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621B1 -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621B1
KR101824621B1 KR1020170088707A KR20170088707A KR101824621B1 KR 101824621 B1 KR101824621 B1 KR 101824621B1 KR 1020170088707 A KR1020170088707 A KR 1020170088707A KR 20170088707 A KR20170088707 A KR 20170088707A KR 101824621 B1 KR101824621 B1 KR 101824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carbonation
display device
hol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재
Original Assignee
다윤이엔씨 주식회사
해동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윤이엔씨 주식회사, 해동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윤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01N21/80Indicating pH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2Electrochemical measuring systems for weathering, corrosion or corrosion-protection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1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pH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탄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기기; 디스플레이기기에 후단이 연결되고, 구조물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되는 긴 막대 형태로서 둘레에는 눈금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조명수단 및 소형카메라가 구비되어 구멍 내부를 밝혀줌과 동시에 검사시약에 의한 색상변화 상태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기기로 전송하여 주는 내시경; 및 내시경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소형카메라의 촬영 각도의 전환이 가능한 반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대상 구조물에 내시경이 삽입될 수 있을 만큼만 최소한의 구멍만 천공하면 되므로 구조물에 대한 파손(피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추후 구멍을 메우는 작업도 매우 간편하며,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는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므로 혼자서도 빠른 시간내에 점검을 마칠 수 있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도 내시경을 통해 작은 크기의 구멍 내면에 진행하는 탄산화 진행정도에 관한 데이터값을 한치의 오차 없이 정확하게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물의 안전진단의 편리성과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Structure carbonation check apparatus }
본 발명은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탄산화 상태를 점검할 시 구조물에 대한 파손(피해)을 최소화 하면서도 탄산화 진행정도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표면으로부터 공기중의 탄산가스를 흡수하여 콘크리트 중의 수산화칼슘이 탄산칼슘으로 변화하면 알칼리성을 잃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탄산화 또는 중성화라 하며, 콘크리트의 탄산화로 인해 철근표면을 감싸고 있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면 철근의 부식이 시작되고 콘크리트의 수명이 단축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의 탄산화 메커니즘은, 콘크리트로 탄산가스 침투 → 탄산화(중성화) → 철근의 부동태피막 파괴 → 철근 부식 → 철근 부피 팽창 → 콘크리트 균열 순으로 진행되며, 화학식으로는 Ca(OH)2(수산화칼슘) + CO2 = CaCO3(탄산칼슘) + H2O 이다.
탄산화가 진행되기 전 수산화칼슘은 원래 수소이온농도가 pH 12~13 정도의 강알칼리성이나 탄산화 현상으로 탄산칼슘으로 변화된 부분은 pH 8.5~10 정도로 낮아져 중성화 된다.
콘크리트 내부의 pH가 11 이상에서는 산소가 존재해도 녹슬지 않지만 pH가 11보다 낮아지면 철근에 녹이 발생하고 철근이 원래의 체적보다 약 2.5배까지 팽창되면서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 된다.
콘크리트의 탄산화 검사방법으로는, 검사시약인 페놀프탈레인 1%용액이 알칼리성 물질과 만나서 반응하면 붉은색으로 변화하는 점에 착안하여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콘크리트에 분사하여 색상변화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판단하게 된다.
페놀프탈레인 1%용액을 콘크리트에 분무하였을 때 pH 9 이하에서는 무색, 이보다 높은 pH 값에서는 적색을 나타내므로 매우 간편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이 측정법은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공시체를 코어 형태 또는 가루 형태로 채취해서 검사하거나 콘크리트 구조물에 구멍을 천공해서 현장에서 직접 검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코어 공시체를 이용한 방법은 또한, 장치의 휴대 및 이동이 불편하고, 천공된 구멍의 크기가 커서 구조물에 대한 파손(피해) 염려가 있어서 구조물 소유자의 심리적 저항, 오래 걸리는 작업시간, 보수 시 고가의 소요비용 등으로 인해 다수의 데이터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의 또 다른 구조물 탄산화 점검방법으로 일본비파괴검사협회(사)에서 제정한「드릴삭공분을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중성화 깊이 시험방법」(NDIS 3419, 1999)이 있다. 상기한 드릴삭공분을 이용한 중성화 깊이 시험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탄산화 깊이는 콘크리트 코어를 이용한 방법에서 측정된 깊이와 대체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러한 드릴삭공분을 이용한 중성화 깊이 시험방법은 파괴정도, 작업량, 보수량의 측면에서 큰 개선이 기대되는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드릴삭공분을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중성화 깊이 시험방법은 시험자에 의한 원형시험지의 회전속도와 원형시험지의 제한된 범위로 측정 깊이의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직접 원형시험지를 불규칙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시험자의 수작업에 따라 측정오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험을 할 때마다 원형시험지의 교체로 인한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교체하는 과정에서 처음 드릴삭공분을 받았던 위치와 원형시험지의 교체 후 드릴삭공분을 받는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시험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1669616호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0686495호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05641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구조물의 탄산화 상태를 점검할 시 구조물에 대한 파손(피해)를 최소화 하면서도 탄산화 진행정도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구조물의 탄산화 진행정도를 점검하기 위한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에 있어서,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기기;
디스플레이기기에 후단이 연결되고, 구조물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되는 긴 막대 형태로서 둘레에는 눈금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조명수단 및 소형카메라가 구비되어 구멍 내부를 밝혀줌과 동시에 검사시약에 의한 색상변화 상태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기기로 전송하여 주는 내시경; 및
내시경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소형카메라의 촬영 각도의 전환이 가능한 반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디스플레이기기는,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하며,
내시경의 선단 둘레에는 수나사부를 더 형성하여, 반사수단이 착탈 가능하게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는, 대상 구조물에 내시경이 삽입될 수 있을 만큼만 최소한의 구멍만 천공하면 되므로 구조물에 대한 파손(피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추후 구멍을 메우는 작업도 매우 간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는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므로 혼자서도 빠른 시간내에 점검을 마칠 수 있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도 내시경을 통해 작은 크기의 구멍 내면에 진행하는 탄산화 진행정도에 관한 데이터값을 한치의 오차 없이 정확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물의 안전진단의 편리성과 정확성을 기할 수 있으므로 귀중한 재산과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의 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의 실시예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의 다른 실시예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를 구조물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여 탄산화 진행정도를 확인하는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의 실시예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의 실시예 요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의 다른 실시예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의 다른 실시예 요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1)는, 디스플레이기기(100)와, 내시경(200)과, 반사수단(3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기기(100)는, 검사물의 디스플레이 출력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휴대가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디스플레이기기(100)는 뷰파인더가 구비된 기기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이 가능한데, 특히 스마트폰(110), 태블릿(120), 노트북(13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하므로 가장 이상적일 것이다.
상기 내시경(200)은,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한 디스플레이기기(100)에 탑재된 프로그램의 조작에 의해 충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기기(100)에 후단이 연결되고, 구조물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되는 긴 막대 형태로서 조명수단 및 소형카메라(203)가 구비되어 구멍 내부를 밝혀줌과 동시에 검사시약에 의한 색상변화 상태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기기(100)로 전송하게 구성된다.
한편, 내시경에는 조명수단(202) 및 소형카메라(203)가 작동하는 것으로, 조명수단(202)은 광섬유, 고휘도 LED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내시경(200)의 둘레에는 구조물의 탄산화가 진행된 깊이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눈금(20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시경(200)은 연결선 중간에 조명수단(202)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밝기조절기(204)가 더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내시경(200)은 연결선 후단에 원통형 연결잭이나 USB연결잭(205) 중 어느 하나를 더 형성하여서, 디스플레이기기(100)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젠더(206)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반사수단(300)은, 상기 내시경(200)의 선단에 형성되어 내시경(200)의 조명수단(202)의 조사각 및 소형카메라(203)의 관찰 각도의 전환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반사수단(300)은 내시경(200)에 형성함에 있어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이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되, 이를 위해서는 먼저 내시경(200)의 선단 둘레에 수나사부(200a)를 형성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반사수단(300)은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일방향 반사가 가능하게 하는 일방향 반사수단(310)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방향 반사수단(310)은, 먼저, 내시경(200)의 선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반사수단 바디(311)가 구성된다.
이때, 반사수단 바디(311)는 그 후단에 암나사부(311a)가 구성되어 내시경(200)의 수나사부(200a)에 나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반사수단 바디(311)의 중간부에는 양측과 상부로 개방되는 요홈(312)이 구성된다.
또한, 반사수단 바디(311)의 요홈(312)에는 소형카메라(203)와 대응되며, 요홈(312)의 개방된 상부로 개방각을 이루는 45° 경사상의 반사경(313)이 구성된다.
즉, 일방향 반사수단(310)은 소형카메라(203)의 관찰각이 반사경(313)을 통해 90° 전환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반사수단(300)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다방향 반사가 가능하게 하는 다방향 반사수단(320)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다방향 반사수단(320)은, 내시경(200)에 착탈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캡(231)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결합캡(231)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321a)가 형성되어 내시경(200)의 수나사부(200a)에 착탈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결합캡(231)의 선단에서 주변으로는 사방으로 다수의 연결대(322)가 구성된 것으로, 연결대(322)는 90° 각도로 4개가 구성되며, 각각의 연결대(322) 사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관찰공(322a)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대(322)의 선단에는 내시경(200)의 관찰 각도의 전환이 가능하게 하는 반사경 유닛(323)이 구성된 것으로, 반사경 유닛(323)은 각각의 연결대(322)를 통해 고정된다.
이때, 반사경 유닛(323)은 먼저, 상기 연결대(322)의 선단에 고정되는 원통 형태의 헤드부(324)가 구성된다.
그리고, 헤드부(324)의 내측 즉, 내시경(200)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복수의 반사경(325)(325')이 구성된다.
이때, 복수의 반사경(325)(325')은 상기 연결대(322)의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관찰공(322a)과 대응되도록 4개가 한 조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반사경(325)(325')은 내시경(200) 및 관찰공(322a)과 대응되도록 45° 각도를 이루게 사방으로 구성된다.
즉, 다방향 반사수단(320)은 소형카메라(203)의 관찰각이 반사경(313)을 통해 90° 전환 가능하게 하되, 4개의 반사경(325)(325')를 통해 사방으로 전환되어 다양한 방향으로의 관찰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내시경(200)에 반사수단(300)을 구성하게 되면 구조물에 천공된 구멍 내부를 비춰줌과 동시에 반사경(313)(235)(235')을 통해 조명수단(202)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을 90°전환 조사가 가능하게 하는 한편, 소형 카메라(202)의 수평 관찰 각도를 90°전환 관찰이 가능하게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1)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탄산화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도 6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대상 구조물(10)에 대하여 천공을 수행하되, 그 천공시에는 통상의 드릴링 작업을 통해 천공하되, 이때 천공되는 구멍의 크기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내시경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서 구멍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구조물에 대한 파손(피해)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천공된 구멍은 통상의 에어블로우나 에어스프레이 또는 썩션기를 이용하여 구멍 내부에 에어를 분사 및 드릴삭공분이 남아 있지 않도록 말끔하게 청소하면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청소가 완료된 상태에서 천공된 구멍의 내부로 검사시약을 분무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적용되는 검사시약으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탄산화 측정에 사용되는 페놀프탈레인 용액이면 가능할 것이며, 이때 분무된 검사시약은 구멍 내부의 탄산화가 진행되지 않은 곳은 적색반응을 보이고 탄산화가 진행된 곳은 무색반응을 보이게 될 것이다.
이에, 내시경(200)을 천공된 구멍에 진입시켜 탄산화 상태의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먼저, 내시경(200)의 선단에는 반사수단(300)을 장착하되, 반사수단(300)은 일방향 반사수단(310) 또는 다방향 반사수단(320)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하면 된다.
이후, 내시경(200) 선단을 구멍에 삽입하여 검사시약에 의한 색상변화의 유무를 디스플레이기기(100)로 확인하여 탄산화 진행정도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기기(100)에 탑재된 관련 프로그램을 조작하여 조명수단(202)을 가동하여 빛을 투사하여 줌과 동시에 소형카메라(203)를 작동시켜 구멍 내부의 검사시약에 의한 색상변화의 상태를 디스플레이기기(100)를 통해 눈으로 직접 확인하며, 동영상으로 촬영하거나 사진으로 찍어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조명이 어둡거나 너무 밝아 영상이 뚜렷하지 않을 경우에는 내시경(200) 연결선 중간에 형성된 밝기조절기(204)를 조작하여 조명수단(202)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서 선명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탄산화 과정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내시경(200) 선단부에 장착된 반사수단(300)은 구조물에 천공된 구멍 내면을 소정각도로 예컨데 90°각도로 비춰줌으로써 구멍의 내면 상태를 보다 선명하고 확실하게 보여 주게 줄 수 있다.
이때, 적용되는 반사수단(300)을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일방향 반사수단(310)을 적용하게 되면 하나의 반사경(313)을 통해 일방향의 관찰각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다방향 반사수단(320)을 적용하게 되면 4개의 반사경(325)(325')을 통해 사방의 관찰각 전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에는 관찰시 사방을 통시에 관찰할 수 있게 되는 것인바, 내시경의 방향을 돌려 가면서 확인할 필요 없이 한눈에 구멍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반사수단(300)을 적용하게 되면, 구조물에 천공된 구멍 내면을 소정각도로 예컨데 90°각도로 비춰줌으로써 구멍의 내면 상태를 보다 선명하고 확실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이에, 적색반응을 보인 길이를 측정하면 탄산화 깊이를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깊이는 내시경(200)의 둘레에 형성된 눈금(201)을 통해 확인 가능하게 되며, 반사수단(300)을 장착사용시에는 그 반사수단(300)의 길이를 감하여 눈금(201) 측정하면 될 것이다.
즉,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1)는, 벽면에 해당하는 구멍 내면의 적색반응과 무색반응의 경계부분까지의 길이가 탄산화 깊이에 해당되는데 이와 같은 데이터를 한치의 오차 없이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는, 대상 구조물에 내시경이 삽입될 수 있을 만큼만 최소한의 구멍만 천공하면 되므로 구조물에 대한 파손(피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추후 구멍을 메우는 작업도 매우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는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므로 혼자서도 빠른시간내에 점검을 마칠 수 있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도 내시경을 통해 작은 크기의 구멍 내면에 진행하는 탄산화 진행정도에 관한 데이터값을 한치의 오차 없이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10 : 구조물 100 : 디스플레이기기
110 : 스마트폰 120 : 태블릿
130 : 노트북 200 : 내시경
200a : 수나사부 201 : 눈금
202 : 조명수단 203 : 소형카메라
204 : 밝기조절기 205 : USB연결잭
206 : 젠더
300 : 반사수단 310 : 일방향 반사수단
311 : 반사수단 바디 311a : 암나사부
312 : 요홈 313 : 반사경
320 : 다방향 반사수단 231 : 결합캡
321a : 암나사부 322 : 연결대
322a : 관찰공 323 : 반사경 유닛
324 : 헤드부 325,325' : 반사경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구조물의 탄산화 진행정도를 점검하기 위한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에 있어서,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기기(100);
    디스플레이기기(100)에 후단이 연결되고, 구조물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되는 긴 막대 형태로서, 연결선 중간에 조명수단(202)의 밝기를 조절하는 밝기조절기(204)가 구비되고, 둘레에는 구조물의 탄산화가 진행된 깊이의 측정이 가능한 눈금(201)이 형성되며, 디스플레이기기(100)에 탑재된 프로그램의 조작에 의해 충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수단(202) 및 소형카메라(203)를 작동하게 구성되고, 전방에 구비된 광섬유, 고휘도 LED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조명수단(202)을 통해 구멍 내부를 밝혀줌과 아울러 소형카메라(203)를 통해 검사시약에 의한 색상변화 상태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기기(100)로 전송하여 주는 내시경(200); 및
    내시경(200)의 선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며, 조명수단(202)의 조사각 및 소형카메라(203)의 촬영 각도를 전환시키는 반사수단(300);
    을 포함하되,
    디스플레이기기(100)는,
    노트북(130), 스마트폰(110), 태블릿(12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하며,
    내시경(200)의 선단 둘레에는 수나사부(200a)를 형성하여, 반사수단(300)이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반사수단(300)은,
    일방향 반사수단(310)로 구성하되,
    일방향 반사수단(310)은,
    후단에 암나사부(311a)가 형성되어 내시경(200)의 수나사부(200a)에 나삽 착탈되며, 중간부에는 양측과 상부로 개방되는 요홈(312)이 형성된 반사수단 바디(311); 및
    반사수단 바디(311)의 요홈(312)에 형성되며, 소형카메라(203)와 대응되며, 요홈(312)의 개방된 상부로 개방각을 이루는 45° 경사상의 반사경(313)을 포함하여 구성하여,
    소형카메라(203)의 관찰각이 반사경(313)을 통해 90° 전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반사수단(300)은,
    다방향 반사수단(320)으로 구성하되,
    다방향 반사수단(320)은,
    내주면에 수나사부(200a)에 체결되는 암나사부(321a)가 형성된 결합캡(321);
    결합캡(321)의 선단 주변 사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각각의 사이에는 4군데의 관찰공(322a)을 이루게 하는 복수의 연결대(322); 및
    연결대(322)의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관찰공(322a)과 대응되도록 4개가 한 조를 이루어 구성되되, 연결대(322)의 선단에 형성되어 내시경(200)의 촬영 각도를 전환시켜주며, 연결대(322)의 선단에 연결되는 원통 형태의 헤드부(324)와, 헤드부(324)의 내측에서 연결대(322)의 사이로 내시경과 대향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반사경(325)(325')이 구비된 반사경 유닛(323);
    을 포함하며,
    각각의 반사경(325)(325')은, 내시경(200) 및 관찰공(322a)과 대응되도록 45° 각도를 이루게 사방으로 구성되어,
    반사경(325)(325')을 통해 조명수단(202)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을 90°전환 조사가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소형 카메라(202)의 수평 관찰 각도를 90°전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내시경(200)은,
    연결선 후단에 원통형 연결잭이나 USB연결잭(205)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며, 디스플레이기기(100)에 직접 또는 젠더(206)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
KR1020170088707A 2017-07-12 2017-07-12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 KR101824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707A KR101824621B1 (ko) 2017-07-12 2017-07-12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707A KR101824621B1 (ko) 2017-07-12 2017-07-12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621B1 true KR101824621B1 (ko) 2018-03-14

Family

ID=6166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707A KR101824621B1 (ko) 2017-07-12 2017-07-12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6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084A1 (ko) * 2019-01-31 2020-08-06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기기와 통합된 병원체의 진단 시스템
KR102536883B1 (ko) 2022-10-12 2023-05-26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756B1 (ko) * 2015-08-11 2015-12-18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스마트폰을 이용한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KR101736347B1 (ko) 2015-11-27 2017-05-16 웰트웨이브 주식회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중성화 및 균열 측정 장치
KR101736354B1 (ko) 2015-11-27 2017-05-29 웰트웨이브 주식회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중성화 및 균열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756B1 (ko) * 2015-08-11 2015-12-18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스마트폰을 이용한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KR101736347B1 (ko) 2015-11-27 2017-05-16 웰트웨이브 주식회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중성화 및 균열 측정 장치
KR101736354B1 (ko) 2015-11-27 2017-05-29 웰트웨이브 주식회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중성화 및 균열 측정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084A1 (ko) * 2019-01-31 2020-08-06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기기와 통합된 병원체의 진단 시스템
KR20200095041A (ko) * 2019-01-31 2020-08-10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기기와 통합된 병원체의 진단 시스템
KR102242704B1 (ko) 2019-01-31 2021-04-21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기기와 통합된 병원체의 진단 시스템
KR102536883B1 (ko) 2022-10-12 2023-05-26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621B1 (ko)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
US3224320A (en) Apparatus for determination of the distribution of meat and fat in slaughtered animals or parts thereof
CN103561638B (zh) 被检体信息获取装置
KR101736347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중성화 및 균열 측정 장치
EP2630915A1 (en) Ultra-wide angle zoom projection system for real time in-situ surgical metrology
CN105496519B (zh) 一种b超引导下的穿刺导航系统
JP5622075B2 (ja) 検査方法
US10932669B2 (en) Examin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examination apparatus, system, light guide, and scale
KR101238220B1 (ko) 크랙모니터링시스템
KR101736354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중성화 및 균열 측정 방법
KR101824625B1 (ko) 구조물 탄산화 점검방법
DE602005010008D1 (de) Prüfvorrichtung zur Untersuchung der Fluide in einem Behälter
KR101721975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CN205537480U (zh) 封闭壳体口沿平面度快速检测设备
CN108093156A (zh) 图像拍摄装置
JP7165396B2 (ja) コンクリート中性化試験に用いる測定スケール及び中性化深さの測定方法
JPH03231622A (ja) 内視鏡装置
KR10193886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EP1761753B1 (de) Schnüffelsonde mit beleuchtungsvorrichtung
CN112945974B (zh) 一种基于内窥镜的产品缺陷检测装置及检测方法
JP6446691B2 (ja) 埋設中空構造物内検査方法及び埋設中空構造物内検査装置
JPWO2018061412A1 (ja) 空気噴射装置、及び歯科ハンドピースシステム
CN208060412U (zh) 一种探入式无损检测装置
CN209800025U (zh) 验证隧道衬砌背后脱空的内窥工具
CN106401560B (zh) 一种岩体性能实时监测的可视化自感知探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