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966B1 -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966B1
KR102440966B1 KR1020220019310A KR20220019310A KR102440966B1 KR 102440966 B1 KR102440966 B1 KR 102440966B1 KR 1020220019310 A KR1020220019310 A KR 1020220019310A KR 20220019310 A KR20220019310 A KR 20220019310A KR 102440966 B1 KR102440966 B1 KR 102440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inlet pipe
connection
shear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이근
Original Assignee
(주)지오알앤디
박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알앤디, 박이근 filed Critical (주)지오알앤디
Priority to KR1020220019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2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by placing or applying sealing subst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현장타설말뚝 공사 후 타설한 콘크리트 구체가 경화된 다음 구체 내에 빈 공간 등이 형성되거나 균열이 발생하여 구체의 기능이 상실 또는 저하된 경우를 확인할 수 있고 구체 불량구간과 주변지반의 공극을 채움할 수 있으며,서로 이웃하는 구체와 구체 사이 부분의 차수를 위해 플렉시블부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가시설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장타설말뚝 시공이 완료된 후 기설치된 품질검사용부재를 통하여 공기나 물 또는 그라우트를 타설시킴으로서 현장타설말뚝 내의 빈 공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빈 공간 내로 그라우트 등의 보강주입재를 주입함으로써 말뚝 구체와 주변지반의 빈 공간까지 채워 넣음으로써 구체와 주변지반 또는 차수유입 구간을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시설 자체가 지하연속벽체로 쓰임으로서 지하공간의 확보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Underground continuous wall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emporary facilities including quality inspection and water shielding components}
본 발명은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현장타설말뚝 공사 후 타설한 콘크리트 구체가 경화된 다음 구체 내에 빈 공간 등이 형성되거나 균열이 발생하여 구체의 기능이 상실 또는 저하된 경우를 확인할 수 있고 구체 불량구간과 주변지반의 공극을 채움할 수 있으며,서로 이웃하는 구체와 구체 사이 부분의 차수를 위해 플렉시블부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가시설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CIP(Cast In Placed Pile) 공법은 현장에서 구조물의 말뚝기초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말뚝기초 시공을 위한 천공경 내에 말뚝기초의 부재를 삽입하고 레미콘을 타설한 후 경화시간을 기다려 말뚝기초를 현장에서 시공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주열식으로 시공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굴착공사시 굴착으로 인한 주변의 지반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 벽체를 구축하는 공법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지반굴착 이전에 어스오거 등의 대구경 천공기로 필요한 깊이까지 천공한 후, 천공한 공 내에 현장콘크리트 말뚝을 연속하여 지중에 설치하여 주열식으로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CIP공법은 지반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거의 모든 지반에 적용이 가능하며, 굴착이 완료되어 지하구조물을 구축할 때 지하 외부옹벽과의 합벽이 가능하고, 지하구조물을 근접하여 시공할 수 있어 터파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대지 내 지하구조물의 구축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어 토지이용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반의 조건으로 지중에서 물이 유동하거나 자갈, 전석 등의 암석, 암괴가 있는 경우에는 현장에서 타설한 레미콘이 천공경 내에 머무르지 않고 주변지반으로 흘러들어 요구되던 콘크리트 구체가 형성되지 않고 공극이 함께 형성되어 말뚝기초 또는 흙막이벽체로서의 기능을 기대할 수 없게 됨으로써 말뚝기초의 지지력이 확보되지 않거나 굴착시 누수, 유출수로 인해 큰 피해를 일으켜 이를 보강하는 공사를 별도로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그 비용은 막대하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현장타설말뚝 시공시 검측공을 별도 설치하여 타설하고 경화 후에는 그 품질을 확인하기 위해 건전도시험을 수행하는 기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시험후 불량구간에 대해 보강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천공, 그라우팅을 실시하여야 하는 기법으로 시험, 천공, 그라우팅을 실시하여야 하는 함으로써 많은 시간과 큰 비용이 발생하게 되어 개선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77604호 (2019.05.0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12718호 (2017.12.20)
본 발명은 현장타설말뚝 시공이 완료된 후 기설치된 품질검사용부재를 통하여 공기나 물 또는 그라우트를 타설시킴으로서 현장타설말뚝 내의 빈 공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빈 공간 내로 그라우트 등의 보강주입재를 주입함으로써 말뚝 구체와 주변지반의 빈 공간까지 채워 넣음으로써 구체와 주변지반 또는 차수유입 구간을 보강하기 위한 목적이다.
또한 가시설 자체가 지하연속벽체로 쓰임으로서 지하공간의 확보에 유리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30) 사이에 웨브(120)가 위치하여 H형태로 형성되는 H빔말뚝부(100)와,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와,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타측단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와,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의 철근몸체부(510)가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철근몸체부(510)를 고정하기 위해 철근몸체부(5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철근고정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말뚝부(500)와, 상기 철근말뚝부(5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소정 크기의 판상형상으로 형성되되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의 관통부(710)가 형성되는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제1분리형성판(700)의 관통부(710)에 관통하여 체결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는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H빔연결부(310)와, 상기 제1H빔연결부(310)의 일측과 결합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1전단연결재체결부(320)를 포함하고,상기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는 제2플랜지(130)의 타측단에 결합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H빔연결부(410)와, 상기 제1H빔연결부(310)의 타측과 결합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2전단연결재체결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는 일측이 제1전단연결재(9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제1분리형성편(700)의 관통부(710)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와, 상기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을 이용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H빔말뚝부(100)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를 결합하고, 철근말뚝부(500)에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를 결합하는 제1H빔말뚝 및 철근말뚝 조립단계(S11); 천공장치에 케이싱(50)을 부착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제1케이싱천공단계(S12); 상기 제1케이싱천공단계(S12) 이후 지반에 천공된 케이싱(50)의 내부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이 결합된 H빔말뚝부(100)와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이 결합된 철근말뚝부(500)를 근입시키는 제1근입단계(S13);상기 제1근입단계(S13) 이후 케이싱(5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1콘크리트타설단계(S14); 상기 제1콘크리트타설단계(S14) 이후 케이싱(50)을 인발하는 제1케이싱인발단계(S15); 상기 제1케이싱인발단계(S15) 이후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면과 제1분리면형성판(700)의 일측면의 콘크리트 부분을 제거하는 제1면따기단계(S16); 상기 제1면따기단계(S16) 이후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의 제1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322)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의 제2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422)와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를 각각 제거하는 제1마개제거단계(S17); 제1마개제거단계(S17) 이후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의 제1전단연결재수용부(321)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의 제2전단연결재수용부(421)와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 각각에 제1전단연결재(900)가 체결되는 제1전단연결재설치단계(S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공방법과,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30) 사이에 웨브(120)가 위치하여 H형태로 형성되는 H빔말뚝부(100)와,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의 철근몸체부(510)가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철근몸체부(510)를 고정하기 위해 철근몸체부(5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철근고정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말뚝부(500)와, 상기 철근말뚝부(5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소정 크기의 판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2분리면형성판(1000)와, 제2분리면형성판(1000)가 철근말뚝부(500)와 만나는 면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2분리면형성판(1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위치하는 제2전단연결재(1100)와,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위치하는 제3전단연결재(1200)와, 제2분리면형성판(1000)가 철근말뚝부(500)와 만나지 않는 면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2분리면형성판(1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위치하는 제4전단연결재(1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을 포함하는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공방법에 있어서,
H빔말뚝부(100)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를 결합하고, 철근말뚝부(500)에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2분리면형성판(1000)와 제2전단연결재(1100)를 결합하는 제2H빔말뚝 및 철근말뚝 조립단계(S21); 천공장치에 케이싱(50)을 부착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제2케이싱천공단계(S22); 상기 제2케이싱천공단계(S22) 이후 지반에 천공된 케이싱(50)의 내부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가 결합된 H빔말뚝부(100)와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2분리면형성판(1000)와 제2전단연결재(1100)가 결합된 철근말뚝부(500)를 근입시키는 제2근입단계(S23); 상기 제2근입단계(S23) 이후 케이싱(5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콘크리트타설단계(S24); 상기 제2콘크리트타설단계(S24) 이후 케이싱(50)을 인발하는 제2케이싱인발단계(S25); 상기 제2케이싱인발단계(S25) 이후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면과 철근말뚝부(500)에 설치된 제2분리면형성판(1000)의 일측면의 콘크리트 부분을 제거하는 제2면따기단계(S26);상기 제2면따기단계(S26) 이후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의 제3전단연결재(1200)가 연결되고, 제2분리면형성판(1000)의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의 제4전단연결재(1300)가 연결되는 제2전단연결재설치단계(S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현장타설말뚝 시공이 완료된 후 기설치된 품질검사용부재를 통하여 공기나 물 또는 그라우트를 타설시킴으로서 현장타설말뚝 내의 빈 공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빈 공간 내로 그라우트 등의 보강주입재를 주입함으로써 말뚝 구체와 주변지반의 빈 공간까지 채워 넣음으로써 구체와 주변지반 또는 차수유입 구간을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시설 자체가 지하연속벽체로 쓰임으로서 지하공간의 확보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의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의 제1품질확인공간테이핑부(270)가 떨어져나가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품질확인공간테이핑부(270)가 떨어진 후 제1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200)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콘크리트가 빠져나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차수를 위해 제1플렉시블부재(250)를 통해 공기 또는 콘크리트가 분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제1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200), 제2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600)를 통해 차수되는 모습을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1H빔말뚝 및 철근말뚝 조립단계(S11)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1케이싱천공단계(S12)와 제1근입단계(S13)에 관한 도면이다.
도 14,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1콘크리트타설단계(S14), 제1케이싱인발단계(S15)에 관한 도면이다.
도 16,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1면따기단계(S16)에 관한 도면이다.
도 18,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1마개제거단계(S17)에 관한 도면이다.
도20,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1전단연결재설치단계(S18)에 관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예 2의 제1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200),제2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600) 를 통해 차수되는 모습을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2철근 및 H빔 조립단계(S21)에 관한 도면이다.
도 26,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2케이싱천공단계(S22)와 제2근입단계(S23)에 관한 도면이다.
도 28,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2콘크리트타설단계(S24), 제2케이싱인발단계(S25)에 관한 도면이다.
도 30,3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2면따기단계(S26)에 관한 도면이다.
도 32,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2전단연결재설치단계(S27)에 관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와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3케이싱천공단계(S32)와 제3근입단계(S33)에 관한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3콘크리트타설단계(S34), 제3케이싱인발단계(S35)에 관한 도면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3면따기단계(S36)에 관한 도면이다.
도 40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3마개제거단계(S37)에 관한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3전단연결재설치단계(S38)에 관한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을 적용한 지하연속벽체 형성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현장타설말뚝 공사 후 타설한 콘크리트 구체가 경화된 다음 구체 내에 빈 공간 등이 형성되거나 균열이 발생하여 구체의 기능이 상실 또는 저하된 경우를 확인할 수 있고 구체 불량구간과 주변지반의 공극을 채움할 수 있으며,서로 이웃하는 구체와 구체 사이 부분의 차수를 위해 플렉시블부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가시설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은 3가지 실시예로 나뉘며 실시예별로 각각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에 관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은 H빔말뚝부(100),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 철근말뚝부(500),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제1분리면형성판(700),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 제1전단연결재(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빔말뚝부(100)는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30) 사이에 웨브(120)가 위치하여 H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에 관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의 분해도이다.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는 H빔말뚝부(100)와 같은 현장말뚝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지반의 품질을 검사하고 차수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는 1개만 설치될 수도 있고 다수개가 현장타설말뚝의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설치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 H빔말뚝부(100)의 제1플랜지(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한다.
상기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는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 제1공기유입관(230), 제2공기유입관(240), 제1플렉시블부재(250), 제1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260), 제1품질확인공간테이핑부(270), 제1밀폐마개(280), 제1하단밀폐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는 제1공기유입관(230), 제2공기유입관(240)을 지지하기 위한 관으로서 제1공기유입관(230), 제2공기유입관(240)의 상단 일측과 만나도록 형성되는것이다.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는 제1공기유입관(230), 제2공기유입관(240)을 지지하기 위한 관으로서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현장타설말뚝인 H빔말뚝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는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는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몸체 일측에 위치하되 관통로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1공기유입관(230)은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유입되기 위한 관으로서, 상기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와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와 제1하단밀폐부(290)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제2공기유입관(240)은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유입되기 위한 관으로서, 상기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와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와 제1하단밀폐부(290)의 타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제1차수방지부재관통부(241)는 상기 제2공기유입관(240)의 일측면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되,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가 관통되어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제1플렉시블부재(250)는 일측은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에 체결되고,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통과되도록 관통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제1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260)는 상기 제1플렉시블부재(250)의 일측 구멍에 체결되기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260)는 도 4(a)의 제1볼형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260a)와 같이 는 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b)의 제2코르크형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260b)와 같이 코르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의 입구를 봉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볼형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260a)는 스티로폼, 코르크 등의 부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품질확인공간테이핑부(270)는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공기유입관(230)과 제2공기유입관(240)은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서 형성된 품질확인공간(m)에 부착되는 것으로 빈 공간을 막기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1밀폐마개(280)는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의 상단에 체결되는 것으로 일측이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의 상단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막아두는 임시부재이다.
제1하단밀폐부(290)는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하단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하단이 막힌 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는 하기의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이의 역할과 기능을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콘크리트 구체 내의 불량구간을 확인하는 것에 관한 도면으로, H빔말뚝부(100)의 제1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200)의 제1공기유입관(230)과 제2공기유입관(240)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인 품질확인공간(m)에 부착된 제1공기배출홀테이핑부(270)이 떨어져나가는 모습과, 철근말뚝부(500)의 제2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600)의 제3공기유입관(630)과 제4공기유입관(640)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인 품질확인공간(m)에 부착된 제2공기배출홀테이핑부(670)이 떨어져나가는 모습을 도식화한 도면으로 이를 참고하면, 각 제1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200)와 제2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600) 내에 공기를 주입시키면 지반의 불량구간(12,22)이 위치하는 부분은 제1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200)의 품질확인공간(m)에 부착된 제1공기배출홀테이핑부(270)와 제2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600)의 품질확인공간(m)에 부착된 제2공기배출홀테이핑부(670)가 도 5의 k1방향으로 떨어져 나가게 되어 제1공기배출홀테이핑부(270)와 제2공기배출홀테이핑부(670)가 제거되고 도 6과 같이 k2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된다. 도 7의 상단 확대도는 각 제1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200)와 제2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600)로 공기가 주입되는 모습을 화살표방향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차수불량구간을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제1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200)의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와 제2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600)의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로 공기를 주입시킬 경우(k3 방향으로 공기를 주입) 차수불량구간(L)이 발생된 부분에서 제1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200)의 제1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260)가 제1플렉시블부재(250)로부터 이탈되고 제2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600)의 제2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660)가 제2플렉시블부재(650)로부터 이탈되어 k3과 같이 제1플렉시블부재(250)와 제2플렉시블부재(650)에서 각각 공기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공기유입관에 공기를 주입시 키는 이유는 공기유입관에 공기압을 채움으로서 누기 여부에 따라 콘크리트 구체 내의 불량구간 또는 차수유입부분의 차수불량구간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즉 현장말뚝부재를 시공하고 난 후 레미콘이 천공된 지반 내에 채워져 굳고 난 후 지반이 약하여 레미콘이 채워지지 않거나 유실된 부분인 지반의 불량구간(12)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만일 공기유입관에 공기를 채울 시 지반불량구간(12)이 있는 부분은 공기압으로 인해 각각의 공기배출홀테이핑부가 떨어져 나가서 공기가 바깥으로 배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콘크리트 구체의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차수불량구간 부분은 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가 플렉시블부재로부터 이탈됨으로서 차수 유입부분의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에 관한 도면이다.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는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는 제1H빔연결부(310), 제1전단연결재체결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H빔연결부(310)는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결합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1전단연결재체결부(320)는 상기 제1H빔연결부(310)의 일측과 결합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전단연결재체결부(320)는 제1전단연결재수용부(321)와 제1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322)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제1전단연결재수용부(321)는 일측이 제1전단연결재(9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1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322)는 상기 제1전단연결재수용부(321)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것이다.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는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타측단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이다.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는 제2H빔연결부(410), 제2전단연결재체결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H빔연결부(410)는 제2플랜지(130)의 타측단에 결합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2전단연결재체결부(420)는 상기 제1H빔연결부(310)의 타측과 결합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제2전단연결재체결부(420)는 제2전단연결재수용부(421), 제2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전단연결재수용부(421)는 일측이 제1전단연결재(9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2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422)는 상기 제2전단연결재수용부(421)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것이다.
철근말뚝부(500)는 지반에 천공된 천공홀(10)에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의 철근몸체부(510)가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철근몸체부(510)를 고정하기 위해 철근몸체부(5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철근고정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철근몸체부(510)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되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원형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철근고정부재(520)는 철끈 등의 끈 형상으로 형성되어 철근몸체부(5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는 철근말뚝부(500)와 같은 현장말뚝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지반의 품질을 검사하고 차수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는 철근말뚝부(500)의 일측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는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나 이의 설치 위치가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달리 품질검사 및 차수용 철근말뚝부(200)에 설치되는 것이다.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는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 제3공기유입관(630), 제4공기유입관(640), 제2플렉시블부재(650), 제2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660), 제2품질확인공간테이핑부(670), 제2밀폐마개(680), 제2하단밀폐부(6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는 제3공기유입관(630), 제4공기유입관(640)을 지지하기 위한 관으로서 제3공기유입관(630), 제4공기유입관(640)의 상단과 만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는 제3공기유입관(630), 제4공기유입관(640)을 지지하기 위한 관으로서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의 하부에 위치하되 현장타설말뚝인 철근말뚝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는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는 상기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의 몸체 일측에 위치하되 관통로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3공기유입관(630)은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유입되기 위한 관으로서, 상기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와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와 제2하단밀폐부(690)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제4공기유입관(640)은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유입되기 위한 관으로서, 상기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와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와 제1하단밀폐부(290)의 타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4공기유입관(640)은 제2차수부재관통부(641)을 포함하며 상기 제2차수부재관통부(641)는 제4기유입관(640)의 일측면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되,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의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가 관통되어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제2플렉시블부재(650)는 일측은 상기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의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의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에 체결되고,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통과되도록 관통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제2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660)는 상기 제2플렉시블부재(650)의 일측 구멍에 체결되기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660)는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의 제1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260)와 같이 볼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볼형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660a) 또는 코르크형상인 제2코르크형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660b)로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의 입구를 봉쇄시킬 수 있다
제2품질확인공간테이핑부(670)는 상기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3공기유입관(630)과 제4공기유입관(640)은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서 형성된 품질확인공간(m)에 부착되는 것으로 빈 공간을 막기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2밀폐마개(680)는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의 상단에 체결되는 것으로 일측이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의 상단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막아두는 임시부재이다.
제2하단밀폐부(690)는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하단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하단이 막힌 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1분리면형성판(700)은 상기 철근말뚝부(5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소정 크기의 판상형상으로 형성되되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의 관통부(710)가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분리면형성판(700)은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나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는 제1분리형성판(700)의 관통부(710)에 관통하여 체결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는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는 일측이 제1전단연결재(9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제1분리형성편(700)의 관통부(710)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이다.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는 상기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것이다.
제1전단연결재(900)는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의 제1전단연결재수용부(321)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의 제2전단연결재수용부(421)와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에 각각 체결되는 것이다.
도 20은 제1전단연결재(900)가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에 각각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고하여 제1전단연결재(900)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의 제1전단연결재체결부(320)의 제1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322)가 제1전단연결재수용부(321)로부터 분리된 후 제1전단연결재(900)가 체결되고, 상기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의 제2전단연결재체결부(420)의 제2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422)가 제2전단연결재수용부(421)로부터 분리된 후 제1전단연결재(900)가 체결된다. 또한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가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로부터 분리된 후 제1전단연결재(900)가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을 통해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은 제1H빔말뚝 및 철근말뚝 조립단계(S11), 제1케이싱천공단계(S12), 제1근입단계(S13), 제1콘크리트타설단계(S14), 제1케이싱인발단계(S15), 제1면따기단계(S16), 제1마개제거단계(S17), 제1전단연결재설치단계(S18)의 순서로 진행된다.
각 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1)제1H빔말뚝 및 철근말뚝 조립단계
제1H빔말뚝 및 철근말뚝 조립단계(S11)는 H빔말뚝부(100)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를 결합하고, 철근말뚝부(500)에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도 11은 제1H빔말뚝 및 철근말뚝 조립단계(S11)에 관한 도면으로 H빔말뚝부(100)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를 결합된 모습과, 철근말뚝부(500)에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를 참고하면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는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에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가 나사체결되도록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의 홀 내부 일측은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의 일측은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의 홀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S12)제1케이싱천공단계
제1케이싱천공단계(S12)는 천공장치에 케이싱(50)을 부착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케이싱천공단계(S12)를 통해 천공된 천공홀은 제1천공홀(10)과 상기 제1천공홀(10)과 이웃하도록 위치하는 제2천공홀(20)이라 부르며 제1천공홀(10)과 제2천공홀(20)이 반복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S13)제1근입단계
제1근입단계(S13)는 상기 제1케이싱천공단계(S12) 이후 지반에 천공된 케이싱(50)의 내부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이 결합된 H빔말뚝부(100)와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이 결합된 철근말뚝부(500)를 근입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H빔말뚝부(100)와 철근말뚝부(500)의 근입순서는 공사현장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근입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이 결합된 H빔말뚝(100)을 편의를 위해 H빔말뚝부(100)로 압축적으로 표현하고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이 결합된 철근말뚝부재(500)를 철근말뚝부(500) 단독으로 압축으로 표현한다.
도 12,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1케이싱천공단계(S12)와 제1근입단계(S13)에 관한 도면으로 도면과 같이 케이싱(50) 내에 H빔말뚝부(100)과 철근말뚝부(500)이 근입된다.
S14)제1콘크리트타설단계
제1콘크리트타설단계(S14)는 상기 제1근입단계(S13) 이후 케이싱(5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콘크리트타설단계(S14)는 케이싱(5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소정 시간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시킬 수 있다.
S15)제1케이싱인발단계
제1케이싱인발단계(S15)는 상기 제1콘크리트타설단계(S14) 이후 케이싱(50)을 인발하는 단계이다.
도 14 및 도 15는 제1케이싱인발단계(S15)를 통해 케이싱(50)이 인발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S16)제1면따기단계
제1면따기단계(S16)는 상기 제1케이싱인발단계(S15) 이후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면과 제1분리면형성판(700)의 일측면의 콘크리트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도 16,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1면따기단계(S16)에 관한 도면으로 상기 제1케이싱인발단계(S15) 이후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면과 제1분리면형성판(700)의 일측면의 콘크리트 부분이 제거되어 면따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S17)제1마개제거단계
제1마개제거단계(S17)는 상기 제1면따기단계(S16) 이후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의 제1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322)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의 제2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422)와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를 각각 제거하는 단계이다.
도 18,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1마개제거단계(S17)에 관한 도면으로 각각의 마개가 제거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S18)제1전단연결재설치단계
제1전단연결재설치단계(S18)는 제1마개제거단계(S17) 이후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의 제1전단연결재수용부(321)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의 제2전단연결재수용부(421)와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 각각에 제1전단연결재(900)가 체결되는 단계이다.
도20,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1전단연결재설치단계(S18)에 관한 도면으로 도면과 같이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의 제1전단연결재수용부(321)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의 제2전단연결재수용부(421)와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 각각에 제1전단연결재(900)가 체결된다.
<실시예 2>
도 22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은 H빔말뚝부(100),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 제2분리면형성판(1000), 제2전단연결재(1100), 제3전단연결재(1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H빔말뚝부(100),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는 실시예1과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은 실시예 2의 제1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200),제2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600) 를 통해 차수되는 모습을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실시예 1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제2분리면형성판(1000)은 상기 철근말뚝부(5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소정 크기의 판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다.
제2전단연결재(1100)는 제2분리면형성판(1000)가 철근말뚝부(500)와 만나는 면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2분리면형성판(1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위치하는 것이다.
제3전단연결재(1200)는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위치하는 것이다.
제4전단연결재(1300)는 제2분리면형성판(1000)가 철근말뚝부(500)와 만나지 않는 면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2분리면형성판(1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을 통해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순서도로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제2H빔말뚝 및 철근말뚝조립단계(S21), 제2케이싱천공단계(S22), 제2근입단계(S23), 제2콘크리트타설단계(S24), 제2케이싱인발단계(S25), 제2면따기단계(S26), 제2전단연결재설치단계(S27)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21)제2H빔말뚝 및 철근말뚝 조립단계
제2H빔말뚝 및 철근말뚝 조립단계(S21)는 H빔말뚝부(100)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를 결합하고, 철근말뚝부(500)에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2분리면형성판(1000)와 제2전단연결재(1100)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도 25는 제2H빔말뚝 및 철근말뚝 조립단계(S21)에 관한 도면으로 H빔말뚝부(100)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가 결합된 모습과, 철근말뚝부재(500)에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2분리면형성판(1000)와 제2전단연결재(110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S22)제2케이싱천공단계
제2케이싱천공단계(S22)는 천공장치에 케이싱(50)을 부착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케이싱천공단계(S22)를 통해 천공된 천공홀은 제1천공홀(10)과 상기 제1천공홀(10)과 이웃하도록 위치하는 제2천공홀(20)이라 부르며 제1천공홀(10)과 제2천공홀(20)이 반복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S23)제2근입단계
제2근입단계(S23)는 상기 제2케이싱천공단계(S22) 이후 지반에 천공된 케이싱(50)의 내부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가 결합된 H빔말뚝부(100)와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2분리면형성판(1000)와 제2전단연결재(1100)가 결합된 철근말뚝부(500)를 근입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H빔말뚝부(100)와 철근말뚝부(500)의 근입순서는 공사현장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근입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가 결합된 H빔말뚝(100)을 편의를 위해 H빔말뚝부(100)로 압축적으로 표현하고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2분리면형성판(1000)와 제2전단연결재(1100)가 결합된 철근말뚝부재(500)를 철근말뚝부(500) 단독으로 압축으로 표현한다.
S24)제2콘크리트타설단계
제2콘크리트타설단계(S24)는 상기 제2근입단계(S23) 이후 케이싱(5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콘크리트타설단계(S24)는 케이싱(5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소정 시간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시킬 수 있다.
S25)제2케이싱인발단계
제2케이싱인발단계(S25)는 상기 제2콘크리트타설단계(S24) 이후 케이싱(50)을 인발하는 단계이다.
S26)제2면따기단계
제2면따기단계(S26)는 상기 제2케이싱인발단계(S25) 이후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면과 철근말뚝부(500)에 설치된 제2분리면형성판(1000)의 일측면의 콘크리트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S27)제2전단연결재설치단계
제2전단연결재설치단계(S27)는 상기 제2면따기단계(S26) 이후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의 제3전단연결재(1200)가 연결되고, 제2분리면형성판(1000)의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의 제4전단연결재(1300)가 연결되는 단계이다.
제2전단연결재설치단계(S27)는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3전단연결재(1200)와 제2분리면형성판(10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4전단연결재(1300)는 용접 방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 제3전단연결재(1300)와 제4전단연결재(140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에 관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은 H빔말뚝부(100),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 철근말뚝부(500),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 제1분리면형성판(700),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 제1전단연결재(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3은 실시예 1의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을 대신하여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가 형성되고,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를 대신하여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가 형성되며, 이외의 구조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예 3은 실시예 1과 차이 있는 구조인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만을 설명하며 이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와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에 관한 도면이다.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는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는 제3H빔연결부(1410), 제3전단연결재체결부(1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H빔연결부(1410)는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서 바라볼 때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제3전단연결재체결부(142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1421)가 수용되도록 일측면은 제1수용홈(1411)이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2수용홈(1412)이 형성된다.
제3전단연결재체결부(1420)는 상기 제3H빔연결부(1410)의 일측과 결합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3전단연결재체결부(1420)는 제3전단연결재수용부(1421)와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1422)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제3전단연결재수용부(1421)는 일측이 제1전단연결재(9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1422)는 상기 제3전단연결재수용부(1421)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것이다.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는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타측단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이다.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는 제4H빔연결부(1510), 제4전단연결재체결부(1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4H빔연결부(1510)는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서 바라볼 때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제4전단연결재체결부(1520)의 제4전단연결재수용부(1521)가 수용되도록 일측면은 제3수용홈(1511)이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4수용홈(1512)이 형성된다.
제4전단연결재체결부(1520)는 상기 제4H빔연결부(1510)의 타측과 결합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제4전단연결재체결부(1520)는 제4전단연결재수용부(1521), 제4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15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4전단연결재수용부(1521)는 일측이 제1전단연결재(9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4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1522)는 상기 제4전단연결재수용부(1521)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 3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을 통해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은 제3H빔말뚝 및 철근말뚝 조립단계(S31), 제3케이싱천공단계(S32), 제3근입단계(S33), 제3콘크리트타설단계(S34), 제3케이싱인발단계(S35), 제3면따기단계(S36), 제3마개제거단계(S37), 제3전단연결재설치단계(S38)의 순서로 진행된다.
각 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31)제3H빔말뚝 및 철근말뚝 조립단계
제3H빔말뚝 및 철근말뚝 조립단계(S31)는 H빔말뚝부(100)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를 결합하고, 철근말뚝부(500)에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는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에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가 나사체결되도록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의 홀 내부 일측은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의 일측은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의 홀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S32)제3케이싱천공단계
제3케이싱천공단계(S32)는 천공장치에 케이싱(50)을 부착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3케이싱천공단계(S32)를 통해 천공된 천공홀은 제1천공홀(10)과 상기 제1천공홀(10)과 이웃하도록 위치하는 제2천공홀(20)이라 부르며 제1천공홀(10)과 제2천공홀(20)이 반복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S33)제3근입단계
제3근입단계(S33)는 상기 제3케이싱천공단계(S32) 이후 지반에 천공된 케이싱(50)의 내부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와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이 결합된 H빔말뚝부(100)와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이 결합된 철근말뚝부(500)를 근입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H빔말뚝부(100)와 철근말뚝부(500)의 근입순서는 공사현장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근입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와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이 결합된 H빔말뚝(100)을 편의를 위해 H빔말뚝부(100)로 압축적으로 표현하고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이 결합된 철근말뚝부재(500)를 철근말뚝부(500) 단독으로 압축으로 표현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3케이싱천공단계(S32)와 제3근입단계(S33)에 관한 도면으로 도면과 같이 케이싱(50) 내에 H빔말뚝부(100)과 철근말뚝부(500)이 근입된다.
S34)제3콘크리트타설단계
제3콘크리트타설단계(S34)는 상기 제3근입단계(S33) 이후 케이싱(5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3콘크리트타설단계(S34)는 케이싱(5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소정 시간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시킬 수 있다.
S35)제1케이싱인발단계
제3케이싱인발단계(S35)는 상기 제3콘크리트타설단계(S34) 이후 케이싱(50)을 인발하는 단계이다.
도 38은 제3케이싱인발단계(S35)을 통해 케이싱(50)이 인발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S36)제3면따기단계
제3면따기단계(S36)는 상기 제3케이싱인발단계(S35) 이후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면과 제1분리면형성판(700)의 일측면의 콘크리트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3면따기단계(S36)에 관한 도면으로 상기 제3케이싱인발단계(S35) 이후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면과 제1분리면형성판(700)의 일측면의 콘크리트 부분이 제거되어 면따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S37)제3마개제거단계
제3마개제거단계(S37)는 상기 제3면따기단계(S36) 이후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1422)와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의 제4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1522)와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를 각각 제거하는 단계이다.
도 40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3마개제거단계(S37)에 관한 도면으로 각각의 마개가 제거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S38)제3전단연결재설치단계
제3전단연결재설치단계(S38)는 제3마개제거단계(S37) 이후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1421)와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의 제4전단연결재수용부(1521)와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 각각에 제1전단연결재(900)가 체결되는 단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제3전단연결재설치단계(S38)에 관한 도면으로 도면과 같이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1421)와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의 제4전단연결재수용부(1521)와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 각각에 제1전단연결재(900)가 체결된다.
도 42는 본 발명의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을 적용한 지하연속벽체 형성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과 같이 가시설 자체가 지하연속벽체로 쓰임으로서 지하공간의 확보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제1천공홀
20 제2천공홀
50 케이싱
100 H빔말뚝부
110 제1플랜지
120 웨브
130 제2플랜지
200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
210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
220 제1공기유입관지지부
221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
230 제1공기유입관
240 제2공기유입관
241 제1차수부재관통부
250 제1플렉시블부재
260 제1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
260a 제1라운드형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
260b 제1각진형태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
270 제1품질확인공간테이핑부
280 제1밀폐마개
290 제1하단밀폐부
300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
310 제1H빔연결부
320 제1전단연결재체결부
321 제1전단연결재수용부
322 제1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
400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
410 제2H빔연결부
420 제2전단연결재체결부
421 제2전단연결재수용부
422 제2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
500 철근말뚝부
510 철근몸체부
520 철근고정부재
600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
610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
620 제2공기유입관지지부
621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
630 제3공기유입관
640 제4공기유입관
641 제2차수부재관통부
650 제2플렉시블부재
660 제2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
660a 제2라운드형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
660b 제2각진형태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
670 제2품질확인공간테이핑부
680 제2밀폐마개
690 제2하단밀폐부
700 제1분리면형성판
710 관통부
800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
810 제3전단연결재수용부
820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
900 제1전단연결재
1000 제2분리면형성판
1100 제2전단연결재
1200 제3전단연결재
1300 제4전단연결재
1400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
1410 제3H빔연결부
1420 제3전단연결재체결부
1421 제3전단연결재수용부
1422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
1500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
1510 제4H빔연결부
1520 제4전단연결재체결부
1521 제4전단연결재수용부
1522 제4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

Claims (9)

  1.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30) 사이에 웨브(120)가 위치하여 H형태로 형성되는 H빔말뚝부(100)와,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와,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타측단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와,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의 철근몸체부(510)가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철근몸체부(510)를 고정하기 위해 철근몸체부(5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철근고정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말뚝부(500)와,
    상기 철근말뚝부(5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소정 크기의 판상형상으로 형성되되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의 관통부(710)가 형성되는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제1분리형성판(700)의 관통부(710)에 관통하여 체결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는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H빔연결부(310)와,
    상기 제1H빔연결부(310)의 일측과 결합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1전단연결재체결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는
    제2플랜지(130)의 타측단에 결합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H빔연결부(410)와,
    상기 제1H빔연결부(310)의 타측과 결합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2전단연결재체결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는
    일측이 제1전단연결재(9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제1분리형성편(700)의 관통부(710)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와,
    상기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지반의 품질을 검사하고 차수를 보강하기 위해 H빔말뚝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철근말뚝부(500)의 일측에 위치하되 지반의 품질을 검사하고 차수를 보강하기 위한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는
    제1공기유입관(230), 제2공기유입관(240)을 지지하기 위한 관으로서 제1공기유입관(230), 제2공기유입관(240)의 상단 일측과 만나도록 형성되는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와,
    제1공기유입관(230), 제2공기유입관(240)을 지지하기 위한 관으로서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현장타설말뚝인 H빔말뚝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와,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유입되기 위한 관으로서, 상기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와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와 제1하단밀폐부(290)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공기유입관(230)과,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유입되기 위한 관으로서, 상기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와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와 제1하단밀폐부(290)의 타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공기유입관(240)과,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공기유입관(230)과 제2공기유입관(240)은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서 형성된 품질확인공간(m)에 부착되는 제1품질확인공간테이핑부(270)와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하단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단 및 하단이 막힌 관 형태로 형성되는 제1하단밀폐부(290)를 포함하고,

    상기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는
    제3공기유입관(630), 제4공기유입관(640)을 지지하기 위한 관으로서 제3공기유입관(630), 제4공기유입관(640)의 상단과 만나도록 형성되는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와,
    제3공기유입관(630), 제4공기유입관(640)을 지지하기 위한 관으로서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의 하부에 위치하되 현장타설말뚝인 철근말뚝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와,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유입되기 위한 관으로서, 상기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와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와 제2하단밀폐부(690)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3공기유입관(630)과,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유입되기 위한 관으로서, 상기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와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와 제1하단밀폐부(290)의 타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4공기유입관(640)과,
    상기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3공기유입관(630)과 제4공기유입관(640)은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서 형성된 품질확인공간(m)에 부착되는 것으로 빈 공간을 막기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제2품질확인공간테이핑부(67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는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몸체 일측에 위치하되 관통로로 형성되는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유입관(240)는
    상기 제2공기유입관(240)의 일측면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되,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가 관통되어 체결되기 위한 제1차수방지부재관통부(2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는
    일측은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에 체결되고 소정 크기의 관통로가 형성되는 제1플렉시블부재(250)와,
    상기 제1플렉시블부재(250)의 일측 구멍에 체결되기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제1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260)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는
    상기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의 몸체 일측에 위치하되 관통로로 형성되는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공기유입관(640)은
    제4기유입관(640)의 일측면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되,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의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가 관통되어 체결되기 위한 제2차수부재관통부(6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는
    일측은 상기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의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의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에 체결되고 소정 크기의 관통로가 형성되는 제2플렉시블부재(650)와,

    상기 제2플렉시블부재(650)의 일측 구멍에 체결되기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제2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6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3.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30) 사이에 웨브(120)가 위치하여 H형태로 형성되는 H빔말뚝부(100)와,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와,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타측단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와,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의 철근몸체부(510)가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철근몸체부(510)를 고정하기 위해 철근몸체부(5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철근고정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말뚝부(500)와, 상기 철근말뚝부(5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소정 크기의 판상형상으로 형성되되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의 관통부(710)가 형성되는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제1분리형성판(700)의 관통부(710)에 관통하여 체결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는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H빔연결부(310)와, 상기 제1H빔연결부(310)의 일측과 결합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1전단연결재체결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는 제2플랜지(130)의 타측단에 결합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H빔연결부(410)와, 상기 제1H빔연결부(310)의 타측과 결합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2전단연결재체결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는 일측이 제1전단연결재(9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제1분리형성편(700)의 관통부(710)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와, 상기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을 이용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H빔말뚝부(100)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를 결합하고, 철근말뚝부(500)에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를 결합하는 제1H빔말뚝 및 철근말뚝 조립단계(S11);
    천공장치에 케이싱(50)을 부착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제1케이싱천공단계(S12);
    상기 제1케이싱천공단계(S12) 이후 지반에 천공된 케이싱(50)의 내부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이 결합된 H빔말뚝부(100)와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이 결합된 철근말뚝부(500)를 근입시키는 제1근입단계(S13);
    상기 제1근입단계(S13) 이후 케이싱(5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1콘크리트타설단계(S14);
    상기 제1콘크리트타설단계(S14) 이후 케이싱(50)을 인발하는 제1케이싱인발단계(S15);
    상기 제1케이싱인발단계(S15) 이후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면과 제1분리면형성판(700)의 일측면의 콘크리트 부분을 제거하는 제1면따기단계(S16);
    상기 제1면따기단계(S16) 이후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의 제1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322)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의 제2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422)와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를 각각 제거하는 제1마개제거단계(S17);
    제1마개제거단계(S17) 이후 제1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300)의 제1전단연결재수용부(321)와 제2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400)의 제2전단연결재수용부(421)와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 각각에 제1전단연결재(900)가 체결되는 제1전단연결재설치단계(S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공방법.
  4.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30) 사이에 웨브(120)가 위치하여 H형태로 형성되는 H빔말뚝부(100)와,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의 철근몸체부(510)가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철근몸체부(510)를 고정하기 위해 철근몸체부(5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철근고정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말뚝부(500)와,
    상기 철근말뚝부(5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소정 크기의 판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2분리면형성판(1000)와,
    제2분리면형성판(1000)가 철근말뚝부(500)와 만나는 면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2분리면형성판(1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위치하는 제2전단연결재(1100)와,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위치하는 제3전단연결재(1200)와,
    제2분리면형성판(1000)가 철근말뚝부(500)와 만나지 않는 면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2분리면형성판(1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위치하는 제4전단연결재(1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지반의 품질을 검사하고 차수를 보강하기 위해 H빔말뚝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철근말뚝부(500)의 일측에 위치하되 지반의 품질을 검사하고 차수를 보강하기 위한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는
    제1공기유입관(230), 제2공기유입관(240)을 지지하기 위한 관으로서 제1공기유입관(230), 제2공기유입관(240)의 상단 일측과 만나도록 형성되는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와,
    제1공기유입관(230), 제2공기유입관(240)을 지지하기 위한 관으로서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현장타설말뚝인 H빔말뚝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와,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유입되기 위한 관으로서, 상기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와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와 제1하단밀폐부(290)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공기유입관(230)과,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유입되기 위한 관으로서, 상기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와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와 제1하단밀폐부(290)의 타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공기유입관(240)과,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공기유입관(230)과 제2공기유입관(240)은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서 형성된 품질확인공간(m)에 부착되는 제1품질확인공간테이핑부(270)와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하단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단 및 하단이 막힌 관 형태로 형성되는 제1하단밀폐부(290)를 포함하고,

    상기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는
    제3공기유입관(630), 제4공기유입관(640)을 지지하기 위한 관으로서 제3공기유입관(630), 제4공기유입관(640)의 상단과 만나도록 형성되는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와,
    제3공기유입관(630), 제4공기유입관(640)을 지지하기 위한 관으로서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의 하부에 위치하되 현장타설말뚝인 철근말뚝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와,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유입되기 위한 관으로서, 상기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와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와 제2하단밀폐부(690)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3공기유입관(630)과,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유입되기 위한 관으로서, 상기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와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와 제1하단밀폐부(290)의 타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4공기유입관(640)과,
    상기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3공기유입관(630)과 제4공기유입관(640)은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서 형성된 품질확인공간(m)에 부착되는 것으로 빈 공간을 막기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제2품질확인공간테이핑부(67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는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몸체 일측에 위치하되 관통로로 형성되는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유입관(240)는
    상기 제2공기유입관(240)의 일측면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되,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가 관통되어 체결되기 위한 제1차수방지부재관통부(2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는
    일측은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에 체결되고 소정 크기의 관통로가 형성되는 제1플렉시블부재(250)와,
    상기 제1플렉시블부재(250)의 일측 구멍에 체결되기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제1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260)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는
    상기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의 몸체 일측에 위치하되 관통로로 형성되는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공기유입관(640)은
    제4기유입관(640)의 일측면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되,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의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가 관통되어 체결되기 위한 제2차수부재관통부(6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는
    일측은 상기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의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의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에 체결되고 소정 크기의 관통로가 형성되는 제2플렉시블부재(650)와,

    상기 제2플렉시블부재(650)의 일측 구멍에 체결되기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제2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6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6.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30) 사이에 웨브(120)가 위치하여 H형태로 형성되는 H빔말뚝부(100)와,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의 철근몸체부(510)가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철근몸체부(510)를 고정하기 위해 철근몸체부(5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철근고정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말뚝부(500)와, 상기 철근말뚝부(5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소정 크기의 판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2분리면형성판(1000)와, 제2분리면형성판(1000)가 철근말뚝부(500)와 만나는 면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2분리면형성판(1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위치하는 제2전단연결재(1100)와,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위치하는 제3전단연결재(1200)와, 제2분리면형성판(1000)가 철근말뚝부(500)와 만나지 않는 면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2분리면형성판(1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위치하는 제4전단연결재(1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을 포함하는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공방법에 있어서,
    H빔말뚝부(100)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를 결합하고, 철근말뚝부(500)에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2분리면형성판(1000)와 제2전단연결재(1100)를 결합하는 제2H빔말뚝 및 철근말뚝 조립단계(S21);
    천공장치에 케이싱(50)을 부착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제2케이싱천공단계(S22);
    상기 제2케이싱천공단계(S22) 이후 지반에 천공된 케이싱(50)의 내부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가 결합된 H빔말뚝부(100)와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2분리면형성판(1000)와 제2전단연결재(1100)가 결합된 철근말뚝부(500)를 근입시키는 제2근입단계(S23);
    상기 제2근입단계(S23) 이후 케이싱(5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콘크리트타설단계(S24);
    상기 제2콘크리트타설단계(S24) 이후 케이싱(50)을 인발하는 제2케이싱인발단계(S25);
    상기 제2케이싱인발단계(S25) 이후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면과 철근말뚝부(500)에 설치된 제2분리면형성판(1000)의 일측면의 콘크리트 부분을 제거하는 제2면따기단계(S26);
    상기 제2면따기단계(S26) 이후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의 제3전단연결재(1200)가 연결되고, 제2분리면형성판(1000)의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의 제4전단연결재(1300)가 연결되는 제2전단연결재설치단계(S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
  7.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30) 사이에 웨브(120)가 위치하여 H형태로 형성되는 H빔말뚝부(100)와,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와,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타측단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와,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의 철근몸체부(510)가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철근몸체부(510)를 고정하기 위해 철근몸체부(5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철근고정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말뚝부(500)와,
    상기 철근말뚝부(5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소정 크기의 판상형상으로 형성되되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의 관통부(710)가 형성되는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제1분리형성판(700)의 관통부(710)에 관통하여 체결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를 포함하고,

    상기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는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서 바라볼 때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제3전단연결재체결부(142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1421)가 수용되도록 일측면은 제1수용홈(1411)이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2수용홈(1412)이 형성되는 제3H빔연결부(1410)와,
    상기 제3H빔연결부(1410)의 일측과 결합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3전단연결재체결부(1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는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서 바라볼 때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제4전단연결재체결부(1520)의 제4전단연결재수용부(1521)가 수용되도록 일측면은 제3수용홈(1511)이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4수용홈(1512)이 형성되는 제4H빔연결부(1510)와,
    상기 제4H빔연결부(1510)의 타측과 결합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4전단연결재체결부(1520)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는
    일측이 제1전단연결재(9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제1분리형성편(700)의 관통부(710)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와,
    상기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지반의 품질을 검사하고 차수를 보강하기 위해 H빔말뚝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철근말뚝부(500)의 일측에 위치하되 지반의 품질을 검사하고 차수를 보강하기 위한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는
    제1공기유입관(230), 제2공기유입관(240)을 지지하기 위한 관으로서 제1공기유입관(230), 제2공기유입관(240)의 상단 일측과 만나도록 형성되는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와,
    제1공기유입관(230), 제2공기유입관(240)을 지지하기 위한 관으로서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현장타설말뚝인 H빔말뚝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와,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유입되기 위한 관으로서, 상기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와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와 제1하단밀폐부(290)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공기유입관(230)과,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유입되기 위한 관으로서, 상기 제1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210)와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와 제1하단밀폐부(290)의 타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공기유입관(240)과,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공기유입관(230)과 제2공기유입관(240)은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서 형성된 품질확인공간(m)에 부착되는 제1품질확인공간테이핑부(270)와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하단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단 및 하단이 막힌 관 형태로 형성되는 제1하단밀폐부(290)를 포함하고,

    상기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는
    제3공기유입관(630), 제4공기유입관(640)을 지지하기 위한 관으로서 제3공기유입관(630), 제4공기유입관(640)의 상단과 만나도록 형성되는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와,
    제3공기유입관(630), 제4공기유입관(640)을 지지하기 위한 관으로서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의 하부에 위치하되 현장타설말뚝인 철근말뚝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와,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유입되기 위한 관으로서, 상기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와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와 제2하단밀폐부(690)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3공기유입관(630)과,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보강주입재가 유입되기 위한 관으로서, 상기 제2상단공기유입관지지부(610)와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와 제1하단밀폐부(290)의 타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4공기유입관(640)과,
    상기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3공기유입관(630)과 제4공기유입관(640)은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서 형성된 품질확인공간(m)에 부착되는 것으로 빈 공간을 막기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제2품질확인공간테이핑부(6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는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몸체 일측에 위치하되 관통로로 형성되는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유입관(240)는
    상기 제2공기유입관(240)의 일측면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되,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가 관통되어 체결되기 위한 제1차수방지부재관통부(2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는
    일측은 상기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1공기유입관지지부(220)의 제1플렉시블부재연결부(221)에 체결되고 소정 크기의 관통로가 형성되는 제1플렉시블부재(250)와,
    상기 제1플렉시블부재(250)의 일측 구멍에 체결되기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제1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260)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는
    상기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의 몸체 일측에 위치하되 관통로로 형성되는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공기유입관(640)은
    제4공기유입관(640)의 일측면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되,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의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가 관통되어 체결되기 위한 제2차수부재관통부(6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는
    일측은 상기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의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2공기유입관지지부(620)의 제2플렉시블부재연결부(621)에 체결되고 소정 크기의 관통로가 형성되는 제2플렉시블부재(650)와,

    상기 제2플렉시블부재(650)의 일측 구멍에 체결되기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제2외부물질유입차단부재(6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9.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30) 사이에 웨브(120)가 위치하여 H형태로 형성되는 H빔말뚝부(100)와,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와,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타측단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와,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의 철근몸체부(510)가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철근몸체부(510)를 고정하기 위해 철근몸체부(5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철근고정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말뚝부(500)와, 상기 철근말뚝부(5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소정 크기의 판상형상으로 형성되되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의 관통부(710)가 형성되는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제1분리형성판(700)의 관통부(710)에 관통하여 체결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를 포함하고, 상기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는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서 바라볼 때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제3전단연결재체결부(142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1421)가 수용되도록 일측면은 제1수용홈(1411)이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2수용홈(1412)이 형성되는 제3H빔연결부(1410)와, 상기 제3H빔연결부(1410)의 일측과 결합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3전단연결재체결부(1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는 제2플랜지(130)의 일측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서 바라볼 때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제4전단연결재체결부(1520)의 제4전단연결재수용부(1521)가 수용되도록 일측면은 제3수용홈(1511)이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4수용홈(1512)이 형성되는 제4H빔연결부(1510)와, 상기 제4H빔연결부(1510)의 타측과 결합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4전단연결재체결부(1520)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는 일측이 제1전단연결재(9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제1분리형성편(700)의 관통부(710)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와, 상기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을 이용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H빔말뚝부(100)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와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를 결합하고, 철근말뚝부(500)에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를 결합하는 제3H빔말뚝 및 철근말뚝 조립단계(S31);
    천공장치에 케이싱(50)을 부착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제3케이싱천공단계(S32);
    상기 제3케이싱천공단계(S32) 이후 지반에 천공된 케이싱(50)의 내부에 제1품질검사 및 차수부재(200)와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와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이 결합된 H빔말뚝부(100)와 제2품질검사 및 차수부재(600)와 제1분리면형성판(700)과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이 결합된 철근말뚝부(500)를 근입시키는 제3근입단계(S33);
    상기 제3근입단계(S33) 이후 케이싱(5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콘크리트타설단계(S34);
    상기 제3콘크리트타설단계(S34) 이후 케이싱(50)을 인발하는 제3케이싱인발단계(S35);
    상기 제3케이싱인발단계(S35) 이후 H빔말뚝부(100)의 제2플랜지(130)의 일측면과 제1분리면형성판(700)의 일측면의 콘크리트 부분을 제거하는 제3면따기단계(S36);
    상기 제3면따기단계(S36) 이후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1422)와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의 제4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1522)와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마개(820)를 각각 제거하는 제3마개제거단계(S37);
    제3마개제거단계(S37) 이후 제3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4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1421)와 제4H빔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1500)의 제4전단연결재수용부(1521)와 철근말뚝부연결전단연결재체결부재(800)의 제3전단연결재수용부(810) 각각에 제1전단연결재(900)가 체결되는 제3전단연결재설치단계(S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공방법.
KR1020220019310A 2022-02-15 2022-02-15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40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310A KR102440966B1 (ko) 2022-02-15 2022-02-15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310A KR102440966B1 (ko) 2022-02-15 2022-02-15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966B1 true KR102440966B1 (ko) 2022-09-06

Family

ID=83281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310A KR102440966B1 (ko) 2022-02-15 2022-02-15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9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718B1 (ko) 2016-08-08 2017-12-27 정용복 현장타설말뚝 품질 검측용 복합 측정 장치
KR101977604B1 (ko) 2017-04-18 2019-05-13 비티이엔씨 주식회사 현장타설말뚝 고속 양생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 조기 품질시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718B1 (ko) 2016-08-08 2017-12-27 정용복 현장타설말뚝 품질 검측용 복합 측정 장치
KR101977604B1 (ko) 2017-04-18 2019-05-13 비티이엔씨 주식회사 현장타설말뚝 고속 양생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 조기 품질시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8920B2 (en) Tunnel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support and post-support and apparatus suitable for same
KR100939535B1 (ko)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가이드
KR101925597B1 (ko)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
CN105239563A (zh) 一种后注浆配套旋挖钻机干法成孔灌注桩结构及施工方法
KR101928054B1 (ko) 협소한 테두리 여유공간을 갖는 지하 구조물의 흙막이벽 구축공법
KR100927186B1 (ko) 흙막이 및 차수용 연속 벽체 시공방법
CN110106868B (zh) 一种岩溶地质大直径桩基成孔工艺方法
KR101925598B1 (ko)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
CN109457694A (zh) 一种与搅拌桩或旋喷桩结合的变直径钢筋笼扩大头抗浮或承压桩及施工工法
KR102440966B1 (ko)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47823B1 (ko) 지중 차수벽 시공방법
JP3908464B2 (ja) 水底トンネルの構築方法
KR101078080B1 (ko) 지지말뚝과 지반보강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440956B1 (ko)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포함한 가시설 겸용 지하연속벽체시스템에 사용되는 케이싱설치가이드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10048B1 (ko) 침투수의 선택적 배출 기능이 구비된 옹벽 시스템
CN117626947A (zh) 旋挖钻钻孔灌注桩施工方法
KR102247848B1 (ko) 가압그라우팅을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 및 그 시공방법
CN209669857U (zh) 一种变直径钢筋笼扩大头锚杆抗浮或承压桩
KR100991248B1 (ko) 팩을 이용한 마이크로 파일 기초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파일 조립체
KR102415056B1 (ko)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품질확인/보강 및 차수방법
KR20080086254A (ko) 강연선을 이용한 자립형 제거 및 비제거식 차수벽 흙막이공법
KR100711054B1 (ko) 앵커체를 이용한 자립식 차수벽 흙막이 공법과 이를 위한 연결소켓
KR102412416B1 (ko) 품질검사용부재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품질확인 및 보강방법
KR102118636B1 (ko)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 방법
KR101736117B1 (ko) 지반 굴착 및 개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 차수벽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