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555B1 -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 - Google Patents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555B1
KR101507555B1 KR20140025379A KR20140025379A KR101507555B1 KR 101507555 B1 KR101507555 B1 KR 101507555B1 KR 20140025379 A KR20140025379 A KR 20140025379A KR 20140025379 A KR20140025379 A KR 20140025379A KR 101507555 B1 KR101507555 B1 KR 101507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tal
fabric
section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삼
이순철
전병준
김민재
Original Assignee
이순철
전병준
김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철, 전병준, 김민재 filed Critical 이순철
Priority to KR20140025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06H3/02Inspecting textile materials visual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06H3/14Detecting and removing metal particles, e.g. broken needles, or card clothing, from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텐타공정을 마친 원단의 육안 검사를 실시하여 원단의 불량 발생을 검출함에 있어, 원단에 잔류된 금속재 바늘이나 핀, 또는 브러쉬 등의 금속 이물질의 잔류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금속 이물질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금속 이물질에 의해 예상되는 원단의 손상이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Textile inspection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detecting metal}
본 발명은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텐타공정을 마친 원단의 육안 검사를 실시하여 원단의 불량 발생을 검출함에 있어, 원단에 잔류된 금속재 바늘이나 핀, 또는 브러쉬 등의 금속 이물질의 잔류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금속 이물질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금속 이물질에 의해 예상되는 원단의 손상이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생지의 염색을 마친 원단이나 원단의 표면에 고온의 열풍을 토출시켜 규격된 폭과 길이의 원단을 획득하는 텐타공정이 실시된다.
상기 텐타공정을 구현하는 텐터장치는,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상부면에 텐터핀들이 형성된 케리어; 상기 각 케리어의 상부에 배치되어, 브러쉬 핀을 통해 원단의 양 가장자리를 가압시켜 케리어의 텐터핀에 원단의 양 가장자리를 고정시키는 가압 브러쉬; 상기 케리어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원단의 표면에 고온의 열풍을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열풍챔퍼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텐터장치를 통해 텐터공정을 실시하면, 원단의 양 가장자리에는 간헐적으로 브러쉬 핀이나 턴테핀 등의 금속 이물질이 잔류할 수 있고, 상기 금속 이물질이 잔류된 원단을 후 가공하거나 상품화 하면, 상기 금속 이물질에 의해 가공장치의 손상이 발생되기도 하고, 또 작업자나 소비자의 안전사고가 예상될 수도 있다.
(특허문헌 1) KR20-0230462 B
(특허문헌 2) KR10-2013-0133606 A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텐타공정을 마친 원단의 육안 검사를 실시하여 원단의 결함 발생여부를 검사함에 있어, 원단에 잔류된 금속재 바늘이나 핀, 또는 브러쉬 등의 금속 이물질의 잔류 여부를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금속 이물질에 의해 후공정 및 실사용 과정에서 예상되는 안전사고나 원단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는,
권취된 원단을 전개시켜 도입하는 도입부; 상기 도입부에 의해 검사대의 전개하여 도입되는 원단의 결함여부를 육안 검사하는 검단부와; 상기 검단부의 검사대를 통과하면서 검사를 마친 원단을 권취하는 권취부; 및 이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검단기에 있어서,
상기 검단부에는 금속 이물질을 검출하는 금속 검출부가 배치되어, 금속 검출부를 통해 검단부의 검단대를 통과하는 원단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의 잔류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검출부는 검단대를 통과하는 원단을 설정폭 구간별로 검사하는 복수의 구간 검출유닛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각 구간 검출유닛을 통해 설정 검사구간별로 검단대를 통과하는 원단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단대에는 금속 검출부의 구간 검출유닛에 의해 금속 이물질이 검출된 설정폭 구간에 빛을 투과시켜, 해당 설정폭 구간을 표식하는 점등 표식유닛들을 포함하는 검출 구간 표식부가 부가되어,
작업자는, 상기 검출 표식부의 점등 표식유닛을 통해 금속 검출부에 의해 금속 이물질의 검출된 설정폭 구간을 신속히 인지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도입부와 검단부 사이에는 자력을 통해 원단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을 제거하는 금속 이물질 포집부가 형성되어, 상기 금속 이물질 포집부에 의해 원단에 포함된 금속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금속 이물질 포집부는 흡입공들이 형성된 흡착관과; 상기 흡착관의 중공부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하나 이상의 포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포집유닛은, 도입부에서 검단부로 전개하여 이동하는 원단에 진공 흡착력과 자력을 제공하여, 원단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을 흡착관 내로 포집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포집된 금속 이물질에 의한 원단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검사대에 전개된 상태로 도입되는 원단의 육안 검사를 도모하는 검단부에, 금속 이물질을 검출하는 금속 검출부를 배치하여, 원단의 육안 검사와 함께 금속 이물질의 잔류 여부를 안정되게 검사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금속 이물질에 의해 후공정 및 실사용 과정에서 예상되는 안전사고나 원단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될 수 있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구간 검출유닛을 통해 원단의 각 구간별로 금속 이물질을 검출하고, 또 상기 검출된 해당 구간을 표식하는 점등 표식유닛들을 포함하는 검출 구간 표식부가 부가되어, 작업자는 금속 이물질이 검출된 원단의 구간을 신속히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입부와 검단부 사이에 배치된 금속 이물질 포집부에 의해 원단에 포함된 금속 이물질의 사전 제거가 가능하며, 상기 금속 이물질 포집부는 포집된 금속 이물질이 원단에 마찰되거나 간섭되지 아니하므로 포집된 금속 이물질에 의한 원단의 손상이 예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에 있어, 금속 이물질 제거부의 세부 구성 및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에 있어, 검단대에 배치되는 금속 검출부와 검출 구간 표식부, 및 구간 확대부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에 있어, 금속 검출부와 검출 구간 표식부, 및 구간 확대부를 통한 금속 검출 및 제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에 있어, 금속 이물질 제거부의 세부 구성 및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에 있어, 금속 검출부와 검출 구간 표식부, 및 구간 확대부를 통한 금속 검출 및 제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권취된 원단(T)을 전개시켜 도입하는 도입부(10)와; 상기 도입부(10)에 의해 검단대(21)에 전개하여 도입되는 원단(T)에 빛을 조사하여 원단(T)의 결함여부를 육안 검사하도록 구성된 검단부(20)와; 상기 검단부(20)의 검단대(21)를 통과하면서 검사를 마친 원단(T)을 권취하는 권취부(30); 및 이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본체(40)에 배치된 형태이다.
상기 도입부(10)는 도입롤러(11)에 안착된 롤 권취된 원단을 전개시키는 이송 롤러(12)를 포함하여, 이송롤러(12)를 통해 도입롤러(11)에 적재된 원단을 전개시켜 검단부(20)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권취부(30)는 권취롤러(31)들을 통해 검단부(20)를 통과한 원단을 롤 형태로 재 권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검단대(21)는 도입부(10)에서 전개하여 공급되는 원단이 이동하는 빛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램프유닛(22)이 배치되어, 상기 전개된 원단(T)에 빛을 조사하는 램프유닛(22)은 저전력을 소모하면서도 긴 수명을 갖는 LED 램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도입부(10)에 의해 검단대(21)로 전개하여 도입되는 원단(T)은 램프유닛(22)들에 의해 빛이 조사되고, 작업자는 상기 빛이 조사되는 원단(T)을 육안 검사하여 원단의 결함여부를 검사하게 되며, 이는 통상의 것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검단기(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도입부(10)와 검단부(20) 사이에는 자력을 통해 원단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M)을 제거하는 금속 이물질 포집부(50)를 배치하여, 검단부(20)에 통과하기 이전에 금속 이물질 포집부(50)에 의해 원단(T)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M)이 제거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고 있는 금속 이물질 포집부(50)는, 흡입공(51a-a)들이 형성된 흡착관(51a)과; 상기 흡착관(51a)의 중공부(51a-b)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자석(51b)을 포함하여 구성된 하나 이상의 자력 흡착유닛(51)을 포함하며, 상기 흡착관(51a)은 통상 진공 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진공 흡입력을 지속적으로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2를 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자력 흡착유닛(51)을 지그재그 형태로 교번되게 배치하여, 상기 도입부(10)에서 검단부(20)로 이송되는 원단(T)은 자력 흡착유닛(51)을 통해 표면과 이면이 순차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통과하여 표면과 이면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M)의 안정적인 제거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흡착관(51a)에는 길이가 긴 장공형의 흡입공(51a-a)들을 형성하여, 원단(T)에서 분리된 금속 이물질(M)이 진공 흡착력과 자석(51b)에서 발산되는 자력에 의해 장공형으로 이루어진 흡입공(51a-a)들을 통해 흡착관(51a)의 중공부(51a-b) 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도입부(10)에서 검단부(20)로 전개하여 이동하는 원단(T)은, 자력 흡착유닛(51)의 흡착관(51a)에 진공 흡착된 다음, 자석(51b)에 의해 발산되는 자력과 진공펌프(미도시)에서 제공되는 진공 흡착력에 의해 잔류된 금속 이물질(M)은 흡착관 내로 흡입된 다음, 흡착관(51a)의 중공부(51a-b)에 삽입된 자석(51b)에 포집된다.
이때, 상기 진공 흡착력과 자력에 의해 흡착관(51a) 내로 포집된 금속 이물질(M)은, 원단(T)의 표면이나 이면에 직접 마찰되는 흡착관(51a)의 표면에 노출되지 아니하고 흡착관(51a)의 중공부(51a-b) 내에 수용된 자석(51b)에 포집되는 관계로, 포집된 금속 이물질(M)에 의한 원단(T)의 물리적인 손상이 예방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51b)은 흡착관(51a)에 삽입 및 배출되는 카트리지형으로 구성되어, 흡착관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금속 이물질을 자력을 포집한 자석은 흡착관에서 배출되어서 금속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검단기(1)는 도입부(10)에서 검단부(20)로 이동되기 이전에 원단(T)에 포함된 금속 이물질을, 진공 흡착력과 자력을 통해 1차적으로 제거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검단기(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원단(T)의 육안검사가 이루어지는 검단부(20)에 금속 이물질을 검출하는 금속 검출부(60)를 배치하여, 금속 검출부(60)를 통해 검단부(20)의 검단대(21)를 통과하는 원단(T)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M)을 검출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원단(T)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M)을 검출하는 금속 검출부(60)는 전자기장을 투과시켜 금속 이물질에 의한 전자기장의 패턴 변화를 통해 금속 이물질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공지의 수단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1과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이러한 금속 검출부(60)를 원단(T)의 육안 검사가 이루어지는 검단부(20)에 배치하여, 원단(T)의 육안 검사과정에 원단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M)을 검출하고, 작업자가 원단(T)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M)을 안정되게 제거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검출부(60)를 검단대(21)를 통과하는 원단(T)의 전폭(L)을 검사하지 아니하고, 전폭(L)을 분할한 설정폭 구간별(A, B, C, D)로 검사하는 복수의 구간 검출유닛(61a, 61b, 61c, 61d)들을 병렬로 배치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각 구간 검출유닛(61a, 61b, 61c, 61d)들은 설정폭 구간별(A, B, C, D)로 원단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을 검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검단대(21)에는 금속 검출부(60)의 각 구간 검출유닛(61a, 61b, 61c, 61d)에 의해 금속 이물질(M)이 검출되는 설정폭 구간(A, B, C, D) 별로 빛을 투과시켜, 구간 검출유닛(61a, 61b, 61c, 61d)에 의해 금속 이물질(M)이 검출된 해당 설정폭 구간(A, B, C, D)을 표시하는 점등 표식유닛(71a. 71b, 71c, 71d)들을 포함하는 검출구간 표식부(70)를 부가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상기 금속 검출부(60)를 구성하는 구간 검출유닛(61a, 61b, 61c, 61d) 중 어느 하나의 구간 검출유닛(61c)에 의해 금속 이물질(M)이 검출되면, 검출구간 표식부(70)의 점등 표식유닛은 도 4와 같이 상기 구간 검출유닛에 의해 금속 이물질이 검출된 원단의 설정폭 구간에 빛을 조사하여 금속 이물질이 검출된 원단의 설정폭 구간을 표시하게 된다.
예컨대, 원단의 전폭 'L' 중 설정폭 구간 'C'에 금속 이물질(M)이 잔류하면, 설정폭 구간 'C'에 위치된 구간 검출유닛(61c)은 금속 이물질(M)을 검출하고, 이후 설정폭 구간 'C'의 하부에 형성된 점등 표식유닛(71c)은 점등하여서, 금속 이물질(M)이 잔류된 설정폭 'C'를 표식하게 된다.
그리하여, 작업자는 해당 점등 표식유닛(71c)을 통해 표식된 설정폭 구간 'C'를 신속히 인지 및 면밀히 관찰하여서, 해당 설정폭 구간 'C'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M)을 신속하고 안정되게 제거한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출 구간 표식부(70)가 마련된 검단대(21)의 상부에, 상기 금속 검출부(60)에 의해 금속 이물질(M)이 검출된 원단(T)의 상부에 확대경(84)을 위치시키는 구간 확대부(80)를 부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간 확대부(80)는, 도 3과 내지 도 5와 같이 나선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전동모터로(82)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정역 회전하는 가이드축(81)과; 상기 가이드축(81)에 설치되어 가이드축(81)의 정역 회전에 의해 좌우 폭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가이드(83); 및 상기 가이드(83)에 고정되어 가이드축(81)의 정역 회전에 의해 폭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확대경(84)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원단의 설정폭 구간 'C'에 금속 이물질이 검출되면, 도 4와 같이 구간 확대부(80)는 가이드축(81)을 정역으로 회전시켜 일편에 위치된 확대경(84)을 설정폭 구간'C'의 상부로 위치시키고, 작업자는 원단의 설정폭 구간 'C' 상부에 위치된 확대경(84)을 통해 설정폭 구간 'C'을 확대하여 육안 관찰하면서, 설정폭 구간 'C'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M)을 안정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검단기(1)는 금속 이물질 포집부(50)에 의해 원단의 손상없이 1차적으로 원단(T)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M)의 제거가 가능하고, 2차적으로 금속 검출부(60)를 통해 원단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M)의 검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금속 검출부(60)를 구성하는 구간 검출유닛(61a, 61b, 61c, 61d) 중 어느 하나의 구간 검출유닛(61a, 61b, 61c, 61d)에 의해 원단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M)이 검출되면, 도 4와 같이 점등 표식유닛(61a, 61b, 61c, 61d)을 통해 금속 이물질(M)이 잔류된 설정폭 구간을 표식하는 한편, 구간 확대부(80)는 금속 이물질(M)이 잔류된 설정폭 구간'C'으로 이동하여 해당 부위를 확대시켜서, 작업자가 보다 손쉽게 신속하게 원단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M)을 확인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금속 검출부(60)과 검출 구간 표식부(70) 및 구간 확대부(80)의 유기적인 조합 및 작용에 의해, 금속 이물질(M)의 안정적인 검출을 도모하고, 원단(T)의 전폭(L)이 아닌 설정폭 구간(A, B, C, D)을 면밀하게 관찰하여 해당 금속 이물질(M)을 안정되게 제거할 수 있다.
1.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
10. 도입부 11. 적재대
12. 이송롤러
20. 검단부 21. 검단대
22. 램프유닛
30. 권취부 31. 권취롤러
40. 본체
50. 금속 이물질 포집부 51. 자력 흡착유닛
51a. 흡착관 51a-a. 흡입공
51a-b. 중공부 51b. 자석
60. 금속 검출부 61a, 61b, 61c, 61d. 구간 검출유닛
70. 검출 구간 표식부 71a, 71b, 71c, 71d. 점등 표식유닛
80. 구간 확대부 81. 가이드축
81a. 가이드홈 82. 전동모터
83. 가이드 84. 확대경

Claims (5)

  1. 권취된 원단을 전개시켜 도입하는 도입부; 상기 도입부에 의해 검단대의 전개하여 도입되는 원단의 결함여부를 육안 검사하는 검단부와; 상기 검단부의 검단대를 통과하면서 검사를 마친 원단을 권취하는 권취부; 및 이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검단기에 있어서,
    상기 검단부에는 금속 이물질을 검출하는 금속 검출부가 배치되어, 금속 검출부를 통해 검단부의 검단대를 통과하는 원단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의 잔류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검단대에는 금속 검출부의 구간 검출유닛에 의해 금속 이물질이 검출된 설정폭 구간에 빛을 투과시켜, 해당 설정폭 구간을 표식하는 점등 표식유닛들을 포함하는 검출 구간 표식부가 부가되어,
    작업자는, 상기 검출 표식부의 점등 표식유닛을 통해 금속 검출부에 의해 금속 이물질의 검출된 설정폭 구간을 신속히 인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검출부는 검단대를 통과하는 원단을 설정폭 구간별로 검사하는 복수의 구간 검출유닛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각 구간 검출유닛을 통해 설정 검사구간별로 검단대를 통과하는 원단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와 검단부 사이에는 자력을 통해 원단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을 제거하는 금속 이물질 포집부가 형성되어,
    상기 금속 이물질 포집부에 의해 원단에 포함된 금속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구성한 것을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이물질 포집부는 흡입공들이 형성된 흡착관과; 상기 흡착관의 중공부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하나 이상의 포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포집유닛은, 도입부에서 검단부로 전개하여 이동하는 원단에 진공 흡착력과 자력을 제공하여, 원단에 잔류된 금속 이물질을 흡착관 내로 포집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포집된 금속 이물질에 의한 원단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
KR20140025379A 2014-03-04 2014-03-04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 KR101507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5379A KR101507555B1 (ko) 2014-03-04 2014-03-04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5379A KR101507555B1 (ko) 2014-03-04 2014-03-04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555B1 true KR101507555B1 (ko) 2015-04-07

Family

ID=53032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5379A KR101507555B1 (ko) 2014-03-04 2014-03-04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5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6539A (zh) * 2018-04-24 2018-08-14 西安工程大学 一种弹性织带的金属残留物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9082872A (zh) * 2018-09-05 2018-12-25 佛山市特丝纳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纺织用金属检测装置
KR102033404B1 (ko) * 2018-07-24 2019-10-17 삼성물산 주식회사 의류용 직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102230140B1 (ko) * 2020-05-29 2021-03-18 서수원 방진망 검사기
CN116180420A (zh) * 2023-04-13 2023-05-30 安徽省雯智新材料科技有限责任公司 土工布加工用断针清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462Y1 (ko) 2001-01-31 2001-07-03 이태현 검단기
KR200230449Y1 (ko) 2001-01-15 2001-07-03 임운택 직물 검단기
JP3265021B2 (ja) * 1992-09-30 2002-03-11 株式会社バルダン 検反機
KR20130133606A (ko) * 2012-05-29 2013-12-09 조용문 원단 검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5021B2 (ja) * 1992-09-30 2002-03-11 株式会社バルダン 検反機
KR200230449Y1 (ko) 2001-01-15 2001-07-03 임운택 직물 검단기
KR200230462Y1 (ko) 2001-01-31 2001-07-03 이태현 검단기
KR20130133606A (ko) * 2012-05-29 2013-12-09 조용문 원단 검단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6539A (zh) * 2018-04-24 2018-08-14 西安工程大学 一种弹性织带的金属残留物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2033404B1 (ko) * 2018-07-24 2019-10-17 삼성물산 주식회사 의류용 직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CN109082872A (zh) * 2018-09-05 2018-12-25 佛山市特丝纳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纺织用金属检测装置
CN109082872B (zh) * 2018-09-05 2020-06-12 湘潭市社会福利厂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用金属检测装置
KR102230140B1 (ko) * 2020-05-29 2021-03-18 서수원 방진망 검사기
CN116180420A (zh) * 2023-04-13 2023-05-30 安徽省雯智新材料科技有限责任公司 土工布加工用断针清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555B1 (ko) 금속 검출기능을 갖는 검단기
JP6815140B2 (ja) 磁粉探傷装置、及び磁粉探傷方法
ES2633294T3 (es) Inspección automática de palés
JP4618502B2 (ja) 蛍光探傷装置および蛍光探傷方法
KR20140066551A (ko) 릴-투-릴 검사장치 및 릴-투-릴 검사방법
JP2013108058A5 (ko)
CN106226319A (zh) 一种布匹漏洞检测设备
KR20200130960A (ko)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KR102378926B1 (ko) 크랙 검사기를 포함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랙 검사 방법
KR20060104589A (ko) 원단 검사 로링기의 길이 측정장치
CN213571247U (zh) 一种布料检验装置
JP2007017376A (ja) 蛍光探傷装置および蛍光探傷方法
KR20160069113A (ko) 방사선 검사장치
CN104391427B (zh) 掩模板检测装置及方法、掩模板清洗装置
KR101741224B1 (ko) 타이어 보강벨트의 텍스타일 코드 개수 검사장치
JP2004279045A (ja) 磁性管の磁粉探傷装置及び磁性管の製造方法
CN109969832A (zh) 布匹卷料输送机、验布装置及布匹检验方法
KR20170091266A (ko) 라벨 검사 장치
KR100923551B1 (ko) 코일 선단부용 결함 검사장치
KR101246229B1 (ko) 스트립 위치 감지장치
KR100863680B1 (ko) 다방향 엑스레이 ct 타이어 검사기
JP6040082B2 (ja) 孔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CN210418243U (zh) 一种轮类零件承载装置
CN216211075U (zh) 一种标签检测设备
KR100341057B1 (ko) 코일원주면자동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