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336B1 -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336B1
KR101520336B1 KR1020120138234A KR20120138234A KR101520336B1 KR 101520336 B1 KR101520336 B1 KR 101520336B1 KR 1020120138234 A KR1020120138234 A KR 1020120138234A KR 20120138234 A KR20120138234 A KR 20120138234A KR 101520336 B1 KR101520336 B1 KR 101520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ala
aging
recombinant protein
l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131A (ko
Inventor
조경아
임재성
이준행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8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336B1/ko
Priority to PCT/KR2013/002547 priority patent/WO2014084456A1/ko
Priority to US14/764,466 priority patent/US20160083437A1/en
Publication of KR20140070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336B1/ko
Priority to US15/801,467 priority patent/US10407471B2/en
Priority to US16/197,751 priority patent/US11254714B2/en
Priority to US16/524,719 priority patent/US2020003187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3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Streptococcus (G), e.g. Enterococci
    • C07K14/315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Streptococcus (G), e.g. Enterococci from Streptococcus pneumoniae (Pneum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9Lactobacillales, e.g. aerococcus, enterococcus, lactobacillus, lactococcus, streptococcus
    • A61K39/092Stre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107Vibri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28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Vibrionaceae (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8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raising an immune response against a target which is not the antigen used for immu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혈증 비브리오균(Vibrio vulnificus)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단백질 항원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하여 노화에 따라 발생하는 외적, 내적인 기능을 개선하고 면역을 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점막 투여를 통하여 손쉽게 면역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prevention, improvement and treatment of Aging Phenotypes Comprising Recombinant Fusion Protein with Vibrio vulnificus Flagellin and Pathogenic Antigen}
본 발명은 백신 보조제로 효과가 있는 톨-유사수용체-5(TLR-5)의 작용제인 패혈증 비브리오균(Vibrio vulnificus)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평균 수명 연장으로 인해 노령화 사회의 출현으로 인류는 전에 겪지 못한 다양한 숙제에 당면해 있다. 사회·경제적으로는 노령 인구의 증가 및 생산연령층의 감소로 인한 1인당 노인인구 부양비의 증가가 예상되며, 또한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 역시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건강하고 행복한 노년의 삶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면서, 노령화에 따른 질병 양태의 변화 및 노화 관련 질환들의 예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변화는 매우 다양하다. 외형적으로는 피부의 주름, 헤어의 탈색, 척추의 휨 및 움직임의 변화 등 다양한 외적 변화 외에 내적으로 각 주요 조직의 기능 감소, 음식의 섭취 및 소화 장애, 기억력 감퇴를 포함하는 뇌기능 저하 및 심혈관의 기능 감소 등 다양한 변화가 나타난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기능 감소와 더불어 각 조직의 질환을 유도하기 때문에 노화에 따른 외적, 내적인 기능 감소에 대한 원인에 대한 이해 및 이를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외에도 노화에 따른 큰 기능 변화 중 하나가 면역기능의 감소이다. 이를 면역노화(Immunosenescence)라고 한다. 병원균이 숙주에 침입했을 때 숙주 방어작용은 선천성 면역(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adaptive immunity)의 두 가지 면역체계가 작용한다. 이 중에서 선천성 면역체계는 감염 후 즉각적으로 활성화되어 감염 병원균에 대해 재빨리 조절할 수 있는 면역계로 후천성 면역체계가 활성화될 때까지의 감염 초기를 담당한다. 이러한 선천성 면역에서 병원균에 존재하는 '병원체 관련 분자구조(PAMPs: pathogen associated molecular patterns)'를 인식하는 수용체를 '패턴인식 수용체'(PRRs: pattern recognition receptors)라고 부르는데 포유동물에서는 이 수용체를 톨-유사수용체(TLRs: Toll-like receptors)이라 한다. 지금까지 모두 13 종류의 TLRs이 밝혀져 있으며 각 TLRs의 작용제(agonist)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Shizuo Akira et al, Cell, Pathogen Recognition and Innate Immunity, 124(4):783-801, 2006). TLRs과 같은 PRRs은 세포 표면 혹은 세포질 내에 존재하며, 다양한 PAMPs의 자극에 의해 선천성 면역반응(innate immune response)을 조절하고, 나아가 획득 면역 반응(adaptive immune response)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TLRs의 작용제들은 다양한 면역 조절제 및 백신 보조제 개발에 적합한 표적 물질이 될 수 있다.
노화 연구 중 최근까지 가장 각광받고 있는 분야는 노화의 수명 조절 또는 노화 기능 회복에 대한 연구이다. 초파리 모델이나 선충류를 이용한 연구에서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과발현하여 수명이 연장되는 경우, 식이제한을 통해 수명이 연장되는 경우, 최근 라파마이신 등을 처리하여 수명이 연장되는 경우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한 수명 연장에 대한 연구가 급증하고 있고 단순 수명연장이 아닌 기능유지 또는 기능 회복 등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하등 동물 모델에서 나타난 결과를 참고하여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은 다른 기능적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어 사람에게 적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고 라파마이신과 같은 약물을 처리하는 경우 면역 기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 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노화에 따른 기능 저하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노화 면역 세포에서 대부분의 톨-유사 수용체들의 발현이 감소하는 반면, 톨-유사체 수용체-5는 잘 발현되어 기능이 유지됨을 확인하고, 이를 활성화시키는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 및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이용하여 면역화 하는 경우 노화쥐의 면역이 활성화될 뿐만 아니라 외적, 내적인 기능이 향상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혈증 비브리오균(Vibrio vulnificus)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단백질 항원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eye)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패혈증 비브리오균(Vibrio vulnificus)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단백질 항원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노화에 따른 기능 저하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노화 면역 세포에서 대부분의 톨-유사 수용체들의 발현이 감소하는 반면, 톨-유사체 수용체-5는 잘 발현되어 기능이 유지됨을 확인하고, 이를 활성화시키는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 및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이용하여 면역화 하는 경우 노화쥐의 면역이 활성화될 뿐만 아니라 외적, 내적인 기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패혈증 비브리오균(Vibrio vulnificus)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단백질 항원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플라젤린"은 세균의 운동성을 결정하는 섬모인 플라젤라를 구성하는 단위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플라젤린은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TLR-5 작동제로서 작용하는 플라젤린을 모두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젤린은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플라젤린인 FlaB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병원체의 단백질 항원의 예는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의 표면 단백 A(PspA)의 알파 나선 도메인(α-helix domain) 및 폐렴구균 표면 부착인자 A(PsaA: pneumococcal surface protein A);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서브유닛 HA(hemagglutinin) 및 NA(neuraminidase); 및 중증급성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SARS 바이러스)의 스파이크(S) 단백질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병원체의 단백질 항원은 폐렴구균의 표면 단백질 A(PspA)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은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FlaB-PspA 단백질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노화(aging)"는 개체가 태어나서 사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기능적, 구조적 및 생화학적 과정을 의미한다. 개체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와 신체조직 전체에 일어나며, 대사속도의 저하, 질병증가 및 적응력 저하 등을 나타내어 궁극적으로는 세포와 신체 전체의 사망에 이르게 되는 현상이다. 예컨대, 피부의 주름 증가, 모발의 윤기 감소, 모발의 탈색, 탈모, 모낭이 존재하는 진피층 두께 감소, 모낭 수 감소, 척추의 휨 및 운동량의 감소 등의 외적 변화, 그리고 면역 기능의 감소, 주요 조직의 기능 감소 등의 내적 변화 및 이로 인한 각 조직들의 질환의 발생을 모두 포함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은 면역을 강화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면역강화"는 생체 내 면역시스템의 면역 반응 또는 활성을 노화되지 않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유지시키거나 노화된 대조군을 기준으로 강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은 노화된 대조군을 기준으로 분비형 면역 글로블린 A(sIgA: secretory IgA) 항체 생성의 증가, T 세포의 분화에 중요하게 관련되어 있는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s)빈도의 증가, 흉선의 퇴화 방지 또는 창자간막림프절(MLN: mesenteric lymphnode)이나 비장(spleen)이 비대해지지 않도록 하여 면역관련기관의 기능성을 노화에 의해 감소되지 않거나 노화된 대조군보다 강화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은 대사 기능, 피부 조직의 기능, 장 조직의 기능, 근육 조직의 기능, 뇌 기능 또는 심혈관 기능 저하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사 기능, 피부 조직의 기능, 장 조직의 기능, 근육 조직의 기능 저하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모낭이 존재하는 진피 조직의 기능, 대장 조직의 기능 또는 근육 조직의 기능 저하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Metabolic Disease)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대사성 질환"은 비만, 당뇨,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심혈관질환 및 혈액응고 이상과 같은 위험인자가 함께 나타나는 증후군을 의미한다. 그 증상 자체는 치명적이진 않지만 당뇨병이나 허혈성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심각한 질병으로 발전할 소인이 있기 때문에 현대인을 크게 위협하는 질환으로, 한때는 그 원인을 몰라 X 증후군(Syndrome X)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이름으로 불렸으나, 최근 세계보건기구와 미국국립보건연구원에서 제정한 성인 치료프로그램 Ⅲ(ATP Ⅲ: Adult Treatment Program Ⅲ)을 통해 대사증후군 또는 인슐린저항성증후군(Insulin resistance syndrome)이라 공식 명명되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은 비만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상기 모발 관련 질환으로는 예컨대, 모발의 윤기 감소, 모발의 탈색, 탈모, 모낭이 존재하는 진피층 두께 감소 및 모낭 수 감소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상기 장 질환으로는 예컨대, 과민성 장 증후군(IBS), 조절되지 않는 설사-관련 과민성 장 증후군(dIBS), 크론병, 여행자 설사, 궤양성 대장염, 장염, 소장 박테리아 과성장, 만성 췌장염, 췌장 기능부전, 결장염, 게실병, 간성 뇌병증 및 탈장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 질환은 장염 또는 탈장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장염 또는 탈장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상기 골 질환으로는 예컨대, 골다공증, 골연화증, 구루병, 암세포의 골 전이,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한 골 손상,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한 골 용해, 섬유성 골이형성증, 무형성 골 질환, 대사성 골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및 디스크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 관련 질환은 골다공증, 골연화증, 대사성 골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또는 퇴행성 관절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골다공증 또는 골연화증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질환들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술한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재조합 단백질과의 관계에서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재조합 단백질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점막,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점막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의 식품학적 유효량; 및 (b)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식품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재조합 단백질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물레나물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재조합 단백질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상기 담체로서, 정제수, 일가 알코올류(에탄올 또는 프로필 알코올), 다가 알코올류(글리세롤, 1,3-부티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고급 지방산류(팔미틸산 또는 리놀렌산), 유지류(소맥 배아유, 동백기름, 호호바유, 올리브유, 스쿠알렌, 해바라기유, 마카데미아땅콩유, 아보가드유, 대두 수첨가 레시틴 또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소염제 및 청량제를 첨가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모노라우린산헥사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 환원라놀린, POE, 글리세릴피로글루타민산, 이소스테아린산, 디에스테르, N-아세틸글루타민 및 이소스테아릴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살균제는 히녹티올, 트리크로산, 크롤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즐렌 (azulene), 살리실산 및 징크피리타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 몰식자산프로필 및 에리소르빈산 중에서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하다.
자외선 흡수제는 디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류, 멜라닌,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시녹사이트, 파라메톡시계피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2-(2-히드록시-5-메틸페닐) 벤조트리아졸, 우로카닌산 및 금속산화물 미립자 중에서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하다.
소염제로는 글리틸리틴산디칼륨 또는 알란토인을 사용할 수 있고, 청량제로는 고추틴크 또는 1-멘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배합할 수 있는 임의의 제형으로서 탈모방지 화장품의 형태로는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분말, 젤 등과 같이 용액,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에어졸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패혈증 비브리오균(Vibrio vulnificus)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단백질 항원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모발 관련 질환, 안 질환, 장 질환 또는 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c)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하여 노화에 따라 발생하는 외적, 내적인 기능을 개선하고 면역을 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점막 투여를 통하여 손쉽게 면역을 할 수 있다.
도 1은 전반적인 노화마우스에 면역을 하는 실험계획 및 실험 방법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a 및 2b는 FlaB-PspA 재조합 단백의 면역에 따른 노화마우스에서의 먹이 섭취량 및 몸무게 변화의 측정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3은 지속적인 면역에 의한 노화마우스에서의 IgA 반응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는 지속적인 항원의 면역을 통해 노화마우스의 형태학적 변화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FlaB-PspA 재조합 단백 면역에 의한 노화마우스의 피부 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조직ㅇ병리학적 소견을 나타낸다.
도 6는 FlaB-PspA 재조합 단백에 의한 노화마우스의 골수세포에서의 조혈모세포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7은 FlaB-PspA 재조합 단백 면역에 의한 노화마우스의 림프계 변화를 보여주는 기관을 나타낸다.
도 8은 FlaB-PspA 재조합 단백에 의한 노화마우스의 골밀도 변화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이다.
실험방법 및 실험재료
정제 분리된 단백과 재조합 단백을 가지고 노화마우스(C57BL/6J, 23개월 이상) 비강 내(Intranasal)로 단백을 2주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면역을 하였다. PspA 단백 및 FlaB-PspA 재조합 단백은 전남대학교 임상백신개발사업단 이준행 교수님 연구실에서 구입하였다.
모든 면역실험은 SPF(Specific Pathogen Free)시설에서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젊은 마우스(8-10주령)를 사용하였고, 면역 실험군은 면역을 하지 않은 노화마우스 군, PBS(16 ㎕/마우스)로 2주 간격으로 8차례 이상 노화마우스 비강내로 면역한 군, PspA(2.5 ㎍/16㎕/마우스) 단백으로만 2주 간격으로 8차례 이상 노화마우스 비강내로 면역한 군 및 FlaB-PspA(6.5 ㎍/16㎕/마우스) 재조합 단백으로 2주 간격으로 8차례 이상 노화마우스 비강 내로 면역한 군을 사용하였다.
지속적으로 면역을 하는 동안 노화마우스의 형태 및 행동변화를 관찰하였다.
면역을 시작하고 난 후부터, 매주 마우스의 몸무게와 먹이 섭취량 등을 측정하는데 면역에 따른 변화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 각 마우스들을 한 마리씩 따로 관리를 하였다. 그리고 한 마리당 먹이를 50 g씩 준 후 일주일 간격으로 먹고 남은 먹이양을 정확히 측정하였다. 또한 매주 동물용 저울을 이용하여 각 마우스의 몸무게를 정확히 측정하였다.
면역에 따른 노화마우스의 형태적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매주 마우스의 외관상 즉, 털 상태와 탈모 및 탈색을 관찰하고 항문이나 눈 또한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변화된 양상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면역에 의한 노화마우스의 행동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면역하는 동안 일부 시점에서 마우스의 행동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서 마우스의 행동능을 확인하기 위해 각 군의 노화마우스를 한정된 공간에 두어 일정시간 동안 마우스 움직임을 관찰하였다. 이 움직임을 일반적으로 마우스의 행동능의 표준항목인 움직임, 뒷다리로 일어서는 횟수, 그리고 앞다리를 이용한 지탱 횟수 및 코 만지기 횟수를 기준으로 비교를 하였다.
지속적으로 면역을 하는 중간 시점에서 면역 횟수에 따라 면역반응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일부 마우스에서 혈액 및 변을 채취를 한 후, 항체 생성의 변화를 효소면역정량법(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으로 측정을 하였다.
적정기간 동안 면역을 한 후, 일괄적으로 마우스들에서 여러 시료를 채취한 다음 다양한 실험방법을 통해서 면역에 의한 노화마우스의 전체적인 변화를 측정하였다.
지속적인 면역에 따른 노화마우스에서 면역반응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에서 혈청 및 여러 가지 점막 시료(변, 침 및 질 세척액 등)을 채취하여 점막 면역 반응(mucosal immune response)을 비교하기 위해 분비형 면역 글로블린 A(secretory IgA, sIgA) 항체 생성의 변화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면역에 의한 노화마우스의 형태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피부조직을 비롯한 다양한 조직을 채취하여 포르말린(formalin)에 고정을 한 다음 파라핀 블록(paraffin-block)을 만든 후, 헤마톡시린 및 에오신(H&E: Hematoxylin and Eosin) 염색을 통해서 조직ㅇ병리학적 소견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점막 면역을 통한 면역의 효과와 먹이 섭취량과 관련해서 점막 면역에서 크게 차지하고 있는 소장과 대장의 조직을 H&E 염색을 하여 조직ㅇ병리학적 소견을 비교 관찰하였다.
면역관련 조직에서 림프구(lymphocytes) 세포를 분리하여 항원에 의한 세포성 면역반응을 비교하기 위해, 목 림프절(cervical lymph node) 및 비장(spleen)에서 림프구 분리하여 항원에 의한 세포성 면역반응을 ELISA방법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골수에서 세포를 분리하여 다양한 골수세포의 변화양상을 비교 관찰하기 위해, 노화마우스 뒷다리의 뼈에서 골수(bone marrow)세포를 분리하여 유세포분석기(FACS: Flow cytometry, Beckman Coulter)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특히, T 세포의 분화에 중요하게 관련되어 있는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s)빈도를 조혈모세포 표지자인 CD34를 이용하여 면역염색(immunostain)을 통해서 비교 관찰하였다.
마우스의 척추를 분리하여 면역에 의한 노화마우스의 골밀도의 변화 비교하기 위해, 마우스 척추를 적출한 다음 소동물 컴퓨터 단층촬영기(microCT: Micro Computer Tomography) Skyscan 1172(Micro Photonics Inc., 미국)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면역에 따른 노화마우스의 골밀도(BMD: Bone Mineral Density)와 노화에 따른 척주후만증(Kyphosis)을 비교 관찰하였다.
그 다음으로 현재 진행 중인 연구로, 지속적인 면역을 통해서 변화되어 있는 노화마우스의 형태 및 행동 변화를 대사와 관련하여 비교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노호마우스에서 혈액을 채취한 한 후, 혈청 또는 혈장을 분리한 다음 호르몬 관련 대사관련 유전자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면역에 의한 점막면역의 변화를 비교 관찰하기 위해 장관련 미세환경을 정상 세균총(microbiota) 이용하여 비교 관찰하였다. 또한 항원으로 지속적인 면역을 한 노화마우스의 혈액 및 변을 채취한 다음 미세배열(microarray)과 같은 고급 분석방법을 통해서 유전자 발현양상을 비교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실시예 1. 플라젤린 - PspA 재조합 단백의 면역에 따른 노화마우스에서의 먹이 섭취량 및 몸무게 변화
노화마우스의 비강 내로 2주 간격으로 8차례 면역을 하는 동안 매주 각 군의 마우스들의 몸무게와 먹이 섭취량을 측정하였고 면역을 하지 않은 노화마우스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노화마우스의 비강내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제조된 2.5 μg PspA 및 6.5 μg FlaB-PspA 재조합 단백을 2주일 간격으로 8차례 면역을 시켰고, 매주 각 군들의 마우스들에 각각 면역을 시켰고, 매주 각 군들의 마우스들의 무게와 먹이 섭취량을 측정을 하였다. 그 결과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몸무게를 측정한 결과, 면역을 하지 않은 마우스군, PBS로 면역한 군, PspA 단독 및 FlaB-PspA 재조합 단백을 가지고 면역한 군에서 모두 면역에 따른 마우스의 몸무게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a).
면역에 의한 노화마우스의 먹이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면역을 하지 않은 마우스 군에서는 시간에 따른 먹이 섭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PBS만으로 면역을 한 군도 마찬가지로 2주 간격으로 8회 걸쳐 면역을 하여도 먹이 섭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PspA 단독 처리한 군에서는 지속적인 면역을 하는 동안 먹이 섭취량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FlaB-PspA 재조합 단백으로 면역을 한 군에서는 지속적인 면역에 의해 먹이 섭취량이 증가됐는데 그 증가율은 PspA 단독 처리한 군보다 현저하게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도 2b).
실시예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항원으로 계속적으로 노화마우스에 면역을 하면 몸무게의 변화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먹이 섭취량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백신 보조제와 병원체의 항원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으로 면역을 하면 먹이 섭취량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지속적인 항원의 면역을 통한 마우스 형태학적 변화 관찰
지속적으로 노화마우스의 비강내로 2주 간격으로 8차례 면역을 하는 동안 면역에 의한 노화마우스의 형태적 변화를 매주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고, 면역을 하지 않은 노화마우스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면역을 시작하기 전의 노화마우스는 외관상 이상소견이 없었다. 털의 상태 및 윤기, 탈색 및 탈모, 항문에서의 이상소견(대장염 또는 탈장) 및 눈에서의 이상소견(백내장)들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면역을 시작하고 계속적으로 노화마우스를 관찰한 결과, 전혀 면역을 하지 않은 노화마우스 군에서는 2주 간격으로 8차례 면역을 하는 군에 비해서 털의 상태가 매우 안 좋아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탈색이나 탈모 등이 심하게 진행되는 등 전반적으로 외관상의 형태가 나빠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항문에서 탈장과 같은 이상소견이 심하게 나타났으며 양쪽 눈에서도 백내장 소견으로 의심되는 이상소견이 심한 것으로 확인됐다(O-대조군). PBS로 면역한 군에서도 마찬가지로 털의 상태가 좋지 않았고 탈색 및 탈모가 심해지는 등 외관상 상태가 심하게 좋지 않았다. 또한 항문에서 약간의 대장염 또는 탈장 소견이 보였고 한쪽 눈에서 백내장으로 의심되는 소견이 심하게 관찰되었다(O-PBS).
반면에 PspA을 가지고 8차례 면역을 한 결과, 노화마우스의 외관상 형태가 약간의 탈색은 보였으나 털의 상태가 많이 바빠지지 않았고 항문이나 눈에서 이상소견을 관찰하지 못했다(O-PspA). 특히 FlaB-PspA 재조합 단백을 가지고 면역을 한 군에서는 노화마우스의 털 상태가 면역을 하기 전의 노화마우스와 매우 유사할 정도로 상태가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항문이나 눈에서 전혀 이상소견을 관찰할 수 없었다(O-FlaB-PspA).
실시예 2의 결과로 알 수 있듯이, 지속적인 면역을 통해서 노화마우스의 외관상 형태가 많이 좋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화가 되면 탈색이나 탈모의 진행이 심해지고 눈에서 백내장 같은 이상소견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설치류 동물에서는 근육량의 감소로 인해 항문에서 탈장과 같은 이상소견이 보이는데, 항원으로 지속적인 면역을 하면 이러한 현상이 잘 발생이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백신보조제와 병원체의 항원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면역한 군에서는 노화마우스의 외관형태가 시간이 지나도 그대로 유지되거나 상태가 좋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지속적인 항원 면역에 의환 노화마우스의 IgA 반응 변화
지속적으로 면역을 하는 동안 각 군에서 마우스의 변을 매 면역을 한 후 채취하여 면역에 따른 노화마우스의 IgA 반응을 ELISA 방법으로 확인을 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고, 면역을 하지 않은 노화마우스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면역을 하지 않은 노화마우스에서는 면역을 하는 동안 IgA 반응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O-대조군). PBS로만 면역을 한 군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가 6회 면역을 하고 난 후부터 약간 반응이 증가되었으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O-PBS). PspA 단독 처리한 군에서는 4회 면역을 한 후부터 IgA반응이 나타나다가 그 뒤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O-PspA). 반면에, FlaB-PspA 재조합 단백으로 면역한 군에서는 면역 횟수에 따라서 IgA 반응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O-FlaB-PspA).
실시예 3 결과로 알 수 있듯이, 지속적인 면역을 통해서 노화마우스의 점막면역반응에 대해 IgA 반응을 확인한 결과, 다른 군에서는 IgA 반응이 면역에 따라 큰 차이가 없거나 약간의 반응이 보이는 반면에 FlaB-PspA 재조합 단백으로 면역을 한 군에서는 면역에 따라서 IgA 반응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 비추어보면, 재조합 단백에 의해 노화마우스의 점막면역이 활성화 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실시예 4. 재조합 단백 면역에 의한 노화마우스의 피부 조직학적 변화
실시예 2 결과에서 항원, 특히 재조합 단백으로 지속적으로 면역을 한 군에서 노화마우스의 털 상태가 매우 양호해지는 것을 관찰한 결과, 이를 더 자세히 증명하고자 H&E 염색을 통해서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고, 젊은 마우스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노화마우스의 등쪽 피부조직을 채취를 하여 H&E 염색을 통해서 확인한 결과, 노화가 되면 탈모가 진행이 되고 진피층(dermis layer)이 얇아지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젊은 마우스에서는 진피층이 두껍고 털이 나고 자라는 곳, 즉 모낭(hair follicle)수가 진피층에 많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Y-대조군). 반면에 노화마우스에서는 진피층이 얇아지고 모낭수가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O-대조군). 이 노화마우스에 항원(O-PspA) 그리고 재조합 단백(O-FlaB-PspA)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면역을 하면 진피층도 두꺼워지고 모낭수가 증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FlaB-PspA 재조합 단백으로 면역한 군에서는 모낭수가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의 결과로 알 수 있듯이, 지속적인 항원으로 면역을 하면 노화 마우스의 형태적 소견이 호전이 되는 것을(실시예 2 결과)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서 확인을 하였다. 실시예 2결과에서 보여지는 노화마우스의 탈색 및 탈모의 진행이 호전되는 것이 지속적인 면역에 의해 노화마우스에 모낭이 유지되는 것을 조직학적 분석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 비추어보면, 지속적으로 재조합 단백을 가지고 면역을 하면 노화가 되면서 발생하는 탈색 및 탈모의 진행을 더디게 하거나 방지를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실험예 5. 재조합 단백 면역에 의한 골수에서의 조혈세포의 변화
지속적인 면역에 의한 노화마우스의 골수에서 골수세포의 변화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고, 면역을 하지 않는 노화마우스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노화마우스 골수에서 세포를 분리하여 골수세포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세포충실도 (cellularity)에서는 각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골수세포(megakaryocyte, myeloid 및 erythroid lineages) 비율을 확인한 결과, 전반적으로 노화마우스에서 골수 세포들이 잘 유지되고 분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조혈모세포의 빈도를 확인하기 위해 조혈모세포 표지자인 CD34을 가지고 면역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 노화마우스에서 FlaB-PspA 재조합 단백을 지속적으로 면역을 하면 CD34가 다른 군에 비해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의 결과로 알 수 있듯이, 재조합 단백으로 지속적인 면역을 하면 노화마우스에서 단순 외관상 형태만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면역관련에서도 그 효과가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재조합 단백 면역에 의한 림프계 기관의 변화
적정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면역을 한 후, 각 군의 마우스에서 기관들을 적출하여 형태 및 무게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고, 젊은 마우스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노화마우스에서 전체적으로 조직을 적출한 다음 기관형태 변화 및 무게를 측정한 결과, 다른 기관에 비해서 림프계관련 기관에서 지속적인 면역에 의해 차이를 볼 수 있었다. 특히, FlaB-PspA 재조합 단백으로 면역을 한 군에서 젊은 마우스 기관의 형태 및 무게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흉선(thymus)은 퇴화가 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인데 노화마우스에 항원으로 지속적으로 면역을 한 군에서 흉선의 무게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FlaB-PspA 재조합 단백을 가지고 면역을 한 군에서는 그 무게가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전신성 염증반응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창자간막림프절(MLN: mesenteric lymphnode)이나 비장(spleen)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속적인 감염으로 대부분이 그 형태가 매우 비대해지는데, 노화마우스에 FlaB-PspA 재조합 단백으로 계속적으로 면역을 하면 흉선의 무게가 다른 군에 비해 더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비장에서도 다른 군의 노화 마우스의 비장에 비해서 무게가 덜 나가고 형태적으로도 젊은 마우스의 비장과 비슷한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6의 결과로 알 수 있듯이, 지속적인 항원으로 노화마우스에 면역을 하면 면역관련 기관의 형태적인 특징이 호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FlaB-PspA 재조합 단백을 면역한 노화마우스는 그 형태적인 특징이 젊은 마우스의 기관과 매우 유사한 형태적 소견이 관측이 되었다.
실시예 7. 재조합 단백 면역에 의한 노화마우스의 골밀도의 변화
노화마우스에서 척추를 적출하여 소동물 컴퓨터 단층촬영기(microCT)을 이용하여 재조합 단백으로 면역을 통한 노화마우스의 골밀도 변화를 측정을 하여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고, 젊은 마우스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지속적으로 8차례 면역을 한 후, 노화마우스 척추를 적출한 후 microCT를 이용하여 면역에 의한 골밀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재조합 단백을 가지고 면역한 군에서 골밀도가 상당히 좋아져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 1과 관련해서 설명을 하자면, 면역 횟수에 따라 몸무게는 변화가 없고 먹이 섭취량이 재조합 단백을 가지고 면역한 군에서만 증가된 결과는 노화마우스의 운동량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고 이에 대한 골밀도 또한 다른 노화 마우스군에 비해서 재조합 단백으로 지속적인 면역한 군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고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20> Compositions for prevention, improvement and treatment of Aging Phenotypes Comprising Recombinant Fusion Protein with Vibrio vulnificus Flagellin and Pathogenic Antigen <130> PN120534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612 <212> PRT <213> FlaB-PspA <400> 1 Met Ala Val Asn Val Asn Thr Asn Val Ala Ala Met Thr Ala Gln Arg 1 5 10 15 Tyr Leu Asn Asn Ala Asn Ser Ala Gln Gln Thr Ser Met Glu Arg Leu 20 25 30 Ser Ser Gly Phe Lys Ile Asn Ser Ala Lys Asp Asp Ala Ala Gly Leu 35 40 45 Gln Ile Ser Asn Arg Leu Asn Val Gln Ser Arg Gly Leu Asp Val Ala 50 55 60 Val Arg Asn Ala Asn Asp Gly Ile Ser Ile Ala Gln Thr Ala Glu Gly 65 70 75 80 Ala Met Asn Glu Thr Thr Asn Ile Leu Gln Arg Met Arg Asp Leu Ser 85 90 95 Leu Gln Ser Ala Asn Gly Ser Asn Ser Lys Ser Glu Arg Val Ala Ile 100 105 110 Gln Glu Glu Val Thr Ala Leu Asn Asp Glu Leu Asn Arg Ile Ala Glu 115 120 125 Thr Thr Ser Phe Gly Gly Asn Lys Leu Leu Asn Gly Thr Tyr Gly Thr 130 135 140 Lys Ala Met Gln Ile Gly Ala Asp Asn Gly Glu Ala Val Met Leu Ser 145 150 155 160 Leu Lys Asp Met Arg Ser Asp Asn Val Met Met Gly Gly Val Ser Tyr 165 170 175 Gln Ala Glu Glu Gly Lys Asp Lys Asn Trp Asn Val Ala Ala Gly Asp 180 185 190 Asn Asp Leu Thr Ile Ala Leu Thr Asp Ser Phe Gly Asn Glu Gln Glu 195 200 205 Ile Glu Ile Asn Ala Lys Ala Gly Asp Asp Ile Glu Glu Leu Ala Thr 210 215 220 Tyr Ile Asn Gly Gln Thr Asp Leu Val Lys Ala Ser Val Gly Glu Gly 225 230 235 240 Gly Lys Leu Gln Ile Phe Ala Gly Asn Asn Lys Val Gln Gly Glu Ile 245 250 255 Ala Phe Ser Gly Ser Leu Ala Gly Glu Leu Gly Leu Gly Glu Gly Lys 260 265 270 Asn Val Thr Val Asp Thr Ile Asp Val Thr Thr Val Gln Gly Ala Gln 275 280 285 Glu Ser Val Ala Ile Val Asp Ala Ala Leu Lys Tyr Val Asp Ser His 290 295 300 Arg Ala Glu Leu Gly Ala Phe Gln Asn Arg Phe Asn His Ala Ile Ser 305 310 315 320 Asn Leu Asp Asn Ile Asn Glu Asn Val Asn Ala Ser Lys Ser Arg Ile 325 330 335 Lys Asp Thr Asp Phe Ala Lys Glu Thr Thr Gln Leu Thr Lys Thr Gln 340 345 350 Ile Leu Ser Gln Ala Ser Ser Ser Ile Leu Ala Gln Ala Lys Gln Ala 355 360 365 Pro Asn Ser Ala Leu Ser Leu Leu Gly Val Asp Ser Pro Val Ala Ser 370 375 380 Gln Ser Lys Ala Glu Lys Asp Tyr Asp Ala Ala Lys Lys Asp Ala Lys 385 390 395 400 Asn Ala Lys Lys Ala Val Glu Asp Ala Gln Lys Ala Leu Asp Asp Ala 405 410 415 Lys Ala Ala Gln Lys Lys Tyr Asp Glu Asp Gln Lys Lys Thr Glu Glu 420 425 430 Lys Ala Ala Leu Glu Lys Ala Ala Ser Glu Glu Met Asp Lys Ala Val 435 440 445 Ala Ala Val Gln Gln Ala Tyr Leu Ala Tyr Gln Gln Ala Thr Asp Lys 450 455 460 Ala Ala Lys Asp Ala Ala Asp Lys Met Ile Asp Glu Ala Lys Lys Arg 465 470 475 480 Glu Glu Glu Ala Lys Thr Lys Phe Asn Thr Val Arg Ala Met Val Val 485 490 495 Pro Glu Pro Glu Gln Leu Ala Glu Thr Lys Lys Lys Ser Glu Glu Ala 500 505 510 Lys Gln Lys Ala Pro Glu Leu Thr Lys Lys Leu Glu Glu Ala Lys Ala 515 520 525 Lys Leu Glu Glu Ala Glu Lys Lys Ala Thr Glu Ala Lys Gln Lys Val 530 535 540 Asp Ala Glu Glu Val Ala Pro Gln Ala Lys Ile Ala Glu Leu Glu Asn 545 550 555 560 Gln Val His Arg Leu Glu Gln Glu Leu Lys Glu Ile Asp Glu Ser Glu 565 570 575 Ser Glu Asp Tyr Ala Lys Glu Gly Phe Arg Ala Pro Leu Gln Ser Lys 580 585 590 Leu Asp Ala Lys Lys Ala Lys Leu Ser Lys Leu Glu Glu Leu Ser Asp 595 600 605 Lys Ile Asp Glu 610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FlaB-PspA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에 의한 백내장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FlaB-PspA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에 의한 대장염 또는 탈장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FlaB-PspA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에 의한 골다공증 또는 골연화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20138234A 2012-11-30 2012-11-30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234A KR101520336B1 (ko) 2012-11-30 2012-11-30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13/002547 WO2014084456A1 (ko) 2012-11-30 2013-03-27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플라젤린과 병원체 항원 단백질의 융합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4/764,466 US20160083437A1 (en) 2012-11-30 2013-03-27 Composition comprising recombinant fusion protein of pathogenic antigen protein and flagellin of vibrio vulnificus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aging
US15/801,467 US10407471B2 (en) 2012-11-30 2017-11-02 Composition comprising recombinant fusion protein of pathogenic antigen protein and flagellin of vibrio vulnificus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aging
US16/197,751 US11254714B2 (en) 2012-11-30 2018-11-21 Method for inhibiting, improving, or preventing aging using recombinant fusion protein of pathogenic antigen protein and flagellin of Vibrio vulnificus
US16/524,719 US20200031879A1 (en) 2012-11-30 2019-07-29 Composition comprising recombinant fusion protein of pathogenic antigen protein and flagellin of vibrio vulnificus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ag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234A KR101520336B1 (ko) 2012-11-30 2012-11-30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540A Division KR101749317B1 (ko) 2014-09-29 2014-09-29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40130541A Division KR101749318B1 (ko) 2014-09-29 2014-09-29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49811A Division KR20150045418A (ko) 2015-04-08 2015-04-08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131A KR20140070131A (ko) 2014-06-10
KR101520336B1 true KR101520336B1 (ko) 2015-05-14

Family

ID=5082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234A KR101520336B1 (ko) 2012-11-30 2012-11-30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20160083437A1 (ko)
KR (1) KR101520336B1 (ko)
WO (1) WO20140844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7543A (ko) 2008-05-23 2012-11-21 시와 코퍼레이션 재생을 촉진하는 방법, 조성물 및 장치
US11254714B2 (en) 2012-11-30 2022-02-22 Medispan Co., Ltd. Method for inhibiting, improving, or preventing aging using recombinant fusion protein of pathogenic antigen protein and flagellin of Vibrio vulnificus
US9993535B2 (en) 2014-12-18 2018-06-12 Siwa Corporatio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sarcopenia
US10358502B2 (en) 2014-12-18 2019-07-23 Siwa Corporation Product and method for treating sarcopenia
AU2017219749B2 (en) 2016-02-19 2022-01-06 Siwa Corporatio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killing metastatic cancer cells and preventing cancer metastasis using antibody to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
WO2017181116A1 (en) 2016-04-15 2017-10-19 Siwa Corporation Anti-age antibodies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JP2020516648A (ja) 2017-04-13 2020-06-11 シワ コーポレーション ヒト化モノクローナル終末糖化産物抗体
US11518801B1 (en) 2017-12-22 2022-12-06 Siwa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iabetes and diabetic complications
AU2019261592A1 (en) * 2018-04-24 2020-11-19 Genome Protection, Inc. Methods for improving frailty and aging
WO2021247397A2 (en) * 2020-06-04 2021-12-09 Siwa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the immune system
WO2022086190A1 (ko) * 2020-10-20 2022-04-28 주식회사 메디스팬 플라젤린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839B1 (ko) * 2004-01-12 2008-01-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세균의 편모 구성인자 플라젤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점막 백신 보조제
KR20050073865A (ko) * 2004-01-12 2005-07-18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비브리오 패혈증균 편모 구성인자 플라젤린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신 보조제
KR100804507B1 (ko) * 2005-05-17 2008-02-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플라젤린을 포함하는 천식 및 알레르기 질환 면역치료제
US8889149B2 (en) * 2006-02-16 2014-11-18 Wayne State University Use of flagellin to prevent and treat gram negative bacterial infection
WO2007103048A2 (en) * 2006-03-01 2007-09-13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Tlr agonist (flagellin)/cd40 agonist/antigen protein and dna conjugates and use thereof for inducing synergistic enhancement in immunity
KR101130884B1 (ko) * 2009-04-16 2012-04-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 단백질을 융합시켜 제조한 재조합 융합 단백질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점막 투여용 백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fection and Immunity, vol. 74, pages 2177-2186 (2006)
J. Immunology, vol. 185, pages 5677-5682 (20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31879A1 (en) 2020-01-30
US20160083437A1 (en) 2016-03-24
KR20140070131A (ko) 2014-06-10
US20180118792A1 (en) 2018-05-03
WO2014084456A1 (ko) 2014-06-05
US10407471B2 (en) 201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336B1 (ko)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148336B2 (ja) 新規ペプチド及びその使用
JP7023221B2 (ja) 高麗人参由来のエクソソーム様ベジクルを含む脱毛防止又は育毛促進用組成物
JP2022115999A (ja) 浮遊病原体および刺激物に対して防御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US8906380B2 (en) Fungal immunostimulatory compositions
KR101773041B1 (ko) 줄기세포로부터 추출된 엑소좀을 함유하는 베이지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US10975130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US20200360429A1 (e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graphene nano-structure
KR20120139644A (ko) 야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210158265A (ko) 자연살해 세포 배양액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1987354B1 (ko) 티오레독신 결합단백질 유래 펩타이드 또는 이를 암호화 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줄기세포의 역노화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EP2799082A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or asthma, containing lagerstroemia ovalifolia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RU2636615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астмы, содержащая моноацетилдиацилглицерин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WO2019070850A1 (en) LOCAL ADMINISTRATION OF ANINEOPLASTIC PARTICLES IN COMBINATION WITH SYSTEMIC DELIVERY OF IMMUNOTHERAPEUT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KR101538743B1 (ko)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202749B2 (en) Composition for skin aging measurement, prevention, or alleviation, using HAPLN1
KR101762797B1 (ko)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7470B1 (ko)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의 사균체 또는 SpeA 단백질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49318B1 (ko)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9317B1 (ko)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32721A (ko)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132687A (zh) 兴奋性神经毒性相关损伤的治疗肽组合物
KR20150045418A (ko)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편모 구성성분인 플라젤린과 병원체의 항원 단백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254714B2 (en) Method for inhibiting, improving, or preventing aging using recombinant fusion protein of pathogenic antigen protein and flagellin of Vibrio vulnificus
KR102547208B1 (ko) 인삼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면역 강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