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416B1 -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 - Google Patents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416B1
KR101937416B1 KR1020170000772A KR20170000772A KR101937416B1 KR 101937416 B1 KR101937416 B1 KR 101937416B1 KR 1020170000772 A KR1020170000772 A KR 1020170000772A KR 20170000772 A KR20170000772 A KR 20170000772A KR 101937416 B1 KR101937416 B1 KR 101937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oor
radiation
screw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968A (ko
Inventor
원유호
조문형
강기두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4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5/00Irradiation devices
    • G21K5/04Irradiation devices with beam-form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75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alibrating, or quality assurance of the radiation treatment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각기 다른 방사선 세기 및 에너지를 갖는 복수의 선원(동위원소)을 하나의 회전판에 장착하여, 다양한 레인지를 갖는 복수의 방사선 계측기에 대한 교정 또는 시험 작업에 있어서 선원 교체 작업 없이 방사선 계측기에 대한 교정 또는 시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방이 개구된 함체;상기 함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선원장착홈부가 형성된 회전판;상기 회전판의 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회전구동부;상기 함체의 개구된 부위에 설치되며, 함체 내부를 차폐시키되 회전판의 장착홈부에 대응되는 조사공이 형성된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는 함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함체의 타측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구속수단은, 도어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함체의 측면을 향해 회동되며, 결합공이 형성된 결속부재;상기 함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돌출되는 나사봉;상기 나사봉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A beta ray irradi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각기 다른 방사선 세기 및 에너지 크기를 갖는 복수의 베타선원(동위원소)이 하나의 회전판에 장착되어 방사선 계측기 교정 또는 시험 작업의 편의성을 높인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나 의료기관의 방사선 진료 및 치료부문, 그리고 산업체의 비파괴검사 분야 등에서는 방사성 동위원소 및 방사선 발생장치를 이용한 업무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분야의 종사자들에 대해서는 작업환경의 여건상 상시적으로 방사선 피폭여부나 피폭정도를 감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용후 핵연료 취급시설과 같은 고방사선 시설의 경우 알파선과 베타선 오염이 동시에 존재하며, 해체 또는 폐기물 처리 시 법적으로 알파와 베타선 모두에 대한 오염도 측정 결과를 요구함에 따라 고방사능 시설 내에 알파 및 베타선을 측정할 수 있는 방사선 계측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원자력발전소나 원자력 관계시설에서 방사선 작업 중 발생하는 방사선 변화 정도를 알기 위하여, 시설 내에는 방사선량률 측정기가 마련된다.
또한, 작업자 개인에게는 휴대용 전자식 개인 선량계(도시메타:Dosimeter)가 제공되며, 작업자들은 개인 선량계 확인을 통해 주위에 방사성 물질 여부를 판독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방사선 계측기들(방사선량률 측정기, 개인 선량계 등)은 성능에 대한 정확도와 신뢰도가 보장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방사선 계측기는 철저한 교정과 검수를 거친 것 만이 필증을 부착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방사선 계측기가 정확한 측정 수치를 나타내는지 시험, 검수, 교정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조사장치에서 방사선을 방사선 계측기에 조사하며, 방사성 동위원소의 종류와 방사선량, 조사 거리 등에 대한 측정값을 통해 기준값과 비교하여 테스트하게 된다.
즉, 상기 방사선 계측기를 베타선에 대하여 교정하기 위해서는 베타선량에 대한 표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 베타선량 표준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베타선을 조사하기 위한 조사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베타선이 조사되는 방사선 조사장치의 베타선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테스트함으로써 방사선 계측기의 성능이 저하될 경우 이를 정확하게 보정하여 방사선 계측기의 성능에 대한 정확도와 신뢰도를 보장함으로써 방사선을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방사선 계측기 교정을 위해 베타선이 조사되는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는 베이스(10)와, 지지대(20)와, 선원장착홈부(30)와, 플래트닝 필터장착부(40)로 구성된다.
베이스(10)는 바닥에 고정되며, 선원 장착을 위한 안정감을 제공한다.
그리고, 지지대(20)는 베이스(10)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선원장착홈부(30)는 교정 또는 시험 측정 대상의 방사선 계측기에 방사선(베타선)을 조사하는 선원(동위원소)이 장착되는 부위이며, 지지대(20)의 상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플래트닝 필터 장착부(40)는 선원으로부터 조사되는 선원의 세기를 고르게 조정시키는 플래트닝 필터가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선원과 측정 대상 방사선 계측기 사이에 플래트닝 필터가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방사선의 세기는 통상 구(球)형태를 이루므로, 동일한 거리에서 가장자리는 중앙에 비해 조사되는 세기가 약해지는바 상기 플래트닝 필터를 통해 선원으로부터 방사선 계측기를 향해 방사선의 세기가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대(20)의 전방에는 셔터가 설치된다.
셔터는 선원을 차폐시키는 구성으로서, 선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셔터를 통해 선원을 차폐시킨 후, 셔터의 전방에 방사선 계측기가 위치되면 셔터를 개방하여 방사선 계측기에 선원이 조사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방사선 조사장치는 측정 대상 방사선 계측기의 레인지(range)에 따라, 작업자를 통해 상기 선원장착홈부(30)에 각기 다른 선원을 변경하여 탈착시키면서 방사선 계측기에 대한 교정 및 시험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방사선 계측기의 레인지에 따라, 선원의 세기 및 에너지가 각기 다른 선원을 선원장착홈부(30)에 교체하면서 교정 또는 시험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여 작업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즉, 각기 다른 방사선 계측기에 대한 교정 및 시험이 이루어질 때마다, 집게 등을 이용해 선원 교체 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불편함을 야기시켰던 것이다.
나아가, 선원 교체 작업시 선원 낙하로 인한 선원파손 및 방사성 물질 누설이 야기될 수 있으며, 잦은 교체로 인한 피폭의 우려가 있었다.
둘째, 일련의 셔터 개폐 작업으로 인해, 작업 공수가 늘어 작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방사선 계측기에 대한 교정 및 시험 작업이 이루어질 때마다 셔터 개폐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작업 공수가 늘고 작업의 번거로움이 야기되어 작업 생산성이 떨어졌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89653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기 다른 방사선 세기 및 에너지를 갖는 복수의 선원(동위원소)을 하나의 회전판에 장착하여, 교정 또는 측정 대상 방사선 계측기의 레인지에 따라 선원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방사선 계측기에 대한 교정 또는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방이 개구된 함체;상기 함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선원장착홈부가 형성된 회전판;상기 회전판의 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회전구동부;상기 함체의 개구된 부위에 설치되며, 함체 내부를 차폐시키되 회전판의 장착홈부에 대응되는 조사공이 형성된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는 함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함체의 타측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구속수단은, 도어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함체의 측면을 향해 회동되며, 결합공이 형성된 결속부재;상기 함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돌출되는 나사봉;상기 나사봉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구속수단은, 도어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함체의 측면을 향해 회동되며, 함체의 측면을 향해 나사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상기 함체에 고정되며, 가이드부재의 나사공에 대응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부재;상기 가이드부재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며, 그 나사공을 통해 고정부재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사공에는 조사공을 개폐시키는 셔터가 설치되며, 상기 셔터는 왕복구동부를 통해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방사선 세기 및 에너지가 각기 다른 복수의 선원들이 하나의 회전판에 장착되어 구성됨으로써, 레인지가 각기 다른 방사선 계측기에 대한 교정 또는 시험 측정시, 선원 교체 없이 회전판 회전을 통해 방사선 계측기에 대한 교정 또는 시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레인지를 갖는 복수의 방사선 계측기에 대한 교정 또는 시험 측정시 선원 교체 작업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어 작업 편의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의 구속수단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의 구속수단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는 각기 다른 방사선 세기 및 에너지를 갖는 복수의 선원(동위원소)을 한 개의 회전판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레인지를 갖는 복수의 베타 방사선 계측기들을 교정하거나 시험하는 과정에서 선원 교체 작업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작업 편의성 및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0)와, 회전판(200)과, 회전구동부(300)와, 도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함체(100)의 내부에는 베타 선원이 장착되는 회전판(200) 및 회전구동부(300)가 설치되며, 베타 선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마련된다.
이때, 선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은 베타 방사선 계측기 교정 및 시험을 위한 β선이다.
상기 함체(100)는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설명의 편의상 육면체로 구성된 것을 예로 한다.
함체(100)의 전방은 개구된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선원의 장착 및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회전판(200)은 방사선 세기 및 에너지가 다른 복수의 베타 선원이 장착되는 구성이며, 함체(100) 내부에 축 결합된다.
회전판(200)은 원형으로 구성되며, 회전판(200)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베타 선원이 탈착될 수 있는 선원장착홈부(210)가 복수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회전구동부(300)는 회전판(200)을 정,역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며, 함체(100)의 내부 후방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회전구동부(300)는 특정한 장치로 마련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판(200)의 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마련되면 무방하다.
회전구동부(300)는 축을 직접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로 마련되거나, 모터와 축 사이에 설치된 벨트를 매개로하여 모터의 동력을 축에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구동부(300)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어(400)는 개구된 함체(10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함체(1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도어(400)는 함체(100)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함체(100) 내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때, 함체(100)의 타측에는 도어(400)의 회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500)이 마련된다.
구속수단(500)은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400)의 회동을 구속할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한편, 상기 도어(400) 역시 함체(100)와 마찬가지로 β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어(400)의 상부에는 조사공(410)이 형성된다.
조사공(410)은 회전판(200)에 장착된 선원으로부터 방사선이 통과되어 조사되는 통로이며, 함체(100)의 내부와 통하게 형성된다.
또한, 조사공(410)은 회전판(200)의 선원장착홈부(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한편, 상기 조사공(410)의 일측에는 셔터(420)가 설치된다.
셔터(420)는 상기 조사공(410)을 개폐하며, 조사공(410)의 상,하 방향 또는 조사공(410)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조사공(41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셔터(420)를 동작시키기 위해 왕복 구동부(430)가 마련된다.
상기 왕복구동부(430)는 셔터(420)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리니어 서보모터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방사선 조사장치를 이용해 방사선 계측기의 교정 또는 시험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핫셀과 같은 방사선 투과가 차단된 실내 공간이 마련되고, 그 실내 공간에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함체(100)의 전방에, 교정 또는 시험 대상 방사선 계측기를 위치시킨다.
이후, 회전구동부(300)의 동력을 이용해 회전판(200)을 회전하여, 교정 대상 방사선 계측기의 레인지에 맞는 베타 선원을 조사공(410)에 대응시킨다.
이와 같이 방사선 계측기와 베타 선원을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방사선 계측기 및 선원에 ID를 부여하고, 별도의 컨트롤부 조작을 통해 각 ID에 대응되는 선원과 방사선 계측기를 서로 대응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방사선 계측기와 베타 선원이 대응된 상태가 되면, 리니어 서보모터(430)를 작동하여 셔터(420)를 슬라이딩하여 조사공(410)을 개방시킨다.
이후, 선원의 β선은 조사공(410)을 통해 전방의 방사선 계측기로 조사되고, 이를 통해 방사선 계측기의 교정 및 시험에 필요한 기준선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후, 일련의 교정 또는 시험과정이 완료되면, 리니어 서보모터(430)를 동작하여 셔터로 하여금 조사공(410)을 차폐시킨다.
다음으로, 다른 방사선 계측기를 함체(100)의 전방에 위치시킨 후,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다른 방사선 계측기에 대한 교정 또는 시험이 완료된다.
한편, 도어의 회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500)은 너트 결합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제시하며,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구속수단(5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재(510)와, 나사봉(520)과, 너트(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속부재(510)는 도어(400)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며, 함체(100)를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결속부재(510)는 도어(40))의 측부에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속부재(510)에는 결합공(51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511)은 나사봉(52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다음으로, 나사봉(520)은 결속부재(510)의 결합공(511)에 걸려, 도어(400)가 회동되는 것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나사봉(520)은 함체(100)의 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며, 수나사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너트(530)는 결속부재(510)의 결합공(511)을 통해 돌출된 나사봉(520)에 결합되어 결속부재(510)가 나사봉(5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속수단(500)을 이용해 도어(400)를 함체(10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도어(400)를 회동하여 함체(100)에 밀착시킨다.
이후, 함체(100)의 측면을 향해 결속부재(510)를 회동하여 나사봉(520)을 결합공(511)에 삽입시킨다.
이때, 결속부재(510)를 통해 함체(100)와 도어(400)는 밀착이 되며, 도어(400)와 함체(100) 사이에 개재된 씰링부재는 수축되면서 함체(100) 내부의 기밀 유지를 극대화시킨다.
이후, 결속부재(510)의 결합공(511)을 통해 돌출된 나사봉(520)에 너트(530)를 결합함으로써, 구속수단(500)을 통한 도어(400)의 고정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한 구속수단(500)은 나사 결합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제시하며,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구속수단(5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540)와, 고정부재(550)와, 나사부재(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 부재(540)는 도어(400)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함체(100)의 측면을 향해 회동된다.
가이드부재(540)는 도어(400)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부재(5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가이드부재(540)에는 양측이 관통된 나사공(5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공(541)은 함체(100)의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고정부재(550)는 나사부재(560)와 함께 도어(400)의 회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며, 함체(100)의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550) 역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양측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고정부재(550)는 상기 가이드부재(540)의 나사공(541)에 대응되는 암나사를 형성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가이드부재(540)가 힌지를 중심으로 함체(100)를 향해 회동되었을 때, 가이드부재(540)의 나사공(541)은 고정부재(550)의 암나사에 대응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나사부재(560)는 가이드부재(540)를 통해 고정부재(550)에 결합되어 도어(400)의 회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나사부재(560)는 가이드부재(540) 및 고정부재(55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로 형성된다.
이때, 나사부재(560)의 일단부에는 나사부재(560)의 직경부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속수단(500)을 이용해 도어(400)를 함체(10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도어(400)를 회동하여 함체(100)에 밀착시킨다.
이후, 가이드부재(540)를 함체(100)의 측면을 향해 회동하여 나사공(541)을 고정부재(550)에 대응시킨다.
다음으로, 나사부재(560)를 가이드부재(540)에 나사 결합시킨 후, 계속해서 나사부재(560)를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부재(560)는 고정부재(550)의 암나사에 나사결합이 된다.
이후, 나사부재(560)의 조임에 의해 도어(400)는 함체(100)에 밀착이 되며, 씰링부재는 수축이 되면서 함체(100) 내부의 기밀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로써, 구속수단(500)을 통한 도어(400)의 고정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는, 각기 다른 방사선 세기 및 에너지를 갖는 복수의 베타선원(동위원소)을 하나의 회전판(200)에 설치하여 상기 선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레인지를 갖는 복수의 방사선 계측기에 대한 교정 또는 시험 과정에서, 선원들을 방사선 계측기의 레인지에 맞게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교정 또는 시험 작업의 편의성 및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함체 200 : 회전판
210 : 선원장착홈부 300 : 회전구동부
400 : 도어 410 : 조사공
420 : 셔터 430 : 왕복 구동부
500 : 구속수단 510 : 결속부재
511 : 결합공 520 : 나사봉
530 : 너트 540 : 가이드부재
541 : 나사공 550 : 고정부재
560 : 나사부재

Claims (5)

  1. 전방이 개구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선원장착홈부가 형성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함체의 개구된 부위에 설치되며, 함체 내부를 차폐시키되 회전판의 장착홈부에 대응되는 조사공이 형성된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는 함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함체의 타측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구속수단은,
    도어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함체의 측면을 향해 회동되며, 결합공이 형성된 결속부재;
    상기 함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돌출되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전방이 개구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선원장착홈부가 형성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함체의 개구된 부위에 설치되며, 함체 내부를 차폐시키되 회전판의 장착홈부에 대응되는 조사공이 형성된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는 함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함체의 타측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구속수단은,
    도어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함체의 측면을 향해 회동되며, 함체의 측면을 향해 나사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상기 함체에 고정되며, 가이드부재의 나사공에 대응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며, 그 나사공을 통해 고정부재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공에는 조사공을 개폐시키는 셔터가 설치되며,
    상기 셔터는 왕복구동부를 통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
KR1020170000772A 2017-01-03 2017-01-03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 KR101937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72A KR101937416B1 (ko) 2017-01-03 2017-01-03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72A KR101937416B1 (ko) 2017-01-03 2017-01-03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968A KR20180079968A (ko) 2018-07-11
KR101937416B1 true KR101937416B1 (ko) 2019-01-10

Family

ID=6291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772A KR101937416B1 (ko) 2017-01-03 2017-01-03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4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1083B (zh) * 2021-09-02 2024-02-23 深圳市德普华电子测试技术有限公司 辐射杂散测试系统及测试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952B1 (ko) * 2000-10-18 2002-07-31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 조사장치
KR100531258B1 (ko) * 2005-01-27 2005-11-29 한국미래원자력(주) 방사선 계측기 교정 및 검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597A (ko) * 1998-08-11 2000-03-06 가와모또 에이이 점성 댐퍼
KR100738123B1 (ko) * 2005-06-24 200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방사선 투과 시험장비의 차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952B1 (ko) * 2000-10-18 2002-07-31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 조사장치
KR100531258B1 (ko) * 2005-01-27 2005-11-29 한국미래원자력(주) 방사선 계측기 교정 및 검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968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2359B2 (en) Imaging-based self-adjusting radiation therapy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10682528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adiation beam asymmetry measurements using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s
Low et al. Dosimetry tools and techniques for IMRT
US20180272155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adiation beam alignment and radiation beam measurements using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s
CN106772527B (zh) 固定式环境γ辐射剂量率监测仪现场校准装置及校准方法
US202001326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multielement analysis on the basis of neutron activation, and use
KR101937416B1 (ko)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
Yaddanapudi et al. Rapid acceptance testing of modern linac using on‐board MV and kV imaging systems
RU2343459C1 (ru) Гамма-дефектоскоп
KR101286576B1 (ko) 피검체에 직접 부착되며, 회전 개폐에 의한 방사선 조사 장치
KR101500285B1 (ko) 교정용 감마선 조사장치의 콜리메이터 이송장치
KR20160069113A (ko) 방사선 검사장치
Candela-Juan et al. Commissioning and periodic tests of the Esteya® electronic brachytherapy system
KR100942419B1 (ko) 전자식 개인 선량계 교정장치
CN109459785B (zh) 一种基于阵列中子源的均匀热中子场辐射试验装置
CN208283479U (zh) 一种用于元器件电离辐照测试的装置
US3737661A (en) Portable x-ray radiation shielding device
KR200381400Y1 (ko) 방사선 계측기 교정 및 검수장치
CN103925880A (zh) 用于剂量计检测的光学望远镜定位系统及其定位检测方法
KR102437787B1 (ko) Co-60 선원을 이용한 핫셀 차폐벽의 차폐성능 검사장치
KR100531258B1 (ko) 방사선 계측기 교정 및 검수장치
KR101185743B1 (ko) 형광엑스선분석용 차폐장치
CN105242298B (zh) 透射源贮存自动调节装置及放射性废物探测系统
KR101500287B1 (ko) 방사선 측정기의 센터링 지그
KR101669220B1 (ko) 다 원소 분석이 가능한 x선 형광분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