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113A - 방사선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113A
KR20160069113A KR1020140174599A KR20140174599A KR20160069113A KR 20160069113 A KR20160069113 A KR 20160069113A KR 1020140174599 A KR1020140174599 A KR 1020140174599A KR 20140174599 A KR20140174599 A KR 20140174599A KR 20160069113 A KR20160069113 A KR 20160069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source
radiation
cable
spr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만
지창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9113A/ko
Publication of KR20160069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5/00Irradiat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45/00Computer graphics processing and selective visual display systems
    • Y10S345/904Display with fail/safe testing fe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장치가 파손됐을 때 자동으로 방사선원이 회수되는 방사선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시험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 상기 방사선원을 상기 시험체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방사선원을 수용하여 내부에서는 상기 방사선원이 조사하는 방사선을 차단하는 하우징부, 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방사선원과 연결된 케이블에 제1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여, 상기 방사선원을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방사선원을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회수하도록,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케이블에 힘을 인가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방사선 검사장치{Radiation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방사선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장치가 파손됐을 때 자동으로 방사선원이 회수되는 방사선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방사선 조사기는 배관이나 철제 구조물의 용접부에 존재하는 결함 등을 방사선 투과를 통해 검사하는 비파괴검사 장치이다.
작업자가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선원에 연결된 롤러를 회전시켜 방사선원을 검사지점까지 이동시켜 감마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작업자는 방사선원과 이격되어 작업을 수행하지만, 피폭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기를 이동시키는 것에 대한 연구가 되었다. 하지만 무선 리모콘 또는 방사선원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가 파손되었을 경우, 작업자가 직접 방사선원을 회수해야한다. 이 때 작업자는 피폭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국등록특허 10-0488212 (공개일: 2003.07.02)
본 발명은 모터가 파손에 의해 작동되지 않을 경우, 태엽 스프링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자동으로 방사선원이 회수되는 방사선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은 전동식으로 방사선원을 구동시켜 작업자의 피폭을 방지하는 방사선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시험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 상기 방사선원을 상기 시험체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방사선원을 수용하여 내부에서는 상기 방사선원이 조사하는 방사선을 차단하는 하우징부, 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방사선원과 연결된 케이블에 제1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여, 상기 방사선원을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방사선원을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회수하도록,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케이블에 힘을 인가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장치가 개시된다.
외주면 둘레에 상기 케이블이 감겨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방사선원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수부는, 상기 회전축에 지속적으로 힘을 인가하여, 상기 방사선원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태엽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선원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태엽 스프링이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감길 수 있다.
상기 일측방향으로 감겨진 상기 태엽 스프링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일측방향의 반대방향인 타측방향으로 풀릴 경우,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있던 상기 방사선원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장치는 모터가 파손되어 구동되지 않을 경우, 태엽 스프링의 탄성에너지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방사선원을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장치는 전동식으로 방사선원을 이동시켜 작업자가 피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방사선원이 하우징부의 외부로 이동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장치의 구동을 나타낸다.
도 3은 방사선원이 하우징부의 외부로 이동할 경우, 회수부의 구동을 나타낸다.
도 4는 방사선원이 하우징부의 내부로 이동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장치의 구동을 나타낸다.
도 5는 방사선원이 하우징부의 내부로 이동할 경우, 회수부의 구동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장치를 나타내고, 도 2는 방사선원(100)이 하우징부(200)의 외부로 이동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장치의 구동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장치는 방사선원(100), 하우징부(200), 케이블(cable)(500), 롤러(roller)(800), 회전축(900), 구동부(400) 및 회수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원(100)은 방사성동위원소를 내장하여 시험체(10)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구성요소로서, 시험체(10) 내부 결함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시험체(10)에 방사선이 조사되면 시험체(10)를 투과한 방사선의 강도변화가 투과사진에 나타날 수 있으며, 작업자는 강도변화에 의해 발생한 투과사진 상의 불연속을 관찰하여 시험체(10) 내부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방사선의 투과력은 시험체(10)의 결함이 있는 부위와 결함이 없는 부위에서 서로 다르며, 투과된 방사선을 형광판에 영상시키거나 또는 필름에 감광시켜 촬영함으로써 결함의 크기와 분포 등을 알 수 있다.
이 때 방사선원(100)에 내장되는 방사성동위원소는 이리듐 192(Iridium 192) 또는 코발트 60(Cobalt 60)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장치에 사용되는 방사성동위원소를 특정한 방사선동위원소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방사선원(100)이 조사하는 방사선은 감마선일 수 있으나, 이것 역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부(200)는 내부에 방사선원(100)을 수용하여 방사선원(100)이 조사하는 방사선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부(200)는 가이드부(220)와 수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40)는 방사선 검사가 수행되지 않을 경우, 방사선원(100)을 수용하는 구성요소로서, 방사선원(100)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방사선을 차단할 수 있다.
가이드부(220)는 수용부(240)의 일면에 장착되어 방사선원(100)을 시험체(10)로 안내하는 구성요로소로서, 방사선원(100)이 이동하는 장홈(미도시)이 형성된 배관의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방사선 검사가 수행될 경우, 방사선원(100)은 가이드부(220)를 따라 시험체(10)를 향해 이동할 수 있으며, 방사선원(100)이 가이드부(220)를 이동하는 동안 방사선원(100)이 조사하는 방사선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방사선을 차단할 수 있다.
작업자는 방사선원(100)이 조사하는 방사선에 노출될 경우 피폭되어 건강상에 치명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방사선원(100) 검사가 수행되지 않을 때와 방사선원(100)이 이동할 때, 수용부(240) 와 가이드부(220)가 각각 방사선을 차단하여 방사선원(100)이 하우징부(200) 내부에 있을 때 작업자가 피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블(500)은 일단에 방사선원(100)이 장착되어 구동부(400) 및 회수부(300)에서 인가되는 장력을 방사선원(100)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구동부(400) 및 회수부(300)에 대한 설명은 추후에 자세히 하도록 한다. 케이블(500)의 일단에는 방사선원(100)이 장착되고, 케이블(500)의 타단은 롤러(800)와 연결될 수 있다.
롤러(800)는 회전가능하여 케이블(5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요소로서, 케이블(500)은 롤러(800)의 외주면 둘레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이 때 롤러(800)의 외주면 둘레에는 케이블(500)이 삽입되어 감기는 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케이블(500)이 감기거나 풀려서 케이블(500)에 장착된 방사선원(100)이 이동할 수 있다.
회전축(900)은 롤러(800)가 설치되고 구동부(400)가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회전축(900)을 중심으로 롤러(800)가 회전하여 케이블(500)이 풀릴 수 있다.
케이블(500)이 풀리면 케이블(500)에 장착된 방사선원(100)이 제1 방향(D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회전축(900)의 일단의 일부는 돌출된 형상을 지니며, 회전축(900)의 일단은 구동부(400)에 형성된 삽입홈(42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00)는 방사선원(100)과 연결된 케이블(500)에 제1 방향(D1)으로 힘을 인가하여 방사선원(100)을 하우징부(200)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400)는 모터(440)(motor) 및 세로부재(46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440)는 도 1에 도시된 전력공급부(600)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발생된 회전력을 롤러(800)에 인가하여 롤러(8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세로부재(460)는 모터(440)의 일면에 장착되며, 회전축(9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홈(420)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홈(420)의 일부는 나머지보다 더 깊은 홈을 형성하며, 상기 더 깊은 홈은 회전축(900) 일단의 더 돌출된 부위와 결합될 수 있다.
모터(440)의 구동에 의해 세로부재(460)가 일방향(D5)으로 회전하면, 세로부재(460)와 결합된 회전축(900) 역시 일방향(D5)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회전축(900)에 설치된 롤러(800) 역시 상기 일방향(D5)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감겨진 케이블(500)이 풀리면서 케이블(500)에 장착된 방사선원(100)은 제1 방향(D1)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방사선원(100)이 하우징부(200)의 외부로 이동할 경우, 회수부(300)의 구동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500)에 장착된 방사선원(100)이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면, 회수부(300)의 태엽 스프링(340)은 일측방향(D3)으로 회전하여 감길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추후에 자세히 하도록 한다.
도 4는 방사선원(100)이 하우징부(200)의 내부로 이동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장치의 구동을 나타내고, 도 5는 방사선원(100)이 하우징부(200)의 내부로 이동할 경우, 회수부(300)의 구동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부(300)는 하우징부(200)의 외부에 위치한 방사선원(100)을 하우징부(200)의 내부로 회수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케이블(500)에 지속적으로 힘을 인가할 수 있다.
회수부(300)는 휠부(320) 및 태엽 스프링(340)을 포함할 수 있다.
휠부(320)는 회전축(900)에 설치되며, 외주면 둘레에 톱니를 형성할 수 있다.
태엽 스프링(340)은 외주면 둘레에 톱니를 형성하며, 태엽 스프링(340)의 톱니는 휠부(320)의 톱니와 치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휠부(320)가 회전할 경우 휠부(320)와 치합연결된 태엽 스프링(340)은 회전하며, 또한 태엽 스프링(340)이 회전할 경우 휠부(320)가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태엽 스프링(340)과 휠부(320)는 서로 치합되어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엽 스프링(3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휠부(3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태엽 스프링(3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휠부(3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엽 스프링(340)은 스프링(spring)(360), 회전부재(350) 및 고정부재(3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360)은 탄성력을 지닌 띠 형상의 금속판으로서, 감겨져 있을 경우 풀리려고 하는 탄성에너지를 케이블(500)에 지속적으로 힘을 인가할 수 있다.
구동부(400)가 고장에 의해 작동되지 않을 경우, 스프링(360)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케이블(500)에 장착된 방사선원(100)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여 하우징부(200)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회전부재(350)는 태엽 스프링(34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회전부재(350)의 외측 둘레에는 휠부(320)의 톱니와 치합되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부재(370)는 태엽 스프링(340)의 중앙에 배치되어 스프링(360)의 일단과 연결되며,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스프링(360)의 일단은 고정부재(370)에 연결되고, 스프링의(360)의 타단은 회전부재(350)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400)가 파손되어 구동되지 않으면, 감겨진 스프링(360)이 풀리면서 회전부재(350)는 타측방향(D4)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회전부재(350)와 치합된 휠부(320)는 일방향의 반대방향(D6)으로 회전할 수 있다.
휠부(320)가 일방향의 반대방향(D6)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900) 및 롤러(800) 역시 일방향의 반대방향(D6)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롤러(800)에 연결된 케이블(500)이 롤러(800)에 감길 수 있다.
이 때 롤러(800)에 장착된 방사선원(100)은 제2 방향(D2)으로 이동되며, 방사선원(100)은 하우징부(200)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원(100)이 제1 방향(D1)으로 이동할 경우, 회전부재(350)는 일측방향(D3)으로 회전하고, 고정부재(37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스프링(360)은 일측방향(D3)으로 감겨 탄성에너지를 축척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00)의 구동이 정지될 경우, 스프링(360)이 탄성에너지에 의해 일측방향(D3)의 반대방향인 타측방향(D4)으로 풀려 회전부재(350)를 타측방향(D4)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부재(350)가 타측방향(D4)으로 회전함에 따라 케이블(500)에 장착된 방사선원(100)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제부터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하우징부(200)의 수용부(240) 내부에 위치한 방사선원(100)이 하우징부(200)의 외부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검사가 수행되지 않을 경우, 방사선원(100)은 하우징부(200)의 수용부(240) 내부에 위치하며, 수용부(240)는 방사선원(100)이 조사하는 방사선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사선 검사가 수행될 경우, 전력공급부(600)는 모터(440)에 전력을 공급하여 모터(440)를 구동시키며, 모터(440)의 회전력을 인가받은 세로부재(460)는 일방향(D5)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세로부재(460)가 회전함에 따라 세로부재(460)에 형성된 삽입홈(420)에 삽입되는 회전축(900)이 일방향(D5)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축(900)에 설치된 롤러(800) 역시 일방향(D5)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롤러(800)에 감겨진 케이블(500)은, 롤러(800)가 일방향(D5)으로 회전함에 따라 풀릴 수 있고, 케이블(500)의 일단에 장착된 방사선원(100)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사선원(100)은 가이드부(220)를 따라 이동하고 하우징부(200)의 외부로 배치되어 시험체(10)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방사선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원(100)이 제1 방향(D1)으로 이동할 경우, 회전축(900)이 일방향(D5)으로 회전하며 회전축(900)에 설치된 휠부(320) 역시 일방향(D5)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휠부(320)가 일방향(D5)으로 회전함에 따라 휠부(320)와 치합된 태엽 스프링(340)은 일측방향(D3)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태엽 스프링(340)의 스프링(360)은 감겨져서 탄성에너지를 지닐 수 있다.
모터(440)가 케이블(500)에 제1 방향(D1)으로 작용하는 힘이, 태엽 스프링(340)이 롤러(800)에 작용하는 힘보다 클 경우 케이블(500)에 장착된 방사선원(100)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모터(440)가 케이블(500)에 작용하는 힘이, 태엽 스프링(340)이 롤러(800)에 작용하는 힘보다 작을 경우 방사선원(100)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제부터 도 1,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방사선 검사가 종료되어, 하우징부(200)의 외부에 위치한 방사선원(100)이 하우징부(200)의 수용부(240) 내부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방사선 검사가 종료되면 전력공급부(600)는 모터(440)를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D6)으로 구동시켜 케이블(500)에 장착된 방사선원(100)을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전력공급부(600)가 모터(44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거하고, 감겨진 스프링(360)이 펼쳐지려는 탄성에너지를 이용하여 방사선원(100)을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장치는 방사선 검사가 종료될 경우, 방사선원(100)을 태엽 스프링(340)의 탄성에너지로 회수하여 작업자의 피폭을 방지할 수 있다.
모터(440)를 일방향의 반대방향(D6)으로 구동시켜 방사선원(100)을 하우징부(200)로 회수하는 방법은,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위치한 방사선원(100)을 하우징부(200)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방법과 방향만 반대일뿐 구동방법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스프링(360)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방사선원(100)이 하우징부(200)로 회수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공급부(600)가 모터(440)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거하면 태엽 스프링(340)의 스프링(360)은 풀리게 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360)과 연결된 회전부재(350)는 상기 일측방향(D3)의 반대방향(D6)인 타측방향(D4)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재(350)가 타측방향(D4)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부재(350)와 치합된 휠부(320)는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D6)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롤러(800) 역시 일방향의 반대방향(D6)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롤러(800)가 일방향의 반대방향(D6)으로 회전하면, 케이블(500)은 롤러(800)의 외주면에 감기게 되며, 케이블(500)에 장착된 방사선원(100)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여 하우징부(200)의 수용부(240)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이 때 롤러(800)와 결합된 회전축(900) 및 세로부재(460) 역시 일방향의 반대방향(D6)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방사선 검사장치는 모터(440) 또는 전력공급부(600)가 고장날 경우, 작업자가 직접 방사선원(100)을 회수해야 하는데, 이 때 작업자는 피폭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장치는 태엽 스프링(340)이 지속적으로 탄성에너지를 작용하기 때문에 모터(440) 또는 전력공급부(600)가 고장나더라도 탄성에너지에 의해 방사선원(100)을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시험체 100: 방사선원
200: 하우징부 220: 가이드부
240: 수용부 300: 회수부
320: 휠부 340: 태엽 스프링
350: 회전부재 360: 스프링
370: 고정부재 400: 구동부
420: 삽입홈 440: 모터
460: 세로부재 500: 케이블
600: 전력공급부 800: 롤러
900: 회전축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3: 일측방향
D4: 타측방향 D5: 일방향
D6: 일방향의 반대방향

Claims (6)

  1. 시험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
    상기 방사선원을 상기 시험체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방사선원을 수용하여 내부에서는 상기 방사선원이 조사하는 방사선을 차단하는 하우징부;
    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방사선원과 연결된 케이블에 제1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여, 상기 방사선원을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방사선원을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회수하도록,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케이블에 힘을 인가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주면 둘레에 상기 케이블이 감겨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방사선원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방사선 검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는,
    상기 회전축에 지속적으로 힘을 인가하여, 상기 방사선원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태엽 스프링을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원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태엽 스프링이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감기는 방사선 검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방향으로 감겨진 상기 태엽 스프링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일측방향의 반대방향인 타측방향으로 풀릴 경우,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있던 상기 방사선원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회수되는 방사선 검사장치.
KR1020140174599A 2014-12-08 2014-12-08 방사선 검사장치 KR20160069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599A KR20160069113A (ko) 2014-12-08 2014-12-08 방사선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599A KR20160069113A (ko) 2014-12-08 2014-12-08 방사선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113A true KR20160069113A (ko) 2016-06-16

Family

ID=5635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599A KR20160069113A (ko) 2014-12-08 2014-12-08 방사선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911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934B1 (ko) * 2017-06-29 2018-03-19 호진산업기연(주) 방사선조사기
KR20190032215A (ko) * 2017-09-19 2019-03-27 눅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방사선 에너지 캘리브레이션 장치, 방사선 에너지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방사선 결상 시스템
KR20190128335A (ko) 2018-05-08 2019-11-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 비파괴 검사장치 및 방법
KR20190136416A (ko) 2018-05-30 2019-12-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 비파괴 검사장치에 적용되는 주행장치
KR102075467B1 (ko) * 2018-11-13 2020-02-10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발생 표적을 갖는 타겟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방사선원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212B1 (ko) 2001-12-26 2005-05-06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방사선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212B1 (ko) 2001-12-26 2005-05-06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방사선 검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934B1 (ko) * 2017-06-29 2018-03-19 호진산업기연(주) 방사선조사기
KR20190032215A (ko) * 2017-09-19 2019-03-27 눅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방사선 에너지 캘리브레이션 장치, 방사선 에너지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방사선 결상 시스템
KR20190128335A (ko) 2018-05-08 2019-11-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 비파괴 검사장치 및 방법
KR20190136416A (ko) 2018-05-30 2019-12-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 비파괴 검사장치에 적용되는 주행장치
KR102075467B1 (ko) * 2018-11-13 2020-02-10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발생 표적을 갖는 타겟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방사선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9113A (ko) 방사선 검사장치
RU2567184C2 (ru) Способ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контро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100997320B1 (ko) 배관 방사선 촬영을 위한 방사성동위원소 센터링장치
KR20200130961A (ko)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KR20160125548A (ko)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KR101286576B1 (ko) 피검체에 직접 부착되며, 회전 개폐에 의한 방사선 조사 장치
KR20200130960A (ko)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KR102511349B1 (ko) 배관 비파괴 검사장치 및 방법
KR101337800B1 (ko) 방사선원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방사선 조사기
CN103387178B (zh) 移动扶手劣化诊断装置以及劣化诊断方法
KR101749276B1 (ko) 탄성 부재가 구비된 비파괴 검사용 콜리메이터 고정 장치
KR101610357B1 (ko) 방사선 비파괴 검사 선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090091971A (ko) 감마선 동위원소를 이용한 트랙형 검사장치
KR101717580B1 (ko) 배관의 차폐 장치 및 방법
KR20220057736A (ko) 오비탈 레일 타입 디지털 방사선 검사 장치
KR101937416B1 (ko)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
KR102457912B1 (ko) 이동식 디지털 방사선 검사 장치
KR20150096184A (ko) 비파괴 검사용 방사선 발생장치
KR200465628Y1 (ko) 멀티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KR200480761Y1 (ko) 콜리메이터용 방사선투과검사 유효영역 지시기
KR20170003240U (ko)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KR101213049B1 (ko) 열교환기 튜브 용접부의 방사선투과검사용 필름 재단장치 및 방법
CN212059987U (zh) 一种降低x射线辐射量的x射线检测设备
KR200180329Y1 (ko) 미끄럼 방지용 탈착식 감마선 콜리메이터
KR200480569Y1 (ko) 방사선투과검사용 방사선원 위치 표시형 콜리메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