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549B1 - 조립식 터널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터널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549B1
KR101515549B1 KR1020130091599A KR20130091599A KR101515549B1 KR 101515549 B1 KR101515549 B1 KR 101515549B1 KR 1020130091599 A KR1020130091599 A KR 1020130091599A KR 20130091599 A KR20130091599 A KR 20130091599A KR 101515549 B1 KR101515549 B1 KR 101515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trut
wire
fix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780A (ko
Inventor
김백영
Original Assignee
김백영
합덕토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백영, 합덕토건(주) filed Critical 김백영
Priority to KR1020130091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549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 구조물은, 도로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널 구조체; 및 상기 터널 구조체에 위치하는 가림막을 포함하고, 상기 터널 구조체 각각은, 상기 도로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지주와 제2 지주를 포함하는 지주부; 상기 도로의 상부를 지나도록 상기 지주부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바; 및 장력에 의하여 상기 지주부를 상기 도로에 일체로 고정하는 와이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터널 구조물{ASSEMBLY TYPE TUNNEL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식 터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도로 등을 보호하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 공사 현장 등에서는 건설 장비와 작업자들의 통행을 위하여 가설 도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가설 도로를 일반 도로와 같이 만들기에는 비용, 완공 후 철거, 시공 시간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그냥 흙을 단단히 다져 파쇄석를 깔아 가설 도로를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설 도로는 통행 시 먼지가 비산되고, 바퀴에 묻은 흙이 가설 도로를 훼손할 수 있다. 특히, 비, 눈 등이 오면 가설 도로가 진흙으로 변해 통행이 어려워지고, 물이 토양에 흡수되면서 물렁해진 상태에서 건설 장비가 교통하면서 도로가 침하되거나 변형되어 수시로 보수를 해야 한다. 이에 따라 물자와 작업 인력들의 원활한 교통이 어려워서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건축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도로를 보호할 수 있으며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터널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 구조물은, 도로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널 구조체; 및 상기 터널 구조체에 위치하는 가림막을 포함하고, 상기 터널 구조체 각각은, 상기 도로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지주와 제2 지주를 포함하는 지주부; 상기 도로의 상부를 지나도록 상기 지주부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바; 및 장력에 의하여 상기 지주부를 상기 도로에 일체로 고정하는 와이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부에 상기 와이어부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가 위치할 수 잇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지주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지주부의 상부 단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지주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지주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 부재가 기어, 유압 실린더 또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가 상기 와이어부가 지나가는 경로를 가지는 롤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로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주가 고정되는 제1 지주 기초와 상기 제2 지주가 고정되는 제2 지주 기초를 포함하는 지주 기초부; 및 상기 도로를 가로질러 상기 제1 지주 기초와 상기 제2 지주 기초를 연결하는 횡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부가 상기 횡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지주와 상기 제2 지주에 고정되어 상기 터널 구조체를 하나로 묶을 수 있다.
상기 지주 기초부는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기주 기초부에 상기 지주부가 끼워지는 홀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림막이 상기 상부 고정바와 상기 와이어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바, 상기 가림막, 상기 와이어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가 와이어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림막의 상기 지주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지주부가 통과하는 홀 또는 슬릿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림막은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림막은 상기 도로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가림막과 상기 도로의 바닥면 사이로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주와 상기 제2 지주 사이에서 상기 도로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3 지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제1 지주와 상기 제3 지주를 연결하여 상기 도로에 고정하는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지주와 상기 제3 지주를 연결하여 상기 도로에 고정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 구조물은 도로 상부에 가림막을 위치시켜 강수, 강우, 바람 등으로부터 도로를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원활한 교통을 보장하고 건설 장비 등이 운행하여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식 터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와이어부의 장력을 이용하여 조립식 터널 구조물의 각 터널 구조체의 결합력을 향상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조립식 터널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지주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고정부의 위치 등을 변경하여 와이어부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부가 묶인 상태에서 와이어부의 장력을 조절하여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터널 구조물을 II-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식 터널 구조물에서 각 터널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 구조물의 지주부의 제1 고정부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 구조물의 지주부와 제1 및 제2 고정부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와이어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 구조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터널 구조물을 II-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조립식 터널 구조물에서 각 터널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간략하고 명확한 도면을 위하여 도 3에서 와이어부(6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 구조물(100)은, 도로(1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널 구조체와, 터널 구조체에 위치하는 가림막(7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터널 구조체는, 도로(10)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지주(31)와 제2 지주(32)를 포함하는 지주부(30)와, 도로(10)의 상부를 지나도록 지주부(30)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바(40)와, 장력에 의하여 도로(10)와 지주부(30)를 일체로 고정하는 와이어부(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주부(30)가 고정되는 지주 기초부(20)와, 도로를 가로질러 위치하는 횡관(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로(10)의 양측의 바닥면에 지주 기초부(20)가 각기 위치한다. 즉, 지주 기초부(20)는 도로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지주 기초(21)와 제2 지주 기초(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 기초부(20)(즉, 제1 및 제2 지주 기초(21, 22))는 도로(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길게 배치되어 도로(10)와 이의 외부를 구획하는 경계가 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주부(3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주 기초부(20)가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중앙 부분에는 지주부(30)(즉, 제1 및 제2 지주(31, 32))가 통과하여 고정되는 제1 홀(20a)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지주 기초부(20)가 도로(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면, 지주 기초부(20)의 개수를 조절하여 도로(10)의 길이 방향에 무관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복수 개의 지주 기초부(20)의 중앙부에 위치한 제1 홀(20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홀(20a)에 고정되는 지주부(30) 또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지주 기초부(20)의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 또는 상면까지 제2 홀(20b)이 형성되어 횡관(50)과 이의 내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부(6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주 기초부(20)의 형상 등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지주 기초부(20)는 도로(10)의 경계로서 역할을 수행하면서 지주부(30)를 흔들림 없이 고정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주 기초부(20)는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저렴한 비용으로 지주 기초부(20)을 제조할 수 있고, 지주부(30)를 흔들림 없이 고정하면서도 도로(10)의 양측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주 기초부(20)가 다양한 물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주 기초부(20)의 제1 홀(20a)에 끼워지는 지주부(30)는 지주 기초부(20)를 관통하여 지주 기초부(20)의 하부의 위치한 토양에 박아서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지주부(30)의 고정 안정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지주부(30)는 상부 고정바(40)를 도로(10)로부터 일정 거리 위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터널 구조체의 지주부(30)가 도로(10)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지주(31)와 제2 지주(32)를 포함하고, 상부 고정바(40)가 제1 지주(31)와 제2 지주(32)를 연결하도록 제1 지주(31)와 제2 지주(32)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지주부(30)(즉, 제1 및 제2 지주(31, 32))는 일정한 길이를 가져 도로(10)로부터 상부로 길게 일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원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주부(30)는 상부 고정바(4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주부(30)의 형상, 물질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지주부(30)에는 와이어부(60)가 고정되며 와이어부(60)의 장력을 조절하는 와이어 고정부(34)가 위치한다. 이때, 와이어 고정부(34)는, 지주부(3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고정부(34a)과, 지주부(30)의 상부 단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제2 고정부(3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부(34a, 34b) 각각은, 와이어부(60)가 지나가는 경로를 가지는 롤러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고정부(34a, 34b)가 롤러 부재로 구성되면 와이어부(60)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와이어부(6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부(34a)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주부(3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정부(34a)을 지주부(3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주부(30)에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하고 제1 고정부(34a)가 레일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1 고정부(34a)와 지주부(30)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부재(36a)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길이 조절 부재(36a)로는 다양한 구조,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유압 실린더, 기어 구조,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지주부(30)의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제2 고정부(36)와 지주부(30)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2 길이 조절 부재(36b)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길이 조절 부재(36b)로는 다양한 구조,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유압 실린더, 기어 구조,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로(10)의 양측에 위치한 지주부(30)(즉, 제1 지주(31)와 제2 지주(32))의 상부에는 제1 지주(31)와 제2 지주(32)의 상부를 가로질러 고정되는 상부 고정바(40)가 위치한다. 상부 고정부(40)는 제1 및 제2 지주(31, 32)에 다양한 방식, 구조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부 고정바(40)는 가림막(70)에 의하여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하며 가림막(70)이 도로(10) 위에서 일정한 거리를 가지면서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다양한 물질, 형상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부 고정바(40)가 유선형의 형상을 가져서 외부 환경에 의한 하중 등을 좀더 잘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로(10)의 양측에 위치한 지주 기초부(20)(즉, 제1 지주(21)와 제2 지주(42))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횡관(50)이 위치한다. 일 예로, 횡관(50)의 일측은 도로(10)의 일측에 위치한 제1 기초(21)의 제2 홀(20b)에 고정되고, 횡관(50)의 타측은 도로(10)의 타측에 위치한 제2 기초(22)의 제2 홀(20b)에 고정된다. 횡관(50)은 제1 및 제2 지주 기초(21, 22)에 끼우는 것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횡관(50)과 제1 및 제2 지주 기초(21, 22)을 고정하는 별도의 부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횡관(50)은 도로(10)의 내부에 매설될 수 있고, 횡관(50)은 와이어부(60)가 통과할 수 있는 중공이 내부에 위치하는 파이프(pipe) 등일 수 있다.
지주부(30)의 와이어 고정부(34)에 고정되는 와이어부(60)는 장력에 의하여 도로(10)와 지주부(30)를 일체로 고정한다. 좀더 상세하게는, 와이어부(60)는 도로(10)의 양측에 위치한 지주부(30)의 와이어 고정부(34)에 고정된 상태에서 횡관(50)을 통과하여 전체적으로 하나로 묶는다. 이에 의하여 와이어부(60)를 이용하여 하나의 터널 구조체를 일체로 묶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와이어부(60)에 의하여 장력을 제공하여 각 터널 구조체가 큰 강도를 가지면서 직립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횡관(50)을 형성하지 않고 와이어 고정부(34)에 고정된 와이어부(60)를 지면에 고정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부 고정바(40) 및 이 위에 위치하는 와이어부(60)는 고정 부재(62)에 의하여 서로 고정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차례로 위치하는 상부 고정바(40), 가림막(70) 및 와이어부(60)을 일체로 고정하여 각 터널 구조체가 직립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고정 부재(62)는 와이어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방식의 고정 부재(62)가 적용될 수 있다.
상부 고정바(40) 위(좀더 정확하게는, 상부 고정부(40)와 와이어부(60) 사이)에 위치하는 가림막(70)은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방수 특성이 우수한 방수포, 투명 아크릴 소재의 스크린,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림막(70)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권취되는 롤(roll)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접철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보관 시에 작은 부피로 보관될 수 있고, 조립식 터널 구조물(100)의 설치 시에는 원하는 길이만큼 만을 사용하여 조립식 터널 구조물(1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가림막(70)에는 지주부(30)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지주부(30)가 통과하는 홀 또는 슬릿(72)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가림막(70)이 지주부(30)를 통과하여 상부 고정바(40)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홀 또는 슬릿(72)에 의하여 비, 눈 등이 도로(10)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림막(70)을 상부 고정바(40) 위에 위치하고 나면 홀 또는 슬릿(72) 등에 의한 공간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홀 또는 슬릿(72)에 자석 등을 설치하여 가림막(70)을 상부 고정바(40)에 위치하고 나면 자동적으로 홀 또는 슬릿(72)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별도로 홀 또는 슬릿(72)의 남는 공간을 폐쇄하는 별도의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림막(70)은 도로(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가림막(70)과 도로(10) 사이에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통풍 및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바람이 심하게 불거나 한쪽에서 바람이 불 때 조립식 터널 구조물(100)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조립식 터널 구조물(100)의 설치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로(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양쪽에 지주 기초부(20)를 설치한다. 즉, 도로(10)의 양쪽에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지주 기초(21, 22)를 길게 배열할 수 있다.
이어서, 지주 기초부(20)의 제1 홀(20a) 내로 지주부(30)를 통과시켜 지주 기초부(20) 하부의 지면에 지주부(30)를 박아서 고정한다. 즉, 제1 지주(31)를 제1 지주 기초(21)에 고정하고 제2 지주(32)를 제2 지주 기초(22)에 고정한다.
이어서, 지주부(30)(즉, 제1 지주(31)와 제2 지주(32))에 상부 고정바(40)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부 고정바(40) 위에 가림막(70)을 위치시킨다. 즉, 가림막(70)의 홀 또는 슬릿(72)으로 지주부(30)를 통과시켜 상부 고정바(40) 위에 가림막(70)을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로(10)의 양측에 위치한 지주 기초부(20)의 제2 홀(20b)에 횡관(50)의 양측을 고정 및 매설한다. 이때, 지주 기초부(20) 내의 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도로면을 시공하여 횡관(50)을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도로(10)를 좀더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와이어부(60)를 횡관(50) 내부를 통과한 와이어부(60)를 와이어 고정부(34)에 고정한 상태에서 와이어부(60)를 하나로 묶어준다. 와이어부(60)는 큰 강도를 가져 장력에 의하여 터널 구조체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지주부(30)의 제1 및/또는 제2 고정부(36)의 위치를 조절하여 와이어부(60)의 장력을 조절한다. 이에 의하여 가림막(70)에 의한 하중, 강수 및 강우에 의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 구조물(100)의 지주부(30)의 제1 고정부(34a)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 구조물(100)의 지주부(30)와 제1 및 제2 고정부(34a, 34b)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와이어부(60)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34a)를 상하로 이동시켜 와이어부(6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도 5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34a)와 지주부(30)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와이어부(6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5의 (a)에서와 같이 제1 고정부(34a)와 지주부(30) 사이의 길이가 짧으면 와이어부(60)의 장력이 작고, 도 5의 (b)에서와 같이 제1 고정부(34a)와 지주부(30) 사이의 길이가 길면 와이어부(60)의 장력이 크다. 또는, 도 5의 (a)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34b)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와이어부(6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5의 (a)에서와 같이 제2 고정부(36b)와 지주부(30) 사이의 길이가 짧으면 와이어부(60)의 장력이 작고, 도 5의 (c)에서와 같이 제2 고정부(34b)의 길이가 길면 와이어부(60)의 장력이 크다. 따라서, 강수, 강우 등에 의하여 가림막(70)에 의한 하중이 증가하거나, 가림막(70)의 재질 등에 의하여 큰 하중을 견뎌야 하는 경우 등에는 제1 및 제2 고정부(34a, 34b)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와이어부(6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식 터널 구조물(100)은 도로(10) 상부에 가림막(70)을 위치시켜 강수, 강우, 바람 등으로부터 도로(10)를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원활한 교통을 보장하고 건설 장비 등이 운행하여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초 지주부(20), 지주부(30), 상부 고정바(40), 와이어부(60) 등으로 이루어지는 터널 구조체와, 이 위에 위치하는 가림막(70)을 조립하거나 분리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립식 터널 구조물(100)을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조립식 터널 구조물(100)의 설치 및 해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와이어부(60)의 장력을 이용하여 조립식 터널 구조물(100)의 각 터널 구조체의 결합력을 향상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조립식 터널 구조물(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지주부(30)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고정부(34a, 34a)의 위치 등을 변경하여 와이어부(6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부(60)가 묶인 상태에서 와이어부(60)의 장력을 조절하여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 구조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각 터널 구조체에서는 제1 지주(31)와 제2 지주(32)의 사이에서 도로(10)의 내측에 제3 지주(33)가 위치한다. 제3 지주(33)는 제3 지주 기초(23)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3 지주 기초(23)에는 횡관(50) 내의 와이어부(60)과 통과하는 제2 홀이 두 개 위치하여, 제1 와이어(61)와 제2 와이어(62)가 간섭 없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지주(33)의 와이어 고정부(34)는, 상부로 돌출되는 제1 고정부(34a)과, 측면으로 돌출되는 제2 고정부(34b)을 포함한다. 이때, 제2 고정부(34b)은, 일측으로 돌출되는 일측 고정부(341b)와 타측으로 돌출되는 타측 고정부(342b)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제1 와이어(61)가 제1 지주(31)의 제2 고정부(34b)와 제3 지주(33)의 제2 고정부(34b)의 일측 고정부(341b)를 연결하여 도로(10)에 고정하고, 제2 와이어(62)가 제2 지주(32)의 제2 고정부(34b)와 제3 지주(33)의 제2 고정부(34b)의 타측 고정부(342b)를 연결하여 도로(10)에 고정한다. 이때, 제1 와이어(61)가 통과하는 횡관(50)과 제2 와이어(62)가 통과하는 횡관(50)이 별개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도로(10)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양 방향 통행에 따른 차량의 도로를 구획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이 도로를 보호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로 이외의 다양한 구조를 보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립식 터널 구조물
10: 도로
20: 지주 기초부
30: 지주부
40: 상부 고정바
50: 횡관
60: 와이어부
70: 가림막

Claims (18)

  1. 도로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널 구조체;
    상기 터널 구조체에 위치하는 가림막,
    상기 터널 구조체 각각에서 상기 도로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지주와 제2 지주를 포함하는 지주부;
    상기 도로의 상부를 지나도록 상기 지주부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바;
    장력에 의하여 상기 지주부를 상기 도로에 일체로 고정하는 와이어부 및,
    상기 도로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주가 고정되는 제1 지주 기초와 상기 제2 지주가 고정되는 제2 지주 기초를 포함하는 지주 기초부;
    상기 도로를 가로질러 상기 제1 지주 기초와 상기 제2 지주 기초를 연결하는 횡관을 포함하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에 상기 와이어부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가 위치하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지주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지주부의 상부 단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조립식 터널 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지주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지주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 부재가 기어, 유압 실린더 또는 모터를 포함하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가 상기 와이어부가 지나가는 경로를 가지는 롤러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가 상기 횡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지주와 상기 제2 지주에 고정되어 상기 터널 구조체를 하나로 묶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기초부는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기주 기초부에 상기 지주부가 끼워지는 홀이 위치하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이 상기 상부 고정바와 상기 와이어부 사이에 위치하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바, 상기 가림막, 상기 와이어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와이어 클립을 포함하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의 상기 지주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지주부가 통과하는 홀 또는 슬릿이 위치하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상기 도로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가림막과 상기 도로의 바닥면 사이로 통풍이 이루어지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주와 상기 제2 지주 사이에서 상기 도로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3 지주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제1 지주와 상기 제3 지주를 연결하여 상기 도로에 고정하는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지주와 상기 제3 지주를 연결하여 상기 도로에 고정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조립식 터널 구조물.

  18. 삭제
KR1020130091599A 2013-08-01 2013-08-01 조립식 터널 구조물 KR101515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599A KR101515549B1 (ko) 2013-08-01 2013-08-01 조립식 터널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599A KR101515549B1 (ko) 2013-08-01 2013-08-01 조립식 터널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780A KR20150015780A (ko) 2015-02-11
KR101515549B1 true KR101515549B1 (ko) 2015-06-01

Family

ID=5257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599A KR101515549B1 (ko) 2013-08-01 2013-08-01 조립식 터널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5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067Y1 (ko) * 2001-10-23 2002-02-06 서형덕 이동식 차양
JP2002332755A (ja) * 2001-05-07 2002-11-22 Nkk Plant Engineering Corp 多目的ハウス用屋根
KR20050029558A (ko) * 2003-09-23 2005-03-28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연동비닐온실의 지붕자동완전개폐 시스템
KR20060112048A (ko) * 2005-04-26 2006-10-31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야외용 천막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2755A (ja) * 2001-05-07 2002-11-22 Nkk Plant Engineering Corp 多目的ハウス用屋根
KR200262067Y1 (ko) * 2001-10-23 2002-02-06 서형덕 이동식 차양
KR20050029558A (ko) * 2003-09-23 2005-03-28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연동비닐온실의 지붕자동완전개폐 시스템
KR20060112048A (ko) * 2005-04-26 2006-10-31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야외용 천막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780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198B1 (ko) 조립형 탈부착식 방음벽
KR100724021B1 (ko) 멀티형 방음패널을 갖는 방음벽
JP3214272U (ja) 高さ制限表示ゲート
JP6099409B2 (ja) 屋外作業用の仮設屋根構造
KR102239510B1 (ko) 배수기능을 구비하는 내진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JP2016113833A (ja) 高さ制限表示ゲート
JP6206778B2 (ja) 防風柵
KR101030093B1 (ko) 투명 방음벽
KR101515549B1 (ko) 조립식 터널 구조물
KR102104814B1 (ko) 보행자 안전난간 및 주행차량 추락방지 기능을 겸비한 투명 경량형 캔틸레버 방풍벽
KR101530081B1 (ko) 완충슬롯을 갖는 와이어로프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시설 시공 방법
KR101157194B1 (ko) 흡음형 경관 지주를 겸비한 방음벽
KR101308066B1 (ko) 조립식 천막 구조물의 지지력 보강을 위한 빔 설치구조
KR20190069377A (ko) 차도용 블록 고정장치
KR101661301B1 (ko) 무기초 지주 및 이를 포함하는 낙석방지 울타리 시공 방법
JP5623257B2 (ja) 折半屋根支持構造
KR101610845B1 (ko) 부상 흡음재를 이용한 풍하중 저감형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20150042580A (ko) 방음벽지주
KR101378097B1 (ko) 복공판
KR200470642Y1 (ko) 기둥형상의 방음구조물
KR101147670B1 (ko) 프리캐스트 스트립을 이용한 방음벽 기초대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벽 구조물
KR101346090B1 (ko) 천막 고정 구조
JP5903330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構造
KR101620592B1 (ko) 가드레일과 동물유도울타리 겸용 파워방형망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6371233B2 (ja) 門柱及びこの門柱を備えた門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