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167U -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167U
KR20180002167U KR2020170000100U KR20170000100U KR20180002167U KR 20180002167 U KR20180002167 U KR 20180002167U KR 2020170000100 U KR2020170000100 U KR 2020170000100U KR 20170000100 U KR20170000100 U KR 20170000100U KR 20180002167 U KR20180002167 U KR 201800021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juice
housing
juicer
screw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517Y1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2020170000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517Y1/ko
Priority to PCT/KR2018/000060 priority patent/WO2018128359A1/ko
Priority to CN201880006081.2A priority patent/CN110167399A/zh
Priority to JP2019536829A priority patent/JP2020503952A/ja
Priority to EP18736132.4A priority patent/EP3566622A4/en
Publication of KR201800021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1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5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고안은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착즙기용 스크류는, 호퍼로터 투입된 착즙 재료를 수용하고 스크류 나사산으로 1차적으로 상기 착즙 재료를 압착하는 절입부와 상기 절입부에서 이송되어 온 상기 착즙 재료를 더욱 압착하는 압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입부에 형성된 상기 스크류 나사산의 상면이 상기 스크류 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SCREW FOR JUICER AND THE JUICER THEREOF}
본 고안은 착즙 대상이 착즙기 내측으로 신속하게 이송되도록 구성된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개인이 직접 채소, 과일 또는 곡물 등의 착즙 대상으로부터 즙을 만들어 내어 이를 섭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착즙기의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착즙기의 일반적인 작동 형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385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콩을 맷돌로 갈아서 그 즙을 짜내는 원리를 이용하여 착즙 대상을 눌러 짜는 방식이다.
착즙기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하는 스크류와, 위 스크류에 의하여 분쇄된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는 망드럼, 및 위 스크류와 망드럼을 그 내측에 구비하는 착즙 드럼을 포함한다.
스크류는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착즙 드럼 내측에 투입된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착즙 드럼에 투입된 착즙 대상은 스크류의 측면에 형성된 스크류 나사산에 의하여 스크류와 망드럼 사이의 좁은 틈새로 압착되면서 그 하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근래에는 착즙기의 착즙 효율을 개선하고자 위 구성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는데, 그 중 위 스크류는 착즙 대상을 직접적으로 압착 또는 분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착즙기의 착즙 효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그 구조에 대하여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스크류는 그 상면이 지면에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고, 그 측면으로 복수 개의 스크류 나사산이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경사를 가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위 각각의 스크류 나사산 사이로 착즙 대상이 투입, 이송된다. 위와 같이 투입된 착즙 대상은 경사를 가진 스크류 나사산을 타고 그 내측 및 하측으로 안내되면서 압착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의 상면이 지면에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게 되면, 위 수평한 스크류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스크류 나사산의 경사의 정도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그러한 데다가 더, 재료 투입부와 스크류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넓지 못하므로, 재료의 투입과 이송이 충분히 원활하지 못하며 투입된 착즙 대상의 하부로의 이동 속도가 높지 않게 된다.
스크류의 전체 상하 높이를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그러면 스크류의 제조 원가가 높아지고 설계 자유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재료의 투입과 이송이 충분히 원활한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류는, 스크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스크류 나사산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 착즙기용 스크류로서, 호퍼로 투입된 착즙 재료를 수용하여 나사산으로 1차적으로 상기 착즙 재료를 압착하는 절입부와 상기 절입부에서 이송되어 온 상기 착즙 재료를 더욱 압착하는 압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입부에 형성된 상기 스크류 나사산의 상면이 상기 스크류 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는, 상기 스크류 나사산이 짝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짝수 개의 스크류 나사산은 상기 스크류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는, 상기 스크류 나사산의 상면이 원주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상면은 개구되고 하단부에는 찌꺼기 배출구 및 즙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된 재료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안내하는 호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고,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스크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그 외측면에 형성된 스크류 나사산으로 상기 재료를 압착 또는 분쇄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와 틈새를 형성하여 착즙된 즙을 통과시키는 망드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류 나사산의 상면은 상기 스크류 축으로부터 반경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망드럼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하며 상기 망드럼 또는 하우징의 면을 쓸어 내는 브러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는 그 상면으로부터 이어지는 스크류 나사산의 경사를 높게 형성함에 따라, 재료의 절입공간(절단공간)이 넓어져 재료의 투입이 매우 원활하며 스크류 나사산을 타고 투입되는 착즙 대상의 하부로의 이동 속도가 더 빨라진다. 따라서, 착즙 대상이 걸림 없이 신속하게 스크류의 하부로 이송하여 압착 및 분쇄하게 됨에 따라 착즙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가 구비된 착즙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의 평면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면에 가까운 방향(도면의 하측)은 '하측', '하면', '하단'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고,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도면의 상측)은 '상측', '상면', '상단'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는 내용은 간략히 묘사되거나 생략되며, 아울러 그에 대한 설명도 간략히 기재되거나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가 구비된 착즙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착즙기는 일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 예시된 착즙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착즙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1)는 하우징(10), 호퍼(20), 망드럼(30), 브러시(40), 스크류(1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그 상면이 개구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하단부에는 즙 배출구(미도시)와 찌꺼기 배출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망드럼(30)의 망공을 빠져나와 흘러내린 즙은 즙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며, 즙과 분리된 찌꺼기는 찌꺼기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된다. 즙 배출구와 찌꺼기 배출구(13)는 망드럼(30)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호퍼(20)는 하우징(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내측으로 재료를 넣을 수 있도록 된 재료투입구(22)와, 투입된 재료를 하우징(10)으로 안내하는 목부(23)를 포함한다.
재료투입구(22)로 투입된 착즙 대상은 목부(23)를 거쳐 하우징(10) 내측에 위치한 스크류(100)의 상부로 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목부(23)는 상하방향으로 비교적 길게, 지면과 대체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망드럼(30)은 하우징(10)과 스크류(100) 사이에 배치된다. 망드럼(30)은 스크류(100)와 좁은 틈새를 형성하며, 스크류(100)가 회전함에 따라 그 좁은 틈새로 착즙 대상을 압착하여 착즙하게 된다.
망드럼(30)에는 스크류(100)에 의해 생성된 즙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그 측면에 다수의 망공(망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망드럼(30)의 찌꺼기는 위 망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하부로 밀려 내려와 찌꺼기 배출구(13)를 통하여 배출되고, 망공을 통과한 즙은 즙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망드럼(30)의 하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안착부(35)가 형성되고, 이 안착부(35)의 반경 내측으로 스크류(100)의 일부가 삽입 된다. 안착부(35)와 스크류(100) 사이로 위 망공을 통과하지 못한 찌꺼기가 배출된다.
착즙기를 분쇄용도로만 사용하기 위하여 망드럼(30)의 측면에는 망공이 없는 형태로 분쇄용 망드럼(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망드럼(30)과 스크류(100)에 의하여 압착 및 분쇄된 착즙 대상은 즙과 찌꺼기로 분리되지 않고 모두 즙 배출구 또는 찌꺼기 배출구(13)로 배출된다. 분쇄용 망드럼(30)은 얼린 과일이나 초콜릿, 빙과, 얼음, 음료 등의 재료를 함께 투입하여 아이스크림이나 스무디, 셔벗(sherbet)과 같은 취식물을 얻고자 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브러시(40)는 하우징(10)과 망드럼(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부(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브러시(40)는 망드럼(30) 또는 착즙하우징(10)의 면을 쓸어 내려, 망드럼(30) 또는 하우징(10)에 흡착된 즙이 하부로 원활하게 이송된다.
또한, 사용자가 하우징(10) 내측을 세척하려 할 때, 하우징(10)에 세척액 또는 물을 투입하고, 브러시(40)를 가동할 수 있다. 이 때, 브러시(40)는 망드럼(30) 또는 하우징(10)에 들러 붙은 즙 또는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의 평면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의 사시도이며, 도 4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스크류(10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크류(100)는 구동부(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스크류(100)의 중앙부에는 구동부(50)와 맞물려 회전하는 스크류 축(55)이 구비되어 있고, 스크류(100)의 외주면에는 망드럼(30)과 접촉하는 부분에 복수 개의 스크류 나사산(20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크류 나사산(200)에 의하여, 스크류(100)와 망드럼(30) 사이의 좁은 틈새로 착즙 대상이 압착되어 그 하측으로 이송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100)는 크게 절입부(110), 압축부(150), 그리고 하면부(190)로 구분될 수 있다.
절입부(110)는 착즙 대상이 투입되는 호퍼(20)와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투입되는 착즙 대상을 보다 많이 수용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스크류 나사산(200)들 사이의 간격(P2)이 넓다. 위 절입부(110)로 인입된 착즙 대상은 스크류 나사산(200)에 의하여 아래로 압송된다.
압축부(150)는 위 절입부(110)에서 압송된 착즙 대상을 더욱 압착하여 즙을 내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압축부(150)에 형성된 스크류 나사산(200)의 간격은 더 조밀하게 되어 있다.
하면부(190)는 위 압축부(150)보다 반경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망드럼(30)의 하단 내주면에서 반경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안착부(35)에 안착된다(도 1참조).
일반적으로 찌꺼기를 밀어내는 압력이 작거나 찌꺼기의 일부가 스크류 나사산(200)의 골에 걸리게 되면 찌꺼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이처럼 찌꺼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압축부(150)에는 높은 부하가 발생하게 되어 전체 착즙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그런데, 본 고안에 따르면, 하면부(190)는 압축부(150)보다 반경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안착부(35)의 반경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류(100)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도모하는 한편, 하면부(190)까지 안내된 찌꺼기가 위 단차진 부분에서 착즙 압력을 받으면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위 하면부(190)에는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찌꺼기 안내턱(195)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 찌꺼기 안내턱(195)은 스크류(10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압축부(150)에서 망드럼(30)의 망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하면부(190)로 압송된 찌꺼기들을 그 하측으로 쓸어 내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위 하면부(190)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턱(195)은 하면부(190)와 망드럼(30)의 안착부(35) 사이에 걸린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여 착즙 효율을 더욱 높이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스크류(100)에 형성된 스크류 나사산(200)은 제1나사산(210), 제2나사산(220), 제3나사산(230), 제4나사산(240), 제5나사산(250), 제6나사산(260), 제7나사산(270), 그리고 제8나사산(280)을 포함한다. 위 나사산의 개수는 8개로 설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2, 3, 4나사산(210, 220, 230, 240)은 제5, 6, 7, 8나사산(250, 260, 270, 280)과 스크류 축(55)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제1나사산(210)과 제5나사산(250)은 스크류 축(55)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게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짝수 개의 나사산들이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착즙 대상이 스크류(100)에 투입된 후, 스크류(100)가 회전하더라도 일정한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어 착즙기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고, 착즙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제1나사산(210)과 제5나사산(250)은 스크류(100)의 상면을 구성하는 제1나사산 상면(215)과 제5나사산 상면(255)을 각각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절입부(110)는 그 상면이 일정 길이(P1)로 지면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착즙 재료가 투입될 때 절입부(110)의 간격이 작아 아래로 원활하게 이송되지 못하는 염려가 있었다.
반면, 본 고안에 의하면, 절입부(110)의 상면인 제1, 5나사산 상면(215, 255)이 스크류 축(55)으로부터 반경 외측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제1나사산 상면(215)은 지면과 수평한 제1기준선(R)과 설정된 제1각도(A)를 가지며 반경 방향 외측 및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처럼 스크류 나사산(200)의 스크류 축(55)과 가까운 부분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스크류 축(55)과 먼 부분은 축방향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절입부(110)의 간격(P2)을 보다 넓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투입된 착즙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S)이 넓어져 재료 투입이 매우 원활하게 되고, 착즙 재료가 엉키는 현상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제1, 5나사산 상면(215, 255)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스크류 축(55)과 가까이에 있는 스크류(100)의 외주면의 경사는 더욱 가파르게 된다. 따라서, 호퍼(20)로부터 투입된 착즙 대상은 위 가파른 경사를 가진 스크류(100)의 외주면을 타고 신속하게 압축부(150)로 안내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 의하면 착즙 재료가 압축부(150)로 빠르게 이송되어 착즙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호퍼(20)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착즙 대상이 위 제1, 5나사산 상면(215, 255)에 떨어지면 경사면을 타고 신속하게 제1, 5나사산의 골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위 제1, 5나사산 상면(215, 255)은 원주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게도 형성될 수 있다. 위 제1, 5나사산 상면(215, 255)의 경사 방향은 제1, 5나사산들(215, 255)의 골 측을 향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호퍼(20)에서 낙하되는 착즙 대상은 스크류(100)의 상면 어느 곳에 떨어지더라도 위 제1, 5나사산의 골로 빠르게 인입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제1, 5나사산 상면(215, 255)이 경사를 가지더라도, 절입부(110)에서 제1, 5나사산 상면(215, 255)의 반경 외측단의 축방향 길이(P1)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기존의 망드럼(30) 내측에 그대로 장착될 수 있어, 착즙기의 구조적 변경 없이도 본 고안의 스크류(100)를 적용할 수 있다.
10: 하우징 13: 찌꺼기 배출구
20: 호퍼 22: 재료투입구
23: 목부 30: 망드럼
35: 안착부 40: 브러시
50: 구동부 55: 스크류 축
100: 스크류 110: 절입부
150: 압축부 190: 하면부
195: 찌꺼기 안내턱 200: 스크류 나사산
200, 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제1, 2, 3, 4, 5, 6, 7, 8나사산
215: 제1나사산 상면 255: 제5나사산 상면

Claims (5)

  1. 스크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스크류 나사산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 착즙기용 스크류에 있어서,
    호퍼로부터 투입된 착즙 재료를 수용하고 스크류 나사산으로 1차적으로 상기 착즙 재료를 압착하는 절입부와 상기 절입부에서 이송되어 온 상기 착즙 재료를 더욱 압착하는 압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입부에 형성된 상기 스크류 나사산의 상면이 상기 스크류 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스크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은 짝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짝수 개의 스크류 나사산은 상기 스크류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스크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의 상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스크류.
  4. 상면은 개구되고 하단부에는 찌꺼기 배출구 및 즙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투입된 착즙 재료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안내하는 호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고,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스크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그 외측면에 형성된 스크류 나사산으로 상기 재료를 압착 또는 분쇄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와 틈새를 형성하여 착즙된 즙을 통과시키는 망드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류 나사산의 상면은 상기 스크류 축으로부터 반경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망드럼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하며 상기 망드럼 또는 하우징의 측면을 쓸어 내는 브러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KR2020170000100U 2017-01-05 2017-01-05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200491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00U KR200491517Y1 (ko) 2017-01-05 2017-01-05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PCT/KR2018/000060 WO2018128359A1 (ko) 2017-01-05 2018-01-02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CN201880006081.2A CN110167399A (zh) 2017-01-05 2018-01-02 用于榨汁机的螺杆及榨汁机
JP2019536829A JP2020503952A (ja) 2017-01-05 2018-01-02 搾汁機用スクリューおよびその搾汁機
EP18736132.4A EP3566622A4 (en) 2017-01-05 2018-01-02 JUICE EXTRACTOR SCREW AND ASSOCIATED JUICE EXTR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00U KR200491517Y1 (ko) 2017-01-05 2017-01-05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67U true KR20180002167U (ko) 2018-07-13
KR200491517Y1 KR200491517Y1 (ko) 2020-04-20

Family

ID=6279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100U KR200491517Y1 (ko) 2017-01-05 2017-01-05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566622A4 (ko)
JP (1) JP2020503952A (ko)
KR (1) KR200491517Y1 (ko)
CN (1) CN110167399A (ko)
WO (1) WO201812835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640U (ko) * 2019-04-05 2020-07-23 주식회사 휴롬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KR20200001641U (ko) * 2019-04-05 2020-07-23 주식회사 휴롬 착즙 주스기
WO2020251125A1 (ko) * 2019-06-13 2020-12-17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948Y1 (ko) * 2020-07-10 2023-06-15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407B1 (ko) * 2011-06-03 2012-05-07 김영기 주스기
CN203873529U (zh) * 2014-04-14 2014-10-15 刘建军 原汁机及双叶螺旋推进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647A (ko) * 1996-12-13 1998-09-15 임성수 착즙 겸용 쥬서(Juicer)
KR100793852B1 (ko) 2005-03-21 2008-01-11 김영기 착즙주스기
KR20120016532A (ko) * 2010-08-16 2012-02-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820042B1 (ko) * 2010-10-25 2018-01-18 코웨이 주식회사 스크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FR2990121B1 (fr) * 2012-05-07 2014-06-13 Seb Sa Organe de travail rotatif et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une vis de pressage
CN202665184U (zh) * 2012-05-10 2013-01-16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易清洗挤压式榨汁机
TWI516239B (zh) * 2012-06-29 2016-01-11 金煐麒 果汁壓榨萃取機
KR101311997B1 (ko) * 2012-09-05 2013-09-27 (주)현대가전업 착즙기의 스크류 연결구조
CN104083065B (zh) * 2014-07-08 2017-01-25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螺杆挤压式榨汁机
CN104523125B (zh) * 2015-01-21 2018-02-13 聂建国 组合式高效原汁机
CN106264045B (zh) * 2015-06-09 2018-05-08 宁波泰瑞电器有限公司 一种大口径榨汁机结构
CN105361624A (zh) * 2015-11-26 2016-03-02 江门市贝尔斯顿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物料刮板的榨汁机螺杆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407B1 (ko) * 2011-06-03 2012-05-07 김영기 주스기
CN203873529U (zh) * 2014-04-14 2014-10-15 刘建军 原汁机及双叶螺旋推进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중국실용신안등록공보 203873529(2014.10.15.) 1부.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640U (ko) * 2019-04-05 2020-07-23 주식회사 휴롬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KR20200001641U (ko) * 2019-04-05 2020-07-23 주식회사 휴롬 착즙 주스기
WO2020204306A3 (ko) * 2019-04-05 2020-12-10 주식회사 휴롬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WO2020204307A3 (ko) * 2019-04-05 2020-12-10 주식회사 휴롬 착즙 주스기
WO2020251125A1 (ko) * 2019-06-13 2020-12-17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6622A1 (en) 2019-11-13
JP2020503952A (ja) 2020-02-06
WO2018128359A1 (ko) 2018-07-12
KR200491517Y1 (ko) 2020-04-20
EP3566622A4 (en) 2020-07-01
CN110167399A (zh)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775B1 (ko) 분쇄기 겸용 주스기 및 이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
CA2876055C (en) Juicer
US11291326B2 (en) Net drum and juicer for juice extraction comprising same
US20160287000A1 (en) Juice Extractor
AU2010100883B4 (en) Improved Juicer with Feedtube
KR20180002167U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101926380B1 (ko) 착즙기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89601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KR20060101848A (ko) 착즙주스기
JP2022522734A (ja) 果物および/または野菜からジュースを抽出する装置
KR102536304B1 (ko) 미세홀을 포함하는 주서기
KR101278889B1 (ko) 멀티 원액기
KR20200001640U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RU2630767C2 (ru) Перетирающий сепаратор для отделения сока фруктов и овощей от мякоти фруктов и овощей
KR200489360Y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101226036B1 (ko) 주스 착즙기
KR20180111262A (ko)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97404Y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200496948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200494898Y1 (ko) 착즙기
KR101515487B1 (ko) 소형 블렌더
KR20230002201U (ko) 착즙기
KR20220002630U (ko) 착즙기
KR20180112345A (ko) 하단 착즙부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840;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84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17

Effective date: 2020021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