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883B1 -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883B1
KR102536883B1 KR1020220130706A KR20220130706A KR102536883B1 KR 102536883 B1 KR102536883 B1 KR 102536883B1 KR 1020220130706 A KR1020220130706 A KR 1020220130706A KR 20220130706 A KR20220130706 A KR 20220130706A KR 102536883 B1 KR102536883 B1 KR 102536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structure
endoscope
railway tunnel
clog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후
김두겸
박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Priority to KR1020220130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6/00Drainage
    • E21F16/02Drainage of tu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tho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자갈도상으로 덮인 철도터널의 배수구 점검을 위해, 점검자 단말과 연결된 내시경 장치를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파이프 구조체를 배수구 상에 고정 설치해둠으로써 자갈도상을 걷어내지 않고도 상시로 배수구 막힘을 점검할 수 있으며, 또한, 파이프 구조체의 몸통부 측면에 지지 브래킷을 결합함으로써 파이프 구조체를 배수구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열차 통과시 풍하중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FOR INSPECTING DRAIN BLOCKING OF RAILWAY TUNNEL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자갈도상으로 포설된 철도터널의 배수구 점검을 위해, 자갈도상을 걷어내지 않고도 상시로 배수구 막힘을 점검할 수 있는,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을 굴착하여 철도터널을 시공하는 공사는, 굴착을 한 후 보강 과정을 거쳐 라이닝 콘크리트를 설치하는 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이와 같이 철도터널을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화약류 발파에 의한 NATM(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공법, TBM(Tunnel Boring Machine) 공법 등을 이용한 굴착식 및 개착식 터널 공법 등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 가운데 NATM 공법은 화약 발파에 의하여 터널 굴착을 진행하면서 숏크리트(shotcrete)를 굴착 단면에 타설하여 굴착된 주위 지반 자체를 지보재로 이용하되, 곧바로 라이닝 콘크리트(lining concrete)를 숏크리트면에 형성시키는 굴착방법으로서, 경제성 및 안전성이 검증되어 터널의 설계 및 시공에 있어 국내에서는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철도터널 내부로는 주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암반에서 방출되는 용출수 및 지하에서 방출되는 지하수가 필수적으로 유입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숏크리트 및 라이닝 콘크리트의 용해로 인하여 배수관에서 시멘트가 굳어지는 고화현상이 발생되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라이닝 콘크리트의 균열로 인하여 터널의 내구성이 저하되며, 비 또는 눈이 많이 오게 되면 더욱 많은 양의 수분이 터널로 유입되어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터널 경계면의 상부에는 방수막을 설치하고 하부에서 지하수 등을 집수 및 배출하는 부분 배수형 터널을 대부분 적용하고 있으며,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터널 배수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터널 배수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반에 숏크리팅이라 불리는 방법에 의하여 타설된 숏크리트(11); 숏크리트(11)의 내측에 거푸집에 의해 타설된 라이닝 콘크리트(13); 숏크리트(11)와 라이닝 콘크리트(13) 사이에 위치하여 숏크리트(11)를 통하여 침투된 물을 터널의 하부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방수막(12); 숏크리트(11)와 라이닝 콘크리트(13) 사이에 위치한 방수막1(2)을 타고 흐르는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유공관(14)이 골재과 콘크리트가 혼합된 필터 콘크리트(15)로 채워져 고정된다.
또한, T자형 이음관에 의하여 유공관(14)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된 횡방향 배수관(16), 상기 횡방향 배수관(16)과 연결되어 터널 외부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주 배수관인 종방향 배수관(17), 터널 내부의 하수 및 터널로 유입된 빗물을 집하하여 종방향 배수관(17)으로 배출할 수 있는 공동구(18) 및 지하에서 용출되는 지하수를 집하하여 배출할 수 있는 맹암거 배수관(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2는 통상적인 터널배수 방식을 나타내는 철도터널 단면도이다.
통상적인 터널배수 방식은, 도 2의 a)에 도시된 중앙배수 방식과 도 2의 b)에 도시된 측구배수 방식으로 대별된다. 현재 철도터널에는 대부분 중앙배수가 적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배수의 경우,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맹암거 관리를 위한 맨홀이 필요하고, 토공구간과의 접합부에서 배수로 처리 계획이 별도로 필요하며 바닥부의 편경사가 상이하여 시공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중앙배수의 경우, 시공 중 공사차량의 운행으로 중앙배수로의 보호 방책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서 측구배수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측구배수 방식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구로 배수를 집중시켜 배수시설을 단순화하고, 토공구간과의 동일한 횡단면 적용으로 접속부의 시공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며, 터널 갱구부에서 별도의 배수로 시설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측구배수 방식은 시공 중 공사차량과의 간섭이 전혀 없으므로 시공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철도터널이 도 2의 a)의 좌측에 도시된 자갈도상으로 시공된 경우, 이러한 자갈도상이 포설된 철도터널 배수구 점검 시 점검자는 자갈도상을 걷어내고 배수구 덮개를 열어서 배수구 막힘을 조사하여야 한다.
이러한 배수구 막힘 조사 과정에서 자갈도상을 걷어내는 행위는 철도 특성상 철도 운행시간을 회피하면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또한, 자갈을 인력으로 걷어내는 일이 쉬운 일이 아니며 시간도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육안으로 보기 힘든 좁고 협소한 배관, 각종 기계 내부, 변압기 내부 점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발전소 터빈, 원자력 발전소, 항공기 터빈 내부 등의 점검을 위해 산업용 내시경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용 내시경 카메라는 작업환경에 따라 하나의 호스트에 수㎜ 직경을 갖는 서로 다른 튜브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산업용 내시경 카메라를 예시하는 사진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산업용 내시경 카메라(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 장치(21) 및 점검자 단말(22)로 이루어지고, 내시경 장치(21)는 삽입 튜브와 프로브 등을 포함하고, 점검자 단말(22)은 조작부, 모니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산업용 내시경 카메라의 경우, 비교적 무거운 중량으로 이동에 제약이 따르며, 비교적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적용분야에 제한이 따른다.
한편, 내시경 카메라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77936호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의 내시경 카메라의 구성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는 모바일 디바이스(40)와 내시경 카메라(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바일 디바이스(40)는 임의의 실행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로서,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의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40)는 몸체의 일측에 USB 단자(43)가 구비되고, USB 단자(43)를 통해 내시경 카메라(30)가 접속되면, 내시경 카메라(30)가 제공하는 구동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구동 정보에 따라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42)을 검색하여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42)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41) 상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거나 또는 USB 단자(43)를 통해 내시경 카메라(30)가 접속한 경우, 내시경 카메라(30)가 제공하는 플러그 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면 실행되어 내시경 카메라(30)의 동작과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42)은 내시경 카메라(3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41)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거나, 영상 데이터를 편집하거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의 임의의 저장공간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내시경 카메라(30)는 일측에 카메라 모듈(310)이 설치되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고, 타측에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40)로 상기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모바일 디바이스(40)와 USB 데이터 통신시 USB 호스트-클라이언트로 동작하며, 카메라 모듈(31), USB 커넥터(32), 제어부(33) 및 케이블(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 모듈(31)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31a)와 광원부(3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31a)는 영상을 전기신호로 출력하며,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고, 광원부(31b)는 카메라(31a)가 촬영하는 영역에 조명을 제공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영상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하게 한다.
USB 커넥터(32)는 모바일 디바이스(40)의 USB 단자(43)에 접속하여 내시경 카메라(30)로 전원을 공급하고, 모바일 디바이스(40)와 내시경 카메라(3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한다.
구체적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3)는 카메라 모듈(31)로 동작 제어신호의 출력과 함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USB 커넥터(32)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40)와 접속하여 USB 데이터 통신시 USB 호스트-클라이언트로 동작하며, 카메라(31)가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바일 디바이스(4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사각 형상의 하우징에 스위치부(33a), 데이터 통신부(33b), USB 호스트 제어부(33c), 카메라 제어부(33d) 및 배터리(33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위치부(33a)는 제어부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예를 들면, 카메라(33a)의 전원 온/오프, 줌인/아웃, 광원부(31b)의 온/오프 등의 동작신호를 입력받는 구성으로서, 버튼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통신부(33b)는 USB 커넥터(32)를 통해 접속된 모바일 디바이스(40)와 USB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이다.
USB 통신 제어부(33c)는 내시경 카메라(30)가 모바일 디바이스(40)와 접속하여 USB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USB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40)로 USB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USB 통신 제어부(33c)는 접속된 모바일 디바이스(40)로 USB 접속신호를 출력한 다음에, 모바일 디바이스(40)가 USB 호스트 신호를 출력하면 USB 클라이언트로 기능하도록 하고, 모바일 디바이스(40)가 USB 클라이언트 신호를 출력하면, USB 호스트로 기능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40)와 USB 통신이 이루어지게 한다.
카메라 제어부(33d)는 사용자가 스위치부(33a)를 통해 동작 신호를 입력하면 카메라의 온/오프, 줌 인/아웃, 광원부(31b)의 온/오프 등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33d)는 USB 커넥터(32)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40)와 접속한 경우, 미리 설정된 플러그 앤 플레이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0)에 제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40)에 내시경 카메라의 동작을 위해 설치된 애플리케이션(42)을 실행시킨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33d)는 카메라 모듈(31)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데이터 통신부(33b)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4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배터리(33e)는 내시경 카메라(30)에 전원을 공급하며, USB 커넥터(3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충전되고, 충전된 전원을 내시경 카메라(30)로 공급함으로써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블(34)은 카메라 모듈(31)과 USB 커넥터(32)와 제어부(33)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 USB 데이터 신호 및 영상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연결하며, 이때, 외부에 보호용 피복이 설치되고, 임의의 방향으로 굴절되도록 주름진 형태의 피복이 설치되어 카메라 모듈(31)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려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결국,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에 따르면, 내시경 카메라를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육안으로 쉽게 볼 수 없는 부분을 자유롭게 촬영 및 저장할 수 있고,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내시경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 정보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의 경우, 자갈도상이 포설된 철도터널의 배수구 점검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으며, 예를 들면, 자갈도상이 포설된 철도터널 배수구 점검 시 점검자는 자갈도상을 걷어내고 배수구 덮개를 열어서 배수구 막힘을 조사해야 하므로 별도의 내시경 장치와 배수구를 결합시키는 결합장치가 필요하다는 제약이 따른다.
한편, 내시경 장치의 결합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0-0041039호에는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조사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 장치(50)의 구조를 살펴보면, 우선, 진공 상태인 상수도관로(60)는 그 재질이 주로 닥타일 주철관, 주철관, 강관, 염화비닐관 또는 폴리에틸렌관 등이고, 그 내부는 노후되면서 부식되거나 관석이 발생할 수도 있고, 또한, 피복의 이탈, 모르타르 찌꺼기, 고무패킹의 이탈, 토양의 침투 등의 이물질이 침전되기도 하며 누수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관로 내부의 상황을 정확히 관찰 조사하기 위해 관로 내부로 투입되는 내시경 카메라가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51)에 연결되고, 그 영상을 외부에서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모니터가 구비된다.
케이블(21)이 연결된 내시경 카메라는 제1 및 제2 내시경 삽입관(52, 54)을 관통하게 되는데, 수도공급의 중단없이 관로 내부의 관찰 조사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제1 내시경 삽입관(52)의 상단에는 수압에 의해 내시경 삽입관(52, 54)을 통해 상승하는 물의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관통된 케이블(51)에 밀착되는, 제2 패킹이 필요하고, 내시경 삽입관(52, 54)의 압입과 인출을 위한 손잡이(52a)가 구비되며, 내시경 삽입시에 상수관로(60) 내에서 상승하는 역류수를 배출하기 위해 노즐, 체크밸브 또는 퇴수밸브와 같은 제2 배수수단(52b)이 일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내시경 삽입관(52)의 하단과 제2 내시경 삽입관(54)의 상단에는 나사산과 같은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결합하고, 제2 내시경 삽입관(54)의 하단에는 내시경 카메라 지지대가 구비되어 있는데, 내시경 카메라 지지대는 상수관로(60) 내부로 투입되고 내시경 카메라가 진행하는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로 굽어있도록 형성된다.
제2 내시경 삽입관(54)의 외주연상의 일정한 위치에 돌출구와 같은 고정수단을 두어 그 고정수단에 제1 패킹이 밀착 고정되는데, 제1 패킹은 플랜지 단관(55)의 내경에 밀착하여 수압에 의해 상승하는 상수관로(60) 내의 물의 누수를 차단하게 된다.
플랜지 단관(55)의 양단에는 제2 내시경 삽입관(54)이 관통하는 플랜지(55a)가 구비되고, 내시경 삽입시에 상수관로(60) 내에서 상승하는 역류수를 배출하기 위해 노즐, 체크밸브 또는 퇴수밸브와 같은 제1 배수수단(55b)이 일측면에 구비된다.
한편, 상수도관이 깊이 매설되어 긴 제1 내시경 삽입관(52)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내시경 삽입관(52, 54)의 압입시 제1 내시경 삽입관(52)이 휘게 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양단에 상기 제1 및 제2 내시경 삽입관(52, 54)이 관통하는 플랜지(53a, 53c)가 구비되고, 플랜지 상호간에는 고정대(53b)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의 플랜지(53c)는 플랜지 단관(55)의 상단 플랜지(53a)와 결합하는 내시경 삽입관 지지대(53)가 설치될 수도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 장치에 따르면, 관로 내에 내시경 카메라를 삽입함으로써 수도공급의 중단 없이 관로 내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수도공급의 중단없이 관로 내의 침전물을 인출하여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전물의 성분 분석을 행하여 해당 관로에 대한 하자원인과 대처방법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 장치의 경우, 수도공급의 중단없이 관로 내의 침전물을 인출할 수 있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자갈도상이 포설된 철도터널의 배수구 점검에 사용하기 어렵다. 특히, 이물질의 제거가 필요한 경우마다 해체 작업을 실시하기 어렵다는 한게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77936호(등록일: 2014년 3월 19일), 발명의 명칭: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498791호(등록일: 2015년 2월 26일), 발명의 명칭: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736811호(등록일: 2007년 7월 2일), 발명의 명칭: "내시경을 이용한 말뚝의 안전점검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824621호(등록일: 2018년 1월 26일), 발명의 명칭: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0-0041039호(공개일: 2010년 4월 22일), 발명의 명칭: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조사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4-0137119호(공개일: 2014년 12월 2일), 발명의 명칭: "외단열 벽체의 결로 방지 및 배수 시스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갈도상으로 덮인 철도터널의 배수구 점검시, 점검자 단말과 연결된 내시경 장치를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파이프 구조체를 배수구 상에 고정 설치해둠으로써 자갈도상을 걷어내지 않고도 상시로 배수구 막힘을 점검할 수 있는,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파이프 구조체의 몸통부 측면에 지지 브래킷을 결합함으로써 파이프 구조체를 배수구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열차 통과시 풍하중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은, 자갈도상이 포설된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으로서, 철도터널 내부의 배수구 상부에 결합 고정되며, 내시경 장치의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통로가 형성된 파이프 구조체; 상기 파이프 구조체에 형성된 내부통로를 따라 상기 배수구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배수구 내부를 촬영하는 내시경 장치; 및 배수구 막힘 점검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로서, 상기 내시경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내시경 장치가 구동되도록 조작하고, 상기 내시경 장치가 촬영한 배수구 촬영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상기 배수구의 막힘을 확인하는 점검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 구조체는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을 위해 상기 자갈도상을 제거한 후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 구조체의 설치 완료시 상기 자갈도상을 재포설한 상태에서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을 점검하며, 상기 파이프 구조체는,
배수구 동해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구 덮개와 덮개 사이의 공간 상부에 파이프 구조체가 설치될 수 있도록 파이프 구조체의 최하단부에서 상기 배수구와 볼트 체결되거나, 실리콘 접착되어 고정되는 하부 결합판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방열재; 및 철도터널 내부가 어두운 경우 점검자가 배수구 상부에 설치된 파이프 구조체를 찾을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구조체의 몸통부 상단이나 상기 몸통부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캡부재의 외주면에 각각 부착 설치되는 반사 스티커;를 를 포함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 구조체는, 상기 하부 결합판 상면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자갈도상에 매립되며, 상기 내시경 장치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통로가 형성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 구조체를 상기 배수구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지지 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브래킷에 의해 상기 파이프 구조체가 고정됨으로써 열차 통과시 풍하중에 대해 저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 구조체는, 배수구 동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결합판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방열재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방열재는 스티로폼일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내시경 장치는, 점검자 단말의 구동 조작부로부터 카메라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내시경 카메라를 구동하는 카메라 구동부; 상기 카메라 구동신호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면서 배수구 내부를 촬영하는 내시경 카메라; 및 어두운 배수구의 촬영을 위해 상기 내시경 카메라에게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방법은, 자갈도상이 포설된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방법으로서, a) 철도터널 내에 설치된 배수구 사이의 공간 상부에 파이프 구조체를 체결 고정하는 단계; b) 상기 파이프 구조체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자갈도상을 재포설하는 단계; c)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을 위해 점검자 단말에 연결된 내시경 장치를 상기 파이프 구조체에 형성된 내부통로를 따라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점검자 단말(130)의 제어하에 상기 내시경 장치의 조명부를 구동하고, 내시경 카메라의 촬영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e) 상기 점검자 단말의 제어하에 상기 내시경 카메라를 통해 상기 배수구 내부를 촬영하는 단계; 및 f) 상기 점검자 단말이 상기 촬영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배수구 내의 막힘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의 파이프 구조체는, 배수구 동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결합판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방열재; 및 철도터널 내부가 어두운 경우 점검자가 배수구 상부에 설치된 파이프 구조체를 찾을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구조체의 몸통부 상단이나 상기 캡부재의 외주면에 각각 부착 설치되는 반사 스티커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의 파이프 구조체는, 배수구 동해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구 덮개와 덮개 사이의 공간 상부에 파이프 구조체가 설치될 수 있도록 파이프 구조체의 최하단부에서 상기 배수구와 볼트 체결되거나, 실리콘 접착되어 고정되는 하부 결합판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방열재; 및 철도터널 내부가 어두운 경우 점검자가 배수구 상부에 설치된 파이프 구조체를 찾을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구조체의 몸통부 상단이나 상기 몸통부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캡부재의 외주면에 각각 부착 설치되는 반사 스티커를 포함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에서 철도터널의 배수구 상부에 포설된 자갈도상을 제거한 후, 상기 파이프 구조체를 상기 배수구 상부에 체결 고정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방법은, g) 상기 내시경 장치를 회수한 후 상기 파이프 구조체의 상부 캡부재로 덮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배수구의 차기 점검시 상기 캡부재를 열고 상기 점검자 단말에 연결된 내시경 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배수구를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갈도상으로 덮인 철도터널의 배수구 점검을 위해, 점검자 단말과 연결된 내시경 장치를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파이프 구조체를 배수구 상에 고정 설치해둠으로써 자갈도상을 걷어내지 않고도 상시로 배수구 막힘을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 구조체의 몸통부 측면에 지지 브래킷을 결합함으로써 파이프 구조체를 배수구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열차 통과시 풍하중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터널 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와 부분확대도이다.
도 2는 통상적인 터널배수 방식을 나타내는 철도터널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산업용 내시경 카메라를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4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의 내시경 카메라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에서 파이프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파이프 구조체의 조립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10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에서 파이프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파이프 구조체의 조립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100)은, 자갈도상이 포설된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으로서, 파이프 구조체(110), 내시경 장치(120) 및 점검자 단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이프 구조체(110)는 철도터널 내부의 배수구(220) 상부에 결합 고정되며, 내시경 장치(120)의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내시경 삽입 가이드로서 내부통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는 사각형 파이프이거나 원통형 파이프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내시경 장치(120)는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에 형성된 내부통로를 따라 상기 배수구(220)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배수구(220) 내부를 촬영한다.
점검자 단말(130)은 배수구 막힘 점검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로서, 상기 내시경 장치(120)와 연결되어 상기 내시경 장치(120)가 구동되도록 조작하고, 상기 내시경 장치(120)가 촬영한 배수구 촬영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상기 배수구(220)의 막힘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100)은, 최초의 배수구(220) 점검시 자갈도상(210)을 걷어내고, 배수구(220) 덮개와 덮개 사이의 공간(220h)에 파이프 구조체(110)를 설치하고,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의 내부통로를 따라 내시경 장치(120)가 연결된 점검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철도터널 배수구(220) 내에 막힘을 조사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 상면에 캡부재(114)가 구비되며, 상기 점검자 단말(130)은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는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을 위해 상기 자갈도상(210)을 제거한 후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의 설치 완료시 상기 자갈도상(210)을 재포설한 상태에서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을 점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검자 단말(130)에는 연장 케이블을 통해 내시경 장치(120)가 연결되며, 상기 내시경 장치(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구동부(121), 내시경 카메라(122) 및 조명부(123)를 포함하며, 배수구(220) 점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배수구(220) 상부에 파이프 구조체(110)가 설치됨에 따라 차후 자갈도상을 다시 걷어낼 필요가 없이 상시적으로 배수구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시경 장치(120)는 케이블을 통해 점검자 단말(130)에 연결되며, 예를 들면, 상기 점검자 단말(130)의 USB 포트와 결합하여, 상기 내시경 장치(120)가 상기 점검자 단말(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점검자 단말(130)의 카메라 구동신호에 따라 배수구(220) 내부를 촬영하며, 촬영된 데이터는 상기 점검자 단말(130)에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는, 하부 결합판(111), 방열재(112), 몸통부(113), 캡부재(114), 반사 스티커(115) 및 지지 브래킷(116)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수구(220) 덮개와 덮개 사이의 공간(220h) 상부에 파이프 구조체(110)가 설치되며, 파이프 구조체(110)의 최하단부인 하부 결합판(111)은 배수구(220)와 볼트 체결되거나, 실리콘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방열재(112)는 배수구 동해를 방지하기 위해 파이프 구조체(110)의 하부 결합판(111)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예를 들면, 상기 방열재(112)는 스티로폼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파이프 구조체(110)의 최하단부인 하부 결합판(111) 상면으로는 파이프 구조체(110)의 몸통부(113)가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몸통부(113)의 상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상기 자갈도상(210)에 매립되며, 이때, 상기 몸통부(113)의 외주면으로 지지 브래킷(116)이 설치됨에 따라 열차 통과시 풍하중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
파이프 구조체(110)의 몸통부에 해당하는 몸통부(113) 상면에는 캡부재(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캡부재(114)와 상기 몸통부(113)의 외주면에는 반사 스티커(115)가 부착되어 있어, 작업자는 어두운 터널 내부에서도 배수구(220)에 설치된 파이프 구조체(110)를 용이하게 찾아내며, 배수구(220) 막힘을 점검할 수 있다.
반사 스티커(115)는 철도터널 내부가 어두운 경우 점검자가 배수구(220) 상부에 설치된 파이프 구조체(110)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의 몸통부(113) 상단이나 상기 캡부재(114)의 외주면에 각각 부착 설치된다.
지지 브래킷(116)은 열차가 철도터널 내부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풍하중에 저항하기 위한 부재로서, 파이프 구조체(110)의 몸통부(113) 측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 브래킷(116)에 의해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가 배수구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후속적인 배수구(220) 막힘 확인 작업은, 상기 캡부재(114)를 열고 그 내부로 내시경 카메라 및 조명부가 구비된 내시경 장치(120)를 삽입하여 상기 배수구(220)를 확인하며, 이때, 상기 내시경 장치(120)는 점검자 단말(130)과 연결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배수구(220)를 점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100)은, 파이프 구조체(110), 내시경 장치(120) 및 점검자 단말(130)을 포함하되, 상기 내시경 장치(120)는 카메라 구동부(121), 내시경 카메라(122) 및 조명부(1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점검자 단말(130)은 구동 조작부(131), 데이터 수집부(132), 데이터 처리 및 분석부(133) 및 배수구 막힘 확인부(134)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내시경 장치(120)의 카메라 구동부(121)는 점검자 단말(130)의 구동 조작부(131)로부터 카메라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내시경 카메라(122)를 구동한다.
내시경 장치(120)의 내시경 카메라(122)는 상기 카메라 구동신호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면서 배수구(220) 내부를 촬영한다.
내시경 장치(120)의 조명부(123)는 어두운 배수구(220)의 촬영을 위해 상기 내시경 카메라(122)에게 조명을 제공하며, 예를 들면, 상기 점검자 단말(130)의 구동 조작부(131)로부터 조명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조명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 구동부(121)가 상기 내시경 카메라(122)를 구동할 때 조명을 제공한다.
점검자 단말(130)의 구동 조작부(131)는 상기 내시경 장치(120)의 내시경 카메라(122)를 통해 배수구(22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점검자 단말(130)과 상기 내시경 장치(120)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통해 카메라 구동신호를 전송한다.
점검자 단말(130)의 데이터 수집부(132)는 상기 내시경 장치(120)의 내시경 카메라(122)를 통해 배수구(220)를 촬영된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점검자 단말(130)의 데이터 처리 및 분석부(133)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32)에서 수집된 배수구 촬영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배수구(220) 내부의 막힘 상태를 분석한다.
점검자 단말(130)의 배수구 막힘 확인부(134)는 상기 데이터 처리 및 분석부(133)의 분석 결과에 따라 후속 처리를 위해 배수구(220) 막힘을 확인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최초 파이프 구조체(110) 설치시에 자갈도상(210)을 걷어내고, 배수구(220) 덮개와 덮개 사이의 공간(220h)에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를 설치하고,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의 내부통로를 따라 상기 점검자 단말(130)에 연결된 내시경 장치(120)을 이용하여 배수구(220) 내의 막힘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를 설치한 후 차기 점검시에는, 기설치된 파이프 구조체(110)를 이용함으로써 자갈도상(210)을 다시 걷어내는 수고를 줄일 수 있으며, 상시적으로 배수구(220) 막힘을 점검할 수 있다.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방법]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방법은, 자갈도상이 포설된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방법으로서, 철도터널의 배수구(220) 상부에 포설된 자갈도상(210)을 제거한다(S110)
다음으로, 철도터널 내에 설치되는 배수구(220) 상부에 파이프 구조체(110)를 체결 고정한다(S120).
다음으로,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자갈도상(210)을 재포설한다(S130).
다음으로,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을 위해 점검자 단말(130)에 연결된 내시경 장치(120)를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에 형성된 내부통로를 따라 삽입한다(S140).
다음으로, 상기 점검자 단말(130)의 제어하에 상기 내시경 장치(120)의 조명부(123)를 구동하고, 내시경 카메라(122)의 촬영위치를 조정한다(S150).
다음으로, 상기 점검자 단말의 제어하에 상기 내시경 카메라(122)를 통해 상기 배수구(220) 내부를 촬영한다(S160).
다음으로, 상기 점검자 단말(130)이 상기 촬영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배수구(220) 내의 막힘을 확인한다(S170).
다음으로, 상기 내시경 장치(120)를 회수한 후,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의 상부 캡부재(114)로 덮는다(S180). 이에 따라, 상기 배수구(220)의 다음 점검시에는 상기 캡부재(114)를 열고 상기 내시경 장치(120)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배수구(220)를 점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이프 구조체(110)의 최하단부에서 하부 결합판(111)은 배수구(220)와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며, 이때, 최하단부에서 상기 하부 결합판(111)은 스티로폼 등의 방열재(112)가 감사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배수구(220)의 동해를 방지한다. 또한, 파이프 구조체(110)의 몸통부(113)는 외주면으로 지지 브래킷(116)이 설치됨에 따라 열차 통과시 풍하중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의 몸통부(113) 상면에는 캡부재(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캡부재(114)와 몸통부(113) 외주면에는 반사 스티커(115)가 부착된다.
특히, 파이프 몸통부(113)는 외주면으로지지 브래킷이 설치됨에 따라 열차 통과시 풍하중에 대해 저항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파이프 구조체(110)를 배수구(220) 상부에 고정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갈도상으로 덮인 철도터널의 배수구 점검을 위해, 점검자 단말과 연결된 내시경 장치를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파이프 구조체를 배수구 상에 고정 설치해둠으로써 자갈도상을 걷어내지 않고도 상시로 배수구 막힘을 점검할 수 있으며, 또한, 파이프 구조체의 몸통부 측면에 지지 브래킷을 결합함으로써 파이프 구조체를 배수구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열차 통과시 풍하중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110: 파이프 구조체
111: 하부 결합판 112: 방열재
113: 몸통부 114: 캡부재
115: 반사 스티커 116: 지지 브래킷
120: 내시경 장치
121: 카메라 구동부 122: 내시경 카메라
123: 조명부
130: 점검자 단말(스마트폰)
131: 구동 조작부 132: 데이터 수집부 133: 데이터 처리 및 분석부 134: 배수구 막힘 확인부
210: 자갈도상 220: 배수구 220h: 배수구 덮개와 덮개 사이의 공간

Claims (10)

  1. 자갈도상이 포설된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에 있어서,
    철도터널 내부의 배수구(220) 상부에 결합 고정되며, 내시경 장치(120)의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통로가 형성된 파이프 구조체(110);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에 형성된 내부통로를 따라 상기 배수구(220)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배수구(220) 내부를 촬영하는 내시경 장치(120); 및
    배수구 막힘 점검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로서, 상기 내시경 장치(120)와 연결되어 상기 내시경 장치(120)가 구동되도록 조작하고, 상기 내시경 장치(120)가 촬영한 배수구 촬영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상기 배수구(220)의 막힘을 확인하는 점검자 단말(130)을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는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을 위해 상기 자갈도상(210)을 제거한 후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의 설치 완료시 상기 자갈도상(210)을 재포설한 상태에서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을 점검하며,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는,
    배수구(220) 동해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구(220) 덮개와 덮개 사이의 공간(220h) 상부에 파이프 구조체(1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파이프 구조체(110)의 최하단부에서 상기 배수구(220)와 볼트 체결되거나, 실리콘 접착되어 고정되는 하부 결합판(111)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방열재(112); 및 철도터널 내부가 어두운 경우 점검자가 배수구(220) 상부에 설치된 파이프 구조체(110)를 찾을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의 몸통부(113) 상단이나 상기 몸통부(113)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캡부재(114)의 외주면에 각각 부착 설치되는 반사 스티커(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는,
    상기 하부 결합판(111) 상면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자갈도상(210)에 매립되며, 상기 내시경 장치(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통로가 형성된 몸통부(113); 및 상기 몸통부(113)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를 상기 배수구(220)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지지 브래킷(116);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브래킷(116)에 의해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가 고정됨으로써 열차 통과시 풍하중에 대해 저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는, 철도터널 내부가 어두운 경우 점검자가 배수구(220) 상부에 설치된 파이프 구조체(110)를 찾을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의 몸통부(113) 상단이나 상기 캡부재(114)의 외주면에 각각 부착 설치되는 반사 스티커(115)를 추가로 포함하는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장치(120)는,
    점검자 단말(130)의 구동 조작부(131)로부터 카메라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내시경 카메라(122)를 구동하는 카메라 구동부(121);
    상기 카메라 구동신호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면서 배수구(220) 내부를 촬영하는 내시경 카메라(122); 및
    어두운 배수구(220)의 촬영을 위해 상기 내시경 카메라(122)에게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123)를 포함하는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6. 자갈도상이 포설된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방법에 있어서,
    a) 철도터널 내에 설치된 배수구 덮개와 덮개 사이의 공간(220h) 상부에 파이프 구조체(110)를 체결 고정하는 단계;
    b)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자갈도상(210)을 재포설하는 단계;
    c) 철도터널의 배수구(220) 막힘 점검을 위해 점검자 단말(130)에 연결된 내시경 장치(120)를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에 형성된 내부통로를 따라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점검자 단말(130)의 제어하에 상기 내시경 장치(120)의 조명부(123)를 구동하고, 내시경 카메라(122)의 촬영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e) 상기 점검자 단말의 제어하에 상기 내시경 카메라(122)를 통해 상기 배수구(220) 내부를 촬영하는 단계; 및
    f) 상기 점검자 단말(130)이 상기 촬영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배수구(220) 내의 막힘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의 파이프 구조체(110)는, 배수구(220) 동해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구(220) 덮개와 덮개 사이의 공간(220h) 상부에 파이프 구조체(1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파이프 구조체(110)의 최하단부에서 상기 배수구(220)와 볼트 체결되거나, 실리콘 접착되어 고정되는 하부 결합판(111)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방열재(112); 및 철도터널 내부가 어두운 경우 점검자가 배수구(220) 상부에 설치된 파이프 구조체(110)를 찾을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의 몸통부(113) 상단이나 상기 몸통부(113)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캡부재(114)의 외주면에 각각 부착 설치되는 반사 스티커(115)를 포함하는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는,
    상기 하부 결합판(111) 상면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자갈도상(210)에 매립되며, 상기 내시경 장치(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통로가 형성된 몸통부(113); 및 상기 몸통부(113)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를 상기 배수구(220)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지지 브래킷(116)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브래킷(116)에 의해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가 고정됨으로써 열차 통과시 풍하중에 대해 저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방법.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철도터널의 배수구(220) 상부에 포설된 자갈도상(210)을 제거한 후,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를 상기 배수구(220) 상부에 체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g) 상기 내시경 장치(120)를 회수한 후 상기 파이프 구조체(110)의 상부 캡부재(114)로 덮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배수구(220)의 차기 점검시 상기 캡부재(114)를 열고 상기 점검자 단말(130)에 연결된 내시경 장치(120)를 삽입하여 상기 배수구(220)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방법.
KR1020220130706A 2022-10-12 2022-10-12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36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706A KR102536883B1 (ko) 2022-10-12 2022-10-12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706A KR102536883B1 (ko) 2022-10-12 2022-10-12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883B1 true KR102536883B1 (ko) 2023-05-26

Family

ID=86536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706A KR102536883B1 (ko) 2022-10-12 2022-10-12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883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11B1 (ko) 2007-04-09 2007-07-09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내시경을 이용한 말뚝의 안전점검장치
KR20100041039A (ko) 2008-10-13 2010-04-22 (주) 트랜디온아이앤씨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조사방법
KR101291126B1 (ko) * 2011-10-26 2013-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단열구조
KR101377936B1 (ko) 2012-10-31 2014-03-25 곽상웅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
KR20140137119A (ko) 2013-05-22 2014-12-02 (주)한국바로코 외단열 벽체의 결로 방지 및 배수 시스템
KR101498791B1 (ko) 2013-06-13 2015-03-06 왕용진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KR200482213Y1 (ko) * 2015-10-27 2016-12-29 최승윤 세이프티 엔드 캡
KR101824621B1 (ko) 2017-07-12 2018-03-14 다윤이엔씨 주식회사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
KR102171112B1 (ko) * 2019-10-24 2020-10-28 필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
KR102286152B1 (ko) * 2020-11-12 2021-08-05 주식회사 선경설비 오수 배수관 촬영 장치
KR102322565B1 (ko) * 2020-10-13 2021-11-08 주식회사 더온써브 매설관 내부 정보 수집용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11B1 (ko) 2007-04-09 2007-07-09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내시경을 이용한 말뚝의 안전점검장치
KR20100041039A (ko) 2008-10-13 2010-04-22 (주) 트랜디온아이앤씨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조사방법
KR101291126B1 (ko) * 2011-10-26 2013-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단열구조
KR101377936B1 (ko) 2012-10-31 2014-03-25 곽상웅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
KR20140137119A (ko) 2013-05-22 2014-12-02 (주)한국바로코 외단열 벽체의 결로 방지 및 배수 시스템
KR101498791B1 (ko) 2013-06-13 2015-03-06 왕용진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KR200482213Y1 (ko) * 2015-10-27 2016-12-29 최승윤 세이프티 엔드 캡
KR101824621B1 (ko) 2017-07-12 2018-03-14 다윤이엔씨 주식회사 구조물 탄산화 점검장치
KR102171112B1 (ko) * 2019-10-24 2020-10-28 필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
KR102322565B1 (ko) * 2020-10-13 2021-11-08 주식회사 더온써브 매설관 내부 정보 수집용 모니터링 장치
KR102286152B1 (ko) * 2020-11-12 2021-08-05 주식회사 선경설비 오수 배수관 촬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7311B2 (en) Remote pipe inspection using a mounted camera and sensor
KR101039316B1 (ko) 터널 배수 구조물
KR101205500B1 (ko)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
KR102536883B1 (ko)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054203A (ja) 建物の排水管配管構造
KR101027380B1 (ko) 터널 배수 시스템 고정장치
CN109577337A (zh) 排水管线的深基坑施工方法
Benson et al. Test section installation instructions–alternative cover assessment program
US20190186118A1 (en) An arrangement for a sewerage system comprising a french drain
Atalah The effect of pipe bursting on nearby utilities, pavement, and structures
Garcia et al. Rehabilitation alternatives for concrete and brick sewers
CN108222213A (zh) 分析强排系统接河分布的方法及系统
CN114086584A (zh) 可清理双管仰斜式排水管结构及其施工方法
JP2011106113A (ja) 下水道管路における異常水浸入場所の特定方法
KR102104710B1 (ko) 지중매설 상수도관의 부단수 비개착 교체방법
TWI770859B (zh) 下水道管渠入流入滲流量自動監測系統
KR102440966B1 (ko)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87581Y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US11873940B2 (en) Cured in place pipe system having a sensor
CN214246015U (zh) 一种用于沟渠底敷管的检查系统
US20240183478A1 (en) Cured in place pipe system having a sensor
Snead et al. Leaks Found and Fixed Using Analytical and Location Resources
Sullivan et al. Multi-Sensor Inspection
JP3724734B2 (ja) 地下空洞充填工法
Budzilek et al. Evaluation of City of Elyria Neighborhood's I/I Iss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