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471B1 - 록-블록을 이용한 로드부재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록-블록을 이용한 로드부재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471B1
KR101512471B1 KR1020140120216A KR20140120216A KR101512471B1 KR 101512471 B1 KR101512471 B1 KR 101512471B1 KR 1020140120216 A KR1020140120216 A KR 1020140120216A KR 20140120216 A KR20140120216 A KR 20140120216A KR 101512471 B1 KR101512471 B1 KR 101512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lock
outer ring
ro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호영
Original Assignee
한국뉴매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뉴매틱(주) filed Critical 한국뉴매틱(주)
Priority to KR1020140120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471B1/ko
Priority to JP2015169479A priority patent/JP6103318B2/ja
Priority to US14/841,330 priority patent/US9765801B2/en
Priority to MYPI2015002156A priority patent/MY173830A/en
Priority to EP15184738.1A priority patent/EP3009688B1/en
Priority to ES15184738T priority patent/ES2773325T3/es
Priority to CN201510574209.3A priority patent/CN105422562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6Locking mechanisms
    • F15B15/262Locking mechanisms using friction, e.g. brake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6Lock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F16B7/1409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with balls or rollers urged by an axial displacement of a wedge or a conical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F16B7/1418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with a clamping collar or two split clamping rings tightened by a screw or a cammed latch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F16B7/1463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with the expansion of an element inside the outer telescoping member due to the axial movement towards a wedge or a conical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F16B7/149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with a sleeve or ring having a tapered or conical surfa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12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e.g. by a toothed quadrant
    • G05G5/2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e.g. by a toothed quadrant by locking a quadrant, rod, or the like carried by the member
    • G05G5/22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e.g. by a toothed quadrant by locking a quadrant, rod, or the like carried by the member by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6Locking mechanisms
    • F15B2015/268Fluid supply for locking or release independent of actuator pressu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2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having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700/00Control mechanisms or elements therefor applying a mechanical movement
    • G05G2700/04Control mechanisms limiting amplitude or adjusting datum position
    • G05G2700/08Control mechanisms for locking members in one or more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ctuator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한 로드부재의 록킹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몸체 내에 일렬 배치되는 링 형상의 록-블록과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로드부재가 상기 록-블록과 피스톤을 통과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록-블록은 내벽에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쐐기형 공간을 갖는 아우터링과,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가압수단을 수용하는 이너링과, 상기 아우터링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아우터링과 이너링을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록-블록은 록킹 모듈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그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록-블록을 이용한 로드부재 록킹장치 {Rod materials locking device using lock-block}
본 발명은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 로드부재의 고정 및 해제를 위하여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진공이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흡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10)는 진공 챔버(11)에 연결된 복수의 레벨 보정기(13)를 포함하는데, 각 레벨 보정기(13)는: 일단이 챔버(11)의 접속부(12)에 삽입되는 파이프형 로드부재(14); 상기 로드부재(14)의 타단에 접속되는 흡착 패드(15); 로드부재(14)의 외부에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접속부(12)와 패드(15) 간에 연장되는 스프링(16)을 포함한다.
이 구조에서 상기 로드부재(14)는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이에 대상물(P)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평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각 패드(15)가 최적의 레벨로 대상물 표면에 대응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문제는, 대상물(P)이 들려 올려진 상태에서도 상기 로드부재(14)는 유동가능한 상태로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로드부재(14)를 고정하는 록 수단이 요구되는 것이다.
일 예로, 도 2는 한국특허 제10-0883882호에 개시된 "로드부재의 에어 록킹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20)는 상기 록 수단으로서 소위 척(chuck) 구조를 이용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척(21)은 로드부재(27)의 외경에 끼워지는 실린더 바디(22)의 상측에 복수의 조(jaw)(23)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22)가 그의 하부에 제공되는 피스톤(25) 또는 스프링(24) 압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안, 상측의 조(23)가 하우징(26) 내벽의 간섭을 받아 강해진 압력으로 로드부재(27)를 록킹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개시된 록킹장치(20)는 로드부재(27)의 록킹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는 측면에서 유용하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에 의하여, 중요하게는:
1) 서로 면접(面接)해 있는 각 요소 즉 하우징(26)-척(21)-로드부재(27) 등의 록킹 요소 간에 직접적인 마찰 및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
2) 그에 따라 실제로 로드부재(27)의 록킹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
등이 있다.
다른 예로서, 도 3은 미국특허 US 6,178,870호에 개시된 '록 메카니즘'(LOCK MECHANISM)을 나타낸다. 이 구조(30)는 소위 쐐기형 메카니즘으로서:
로드부재(31)를 둘러싼 하우징(32)의 내부 공간에;
왕복 가능한 피스톤(33);
상기 피스톤(33)의 일측에 스프링(34)으로 지지된 볼(35) 리테이너(36);
상기 리테이너(36) 외측에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33)의 일측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경사링(37);
상기 경사링(37)의 외측에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그 일단이 하우징(32)의 내측벽에 접촉하여, 피스톤(33)에 의한 경사링(37)의 이동을 탄력으로 지지하는 외측 스프링(38);
등의 요소들이 차례로 조립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 구조(30)는 피스톤(33)에 의해 이동하는 쐐기형 링 요소(36,37)가 볼(35)을 가압함으로써 로드부재(31)를 록킹한다는 점에서, 상기한 슬라이드 방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여기에는, 록킹 요소의 구성이 복잡하고, 각 요소의 적정 배치 및 조립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이 구조(30)에서는 피스톤(33)을 기반으로 하여, 록킹 요소들 즉 리테이너(36), 볼(35), 내측 스프링(34), 경사링(37), 외측 스프링(38) 등을 각 정위치에 차례로 배치 및 조립해야 하는데:
1) 그 구성이 복잡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2) 아무리 숙련된 기술자라고 하더라도 상기 하우징(32)의 좁은 공간 내에서 각 요소(33-38)들의 조립 작업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하기는 매우 어려우며;
3) 반대로 분해할 때에도 각 요소(33-38)의 취급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이 구조(30)에서는 로드부재(31) 록킹 또는 해제시 상기 리테이너(36)가 일정 범위에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첫째, 상기 리테이너(36) 및 경사링(37)이 각각 피스톤(33)를 지지 기반으로 하여 조립되는 것;
둘째, 상기 리테이너(36)가 별도로 내측 스프링(34)에 의해 지지되는 것;
셋째, 상기 경사링(37)의 내면이 전체적으로 경사진 것;
넷째, 상기 경사링(37)을 지지하는 스프링(38)이 경사링(37)의 외측에 배치되고 하우징(32)의 내측벽에 접촉 및 지지되는 것;
등 복합적 원인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이로 인하여 결과적으로는 록 작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쐐기형 메카니즘을 적용하되, 록-블록을 이용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로드부재 록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드부재에 대한 록 작용이 안정적으로 수행 및 유지될 수 있는 로드부재 록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로드부재 록킹장치는, 내부에 수직 홀이 형성된 몸체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홀에 일렬 배치되는 링 형상의 로드부재 록킹수단과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로드부재가 상기 록-블록과 피스톤을 통과하여 축 방향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수단은, 로드부재를 록킹하기 위한 요소들이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 제공되는 하나의 단위 모듈로서,
내벽의 일측에, 그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쐐기형 공간을 갖는 아우터링;
상기 아우터링의 공간에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가압수단을 수용하는 이너링;
상기 아우터링의 공간 내 이너링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링과 이너링을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록-블록이다.
이 구조에서 상기 피스톤이 운동하여 록-블록의 아우터링을 이동시키며,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경사면이 가압수단에 접촉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가압수단이 로드부재 표면을 가압 또는 해제함으로써 로드부재가 록킹 또는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수단은 볼, 롤러 또는 링이다.
상기 피스톤과 록-블록은 하나의 로드부재에 대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어 대칭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이때 각 쌍의 피스톤 및 록-블록은 그 중앙에 형성된 압축공기 공급 유로를 공동으로 이용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록킹장치에 따르면,로드부재 록킹수단을 구성하는 아우터링, 이너링, 가압수단, 스프링 등의 록킹 요소들이 일체로 모듈화되어 록-블록으로 제공되며, 당연하게 이 요소들은 모듈화된 록-블록에 의하여 한 번에 끼워지거나 분리되어 조립 및 분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장치의 구성이 단순하며 그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록-블록은, 리테이너 및 경사링 등이 피스톤에 의지하여 조립 및 지지되는 종래의 록 구조와는 달리, 아우터링의 내부에서 아우터링과 이너링이 직접 스프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일체로써 독립적으로 몸체 내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록킹장치에 따르면, 로드부재 록 작용이 안정적으로 수행되고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레벨 보정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로드부재 록킹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다른 로드부재 록킹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록킹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적용된 록-블록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4에 적용된 피스톤의 사시도.
도 8은 도 4 록킹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록킹장치의 단면도.
도 10는 도 8 록킹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상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 로드부재 록킹장치(이라 '록킹장치')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의 기재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각 실시예에서 기능적으로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가 부호 '100'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록킹장치(100)는 내부에 수직 홀(111)이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홀(111) 내부에 일렬로 배치되는 링 형상의 록-블록(120)과 피스톤(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로드부재(140)가 상기 록-블록(120)과 피스톤(130)을 통과하여 축 방향(X-X)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한 각 구성 요소(110,120,130,14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몸체(110)는 내부 중앙에 수직의 관통 홀(111)이 형성된 것으로서, 브래킷(112) 또는 홀더를 매개로 하여 로봇 시스템에 연결될 것이다. 상기 몸체(110)는 그 외벽을 관통하여 내측의 홀(111)로 연결되는 유로(113)를 포함하는데, 상기 유로(113)는 피스톤(130)의 일면(131)으로 연장됨으로써, 유로(113)를 통하여 공급된 압축공기의 압력을 받아 피스톤(130)이 이동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면에서 상기 몸체(110)는 마감부(115)를 포함하여 3 피스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상기 록-블록(120)과 피스톤(130)을 적절히 내장하는 한, 도시된 것과 다른 형태이어도 상관은 없다. 부호 '114'는 상기 피스톤(13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몸체(110) 내벽에 형성된 걸림 턱이다.
상기 록-블록(120)은 로드부재(140)를 록킹하기 위한 요소들을 포함하는 규격화된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록-블록(120)은:
내벽의 일측에, 그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하는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쐐기형 내부 공간(S1)을 갖는 아우터링(121);
상기 경사면(122)에 대응하는 가압수단(124)을 수용하는 이너링(123);
상기 아우터링(12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아우터링(121)과 이너링(123)을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125);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당연하게, 상기 아우터링(121)과 이너링(123)은 서로 다른 구경을 가지고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아우터링(121)의 상측 단부(121a)가 이너링(123)의 상측 단부에 비하여 돌출되고, 상기 이너링(123)의 하측 단부(123a)가 아우터링(121)의 하측 단부에 비하여 돌출되는데, 이 단부(121a,123a) 구성은 몸체(110)의 내부에서 이너링(123)의 고정성 및 아우터링(121)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수단(124)은 이너링(123)의 안착홈에, 일부 돌출되게 수용된 볼(ball)이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 이 가압수단(124)은 롤러 또는 링 부재일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124)은 록-블록(120)의 공간(S1) 내부에 위치하며, 축 방향 이동하는 아우터링(121)에 의하여 상기 경사면(122)에 대응하여 접촉하거나 또는 경사면(122)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록-블록(120)은 다수의 록킹 요소 즉 아우터링(121), 이너링(123), 가압수단(124), 스프링(125) 등을 일체로 포함하는 하나의 모듈로서 몸체(110)의 홀(111) 내부 또는 로드부재(140)의 외경에 삽입 장착되며, 이때 이너링(123)의 하측 단부(123a)는 몸체(110)의 하부 마감부(115)에 걸려 고정된다. 그리고 아우터링(121)의 상측 단부(121a)에 대면하여, 피스톤(130)이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피스톤(130)은 로드부재(140)를 따라 축 방향(X-X)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이동범위는 몸체(110) 내벽의 걸림 턱(114)에 의하여 제한된다. 이 피스톤(130)은 상기 몸체(110)의 외부에서 유로(113)를 통하여 홀(111) 내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일정 범위를 이동하며, 이에 대응하여 배치된 록-블록(120)의 아우터링(121)을 푸시하여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스톤(130)의 유로(113) 측 일면(131)은 가장자리가 확장된 플랜지 형태이고, 록-블록(120) 측 타면(132)은 상기 일면(131)에 비해 폭이 좁은 돌출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링(121)의 단부(121a) 면에 접촉해 있다. 그리고 이동 중에, 상기 플랜지형 일면(131)이 걸림 턱(114)에 걸리게 된다. 이 구조는 공기압에 의한 피스톤(130)의 이동성 및 안정성, 아우터링(121)에 대한 대응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다만, 본 발명이 상기 피스톤(130)의 형태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상기 피스톤(130)의 이동에 의하여 록-블록(120)이 동작하게 되는데, 예컨대 피스톤(130)과 걸림 턱(114) 사이의 공간(S2)에 공기가 충진된 경우 또는 진공이 형성된 경우에는 그 공기압에 의하여 피스톤(130)의 이동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에 상기 피스톤(130)의 록-블록(120) 측 타면(132)에는, 피스톤(130)과 몸체(110) 사이의 공간(S2)과 록-블록(120)의 내부 공간(S1)을 소통하게 하는 공기 통로(135)가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통로(135)는 상기 피스톤(130)의 타면(132) 측 단부에 형성된 홈이다. 즉, 록-블록(120) 측 타면(132)과 아우터링(121)의 단부(121a)는 서로 면접(面接)해 있지만, 이 통로(135)를 경유하여 상기 공간(S2)은 록-블록(120)의 공간(S1)을 경유하고 외부와 소통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 통로(135)는 홈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그 이외에 홀(hole) 등의 형태로도 설계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피스톤(130)에는 패킹(133)이 구비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패킹(133)은 피스톤(130)의 표면에 구비되어 몸체(110)와 피스톤(130) 사이를 실링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은, 로드부재(140)에 패킹을 구비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에 비하여, 로드부재(140)의 자유로운 이동 및 패킹(133)의 내구성을 보장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 구조는, 미세먼지가 많은 환경에서도 본 발명의 상기 록킹장치(100)가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드부재(140)는 록-블록(120)과 피스톤(130)을 통과하여 축방향(X-X)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그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장치(100)가 통상의 진공이송 시스템에서 흔히 사용되는 레벨 보정기의 로드부재(도 1의 부호 '14' 참조)에 적용될 것을 전제로 제안된 것임을 감안하면, 상기 로드부재(140)는 파이프형 로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상의 록킹장치(100) 구조에서, 상기 피스톤(130)이 운동하여 록-블록(120)의 아우터링(121)을 이동시키며, 그 운동 또는 이동 방향에 따라 경사면(122)이 가압수단(124)을 접촉-가압 또는 이격-해제함에 의하여, 상기 록-블록(120)이 로드부재(140)를 록킹 또는 해제하도록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스톤(130)이 운동방향 및 그에 따른 로드부재(140)의 "록킹" 또는 "해제"는 압축공기의 공급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공기의 공급 및 그 공기압에 의한 피스톤(130)의 일 방향 이동이 로드부재(140)의 "해제" 에 작용하고; 압축공기의 차단 및 스프링(125)의 인장력에 의한 피스톤(130)의 반대 방향 이동이 로드부재(140)의 "록킹" 에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대로: 로드부재(140)의 "록킹" 이 압축공기의 공급에 의존하고; "해제" 가 스프링(125)의 압력에 의존하는 것으로 변경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설계의 변경은 유로(113), 스프링(125) 또는 경사면(122) 등 요소의 위치를 적절히 바꿈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113)를 통하여 고속의 압축공기가 피스톤(130)의 일면(131) 측으로 공급되면(화살표 ① 참조), 그 압력에 의하여 피스톤(130)이 걸림 턱(114)에 닿을 때까지 하향 이동(화살표 ② 참조)하면서, 록-블록(120)의 아우터링(121) 단부(121a)를 푸시한다. 이에 아우터링(121)이 하향 이동(화살표 ③ 참조)하는데, 이때 상기 가압수단(124)은 경사면(122)으로부터 이격되고 아우터링(121)의 공간(S1) 내에서 자유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 "해제" 상태에서 상기 로드부재(140)는 축 방향(X-X) 이동이 자유롭다.
이 상태에서 압축공기의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록킹장치(100)는 도 4의 상태로 돌아간다. 즉, 아우터링(121)은 고정된 이너링(123)으로부터 스프링(125)의 인장력에 의해 상향 이동(화살표 ④ 참조)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피스톤(130)도 이동하는 아우터링(121)에 밀려 원위치로 복귀(화살표 ⑤ 참조)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압수단(124)이 경사면(122)에 접촉하면서 내측으로 강제로 밀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가압수단(124)이 내측 로드부재(140)의 표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 "록킹" 상태에서 로드부재(140)는 축 방향(X-X)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로드부재(140)는 다시 도 8의 이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압축공기를 공급 및 차단함으로써, 로드부재(140)의 수준(level)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위 실시예의 록킹장치(100)는 하나의 록-블록(120)을 이용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록킹 파워가 부족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라면, 복수의 록-블록(120)을 이용할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때 복수의 록-블록(120)이 일렬로 나란히 배치된다면 이론상 상당히 많은 수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지만, 이 경우 각 록-블록에 대하여 개별 유로를 제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가 부호 '100a'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록킹장치(100a)에서 피스톤(130,130a)과 록-블록(120,120a)은 하나의 로드부재(140)에 대하여 상·하 양방향에 한 쌍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대칭적으로 배치 및 장착된다. 그리고, 이때 각 쌍의 피스톤(130,130a) 및 록-블록(120,120a)은 그 중앙에 형성된 압축공기 유로(113)를 공동으로 이용하도록 설계된다.
즉 단일의 유로(113)를 통하여 공급된 압축공기가, 대향되어 배치된 양측의 피스톤(130,130a)에 동시에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각 피스톤(130,130a) 및 각 록-블록(120,120a)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상기 피스톤(130a) 및 록-블록(120a)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양 피스톤(130,130a)의 대향 단부는 서로 겹치게 형성되고 그 겹친 부분에 피스톤 패킹(134)이 구비되는데, 상기 패킹(133)과 마찬가지로, 이 구조 역시 패킹의 내구성 및 기밀성에 효과적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113)를 통하여 고속의 압축공기가 양쪽 피스톤(130,130a)의 일면(131) 측으로 공급되면(화살표 ⑥ 참조), 그 압력에 의하여 각 피스톤(130,130a)이 하향 또는 상향으로 이동(화살표 ⑦ 참조)하면서, 상기 록-블록(120,120a)의 아우터링(121)을 푸시한다. 이에 각 아우터링(121)이 하향 또는 상향으로 이동(화살표 ⑧ 참조)하는데, 이때 각 록-블록(120,120a)의 가압수단(124)은 경사면(122)으로부터 이격되고 아우터링(121)의 공간(S1) 내에서 자유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 "해제" 상태에서 상기 로드부재(140)는 축 방향(X-X) 이동이 자유롭다.
이 상태에서 압축공기의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록킹장치(100a)는 도 9의 상태로 돌아간다. 즉, 각 록-블록(120,120a)의 아우터링(121)은 스프링(125) 인장력에 의해 이동(화살표 ⑨ 참조)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피스톤(130,130a)도 이동하는 아우터링(121)에 밀려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압수단(124)이 경사면(122)에 접촉하면서 내측으로 강제로 밀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가압수단(124)이 내측 로드부재(140)의 표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 "록킹" 상태에서 로드부재(140)는 그 축 방향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로드부재의 록킹을 위하여 상·하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록-블록(120,120a)이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장치(100a)는 특히 양 방향 로킹 또는 큰 파워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100,100a. 록킹장치
110. 몸체 111. 홀
112. 브래킷 113. 유로
114. 걸림 턱 115. 마감부
120,120a. 록-블록
121. 아우터링 121a. 단부
122. 경사면 123. 이너링
123a. 단부 124. 가압수단
125. 스프링
130,130a. 피스톤
131. 일면 132. 타면
133,134. 패킹 135. 통로
140. 로드부재
S1,S2. 공간

Claims (12)

  1. 내부에 수직 홀(111)이 형성된 몸체(110)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홀에 일렬 배치되는 링 형상의 로드부재 록킹수단과 피스톤(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로드부재(140)가 상기 록킹수단과 피스톤을 통과하여 축 방향(X-X)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로드부재(140)를 록킹하기 위한 요소들(121,123,124,125)이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 제공되는 하나의 단위 모듈로서, 내벽의 일측에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하는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쐐기형 공간(S1)을 갖는 아우터링(121); 상기 아우터링(121)의 공간에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가압수단(124)을 수용하는 이너링(123); 상기 아우터링(121)의 공간에 이너링(123)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링(121)과 이너링(123)을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125)을 포함하는 록-블록(120)이며,
    상기 피스톤(130)이 운동하여 아우터링(121)을 이동시키고, 그 이동 방향에 따라 경사면(122)이 가압수단(124)에 접촉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가압수단(124)이 로드부재(140) 표면을 가압 또는 해제함으로써 로드부재(140)가 록킹 또는 해제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부재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 록킹장치는 하나의 로드부재(140)에 대하여 동일한 구조의 상기 피스톤(130,130a)과 록-블록(120,120a)이 양방향에 각 한 쌍으로 구비되어 대칭적으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부재 록킹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외벽을 관통하여 내측의 홀(111)로 연결되는 유로(113)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130)은 유로(113)를 통하여 홀(111) 내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운동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부재 록킹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124)은 볼, 롤러 또는 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부재 록킹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블록(120)은 몸체(110)의 홀(111) 내부에 삽입 장착되며;
    이때 이너링(123)의 하측 단부(123a)는 몸체(110)의 하부 마감부(115)에 걸려 고정되고, 아우터링(121)의 상측 단부(121a)에 대면하여 피스톤(130)이 제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부재 록킹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외벽을 관통하여 내측의 홀(111)로 연결되는 유로(113)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130)은 유로(113)를 통하여 홀(111) 내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운동하는 것이며;
    상기 피스톤(130)은, 상기 유로(113) 측 일면(131)이 가장자리가 확장된 플랜지 형태이고, 록-블록(120) 측 타면(132)이 상기 일면(131)에 비해 폭이 좁은 돌출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링(121)의 단부(121a) 면에 접촉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부재 록킹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내벽에는, 플랜지 형태의 상기 일면(131)에 대응하여 피스톤(13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걸림 턱(114)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130)은, 상기 타면(132)에, 피스톤(130)과 걸림 턱(114)의 사이 공간(S2)이 상기 록-블록(120)의 공간(S1)과 소통가능하게 하는 공기 통로(135)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부재 록킹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135)는, 상기 아우터링(121)과 접촉하는 피스톤(130)의 타면(132) 측 단부면에 형성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부재 록킹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30)은 표면에 패킹(133)이 구비되어, 몸체(110)와 피스톤(130) 사이를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부재 록킹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외벽을 관통하여 내측의 홀(111)로 연결되는 유로(113)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130,130a)은 유로(113)를 통하여 홀(111) 내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운동하는 것이며;
    각 쌍의 피스톤 및 록-블록(130-120,130a-120a)은 그 중앙에 형성된 상기 유로(113)를 공동으로 이용하도록 설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부재 록킹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양 피스톤(130,130a)은 대향 단부가 서로 겹치게 형성되고 겹친 부분에 피스톤 패킹(134)이 구비되어, 양 피스톤(130,130a) 사이를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부재 록킹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140)는 파이프형 로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부재 록킹장치.
KR1020140120216A 2014-09-11 2014-09-11 록-블록을 이용한 로드부재 록킹장치 KR101512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216A KR101512471B1 (ko) 2014-09-11 2014-09-11 록-블록을 이용한 로드부재 록킹장치
JP2015169479A JP6103318B2 (ja) 2014-09-11 2015-08-28 ロックブロックを用いたロッド部材ロッキング装置
US14/841,330 US9765801B2 (en) 2014-09-11 2015-08-31 Device for locking rod member using lock block
MYPI2015002156A MY173830A (en) 2014-09-11 2015-09-02 Device for locking rod member using lock block
EP15184738.1A EP3009688B1 (en) 2014-09-11 2015-09-10 Device for locking rod member using lock block
ES15184738T ES2773325T3 (es) 2014-09-11 2015-09-10 Dispositivo para el bloqueo de un elemento de barra usando un bloque de bloqueo
CN201510574209.3A CN105422562B (zh) 2014-09-11 2015-09-10 利用闩块的导杆构件锁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216A KR101512471B1 (ko) 2014-09-11 2014-09-11 록-블록을 이용한 로드부재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471B1 true KR101512471B1 (ko) 2015-04-16

Family

ID=5305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216A KR101512471B1 (ko) 2014-09-11 2014-09-11 록-블록을 이용한 로드부재 록킹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65801B2 (ko)
EP (1) EP3009688B1 (ko)
JP (1) JP6103318B2 (ko)
KR (1) KR101512471B1 (ko)
CN (1) CN105422562B (ko)
ES (1) ES2773325T3 (ko)
MY (1) MY17383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6638B (zh) * 2016-09-30 2018-06-15 中信机电制造公司科研设计院 闭锁栓锁止机构
CN111448038A (zh) 2017-12-22 2020-07-24 吉马蒂克有限公司 操纵器的吸盘的悬挂装置
JP7022429B2 (ja) * 2018-07-19 2022-02-18 株式会社コスメック 吸着位置決め構造体及び吸着位置決め装置
TWI663027B (zh) * 2018-07-30 2019-06-21 晟進科技股份有限公司 Multi-purpose chuck
SE544516C2 (en) * 2019-02-18 2022-06-28 Tawi Ab Vacuum lifting device with a locking device and a method for locking a vacuum control head
CN114516537A (zh) * 2020-11-19 2022-05-20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吸附组件及吸附装置
CN113236945B (zh) * 2021-04-19 2022-10-25 三门峡职业技术学院 一种水利水电工程测绘装置
CN114619475A (zh) * 2022-03-18 2022-06-14 云南省机械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药包机器人吸取夹具
CN115593705B (zh) * 2022-12-01 2023-04-11 浙江祥邦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poe白色封装胶膜的柔性精准上料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8870B1 (en) * 1998-01-27 2001-01-30 Smc Corporation Fluid pressure cylinder with a lock mechanism
KR20040011571A (ko) * 2004-01-09 2004-02-05 한국뉴매틱(주) 진공 이젝터 장치
KR100883882B1 (ko) * 2008-06-23 2009-02-18 한국뉴매틱(주) 로드부재의 에어 록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0636A (en) * 1925-04-16 1931-11-03 Bragg Kliesrath Corp Power actuator
US2632425A (en) * 1950-05-26 1953-03-24 Reginald L Grover Piston lock
US3359862A (en) 1966-02-25 1967-12-26 Mcdowell Wellman Eng Co Piston locking means
US3941141A (en) 1974-05-03 1976-03-02 Robert Eddie L Blowout preventer locking apparatus and method
US3918346A (en) 1974-07-11 1975-11-11 Us Army Frictional lock for retaining a rotatable piston against axial displacement
DE3136311A1 (de) 1981-09-12 1983-04-21 Festo-Maschinenfabrik Gottlieb Stoll, 7300 Esslingen "druckmittelbetaetigter arbeitszylinder"
JPH0138354Y2 (ko) * 1986-08-21 1989-11-16
US4890541A (en) 1988-06-20 1990-01-02 Spooner Richard C Fluid-operated actuator with force multiplication
US4981069A (en) 1988-06-23 1991-01-01 Akio Matsui Cylinder locking device
DE3931014A1 (de) * 1989-09-16 1991-03-28 Rexroth Pneumatik Mannesmann Brems- oder/und klemmeinrichtung
US5302062A (en) * 1991-08-08 1994-04-12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Spindle clamping device for machine tool
US5216942A (en) 1992-03-06 1993-06-08 Sendoykas Jack J Piston lock for power cylinders
DE4215031C2 (de) * 1992-05-07 2003-12-04 Ise Gmbh Verriegelbare Kolbenbetätigung für den Transport eines Überrollbügels für Kraftfahrzeuge
JP3380055B2 (ja) 1994-08-01 2003-02-24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のロック装置
DE69610798T2 (de) 1995-01-31 2001-03-01 Pubot Giken Co Bremssystem für einen bewegbaren körper
US5761984A (en) 1997-03-07 1998-06-09 Advanced Machine & Engineering Co. Braking device for a fluid power actuator
US5791230A (en) 1997-04-18 1998-08-11 Advanced Machine & Engineering Co. Rod clamping device for a linear fluid actuator
JPH1113714A (ja) * 1997-06-25 1999-01-22 Toyota Motor Corp ワークの位置調整用シリンダ
DE10350225A1 (de) * 2003-10-27 2005-05-19 Sitema Gmbh & Co. Kg Feststellvorrichtung
JP4426404B2 (ja) * 2004-04-23 2010-03-03 株式会社コガネイ ロッドの保持装置
CN101813112A (zh) * 2010-05-10 2010-08-25 沈盘根 伸缩管
CN201723537U (zh) * 2010-06-13 2011-01-26 马卫宏 伸缩杆
JP5129378B1 (ja) * 2011-08-26 2013-01-30 株式会社コスメック 倍力機構付きシリンダ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8870B1 (en) * 1998-01-27 2001-01-30 Smc Corporation Fluid pressure cylinder with a lock mechanism
KR20040011571A (ko) * 2004-01-09 2004-02-05 한국뉴매틱(주) 진공 이젝터 장치
KR100883882B1 (ko) * 2008-06-23 2009-02-18 한국뉴매틱(주) 로드부재의 에어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73325T3 (es) 2020-07-10
MY173830A (en) 2020-02-24
JP6103318B2 (ja) 2017-03-29
EP3009688B1 (en) 2019-12-18
US20160076563A1 (en) 2016-03-17
US9765801B2 (en) 2017-09-19
EP3009688A2 (en) 2016-04-20
EP3009688A3 (en) 2016-06-01
JP2016056946A (ja) 2016-04-21
CN105422562B (zh) 2017-11-24
CN105422562A (zh)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471B1 (ko) 록-블록을 이용한 로드부재 록킹장치
KR101643374B1 (ko) 클램프 장치
KR101056636B1 (ko) 클램프 장치
KR101814542B1 (ko) 게이트 밸브
JP4474303B2 (ja) ワーク支持装置
JP5258703B2 (ja) リンク式クランプ
TWI651475B (zh) 夾緊裝置
KR20150125610A (ko) 게이트 밸브
CN103760014B (zh) 液压平推夹具
CN107735576B (zh) 作动缸装置
KR102282818B1 (ko) 파지 장치
JP2014223717A (ja) ワーク把持装置
WO2016167169A1 (ja) シリンダ装置
JP5227341B2 (ja) クランプ装置
EP2905481B1 (en) Cylinder device with force multiplication mechanism
JP2005054831A (ja) パイロット式電磁弁
JP6886653B2 (ja) 仮ロック機能付きクランプ装置
JP2020199628A (ja) 物品をクランプするためのクランプ装置
JP2005007504A (ja) 位置決め装置
CN108825681B (zh) 反动式卡钳装置
JP2015193050A (ja) ワーク検知装置
JP7263106B2 (ja) 運動案内装置用クランパ機構
SU1763733A1 (ru) Гидроцилиндр
SU1645092A1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220048485A (ko) 클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