가공소재 및 가공소재에서 제작된 커링형부재를 핑거펀치를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트랜스퍼금형공법과, 수직방향으로 한번에 낙하하면서 단 한번의 공정으로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커링시키는 단발·컴파운드금형공법이 믹싱되어 하나의 금형장치에 형성시킨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를 통해 생산속도를 기존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고, 프로그래시브 금형공정의 장점인 금형 복열화를 통해 1회에 복수개의 커링형부재를 생산할 수 있으며, 완성된 커링형부재를 광학센서검출기를 통해 자동취출시킬 수 있어, 양질의 커링형부재를 제작할 수 있는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는
가공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가공소재 표면에 딥드로잉과 하프블랭킹,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을 거쳐 복열구조로 복수개의 커링형부재를 형성시킴으로서 달성된다.
상기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는
상단면에 위치되어 복열로 복수개의 펀치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쪽으로 향하는 프레스의 힘을 전달받아 복열로 형성된 드로잉펀치, 하프블랭킹펀치를 통해 가공소재에 드로잉, 하프블랭킹을 거쳐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형성시키고, 하단방향에서 지지하는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쪽으로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를 수직방향으로 하강시켜서, 하프블랭킹된 커링형부재 몸체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완성형 커링형부재를 형성시키는 하이브리드복합 상부금형(100)과,
하단면에 위치되어 복열로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홀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가공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하이브리드복합 상부금형에서 눌러지는 프레스의 강한 압력에 의해 드로잉, 하프블랭킹을 거쳐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형성시키고, 하단방향에서 하프블랭킹된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지지하면서,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가 수직하단방향으로 하강할 때,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수직상단방향으로 상승시켜 커링형부재 몸체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완성형 커링형부재를 형성시킨 후, 완성형 커링형부재를 광센서를 통해 취출시키는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방법은
가공소재에 커링형 부재의 몸체에 관한 위치포인트를 형성시키는 1차 렌싱공정단계(S10)와,
가공소재의 가장자리 양측에 파이롯피어싱홀을 형성시키는 파이롯피어싱공정단계(S20)와,
파이롯피어싱되어 이송되는 가공소재에 커링형 부재의 몸체테두리에 관한 위치포인트를 형성시키는 2차 렌싱공정단계(S30)와,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가공소재에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프레스의 강한 압력을 가해 가공소재 속으로 원통형의 커링형부재 몸체를 1차로 성형시키는 제1 드로잉공정단계(S40)와,
1차 드로잉된 가공소재의 직경을 감소시키면서 다시 한번 드로잉하면서 가공소재의 깊이를 증가시켜 원통형의 커링형부재 몸체를 2차로 성형시키는 제2 드로잉공정단계(S50)와,
가공소재 표면에 커링할 부위를 음각테두리로 형성시키는 비드공정단계(S60)와,
가공소재로부터 커링부위가 포함된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절단시킨 후, 가공소재의 홀에 그대로 얹어놓는 하프블랭킹공정단계(S70)와,
수직방향으로 한번에 낙하하면서 단 한번의 공정으로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커링시켜 완성형 커링형부재를 형성시키는 커링공정단계(S80)와,
완성형 커링형부재를 가공소재 틀에 얹은 채 이송시켜 광학센서검출기를 통해 선별해서 취출시키는 선별취출공정단계(S90)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프로그래시브 금형공정, 단발금형공정, 트랜스퍼금형공정, 컴파운드금형공정의 장점을 접목한 공정개선을 통해 생산속도를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 있고, 프로그래시브 금형공정의 장점인 금형 복열화를 통해 1회에 복수개의 커링형부재를 생산할 수 있어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으며, 무엇보다 일본 설비를 구입하지 않고도 국산장비로도 생산량을 3배 이상 높일 수 있으며, 무엇보다 완성된 커링형부재를 광학센서검출기를 통해 자동취출시킬 수 있어, 양질의 커링형부재를 제작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의 구성 중 하이브리드복합 상부금형(100),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200)이 분해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복합 상부금형(1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복합펀치포켓(14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2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열다이플레이트(23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열다이플레이트에 대응되는 하이브리드복합펀치포켓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 제2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 제3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가 커링바(146a-1)와 볼헤드부(146a-2)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한번에 낙하하면서 단 한번의 공정으로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커링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 제2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 제3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의 내부구성요소를 도시한 내부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를 통해 제작된 완성형 커링형부재의 사시도구조와 단면도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200)에 가공소재가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복수개의 커링형부재를 형성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방법인 렌싱공정, 파이롯피어싱공정, 딥드로잉과 하프블랭킹,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을 거쳐 복열구조로 복수개의 커링형부재를 형성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먼저,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에서 하이브리드복합이라는 것은 가공소재에 여러번의 공정을 거쳐 딥드로잉을 형성시키는 프로그래시브 금형공법과, 가공소재 및 가공소재에서 제작된 커링형부재를 핑거펀치를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트랜스퍼금형공법과, 수직방향으로 한번에 낙하하면서 단 한번의 공정으로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커링시키는 단발·컴파운드금형공법이 믹싱되어 하나의 금형장치에 형성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하프블랭킹(Half Blanking)은 가공소재로부터 커링부위가 포함된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절단시킨 후, 가공소재의 홀에 그대로 얹어놓는 것을 말한다.
커링(Curling)은 판 또는 용기의 가장자리부에 원형 단면의 테두리를 만드는 가공을 말한다.
1차 드로잉(Drawing)은 펀치가 가공소재 속으로 유입되면서 펀치모양의 용기를 성형하는 것으로, 가공깊이에 따라 하프드로잉, 딥드로잉이라 한다.
2차 드로잉(Redrawing)은 1차 드로잉된 용기의 직경을 감소시키면서 다시 한번 드로잉하면서 가공소재의 깊이를 증가시키는 가공을 말한다.
금형 복열화는 가공소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열을 형성해서 1회에 복수개의 커링형부재를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3열을 일예로 설정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가공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가공소재 표면에 딥드로잉과 하프블랭킹,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을 거쳐 복열구조로 복수개의 커링형부재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1)는 하이브리드복합 상부금형(100),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2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복합 상부금형(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하이브리드복합 상부금형(100)은 상단면에 위치되어 복열로 복수개의 펀치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쪽으로 향하는 프레스의 힘을 전달받아 복열로 형성된 드로잉펀치, 하프블랭킹펀치를 통해 가공소재에 드로잉, 하프블랭킹을 거쳐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형성시키고, 하단방향에서 지지하는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쪽으로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를 수직방향으로 하강시켜서, 하프블랭킹된 커링형부재 몸체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완성형 커링형부재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다이(110), 복열펀치백킹플레이트(120), 복열펀치플레이트(130), 하이브리드복합펀치포켓(140), 복열홀스트립퍼(15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상부다이(1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상부다이(110)는 사각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펀치플레이트와 펀치백킹플레이트를 상단면에서 지지하면서, 하부다이와 수직선상에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듀랄미늄 소재를 채택하여 중량을 줄이고, 프레스 기계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복열펀치백킹플레이트(1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복열펀치백킹플레이트(120)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다이 상단에 위치되고, 윗단에 놓여지는 펀치플레이트를 밑단에서 지지하도록 표면이 열처리되고, 열처리된 표면상에 복열로 렌싱펀치프레임,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 드로잉펀치프레임, 비드펀치프레임,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음각으로 복열의 렌싱펀치프레임기준홀,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기준홀, 드로잉펀치프레임기준홀, 비드펀치프레임기준홀,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기준홀,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프레임기준홀이 형성된다.
이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본체(121), 렌싱펀치프레임기준홀(122),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기준홀(123), 드로잉펀치프레임기준홀(124), 비드펀치프레임기준홀(125),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기준홀(126),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프레임기준홀(127)이 구성된다.
상기 제1 본체(121)는 사각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좌에서 우로 복열로 이루어진 렌싱펀치프레임기준홀,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기준홀, 드로잉펀치프레임기준홀, 비드펀치프레임기준홀,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기준홀,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프레임기준홀이 구성된다
상기 렌싱펀치프레임기준홀(122)은 렌싱펀치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음각으로 기준홀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기준홀(123)은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음각으로 기준홀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로잉펀치프레임기준홀(124)은 드로잉펀치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음각으로 기준홀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드펀치프레임기준홀(125)은 비드펀치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음각으로 기준홀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기준홀(126)은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음각으로 기준홀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프레임기준홀(127)은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음각으로 기준홀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복열펀치플레이트(1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복열펀치플레이트(130)는 복열펀치백킹플레이트 윗단에 위치되고,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의 복열다이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열의 렌싱펀치홀프레임, 파이롯피어싱펀치홀프레임, 드로잉펀치홀프레임, 비드펀치홀프레임, 하프블랭킹펀치홀프레임,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홀프레임과 수직방향의 동일선상에 복열의 렌싱펀치프레임삽입구,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삽입구,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 비드펀치프레임삽입구,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삽입구,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프레임삽입구가 형성되어, 복열의 렌싱펀치프레임,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 드로잉펀치프레임, 비드펀치프레임,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프레임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본체(131), 렌싱펀치프레임삽입구(132),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삽입구(133),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134), 비드펀치프레임삽입구(135),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삽입구(136),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프레임삽입구(137)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본체(131)는 사각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좌에서 우로 길이방향을 따라 렌싱펀치프레임삽입구,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삽입구,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 비드펀치프레임삽입구,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삽입구,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프레임삽입구가 구성된다.
상기 렌싱펀치프레임삽입구(132)는 렌싱펀치프레임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삽입구(133)는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134)는 드로잉펀치프레임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드펀치프레임삽입구(135)는 비드펀치프레임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삽입구(136)는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프레임삽입구(137)는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프레임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복합펀치포켓(1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하이브리드복합펀치포켓(140)은 복열펀치플레이트(130)와 복열홀스트립퍼(150)사이에 위치되어, 프레스의 강한 압력에 의해 복열홀스트립퍼를 통과하면서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의 복열다이플레이트에 돌출되어 가공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가공소재 표면에 딥드로잉과 하프블랭킹,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을 거쳐 커링형부재 몸체와, 커링형부재 몸체의 가장자리에 커링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싱펀치부(141), 파이롯피어싱펀치부(142), 드로잉펀치부(143), 비드펀치부(144), 하프블랭킹펀치부(145),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부(146)로 구성된다.
상기 렌싱펀치부(141)는 렌싱펀치프레임에 형성되어 가공소재에 커링형부재의 위치포인트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렌싱펀치프레임(141g)은 제1 렌싱펀치프레임(141g-1)과 제2 렌싱펀치프레임(141g-2)으로 구성된다.
상기 렌싱펀치부(141)는 제1-1 렌싱펀치(141a), 제1-2 렌싱펀치(141b), 제2-1 렌싱펀치(141c), 제2-2 렌싱펀치(141d), 제3-1 렌싱펀치(141e), 제3-2 렌싱펀치(141f)로 구성된다.
상기 제1-1 렌싱펀치(141a)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1열에 형성되어 가공소재에 커링형 부재의 몸체에 관한 위치포인트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2 렌싱펀치(141b)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1열에 형성되고, 파이롯피어싱되어 이송되는 가공소재에 커링형 부재의 몸체테두리에 관한 위치포인트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1 렌싱펀치(141c)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2열에 형성되어 가공소재에 커링형 부재의 몸체에 관한 위치포인트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2 렌싱펀치(141d)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2열에 형성되고, 파이롯피어싱되어 이송되는 가공소재에 커링형 부재의 몸체테두리에 관한 위치포인트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1 렌싱펀치(141e)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3열에 형성되어 가공소재에 커링형 부재의 몸체에 관한 위치포인트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2 렌싱펀치(141f)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3열에 형성되고, 파이롯피어싱되어 이송되는 가공소재에 커링형 부재의 몸체테두리에 관한 위치포인트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1 렌싱펀치, 제2-1 렌싱펀치, 제3-1 렌싱펀치는 제1 렌싱펀치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1-2 렌싱펀치, 제2-2 렌싱펀치, 제3-2 렌싱펀치는 제2 렌싱펀치프레임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렌싱펀치프레임과 제2 렌싱펀치프레임은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
Figure 112013019349789-pat00001
" 의 형상으로 각각 복열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홀 사이의 반경을 넓게 형성시켜서 금형공정이 교차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이롯피어싱펀치부(142)는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에 형성되어 가공소재의 가장자리 양측에 가공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파이롯피어싱홀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프레스의 강한 압력을 가공소재로 전달시켜 길이방향의 가공소재 가장자리 양측에 구멍을 뚫어서 파이롯피어싱홀을 형성시킨다.
이때 형성된 파이롯피어싱홀은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200)의 핑거펀치가 삽입되어 가공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상기 드로잉펀치부(143)는 드로잉펀치프레임에 형성되어 음각으로 딥드로잉시켜 원통형의 커링형부재 몸체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드로잉펀치프레임(143g)은 제1 드로잉펀치프레임(143g-1), 제2 드로잉펀치프레임(143g-2)으로 구성된다.
상기 드로잉펀치부(143)는 제1-1 드로잉펀치(143a), 제1-2 드로잉펀치(143b), 제2-1 드로잉펀치(143c), 제2-2 드로잉펀치(143d), 제3-1 드로잉펀치(143e), 제3-2 드로잉펀치(143f)로 구성된다.
상기 제1-1 드로잉펀치(143a)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1열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프레스의 강한 압력을 가공소재 속으로 가해주면서 원통형의 커링형부재 몸체를 1차로 성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예로, 커링형부재 몸체가 직경 φ2.5±0.1mm, 높이 1.0mm~3.0mm를 갖도록 1차로 형성시킨다.
상기 제1-2 드로잉펀치(143b)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1열에 형성되어 1차 드로잉된 가공소재의 직경을 감소시키면서 다시 한번 드로잉하면서 가공소재의 깊이를 증가시켜 원통형의 커링형부재 몸체를 2차로 성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예로, 높이 1.0mm~3.0mm를 갖는 커링형부재 몸체에 직경 φ1.5±0.1mm를 갖도록 2차로 형성시킨다.
상기 제2-1 드로잉펀치(143c)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2열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프레스의 강한 압력을 가공소재 속으로 가해주면서 원통형의 커링형부재 몸체를 1차로 성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예로, 커링형부재 몸체가 직경 φ2.5±0.1mm, 높이 1.0mm~3.0mm를 갖도록 1차로 형성시킨다.
상기 제2-2 드로잉펀치(143d)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2열에 형성되어 1차 드로잉된 가공소재의 직경을 감소시키면서 다시 한번 드로잉하면서 가공소재의 깊이를 증가시켜 원통형의 커링형부재 몸체를 2차로 성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예로, 높이 1.0mm~3.0mm를 갖는 커링형부재 몸체에 직경 φ1.5±0.1mm를 갖도록 2차로 형성시킨다.
상기 제3-1 드로잉펀치(143e)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3열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프레스의 강한 압력을 가공소재 속으로 가해주면서 원통형의 커링형부재 몸체를 1차로 성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예로, 커링형부재 몸체가 직경 φ2.5±0.1mm, 높이 1.0mm~3.0mm를 갖도록 1차로 형성시킨다.
상기 제3-2 드로잉펀치(143f)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3열에 형성되어 1차 드로잉된 가공소재의 직경을 감소시키면서 다시 한번 드로잉하면서 가공소재의 깊이를 증가시켜 원통형의 커링형부재 몸체를 2차로 성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예로, 높이 1.0mm~3.0mm를 갖는 커링형부재 몸체에 직경 φ1.5±0.1mm를 갖도록 2차로 형성시킨다.
상기 제1-1 드로잉펀치, 제2-1 드로잉펀치, 제3-1 드로잉펀치는 제1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1-2 드로잉펀치, 제2-2 드로잉펀치, 제3-2 드로잉펀치는 제2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드로잉펀치프레임과 제2 드로잉펀치프레임은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
Figure 112013019349789-pat00002
" 의 형상으로 각각 복열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홀 사이의 반경을 넓게 형성시켜서 금형공정이 교차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드펀치부(144)는 비드펀치프레임(144d)에 형성되어 가공소재 표면에 커링할 부위를 음각테두리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비드펀치(144a), 제2 비드펀치(144b), 제3 비드펀치(144c)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비드펀치(144a)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1열에 형성되어 가공소재 표면에 커링할 부위를 원형의 음각테두리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비드펀치(144b)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2열에 형성되어 가공소재 표면에 커링할 부위를 원형의 음각테두리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비드펀치(144c)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3열에 형성되어 가공소재 표면에 커링할 부위를 원형의 음각테두리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비드펀치, 제2 비드펀치, 제3 비드펀치는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
Figure 112013019349789-pat00003
" 의 형상으로 각각 복열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홀 사이의 반경을 넓게 형성시켜서 금형공정이 교차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프블랭킹펀치부(145)는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145d)에 형성되어 가공소재로부터 커링부위가 포함된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절단시킨 후, 가공소재의 홀에 그대로 얹어놓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하프블랭킹펀치(145a), 제2 하프블랭킹펀치(145b), 제3 하프블랭킹펀치(145c)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하프블랭킹펀치(145a)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1열에 형성되어 가공소재 표면에 커링부위가 포함된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절단시킨 후, 가공소재의 홀에 그대로 얹어놓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가공소재의 홀에 절단된 커링부위가 포함된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그대로 얹어놓는다는 것은 제1 하프블랭킹펀치가 절단시킬 때,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의 하프블랭킹펀치홀이 지지해줌과 동시에 절단홈이 형성된 가공소재 자체에서 상승시켜 줌으로서, 절단된 커링부위가 포함된 커링형부재의 몸체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그대로 가공소재에 얹어놓은 것을 말한다.
상기 제2 하프블랭킹펀치(145b)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2열에 형성되어 가공소재 표면에 커링부위가 포함된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절단시킨 후, 가공소재의 홀에 그대로 얹어놓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하프블랭킹펀치(145c)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1열에 형성되어 가공소재 표면에 커링부위가 포함된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절단시킨 후, 가공소재의 홀에 그대로 얹어놓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하프블랭킹펀치, 제2 하프블랭킹펀치, 제3 하프블랭킹펀치는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
Figure 112013019349789-pat00004
" 의 형상으로 각각 복열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홀 사이의 반경을 넓게 형성시켜서 금형공정이 교차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부(146)는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프레임(146d)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한번에 낙하하면서 단 한번의 공정으로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커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146a), 제2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146b), 제3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146c)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146a)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1열에 형성되어 가공소재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한번에 낙하하면서 단 한번의 공정으로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커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146b)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2열에 형성되어 가공소재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한번에 낙하하면서 단 한번의 공정으로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커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146c)는 가공소재의 복열 중 제3열에 형성되어 가공소재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한번에 낙하하면서 단 한번의 공정으로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커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 제2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 제3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는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
Figure 112013019349789-pat00005
" 의 형상으로 각각 복열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홀 사이의 반경을 넓게 형성시켜서 금형공정이 교차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 제2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 제3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 커링바(146a-1), 볼헤드부(146a-2)로 구성된다.
상기 커링바(146a-1)는 일자원통구조로 이루어져,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와 접촉되는 선단부위가 층상구조로 형성되고, 볼헤드부가 커링형부재 몸체 내부의 원형부위와 접촉되어 내부의 안내레일을 따라 상승운동을 하면, 수직하단방향으로 선단부위가 하강되어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키는 2단동작으로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를 커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볼헤드부(146a-2)는 일자원통구조로 이루어져 커링바 내부에 내장되고, 가공소재 표면에 형성된 커링형부재 몸체 내부의 원형부위와 접촉시, 커링바 내부의 안내레일을 따라 상승운동을 하면서 커링바가 수직하단방향으로 하강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커링바 내부의 끝단 단턱이 탄성스프링(146a-3)이 형성되어, 커링완료시, 복원력에 의해, 볼헤드부가 커링바를 기준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즉, 도 8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홀(237a)에 가장자리가 원형날개가 형성된 커링형부재 몸체가 얹어진 상태에 있을 때, 도 8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볼헤드부가 커링형부재 몸체 내부의 원형부위와 접촉되어 커링바 내부의 안내레일을 따라 상승운동을 한다.
이때, 볼헤드부(146a-2)가 커링형부재 몸체 내부의 원형부위를 누르면서 지지할 때, 커링바(146a-1)가 도 8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하단방향으로 선단부위가 하강되어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키는 2단동작으로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를 커링시켜 커링형부재를 완성시킨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복열홀스트립퍼(1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복열홀스트립퍼(150)는 복열로 이루어진 렌싱펀치프레임,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 드로잉펀치프레임, 비드펀치프레임,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프레임을 프레스의 강한 압력에 의해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의 복열다이플레이트로 돌출시키도록 안내역할을 한다.
이는 제5 본체(151), 렌싱펀치프레임관통홀(152),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관통홀(153), 드로잉펀치프레임관통홀(154), 비드펀치프레임관통홀(155),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관통홀(156),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프레임관통홀(157)로 구성된다.
상기 제5 본체(151)는 사각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렌싱펀치프레임관통홀(152)은 렌싱펀치프레임에 형성된 렌싱펀치부를 관통시켜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의 렌싱펀치홀프레임으로 돌출시키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관통홀(153)은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에 형성된 파이롯피어싱펀치부를 관통시켜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의 파이롯피어싱펀치홀프레임으로 돌출시키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로잉펀치프레임관통홀(154)은 드로잉펀치프레임에 형성된 드로잉펀치부를 관통시켜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의 드로잉펀치홀프레임으로 돌출시키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드펀치프레임관통홀(155)은 비드펀치프레임에 형성된 비드펀치부를 관통시켜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의 비드펀치홀프레임으로 돌출시키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관통홀(156)은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에 형성된 하프블랭킹펀치부를 관통시켜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의 하프블랭킹펀치홀프레임으로 돌출시키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프레임관통홀(157)은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프레임에 형성된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부를 관통시켜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의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홀프레임으로 돌출시키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렌싱펀치프레임관통홀, 드로잉펀치프레임관통홀, 비드펀치프레임관통홀,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관통홀,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프레임관통홀은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
Figure 112013019349789-pat00006
" 의 형상으로 각각 복열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홀 사이의 반경을 넓게 형성시켜서 금형공정이 교차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200)은 하단면에 위치되어 복열로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홀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가공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하이브리드복합 상부금형에서 눌러지는 프레스의 강한 압력에 의해 드로잉, 하프블랭킹을 거쳐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형성시키고, 하단방향에서 하프블랭킹된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지지하면서,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가 수직하단방향으로 하강할 때,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수직상단방향으로 상승시켜 커링형부재 몸체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완성형 커링형부재를 형성시킨 후, 완성형 커링형부재를 광센서를 통해 취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다이(210), 복열다이백킹플레이트(220), 복열다이플레이트(23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하부다이(2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하부다이(210)는 사각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복열다이플레이트와 복열다이백킹플레이트를 바닥면에서 지지하고, 내부에 스프링고정세트를 포함하면서 상부다이와 수직선상에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복열다이백킹플레이트(2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복열다이백킹플레이트(220)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다이 상단에 위치되고, 윗단에 놓여지는 복열다이플레이트를 밑단에서 지지하도록 열처리된 표면상에 복열다이플레이트의 렌싱펀치홀프레임, 파이롯피어싱펀치홀프레임, 드로잉펀치홀프레임, 비드펀치홀프레임, 하프블랭킹펀치홀프레임,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홀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음각의 복열로 이루어진 렌싱홀기준포인트, 파이롯피어싱홀기준포인트, 드로잉홀기준포인트, 비드홀기준포인트, 하프블랭킹홀기준포인트, 단발식컴파운딩커링홀기준포인트가 형성된다.
이는 제6본체(221), 렌싱홀기준포인트(222), 파이롯피어싱홀기준포인트(223), 드로잉홀기준포인트(224), 비드홀기준포인트(225), 하프블랭킹홀기준포인트(226), 단발식컴파운딩커링홀기준포인트(227)가 구성된다.
상기 제6본체(221)는 사각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렌싱홀기준포인트(222)는 복열다이플레이트의 렌싱펀치홀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음각으로 기준포인트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이롯피어싱홀기준포인트(223)는 복열다이플레이트의 파이롯피어싱홀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음각으로 기준포인트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로잉홀기준포인트(224)는 복열다이플레이트의 드로잉홀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음각으로 기준포인트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드홀기준포인트(225)는 복열다이플레이트의 비드홀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음각으로 기준포인트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프블랭킹홀기준포인트(226)는 복열다이플레이트의 하프블랭킹홀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음각으로 기준포인트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발식컴파운딩커링홀기준포인트(227)는 복열다이플레이트의 단발식컴파운딩커링홀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음각으로 기준포인트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렌싱홀기준포인트, 드로잉홀기준포인트, 비드홀기준포인트, 하프블랭킹홀기준포인트, 단발식컴파운딩커링홀기준포인트는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
Figure 112013019349789-pat00007
" 의 형상으로 각각 복열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홀 사이의 반경을 넓게 형성시켜서 금형공정이 교차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복열다이플레이트(2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복열다이플레이트(230)는 복열다이백킹플레이트 윗단에 위치되고, 하이브리드복합 상부금형의 복열펀치플레이트에 형성된 렌싱펀치프레임,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 드로잉펀치프레임, 비드펀치프레임,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프레임과 수직방향의 동일선상에 복열의 렌싱펀치홀프레임, 파이롯피어싱펀치홀프레임, 드로잉펀치홀프레임, 비드펀치홀프레임, 하프블랭킹펀치홀프레임,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홀프레임을 형성시켜서, 렌싱펀치홀프레임쪽으로 돌출된 렌싱펀치가 삽입되도록 지지하고, 파이롯피어싱펀치홀프레임에 돌출된 파이롯피어싱펀치가 삽입되도록 지지하며, 드로잉펀치홀프레임에 돌출된 드로잉펀치가 삽입되도록 지지하고, 비드펀치홀프레임에 돌출된 비드펀치가 삽입되도록 지지하며, 하프블랭킹펀치홀프레임에 돌출된 하프블랭킹펀치가 삽입되도록 지지하고,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홀프레임에 돌출된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가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7본체(231), 렌싱펀치홀프레임(232), 파이롯피어싱펀치홀프레임(233), 드로잉펀치홀프레임(234), 비드펀치홀프레임(235), 하프블랭킹펀치홀프레임(236),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홀프레임(237)이 구성된다.
상기 제7본체(231)는 사각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렌싱펀치홀프레임(232)은 렌싱펀치홀프레임 삽입구(232-1)에 위치되고, 상단에 복열의 렌싱펀치홀(232a)이 돌출 형성되어 하이브리드복합형 상부금형의 렌싱펀치부가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이롯피어싱펀치홀프레임(233)은 파이롯피어싱펀치홀프레임 삽입구(233-1)에 위치되고, 상단에 파이롯피어싱펀치홀(233a)이 돌출 형성되어 하이브리드복합형 상부금형의 파이롯피어싱펀치부가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로잉펀치홀프레임(234)은 드로잉펀치홀프레임 삽입구(234-1)에 위치되고, 상단에 복열의 드로잉펀치홀(234a)이 돌출 형성되어 하이브리드복합형 상부금형의 드로잉펀치부가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드펀치홀프레임(235)은 비드펀치홀프레임 삽입구(235-1)에 위치되고, 상단에 복열의 비드펀치홀(235a)이 돌출 형성되어 하이브리드복합형 상부금형의 비드펀치부가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프블랭킹펀치홀프레임(236)은 하프블랭킹펀치홀프레임 삽입구(236-1)에 위치되고, 상단에 복열의 하프블랭킹펀치홀(236a)이 형성되어 하이브리드복합형 상부금형의 하프블랭킹펀치부가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홀프레임(237)은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홀프레임 삽입구(237-1)에 위치되고, 상단에 복열의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홀(237a)이 형성되어 하이브리드복합형 상부금형의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부가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열다이플레이트(230)는 상기 렌싱펀치홀프레임의 양측면, 파이롯피어싱펀치홀프레임의 양측면, 드로잉펀치홀프레임의 양측면, 비드펀치홀프레임의 양측면, 하프블랭킹펀치홀프레임의 양측면,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홀프레임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공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핑거펀치(238a)가 복수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파이롯피어싱홀이 형성된 가공소재에 핑거펀치(238a)를 삽입시켜 가공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트랜스퍼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열다이플레이트(230)는 상기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홀프레임의 후단 양측면에 형성되어, 가공소재에 얹어진 채 이송되는 완성형 커링형부재에 적외선신호를 송신시키고, 송신된 적외선신호를 수신시켜, 완성형 커링형부재를 취출시키는 광학센서검출기(239)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렌싱펀치홀프레임, 드로잉펀치홀프레임, 비드펀치홀프레임 , 하프블랭킹펀치홀프레임,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홀프레임은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
Figure 112013019349789-pat00008
" 의 형상으로 각각 복열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홀 사이의 반경을 넓게 형성시켜서 금형공정이 교차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를 이용한 커링형부재 하이브리드복합금형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소재에 커링형 부재의 몸체에 관한 위치포인트를 형성시킨다(S10).
다음으로, 가공소재의 가장자리 양측에 파이롯피어싱홀을 형성시킨다(S20).
다음으로, 파이롯피어싱되어 이송되는 가공소재에 커링형 부재의 몸체테두리에 관한 위치포인트를 형성시킨다(S30).
다음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가공소재에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프레스의 강한 압력을 가해 가공소재 속으로 원통형의 커링형부재 몸체를 1차로 성형시킨다(S40).
다음으로, 1차 드로잉된 가공소재의 직경을 감소시키면서 다시 한번 드로잉하면서 가공소재의 깊이를 증가시켜 원통형의 커링형부재 몸체를 2차로 성형시킨다(S50).
다음으로, 가공소재 표면에 커링할 부위를 음각테두리로 형성시킨다(S60).
다음으로, 가공소재로부터 커링부위가 포함된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절단시킨 후, 가공소재의 홀에 그대로 얹어놓는다(S70).
다음으로, 수직방향으로 한번에 낙하하면서 단 한번의 공정으로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커링시켜 완성형 커링형부재를 형성시킨다(S80).
끝으로, 완성형 커링형부재를 가공소재 틀에 얹은 채 이송시켜 광학센서검출기를 통해 선별해서 취출시킨다(S90).
1 :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
100 : 하이브리드복합 상부금형 110 : 상부다이
120 : 복열펀치백킹플레이트 130 : 복열펀치플레이트
140 : 하이브리드복합펀치포켓 150 : 복열홀스트립퍼
200 :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

Claims (9)

  1. 가공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가공소재 표면에 딥드로잉과 하프블랭킹,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을 거쳐 복열구조로 복수개의 커링형부재를 형성시키도록 하기 위해,
    상단면에 위치되어 복열로 복수개의 펀치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쪽으로 향하는 프레스의 힘을 전달받아 복열로 형성된 드로잉펀치, 하프블랭킹펀치를 통해 가공소재에 드로잉, 하프블랭킹을 거쳐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형성시키고, 하단방향에서 지지하는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쪽으로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를 수직방향으로 하강시켜서, 하프블랭킹된 커링형부재 몸체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완성형 커링형부재를 형성시키도록 상부다이(110), 복열펀치백킹플레이트(120), 복열펀치플레이트(130), 하이브리드복합펀치포켓(140), 복열홀스트립퍼(150)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복합 상부금형(100)과,
    하단면에 위치되어 복열로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홀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가공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하이브리드복합 상부금형에서 눌러지는 프레스의 압력에 의해 드로잉, 하프블랭킹을 거쳐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형성시키고, 하단방향에서 하프블랭킹된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지지하면서,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가 수직하단방향으로 하강할 때,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수직상단방향으로 상승시켜 커링형부재 몸체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완성형 커링형부재를 형성시킨 후, 완성형 커링형부재를 광센서를 통해 취출시키도록 하부다이(210), 복열다이백킹플레이트(220), 복열다이플레이(230)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복합 하부금형(200)으로 구성되는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복합펀치포켓(140)은
    렌싱펀치프레임에 형성되어 가공소재에 커링형부재의 위치포인트를 형성시키는 렌싱펀치부와,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에 형성되어 가공소재의 가장자리 양측에 가공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파이롯피어싱홀을 형성시키는 파이롯피어싱펀치부와,
    드로잉펀치프레임에 형성되어 음각으로 딥드로잉시켜 원통형의 커링형부재 몸체를 형성시키는 드로잉펀치부와,
    비드펀치프레임에 형성되어 가공소재 표면에 커링할 부위를 음각테두리로 형성시키는 비드펀치부와,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에 형성되어 가공소재로부터 커링부위가 포함된 커링형부재의 몸체를 절단시킨 후, 가공소재의 홀에 그대로 얹어놓는 하프블랭킹펀치부와,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프레임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한번에 낙하하면서 단 한번의 공정으로 커링형부재의 가장자리를 말고 압착시켜 커링시키는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열홀스트립퍼
    는 렌싱펀치프레임관통홀,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관통홀, 드로잉펀치프레임관통홀, 비드펀치프레임관통홀,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관통홀,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프레임관통홀로 이루어지고,
    렌싱펀치프레임관통홀, 파이롯피어싱펀치프레임관통홀, 드로잉펀치프레임관통홀, 비드펀치프레임관통홀, 하프블랭킹펀치프레임관통홀, 단발식 컴파운딩 커링펀치프레임관통홀은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
    Figure 112014071618215-pat00023
    " 의 형상으로 각각 복열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홀 사이의 반경을 넓게 형성시켜서 금형공정이 교차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복열다이플레이트(230)는
    렌싱펀치홀프레임의 양측면, 파이롯피어싱펀치홀프레임의 양측면, 드로잉펀치홀프레임의 양측면, 비드펀치홀프레임의 양측면, 하프블랭킹펀치홀프레임의 양측면,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홀프레임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공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핑거펀치가 복수개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복열다이플레이트(230)는
    상기 단발식컴파운딩커링펀치홀프레임의 후단 양측면에 형성되어, 가공소재에 얹어진 채 이송되는 완성형 커링형부재에 적외선신호를 송신시키고, 송신된 적외선신호를 수신시켜, 완성형 커링형부재를 취출시키는 광학센서검출기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
  9. 삭제
KR1020130023489A 2013-03-05 2013-03-05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 및 방법 KR101522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489A KR101522840B1 (ko) 2013-03-05 2013-03-05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489A KR101522840B1 (ko) 2013-03-05 2013-03-05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203A KR20140110203A (ko) 2014-09-17
KR101522840B1 true KR101522840B1 (ko) 2015-05-27

Family

ID=5175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489A KR101522840B1 (ko) 2013-03-05 2013-03-05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8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676B1 (ko) * 2018-03-08 2018-09-20 김종일 격자배열식 일괄 프레스를 통한 삿갓형 사각너트 자동금형장치 및 방법
KR101908897B1 (ko) 2018-05-25 2018-10-16 윤필영 뇌관소켓 커링용 치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371B1 (ko) * 2020-12-21 2021-06-03 주식회사 디에이치테크 차량 공조장치의 에어컨 컴프레셔용 디스크 제조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170B1 (ko) * 2007-07-06 2007-10-31 서재호 아이렛 제작금형 및 이를 이용한 아이렛 제작방법
KR101132353B1 (ko) * 2011-11-08 2012-04-05 대린전자(주) 카메라 리플렉터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형성된 카메라 리플렉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170B1 (ko) * 2007-07-06 2007-10-31 서재호 아이렛 제작금형 및 이를 이용한 아이렛 제작방법
KR101132353B1 (ko) * 2011-11-08 2012-04-05 대린전자(주) 카메라 리플렉터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형성된 카메라 리플렉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676B1 (ko) * 2018-03-08 2018-09-20 김종일 격자배열식 일괄 프레스를 통한 삿갓형 사각너트 자동금형장치 및 방법
KR101908897B1 (ko) 2018-05-25 2018-10-16 윤필영 뇌관소켓 커링용 치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203A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840B1 (ko) 커링형부재용 하이브리드복합금형장치 및 방법
EP194998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ing-shaped member
CN111872232A (zh) 一种金属加工件卷圆成型装置及成型方法
CN113996708B (zh) 一种帽形零部件连续冲压模具
CN203235812U (zh) 一种压弯卷圆工件连续模
CN214814116U (zh) 冲制卷边一体成型模具
CN211727276U (zh) 一种用以成型铝圈的冲压成型机构
KR101606324B1 (ko) 컴파운드 금형
CN203470670U (zh) 大背夹连续生产模具
CN202803949U (zh) 一种针对连接器端子的加工模具
CN104128439A (zh) 一种折弯落料的连续生产工艺
CN210816988U (zh) 一种级进落料模
CN204545098U (zh) 同步压料卸料冲裁模具
CN105215193B (zh) 裙边翻边厚度不同的产品加工用冲压模具及加工方法
KR100880842B1 (ko) 휴대폰용 동축 커넥터의 쉘 제조 장치 및 방법
CN114082840A (zh) 一种天线支座成型模具及其成型工艺
CN209935689U (zh) 2mm高速端子冲压模具
CN210614826U (zh) 一种用于固定汽车油箱的绑带的加工模具
CN109570342B (zh) 一种具有缝隙宽厚比小于1的产品的冲压工艺
CN211304393U (zh) 金属按键整框冲切成品冲落模具
CN210023472U (zh) 一种新型侧推圆角冲压模具
CN110883221A (zh) 一种手机外壳成型冲压模具
CN110052533A (zh) 冲压模具
JP2006205240A (ja) 順送式のプレス成形装置
CN213052372U (zh) 一种金属加工件卷圆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