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171B1 - 통신 시스템 및 중첩 모듈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중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171B1
KR101510171B1 KR1020137020312A KR20137020312A KR101510171B1 KR 101510171 B1 KR101510171 B1 KR 101510171B1 KR 1020137020312 A KR1020137020312 A KR 1020137020312A KR 20137020312 A KR20137020312 A KR 20137020312A KR 101510171 B1 KR101510171 B1 KR 101510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ignal
setting
uni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1620A (ko
Inventor
겐 다카하시
다다시 마쓰모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11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전송 유닛 및 설정 장치 각각에는,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을 행하는 중첩 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중첩 모듈은, 그룹 제어나 패턴 제어용의 설정 정보를, 중첩 신호에 의해 설정 장치에서 전송 유닛으로 전송한다. 중첩 모듈은, 전송 신호 중, 예비 인터럽트 대역과 예비 대역과 휴지 대역, 이 3개의 대역에 더하여, 회신 대역에 대해도 조건부로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중첩 신호의 중첩에 이용한다. 즉, 중첩 모듈은, 전송 신호의 프레임마다 회신 대역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검출 기간에서의 회신 신호의 유무를 판단부에 의해 판단하고, 회신 신호가 없다고 판단된 회신 대역에 대해서는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중첩 모듈 {COMMUNICATION SYSTEM AND SUPERIMPOSITION MODULES}
본 발명은 전송 유닛으로부터 통신선에 반복 송출되는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와,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중첩 모듈이 통신선에 접속되어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및 중첩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송로에 대하여 전송 유닛(부모 기기) 및 복수대의 단말 장치(자식 기기)가 접속되고, 각 단말 장치와 전송 유닛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 종류의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전송 유닛이 정기적으로 단말 장치의 상태를 감시하고, 단말 장치의 상태에 변화가 있었을 경우, 그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전송 유닛으로부터 다른 단말 장치에 신호를 보내는 시스템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제1180690호, 일본 특허공보 제1195362호, 일본 특허공보 제1144477호 참조).
단, 상기 구성의 통신 시스템은, 단말 장치끼리 항상 전송 유닛을 경유하여 통신을 행하고, 전송 유닛이 단말 장치에 대하여 폴링(polling)을 행하므로, 통신 속도가 느리고, 예를 들면, 아날로그 양과 같이 비교적 데이터량이 많은 정보의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전송 유닛의 고장 시 등에 시스템 전체가 정지하여 버리므로, 시스템으로서의 신뢰성이 낮다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전송 유닛을 통하여 단말 장치끼리 통신을 행하는 이미 설치된 통신 시스템과, 단말 장치끼리 피어·투·피어(P2P)로 직접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과를 혼재시킨 통신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ㅈ제2009-225328호 참조).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송 유닛(부모 기기)을 통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제1 통신 단말기)와 서로 직접 통신하는 중첩 모듈(제2 통신 단말기)이 전송로를 공용하므로, 이미 설치된 통신 시스템에 중첩 모듈을 용이하게 증설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전송 유닛으로부터 전송로에 반복 송출되는 전송 신호(제1 프로토콜의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고, 중첩 모듈은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중첩 신호(제2 프로토콜의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한다.
여기서, 전송 신호는, 1프레임마다 시간축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기간으로 분할되고, 일부의 기간이 중첩 신호를 중첩 가능한 중첩 가능 기간으로서 할당되는 시분할 방식의 신호이다. 즉, 중첩 모듈은, 전송 신호의 일부에 할당된 중첩 가능 기간에, 전송 신호와 공통의 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중첩 모듈은, 전송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많이 1회의 중첩 가능 기간 내에 송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송 데이터를 복수의 데이터로 분할하여 중첩 가능 기간마다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즉, 전송 데이터가 복수의 중첩 가능 기간에 걸쳐 전송되게 되므로, 중첩 모듈은, 전송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많아지면 전송 신호의 1프레임으로는 전송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고, 복수 프레임의 전송 신호에 걸쳐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첩 모듈이 중첩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기간은 전송 신호의 일부의 기간에 제한되어 있으므로, 전송 신호의 1프레임 동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은 한정되어 있고, 따라서, 중첩 모듈 사이의 통신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첩 신호를 사용한 통신의 통신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및 중첩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통신선에 전송 신호를 반복 송출하는 전송 유닛,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중첩 모듈이 상기 통신선에 접속된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송 신호는, 1프레임마다 시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대역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반송(返送) 신호를 수신하는 타임 슬롯(time slot)인 회신 대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된 시분할 방식의 신호이고, 상기 중첩 모듈은, 상기 전송 신호의 프레임마다 상기 회신 대역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검출 기간에서의 상기 회신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회신 신호가 있다고 판단된 상기 회신 대역에 대해서는 상기 중첩 신호의 중첩에 사용되지 않는 중첩 불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하고,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회신 신호가 없다고 판단된 상기 회신 대역에 대해서는 상기 중첩 신호를 중첩 가능한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첩 모듈이 전송 신호 중 회신 대역에 대해서도 조건부로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중첩 신호의 중첩에 이용하므로, 중첩 신호를 사용한 통신의 통신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신호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럽트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인터럽트 대역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다음번의 상기 회신 대역을 할당하고 있고, 상기 중첩 모듈은, 상기 인터럽트 대역에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인터럽트 발생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인터럽트 발생부가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경우, 다음번의 상기 회신 대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회신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지 않고 상기 회신 대역의 전역(全域)을 상기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복수대의 단말 장치를 구비하고, 각 단말 장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를 가지고, 상기 제어 명령은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피제어 기기에 고유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전송 유닛으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전송 유닛은, 복수의 피제어 기기를 일괄 제어할 때 사용되는 정보로서, 적어도 일괄 제어의 대상이 되는 상기 식별자의 조합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설정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선에는, 상기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장치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설정 장치는, 상기 설정 정보가 설정되면, 상기 전송 유닛에 대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전송 유닛에 상기 설정 정보의 상기 설정 기억부에의 기록을 실행시키고, 상기 중첩 모듈은, 상기 전송 유닛 및 상기 설정 장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중첩 신호에 의해 상기 설정 장치에서 상기 전송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송 신호는, 상기 중첩 가능 대역이 되는 대역을 상기 회신 대역 이외에 포함하고 있고, 상기 중첩 가능 대역이 되는 일부의 대역은, 복수의 상기 중첩 모듈 사이에서의 상기 설정 정보의 동기에만 사용되는 동기 전용 대역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정 장치는,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한 통신이 가능하며, 복수대의 설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대의 설정 장치 중 2대의 설정 장치가 동시에 상기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한쪽의 설정 장치는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송신하고, 다른 쪽의 설정 장치는 상기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피제어 기기의 제어 요구와 상기 설정 정보를 동시에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 요구를 버퍼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상기 설정 정보의 상기 설정 기억부에의 기록을 완료하고 나서, 상기 버퍼 메모리 내의 상기 제어 요구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송 신호는, 상기 중첩 가능 대역이 되는 대역을 상기 회신 대역 이외에 포함하고 있고, 상기 중첩 가능 대역이 되는 일부의 대역은, 복수의 상기 중첩 모듈 사이에서의 상기 설정 정보의 동기에만 사용되는 동기 전용 대역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정 장치는,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한 통신이 가능하며, 복수대의 설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대의 설정 장치의 중 2대의 설정 장치가 동시에 상기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한쪽의 설정 장치는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송신하고, 다른 쪽의 설정 장치는 상기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신호는, 상기 중첩 가능 대역이 되는 대역을 상기 회신 대역 이외에 포함하고 있고, 상기 중첩 가능 대역이 되는 일부의 대역은, 복수의 상기 중첩 모듈 사이에서의 상기 설정 정보의 동기에만 사용되는 동기 전용 대역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정 장치는,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한 통신이 가능하며, 복수대의 설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대의 설정 장치의 중 2대의 설정 장치가 동시에 상기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한쪽의 설정 장치는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송신하고, 다른 쪽의 설정 장치는 상기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대의 설정 장치가 상기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동시에 상기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복수대의 설정 장치 각각에는, 상이한 상기 중첩 가능 대역이 순차 할당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첩 모듈은, 통신선에 전송 신호를 반복 송출하는 전송 유닛,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중첩 모듈이 상기 통신선에 접속된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고, 상기 전송 신호는, 1프레임마다 시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대역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반송 신호를 수신하는 타임 슬롯인 회신 대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된 시분할 방식의 신호이고, 상기 전송 신호의 프레임마다 상기 회신 대역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검출 기간에서의 상기 회신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회신 신호가 있다고 판단된 상기 회신 대역에 대해서는 상기 중첩 신호의 중첩에 사용되지 않는 중첩 불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하고,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회신 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상기 회신 대역에 대해서는 상기 중첩 신호를 중첩 가능한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한다.
이 중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신호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럽트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인터럽트 대역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다음번의 상기 회신 대역을 할당하여 두고, 상기 중첩 모듈은, 상기 인터럽트 대역에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인터럽트 발생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인터럽트 발생부가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경우, 다음번의 상기 회신 대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회신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지 않고 상기 회신 대역의 전역(全域)을 상기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첩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복수대의 단말 장치를 구비하고, 각 단말 장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를 가지고, 상기 제어 명령은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피제어 기기에 고유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전송 유닛으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전송 유닛은, 복수의 피제어 기기를 일괄 제어할 때 사용되는 정보로서, 적어도 일괄 제어의 대상이 되는 상기 식별자의 조합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설정 기억부를 가지고, 상기 통신선에는, 상기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장치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설정 장치는, 상기 설정 정보가 설정되면, 상기 전송 유닛에 대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전송 유닛에 상기 설정 정보의 상기 설정 기억부에의 기록을 실행시키고, 상기 중첩 모듈은, 상기 전송 유닛 및 상기 설정 장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중첩 신호에 의해 상기 설정 장치에서 상기 전송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기술(記述) 및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한층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전체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b는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전송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송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설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서버 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송 신호의 회신 대역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6a는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설정 정보의 데이터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6b는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설정 정보의 데이터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전송 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전송 유닛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선식의 통신선(2)에 접속되는 부모 기기로서의 전송 유닛(1)과, 복수대(여기서는 2대)의 단말 장치(3)와, 복수대(여기서는 2대)의 설정 장치(4)와, 서버 유닛(5)을 구비하고 있다.
이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선(2)을 통해 전송되는 전송 신호(제1 프로토콜의 신호)와,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중첩 신호(제2 프로토콜의 신호)로 이루어지는 프로토콜이 상이한 2종류의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중첩 신호는 전송 신호보다 주파수가 높다
복수대의 단말 장치(3)는, 전송 유닛(1)에 대하여 통신선(2)을 통하여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전송 유닛(1) 및 단말 장치(3)는, 전송 유닛(1)에서 단말 장치(3)로의 데이터 전송과 단말 장치(3)에서 전송 유닛(1)으로의 데이터 전송이 시분할로 행해지는 시분할 다중 전송 시스템(이하, "기본 시스템"이라고 함)을 구축한다.
기본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 장치(3)는, 벽 스위치 등의 스위치(31)를 가지는 감시 단말기와, 릴레이 등의 피제어 기기(32)를 가지는 제어 단말기, 2종류로 분류된다. 이로써, 스위치(31)로부터의 감시 입력에 따라, 피제어 기기(32)에 접속된 부하(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단말 장치(3)는 미리 할당된 자신의 어드레스를 각각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감시 단말기에는, 스위치(31)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 등이 부설되어 있어도 된다.
감시 단말기는, 감시 입력을 받으면 전송 유닛(1)에 대하여 감시 입력에 대응한 제어 요구를 전송한다. 전송 유닛(1)은, 제어 요구를 수취하면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감시 단말기와 대응되어 있는 제어 단말기를 향해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제어 단말기는, 제어 명령을 수취하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피제어 기기(32)를 제어한다. 피제어 기기(32)는, 예를 들면, 피제어 기기(32)로서의 릴레이를 온오프시킴으로써, 접속된 부하(전기 기기)를 제어한다. 제어 명령은 스위치(31)의 감시 입력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스위치(31)에 대한 조작이 피제어 기기(32)의 제어에 반영되게 된다.
전송 유닛(1)은, 스위치(31)와 피제어 기기(32)를 어드레스에 의해 대응시킨 제어 테이블을 기억부(12)(도 1b 참조)에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단말 장치(3)가 복수 회로의 스위치(31)를 가지는 경우, 단말 장치(3)에 고유한 단말기 어드레스만으로는, 이 단말 장치(3)의 스위치(31)가 모두 해당하게 되어, 실제로 조작된 유일한 스위치(31)를 특정할 수는 없다. 그래서, 조작 단말기에 있어서는, 실제로 조작된 유일한 스위치(31)를 특정할 수 있도록 스위치(31)의 회로마다 부하 번호가 할당되고, 단말 장치(3)의 단말기 어드레스 뒤에 부하 번호가 부가된 어드레스를 스위치(31) 고유의 어드레스(식별자)로서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제어 단말기에 있어서는, 피제어 기기(32)의 릴레이 회로마다 부하 번호가 할당되고, 단말 장치(3)의 단말기 어드레스 뒤에 부하 번호가 부가된 어드레스를 피제어 기기(32) 고유의 어드레스(식별자)로 한다.
전송 유닛(1)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 처리부(11), 기억부(12), 전송 신호를 사용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9), 후술하는 중첩 모듈(8), 및 설정 기억부(13)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 모듈(9)은, 전송 송수신부(92)와, 전송 송수신부(92)에 접속된 전송 데이터 해석부(93) 및 전송 데이터 생성부(94)로 이루어진다.
전송 송수신부(92)는, 전송 신호의 파형을 생성하여 통신선(2) 상에 송출하거나, 통신선(2) 상의 전송 신호로부터 회신 신호를 수신하거나 한다. 전송 데이터 해석부(93)는, 전송 송수신부(92)가 수신한 회신 신호의 내용을 해석하고, 전송 데이터 생성부(94)는 전송 신호로 보내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전송 송수신부(92) 경유로 단말 장치(3)에 송신한다. 전송 처리부(11)는 기억부(12) 내의 제어 테이블을 참조하고,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스위치(31)의 감시 및 피제어 기기(32)의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전송 유닛(1)은 단말 장치(3)의 동작 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하고, 기억부(12)에 유지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어서, 기본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모 기기로서의 전송 유닛(1)은, 통신선(2)에 대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축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된 형식의 전압 파형으로 이루어지는 시분할 방식의 전송 신호를 송신한다. 즉, 전송 신호는, 예비 인터럽트 대역(21), 예비 대역(22), 송신 대역(23), 회신 대역(24), 인터럽트 대역(25), 단락 검출 대역(26), 및 휴지 대역(27)인 7개의 대역으로 이루어지는 복극(複極)(±24V)의 시분할 다중 신호이다. 예비 인터럽트 대역(21)은 2차 인터럽트를 검출하기 위한 기간이고, 예비 대역(22)은 인터럽트 대역(25) 및 단락 검출 대역(26)에 맞추어 설정된 기간이며, 송신 대역(23)은 단말 장치(3)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간이다. 회신 대역(24)은 단말 장치(3)로부터의 반송 신호를 수신하는 타임 슬롯이고, 인터럽트 대역(25)은 후술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기간이며, 단락 검출 대역(26)은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기간이다. 휴지 대역(27)은 처리가 제때 끝나지 않은 때를 위한 기간이다.
각 단말 장치(3)에서는, 통신선(2)을 통하여 수신한 전송 신호의 송신 대역(23)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데이터가 각각의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와 일치하면, 전송 신호로부터 피제어 기기(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수한다. 또한, 단말 장치(3)는 전송 신호의 회신 대역(24)에 동기하여 제어 결과를 전류 모드의 신호[적당한 저임피던스를 통하여 통신선(2)을 단락함으로써 송출되는 신호]로서 반송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3)의 내부 회로의 전원은 통신선(2)을 통하여 전송되는 전송 신호를 정류하여 안정화시킴으로써 공급된다.
전송 유닛(1)은, 평상시는 전송 신호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단말 장치(3)에 순차적으로 액세스하는 상시(常時) 폴링을 행한다. 상시 폴링 시에는, 전송 신호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데이터가 자신의 어드레스와 일치한 단말 장치(3)는, 전송 신호에 제어 명령이 포함되어 있으면 제어 명령을 입수하여 동작하고, 자신의 동작 상태를 제어 결과로서 전송 유닛(1)에 반송한다.
또한, 전송 유닛(1)은, 어느 하나의 감시 단말기[단말 장치(3)]에 있어서 스위치(31)의 감시 입력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단말 장치(3)를 검색하고, 그 단말 장치(3)에 액세스하여 인터럽트 폴링도 행한다.
즉, 전송 유닛(1)은, 평상시는 모드 데이터를 통상 모드로 한 전송 신호를 송출하고, 감시 단말기[단말 장치(3)]에 의해 발생한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 신호의 인터럽트 대역(25)에 동기하여 검출하면, 모드 데이터를 인터럽트 폴링 모드로 하여 전송 신호를 송출한다.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단말 장치(3)는, 인터럽트 폴링 모드의 전송 신호의 어드레스 데이터의 상위 비트가 자신의 어드레스의 상위 비트와 일치하면, 그 전송 신호의 회신 대역(24)에 동기하여 자신의 어드레스의 하위 비트를 반송 데이터로서 반송한다. 이로써, 전송 유닛(1)에서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단말 장치(3)의 어드레스를 취득할 수 있다.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단말 장치(3)의 어드레스가 전송 유닛(1)에서 취득되면, 전송 유닛(1)은 그 단말 장치(3)에 대하여 제어 요구의 반송을 요구하는 전송 신호를 송출하고, 단말 장치(3)는 스위치(31)의 감시 입력에 대응한 제어 요구를 전송 유닛(1)에 반송한다. 전송 유닛(1)은 제어 요구를 수취하면, 해당하는 단말 장치(3)의 감시 입력을 클리어(clear)하도록 지시를 주고, 그 단말 장치(3)에서는 감시 입력이 클리어된다.
제어 요구를 수취한 전송 유닛(1)은, 제어 요구의 발신원(發信元)의 단말 장치(감시 단말기)(3)와 어드레스의 대응 관계에 의해 대응되어 있는 단말 장치(제어 단말기)(3)에 송신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전송 유닛(1)은, 이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통신선(2)에 송출하여, 단말 장치(제어 단말기)(3)에 부설한 피제어 기기(32)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 시스템에서는, 폴링·셀렉팅(selecting) 방식의 프로토콜(제1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 유닛(1)을 통하여 단말 장치(감시 단말기, 제어 단말기)(3)끼리 통신을 행하게 된다.
또한, 전송 유닛(1)의 제어 테이블에서는, 스위치(31)와 피제어 기기(32)를 1 대 1로 연결하는 것 외에 1 대 다(多)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피제어 기기(32)를 사용하여 부하로서의 조명 기구(器具)에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경우, 전송 유닛(1)에서는, 1 회로의 스위치(31)로 1 회로의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개별 제어와, 1 회로의 스위치(31)로 복수 회로의 조명 기구를 일괄하여 제어하는 일괄 제어가 가능하다. 일괄 제어로서는, 그룹 제어와 패턴 제어가 있다. 그룹 제어는, 제어 대상이 되는 복수의 릴레이를 1 회로의 스위치(31)에 대응시켜 두고, 이 스위치(31)의 조작에 의해 이들 복수의 릴레이를 일괄하여 온 또는 오프하는 제어이다. 패턴 제어는, 제어 대상이 되는 복수의 릴레이 및 각 릴레이에 대응하는 제어 상태(온 또는 오프)를 1 회로의 스위치(31)에 대응시켜 두고, 이 스위치(31)의 조작에 의해 이들 복수의 릴레이를 온 또는 오프하는 제어이다.
이들의 그룹 제어나 패턴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전송 유닛(1)은, 복수의 피제어 기기(32)를 일괄 제어할 때 사용되는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설정 기억부(13)를 가지고 있다. 설정 정보는, 적어도 일괄 제어의 대상이 되는 피제어 기기(32)에 고유한 어드레스(이하, "개별 어드레스"라고 함)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개별 어드레스의 조합을 그룹 어드레스 또는 패턴 어드레스에 대응한 정보로 이루어진다. 그룹 어드레스는, 그룹 제어 시에 조작되는 스위치(31)의 어드레스와 제어 테이블에 있어서 대응되고, 패턴 어드레스는, 패턴 제어시에 조작되는 스위치(31)의 어드레스와 제어 테이블에 있어서 대응되어 있다.
이로써, 그룹 어드레스나 패턴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스위치(31)가 조작되면, 전송 유닛(1)은, 설정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제어 대상이 되는 피제어 기기(32)의 어드레스를 전개하고, 이들의 피제어 기기(32)에 대하여 제어 명령을 내린다.
즉, 그룹 제어나 패턴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는, 어느 그룹(또는 패턴)에 어느 피제어 기기(32)가 속하는지를 나타낸 설정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설정 장치(4)는, 이와 같은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장치로서, 설정 정보의 전송 처리가 이루어지면, 전송 유닛(1)에 대하여 설정 정보를 송신(전송)함으로써, 전송 유닛(1)에 설정 정보의 설정 기억부(13)에의 기록을 실행시킨다.
설정 장치(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 유닛(1)과 마찬가지로, 통신 모듈(9)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설정 장치(4)는, 설정 정보의 설정을 행하는 설정 처리부(41)와, 입력부(42)와, 표시부(43)와, 기억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표시부(43)에 의해 설정 내용을 확인하면서 입력부(42)로부터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설정 정보는 설정 처리부(41)에 의해 기억부(44)에 일단 저장된다. 설정 장치(4)는, 기억부(44) 내의 설정 정보를 전송 유닛(1)에 전송함으로써, 설정 정보의 등록[설정 기억부(13)에의 기록]을 행한다.
또한, 서버 유닛(5)은, 단말 장치(3)의 정보(스위치(31)나 피제어 기기(32)의 동작 상태 등)를, 네트워크(6) 경유로 클라이언트 단말기(7)의 웹 브라우저 기능에 의해 감시 제어 가능하게 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7)는 웹 브라우저 기능과, 표시부, 조작부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장치이면 되고, 여기서는 퍼스널 컴퓨터가 사용된다.
서버 유닛(5)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 유닛(1)과 마찬가지로, 통신 모듈(9)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서버 유닛(5)은,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51)와, 설정 처리부(41)에 접속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7)에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화면 구성부(52)를 구비하고, 설정 장치로서도 기능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원격지에서도 클라이언트 단말기(7)를 사용하여 설정 정보의 설정이 가능해져, 입력된 설정 정보는 서버 유닛(5)의 기억부(51)에 저장된다. 그리고, 서버 유닛(5)의 기억부(51)에는, 단말 장치(3)를 스케줄에 따라 스케줄 제어하기 위한 스케줄 데이터도 저장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설정 정보는,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설정 장치(4) 또는 서버 유닛(5)에서 전송 유닛(1)으로 전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스위치(31)의 감시 및 피제어 기기(32)의 제어를 모두 중단하여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방법과, 스위치(31)의 감시 및 피제어 기기(32)의 제어를 계속하면서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제2 방법이 있다.
제1 방법에 있어서는, 설정 장치(4)나 서버 유닛(5)은, 스위치(31)의 감시 및 피제어 기기(32)의 제어가 중단되어 있는 동안에, 전송 신호를 전유(專有)하여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제2 방법에서는, 설정 장치(4)나 서버 유닛(5)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고, 전송 유닛(1)으로부터 인터럽트 폴링을 받아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나, 제1 방법에서는, 설정 정보의 전송 중에는, 전송 유닛(1)은 스위치(31)의 감시 및 피제어 기기(32)의 제어 모두 행할 수 없으므로, 실질적으로, 기본 시스템의 동작은 정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그룹 어드레스나 패턴 어드레스의 설정 수가 많은 경우(예를 들면, 패턴 어드레스가 72가지, 그룹 어드레스가 128가지), 설정 정보의 전송에 비교적 긴 시간(예를 들면, 30분 정도)을 필요로 하므로, 기본 시스템의 동작 정지 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제2 방법에 있어서는, 설정 장치(4)나 서버 유닛(5)은, 인터럽트를 걸어 설정 정보를 전송하므로, 전송 유닛(1)에 의한 스위치(31)의 감시 및 피제어 기기(32)의 제어에 지연이 생기고, 기본 시스템의 동작에 지연이 생긴다. 또한, 설정 정보의 전송에 제1 방법 이상으로 긴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설정 정보의 등록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진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그룹 제어나 패턴 제어용의 설정 정보의 등록이나 동기 등을 위한 전송 시에, 전송 신호가 아니라, 중첩 신호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설정 정보를 등록하는 전송 유닛(1), 또한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설정 장치(4) 및 서버 유닛(5) 각각에, 중첩 모듈(8)(도 1b, 도 3, 도 4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중첩 모듈(8)은, 기본 시스템과 통신선(2)을 공용하면서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설정 정보를 중첩 신호에 의해 설정 장치(4)나 서버 유닛(5)에서 전송 유닛(1)으로 전송한다. 이하, 중첩 신호를 사용한 통신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중첩 모듈(8)은, 전술한 제1 프로토콜과는 상이한 프로토콜(제2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 유닛(1)을 경유하지 않고 피어·투·피어(P2P)로 전송 데이터(설정 정보)를 다른 중첩 모듈(8)에 직접 전송한다.
중첩 모듈(8)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선(2)에 접속되는 중첩부(81), 중첩부(81)에 접속된 중첩 송수신부(82), 중첩 송수신부(82)에 접속된 중첩 데이터 해석부(83), 및 중첩 데이터 생성부(84)를 구비하고 있다.
중첩부(81)는 전송 신호에 중첩 신호를 중첩시켜 통신선(2) 상에 송출하거나, 통신선(2) 상의 신호로부터 전송 신호와 중첩 신호를 분리하거나 한다. 중첩 송수신부(82)는 중첩부(81)를 경유하여 다른 중첩 모듈(8)과의 사이에서 중첩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중첩 데이터 해석부(83)는, 중첩 송수신부(82)가 수신한 중첩 신호의 내용을 해석하고, 중첩 데이터 생성부(84)는 중첩 송수신부(82)에 의해 송신시키는 중첩 신호를 생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중첩 모듈(8)은 다른 중첩 모듈(8)에 전송해야 할 데이터를 포함한 패킷을 제2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 신호에 중첩시켜 통신선(2)에 송출하고, 또한 다른 중첩 모듈(8)이 송신한 제2 프로토콜의 패킷을 수신한다. 즉, 제1 프로토콜에 의한 단말 장치(3)끼리의 통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 유닛(1)을 통하여 행해지는 것에 대하여, 제2 프로토콜에 의한 중첩 모듈(8)끼리의 통신은 중첩 모듈(8) 사이에서 직접 행해지고, 전송 유닛(1)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2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은, 제1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에 비해 통신 속도를 고속화할 수 있어, 그룹 제어나 패턴 제어용의 설정 정보와 같이, 제어 요구나 제어 명령에 비해 데이터량이 많은 정보의 전송에 사용된다.
또한, 중첩 모듈(8)은, 기본 시스템의 전송 유닛(1)과 단말 장치(3) 사이에서 전송되는 전송 신호를 감시하는 판단부(85)를 구비하고, 판단부(85)에서는 전송 신호로부터 데이터 전송 상황(이하, "스테이트(state)"라고 함)을 해석한다. 중첩 모듈(8)은, 판단부(85)에 의해 해석한 스테이트가 중첩 신호의 중첩에 적절한 상황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전송에 적절하다고 판단된 타이밍에서, 중첩부(81)에 의해 전송 신호에 중첩 신호를 중첩한다.
여기서, 전송 신호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신호 포맷을 채용하고 있다. 예비 인터럽트 대역(21)이나 예비 대역(22)이나 휴지 대역(27)는, 중첩 신호가 중첩되어도 제1 프로토콜의 통신에 영향이 없고, 중첩 신호도 전송 신호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으므로, 중첩 신호를 중첩 가능한 대역(이하, "중첩 가능 대역"이라고 함)된다. 또한,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중첩 모듈(8)은 이들 3개의 대역에 더하여, 회신 대역(24)에 대해도 조건부로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이용한다.
그 외의 대역[송신 대역(23)과 인터럽트 대역(25)과 단락 검출 대역(26)]은, 전송 신호가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로 안정되어 있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중첩 신호가 중첩되면 제1 프로토콜의 통신에 영향을 주기 쉽다. 또한 상기 다른 대역에 중첩 신호가 중첩되면, 중첩 신호도 전송 유닛(1)과 단말 장치(3)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인터럽트 신호나 송신 데이터)의 영향을 받기 쉽다. 그러므로, 상기 다른 대역은, 중첩 신호의 중첩에는 사용되지 않는 대역(이하, "중첩 불가능 대역"이라고 함)이 된다.
또한, 전송 신호의 상승 및 하강 기간도, 고조파 노이즈의 영향이나 신호의 전압 반전에 따른 과도 응답의 영향 등에 의하여, 중첩 신호를 중첩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전송 신호는, 예비 인터럽트 대역(21)과 예비 대역(22)과 휴지 대역(27) 중에서도, 대역의 전환(상승 또는 하강) 후의 소정 시간(예를 들면, 300μs)에 대해서는, 중첩 불가능 대역이 된다.
그래서, 판단부(85)는, 전송 신호의 스테이트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중첩 가능 대역인지 중첩 불가능 대역인지의 판단을 행하고, 중첩부(81)는 중첩 가능 대역으로 판단되었을 때 한해 중첩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첩 모듈(8)은, 이와 같이 전송 신호에 동기시키도록 전송 신호의 중첩 가능 대역에만 중첩 신호를 중첩시킴으로써, 공통의 통신선(2)을 사용하는 제1 프로토콜의 통신과 제2 프로토콜의 통신의 간섭을 회피한다.
여기서, 중첩 모듈(8)은,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많아 한 번의 중첩 가능 대역 내에 송신을 끝내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중첩 가능 대역의 종료에 맞추어 통신을 중단하고, 다음번의 중첩 가능 대역에 나머지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즉, 중첩 송수신부(82)는, 수신한 중첩 신호가 분할 송신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결합하여 1개의 데이터로 하고, 중첩 신호의 송신 시에는 중첩 가능 대역에 중첩할 수 있는 길이로 데이터를 분할한다.
그리고, 중첩 모듈(8)의 각 부로의 전원 공급은, 단말 장치(3)와 마찬가지로 전송 유닛(1)으로부터 통신선(2)을 통하여 전송되는 전송 신호를 정류하여 안정화함으로써 공급되는 방식(집중 급전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단,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중첩 모듈(8)의 각 부로의 전원 공급은, 상용 전원을 정류하여 안정화함으로써 공급되는 방식(로컬 급전 방식)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는, 전송 신호는, 예비 인터럽트 대역(21)과 예비 대역(22)과 휴지 대역(27)만이,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중첩 신호의 중첩에 이용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중첩 모듈(8)은, 예비 인터럽트 대역(21)과 예비 대역(22)과 휴지 대역(27), 이 3개의 대역에 더하여, 회신 대역(24)에 대해서도 조건부로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중첩 신호의 중첩에 이용한다.
즉, 중첩 모듈(8)은, 전송 신호의 프레임마다 회신 대역(24)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검출 기간에서의 회신 신호의 유무를 판단부(85)에 의해 판단하고, 회신 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회신 대역(24)에 대해서는, 중첩 신호를 중첩 가능한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중첩 모듈(8)은, 판단부(85)에 의해 회신 신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회신 대역(24)에 대해서는 중첩 불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신 대역(24)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B1"∼ "B5"의 5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단말 장치(3)에 의해 회신 신호가 발생했을 때는, 회신 대역(24)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예를 들면, 900μs) 사이에, 최초의 블록(B1)에 펄스가 발생한다. 그래서, 판단부(85)는, 회신 대역(24)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검출 기간(T1)으로 하고, 이 검출 기간(T1) 내에 펄스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회신 대역(24) 중 2번째 블록(B2) 이후의 기간(T2)에 대해서는, 회신 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이용한다. 도 5의 예에서는, 길이 6400μs의 회신 대역(24) 중, 개시 시점으로부터 1900μs가 검출 기간(T1)을 구성하고 있고, 이 검출 기간(T1) 내에 펄스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나머지 4500μs의 기간(T2)이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이용되게 된다. 한편, 검출 기간(T1) 내에 펄스가 발생한 경우에는, 판단부(85)는, 이 회신 대역(24)에 대하여 회신 신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중첩 불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한다.
회신 대역(24) 중 검출 기간(T1)을 제외한 부분만이라도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회신 대역(24)의 전역(全域)을 중첩 불가능 대역으로 하는 경우에 비하면, 전송 신호의 1프레임당 중첩 가능 대역은, 표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대폭 증가하게 된다. 표 1은, 회신 대역(24)이 중첩 신호의 중첩에 이용되지 않는 경우와, 회신 대역(24)의 일부(검출 기간을 제외한 부분)가 중첩 신호의 중첩에 이용되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각 대역에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 그 합계, 통신 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1ms로 40bit의 데이터가 전송 가능한 것으로 하여 계산하고 있다.
[표 1]
Figure 112013069427668-pct00001
이와 같이, 회신 대역(24)이 일부라도 중첩 신호의 중첩에 이용됨으로써, 전송 신호의 1프레임당 중첩 가능한 중첩 신호의 데이터량이 대폭 증가하여, 통신 속도가 향상되게 된다. 표 1의 예에서는, 회신 대역(24)이 중첩 신호의 중첩에 이용되지 않는 경우의 통신 속도는 6.3 kbps인데 대하여, 회신 대역(24)이 중첩 신호의 중첩에 이용되는 경우의 통신 속도는 15.7 kbps로 향상되어 있다.
여기에서,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설정 정보는, 일례로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신호 구성을 취한다. 즉, 패턴 제어에 관한 설정 정보는,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별(種別)(61), 어드레스(62), 페이드(fade)(63), 구성 요소 정보(64), 체크섬(checksum)(65), 종단(終端)(66)으로 구성된다. 도 6a의 예에서는, 종별(61) = 16bit, 어드레스(62) = 12bit, 페이드(63) = 4bit, 구성 요소 정보(64) = 4288bit, 체크섬(65) = 8bit, 종단(66) = 8bit로, 설정 정보는 1 패턴당 4336bit의 데이터가 된다.
종별(61)은, 설정 정보의 종별(그룹 제어, 패턴 제어의 구별)을 나타내고, 어드레스(62)는 패턴 어드레스(여기서는, "01"∼"72", 72가지로 함) 또는 그룹 어드레스(여기서는, "001"∼"128", 128가지로 함)를 나타내고 있다. 페이드(63)는, 패턴 제어를 행하고 나서 설정된 제어 상태로 서서히 천이시키는 경우에, 제어 상태가 완전히 천이하기까지의 시간으로서, 순간, 3초, 6초, 1분에서 선택된다. 구성 요소 정보(64)는, 일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개별 어드레스(여기서는, "00-1"∼ "63-4", 256가지로 함)의 세트를 나타낸다. 체크섬(65)은 데이터의 에러 검출 부호, 종단(66)은 설정 정보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부호이다.
그리고, 구성 요소 정보(64)에 있어서는, 각 개별 어드레스에 대하여, 제어 내용이나, 타이머나 조광 레벨(부하가 조명 기구인 경우) 등이 설정된다. 제어 내용은, 온, 오프, 대상외 중에서 택일적으로 선택된다. 타이머는, 부하가 조명 기구인 경우, 없음, 일시 점등 30초, 일시 점등 1분, 일시 점등 5분, 일시 점등 60분, 일시 점등 120분, 지연 소등 30초, 지연 소등 1분, 지연 소등 5분 중에서 택일적으로 선택된다. 조광 레벨은, 소등에서 전체 점등까지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0∼128 중에서 택일적으로 선택된다.
또한, 그룹 제어에 관한 설정 정보는, 예를 들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별(61), 어드레스(62), 구성 요소 정보(64), 체크섬(65), 종단(66)으로 구성된다. 도 6b의 예에서는, 종별(61) = 16bit, 어드레스(62) = 12bit, 구성 요소 정보(64) = 2048bit, 체크섬(65) = 8bit, 종단(66) = 8bit이고, 설정 정보는 1그룹당 2284bit 데이터가 된다.
이들의 전술한 1패턴 또는 1그룹당 설정 정보의 데이터량과, 상기 표 1에 나타낸 통신 속도로부터, 설정 정보의 전송에 필요한 시간은 표 2와 같이 구해진다. 표 2는, 회신 대역(24)이 중첩 신호의 중첩에 이용되지 않는 경우와, 회신 대역(24)의 일부가 중첩 신호의 중첩에 이용되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1패턴분, 72패턴분, 1그룹분, 128그룹분의 각 설정 정보의 전송에 요하는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표 2]
Figure 112013069427668-pct00002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설정 정보의 전송에 중첩 신호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스위치(31)의 감시 및 피제어 기기(32)의 제어를 계속하면서 설정 정보를 전송하면서도, 기본 시스템의 동작에 지연이 발생하지도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은, 전송 신호 중 회신 대역(24)에 대해도 조건부로 중첩 신호의 중첩에 이용하므로, 회신 대역(24)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전송 신호의 1프레임당 중첩 가능한 중첩 신호의 데이터량이 대폭 증가한다. 따라서, 설정 장치(4)나 서버 유닛(5)에서 전송 유닛(1)으로의 설정 정보의 전송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설정 정보의 등록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특히, 그룹 어드레스나 패턴 어드레스의 설정 수가 많은 경우(예를 들면, 패턴 어드레스가 72가지, 그룹 어드레스가 128가지)에는, 설정 정보의 전송에 필요한 시간은 대폭 단축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 장치(4)와 서버 유닛(5) 각각은, 중첩 모듈(8) 뿐 아니라, 통신 모듈(9)도 가지고 있으므로,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설정 정보를 전송 유닛(1)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정 정보의 전송에 전송 신호를 사용할것인지 중첩 신호를 사용할 것인지는, 예를 들면, 설정 장치(4), 서버 유닛(5)의 조작에 의해 임의로 전환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중첩 모듈(8)은, 회신 대역(24)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판단부(85)에 의해 회신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검출 기간으로서 이용하고 있지만, 이 기간도 포함하여 회신 대역(24) 전역을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중첩 모듈(8)은, 인터럽트 대역(25)(도 2 참조)에 능동적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인터럽트 발생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인터럽트 발생부가 인터럽트를 거는 것에 의해, 다음번의 회신 대역(24)의 전역을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중첩 모듈(8)은, 인터럽트 발생부에 의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경우에는, 다음번의 회신 대역(24)에 있어서는 판단부(85)에 의해 회신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지 않고, 그 회신 대역(24)의 전역에서 중첩 신호를 중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회신 대역(24)의 전역을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도 5의 예에서는, 회신 대역(24)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1900μs의 검출 기간(T1)이 중첩 가능 대역에 더해짐으로써, 중첩 모듈(8)은 합계 6400μs의 회신 대역(24) 모두에서 중첩 신호의 중첩이 가능하게 된다. 표 1과 같은 조건 하에서는, 회신 대역(24)의 전역을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중첩 모듈(8)은 회신 대역(24)에 있어서 76bit분 많은 데이터를 전송 가능해지고, 결과적으로, 1초당 4 kbit이나 많은 데이터를 중첩 신호에 의해 전송 가능하게 된다. 즉, 통신 속도가 4kbps 향상된다.
또한, 전송 유닛(1)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 메모리(14) 및 경합 검지부(15)를 가지고, 피제어 기기(32)의 제어 요구와 설정 정보를 동시에 수신한 경우, 제어 요구를 버퍼 메모리(14)에 일시적으로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경합 검지부(15)는, 단말 장치(3)로부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제어 요구와, 설정 장치(4) 또는 서버 유닛(5)으로부터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설정 정보와의 경합을 검지한다. 즉, 경합 검지부(15)는, 통신 모듈(9)이 제어 요구를 받은 타이밍과, 중첩 모듈(8)이 설정 정보를 받은 타이밍이 중복되었을 때, 제어 요구와 설정 정보가 경합하였다고 판단한다.
이 구성에서는, 전송 유닛(1)은, 경합 검지부(15)에 의해 경합이 검지되면, 그 때 수신한 제어 요구를 버퍼 메모리(14)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이 경우, 전송 처리부(11)는, 설정 정보의 설정 기억부(13)에의 기록이 완료된 즉시, 버퍼 메모리(14) 내의 제어 요구를 판독하고, 이 제어 요구에 따라 제어 명령을 단말 장치(3)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버퍼 메모리(14) 및 경합 검지부(15)를 설치한 구성에서는, 전송 유닛(1)에 대한 제어 요구와 설정 정보가 경합한 경우, 전송 유닛(1)에 의해 제어 요구가 일단 버퍼 메모리(14)에 저장되고, 설정 기억부(13)에의 설정 정보의 등록이 우선적으로 행해진다. 따라서, 설정 장치(4)나 서버 유닛(5)에 의한 설정 정보의 등록 처리를 조기에 완료시킬 수 있다. 또한, 설정 정보의 변경과 동시에, 일괄 제어용의 스위치(31)가 조작된 경우라도, 전송 유닛(1)은 변경 후의 새로운 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일괄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신호 중 중첩 가능 대역이 되는 일부의 대역은, 복수의 중첩 모듈(8) 사이에서의 설정 정보의 동기에만 사용되는 동기 전용 대역이어도 된다. 즉,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그룹 제어나 패턴 제어용의 설정 정보는, 전송 유닛(1) 내에 마스터로서 보존되어 있지만, 설정 장치(4)나 서버 유닛(5)의 설정 기억부(13)에도 보존되어 있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의 가동 중에, 설정 장치(4)나 서버 유닛(5)이 교환 또는 추가되었을 경우에, 전송 유닛(1)과 설정 장치(4)와 서버 유닛(5)과의 사이에서, 설정 정보의 불일치(부정합)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통신 시스템 전체에서의 설정 정보의 정합을 취하기 위하여, 전송 유닛(1) 내에 보존되어 있는 마스터로서의 설정 정보를, 설정 장치(4) 및 서버 유닛(5) 내의 설정 정보에 동기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전송 유닛(1)은, 전송 신호의 일부의 대역을 고정적으로 동기 전용 대역에 설정하고, 이 동기 전용 대역을 이용하여 중첩 신호에 의해 마스터로서의 설정 정보를 설정 장치(4) 및 서버 유닛(5)에 송신하여, 설정 정보의 동기를 취한다. 전송 유닛(1)으로부터의 설정 정보를 수신한 설정 장치(4) 및 서버 유닛(5)은, 수신한 설정 정보를 자체의 설정 기억부(13) 내의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불일치이면 수신한 설정 정보를 설정 기억부(13)에 기입한다. 이로써, 전송 신호의 1프레임마다 설정 정보의 동기를 취할 수 있어, 항상 통신 시스템 전체에서의 설정 정보의 정합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첩 모듈(8)은 전송 유닛(1), 설정 장치(4), 서버 유닛(5)에 내장되어 있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중첩 모듈(8)은 전송 유닛(1), 설정 장치(4), 서버 유닛(5)과 별개로 구성되며, 전송 유닛(1), 설정 장치(4), 서버 유닛(5)과 직접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은, 복수대의 설정 장치(4) 또는 서버 유닛(5)이 동시에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이 실시예 1의 통신 시스템과 상위하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정 장치(4)와 서버 유닛(5)을 특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 이들을 합쳐 "설정 유닛"이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 유닛이 통신 모듈(9)을 가지고,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 가능한 것은 전제이다.
예를 들면, 어느 설정 유닛이 설정 정보를 전송 중에, 사용자가 다른 설정 유닛을 사용하여 설정 정보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 중첩 신호는 이미 설정 유닛으로부터의 설정 정보의 전송에 전유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정보를 중첩 신호에 의해 전송할 수는 없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2대의 설정 유닛이 동시에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 한쪽의 설정 유닛은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다른 쪽의 설정 유닛은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는, 설정 유닛은, 다른 설정 유닛과 통신함으로써, 설정 정보의 전송 방법이 다른 설정 유닛과 중복되지 않도록 전송 신호와 중첩 신호를 할당하는 조정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송 유닛(1)은, 2대의 설정 유닛으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 신호 및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별개의 설정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들의 설정 정보를 동시에 설정 기억부(13)에 기입하는 경우가 없도록,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 즉, 전송 유닛(1)은,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수신한 설정 정보와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수신한 설정 정보를 설정 기억부(13)에 교대로 기록하도록, 설정 정보의 판독처를 통신 모듈(9)과 중첩 모듈(8)로 교대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송 유닛(1)은, 1패턴 또는 1그룹(1그룹 어드레스 또는 1패턴 어드레스)당의 설정 정보 등록마다, 세마포(semaphore)에 의해 배타 제어를 하여, 통신 모듈(9)과 중첩 모듈(8)을 교대로 전환한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2대의 설정 유닛이 동시에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 한쪽의 설정 유닛은 다른 쪽의 설정 유닛의 동향을 따라 설정 정보의 전송 방법을 전환함으로써, 설정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 유닛(1)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3대 이상의 설정 유닛이 동시에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1대의 설정 유닛은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나머지 설정 유닛은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이 경우, 복수대의 설정 유닛이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설정 정보를 설정하게 되므로, 이들 복수대의 설정 유닛 각각에는, 상이한 중첩 가능 대역이 순차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3대의 설정 유닛이 동시에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 1대의 설정 유닛은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다른 2대의 설정 유닛은 모두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설정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중첩 신호를 사용하는 2대의 설정 유닛에는, 각각에 상이한 중첩 가능 대역이 할당되고, 각 설정 유닛은 할당된 중첩 가능 대역을 이용하여 설정 정보를 전송 유닛(1)에 전송한다. 이때,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2대의 설정 유닛은, 설정 정보의 데이터량에 따라, 중첩 신호를 중첩되는 대역을 정기적으로 전환하여 설정 정보를 전송 유닛(1)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2대의 설정 유닛은, 전송 유닛(1)에 대하여, 먼저 설정하는 어드레스(그룹 어드레스 또는 패턴 어드레스)를 통지한다. 전송 유닛(1)은 수신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설정 정보의 데이터량(통신 데이터량)을 산출하고, 설정 정보의 전송에 이용하는 중첩 가능 대역을 각 설정 유닛에 할당하여 통지한다. 여기서, 회신 대역(24)이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이용될 수 없는 경우, 전송 유닛(1)은, 예비 인터럽트 대역(21) 및 예비 대역(22)과, 휴지 대역(27)의 2세트로 나누어 설정 정보의 데이터량이 많은 쪽에는 예비 인터럽트 대역(21) 및 예비 대역(22)을, 적은 쪽에는 휴지 대역(27)을 할당한다. 한편, 회신 대역(24)이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경우, 전송 유닛(1)은,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2대의 설정 유닛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설정 정보의 잔여 데이터량의 확인을 행하고, 도 9의 흐름도에 따라 중첩 가능 대역의 할당을 행한다.
즉, 전송 유닛(1)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여 데이터량의 정기 체크를 행하여(S0), 양(兩) 설정 유닛의 사이에서 잔여 데이터량의 차이(차분)를 구한다. 잔여 데이터량의 차이가 40bit 미만 이면(S1: No), 전송 유닛(1)은, 잔량 데이터량이 많은 쪽에 회신 대역(24)을 할당하고, 적은 쪽에 예비 인터럽트 대역(21) 및 예비 대역(22), 또는 휴지 대역(27)을 할당한다(S2). 잔여 데이터량의 차이가 40bit 이상(S1: Yes), 140bit 미만이면(S3: No), 전송 유닛(1)은, 잔량 데이터량이 많은 쪽에 휴지 대역(27) 또는 회신 대역(24)을 할당하고, 적은 쪽에 예비 인터럽트 대역(21) 및 예비 대역(22)을 할당한다(S4). 잔여 데이터량의 차이가 140bit 이상(S3: Yes), 220bit 미만이면(S5: No), 전송 유닛(1)은, 잔량 데이터량이 많은 쪽에 예비 인터럽트 대역(21) 및 예비 대역(22), 또는 회신 대역(24)을 할당하고, 적은 쪽에 휴지 대역(27)을 할당한다(S6). 잔여 데이터량의 차이가 220bit 이상이면(S5: Yes), 전송 유닛(1)은, 잔량 데이터량이 많은 쪽에 예비 인터럽트 대역(21) 및 예비 대역(22), 회신 대역(24), 휴지 대역(27)을 할당하고, 적은 쪽에는 중첩 가능 대역을 할당하지 않는다(S7).
이상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3대 이상의 설정 유닛이 동시에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라도, 각 설정 유닛은 병행하여 설정 정보를 전송 유닛(1)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대의 설정 유닛으로부터 동시에 설정 정보가 설정되었다고 해도, 전송 유닛(1)에 있어서는, 설정 정보의 등록이 동일 시기에 종료하므로, 통신 시스템 전체에서 설정 정보가 정합하지 않는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기능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발명을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의 본래의 정신 및 범위, 즉 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0)

  1. 통신선에 전송 신호를 반복 송출하는 전송 유닛,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중첩 모듈이 상기 통신선에 접속된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송 신호는, 1프레임마다 시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대역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반송 신호를 수신하는 타임 슬롯인 회신 대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된 시분할 방식의 신호이고,
    상기 중첩 모듈은, 상기 전송 신호의 프레임마다 상기 회신 대역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검출 기간에서의 상기 회신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회신 신호가 있다고 판단된 상기 회신 대역에 대해서는 상기 중첩 신호의 중첩에 사용되지 않는 중첩 불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하고,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회신 신호가 없다고 판단된 상기 회신 대역에 대해서는 상기 중첩 신호를 중첩 가능한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신호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럽트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인터럽트 대역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다음번의 상기 회신 대역을 할당하여 두고,
    상기 중첩 모듈은, 상기 인터럽트 대역에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인터럽트 발생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인터럽트 발생부가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경우, 다음번의 상기 회신 대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회신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지 않고 상기 회신 대역의 전역(全域)을 상기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복수대의 단말 장치를 구비하고, 각각의 단말 장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피제어 기기에 고유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전송 유닛으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전송 유닛은, 복수의 피제어 기기를 일괄 제어할 때 사용되는 정보로서, 적어도 일괄 제어의 대상이 되는 상기 식별자의 조합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설정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선에는, 상기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장치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설정 장치는, 상기 설정 정보가 설정되면, 상기 전송 유닛에 대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전송 유닛에 상기 설정 정보의 상기 설정 기억부에의 기록을 실행시키고,
    상기 중첩 모듈은, 상기 전송 유닛 및 상기 설정 장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중첩 신호에 의해 상기 설정 장치에서 상기 전송 유닛으로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피제어 기기의 제어 요구와 상기 설정 정보를 동시에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 요구를 버퍼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상기 설정 정보의 상기 설정 기억부에의 기록을 완료하고 나서, 상기 버퍼 메모리 내의 상기 제어 요구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신호는, 상기 중첩 가능 대역이 되는 대역을 상기 회신 대역 이외에 포함하고 있고, 상기 중첩 가능 대역이 되는 일부의 대역은, 복수의 상기 중첩 모듈 사이에서의 상기 설정 정보의 동기에만 사용되는 동기 전용 대역인, 통신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장치는,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한 통신이 가능하며, 복수대의 설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대의 설정 장치의 중 2대의 설정 장치가 동시에 상기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한쪽의 설정 장치는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송신하고, 다른 쪽의 설정 장치는 상기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대의 설정 장치가 상기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동시에 상기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복수대의 설정 장치 각각에는, 상이한 상기 중첩 가능 대역이 순차 할당되는, 통신 시스템.
  8. 통신선에 전송 신호를 반복 송출하는 전송 유닛,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송 신호에 중첩되는 중첩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중첩 모듈이 상기 통신선에 접속된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고,
    상기 전송 신호는, 1프레임마다 시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대역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반송 신호를 수신하는 타임 슬롯인 회신 대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된 시분할 방식의 신호이고,
    상기 전송 신호의 프레임마다 상기 회신 대역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검출 기간에서의 상기 회신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회신 신호가 있다고 판단된 상기 회신 대역에 대해서는 상기 중첩 신호의 중첩에 사용되지 않는 중첩 불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하고,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회신 신호가 없다고 판단된 상기 회신 대역에 대해서는 상기 중첩 신호를 중첩 가능한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하는,
    중첩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신호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럽트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인터럽트 대역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다음번의 상기 회신 대역을 할당하여 두고
    상기 인터럽트 대역에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인터럽트 발생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인터럽트 발생부가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경우, 다음번의 상기 회신 대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회신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지 않고 상기 회신 대역의 전역을 상기 중첩 가능 대역으로서 사용하는, 중첩 모듈.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복수대의 단말 장치를 구비하고, 각각의 단말 장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피제어 기기에 고유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전송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전송 유닛으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전송 유닛은, 복수의 피제어 기기를 일괄 제어할 때 사용되는 정보로서, 적어도 일괄 제어의 대상이 되는 상기 식별자의 조합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설정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선에는, 상기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장치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설정 장치는, 상기 설정 정보가 설정되면, 상기 전송 유닛에 대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전송 유닛에 상기 설정 정보의 상기 설정 기억부에의 기록을 실행시키고,
    상기 전송 유닛 및 상기 설정 장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중첩 신호에 의해 상기 설정 장치에서 상기 전송 유닛으로 전송하는, 중첩 모듈.
KR1020137020312A 2011-05-20 2012-05-17 통신 시스템 및 중첩 모듈 KR101510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3509 2011-05-20
JP2011113509A JP5853186B2 (ja) 2011-05-20 2011-05-20 通信システムおよび重畳モジュール
PCT/JP2012/062593 WO2012161066A1 (ja) 2011-05-20 2012-05-17 通信システムおよび重畳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620A KR20130111620A (ko) 2013-10-10
KR101510171B1 true KR101510171B1 (ko) 2015-04-08

Family

ID=4721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312A KR101510171B1 (ko) 2011-05-20 2012-05-17 통신 시스템 및 중첩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53186B2 (ko)
KR (1) KR101510171B1 (ko)
CN (1) CN103548360A (ko)
WO (1) WO20121610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2798A (ja) * 2012-04-27 2013-11-14 Panasonic Corp 通信システム
JP7238647B2 (ja) * 2019-07-08 2023-03-14 オムロン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4080A (ja) 1999-04-09 2000-12-19 Komatsu Ltd 電子装置間の通信制御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設機械、建設機械の電子回路
JP2001035834A (ja) 1999-07-16 2001-02-09 Canon Inc 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WO2009096421A1 (ja) 2008-01-28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通信システム
KR20090128468A (ko) * 2007-03-23 2009-12-15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7623A1 (fr) * 1995-08-02 1997-02-07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e de telecommunication au travers de lignes d'alimentation d'energie
JPH10210059A (ja) * 1997-01-24 1998-08-07 Fujitsu Ltd ポーリング通信システム
US6246716B1 (en) * 1997-01-31 2001-06-12 Adtran, Inc.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JP2001358734A (ja) * 2000-06-09 2001-12-26 Toyo Commun Equip Co Ltd データ伝送装置
JP2003078456A (ja) * 2001-08-30 2003-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7151755B2 (en) * 2002-08-23 2006-12-19 Navini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multi-cell interference redu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141884B2 (ja) * 2003-04-17 2008-08-27 株式会社リコー 信号伝送装置
JP5342305B2 (ja) * 2009-03-31 2013-11-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火災警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4080A (ja) 1999-04-09 2000-12-19 Komatsu Ltd 電子装置間の通信制御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設機械、建設機械の電子回路
JP2001035834A (ja) 1999-07-16 2001-02-09 Canon Inc 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KR20090128468A (ko) * 2007-03-23 2009-12-15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WO2009096421A1 (ja) 2008-01-28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53186B2 (ja) 2016-02-09
CN103548360A (zh) 2014-01-29
KR20130111620A (ko) 2013-10-10
WO2012161066A1 (ja) 2012-11-29
JP2012244469A (ja)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556B1 (ko)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JP4996699B2 (ja) 通信システム
JP4816664B2 (ja) 中継装置
JP5469582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伝送ユニット
KR20140041916A (ko) 통신 시스템 및 이에 사용하는 전송 유닛
KR101510171B1 (ko) 통신 시스템 및 중첩 모듈
KR101463490B1 (ko) 통신 시스템 및 이에 사용하는 전송 유닛
KR101410409B1 (ko) 통신 시스템 및 중첩 통신 단말기
JP5469581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伝送ユニット
WO2014076941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JP5544002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重畳通信端末
WO2013161301A1 (ja) 通信システム
WO2014199616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JP5906420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伝送ユニット
WO2013161302A1 (ja) 通信システム
JP2014099678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