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346A - 소형 블렌더 - Google Patents

소형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346A
KR20150051346A KR1020130132645A KR20130132645A KR20150051346A KR 20150051346 A KR20150051346 A KR 20150051346A KR 1020130132645 A KR1020130132645 A KR 1020130132645A KR 20130132645 A KR20130132645 A KR 20130132645A KR 20150051346 A KR20150051346 A KR 20150051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housing
blender
holder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식
Original Assignee
김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식 filed Critical 김화식
Priority to KR1020130132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1346A/ko
Publication of KR20150051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칼날이 마련된 회전반 구조를 개선하여 식재료의 분쇄 및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작동 및 진동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에 의하면; 앞면부에는 작동노브(110)가 배치되고 상부에는 홀더안착부(140)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상기 작동노브(11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120)가 설치된 블렌더본체(100)와; 상기 블렌더본체(100)의 홀더안착부(140)에 하단부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상측 내벽에는 하우징-결합부(210)가 이루어진 하우징-홀더(200)와; 상기 하우징-홀더(200)의 하우징-결합부(210)에 개방된 하단부(330)가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고 상면(340)은 중심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원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340)에는 식재료(F)를 투입하기 위해 입설된 재료 투입구(310)와 선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배출구(320)가 일체로 이루어진 하우징(300)과; 상기 하우징(300)과 하우징-홀더(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홀더(20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블렌더본체(100)의 구동모터(120)측과 축이음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러(410)가 마련되고, 상면(420)은 원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300)의 상면(34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하우징(300)의 내부공간에서 회전하는 블레이드-회전반(400)과;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에 형성된 칼날 인서트홈(430)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회전 반경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방향에 대해 식재료 컷팅선(L)이 사선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복수개의 분쇄칼날(520)이 하나의 그룹을 이루며 이웃하는 분쇄칼날(520)과의 사이에 액즙통로(530)가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식재료를 절삭하면서 반경방향으로 밀어보내는 칼날유닛(500)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형 블렌더{A COMPACT BLENDER}
본 발명은 소형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야채류나 과일 또는 삶은 곡물과 같은 식재료를 분쇄칼날이 마련된 회전반(블레이드 회전체)을 통해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면서 갈아 디저트나 이유식을 만들 수 있는 『소형 블렌더(BLENDER)』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가정에서 녹즙이나 주스를 직접 만들어 먹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간편하게 야채나 과일을 이용하여 즙을 내기 위한 쥬서기, 믹서기 등과 같은 다양한 소형 블렌더가 개시되고 있다. 쥬서기는 식재료를 갈아 고체성분을 가진 입자와 액체성분을 가진 즙으로 분리하여 즙만을 추출하는데 사용하는 기기이며, 믹서기는 액체 성분을 따로 분리하지 않고 식재료를 단순하게 갈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과일류나 삶은 이유식 재료들을 분쇄하여 디저트나 이유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믹서기에 식재료와 함께 약간의 액체류(물, 우유, 요구르트 등)를 넣어야 용이하게 갈아진다. 반면에, 액체를 첨가하지 않고 각종 식재료의 액즙을 내기 위해서는 수동식 강판이나 강판 구조를 가진 주서기를 이용한다.
이러한 종래 개시된 주스제조기는 내부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축이 중앙에서 상측의 외부로 돌출된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에 안착되며 일측에 배출구가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 주스보올과; 이 주스보올의 상부에 위치하되 모터 회전축에 밑면이 안착되어 결합되며 바닥면에 칼날부가 마련된 거름망과; 이 거름망의 상부에 안착된 후 본체에 마련된 클램프에 의하여 고정되며 재료 투입구가 형성된 덮개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재료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식재료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거름망의 칼날부에 의해 분쇄/갈려지며, 이에 포함된 액즙은 거름망을 통해 걸러지면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주스제조기에 적용되는 거름망에서는 칼날부가 평평한 바닥면에 일렬로 돌출 배치되기 때문에, 식재료가 갈아지면서 상당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 주스제조기용 거름망이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68488호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 제20-0368488호에 개시된 주스제조기용 거름망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의 회전축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결합홈이 밑면 중앙에 형성된 받침부(51)와; 스포트 용접(54a) 처리된 연결부(54) 및 블랭크부(55)를 구비하고 받침부(51)에 일체로 결합되는 필터부(53)와; 이 필터부(53)의 바닥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다수의 칼날부(52)와; 필터부(53)의 바닥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바닥면 블레이드(59)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거름망으로 투입된 식재료는 회전하는 칼날부(52)에 의해 갈려지며, 이에 포함된 액즙이 필터부(53)를 통해 걸러지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주스제조기용 거름망 구조에서는 복수개의 칼날부(52)가 바닥면 중앙에서 반경 방향을 향해 일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식재료의 절삭면이 동시에 일자형 칼날부(52)에 부딪친다. 이에 따라 칼날부(52)에 걸리는 부하가 상당하며, 절삭된 식재료가 칼날부(52)를 원활하게 넘어가지 못하고 칼날 틈에 끼이거나 칼날부(52) 바로 앞에 쌓이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식재료가 원활하게 절삭되지 않으며, 상당한 소음과 진동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칼날의 크기를 작게 하고 높이를 낮춰야 하는데,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절삭과 분쇄시간이 많이 걸리고 상대적으로 분쇄된 과즙의 양도 적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칼날이 마련된 회전반 구조를 개선하여 식재료의 분쇄 및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작동 및 진동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소형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재료를 칼날을 통해 적당한 크기의 입자로 절삭 분쇄함과 동시에 입자가 굵은 액즙을 으깨어가면서 압착함으로써, 이유식이나 디저트 같은 식재료 원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소형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입된 식재료를 절삭/분쇄하여 액즙으로 만들어 배출하는 소형 블렌더에 있어서;
상기 소형 블렌더가; 앞면부에는 작동노브가 배치되고 상부에는 홀더안착부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상기 작동노브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블렌더본체와; 상기 블렌더본체의 홀더안착부에 하단부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상측 내벽에는 하우징-결합부가 이루어진 하우징-홀더와; 상기 하우징-홀더의 하우징-결합부에 개방된 하단부가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고 상면은 중심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원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식재료를 투입하기 위해 입설된 재료 투입구와 선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배출구가 일체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하우징-홀더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홀더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블렌더본체의 구동모터측과 축이음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러가 마련되고, 상면은 원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회전하는 블레이드-회전반과; 상기 블레이드-회전반의 상면에 형성된 칼날 인서트홈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회전 반경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회전반의 회전방향에 대해 식재료 컷팅선이 사선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복수개의 분쇄칼날이 하나의 그룹을 이루며 이웃하는 분쇄칼날과의 사이에 액즙통로가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식재료를 절삭하면서 반경방향으로 밀어보내는 칼날유닛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구 형상의 볼지지부가 상기 블레이드-회전반의 상면 중심에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볼지지부가 수용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회전반의 회전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볼수용홈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 중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칼날유닛들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블레이드-회전반의 회전방향에 대해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스크루돌기들이 상기 블레이드-회전반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이웃하는 스크루돌기와의 사이에 액즙통로가 사선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 천정에 중심에서 반경 방향을 향해 나선상으로 연장되어 거친 액즙을 으깨면서 회전반경으로 내보내는 하강스크루 돌기들이 복수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에 의하면; 블레이드-회전반의 회전방향에 대해 식재료 컷팅선이 사선방향으로 위치하면서 액즙통로가 형성된 칼날유닛들에 의해 투입된 식재료는 절삭/분쇄되면서 반경 방향으로 용이하게 보내짐으로써, 식재료의 분쇄 및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작동소음과 진동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에 의하면; 볼지지부와 볼수용홈에 의해 블레이드-회전반은 하우징의 내부 정위치에서 무리없이 회전함으로써, 이의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에 의하면; 블레이드-회전반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하부스크루돌기와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하강스크루 돌기들로 인해 식재료가 적당한 크기의 입자로 절삭 분쇄됨과 동시에 입자가 굵은 액즙이 으깨어지면서 압착됨으로써, 식재료 원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68488호에 개시된 주스제조기용 거름망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블렌더본체와 하우징-홀더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하우징홀더와 블레이드-회전반 및 하우징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하우징홀더와 블레이드-회전반 및 하우징의 내부구조를 보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하우징 저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내부 형상을 보인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블레이드-회전반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블레이드-회전반의 평면 구조를 보인 것으로, 식재료가 분쇄되면서 액즙이 흐르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사용 상태 및 식재료 분쇄/절삭과정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구성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는 투입된 야채나 과일 또는 삶은 이유식 재료(이하에서는 '식재료'라 한다)를 절삭/분쇄하여 액즙으로 만들어 배출할 수 있는 가정용 기기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노브(110)가 배치되고 내부에는 구동모터(120)가 설치되는 블렌더본체(100)와; 이 블렌더본체(100)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상측에는 하우징결합부(210)가 마련된 하우징-홀더(200)와; 이 하우징-홀더(200)의 상부에 조립식으로 체결되며 상부에 재료 투입구(310)와 배출구(320)가 마련된 하우징(300)과; 이 하우징(300)과 하우징-홀더(20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면에는 식재료를 절삭 분쇄하면서 회전 반경 방향으로 밀어 내보내는 칼날유닛(500)들이 배치된 블레이드-회전반(400)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블렌더본체(100)는 소형 블렌더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면부에는 다이얼 방식의 작동노브(110)가 배치되며, 내부에는 블레이드-회전반(4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2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120)의 회전축에는 커플링기어(130)가 마련되며, 이것은 후술하는 커플러(410)를 통해 블레이드-회전반(400)과 동축상으로 축이음/연결됨으로써, 블레이드-회전반(400)을 시계방향(도 5의 화살표 R방향 참조)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모터(120)의 커플링기어(130)를 인터널 기어(internal gear) 형태로 구성하였다.}
작동노브(110)는 구동모터(120)의 구동 및 이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중속(1단)과 고속(2단) 및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구동하는 펄스 단계(P)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투입 식재료에 따라 구동모터(120)의 알맞은 회전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블렌더본체(100) 상부에는 홀더안착부(140)가 마련되는데, 여기에는 하우징-홀더(200)의 하단 내벽에 마련된 걸림턱(220)을 통해 하우징-홀더(200)가 착탈식으로 장착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홀더(200)는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의 하단부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블렌더본체(100)의 홀더안착부(140)에 착탈식으로 장착되고, 상측 내벽에는 하우징결합부(210)가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홀더(200)의 하단 내벽에는 블렌더본체(100)의 홀더안착부(140)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L"자형 걸림턱(220)들이 마련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조립 상태를 견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우징-홀더(200)가 홀더안착부(140)에 견실하게 장착되면; 블레이드-회전반(400) 커플러(410)와 구동모터(120) 커플링기어(130)가 정확하게 맞물림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홀더(200)의 하우징결합부(210)는 암나사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여기에 하우징(300) 하단부(330)가 나사체결방식으로 견실하게 조립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300)은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으로; 이의 개방된 하단부(330)는 수나사 형태로 이루어져 하우징-홀더(200)의 하우징결합부(210)에 결합되며, 이의 상면(340)은 중심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원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우징(300)의 상면(340)에는 식재료를 투입하기 위해 내부와 연통되게 입설된 재료 투입구(310)와, 선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배출구(320)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우징(300)의 상면(340) 중심에는 반구 형태로 돌출된 볼수용홈(35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블레이드-회전반(400)을 정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00)의 상면(340) 천정에는 중심에서 반경 방향을 향해 나선형(螺旋形)으로 연장된 하강스크루 돌기(36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개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으로 인해 칼날유닛(500)에 의해 절삭/분쇄된 거친 액즙을 맷돌과 같이 다시 한 번 으깨면서 회전반경 방향으로 보내지게 된다. 이러한 하강스크루 돌기(360)의 역할은 동작 설명에서 다시 한 번 상술한다. 도 3, 도 4, 도 6에서 도시된 미설명 부호 "370" 은 재료 투입구(310)를 통해 식재료를 용이하게 밀어 넣기 위한 "밀대"이다.
도 3과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블레이드-회전반(400)은 하우징(300)과 하우징-홀더(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의 하부에는 하우징-홀더(20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블렌더본체(100)의 구동모터(120) 회전축(130;커플링기어)과 축이음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러(410;coupler)가 마련되어 있다.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은 원뿔 형태로 이루어져 하우징(300)의 상면(34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하우징(300) 내부공간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에는 칼날유닛(500)들이 끼워져 배치될 수 있도록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칼날 인서트홈(430)이 120도 간격으로 3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에는 칼날유닛(500)들 사이에 위치하면서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방향에 대해 나선 방향으로 연장된 스크루돌기(440)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웃하는 스크루돌기(440)와의 사이에 액즙통로(450)가 사선방향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칼날유닛(500)들을 통해 절삭/분쇄된 식재료는 스크루돌기(440)와 다시 한 번 부딪쳐 으깨지면서 고르게 분산되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 중심에는 반구 형상의 볼지지부(460)가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볼지지부(46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300)의 볼수용홈(350)에 수용 결합되어,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운동을 정위치에서 지지되게 된다. 도 10에서 미설명부호 "600" 은 블레이드-회전반(400)의 가장자리에 끼워져 배치되는 연질의 "원형 패킹"으로, 하우징-홀더(200)와 하우징(300)이 결합되면 이들 사이에서 압착되어 블렌더본체(100)측으로 누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칼날유닛(500)들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에 형성된 칼날 인서트홈(430)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회전 반경방향으로 복수개(본 발명에서는 3개)가 배치되는데; 칼날 인서트홈(430)에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는 합성수지 몸체(510)와, 이 합성수지 몸체(510)에 인서트되어 날카로운 끝단이 돌출된 분쇄칼날(520)로 정의된다. 칼날유닛(500)의 분쇄칼날(520)은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방향(도 10의 화살표 R 방향 참조)에 대해 식재료 컷팅선(L)이 사선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복수개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이웃하는 분쇄칼날(520)과의 사이에 액즙통로(530)가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분쇄칼날(520)들을 블레이드-회전반(400)의 반경방향(화살표 R 방향)에 대해 대략 30도 정도 어긋나도록 사선(L)으로 배치하여 합성수지 몸체(510)에 인서트되고, 이들 사이에 액즙 통로(530)를 형성하였다. 또한, 분쇄칼날(520)은 과일이나 야채 등은 물론이며 얼음과 같은 딱딱한 식재료도 무리없이 분쇄할 수 있도록 톱날 형태로 제작되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방향을 향해 약간 경사지게 구성하여 절삭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운동에 따라 투입된 식재료는 분쇄칼날(520)에 의해 절삭하면서 액즙통로(530)를 통해 반경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로 인해, 분쇄칼날(520) 앞에 분쇄된 식재료가 쌓이지 않기 때문에, 분쇄칼날(520)을 어느 정도 크게 구성하여도 무리없이 식재료가 절삭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작동 및 이에 따른 효과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블렌더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료 투입구(310)를 통해 식재료(F)를 하우징(300) 내부로 넣으면, 이것들은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칼날유닛(500)들과 접촉하게 된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투입 재료에 따라 작동노브(110)를 통해 구동모터(120)를 동작시키면, 구동모터(120)의 회전동력이 전달되어 블레이드-회전반(400)은 저속으로 회전한다. 이때 사용자는 밀대(370; 도 3과 도 4참조)를 통해 식재료를 지속적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그리고 투입된 식재료(F)는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칼날유닛(500)에 의해 절삭/분쇄되어 고운 액즙으로 되며, 이것은 배출구(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보다 상술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회전반(400)이 저속으로 회전(화살표 R 방향 참조)함에 따라 투입된 식재료(F)는 칼날유닛(500)들의 분쇄칼날(520) 안쪽에서부터 닿으면서 바깥쪽 순서(A → B → C ; 도 12 참조)로 절삭된다. 이와 같이. 분쇄칼날(520)의 절삭력이 분산되면서 식재료(F)가 용이하게 절삭/분쇄되며, 절삭된 식재료(F)는 분쇄칼날(520)들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액즙통로(530)를 통해 빠져나간다(도 12의 점선 화살표 방향 참조). 따라서 분쇄칼날(520)들 바로 앞에는 분쇄된 식재료(F)가 쌓이지 않고 바로 빠져나감으로써, 식재료(F) 절삭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며 진동 및 작동 소음 역시 저감된다.
또한, 분쇄칼날(520)들 사이의 액즙통로(530)를 통해 빠져나간 분쇄된 식재료(F)들은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스크루돌기(440)와 부딪치면서 회전반경 방향을 밀려나가 배출구(320)를 통해 용이하게 빠져나간다. 아울러, 분쇄된 식재료들은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스크루돌기(440)와 하우징(300) 상면(340)의 하강스크루 돌기(360)와의 사이를 지나면서 다시 한 번 으깨어지며,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만들어진 부드럽고 고운 액즙이 배출구(320)를 통해 빠져나간다. 특히,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스크루 돌기(360)는 하우징(300) 상면(340)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을 향해 나선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거친 액즙을 다시 한 번 으깨면서 회전반경으로 내보낸다. 이로 인해 투입된 식재료(F)가 효율적으로 절삭/분쇄되어 많은 액즙이 배출구(320)를 통해 배출된다.
100..블렌더본체 110..작동노브 120..구동모터
130..커플링기어 140..홀더안착부 200..하우징-홀더
210..하우징 결합부 220..걸림턱 300..하우징
310..재료 투입구 320..배출구 330..하단부
340..상면 350..볼수용홈 360..하강스크루 돌기
370..밀대 400..블레이드-회전반 410..커플러
420..상면 430..인서트홈 440..스크루돌기
450..액즙통로 460..볼지지부 500..칼날유닛
510..몸체 520..분쇄칼날 530..액즙통로
600..패킹 F..식재료

Claims (4)

  1. 투입된 식재료(F)를 절삭/분쇄하여 액즙으로 만들어 배출하는 소형 블렌더에 있어서;
    상기 소형 블렌더는;
    앞면부에는 작동노브(110)가 배치되고 상부에는 홀더안착부(140)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상기 작동노브(11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120)가 설치된 블렌더본체(100)와;
    상기 블렌더본체(100)의 홀더안착부(140)에 하단부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상측 내벽에는 하우징-결합부(210)가 이루어진 하우징-홀더(200)와;
    상기 하우징-홀더(200)의 하우징-결합부(210)에 개방된 하단부(330)가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고 상면(340)은 중심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원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340)에는 식재료(F)를 투입하기 위해 입설된 재료 투입구(310)와 선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배출구(320)가 일체로 이루어진 하우징(300)과;
    상기 하우징(300)과 하우징-홀더(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홀더(20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블렌더본체(100)의 구동모터(120)측과 축이음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러(410)가 마련되고, 상면(420)은 원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300)의 상면(34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하우징(300)의 내부공간에서 회전하는 블레이드-회전반(400)과;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에 형성된 칼날 인서트홈(430)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회전 반경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방향에 대해 식재료 컷팅선(L)이 사선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복수개의 분쇄칼날(520)이 하나의 그룹을 이루며 이웃하는 분쇄칼날(520)과의 사이에 액즙통로(530)가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식재료(F)를 절삭하면서 반경방향으로 밀어보내는 칼날유닛(500)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블렌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 중심에는 반구 형상의 볼지지부(460)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300)의 상면(340) 중심에는 상기 볼지지부(460)가 수용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볼수용홈(3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블렌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상면(420)에는 상기 칼날유닛(500)들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블레이드-회전반(400)의 회전방향에 대해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스크루돌기(440)들이 돌출 형성되며, 이웃하는 스크루돌기(440)와의 사이에 액즙통로(450)가 사선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블렌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0)의 상면(340) 천정에는 중심에서 반경 방향을 향해 나선상으로 연장되어 거친 액즙을 으깨면서 회전반경으로 내보내는 하강스크루 돌기(360)들이 복수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블렌더.
KR1020130132645A 2013-11-04 2013-11-04 소형 블렌더 KR20150051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645A KR20150051346A (ko) 2013-11-04 2013-11-04 소형 블렌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645A KR20150051346A (ko) 2013-11-04 2013-11-04 소형 블렌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346A true KR20150051346A (ko) 2015-05-13

Family

ID=5338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645A KR20150051346A (ko) 2013-11-04 2013-11-04 소형 블렌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13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1134B2 (en) Easy assembly centrifugal juicer
EP2777448B1 (en) High performance adjustable juicer with whole foods feed chute
KR100793852B1 (ko) 착즙주스기
US3809325A (en) Food-comminution device
KR101202775B1 (ko) 분쇄기 겸용 주스기 및 이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
CN112312804B (zh) 食品制备装置
WO2014201776A1 (zh) 榨汁机
US46340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kernels of grain, coffee beans, and the like in a food processor
WO2012013150A1 (zh) 一种具有碾磨功能的豆浆/榨汁机
KR101207231B1 (ko) 식품가공장치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113490441B (zh) 用于从水果和/或蔬菜中提取汁液的装置
KR20110138107A (ko) 유성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115813238A (zh) 用于食品加工机的接头和食品加工附接件
KR20180057480A (ko) 가위형 전처리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80002167U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20130042991A (ko) 테이퍼 구조의 하우징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스크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62601Y1 (ko) 바닥 분쇄 퇴적물의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믹서기용 필터
KR200392592Y1 (ko) 주스제조기용 절단부재의 구조
KR20150051346A (ko) 소형 블렌더
KR101515487B1 (ko) 소형 블렌더
KR200478657Y1 (ko) 다용도 분쇄기
KR200462836Y1 (ko) 소형 블렌더
CN217852575U (zh) 料理机
RU279525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одуктов пит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