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487B1 - 소형 블렌더 - Google Patents

소형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487B1
KR101515487B1 KR1020140044596A KR20140044596A KR101515487B1 KR 101515487 B1 KR101515487 B1 KR 101515487B1 KR 1020140044596 A KR1020140044596 A KR 1020140044596A KR 20140044596 A KR20140044596 A KR 20140044596A KR 101515487 B1 KR101515487 B1 KR 101515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housing
blender
holder
foo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식
Original Assignee
김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식 filed Critical 김화식
Priority to KR1020140044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2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 B26D1/29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with cutting member mounted in the plane of a rotating disc, e.g. for slicing b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칼날이 마련된 회전반 구조를 개선하여 식재료의 분쇄 및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작동 및 진동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에 의하면; 상부에는 홀더안착부(140)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작동노브(11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120)가 설치된 블렌더본체(100)와; 블렌더본체(100)의 홀더안착부(140)에 하단부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하우징-홀더(200)와; 하우징-홀더(200)의 상단 외측을 감싸도록 개방된 하단부(330)가 착탈식으로 체결되고 상면(340)은 중심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원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340)에는 식재료(F)를 투입하기 위해 입설된 재료 투입구(310)와 선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배출슈트(320)가 일체로 이루어진 하우징(300)과; 하우징(300)과 하우징-홀더(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하부에는 하우징-홀더(20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블렌더본체(100)의 구동모터(120)측과 축이음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러(410)가 마련되고, 상면(420)은 원뿔 형태로 이루어져 하우징(300)의 상면(34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하우징(300)의 내부공간에서 회전하는 블레이드-회전반(400)과;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에 형성된 칼날 인서트홈(430)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회전 반경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방향에 대해 식재료 컷팅선이 빗각을 향하는 복수개의 분쇄칼날(520)들이 2열을 이루면서 지그재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재료 투입구(310)를 통해 투입되는 식재료(F)를 절삭하면서 반경 방향으로 밀어보내는 칼날유닛(500)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형 블렌더{A COMPACT BLENDER}
본 발명은 소형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채나 과일 또는 삶은 곡물과 같은 식재료를 복수개의 분쇄칼날이 표면에 마련된 회전반(블레이드 회전체)을 통해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면서 갈아 디저트나 이유식을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소형 블렌더(BLENDER)』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가정에서 녹즙이나 주스를 직접 만들어 먹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간편하게 야채나 과일을 이용하여 즙을 내기 위한 원액기 또는 주스 믹서기 등과 같은 다양한 소형 블렌더(BLENDER)가 개시되고 있다. 원액기는 식재료를 갈아 고체성분을 가진 입자와 액체성분을 가진 즙으로 분리하여 즙만을 추출하는 기기이며, 믹서기는 액체 성분을 따로 분리하지 않고 식재료를 단순하게 분쇄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또는 삶은 이유식 재료들을 분쇄하여 디저트나 이유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믹서기에 식재료와 함께 약간의 액체(물, 우유, 요구르트 등)를 넣어야 용이하게 갈린다. 반면에, 액체를 첨가하지 않고 각종 식재료 액즙을 내기 위해서는 수동식 강판 또는 강판 구조를 가진 주스 제조기를 이용한다. 이러한 종래 개시된 주스 제조기는 내부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축이 중앙에서 상측의 외부로 돌출된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에 안착되며 일측에 배출구가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 주스보올과; 이 주스보올의 상부에 위치하되 모터 회전축에 밑면이 안착되어 결합되며 바닥면에 칼날부가 마련된 거름망과; 이 거름망의 상부에 안착된 후 본체에 마련된 클램프에 의하여 고정되며 재료 투입구가 형성된 덮개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재료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식재료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거름망의 칼날부에 의해 분쇄되면서 갈려지며, 이에 포함된 액즙은 거름망을 통해 걸러지면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주스 제조기에 적용되는 거름망에서는 칼날부가 평평한 바닥면에 일렬로 돌출 배치되기 때문에, 식재료가 갈아지면서 상당한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 주스 제조기용 거름망이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68488호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 제20-0368488호에 개시된 주스 제조기용 거름망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의 회전축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결합홈이 밑면 중앙에 형성된 받침부(51)와; 스포트 용접(54a) 처리된 연결부(54) 및 블랭크부(55)를 구비하고 받침부(51)에 일체로 결합되는 필터부(53)와; 이 필터부(53)의 바닥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다수의 칼날부(52)와; 필터부(53)의 바닥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바닥면 블레이드(59)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거름망으로 투입된 식재료는 회전하는 칼날부(52)에 의해 갈려지며, 이에 포함된 액즙이 필터부(53)를 통해 걸러지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주스제조기용 거름망 구조에서는 복수개의 칼날부(52)가 바닥면 중앙에서 반경 방향을 향해 일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식재료의 절삭면이 동시에 일자형 칼날부(52)에 부딪친다. 이에 따라 칼날부(52)에 걸리는 부하가 상당하며, 절삭된 식재료가 칼날부(52)를 원활하게 넘어가지 못하고 칼날 틈에 끼이거나 칼날부(52) 바로 앞에 쌓이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식재료가 원활하게 절삭되지 않으며, 상당한 소음과 진동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칼날의 크기를 작게 하고 높이를 낮춰야 하는데, 이러한 구조에서는 절삭과 분쇄시간이 많이 걸리고 상대적으로 분쇄된 과즙의 양도 적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쇄칼날이 마련된 회전반 구조를 개선하여 식재료의 분쇄 및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작동 및 진동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소형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쇄칼날을 통해 식재료를 적당한 크기의 입자로 절삭 분쇄함과 동시에 이를 용이하게 배출함으로써, 이유식이나 디저트 같은 식재료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소형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입된 식재료를 분쇄하여 액즙으로 배출하는 소형 블렌더에 있어서;
상기 소형 블렌더가; 상부에는 홀더안착부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작동노브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블렌더본체와; 상기 블렌더본체의 홀더안착부에 하단부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하우징-홀더와; 상기 하우징-홀더의 상단 외측을 감싸도록 개방된 하단부가 착탈식으로 체결되고 상면은 중심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원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식재료를 투입하기 위해 입설된 재료 투입구와 선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배출슈트가 일체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하우징과 하우징-홀더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하부에는 하우징-홀더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블렌더본체의 구동모터측과 축이음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러가 마련되고, 상면은 원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회전하는 블레이드-회전반과; 블레이드-회전반의 상면에 형성된 칼날 인서트홈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회전 반경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며, 블레이드-회전반의 회전방향에 대해 식재료 컷팅선이 빗각을 향하는 복수개의 분쇄칼날들이 2열을 이루면서 지그재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재료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식재료를 절삭하면서 반경 방향으로 밀어보내는 칼날유닛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회전반의 상면 중심에 회전지지부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면 중심에 회전지지부가 수용 결합되어 블레이드-회전반의 회전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회전반의 상면에 칼날유닛들을 통해 절삭된 식재료를 반경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해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스크루돌기가 나선상으로 만곡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슈트의 입구 후단부에 블레이드-회전반의 상면 가장자리 부위를 덮도록 배출가이드벽이 이루어져; 블레이드-회전반의 상면 가장자리로 밀려난 절삭된 식재료를 배출슈트 입구측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상면에 붙어있는 식재료를 긁어내도록 블레이드-회전반의 회전방향에 대해 나선방향으로 그레이팅 톱니돌기부가 블레이드-회전반의 상면에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에 의하면; 블레이드-회전반의 회전방향에 대해 식재료 컷팅선이 빗각으로 이루어진 칼날유닛들에 의해 투입된 식재료는 절삭과 함께 분쇄되면서 반경 방향으로 용이하게 보내짐으로써, 식재료의 분쇄 및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작동소음과 진동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에 의하면; 회전지지부와 회전지지홈에 의해 블레이드-회전반은 하우징의 내부 정위치에서 무리없이 회전함으로써, 이의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에 의하면; 블레이드-회전반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스크루돌기와 그레이팅 톱니돌기부로 인해 절삭된 식재료는 배출슈트측으로 안내됨으로써, 식재료 액즙을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에 의하면; 식재료가 썰어지면서 분쇄되기 때문에 소음이 적은 것은 물론이며 강판의 경우보다 분쇄량을 높이면서도 시간이 단축되고, 식재료가 떠먹기 편한 걸죽한 반고체 상태로 배출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에 의하면; 배출슈트의 입구 후단부에 마련된 배출가이드벽에 의해 블레이드-회전반의 상면 가장자리(액즙배출통로)로 밀려난 절삭된 식재료는 배출슈트 입구측으로 안내되어, 식재료 액즙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68488호에 개시된 주스제조기용 거름망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블렌더본체와 하우징-홀더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하우징-홀더와 블레이드-회전반 및 하우징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하우징홀더와 블레이드-회전반 및 하우징의 내부구조를 보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하우징 저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블레이드-회전반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블레이드-회전반의 평면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블레이드-회전반의 평면 구조를 보인 것으로, 식재료가 분쇄되면서 액즙이 빠져나가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사용 상태 및 식재료 분쇄 및 절삭과정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구성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는 투입된 야채나 과일 또는 삶은 이유식 재료(이하에서는 '식재료'라 한다)를 절삭과 함께 분쇄하여 배출할 수 있는 가정용 기기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노브(110)가 배치되고 내부에는 구동모터(120)가 설치되는 블렌더본체(100)와; 이 블렌더본체(100)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상측 외벽에 제2걸림턱(220)이 마련된 하우징-홀더(200)와; 이 하우징-홀더(200)의 상부에 조립식으로 체결되며 상부에 재료 투입구(310)와 배출슈트(320)가 마련된 하우징(300)과; 이 하우징(300)과 하우징-홀더(20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면에는 식재료를 절삭 분쇄하면서 회전 반경 방향으로 밀어 내보내는 칼날유닛(500)들이 배치된 블레이드-회전반(400)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블렌더본체(100)는 소형 블렌더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면부에는 다이얼 방식의 작동노브(110)가 배치되며, 내부에는 블레이드-회전반(4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2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120)의 회전축에는 커플링기어(130)가 마련되며, 이것은 후술하는 커플러(410)를 통해 블레이드-회전반(400)과 동축상으로 축이음 연결됨으로써, 블레이드-회전반(400)을 시계방향(도 5의 화살표 R방향 참조)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모터(120)의 커플링기어(130)를 인터널 기어(internal gear) 형태로 구성하였다.} 작동노브(110)는 구동모터(120)의 구동 및 이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중속(1단)과 고속(2단) 및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구동하는 펄스 단계(P)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투입 식재료에 따라 구동모터(120)의 알맞은 회전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블렌더본체(100)의 상부에는 제1걸림턱(141)이 대향되게 형성된 홀더안착부(140)가 마련되는데, 여기에는 하우징-홀더(200)의 하단 내벽에 마련된 제1회전걸림부(210)을 통해 하우징-홀더(200)가 착탈식으로 장착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홀더(200)는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의 하단부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블렌더본체(100)의 홀더안착부(140)에 착탈식으로 장착되고, 상측 외벽에는 제2걸림턱(22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홀더(200)의 하단 내벽에는 블렌더본체(100)의 홀더안착부(140)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L"자형 제1회전결합부(210)가 대향되게 마련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조립 상태를 견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우징-홀더(200)가 홀더안착부(140)에 견실하게 장착되면; 블레이드-회전반(400) 커플러(410)와 구동모터(120) 커플링기어(130)가 정확하게 맞물림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홀더(200)의 상측 외벽에는 제2걸림턱(220)들이 90도 간격으로 4개가 이루어진 것으로, 여기에 하우징(300) 하단부(330)가 착탈식으로 견실하게 조립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300)은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으로; 이의 개방된 하단부 내벽에도 "L"자형 제2회전결합부(330)들이 마련되어 있어서 제2걸림턱(220)들이 형성된 하우징-홀더(200)의 상측 외벽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이의 상면(340)은 중심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원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우징(300)의 상면(340)에는 식재료를 투입하기 위해 내부와 연통되게 입설된 재료 투입구(310)와, 선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배출슈트(320)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우징(300)의 상면(340) 중심에는 반구 형태로 돌출된 회전지지홈(35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블레이드-회전반(400)을 정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00)의 천정면은 대부분 밋밋하게 이루어져 있어서, 절삭 및 분쇄된 식재료가 용이하게 미끄러져 배출되게 된다. 또한, 배출슈트(320)의 입구 후단부에는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 가장자리 부위를 덮도록 배출가이드벽(360)이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 가장자리로 밀려난 절삭된 식재료를 배출슈트(320) 입구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도 3, 도 4, 도 6에서 도시된 미설명 부호 "370" 은 재료 투입구(310)를 통해 식재료를 용이하게 밀어 넣기 위한 "밀대"이다. 또한, 도 7에서 도시된 미설명 부호 "600"은 하우징-홀더(200) 상측 외벽을 감싸도록 끼워져 배치되는 연질의 "원형 패킹"으로; 하우징-홀더(200)와 하우징(300)이 결합되면 이들 사이에서 압착되어 블랜더본체(100)측으로의 누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3과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블레이드-회전반(400)은 하우징(300)과 하우징-홀더(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의 하부에는 하우징-홀더(20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블렌더본체(100)의 구동모터(120) 회전축(130;커플링기어)과 축이음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러(410;coupler)가 마련되어 있다.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은 원뿔 형태로 이루어져 하우징(300)의 상면(34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하우징(300) 내부공간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에는 칼날유닛(500)들이 끼워져 배치될 수 있도록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칼날 인서트홈(430)이 120도 간격으로 3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에는 칼날유닛(500)들 사이에 위치하면서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방향에 대해 나선 방향으로 연장된 스크루돌기(44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크루돌기(440)는 칼날유닛(500)들을 통해 절삭된 식재료를 반경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해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나선상으로 만곡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루돌기(440)의 끝단부는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의 가장 끝단까지는 연장되지 않는데, 이는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의 가장자리가 액즙배출통로(450)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에는 하우징(300) 상면(340)에 붙어있는 식재료를 긁어내도록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방향에 대해 나선방향으로 그레이팅 톱니돌기부(470)가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칼날유닛(500)들을 통해 절삭 및 분쇄된 식재료는 스크루돌기(440)와 그레이팅 톱니돌기부(470)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밀려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 중심에는 반구 형상의 회전지지부(460)가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회전지지부(46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300)의 회전지지홈(350)에 수용 결합되어,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운동을 정위치에서 지지되게 된다.
칼날유닛(500)들은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에 형성된 칼날 인서트홈(430)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회전 반경방향으로 복수개(본 발명에서는 3개)가 배치되는데; 칼날 인서트홈(430)에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는 합성수지 몸체(510)와, 이 합성수지 몸체(510)에 인서트되어 날카로운 끝단이 돌출된 분쇄칼날(520)로 정의된다. 칼날유닛(500)의 분쇄칼날(520)은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방향(도 10의 화살표 R 방향 참조)에 대해 식재료 컷팅선이 빗각을 향하도록 2열(병렬)을 이루면서 지그재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재료 투입구(310)를 통해 투입되는 식재료(F)를 절삭하면서 반경 방향으로 밀어보내게 된다. 즉, 2열(병렬)로 이루어진 분쇄칼날(520) 중 첫 번째 열은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방향에 대해 135도 정도 둔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고, 나머지 두 번째 열은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방향에 대해 45도 정도 예각을 이루면서 첫 번째 열의 것과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있어서, 투입된 식재료가 보다 균일하면서 용이하게 절삭 분쇄되면서 회전반경 방향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로 인해, 분쇄칼날(520) 앞에 분쇄된 식재료가 쌓이지 않기 때문에, 분쇄칼날(520)을 어느 정도 크게 구성하여도 무리 없이 식재료가 절삭되게 된다. 이러한 분쇄칼날(520)은 과일이나 야채 등은 물론이며 얼음과 같은 딱딱한 식재료도 무리 없이 분쇄할 수 있도록 톱날 형태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작동 및 이에 따른 효과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료 투입구(310)를 통해 식재료(F)를 하우징(300) 내부로 넣으면, 이것들은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칼날유닛(500)들과 접촉하게 된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투입 재료에 따라 작동노브(110)를 통해 구동모터(120)를 동작시키면, 구동모터(120)의 회전동력이 전달되어 블레이드-회전반(400)은 저속으로 회전한다. 이때 사용자는 밀대(370; 도 3과 도 4참조)를 통해 식재료(F)를 지속적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그리고 투입된 식재료(F)는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칼날유닛(500)에 의해 절삭/분쇄되어 고운 액즙으로 되며, 이것은 배출슈트(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보다 상술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회전반(400)이 저속으로 회전(화살표 R 방향 참조)함에 따라 투입된 식재료(F)는 칼날유닛(500)들의 분쇄칼날(520) 첫 번째 열부터 닿으면서 두 번째 열 순서로 절삭된다(도 12의 점선 화살표 방향 참조). 이와 같이. 분쇄칼날(520) 절삭력이 분산되면서 식재료(F)가 용이하게 절삭 및 분쇄되며, 절삭된 식재료(F)는 분쇄칼날(520)들 사이에 지그재그 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공간을 통해 빠져나간다. 따라서 분쇄칼날(520)들 바로 앞에는 분쇄된 식재료(F)가 쌓이지 않고 바로 빠져나감으로써, 식재료(F) 절삭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며 진동 및 작동 소음 역시 저감된다.
그리고 분쇄칼날(520)들 사이를 통해 빠져나간 분쇄된 액즙 식재료(F)는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스크루돌기(440)와 부딪치면서 회전반경 방향으로 밀려나가 배출슈트(320)를 통해 빠져나간다. 아울러 하우징(300) 상면(340)에 붙어있는 분쇄된 식재료 일부는 그레이팅 톱니돌기부(470)에 의해 긁어내어져 블레이드-회전반(400) 가장자리로 밀려나간다.
또한, 블레이드-회전반(400) 가장자리측[액즙배출통로(450) 부위]로 밀려난 분쇄된 식재료는 배출슈트(320) 입구 후단부의 배출가이드벽(360)에 부딪치면서 배출슈트(320)측에 바로 안내됨으로써, 식재료(F)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100..블렌더본체 110..작동노브 120..구동모터
130..커플링기어 140..홀더안착부 141..제1걸림턱
200..하우징-홀더 210..제1회전결합부 220..제2걸림턱
300..하우징 310..재료 투입구 320..배출슈트
330..제2회전결합부 340..상면 350..회전지지홈
360..배출가이드벽 370..밀대 400..블레이드-회전반
410.커플러 420..상면 430..인서트홈
440..스크루돌기 450..액즙통로 460..회전지지부
470..그레이팅 톱니돌기부 500..칼날유닛 510..몸체
520..분쇄칼날 600..패킹 F..식재료

Claims (5)

  1. 투입된 식재료(F)를 분쇄하여 액즙으로 배출하는 소형 블렌더에 있어서;
    상기 소형 블렌더는;
    상부에는 홀더안착부(140)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작동노브(11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120)가 설치된 블렌더본체(100)와;
    상기 블렌더본체(100)의 홀더안착부(140)에 하단부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하우징-홀더(200)와;
    상기 하우징-홀더(200)의 상단 외측을 감싸도록 개방된 하단부(330)가 착탈식으로 체결되고 상면(340)은 중심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원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340)에는 식재료(F)를 투입하기 위해 입설된 재료 투입구(310)와 선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배출슈트(320)가 일체로 이루어진 하우징(300)과;
    상기 하우징(300)과 하우징-홀더(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홀더(20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블렌더본체(100)의 구동모터(120)측과 축이음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러(410)가 마련되고, 상면(420)은 원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300)의 상면(34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하우징(300)의 내부공간에서 회전하는 블레이드-회전반(400)과;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에 형성된 칼날 인서트홈(430)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회전 반경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방향에 대해 식재료 컷팅선이 빗각을 향하는 복수개의 분쇄칼날(520)들이 2열을 이루면서 지그재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재료 투입구(310)를 통해 투입되는 식재료(F)를 절삭하면서 반경 방향으로 밀어보내는 칼날유닛(500)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블렌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 중심에는 회전지지부(460)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300)의 상면(340) 중심에는 상기 회전지지부(460)가 수용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지지홈(3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블렌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에는 상기 칼날유닛(500)들을 통해 절삭된 식재료를 반경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해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스크루돌기(440)가 나선상으로 만곡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블렌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슈트(320)의 입구 후단부에는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 가장자리 부위를 덮도록 배출가이드벽(360)이 이루어져;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 가장자리로 밀려난 절삭된 식재료를 상기 배출슈트(320) 입구측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블렌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에는 상기 하우징(300) 상면(340)에 붙어있는 식재료를 긁어내도록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방향에 대해 나선방향으로 그레이팅 톱니돌기부(470)가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블렌더.
KR1020140044596A 2014-04-15 2014-04-15 소형 블렌더 KR101515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596A KR101515487B1 (ko) 2014-04-15 2014-04-15 소형 블렌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596A KR101515487B1 (ko) 2014-04-15 2014-04-15 소형 블렌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487B1 true KR101515487B1 (ko) 2015-05-04

Family

ID=5339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596A KR101515487B1 (ko) 2014-04-15 2014-04-15 소형 블렌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4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241Y1 (ko) * 1999-09-27 2000-03-15 한무만 녹즙분쇄장치
KR200391946Y1 (ko) * 2005-05-04 2005-08-09 남송희 녹즙기
JP2013544571A (ja) * 2010-10-25 2013-12-19 コーウェ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搾汁スクリュー組立体を含むジューサ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241Y1 (ko) * 1999-09-27 2000-03-15 한무만 녹즙분쇄장치
KR200391946Y1 (ko) * 2005-05-04 2005-08-09 남송희 녹즙기
JP2013544571A (ja) * 2010-10-25 2013-12-19 コーウェ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搾汁スクリュー組立体を含むジューサ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9325A (en) Food-comminution device
KR100793852B1 (ko) 착즙주스기
US20100005977A1 (en) Universal food processor
KR100966607B1 (ko)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US11844466B2 (en) Juicing devices with a removable grinder
WO2014201776A1 (zh) 榨汁机
KR101207231B1 (ko) 식품가공장치
WO2015192744A1 (zh) 定量投料的慢速榨汁系统及方法
KR20120104355A (ko) 음식 조리 기구용 강판 디스크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JP2022522734A (ja) 果物および/または野菜からジュースを抽出する装置
KR20110138107A (ko) 유성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EP3566622A1 (en) Juice extractor screw and juice extractor thereof
US3376910A (en) Food processor
TWM612225U (zh) 果菜榨汁機及榨汁盤除渣結構
KR101515487B1 (ko) 소형 블렌더
KR20150052193A (ko) 분쇄 도구를 수용하는 작동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KR101226036B1 (ko) 주스 착즙기
KR20150051346A (ko) 소형 블렌더
KR200462836Y1 (ko) 소형 블렌더
KR20120012039A (ko) 편심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JP5478057B2 (ja) 精米機
KR200496948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US20110180644A1 (en) Food mincer
WO2020002168A1 (en) A juicer and a juic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