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934B1 - 방사선조사기 - Google Patents

방사선조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934B1
KR101839934B1 KR1020170082683A KR20170082683A KR101839934B1 KR 101839934 B1 KR101839934 B1 KR 101839934B1 KR 1020170082683 A KR1020170082683 A KR 1020170082683A KR 20170082683 A KR20170082683 A KR 20170082683A KR 101839934 B1 KR101839934 B1 KR 101839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diation source
gear
wire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9934B9 (ko
Inventor
김상달
박노귀
최일규
Original Assignee
호진산업기연(주)
사단법인한국비파괴검사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진산업기연(주), 사단법인한국비파괴검사협회 filed Critical 호진산업기연(주)
Priority to KR1020170082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934B1/ko
Publication of KR10183993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93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defects or foreign mat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using diffra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crystal structure; by using scattering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non-crystalline materials; by using refle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 G01N23/20008Constructional details of analysers, e.g. characterised by X-ray source, detector or optical system; Accessories therefor; Preparing specimen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021/0106General arrangement of respective parts
    • G01N2021/0118Apparatus with remot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조사기에 관한 것으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부, 상기 방사선원부를 수용하며 방사선을 차폐하는 차폐부, 상기 방사선원부와 결합되어 상기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부, 상기 와이어부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과 상기 차폐부를 연결하며 상기 와이어부가 이동되는 중공이 구비되는 연결부, 상기 차폐부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부에 의해 상기 방사선원부가 이동되는 중공이 구비되는 전송부, 상기 전송부와 결합되며 상기 전송부를 통과한 상기 방사선원부가 배치되는 콜리메이터부, 및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와이어부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는 벤딩된 형태로 상기 기어부와 결합되며 상기 기어부가 소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방사선원부를 밀어 상기 방사선원부를 상기 콜리메이터부 방향으로 전진시키고, 상기 기어부가 상기 소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방사선원부를 당겨 상기 방사선원부를 상기 차폐부로 후진시키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와이어부의 이동방향이 서로 반대인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선원부가 상기 콜리메이터부 방향으로 전진하면 상기 제2 연결부에 위치되는 상기 와이어부의 길이는 짧아지고 상기 방사선원부가 상기 차폐부 방향으로 후진하면 상기 제2 연결부에 위치되는 상기 와이어부의 길이는 길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방사선조사기{RADIATION IRRADIATOR}
본 발명은 방사선조사기에 관한 것이다.
비파괴 검사(Non-destructive Testing, NDT)란 형상, 치수에 변화를 주지않고 어떤 종류의 입력을 주어서 그의 투과, 흡수, 산란, 반사, 침투 등의 변화를 검출하여 표준과 비교하여 피검체를 파괴하지 않고 그 이상 유무나 크기, 분포 상태 등을 조사하는 검사법을 말한다. 비파괴 검사는 주로 용접물, 주조물, 압연재 등의 검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널리 알려진 비파괴 검사법에는 방사선투과검사(Radiographic Testing, RT), 자분탐상검사(Magnetic Particle Testing, MT), 초음파탐상검사(Ultrasonic Testing, UT), 누설검사(Leak Testing, LT) 등이 있다.
통상 감마선조사기는 일반적으로 밀봉선원캡슐과 커넥터가 각각 구비된 방사선원을 차폐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방사선원의 커넥터에 연결된 케이블은 케이블 조립체로 이동시키고, 감마선조사기에 연결된 가이드튜브는 검사위치까지 방사선원을 이동시키며, 가이드튜브의 선단에 체결된 콜리메이터는 피검체에 감마선을 조사한다.
통상 감마선조사기는 먼저, 권선되어 있던 가이드튜브를 피검체의 검사지점까지 펼쳐 콜리메이터를 검사지점에 고정시킨 후 콜리메이터의 조사부위와 대향되는 피검체의 외부표면에 검사용 필름을 부착시킨다. 그리고 방사선원의 커넥터에 케이블을 연결한 다음 조작기의 핸들을 이용해 방사선원을 가이드튜브를 따라 콜리메이터까지 이송시켜 방사선을 조사하게 된다. 이때 방사선원에서 조사되는 감마선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필름의 흑화도(blackness)를 분석하여 결함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피검체의 검사지점의 촬영이 끝나면 작업자는 조작기를 이용하여 방사선원을 회수시킨 후 다른 검사지점으로 가이드튜브를 이동시켜 반복적으로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감마선조사기의 구조와 작업방식으로 인해 작업자가 조작기를 들고 이동할 때에는 그 내부에 케이블이 수용된 호스도 함께 이동시켜야 하며, 이때 케이블 호스가 외력이나 장애물 등에 의해 눌리거나 심하게 꼬이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종래기술의 가이드튜브로는 검사지점까지의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 알기 위해서 작업자가 거리측정기구를 이용하여 일일이 측정하지 않고서는 알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작기를 방사선원과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조작하게 되어 있어 작업자가 방사선에 일정부분 노출되어 피폭되는 문제가 있다. 관련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3363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89799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유닛과 리모컨을 이용하여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작동이 편리하고 방사선 피폭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는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부, 상기 방사선원부를 수용하며 방사선을 차폐하는 차폐부, 상기 방사선원부와 결합되어 상기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부, 상기 와이어부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과 상기 차폐부를 연결하며 상기 와이어부가 이동되는 중공이 구비되는 연결부, 상기 차폐부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부에 의해 상기 방사선원부가 이동되는 중공이 구비되는 전송부, 상기 전송부와 결합되며 상기 전송부를 통과한 상기 방사선원부가 배치되는 콜리메이터부, 및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와이어부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는 벤딩된 형태로 상기 기어부와 결합되며 상기 기어부가 소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방사선원부를 밀어 상기 방사선원부를 상기 콜리메이터부 방향으로 전진시키고, 상기 기어부가 상기 소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방사선원부를 당겨 상기 방사선원부를 상기 차폐부로 후진시키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와이어부의 이동방향이 서로 반대인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선원부가 상기 콜리메이터부 방향으로 전진하면 상기 제2 연결부에 위치되는 상기 와이어부의 길이는 짧아지고 상기 방사선원부가 상기 차폐부 방향으로 후진하면 상기 제2 연결부에 위치되는 상기 와이어부의 길이는 길어질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면, 하면, 및 외주면을 갖는 기어본체, 상기 기어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돌출되고, 상기 기어본체의 상하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된 기어돌출부, 및 상기 기어돌출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기어본체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기어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기어오목부에 안착되는 와이어본체, 및 상기 와이어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인접한 2 개의 상기 기어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와이어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부에 제1 홈부를 포함하는 원기둥 형태로 돌출된 구동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일측이 원기둥 형태인 샤프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부의 일측은 상기 구동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2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3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구동돌출부 및 상기 기어부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기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는 상기 차폐부 내부의 원점으로부터 소정지점까지의 거리를 제1 거리, 상기 소정지점부터 상기 콜리메이터부 내부 끝점까지의 거리를 제2 거리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사선원부를 상기 제1 거리에서 제1 속도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거리에서 상기 제1 속도보다 작은 제2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사선원부를 상기 제2 거리에서 상기 제2 속도로 이동시키다가, 상기 방사선원부가 상기 콜리메이터부 내부 끝점에 접촉하여, 상기 와이어부를 통해서 상기 구동부에 토크가 소정값 이상으로 변화되면, 상기 방사선원부를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는 상기 구동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 및 상기 주전원부 방전시 또는 외부 전원 정전시 비상용으로 사용되는 부전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전원부 사용시 자동으로 상기 차폐부 외부에 있는 상기 방사선원부가 상기 차폐부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는 유선으로 상기 제어부를 조정하는 유선조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선조정기는 전원을 작동시키는 전원키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선원부가 상기 차폐부 외부에서 이동시 상기 전원키가 오프 상태로 되면 상기 주전원부에서 상기 부전원부로 전원이 바뀔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는 유선으로 상기 제어부를 조정하는 유선조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선조정기는 상기 방사선원부의 노출시간, 인출거리, 또는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조정기는, 전원을 작동시키는 전원키가 삽입되는 전원키홈, 상기 방사선원부의 노출시간, 인출거리, 또는 주전원부 잔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화면, 상기 방사선원부의 인출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버튼, 상기 카운트버튼이 카운트한 횟수를 리셋하는 리셋버튼, 및 상기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키는 시작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는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며 무선으로 작동되는 리모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모컨부는 2 개의 버튼으로 상기 차폐부 외부로 상기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키고 한 개의 버튼으로 상기 차폐부 내부로 상기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는 상기 방사선원부가 상기 차폐부 내부에서 이동되는 경우 예비알람을 수행하고, 상기 방사선원부가 상기 차폐부 외부에서 이동되는 경우 본알람을 수행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는 경광등 또는 버저를 포함하며, 상기 경광등 또는 버저는 상기 구동유닛과 자석으로 결합되며, 상기 경광등은 예비알람과 본알람의 경광등 색이 다르며, 상기 버저는 예비알람과 본알람의 알람음이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는 상기 기어부 상부에 위치되는 수동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동유닛은 상기 기어부와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상기 방사선원부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동유닛은, 상부에 위치되며 다각기둥 형태로 함몰된 다각기둥홈, 및 하부에 위치되며 원기둥 형태로 함몰된 원기둥홈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기어부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원기둥부, 및 일측이 원기둥 형태로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다각기둥 형태로 상기 원기둥부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원기둥부 외부로 돌출되는 샤프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원기둥홈을 상기 원기둥부와 결합시키고, 수동으로 상기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수동유닛을 뒤집어 상기 다각기둥홈을 상기 샤프트부 타측의 다각기둥 형태와 결합시킨 후 상기 수동유닛을 회전시켜 상기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방사선원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무선으로 방사선조사기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부를 포함하고 있어 작업자의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피폭량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방사선조사기를 구동유닛을 통해 구동함으로써 수동으로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키는 것보다 편리하게 피검체를 검사할 수 있다.
방사선원부로부터 피검체의 검사부분까지의 시험적으로 인출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전송부의 외압 등에 의한 굴곡이나 노후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제2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인출거리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방사선원부가 전송부를 통과할 때 기기 내부의 오류 등 문제가 있는 경우 구동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비상회수가 실행되어 방사선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동으로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피폭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유닛의 오류 등 응급상황 시 수동유닛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유선조정기는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방사선원부의 노출시간, 인출거리, 이동속도 등을 제어하고, 버튼부를 통해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설정사항을 디스플레이화면에 현시할 수 있다.
알람부는 주의를 각성시키기 위해 방사선원부의 이동을 알리는 경광등이나 버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의 일실시예의 구성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의 일실시예의 구성유닛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의 일실시예의 기어부와 와이어부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의 일실시예의 기어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의 일실시예의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의 일실시예의 샤프트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의 일실시예의 샤프트부 하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의 일실시예의 제1 거리와 제2 거리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의 일실시예의 유선조정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의 일실시예의 수동유닛 상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의 일실시예의 수동유닛 하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조사기(4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4000)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4000)의 일실시예의 구성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4000)의 일실시예의 구성유닛의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4000)의 일실시예의 기어부(1100)와 와이어부(300)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4000)의 일실시예의 기어부(110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4000)의 일실시예의 구동부(1200)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4000)의 일실시예의 샤프트부(130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4000)의 일실시예의 샤프트부(1300) 하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방사선조사기(4000)는 방사선원부(100), 차폐부(200), 와이어부(300), 구동유닛(1000), 연결부(400), 전송부(500), 콜리메이터부(600), 전원부(700, 710), 유선조정기(800), 리모컨부(900), 알람부(2000), 수동유닛(30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조사기(4000)는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부(100), 방사선원부(100)를 수용하며 방사선을 차폐하는 차폐부(200), 방사선원부(100)와 결합되어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부(300), 와이어부(300)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1000), 구동유닛(1000)과 차폐부(200)를 연결하며 와이어부(300)가 이동되는 중공이 구비되는 연결부(400), 차폐부(200)와 연결되며 와이어부(300)에 의해 방사선원부(100)가 이동되는 중공이 구비되는 전송부(500), 전송부(500)와 결합되며 전송부(500)를 통과한 방사선원부(100)가 배치되는 콜리메이터부(600), 및 구동유닛(1000)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구동유닛(1000)은, 와이어부(300)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기어부(1100), 및 기어부(1100)와 결합되어 기어부(11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20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와이어부(300)의 이동방향이 서로 반대인 제1 연결부(410) 및 제2 연결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선원부(100)가 상기 콜리메이터부(600) 방향으로 전진하면 상기 제2 연결부(420)에 위치되는 상기 와이어부(300)의 길이는 짧아지고 상기 방사선원부(100)가 상기 차폐부(200) 방향으로 후진하면 상기 제2 연결부(420)에 위치되는 상기 와이어부(300)의 길이는 길어질 수 있다.
방사선원(Radioactive material)부(100)는 피검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으로, 피검체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피검체를 파괴하지 않고 피검체 내부 상태 등을 알아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사선은 감마선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X선 등일 수 있다. 차폐부(200)는 내부에 방사선원부(100)를 수용하는 것으로, 방사선원부(100)의 방사선이 차폐부(200)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와이어부(300)는 방사선원부(100)와 결합되어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후술하는 구동유닛(100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기어부(1100)와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으며, 와이어본체(310)와 와이어돌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본체(310)는 와이어부(3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후술하는 기어오목부(1130)에 안착되도록 기어오목부(1130)와 상응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돌출부(320)는 와이어본체(31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기어부(1100)와 맞물리도록 기어돌출부(1120)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와이어부(300)는 벤딩된 형태로 기어부(1100)와 결합되며 기어부(1100)가 소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방사선원부(100)를 밀어 방사선원부(100)를 후술하는 콜리메이터부(600) 방향으로 전진시키고, 기어부(1100)가 소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방사선원부(100)를 당겨 방사선원부(100)를 차폐부(200) 방향으로 후진시킬 수 있다.
도 1 또는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400)는 와이어부(300)가 이동되는 중공을 구비하는 호스 형태로 구동유닛(1000)과 차폐부(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부(400)는 와이어부(300)의 이동방향이 서로 반대인 제1 연결부(410) 및 제2 연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420)는 방사선원부(100)가 콜리메이터부(600)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는 경우, 내부 중공에 위치되는 와이어부(300)가 기어부(1100)와 맞물려 회전하여 제1 연결부(410) 내부 중공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2 연결부(420) 내부 중공에 위치되는 와이어부(30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반대로 제2 연결부(420)는 방사선원부(100)가 차폐부(200) 방향으로 후진하게 되는 경우 제1 연결부(410) 내부 중공에 위치되는 와이어부(300)가 기어부(1100)와 맞물려 회전하여 제2 연결부(420) 내부 중공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2 연결부(420) 내부 중공에 위치되는 와이어부(30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전송부(500)는 방사선원부(100)가 이동되는 중공을 구비하는 호스 형태로,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단이 차폐부(200)와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콜리메이터부(6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콜리메이터(collimator)부(600)는 일단이 전송부(500)와 결합되어 차폐부(200)로부터 전송부(500)를 통과한 방사선원부(100)가 콜리메이터부(6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콜리메이터부(600)는 피검체의 검사부위에 부착되어 방사선원부(100)의 방사선이 피검체의 검사부위에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동유닛(1000)은 와이어부(3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와이어부(300)를 이동시켜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유닛(1000)은 기어부(1100), 구동부(1200), 샤프트부(1300), 원기둥부(1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부(110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면(1111), 하면(1113), 및 외주면(1112)을 갖는 기어본체(1110), 기어본체(1110)의 외주면(1112)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돌출되고, 기어본체(1110)의 상하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된 기어돌출부(1120), 및 기어돌출부(1120)의 말단으로부터 기어본체(1110)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기어오목부(1130)를 포함하며, 와이어부(300)는, 기어오목부(1130)에 안착되는 와이어본체(310) 및 와이어본체(31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인접한 2 개의 기어돌출부(1120) 사이에 삽입되는 와이어돌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200)는 상부에 제1 홈부(1211)를 포함하는 원기둥 형태로 돌출된 구동돌출부(1210)를 포함하며, 구동유닛(1000)은 일측이 원기둥 형태(1310)인 샤프트부(1300)를 더 포함하며, 샤프트부(1300)의 일측은 구동돌출부(1210)가 삽입 결합되는 제2 홈부(1320)를 구비하고 제1 홈부(1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3 홈부(1330)를 포함하며, 샤프트부(1300)는 구동돌출부(1210) 및 기어부(1100)와 결합되어 구동부(1200)의 동력을 기어부(1100)에 전달할 수 있다.
기어부(1100)는 후술하는 구동부(1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와이어부(30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얇은 원기둥 형태로 기어본체(1110), 기어돌출부(1120), 기어오목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어본체(1110)는 기어부(11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얇은 원기둥 형태로, 상면(1111), 하면(1113), 및 외주면(1112)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돌출부(1120)는 기어본체(1110)의 외주면(1112)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기어본체(1110)의 상하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기어돌출부(1120)는 와이어돌출부(320)와 상응하여 결합되도록 기어본체(1110)의 상하방향에 대해 경사가 있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는 와이어부(300)와 기어부(1100)를 강하게 결합하여 기어부(1100)의 동력을 와이어부(300)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기어오목부(1130)는 기어돌출부(1120) 말단으로부터 기어본체(1110)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와이어본체(310)와 결합될 수 있다. 기어오목부(1130)는 와이어돌출부(320) 사이의 와이어본체(310)와 결합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와이어본체(310)의 형태와 상응하는 형태로 함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본체(310)가 기어오목부(1130)에 결합되고 와이어돌출부(320)가 기어돌출부(1120) 사이에 결합되어 기어부(1100)의 동력이 와이어부(300)에 전달되어 와이어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1200)는 기어부(1100)와 결합되어 기어부(110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동돌출부(1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돌출부(1210)는 구동부(1200)의 상부에 원기둥 형태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샤프트부(1300)와 결합하여 구동부(1200)의 동력을 기어부(11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홈부(1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부(1211)는 원기둥 형태의 구동돌출부(1210)의 측면에 함몰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사각기둥 형태의 홈일 수 있다.
도 7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부(1300)는 막대 형태로 일측이 원기둥 형태(1310)이며 타측이 다각기둥 형태(1340)로, 하측이 구동돌출부(1210)와 결합되고 상측이 기어부(1100)와 결합되어 구동부(1200)의 동력을 기어부(11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홈부(1320)와 제3 홈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홈부(1320)는 샤프트부(1300)의 일측에 함몰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구동돌출부(1210)가 삽입 결합되도록 구동동출부의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홈부(1330)는 제2 홈부(1320)에서 샤프트부(1300)의 외주면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구동돌출부(1210)의 제1 홈부(1211)와 대응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샤프트부(1300)는 구동돌출부(1210)의 제1 홈부(1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3 홈부(1330)가 배치되도록 구동돌출부(1210)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돌출부(1210)의 제1 홈부(1211)와 대응되어 위치되는 샤프트부(1300)의 제3 홈부(1330) 사이에 막대부재(1400)가 배치되어 구동부(1200)와 샤프트부(1300)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기둥부(1500)는 기어부(1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수동유닛(30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4000)의 일실시예의 제1 거리(10)와 제2 거리(20)의 개념도이다. 차폐부(200) 내부의 원점(210)으로부터 소정지점까지의 거리를 제1 거리(10), 소정지점부터 콜리메이터부(600) 내부 끝점(610)까지의 거리를 제2 거리(20)라고 정의할 때, 제어부는 방사선원부(100)를 제1 거리(10)에서 제1 속도로 이동시키고, 제2 거리(20)에서 제1 속도보다 작은 제2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방사선원부(100)를 제2 거리(20)에서 제2 속도로 이동시키다가, 방사선원부(100)가 콜리메이터부(600) 내부 끝점(610)에 접촉하여, 와이어부(300)를 통해서 구동부(1200)에 토크가 소정값 이상으로 변화되면, 방사선원부(1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인출거리는 차폐부(200) 내부에 방사선원부(100)가 이동되지 않은 중심이 되는 지점인 원점(210)으로부터 콜리메이터부(600)의 내부 끝점(610)까지 방사선원부(100)가 이동되는 거리를 뜻한다. 일례로, 인출거리는 수동으로 자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거나, 구동유닛(1000)을 구동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거리(10)는 차폐부(200) 내부 원점(210)으로부터 전송부(500) 내부의 소정지점까지 방사선원부(100)가 이동하는 거리를 뜻할 수 있으며, 제2 거리(20)는 상기 소정지점으로부터 콜리메이터부(600) 내부 끝점(610)까지 방사선원부(100)가 이동되는 거리를 뜻할 수 있다. 일례로, 콜리메이터부(600) 내부 끝점(610)은 방사선원부(100)가 차폐부(200)로부터 콜리메이터부(600) 방향으로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는 지점을 뜻한다.
제어부(미도시)는 구동유닛(1000)을 제어하여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는 방사선원부(100)를 제1 거리(10)에서 제1 속도로 빠르게 이동시키고, 제2 거리(20)에서 제1 속도보다 작은 제2 속도로 천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방사선원부(100)를 제2 거리(20)에서 제2 속도로 천천히 이동시키다가, 방사선원부(100)가 콜리메이터부(600) 내부 끝점(610)에 접촉하여, 와이어부(300)를 통해서 구동부(1200)에 걸리는 토크가 소정값 이상으로 변화되면, 방사선원부(1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전송부(500)로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키는 경우 전송부(500)가 외압 등으로 굴곡이 발생하거나 장비 노후화 등에 따라 인출거리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제1 거리(10)와 소정의 끝점확인거리를 설정하여 인출거리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일례로 도 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정한 인출거리(3200 ㎜)에서 소정의 길이(10 ㎜)를 뺀 길이를 제1 거리(10)(3190 ㎜)로 설정하고 소정의 끝점확인거리(11 내지 20㎜)를 설정하여 소정의 끝점확인거리 내에서 방사선원부(100)가 콜리메이터부(600) 내부 끝점(610)에 접촉하여, 구동부(1200)에 걸리는 토크가 소정값 이상으로 변화되면 방사선원부(1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끝점확인거리 내의 거리를 제2 거리(20)로 측정하여 인출거리를 보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거리(10)나 제2 거리(20)는 구동부(1200) 엔코더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구동부(1200)의 토크값 변화는 구동부(1200)의 전류값 변화로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소정의 끝점확인거리 내에서 구동부(1200)에 걸리는 토크가 소정값 이상으로 변화되지 않으면, 후술하는 알람부(2000)가 작동할 수 있으며, 방사선원부(100)를 차폐부(200) 내부로 비상회수할 수 있다.
방사선조사기(4000)는 구동유닛(1000)이나 후술하는 알람부(2000) 또는 유선조정기(8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0, 710)를 포함하며, 전원부(700, 710)는 주전원부(700)와 부전원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전원부(700)는 전원부(700, 710)의 주된 전원으로 주로 방사선조사기(4000)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때 사용될 수 있다. 부전원부(710)는 주전원부(700)의 충전율이 소정비율 미만이거나 외부 전원 사용시 정전되는 경우 등 비상시 사용을 대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부전원부(710) 사용시 자동으로 차폐부(200) 외부에 있는 방사선원부(100)가 차폐부(200) 내부로 비상회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4000)의 일실시예의 유선조정기(8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방사선조사기(4000)는 유선으로 제어부를 조정하는 유선조정기(800)를 더 포함하며, 유선조정기(800)는 방사선원부(100)의 노출시간, 인출거리, 또는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조정기(800)는, 전원을 작동시키는 전원키(820)가 삽입되는 전원키홈(810), 방사선원부(100)의 노출시간, 인출거리, 또는 주전원부(700) 잔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화면(830), 방사선원부(100)의 인출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버튼(840), 카운트버튼(840)이 카운트한 횟수를 리셋하는 리셋버튼(850), 및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키는 시작버튼(8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선조정기(800)는 유선으로 제어부를 조정하여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다수의 기능을 설정하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피검체를 검사하기 위해 피검체 표면에 사용되는 필름에 방사선원부(100)를 노출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노출시간, 전술한 인출거리, 방사선원부(100)가 전송부(500)를 이동하는 속도인 이동속도 등을 조절하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키(820)는 전원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선조정기(800)는 전원키(820)가 삽입되는 전원키홈(8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방사선원부(100)가 차폐부(200) 외부에서 이동하는 경우에 전원키(820)가 오프 상태로 되면 주전원부(700)에서 부전원부(710)로 전원이 바뀌고, 부전원부(710)가 작동되면 차폐부(200) 외부에 있는 방사선원부(100)가 차폐부(200) 내부로 비상회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화면(830)은 유선조정기(800)에 있는 다수의 버튼으로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설정사항을 현시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화면(830)은 전술한 방사선원부(100)의 노출시간, 인출거리, 주전원부(700)의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카운트버튼(840)은 방사선원부(100)가 차폐부(200)로부터 나와 이동되는 인출횟수를 카운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방사선원부(100)가 차폐부(200)로부터 나와 콜리메이터부(600)를 경유해 다시 차폐부(200)로 되돌아오는 왕복운동을 1회의 인출횟수로 카운트할 수 있다. 리셋버튼(850)은 카운트버튼(840)이 카운트한 횟수를 0으로 리셋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하루 동안 카운트되는 일일 카운트는 리셋될 수 있으나, 모든 인출횟수가 누적되는 종합 카운트는 리셋되지 않을 수 있다. 시작버튼(860)은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유선조정기(800) 작동 불량시 구동유닛(1000)에 위치되는 비상회수버튼(890)을 사용하여 방사선원부(100)를 비상회수할 수 있다.
방사선조사기(4000)는 구동유닛(1000)을 제어하며 무선으로 작동되는 리모컨부(900)를 더 포함하며, 리모컨부(900)는 2 개의 버튼(910)으로 차폐부(200) 외부로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키고 한 개의 버튼(920)으로 차폐부(200) 내부로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리모컨부(900)는 무선으로 구동유닛(1000)을 제어하는 것으로, 원거리에서 방사선조사기(4000)를 조작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모컨부(900)는 2 개의 버튼(910)을 눌러 상기 차폐부(200) 내부에 위치되는 방사선원부(100)를 차폐부(200) 외부로 이동시키고, 1 개의 버튼(920)을 사용하여 차폐부(200) 외부에 위치되는 방사선원부(100)를 차폐부(200) 내부로 회수할 수 있다. 일례로, 차폐부(200) 밖으로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키는 것은 오작동 방지를 위해 2 개의 버튼(910)을 사용하도록 하고, 차폐부(200) 내부로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키는 것은 간편하고 신속한 이동을 위해 하나의 버튼(920) 조작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례로 리모컨부(900)는 유선조정기(800)나 구동유닛(1000)과 100 내지 300 m 이격된 거리에서 작동가능하여, 방사선원부(100)로부터 멀리 떨어져 무선으로 방사선조사기(4000)를 제어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피폭량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리모컨부(900) 사용으로 직각방향이나 차폐장치 속에서도 이용 가능하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사선조사기(4000)는 방사선원부(100)가 차폐부(200) 내부에서 이동되는 경우 예비알람을 수행하고, 방사선원부(100)가 차폐부(200) 외부에서 이동되는 경우 본알람을 수행하는 알람부(20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알람부(2000)는 경광등 또는 버저를 포함하며, 경광등 또는 버저는 구동유닛(1000)과 자석으로 결합되며, 경광등은 예비알람과 본알람의 경광등 색이 다르며, 버저는 예비알람과 본알람의 알람음이 다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2000)는 방사선원부(100)가 이동하는 경우 경고등이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비알람과 본알람이 구별될 수 있으며, 경고등이나 버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비알람은 방사선원부(100)가 차폐부(200) 내부에서 이동되는 경우 발생되는 알람이며, 본알람은 방사선원부(100)가 차폐부(200) 외부에서 이동되는 경우 발생되는 알람이다. 일례로 알람부(2000)는 구동유닛(1000)과 자석으로 결합되어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다. 일례로, 경광등은 LE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비알람과 본알람이 적색, 황색, 녹색 등으로 경광등 색이 다를 수 있다. 일례로, 버저는 예비알람과 본알람이 서로 다른 2가지 음색으로 다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4000)의 일실시예의 수동유닛(3000) 상부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기(4000)의 일실시예의 수동유닛(3000) 하부의 사시도이다.
방사선조사기(4000)는 기어부(1100) 상부에 위치되는 수동유닛(3000)을 더 포함하며, 수동유닛(3000)은 기어부(1100)와 결합되어 기어부(1100)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방사선원부(100)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동유닛(3000)은, 상부에 위치되며 다각기둥 형태로 함몰된 다각기둥홈(3100), 및 하부에 위치되며 원기둥 형태로 함몰된 원기둥홈(3200)을 포함하고, 구동유닛(1000)은, 기어부(1100)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원기둥부(1500) 및 일측이 원기둥 형태로 구동부(1200)와 결합되고, 타측이 다각기둥 형태(1340)로 원기둥부(1500)의 중공에 삽입되어 원기둥부(1500) 외부로 돌출되는 샤프트부(1300)를 더 포함하며, 구동유닛(1000)을 이용하여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원기둥홈(3200)을 원기둥부(1500)와 결합시키고, 수동으로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수동유닛(3000)을 뒤집어 다각기둥홈(3100)을 샤프트부(1300) 타측의 다각기둥 형태(1340)와 결합시킨 후 수동유닛(3000)을 회전시켜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수동유닛(3000)은 기어부(1100)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기어부(1100)와 결합되어 기어부(1100)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방사선원부(100)를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다각기둥홈(3100), 원기둥홈(3200), 또는 손잡이(3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기둥홈(3200)은 수동유닛(3000)의 하부에 원기둥 형태로 함몰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구동부(1200)를 작동시켜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키는 경우 전술한 원기둥부(1500)와 결합되어 수동유닛(3000)을 기어부(1100) 상측에 배치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샤프트부(1300) 타측의 다각기둥 형태(1340) 부분은 전술한 원기둥부(1500)의 중공으로 삽입되어 원기둥부(1500) 외부에 위치되는 수동유닛(3000) 원기둥홈(3200) 내부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원기둥홈(3200)은 샤프트부(1300) 타측에 위치되는 다각기둥 형태(1340) 부분보다 커서 샤프트부(130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원기둥홈(3200)과 접촉하지 않아 수동유닛(3000)과 접촉하지 않는다.
도 1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각기둥홈(3100)은 수동유닛(300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다각기둥 형태로 함몰되어 샤프트부(1300)의 타측에 위치되는 다각기둥 형태(1340) 부분과 삽입결합되어 수동으로 기어부(1100)를 회전시킬 경우 샤프트부(1300)와 수동유닛(3000)을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동유닛(3000)은 구동부(1200)를 작동시켜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다각기둥홈(3100)이 상측이 되도록 배치되고, 수동유닛(3000)을 이용하여 방사선원부(100)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다각기둥홈(3100)이 하측으로 오도록 수동유닛(3000)을 뒤집어 다각기둥홈(3100)과 샤프트부(1300)의 다각기둥 형태(1340) 부분을 삽입결합시킨 후 손잡이(3300)를 이용하여 수동유닛(3000)을 회전하여 기어부(1100)를 회전시켜 방사선원부(100)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사선원부(100)로부터 멀리 떨어져 무선으로 방사선조사기(4000)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부(900)를 포함하고 있어 작업자의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피폭량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방사선조사기(4000)를 구동유닛(1000)을 통해 구동함으로써 수동으로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키는 것보다 편리하게 피검체를 검사할 수 있다. 방사선원부(100)로부터 피검체의 검사부분까지의 시험적으로 인출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전송부(500)의 외압 등에 의한 굴곡이나 노후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제2 거리(20)를 측정함으로써 인출거리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방사선원부(100)가 전송부(500)를 통과할 때 기기 내부의 오류 등 문제가 있는 경우 구동유닛(1000)에 의해 자동으로 비상회수가 실행되어 방사선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동으로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피폭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유닛(1000)의 오류 등 응급상황 시 수동유닛(3000)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방사선원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유선조정기(800)는 구동유닛(1000)을 제어하여 방사선원부(100)의 노출시간, 인출거리, 이동속도 등을 제어하고, 버튼부를 통해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설정사항을 디스플레이화면(830)에 현시할 수 있다. 알람부(2000)는 주의를 각성시키기 위해 방사선원부(100)의 이동을 알리는 경광등이나 버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제1 거리 20 : 제2 거리
100 : 방사선원부 200 : 차폐부
300 : 와이어부 310 : 와이어본체
320 : 와이어돌출부 400 : 연결부
410 : 제1 연결부 420 : 제2 연결부
500 : 전송부 600 : 콜리메이터부
700 : 주전원부 710 : 부전원부
800 : 유선조정기 810 : 전원키홈
820 : 전원키 830 : 디스플레이화면
840 : 카운트버튼 850 : 리셋버튼
860 : 시작버튼 900 : 리모컨부
910 : 2 개의 버튼 920 : 한 개의 버튼
1000 : 구동유닛 1100 : 기어부
1110 : 기어본체 1111 : 기어본체 상면
1112 : 기어본체 외주면 1113 : 기어본체 하면
1120 : 기어돌출부 1130: 기어오목부
1200 : 구동부 1210 : 구동돌출부
1211 : 제1 홈부 1300 : 샤프트부
1310 : 원기둥 형태 1320 : 제2 홈부
1330 : 제3 홈부 1340 : 다각기둥 형태
1500 : 원기둥부 2000 : 알람부
3000 : 수동유닛 3100 : 다각기둥홈
3200 : 원기둥홈 4000 : 방사선조사기

Claims (14)

  1.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부;
    상기 방사선원부를 수용하며 방사선을 차폐하는 차폐부;
    상기 방사선원부와 결합되어 상기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부;
    상기 와이어부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과 상기 차폐부를 연결하며 상기 와이어부가 이동되는 중공이 구비되는 연결부;
    상기 차폐부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부에 의해 상기 방사선원부가 이동되는 중공이 구비되는 전송부;
    상기 전송부와 결합되며 상기 전송부를 통과한 상기 방사선원부가 배치되는 콜리메이터부; 및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와이어부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면, 하면, 및 외주면을 갖는 기어본체;
    상기 기어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돌출되고, 상기 기어본체의 상하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된 기어돌출부; 및
    상기 기어돌출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기어본체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기어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기어오목부에 안착되는 와이어본체; 및
    상기 와이어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인접한 2 개의 상기 기어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와이어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는 벤딩된 형태로 상기 기어부와 결합되며 상기 기어부가 소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방사선원부를 밀어 상기 방사선원부를 상기 콜리메이터부 방향으로 전진시키고, 상기 기어부가 상기 소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방사선원부를 당겨 상기 방사선원부를 상기 차폐부로 후진시키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와이어부의 이동방향이 서로 반대인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선원부가 상기 콜리메이터부 방향으로 전진하면 상기 제2 연결부에 위치되는 상기 와이어부의 길이는 짧아지고 상기 방사선원부가 상기 차폐부 방향으로 후진하면 상기 제2 연결부에 위치되는 상기 와이어부의 길이는 길어지는 방사선조사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부에 제1 홈부를 포함하는 원기둥 형태로 돌출된 구동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일측이 원기둥 형태인 샤프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부의 일측은 상기 구동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2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3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구동돌출부 및 상기 기어부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기어부에 전달하는 방사선조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 내부의 원점으로부터 소정지점까지의 거리를 제1 거리, 상기 소정지점부터 상기 콜리메이터부 내부 끝점까지의 거리를 제2 거리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사선원부를 상기 제1 거리에서 제1 속도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거리에서 상기 제1 속도보다 작은 제2 속도로 이동시키는 방사선조사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사선원부를 상기 제2 거리에서 상기 제2 속도로 이동시키다가, 상기 방사선원부가 상기 콜리메이터부 내부 끝점에 접촉하여, 상기 와이어부를 통해서 상기 구동부에 토크가 소정값 이상으로 변화되면, 상기 방사선원부를 정지시키는 방사선조사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 및
    상기 주전원부 방전시 또는 외부 전원 정전시 비상용으로 사용되는 부전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전원부 사용시 자동으로 상기 차폐부 외부에 있는 상기 방사선원부가 상기 차폐부 내부로 회수되는 방사선조사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유선으로 상기 제어부를 조정하는 유선조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선조정기는 전원을 작동시키는 전원키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선원부가 상기 차폐부 외부에서 이동시 상기 전원키가 오프 상태로 되면 상기 주전원부에서 상기 부전원부로 전원이 바뀌는 방사선조사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선으로 상기 제어부를 조정하는 유선조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선조정기는 상기 방사선원부의 노출시간, 인출거리, 또는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방사선조사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선조정기는,
    전원을 작동시키는 전원키가 삽입되는 전원키홈;
    상기 방사선원부의 노출시간, 인출거리, 또는 주전원부 잔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화면;
    상기 방사선원부의 인출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버튼;
    상기 카운트버튼이 카운트한 횟수를 리셋하는 리셋버튼; 및
    상기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키는 시작버튼;을 더 포함하는 방사선조사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며 무선으로 작동되는 리모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모컨부는 2 개의 버튼으로 상기 차폐부 외부로 상기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키고 한 개의 버튼으로 상기 차폐부 내부로 상기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키는 방사선조사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원부가 상기 차폐부 내부에서 이동되는 경우 예비알람을 수행하고, 상기 방사선원부가 상기 차폐부 외부에서 이동되는 경우 본알람을 수행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조사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경광등 또는 버저를 포함하며,
    상기 경광등 또는 버저는 상기 구동유닛과 자석으로 결합되며,
    상기 경광등은 예비알람과 본알람의 경광등 색이 다르며,
    상기 버저는 예비알람과 본알람의 알람음이 다른 방사선조사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 상부에 위치되는 수동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동유닛은 상기 기어부와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상기 방사선원부를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방사선조사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수동유닛은,
    상부에 위치되며 다각기둥 형태로 함몰된 다각기둥홈; 및
    하부에 위치되며 원기둥 형태로 함몰된 원기둥홈;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기어부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원기둥부; 및
    일측이 원기둥 형태로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다각기둥 형태로 상기 원기둥부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원기둥부 외부로 돌출되는 샤프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원기둥홈을 상기 원기둥부와 결합시키고, 수동으로 상기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수동유닛을 뒤집어 상기 다각기둥홈을 상기 샤프트부 타측의 다각기둥 형태와 결합시킨 후 상기 수동유닛을 회전시켜 상기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키는 방사선조사기.

KR1020170082683A 2017-06-29 2017-06-29 방사선조사기 KR101839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683A KR101839934B1 (ko) 2017-06-29 2017-06-29 방사선조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683A KR101839934B1 (ko) 2017-06-29 2017-06-29 방사선조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934B1 true KR101839934B1 (ko) 2018-03-19
KR101839934B9 KR101839934B9 (ko) 2022-07-18

Family

ID=6191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683A KR101839934B1 (ko) 2017-06-29 2017-06-29 방사선조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9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680Y1 (ko) * 2007-04-18 2007-12-21 유영검사 주식회사 방사선 조사장비 케이블구동부의 방사선피폭 방지용원격구동장치
KR20150096184A (ko) * 2014-02-14 2015-08-24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비파괴 검사용 방사선 발생장치
KR101610357B1 (ko) * 2016-02-24 2016-04-07 지엔아이솔루션 주식회사 방사선 비파괴 검사 선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160069113A (ko) * 2014-12-08 2016-06-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사선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680Y1 (ko) * 2007-04-18 2007-12-21 유영검사 주식회사 방사선 조사장비 케이블구동부의 방사선피폭 방지용원격구동장치
KR20150096184A (ko) * 2014-02-14 2015-08-24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비파괴 검사용 방사선 발생장치
KR20160069113A (ko) * 2014-12-08 2016-06-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사선 검사장치
KR101610357B1 (ko) * 2016-02-24 2016-04-07 지엔아이솔루션 주식회사 방사선 비파괴 검사 선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934B9 (ko) 202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0473B2 (ja) 光照射装置
KR101839934B1 (ko) 방사선조사기
US7021118B2 (en) Method of testing a radiology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KR101211617B1 (ko) 엑스선 차폐구조를 구비한 휴대용 엑스선 장치
KR101337800B1 (ko) 방사선원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방사선 조사기
KR101824621B1 (ko)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
US20170049412A1 (en) System for controlling an x-ray detector
KR101610357B1 (ko) 방사선 비파괴 검사 선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US6703616B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easuring radiation
KR101250801B1 (ko) 알람 기능을 갖는 방사선 조사기
KR100531515B1 (ko) 초음파 용접 검사장치
US3124689A (en) shure
US4467212A (en) Radioactive source pigtail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318840B1 (ko) 피검체에 직접 부착되며 원격제어가 가능한 방사선 조사 장치
KR100913355B1 (ko) 동위원소 방사선원 개폐장치
WO2023096798A1 (en) Gated breathing radiographic trigger
KR100524144B1 (ko) 자동화된 차폐성능 비파괴시험장치
CN113418943A (zh) 康普顿背散射墙体空鼓检测系统及检测方法
JPH1010060A (ja) マンコンベア用ハンドレールのx線探傷装置
JP4127795B2 (ja) 放射線非破壊検査装置
JP5030056B2 (ja) 非破壊検査方法及び装置
CN209673674U (zh) 齿轮表面缺陷检测装置
KR102017945B1 (ko) 방사선 조사장치
US11086027B2 (en) Detector strip for x-ray film
US8106362B2 (en) Surface contamination examining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